KR101418269B1 -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 Google Patents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269B1
KR101418269B1 KR1020097004478A KR20097004478A KR101418269B1 KR 101418269 B1 KR101418269 B1 KR 101418269B1 KR 1020097004478 A KR1020097004478 A KR 1020097004478A KR 20097004478 A KR20097004478 A KR 20097004478A KR 101418269 B1 KR101418269 B1 KR 10141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hthalmic lens
instrument body
axial direction
extrusion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915A (ko
Inventor
마사요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8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separate cartridge or other lens setting part for storage of a lens, e.g. preloadable for s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5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lubricated inner surface, e.g. the lubricant being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r being injected through a port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를 눈 안에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배치할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삽입 튜브부(70)의 베이스 단부(74)와 연통하게 형성된 배치부(20)는 기구 본체(12)에 형성된다. 안과용 렌즈(26)를 그 위에 배치하기 위한 배치면(30)이 배치면(20) 위에 형성된다. 관통 구멍(66,68)은 배치면(30)이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운반 부재(50)는 외측으로부터 배치면(30)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조립된다. 운반 부재(50)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지지부(56,58)는 지지면(30)으로부터 관통 구멍(66,68)을 통하여 돌출한다. 안과용 렌즈(26)는 지지부(56,58)의 선단면(61,64)을 돌출시킴으로써 지지된다.
안과용 렌즈, 삽입 기구, 삽입 튜브부, 배치부, 기구 본체, 운반 부재

Description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Intraocular lens inser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를 눈 안에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백내장등의 수술에 있어서는, 각막(장막)이나 수정체 전낭 부분 등의 눈조직에 설치한 절개창(surgical incision)을 통하여, 낭 내의 수정체를 적출, 제거시킨 후, 그 수정체에 대체하는 안과용 렌즈를 상기 절개창으로부터 눈 안에 삽입하여 낭 내에 배치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특히 최근에서는,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3에 기재의 같은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를 사용한 방법이 넓게 채용된다. 이러한 삽입 기구를 사용하면, 수정체의 적출을 위해 형성한 절개창을 확대하지 않고 안과용 렌즈를 삽입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시술에 요하는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시술후 난시의 발생이나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3에 기재된 대부분의 종래의 삽입 기구는, 개폐 가능한 힌지부에 안과용 렌즈를 배치한 후에, 힌지부를 폐쇄하여 안과용 렌즈를 끼움으로써, 안과용 렌즈를 삽입 기구 내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된 삽입 기구에 있어서는, 힌지부를 폐쇄하여 안과용 렌즈를 삽입 기구에 수용할 때에, 힌지부에서 손을 떼면 힌지부가 부주의하게 열려져서 안과용 렌즈를 떨어드릴 가능성이 있었다. 그 때문에, 힌지부를 폐쇄한 후에는 슬리브 등의 보유 부재를 사용하여 힌지부를 폐쇄 상태에서 고정하도록 실행하는 추가 동작이 필요하였다.
또한, 힌지부를 폐쇄하여 안과용 렌즈를 끼워 가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다른 위험성은 안과용 렌즈의 위치가 미묘하게 변동하여, 초기 변형이 원하는 형상으로 주어지지 않는 것이다. 안과용 렌즈의 초기 변형이 정확하게 주어지지 않으면, 그 후의 안과용 렌즈의 압출을 원활하게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안과용 렌즈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짐에 따라, 안과용 렌즈를 손상시킬 가능성도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보 제341210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보 제3420724호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보 제3665643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과용 렌즈의 수용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신규 디자인의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상술한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언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또, 각 실시예에 있어서 채용되는 구성요소는, 가능한 한 임의의 조합으로 채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안과용 렌즈를 동봉 상태로 수용하는데 적합한 대략 통형상을 갖는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축방향의 후방으로서 삽입된 압출 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안과용 렌즈를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작게 변형하여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 선단부에 설치된 삽입 튜브부를 통하여 밀어냄으로써 눈 안에 삽입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며, 상기 삽입 기구에서,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삽입 튜브부의 베이스 단부와 연통하는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과용 렌즈의 배치를 위한 배치면이 상기 배치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 구멍이 배치면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배치면에 형성되며; 운반 부재가 외측에서 배치면 형성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운반 부재로부터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삽입 구멍을 통과하여 배열되어서 상기 배치면에서 돌출하고, 안과용 렌즈가 상기 지지부의 돌출 선단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를 따르는 구조로 된 삽입 기구에 있어서는, 안과용 렌즈는 운반 부재를 기구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돌출한 지지부를 배치면 상에서 후퇴시킴으로써, 배치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지지부들은 배치면에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는 그에 의해서 운반 부재를 기구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간이한 조작을 통하여 배치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안과용 렌즈의 배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안과용 렌즈를 소정 위치에 안정한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안과용 렌즈의 변위 기인하여 예기하지 않은 형상으로 변형되거나, 이러한 변형에 기인하는 안과용 렌즈의 손상의 가능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운반 부재의 기구 본체에 대하는 부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운반 부재와 기구 본체의 각각 서로 정합되는 정합부(mating part)를 형성하여, 운반 부재를 기구 본체에 끼워넣어 고정하는 형태 등이 채용 가능하다. 또, 양호한 실시예에서, 운반 부재의 고정구조로서는, 지지부의 상면 형상을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전진시킬 때 점차로 커지도록 형성하여, 지지부를 관통 구멍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운반 부재를 기구 본체에 고정하는 형태가 채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관통 구멍과 지지부를 운반 부재의 고정 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고정 기구를 설치할 필요성도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광학 영역을 갖는 본체 부분과,상기 본체 부분을 눈 안에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부분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보유부를 포함하는 상기 안과용 렌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지지부의 돌출 선단면이 상기 본체 부분의 광학 영역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안과용 렌즈와 접촉하고, 상기 본체 부분의 외주 에지와 상기 보유부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본 실시예를 따르는 구조로 된 삽입 기구에 있어서는, 지지부가 안과용 렌즈의 광학 영역과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지지부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광학 영역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를 따르는 구조로 된 삽입 기구가 적용되는 안과용 렌즈는 본체 부분과 보유부가 일체로 형성된 안과용 렌즈이거나 또는 본체 부분과 보유부가 개별 요소로 형성된 안과용 렌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2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돌출 높이 치수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안과용 렌즈의 상기 광학 영역이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의 광학 영역은 지지부 뿐만아니라 배치면에 대해서도 비접촉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의 광학 영역의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손상의 가능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를 보다 안정하게 배치할 수 있어, 안과용 렌즈의 수용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안과용 렌즈의 위치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상기 제 1 내지 제4 실시예중 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향 돌출하며, 상기 안과용 렌즈를 상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시키는데 적합한 돌출 도입부가 상기 삽입 튜브부의 베이스 단부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를 도입 돌출부에 접촉시키는 것을 통해서 안과용 렌즈에 초기변형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를 삽입 튜브부내에 매끄럽게 안내할 수 있고, 삽입 튜브부내에서의 변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더욱 양호하게는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의 평탄 배치면과 함께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평탄한 배치면이 안과용 렌즈에 초기 변형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입 돌출부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의 초기변형을 일관되게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는, 제 5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 상기 도입 돌출부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한 쌍으로 제공하고, 상기 한 쌍의 도입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압출 부재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입 돌출부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에 초기변형을 안정하게 부여할 수 있고, 압출 부재가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압출 부재를 축방향으로 안정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압출 부재에 의한 안과용 렌즈의 압출을 보다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5 실시예의 도입 돌출부는,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외측에 개방된 개구부가 상기 배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덮개부가 상기 기구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부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삽입 튜브부의 베이스 단부의 내주면과 대략 같은 높이 위치에 돌출하는 안내 돌출부가 상기 배치면의 대향면의 덮개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덮개부에 의해서 배치부를 커버함으로써, 안과용 렌즈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고, 안과용 렌즈의 수용 및 눈 안으로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과용 렌즈의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로 하여, 위생의 관점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안과용 렌즈의 배치부내에서의 높이 위치를 삽입 튜브부의 내주면의 높이 위치와 정렬시킬 수 있고, 안과용 렌즈를 삽입 튜브부로 밀어넣는 것을 일관되게 매끄러운 방식으로 실행하여서, 안과용 렌즈 등을 잡을 때 발생하는 과도한 힘에 기인하는 안과용 렌즈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는, 상기 제 7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압출 부재 안내부가 상기 덮개부에서의 상기 배치부와의 대향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압출하는 동안 압출 부재의 휘어짐을 억제할 수 있고, 안과용 렌즈의 압출을 보다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출 부재 안내부를 덮개부에 형성함으로써, 안과용 렌즈의 압출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압출 부재 안내부를 설계할 때, 보다 높은 설계 자유도를 갖는다.
또, 압출 부재 안내부의 구체적인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압출 부재의 형상 및 크기와 같은 것 이외에, 압출 부재 안내부가 형성되는 덮개부의 형상이나 대향하는 배치부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출 부재를 폭방향으로 양측에 끼는 것과 같이 돌기나 리브등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압출 부재의 폭방향의 휘어짐(deflection)을 최소화하고; 덮개부에서 배치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하여, 이러한 돌출부와 배치면에 의해서 압출 부재를 상하 양측에서 끼워서, 압출 부재의 수직 방향의 휘어짐을 최소화하고; 또는 이들 조치들을 조합하여, 압출 부재의 폭방향 및 수직 방향의 휘어짐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는, 상기 제 7 또는 제 8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윤활제를 주입가능하게 하는 윤활제 주입구멍이 상기 덮개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배치부를 커버 상태로 윤활제를 삽입 기구의 내부에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안과용 렌즈의 탈락(dislodge)을 방지하면서, 윤활제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배치부를 개방하지 않고 윤활제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안과용 렌즈의 외부와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고, 위생 관점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는, 상기 제 1 내지 제9 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배치부의 후방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기구본체와 압출 부재를 일체 유닛으로 취급할 수 있고, 기구 본체에 압출 부재를 삽입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를 눈 안에 삽입하는 동안, 기구 본체로부터 운반 부재를 분리한 후에, 압출 부재를 밀어넣는 조작만으로 안과용 렌즈를 간단하게 삽입을 할 수 있으며, 삽입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는, 상기 제 1 내지 제10 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 에지는 상기 안과용 렌즈에 접촉하도록 배치되기에 적합한 변형 용이한 변형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의 압출 동안, 안과용 렌즈에 과대한 힘이 미치게 되는 것을 회피하여, 안과용 렌즈, 특히, 연약한 보유부의 손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변형 부재가 유도된 변형을 통해서, 배치부에서 삽입 튜브부에 달하는 경로의 형상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안과용 렌즈의 압출을 안정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배치부내에 윤활제가 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형 부재에 의해서 윤활제에 효과적으로 압력을 미치게 할 수 있고, 그 압력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의 압출 가능하게 되고, 안과용 렌즈의 손상의 가능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는 상기 제 11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는, Y자형으로 분기된 한 쌍의 분기부(branched part)가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 에지에 형성되고; 중공원통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는 굽혀지고 상기 탄성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분기부의 외측에 체결됨으로써, 대략 루프 형상을 갖는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는, 상기 제 1 내지 제 12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에 노치가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 튜브부의 내주면과 상기 압출 부재 사이에 소정의 갭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의 압출 동안, 삽입 튜브부의 내주면과 압출 부재의 사이에서 끼워 보유부가 손상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노치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자의 판단에 있어서 적절한 형상이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는 상기 제 13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는 대략 로드 형상을 갖고; 상기 노치는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 에지에서 약간 후방의 영역을 소정의 축방향 길이 치수를 따라 상기 선단부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는 상기 제 13 실시예를 따르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는 대략 로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선단부의 폭방향 양 단부를 선단 에지에서 축방향의 소정 치수를 따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를 도시하는 사 시도.
도 2는 삽입 기구의 확대사시도.
도 3은 삽입 기구에 사용되는 운반 부재 및 안과용 렌즈의 상면도.
도 4는 운반 부재 및 안과용 렌즈의 사시도.
도 5는 배치면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도 1의 VI-VI 단면을 모델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7은 도 1의 삽입 기구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1의 VIII-VIII 단면을 모델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도 9는 삽입 기구에 사용할 수 있는 압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운반 부재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압출 부재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2는 또다른 실시예의 압출 부재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의 압출 부재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4는 도 13의 XIV-XIV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또다른 실시예의 압출 부재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기구 본체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7은 기구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기구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도 16의 XIX-XIX 단면을 모델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설명도.
부호의 설명
10:삽입 기구, 12:기구 본체, 14:플런저, 20:스테이지, 26:안과용 렌즈, 29:개구부, 30:배치면, 50:운반 부재, 56:본체 지지부, 58:다리 지지부, 61:상면, 64:상단면, 66:관통 구멍, 68:관통 구멍, 70:노즐부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1O)가 도시된다. 삽입 기구(10)는, 전체 길이에 걸쳐 그 내부가 관통되고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개방된 대략 통형상을 갖는 기구 본체(12)의 내부로, 압출 부재로서의 플런저(14)가 삽입 통과되어 구성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은, 삽입 기구(10)의 연장 방향(도 1중, 좌측 하방향)을 지칭하며, "상방"은 도 1의 상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좌우"방향은, 삽입 기구(10)의 배면에서의 좌우 방향(도 1에서, 우측 하방향이 좌측이고, 좌측 상방향이 우측이다)을 지칭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구 본체(12)는, 대략 통형상의 본체 튜브부(16)를 갖고 있다. 본체 튜브부(16)의 내부에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5)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 튜브부(16)의 후단부로부터 약간 전방측의 위치에는, 본체 튜브부(16)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형부(18)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기구 본체(12)에서의 본체 튜브부(16)의 전방으로는, 배치부로서 제공 된 스테이지(20)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20)에는, 안과용 렌즈(26)의 본체부(27)의 직경 치수보다 약간 큰 폭 치수를 갖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형 홈(22)이 형성된다. 오목형 홈(22)은, 안과용 렌즈(26)의 보유부(28,28)를 포함하는 최대폭 치수보다 약간 큰 축방향 길이 치수를 갖는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0)에 수용되는 안과용 렌즈(26)는, 광학 영역(25)을 구비하는 본체 부분으로 제공된 본체부(27)와, 본체부(27)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되고, 눈 안에 본체부(27)를 위치 결정하는 한 쌍의 보유부(28,28)를 포함한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예의 안과용 렌즈(26)는, 상기 본체부(27) 및 보유부(28,28)가 같은 부재로 일체로 형성된 안과용 렌즈이다.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0)는, 상기 종류의 안과용 렌즈에서 양호하게 채용되지만, 예를 들면, 본체부(27)와 보유부(28,28)가 다른 부재인 안과용 렌즈에도 적합하게 채용될 수 있다.
오목형 홈(22)은, 상향으로 개방된 개구부(29)를 갖는 한편, 그 저면이 배치면(30)을 구성한다. 배치면(30)은, 안과용 렌즈(26)의 최소폭 치수(도 3의 수직 치수)보다 약간 큰 폭 치수를 갖고, 안과용 렌즈(26)의 최대폭 치수(도 3의 좌우치수)보다도 큰 축방향 길이 치수를 갖는 평탄면으로 된다. 또, 배치면(30)의 높이 위치는, 본체 튜브부(16)의 관통 구멍(15)의 저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약간 위에 위치하고, 본체 튜브부(16)의 관통 구멍(15)의 전단 에지에는, 관통 구멍(15)의 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면(30)의 후단 에지에 접속하는 벽부(31)가 형성된다(도 7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오목형 홈(22)은 관통 구멍(15)과 연통되 고, 오목형 홈(22)의 폭 치수가 관통 구멍(15)의 폭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개구부(29)의 일측(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측)에는, 덮개부로서의 덮개부(32)가 기구 본체(12)와 일체로 형성된다. 덮개부(32)는, 개구부(29)의 축방향 치수와 대략 같은 축방향 치수를 갖고, 개구부(29)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큰 폭 치수를 구비한다. 이러한 덮개부(32)는, 개구부(29)의 상단 에지가 일측(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대략 얇은 판자 형상의 연결부(34)에 의해서 기구 본체(12)와 연결된다. 연결부(34)는, 폭방향의 대략 중심 부분을 통해서 기구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36)에서 가장 얇은 두께로 되고, 굴곡부(36)에서 굽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덮개부(32)는, 연결부(34)를 구부려 개구부(29)에 겹칠 수 있도록 된다.
배치면(30)과 대향되는 덮개부(32)의 대향면(38)에는, 기구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안내 돌출부로서의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가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이들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는, 오목형 홈(22)의 폭 치수보다 약간 작은 대향면 사이의 거리를 갖고, 덮개부(32)의 축방향의 전체 연장부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 대향면(38)의 외주 에지는, 전체 주변부에 걸쳐 약간 두껍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는, 이들 두께에 형성된 외주 에지보다도 더욱 돌출된다. 또한,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 사이의 대향면(38)의 대략 중심 위치에는,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와 평행하게 기구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돌출부로서의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는, 두꺼운 대향면(38)의 외주 에지와 같은 높이 치수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주 에지 사이의 거리를 걸치는 치수를 갖는 외주 에지로부터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32)의 연결부(34)와 반대측의 에지에는, 돌출형 고리 부재(44)가 형성되며, 개구부(29)의 덮개부(32)와 반대측의 상단 에지에는, 외측에 돌출하는 돌출 에지(46)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 부재(4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돌출 에지(46)에 고리 노치(48)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스테이지(20)의 배치면(30)의 하측에는, 운반 부재(5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반 부재(50)는 기구 본체(12)와 별체로 구성되고, 대략 직사각형 플레이트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부(51)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52), 본체 지지부(56,56), 및 다리 지지부(58,58)를 포함한다. 또,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안과용 렌즈(26)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운반 부재(50)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운반 부재(50)의 길이 방향은, 본체 지지부(56,56), 다리 지지부(58,58)의 배열 방향(도 3에서, 좌우 방향)을 지칭하고, 운반 부재(50)의 폭방향은, 본체 지지부(56,56), 다리 지지부(58,58)의 배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도 3중,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52)는, 플레이트부(51)의 폭방향 중심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약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부(51)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52)의 외측면 사이의 폭방 향 거리는, 안과용 렌즈(26)의 본체부(27)의 직경 치수보다 약간 작다.
플레이트부(51)의 대략 중심부에는, 한 쌍의 본체 지지부(56,56)가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본체 지지부(56)는, 상면에서 볼 때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52)의 두개의 외측면에 걸치는 폭 치수를 갖고, 안과용 렌즈(26)의 본체부(27)보다 약간 큰 곡률 반경을 갖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고; 플레이트부(51) 및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52)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또, 본체 지지부(56,56)는,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점차로 폭 치수가 약간 크다. 그리고, 본체 지지부(56,56)의 길이 방향의 이격 거리가, 안과용 렌즈(26)의 직경 방향으로 본체부(27)와 접속하는 보유부(28,28)의 베이스 단부(60,60)의 이격 거리보다 약간 크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26)는, 베이스 단부(60)가 본체 지지부(56)의 상면(61)에 배치되고 지지되어서, 본체부(27)가 운반 부재(50)에 접촉하지 않고, 비변형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본체 지지부(56)의 상면(61)의 제 1 원주방향의 단부에는, 상면(61)으로부터 더욱 상향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돌출부로서의 외측 돌출 부재(62a) 및 내측 돌출 부재(62b)가 형성된다. 이들 돌출 부재(62a,62b)중에서, 외측 돌출 부재(62a)가 본체 지지부(56)의 원주방향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한편, 내측 돌출 부재(62b)가 외측 돌출 부재(62a)의 내측에서 본체 지지부(56)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형성된다. 여기에서, 외측 돌출 부재(62a) 및 내측 돌출 부재(62b)와의 본체 지지부(56)의 원주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는, 보유부(28)의 베이스 단부(60)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크다. 또한, 외측 돌출 부 재(62a) 및 내측 돌출 부재(62b)의 안쪽 벽면은, 베이스 단부(60)의 외주 에지의 형상에 적응하게 만곡된다.
따라서, 본체 지지부(56)에 배치된 안과용 렌즈(26)의 보유부(28)는, 돌출 부재(62a,62b)의 사이에서 본체 지지부(56)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돌출 부재(62a,62b)에 의해서 보유부(28)의 원주방향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안과용 렌즈(26)가 원주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과용 렌즈(26)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의 연장 방향의 돌출 면적이 가장 작아지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한 쌍의 다리 지지부(58,58)가 본체 지지부(56,56)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이격한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52)의 대향면 사이의 대략 중간위치에 배치된다. 다리 지지부(58,58)는, 플레이트부(51)로부터 상향으로 향하여 돌출된 대략 원주형상을 구비하고, 그 상단면(64)은 본체 지지부(56)의 상면(61)과 대략 같은 높이 위치로 위치한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리 지지부(58,58)는, 상단면(64)으로부터 플레이트부(51)를 향하여 진행함에 따라 직경 치수가 약간 커진다. 그리고, 다리 지지부(58)의 상단면(64)에는, 본체 지지부(56,56)의 외향으로 연장된 보유부(28)의 연장 부분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26)는, 본체 지지부(56,56)의 상면(61,61)에 의해서, 보유부(28)의 베이스 단부(60)에서 지지되고, 다리 지지부(58,58)의 상단면(64,64)에 의해서, 보유부(28)의 연장부분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 지지부(56,56) 및 다리 지지부(58,58)는 지지부 를 구성하고; 상면(61,61) 및 상단면(64,64)이 지지부의 돌출 선단면을 구성하고; 안과용 렌즈(26)는, 광학 영역(25)을 벗어난 영역에서 지지된다.
또한, 도 5에 모델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면(30)에는, 본체 지지부(56,56)의 상면 형상보다 약간 큰 대략 상사(approximating) 형상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표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제공된 관통 구멍(66,66)이 형성되고; 및 다리 지지부(58,58)의 상면 형상보다 약간 큰 대략 상사 형상을 갖고 두께 방향으로 표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제공된 관통 구멍(68,68)이 형성된다.
그리고, 운반 부재(50)가 스테이지(20)의 배치면(30)의 하측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본체 지지부(56) 및 다리 지지부(58)는 배치면(30)의 후방측으로부터, 관통 구멍(66,68)을 각각 통과한다. 그리고, 본체 지지부(56) 및 다리 지지부(58)는, 그때 통과하여 관통 구멍(66,68) 안으로 상향으로 가압된다. 본체 지지부(56) 및 다리 지지부(58)는 상면에서 저면을 향하여 점차로 치수가 커지기 때문에, 운반 부재(50)는 관통 구멍(66,68)의 복원력 및 서로의 요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배치면(30)의 후방측에 고정된다. 또한, 본체 지지부(56) 및 다리 지지부(58)의 상향으로의 밀어넣는 크기는, 위치 결정 플레이트부(52)가 배치면(30)의 이면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된다. 또, 운반 부재(50)에는 고리 후크 등의 빠짐 방지 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지지부(56)의 상면(61) 및 다리 지지부(58)의 상단면(64)의 높이 위치는, 후술하는 삽입 튜브부의 베이스 단부로서의 도입부(78)의, 최대폭 치수 위치[도입부(78)의 높이 치수의 중간 위치보다 약간 아래 쪽의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배치면(30)의 상측으로 돌출된 본체 지지부(56,56)의 상면(61,61) 및 다리 지지부(58,58)의 상단면(64.64)에는 안과용 렌즈(26)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과용 렌즈(26)는 배치면(30)으로부터 소정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고, 광학 영역(25)을 포함하는 렌즈 전체가 배치면(30)과 접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과용 렌즈(26)는 보유부(28,28)에서만 운반 부재(50)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렌즈가 운반 부재(50)에서 운반되는 상태에서, 본체부(27)가 운반 부재(50) 또는 배치면(30)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운반 부재(50)를 생략하여 도시한다.
또한, 삽입 튜브부로서의 노즐부(70)가 스테이지(20)의 전방에 대한 기구 본체(12)의 축방향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노즐부(70)는, 기구 본체(12)의 베이스 단부로부터 연장 방향의 선단부를 향하여 진행함에 따라 점차로 작아지는 외형 형상을 갖고; 연장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통과하는 관통 구멍(72)을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72)은, 기구 본체(12)측의 스테이지(20)를 향하여 개방된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에서 스테이지(20)와 접속함으로써 스테이지(20)와 연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는, 전체적으로, 저면(76)이 평탄면으로 되고, 상면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된 평탄한 대략 타원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저면(76)이 스테이지(20)의 배치면(30)과 단차없게 접속된다. 또한,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는, 저면(76)으로부터 약간 상방의 영역에서 최대폭 치수를 구비하게 형성되고,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의 최대 폭 치수는, 배치면(30)의 폭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관통 구멍(72)에는,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로부터 선단측으로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도입부(78)가 형성된다. 도입부(78)에 있어서는, 저면(76)의 폭 치수가 선단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좌우 양면의 횡단면 형상의 곡률이 점차 크게 되고, 그 높이 치수가 작아진다. 또, 이러한 도입부(78)의 저면(76)은,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상향으로 점차 경사진다. 한편, 관통 구멍(72)의 상면(80)의 높이 위치는, 대략 일정하다. 따라서, 도입부(78)는,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도입부(80)에서, 저면(76)이 상면(80)에 접근하게 되고, 그 폭 치수가 점차로 작아진다.
또한, 관통 구멍(72)의 도입부(78) 및 선단 개구부(86) 사이에는, 선단 개구부(86)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차로 작아지는 직경 축소부(88)가 형성된다. 직경 축소부(88)는, 좌우 양면의 횡단면 형상이 선단을 향하여 대략 원호 형상으로 변형되고, 상면(80) 및 저면(76)의 폭 치수가 점차로 작아진다. 또, 직경 축소부(88)의 상면(80)의 평탄부와 저면(76)의 평탄부를 분리하는 높이 방향의 거리, 즉, 직경 축소부(88)의 높이 치수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선단 개구부(86)는, 상하면에 평탄부를 갖고, 상하 양면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접속된 대략 타원 형상이다.
또한, 도입부(78)의 저면(76)의 폭방향 중심부에는, 약간 상향으로 돌출하고 기구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도입 돌출부(90)가 형성된다. 상기 도입 돌출부(90)는, 도입부(78)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축소부(88)의 후단부에 달하는 길이 치수를 구비한다. 또한, 도입 돌출부(90)에서, 도입부(78)의 저 면(76)은 축방향 전방으로 점차 높게 되고, 그에 의해서 직경 축소부(88)의 후단부에서, 저면(76)과 같은 높이 위치로 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기구 본체(12)는, 본체 튜브부(16), 스테이지(20), 덮개부(32),및 노즐부(70)가 일체로 형성되고, 단일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또, 기구 본체(12)는 광투과성을 갖는 부재로 제조되므로, 스테이지(20)가 덮개부(32)로 커버된 상태에 있어서도, 덮개부(32)를 통해서, 기구 본체(12)에 수용된 안과용 렌즈(26)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압출 부재로서의 플런저(14)가 상기 구조를 갖는 기구 본체(12)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관통 구멍(15)에 삽입 통과된다. 도 9에는, 플런저(14)가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14)는, 기구 본체(12)의 축방향 길이 치수보다 약간 큰 축방향 길이 치수를 갖는 대략 로드형의 부재이고, 대략 편탄한 형상의 일체로 형성된 작용부(92)와, 대략 직사각형 로드 형상의 통과부(94)를 포함한다.
작용부(92)는, 플런저(14)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형 부(96)와, 로드형 부(96)로부터 폭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얇은 플레이트 형태의 평탄부(98)를 포함한다. 평탄부(98)는, 로드형 부(96)의 베이스 단부로부터 통과부(94)와 대략 같은 폭 치수를 갖는 선단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로드형 부(96)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으로부터, 로드형 부(96)의 선단부로부터 약간 후방의 영역을 향하여 폭 치수가 점차 작아지는 첨예부(10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첨예부(100)의 상면 형상은, 노즐부(70)의 직경 축소부(88) 및 도입부(78)의 수평방향의 단면 형상에 따르는 윤곽을 갖는다.
또한, 로드형 부(96)의 선단 에지에는, 선단방향으로 향하여 약 Y자형으로 분기하는 한 쌍의 분기부(102,l02)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고무 등의 변형 용이한 탄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의 튜브(104)가 대략 루프 형상으로 만곡되고, 그 양 단부가 분기부(102,102)의 외측에 대해서 부착된다. 튜브(104)는 플런저(14)의 선단 에지에서, 상면이 대략 루프 형상으로 부착된다. 튜브(104)는 양 단부만이 분기부(102,102)의 외측에서 미끄러지므로, 플런저(14)의 선단에 위치되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분은 용이하게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튜브(104)는 변형 부재를 구성한다.
한편, 통과부(94)는 관통 구멍(15)의 길이 치수보다도 약간 큰 길이 치수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과부(94)는 대략 전체가 H 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으로 되고, 그 폭 치수 및 높이 치수가 관통 구멍(15)의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보다도 약간 작다. 또한, 통과부(94)의 후단 에지에는, 축 수직 방향으로 넓어지는 원판 형상의 가압 플레이트부(106)가 형성된다.
또한, 통과부(94)에는, 보유 수단으로 제공된 고리 후크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 후크부(108)는 통과부(94)의 축-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10)내에 돌출하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관통 구멍(110) 안으로 돌출하는 선단부에는, 통과부(94)의 외측(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고리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플런저(14)가 본체 튜브부(16)를 통해서 삽입하여 통과된 상태로, 고리 돌출부(112)가 본체 튜브부(16)를 통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고리 구멍(114)에 체결됨으로써, 플런저(14)를 본체 튜브부(16)에 대해 서 위치결정한다. 또한, 고리 돌출부(112) 및 고리 구멍(114)의 형성 위치는, 결합 상태에서, 튜브(104)의 선단 부분이 관통 구멍(15)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고, 스테이지(20)까지 짧은 거리의 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리 돌출부(112) 및 고리 구멍(114)은 삽입 기구(10)의 상면에 위치되지만, 예를 들면, 대신에 하면이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10)는, 우선, 플런저(14)의 선단부분이 기구 본체(12)의 후방으로 삽입되고, 초기 위치(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운반 부재(5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20)의 하측으로부터 기구 본체(12)에 장착된다. 운반 부재(50)의 본체 지지부(56,56) 및 다리 지지부(58,58)가 그에 의해서 배치면(3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본체 지지부(56,56)의 상면(61,61) 및 다리 지지부(58,58)의 상단면(64,64)에는, 안과용 렌즈(26)가 배치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굴곡부(36)가 굴곡되고, 덮개부(32)에 의해서 스테이지(20)의 개구부(29)가 커버되므로, 안과용 렌즈(26)가 기구 본체(12) 내에 수용 상태로 세트된다. 또, 덮개부(32)는 고리 노치(48)의 고리 부재(44)의 결합을 통해서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덮개부(32)를 폐쇄 상태에 배치함으로써,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 및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가 배치면(30)을 향하여 돌출된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의 돌출 선단부의 높이 위치는, 기구 본체(12)의 축방향 투영으로 볼 때,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의 상면(80)의 좌우 부분의 높이 위치와 대략 같게 설정된다. 또한,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의 돌출 선단부의 높이 위치는, 기구 본체(12)의 축방향 투영으로 볼 때,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의 상면(80)의 높이 위치와 대략 같게 된다.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 40b)의 돌출 선단부는, 축방향 투영으로 볼 때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를 따라서 경사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기구 본체(12) 내에 수용된 안과용 렌즈(26)가 과대한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또, 플런저(14)는, 안과용 렌즈(26)를 운반 부재(50) 상에 배치한 후 또는, 덮개부(32)를 폐쇄한 후에 기구 본체(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안과용 렌즈(26)가 삽입 기구(10)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0)는, 안과용 렌즈(26)를 내부 수용한 상태로 살균 처리 등이 이루어진 후에, 포장되어 배송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O)를 사용하여 안과용 렌즈(26)를 눈 안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운반 부재(50)를 본체 튜브부(16)로부터 하향으로 뽑아, 본체 튜브부(16)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안과용 렌즈(26)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부(56,56) 및 다리 지지부(58,58)가 배치면(30) 위에서 하향으로 빠져서, 안과용 렌즈(26)가 배치면(30)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0)에 있어서는, 배치면(30)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므로, 안과용 렌즈(26)를 안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오목형 홈(22)의 폭 치수가 운반 부재(50)에 배치된 상태의 안과용 렌즈(26)의 폭 치수와 대략 같으므로, 배치면(30)에 배치한 상태의 안과용 렌즈(26)의 원주방향의 회전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계속해서, 눈조직에 설치한 절개창을 통해서 노즐부(7O)의 선단부분을 삽입한 상태에서, 플런저(14)의 가압 플레이트부(106)를 기구 본체(12) 측으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런저(14)의 튜브(104)가 배치면(30)에 배치된 안과용 렌즈(26)의 보유부(28)에 접촉하여서, 안과용 렌즈(26)를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를 향하여 안내한다.
또, 안과용 렌즈(26)의 압출 전에, 필요할 때, 윤활제를 스테이지(20) 또는 노즐부(70)의 내부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32)를 통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윤활제 주입 구멍으로 제공된 주입구멍(116)이 형성되고, 이러한 주입구멍(116)을 통하여, 덮개부(32)를 폐쇄한 상태로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의 주입은, 예를 들면, 노즐부(70)의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를 통해서 주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부(32)를 열어, 스테이지(20)의 개구부(29)로부터 주입하거나 또는, 플런저(14)를 일단 기구 본체(12)로부터 후퇴시켜, 관통 구멍(15)의 후단부에서 개구부로부터 주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런저(14)의 선단부분에 변형 용이한 튜브(104)가 설치된다. 따라서, 스테이지(20)에 주입된 윤활제에 효과적으로 압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압력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26)의 압출이 가능하게 되고, 연약한 보유부(28,28)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로부터 도입부(78) 안으로 안내된 안과용 렌즈(26)는, 본체부(27)의 폭방향 중심부분이 도입 돌출부(90)가 접촉하기 때문에, 본체부(27)가 상향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만곡 변형된다. 도입부(78) 내에 배치된 안과용 렌즈(26)는, 관통 구멍(72)의 형상을 따라 초기 변형되고, 직경 축소부(88) 안으로 가압된다.
플런저(14)를 더욱 압출시킴으로써, 안과용 렌즈(26)는, 직경 축소부(88)를 통해서 선단방향으로 안내되고, 더욱 작게 변형된 후에, 선단 개구부(86)를 통해서 삽입 기구(1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져서, 눈 안에 삽입된다. 또, 본 실시예의 플런저(14)는 기구 본체(12) 안으로 압출된 크기는 관통 구멍(72)에 의해서 수용되는 첨예부(100)의 선단 부분을 통해서 제한되고, 최대 압출 스트로크의 위치에서, 튜브(104)가 선단 개구부(86)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삽입 기구(10)에는, 안과용 렌즈(26)를 운반 부재(50)에 배치시킴으로써, 안과용 렌즈(26)를 기구 내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안정하게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 영역(25)을 포함하는 본체부(27)를 변형시키지 않고 렌즈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시간에 걸쳐 광학 영역(25)이 만곡 변형될 가능성도 감소되고, 삽입 기구(10)내에 안과용 렌즈(26)를 장시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삽입 기구(10) 내에 안과용 렌즈(26)를 수용한 상태에서 포장 또는 보관이 가능해지므로, 시술시에 안과용 렌즈를 삽입 기구 내에 수용할 때 동봉되는 불편함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렌즈를 운반 부재(50)에 배치한 상태에서, 본체부(27)가 운반 부재(50) 또는 배치면(30) 등의 다른 부재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되고, 따라서 본체부(27)를 손상시킬 가능성도 감소된다. 또한, 덮개부(32)에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를 설치함으로써, 운반 부 재(50)에 배치된 안과용 렌즈(26)의 상향으로의 과대한 변위를 제한하므로, 수송 시의 진동 등에 기인하여 안과용 렌즈(26)가 운반 부재(50)로부터 떨어질 가능성도 감소되므로, 삽입 기구(10) 내에서 수용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O)를 사용하는 동안, 운반 부재(50)를 분리하는 등의 대단히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안과용 렌즈(26)를 배치면(30) 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덮개부(32)에 의해서 스테이지(20)를 커버한 상태로 안과용 렌즈(26)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안과용 렌즈(26)의 떨어짐의 가능성도 방지되고; 안과용 렌즈(26)의 외부와의 접촉도 감소되므로, 위생 관점에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0)에 있어서는, 안과용 렌즈(26)를 밀어낼 때,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 및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에 의하여 안과용 렌즈(26)의 상향 변위량이 제한되므로, 안과용 렌즈(26)를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로 안정하게 안내할 수 있어, 걸림 등에 기인하는 안과용 렌즈(26)의 손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단부의 개구부(74)로부터 도입부(78)로 안내된 안과용 렌즈(26)를 도입 돌출부(90)에 접촉시킴으로써, 안과용 렌즈(26)에 안정한 초기변형을 부여할 수 있고, 노즐부(70)에 배치되도록 안과용 렌즈(26)를 안정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삽입 기구(10)에 있어서는, 플런저(14)의 선단부에 튜브(104)가 설치되어서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안과용 렌즈(26)가 밀쳐질 때, 안과용 렌즈(26)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밀쳐질 때 안과용 렌즈(26)의 손상이나 파손의 가능성도 감소된다. 더욱,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튜브(104)가 대략 루프 형상으로 되므로, 스테이지(20)의 수평의 긴 횡단면에서 노즐부(70)까지의 단면 형상의 변화에도 유리하게 대응하여 적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런저(14)의 선단 형상은, 스테이지(20) 및 노즐부(70)안으로 윤활제를 주입시키면 더욱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즉, 튜브(104)가 변형 용이한 대략 루프 형상으로 될 때, 윤활제에 작용하는 압력을 사용하여 안과용 렌즈(26)를 밀어낼 수 있어서, 연약한 보유부(28)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욱, 플런저(14)는 스테이지(20)로부터 노즐부(70)에 달하는 영역의 단면 형상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제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압력을 미치게 할 수 있고, 안과용 렌즈(26)를 보다 안정하게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상술하였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은 부재 및 영역에 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운반 부재 및 운반부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운반 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부재(120)를 도시한다. 운반 부재(120)는, 대략 직사각형 플레이트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부(122)가 상향으 로 돌출하여 플레이트부(122)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정합 플레이트부(124,124)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술한 운반 부재(50)와 대략 유사하다.
그리고, 운반 부재(120)에는, 정합 플레이트부(124,124)의 각각으로부터, 약1/4 원주의 원호상의 상면 형상을 갖는 대향하는 정합 플레이트부(124,124)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로서의 본체 지지부(126,126)가 형성된다. 더욱, 각 본체 지지부(126)의 돌출 선단면을 구성하는 상면(127)의 원주방향의 외부 에지측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외측 돌출 부재(128a)가 형성된다. 상향으로 돌출하는 내측 돌출 부재(128b)는 외측 돌출 부재(128a)에서 소정거리 만큼 원주방향의 내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 지지부(126,126)의 외측에는, 플레이트부(122)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지지부로서의 다리 지지부(130,1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리 지지부(130)는, 정합 플레이트부(124)로 안내되는 본체 지지부(126)의 대향 돌출 선단부에 대해서, 정합 플레이트부(124)의 축방향으로 본체 지지부(126)의 약간 외측에 위치한다. 한 쌍의 다리 지지부(130,130)는 정합 플레이트부(124)의 연장 방향으로 약간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다리 지지부(130)의 돌출 선단면을 구성하는 상단면(132)의 윤곽은 정합 플레이트부(124)의 연장 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직사각형이다.
상술한 운반 부재(5O)와 같이 상기 구조로 된 운반 부재(120)는, 배치면(30)의 후방측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시는 생략하지만, 배치면(30)에는, 본 실시예의 본체 지지부(126,126) 및 다리 지지부(130,130)의 상면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 구멍에 의해서 관통된다. 또한, 본체 지지부(126) 및 다리 지지부(130)는 저면을 향하여 점차로 약간 크게 형성된다. 이로써, 운반 부재(120)는 배치면(30)에 형성된 관통 구멍 안으로 본체 지지부(126) 및 다리 지지부(130)를 밀어냄으로써 배치면(30)의 후방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운반 부재(120)에서 안과용 렌즈(26)를 배치시키는 동안, 보유부(28)의 베이스 단부(60)가 본체 지지부(126)의 상면(127)에 배치되어 안착되며, 보유부(28)의 외향 연장부는 외측 돌출 부재(128a)와 내측 돌출 부재(128b)의 대향면 사이에서 본체 지지부(126)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서, 다리 지지부(130)의 상단면(132) 상에 배치되어 안착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안과용 렌즈(26)는 원주방향의 회전이 저지되면서, 본체부(27)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라서, 안과용 렌즈(26)와 운반 부재(120)의 접촉 면적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손상의 가능성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운반 부재(50,120)의 다리 지지부(58,130)는, 보유부(28)에 대하여 각각 부분적으로 접촉되므로, 서로의 접촉 면적이 작게 되기 때문에, 접촉에 기인하는 손상의 가능성이 감소된다. 그러나, 다리 지지부는 반드시 이것들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유부(28)의 윤곽을 따라 연장하여, 보유부(28)의 대략 전체를 지지한다.
또한, 압출 부재의 구체적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압출 부재를 몇가지 예시한다. 예를 들면, 도 11은 압출 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플런저(140)의 선단 부분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플런저(140)는, 상술한 플런저(14)의 튜브(104)의 구체적 형상과 다르다. 플런저(140)의 변형 부재로서의 튜브(142)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변형 용이한 탄성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중공의 원통 형상이고, 길이 방향의 2개 위치에서 굴곡되어서, 상면이 대략 삼각형이 된다. 튜브(142)의 양 단부는, 분기부(102,102)의 외측 주위에서 부착되어 미끄러진다. 플런저(140)의 선단 부분은, 두개의 분기부(102,102)와 튜브(142)에 의해서, 상면이 삼각형으로 되고, 플런저(140)의 선단 에지에 위치하고 기구 본체(12)의 축방향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선형부(144)가 튜브(142)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선형부(144)의 폭 치수는, 오목형 홈(22)의 폭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선형부(144), 즉, 플런저(140)의 선단 에지를, 오목형 홈(22)의 폭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오목형 홈(22)의 내부가 윤활제 등으로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목형 홈(22)의 폭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대략 한결같이 압출 방향으로 압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안과용 렌즈(26)의 압출을 보다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플런저(14)와 같이, 선형부(144)가 용이하게 변형되므로, 안과용 렌즈(26)에 대하여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도 12는 압출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50)의 선단 부분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플런저(150)의 선단 부분에는, 변형 부재로서의 작용부 재(152)가 설치된다. 작용부재(152)는, 전단 에지(154)의 폭 치수가 오목형 홈(22)의 폭 치수와 대략 같게 되어 있는 한편, 후단 에지(156)의 폭 치수는, 분기부(102,102)의 플런저(150)의 축방향의 중간위치에서의 이격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작용부재(152)는, 후단 에지(156)에 가까운 영역의 측부 에지가 분기부(102,102) 사이에 끼어지는 방식으로, 플런저(150)의 선단부분에 위치된다. 또, 작용부재(152)는, 분기부(102,102)에 대하여 접착제 등으로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비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작용부재(152)의 전단 에지(154)는, 분기부(102,102)의 전방 에지 부분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또한, 후단 에지(156)와 분기부(102,102)의 베이스 단부(158) 사이에는 적당한 갭이 형성된다. 또, 작용부재(152)는, 예를 들면 고무나 실리콘 등의 변형 용이한 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오목형 홈(22)의 폭방향의 전체에 걸쳐 대략 안정된 방식으로 가압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또, 도 13 및 도 14는 압출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 부재(170)의 선단부의 상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플런저(170)는, 로드형 부(96)의 선단부에, 상향으로 개방되는 노치(172)가 형성된다. 로드형 부(96)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대략 로드 형상이다. 그리고, 로드형 부(96)의 선단 에지(173)로부터 축방향으로 약간 후방의 위치로부터, 축방향의 소정 치수에 걸치고, 로드형 부(96)의 폭방향의 전체에 노치(17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행함으로써, 로드형 부(96)의 선단부는, 대략 직각의 3각형(three sided polygon)인 축방향 횡단면을 가지며, 노치(172)가 형성된 영역이 축 수직방향의 단 면에서 약 반원 형상을 가진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치 (172)의 축방향 후방 단부 에지를 구성하는 후단 벽부(174)는, 로드형 부(96)의 축 수직방향에 대해서 약간 경사되고, 후단 벽부(174)의 경사가, 축방향으로 대향하게 위치하는 안과용 렌즈(26)의 외주 에지의 경사와 대략 동일하다. 또, 노치(172)의 축방향 치수는, 적어도 안과용 렌즈(26)의 보유부(28)의 연장 부분의 폭 치수보다 크다. 또한, 로드형 부(96)의 폭방향 중간부분에는, 상향으로 돌출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방 돌출부(175)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플런저(170)는, 안과용 렌즈(26)의 압출 동안, 보유부(28)가 노치(172)에 위치한 상태로, 플런저(170)의 선단 에지(173)가 본체부(27)의 주위 에지에 접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플런저(170)의 압출력이 연약한 보유부(28)에 미치게 되고 보유부(28)를 손상시키는 것이 회피된다. 플런저(170)의 압출력을 본체부(27)에 미치게 할 수 있고, 안과용 렌즈(26)를 안정하게 밀어낼 수 있다. 더욱, 안과용 렌즈(26)가 관통 구멍(72) 내에 안내된 경우에도, 관통 구멍(72)의 내주면[상면(80)]과 노치(172) 사이에 소정의 갭이 형성되고, 이러한 갭내에 보유부(28)가 위치되므로, 관통 구멍(72)의 내주면과 플런저(170) 사이에서 보유부(28)가 끼어서 손상될 가능성이 효과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단 벽부(174)의 경사가, 보유부(28)의 경사와 대략 같게 되므로, 보유부(28)가 후단 벽부(174)에 접촉해도, 보유부(28)는 렌즈가 눈 안에 배치될 때와 유사한 방식으로 본체부(27)를 향하는 방향의 작용력이 미치게 됨으로써, 보유부(28)에 대하여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힘을 미쳐서 변형시키거나, 손상시킬 가능 성도 감소된다.
또한, 도 15는 압출 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180)의 선단부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플런저(180)는, 로드형 부(96)의 선단 에지의 폭방향 양 단부에, 축방향의 소정 치수의 노치(182a, 182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로드형 부(96)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대략 로드 형상이고, 상하 단부에서 선형부(184)를 갖는 대략 일정한 대략 타원형으로 된다. 그리고, 로드형 부(96)의 폭방향 양 단부에는, 선단 에지에서 축방향의 후방으로 소정 치수의 노치 영역이 형성되고, 그에 의해서 로드형 부(96)의 양 폭방향 단부에 노치(182a,182b)를 형성하며, 노치(182a,182b) 사이에 작용부(186)를 형성한다. 또, 노치(182a,182b)의 축 수직방향의 치수는, 로드형 부(96)의 폭 치수의 약 1/4정도로 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용부(186)의 선단 에지(188)는, 상면에서 볼 때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보유부(28)의 베이스 단부(60)의 외주 에지의 경사와 대략 같게 기울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된 플런저(180)는, 안과용 렌즈(26)의 압출 동안, 선단 에지(188)가 안과용 렌즈(26)의 베이스 단부(60)의 외주 에지와 접촉한다. 그리고, 플런저(180)가 더욱 내향으로 밀어 넣어짐에 따라, 안과용 렌즈(26)는 도입 돌출부(90)에 의해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되고, 관통 구멍(72) 내로 가압된다. 플런저(180) 측에 위치하는 보유부(28)도, 관통 구멍(72)의 내주면에 대략 따르도록 변형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플런저(180)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72)의 내주면과 노치(182a,182b) 사이에 갭이 형성되고, 보유부(28)의 베이스 단부(60) 및 베 이스 단부(60)에 근접한 연장 부분이 이러한 갭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보유부(28)가 관통 구멍(72)의 내주면과 플런저(180) 사이에 끼어서 손상될 가능성도 감소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단 에지(188)가 베이스 단부(60)의 외주 에지의 형상을 따라 경사되므로, 선단 에지(188)의 베이스 단부(60)에 대하는 점접촉을 가급적으로 회피하여, 보유부(28)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덮개부에 설치되는 안내 돌출부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해서도,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일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가 덮개부(32)의 폭방향 중심을 걸쳐 연장되고, 그것들의 양측에 한 쌍의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가 형성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중심 안내 플레이트부(42) 대신에, 덮개부(32)의 폭방향 중심의 양측의 한 쌍의 안내 플레이트부를 형성하여, 좌우 안내 플레이트부(40a,40b)를 포함하여, 전체 4개의 안내 플레이트부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입 돌출부(90)는, 도입부(78)는 도입부(78)의 저면(76)의 폭방향 중심부에 단일 밴드로 형성되지만, 도입 돌출부의 수는 반드시 하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도입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복수의 도입 돌출부를 구비한 기구 본체의 예로서, 도 16 내지 도 19는 다른 실시예의 기구 본체(190)를 도시한다. 기구 본체(190)는, 서두에 상술한 기구 본체(12)와 대략 같은 형상으로 되고, 상술한 기구 본체(12)에 비하여, 도입부(78)의 저면(76)의 폭방향 중심 부분에는 한 쌍의 도입 돌출부(192a,192b)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 도 16 및 도 19에 있어서는, 기구 본체(190) 안으로 압출 부재로서 상술한 플런저(180)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압출 부재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의 플런저(14,140,150,170)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6, 도 17 및 도 19에 있어서는, 안과용 렌즈(26)를 생략하고, 운반 부재(12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에 있어서는, 덮개부(32)를 생략하여 도시한다.
기구 본체(190)의 도입 돌출부(192a,192b)는 도입부(78)의 저면(76)으로부터 약간 상향으로 돌출되고, 기구 본체(190)의 축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들 도입 돌출부(192a,192b)의 축방향 치수 즉, 길이 방향 치수는 도입부(78)의 후단부에서, 직경 축소부(88)의 전단부까지 연장된다. 또, 저면(76)이 직경 축소부(88)에서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점차로 높게 되므로, 도입 돌출부(192a,192b)는 직경 축소부(88)의 전단부에서 저면(76)과 같은 높이 위치가 된다.
상기 도입 돌출부(192a,192b)는 저면(76)의 폭방향의 중심의 양측에 배치되어서, 기구 본체(190)의 축 수직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도입 돌출부(192a,192b)의 이격거리는, 압출 부재의 선단부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가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9의 모델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 돌출부의 이격거리는 플런저(180)의 작용부(186)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크므로, 도입 돌출부(192a,192b)와 로드형 부(96) 사이에는 작은 갭이 생긴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2)의 대향면(38)의 폭방향 중심부에는, 기구 본체(19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안내 돌출부(194)가 일체로 형성된다. 중심 안내 돌출부(194)의 돌출 치수는, 대향면(38)의 전체 주위로 연장되는 두꺼운 외주 에지의 돌출 치수보다 약간 크다. 또한, 이는 덮개부(32)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빔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한 쌍의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가 대향면(38)의 외주 에지와 중심 안내 돌출부(194)의 접속 영역의 덮개부(32)의 후단부측에 형성된다.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는, 덮개부(38)와 일체로 형성되고 대향면(38)의 두꺼운 외주 에지에서 돌출된다. 대향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플런저(180)의 로드형 부(96)의 직경 치수보다 약간 작다. 더욱,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는 대략 삼각 단면 형상을 갖고, 돌출 선단부가 둥글게 형성된다.
또, 특히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주입구멍(116,116) 및 한 쌍의 접촉 돌출부(198,198)가 덮개부(32)에서 중심 안내 돌출부(194)의 양 측에 대해 형성되고, 각각 덮개부(32)의 경사 방향으로 대향하게 위치한다. 접촉 돌출부(198,198)는, 대향면(38)으로부터 돌출되고 덮개부(32)와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 선단의 높이 위치가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의 돌출 선단과 대략 동일하다. 그리고, 접촉돌출부(198,198)는, 덮개부(32)를 폐쇄한 상태로, 운반 부재(120)에서 지지된 안과용 렌즈(26)의 보유부(28,28)의 위에 각각 위치되고, 안과용 렌즈(26)가 상향으로 변위될 때에 접촉됨으로써, 안과용 렌즈(26)의 상향으로의 과대 변위를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구조로 된 기구 본체(190)의 덮개부(32)가 폐쇄될 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안내 돌출부(194) 및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가 플런저(180) 위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중심 안내 돌출부(194)와 배치면(30)의 이격 거리는 플런저(180)의 로드형 부(96)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이로써 플런저(180)의 변위를 수직 방향으로 제한한다. 더욱,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가 로드형 부(96)의 상방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플런저(180)의 좌우 방향의 변위도 역시 제한된다. 따라서, 플런저(180)의 압출 동안에는, 플런저(180)의 경사 방향의 과대 변위는 중심 안내 돌출부(194)와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에 의해서 제한되므로, 플런저(180)를 축방향으로 안정한 방식으로 밀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심 안내 돌출부(194) 및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에 의해서, 압출 부재의 안내부가 구성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가 덮개부(32)의 축방향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부(32)를 폐쇄할 때, 압출 앞의 위치에 위치한 플런저(180)는 압출 이전 스테이지에서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플런저(180)를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에 걸리지 않고, 압출의 초기의 스테이지에서 축방향으로 매끄럽게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안과용 렌즈(26)가 플런저(180)에 의하여 가압될 때 , 안과용 렌즈(26)의 중심부 부근에 도입 돌출부(192a,192b)가 접촉된다. 안과용 렌즈(26)에 초기 변형을 부여하여, 관통 구멍(72)내에 밀어넣을 수 있다. 동시에, 압출 동작 동안 발생하는 안과용 렌즈(26)와 관통 구멍(72) 사이의 마찰 저항 또는 걸림 등에 기인하여, 플런저(180)의 작용부(186) 또는 로드형 부(96)가 기구 본체(190)의 축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변위된 경우에는, 작용부(186) 또는 로드형 부(96)가 도입 돌출부(192a 또는192b)에 접촉됨으로써, 플런저(180)의 경사 방향으로의 과대한 변위를 방지한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입 돌출부(192a,192b)와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가 스테이지(20)의 양측에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플런저(180)의 수평 방향의 과대 변위를 스테이지(20)의 양측으로 제한할 수 있다. 중심 안내 돌출부(194)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플런저(180)의 수직 방향의 과대 변위를 스테이지(20)의 축방향의 전체에 걸쳐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지(20)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플런저(180)의 위치를 안정시키킬 수 있고, 압출 동작을 더욱 안정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압출 부재 안내부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의 형상이 적당히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중심 안내 돌출부(194)는, 축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를 덮개부(32)의 축방향 전방이나 축방향 중간부분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실시예의 좌우 안내 돌출부(196a,196b)를 축방향 전방으로 연장하여서, 덮개부(32)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구성은 덮개부(32)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형 홈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러한 오목형 홈의 양 단부가 실질적으로 돌출부를 구성하고, 이러한 돌출부에 의해서 압출 부재를 안내할 수 있으며, 또는 압출 부재에 오목형 홈을 형성하고, 덮개부(32)에 상기 오목형 홈과 정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들 오목형 홈 및 돌출부에 의해서 안내작용을 통하여 압출 부재를 안내할 수 있다.
기타, 일일이 열거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수정, 개량 등을 통해서 얻어진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7)

  1. 광학 영역을 갖는 본체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을 눈 안에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부분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보유부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를 동봉 상태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통형상을 갖는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축방향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된 압출 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안과용 렌즈를 축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작게 변형하여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 선단부에 설치된 삽입 튜브부를 통하여 밀어냄으로써 눈 안에 삽입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삽입 튜브부의 베이스 단부와 연통하는 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과용 렌즈의 배치를 위한 배치면이 상기 배치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삽입 구멍이 배치면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배치면에 형성되며; 운반 부재가 외측으로부터 배치면 형성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운반 부재로부터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상기 삽입 구멍을 통과하여 배열되어서 상기 배치면에서 돌출하고, 상기 안과용 렌즈가 상기 지지부의 돌출 선단면에서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의 돌출 선단면이 상기 본체 부분의 광학 영역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안과용 렌즈와 접촉하고, 상기 본체 부분의 외주 에지와 상기 보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지지부의 돌출 선단면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돌출 높이 치수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상기 안과용 렌즈의 상기 광학 영역이 상기 배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향 돌출하며, 상기 안과용 렌즈를 상향으로 볼록해지도록 변형시키도록 구성된 돌출 도입부가 상기 삽입 튜브부의 베이스 단부의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돌출부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한 쌍으로 제공하고, 상기 한 쌍의 도입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압출 부재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외측에 개방된 개구부가 상기 배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덮개부가 상기 기구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부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삽입 튜브부의 베이스 단부의 내주면과 같은 높이 위치에 돌출하는 안내 돌출부가 상기 배치면의 대향면의 덮개부에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압출 부재 안내부가 상기 덮개부에서의 상기 배치부와의 대향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윤활제를 주입가능하게 하는 윤활제 주입구멍이 상기 덮개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를 상기 기구 본체의 축방향으로 상기 배치부의 후방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보유하는 보유 수단을 구비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 에지는 상기 안과용 렌즈에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변형 용이한 변형 부재를 구비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Y자형으로 분기된 한 쌍의 분기부(branched part)가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 에지에 형성되고; 중공원통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는 굽혀지고 상기 탄성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분기부의 외측에 체결됨으로써, 루프 형상을 갖는 상기 변형 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에 노치가 형성되어서 상기 삽입 튜브부의 내주면과 상기 압출 부재 사이에 소정의 갭을 형성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는 로드 형상을 갖고; 상기 노치는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 에지에서 후방의 영역을 소정의 축방향 길이 치수를 따라 상기 선단부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부재의 선단부는 로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선단부의 폭방향 양 단부를 선단 에지에서 축방향의 소정 치수를 따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안과용 렌즈의 보유부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 및 베이스 단부들을 각각 지지하도록, 운반 부재의 각 위치에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구멍은 상기 독립적으로 형성된 지지부들이 상기 삽입 구멍들을 통해서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면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삽입 구멍들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부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들은 위치결정 돌출부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안과용 렌즈들의 보유부들이 위치결정 돌출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KR1020097004478A 2006-09-05 2007-08-08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KR101418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39870 2006-09-05
JP2006239870A JP4908977B2 (ja) 2006-09-05 2006-09-05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PCT/JP2007/000851 WO2008029498A1 (ja) 2006-09-05 2007-08-08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915A KR20090046915A (ko) 2009-05-11
KR101418269B1 true KR101418269B1 (ko) 2014-07-11

Family

ID=3915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478A KR101418269B1 (ko) 2006-09-05 2007-08-08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23804B2 (ko)
EP (1) EP2072025A4 (ko)
JP (1) JP4908977B2 (ko)
KR (1) KR101418269B1 (ko)
CN (1) CN101511309B (ko)
HK (1) HK1137640A1 (ko)
WO (1) WO20080294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56B1 (ko) 2023-08-25 2024-01-30 최원석 안구 내 렌즈 삽입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5288B2 (en) * 2006-09-22 2013-05-07 Lenstec Barbad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shipping and injecting ocular devices
US8668734B2 (en) * 2010-07-09 2014-03-11 Powervision, Inc. Intraocular lens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of use
JP5096132B2 (ja) * 2007-12-28 2012-12-12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5189356B2 (ja) * 2007-12-28 2013-04-24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5301942B2 (ja) * 2008-10-17 2013-09-2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PL2368526T3 (pl) * 2008-12-01 2019-07-31 Kowa Company Ltd. Narzędzie do wkładania soczewki wewnątrzgałkowej
JP5501658B2 (ja) * 2009-05-29 2014-05-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5627861B2 (ja) * 2009-05-29 2014-11-19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5412526B2 (ja) * 2009-11-17 2014-02-12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EP2332494A1 (de) * 2009-12-09 2011-06-15 Neoptics AG Applikator zur Einführung von Linsen
JP5697962B2 (ja) * 2010-12-14 2015-04-08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CN103491907B (zh) * 2011-04-28 2015-07-22 株式会社尼德克 眼内晶体植入器具
JP5807395B2 (ja) * 2011-05-31 2015-11-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5807394B2 (ja) * 2011-05-31 2015-11-1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WO2013038689A1 (ja) * 2011-09-15 2013-03-21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ES2725562T3 (es) 2011-09-15 2019-09-24 Kowa Co Herramienta de inserción de lente intraocular
JP6015226B2 (ja) * 2011-09-30 2016-10-26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9724191B2 (en) 2012-06-04 2017-08-08 Alcon Pharmaceuticals, Ltd. Intraocular lens inserter
NZ702909A (en) 2012-06-12 2017-01-27 Altaviz Llc Intraocular gas injector
EP2868295B1 (en) * 2012-06-29 2020-10-21 Kowa Company, Ltd.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and positioning member provided in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EP2913029A4 (en) * 2012-10-26 2016-06-15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ES
DE102013105184B4 (de) * 2013-05-21 2020-02-20 Carl Zeiss Meditec Ag Injektorvorrichtung zum Einführen einer Intraokularlinse in ein Auge sowie Verfahren zum Falten einer Intraokularlinse in einer Injektorvorrichtung
KR102320331B1 (ko) 2013-08-27 2021-11-03 레프로-메드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피하 치료를 위한 바늘을 선택하는 방법
EP2873391A1 (en) 2013-11-15 2015-05-20 Atttinger Technik AG Intraocular lens injector, method for folding an intraocular lens and intraocular lens injector system
JP6511065B2 (ja) * 2013-11-15 2019-05-15 メディセル・アーゲー 眼内レンズを受承するデバイス及び眼内レンズを折り畳む方法
ES2730729T3 (es) * 2013-11-19 2019-11-12 Kowa Co Instrumento de inserción de una lente intraocular
WO2015075489A2 (en) * 2013-11-20 2015-05-28 Medicontur Orvostechnikai Kft. Preloaded injector with cartridge for storing and injecting hydrophobic intraocular lenses
US10206815B2 (en) 2014-02-20 2019-02-19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
WO2015154049A1 (en) 2014-04-04 2015-10-08 Altaviz, Llc Intraocular lens inserter
WO2015193046A1 (en) * 2014-06-17 2015-12-23 Attinger Technik Ag Intraocular lens injector, method for folding an intraocular lens and intraocular lens injector system
KR20170072224A (ko) * 2014-10-22 2017-06-26 산텐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안내 렌즈용 인젝터
JP2016087336A (ja) * 2014-11-11 2016-05-23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D789520S1 (en) 2015-02-18 2017-06-13 Icares Medicus, Inc. Injector barrel and plunger
US10588780B2 (en) 2015-03-04 2020-03-17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US10172706B2 (en) 2015-10-31 2019-01-08 Novartis Ag Intraocular lens inserter
DE102015224142B3 (de) * 2015-12-03 2017-03-23 Carl Zeiss Meditec Ag Intraokularlinsen-Kassette mit Deckel und Injektor mit Kassette
DE102015224141B3 (de) * 2015-12-03 2017-03-16 Carl Zeiss Meditec Ag Intraokularlinsen-Kassette mit Gleitmittel-Zuführkanal und Injektor mit Kassette
BE1024131B1 (fr) * 2016-04-21 2017-11-20 Physiol S.A. Dispositif d'injection de lentille intraoculaire souple et navette de stockage pour sa mise en œuvre
CN107595434A (zh) * 2016-07-11 2018-01-19 上海中医药大学附属龙华医院 一体式人工晶体推注器
US10568735B2 (en) * 2017-01-13 2020-02-25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US11000367B2 (en) 2017-01-13 2021-05-11 Alcon Inc. Intraocular lens injector
US20210267753A1 (en) * 2018-09-10 2021-09-02 Kowa Company, Ltd. Intraocular lens insertion apparatus
US11224537B2 (en) 2018-10-19 2022-01-18 Alcon Inc. Intraocular gas injector
BR112021011137A2 (pt) * 2018-12-11 2021-10-05 Alcon Inc. Sistema de gerenciamento óptico háptico com o uso de braços rotativo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4725A (en) * 1996-09-26 1999-08-31 Bausch & Lomb Surg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flexible membrane into an eye
US20020022881A1 (en) * 1994-08-05 2002-02-21 Figueroa Dennis Alexander Device for inserting a flexible intraocular lens
JP2006181269A (ja) * 2004-12-28 2006-07-13 Hoya Corp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3905A (en) * 1991-06-07 1992-06-23 Kelman Charles D Intraocular lens injector
US5772666A (en) 1992-09-30 1998-06-30 Staar Surgical Company,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 injecting apparatus with deformable tip plunger
JP3412103B2 (ja) 1993-07-15 2003-06-03 キヤノンスター株式会社 変形可能な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JP3420724B2 (ja) 1993-08-04 2003-06-30 キヤノンスター株式会社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KR100461880B1 (ko) * 1995-03-14 2005-08-29 스타 서지컬 컴퍼니 변형가능한 안내렌즈의 이식장치
US5947975A (en) 1997-03-07 1999-09-07 Canon Staar Co., Inc. Inserting device for deformable intraocular lens
JP3665643B2 (ja) * 1997-03-10 2005-06-29 キヤノンスター株式会社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器具
US5947976A (en) * 1998-06-02 1999-09-07 Alcon Laboratories, Inc. Asymmetric intraocular lens injection cartridge
JP3944555B2 (ja) * 1999-10-06 2007-07-11 キヤノンスター株式会社 眼内挿入用レンズの挿入システム
SE9904338D0 (sv) 1999-11-30 1999-11-30 Pharmacia & Upjohn Ab Intraocular lens implanter
US6537283B2 (en) * 2001-08-17 2003-03-25 Alcon, Inc. Intraocular lens shipping case and injection cartridge
EP1434541A2 (de) * 2001-10-12 2004-07-07 Humanoptics AG Vorrichtung zum falten einer intraokularlinse sowie aufbewahrungssystem für eine intraokularlinse
US7156854B2 (en) 2003-05-28 2007-01-02 Alcon, Inc. Lens delivery system
US7422604B2 (en) * 2003-08-28 2008-09-09 Bausch & Lomb Incorporated Preloaded IOL injector
US7276071B2 (en) * 2004-01-05 2007-10-02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Intraocular lens injector
US7645300B2 (en) * 2004-02-02 2010-01-12 Visiogen, Inc.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 system
US8535331B2 (en) * 2004-03-31 2013-09-17 Bausch & Lomb Incorporated IOL injector
JP4520256B2 (ja) * 2004-09-06 2010-08-0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WO2006080191A1 (ja) * 2005-01-26 2006-08-03 Hoya Corporation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JP4836046B2 (ja) * 2005-02-24 2011-12-1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2881A1 (en) * 1994-08-05 2002-02-21 Figueroa Dennis Alexander Device for inserting a flexible intraocular lens
US5944725A (en) * 1996-09-26 1999-08-31 Bausch & Lomb Surg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flexible membrane into an eye
JP2006181269A (ja) * 2004-12-28 2006-07-13 Hoya Corp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56B1 (ko) 2023-08-25 2024-01-30 최원석 안구 내 렌즈 삽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1309B (zh) 2012-05-09
US8123804B2 (en) 2012-02-28
CN101511309A (zh) 2009-08-19
EP2072025A1 (en) 2009-06-24
EP2072025A4 (en) 2013-12-04
JP2008061677A (ja) 2008-03-21
WO2008029498A9 (ja) 2009-03-26
KR20090046915A (ko) 2009-05-11
HK1137640A1 (en) 2010-08-06
US20100130985A1 (en) 2010-05-27
JP4908977B2 (ja) 2012-04-04
WO2008029498A1 (ja)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269B1 (ko) 안과용 렌즈의 삽입 기구
US10517717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and cartridge
JP5470753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EP2057968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EP2177178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he intraocular lens
JP5425215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US6858033B2 (en) Insertion system for intraocular lens
EP1290990B1 (en) Insertion device for deformable intraocular lens
KR101762292B1 (ko) 안내 렌즈의 수용 장치 및 안내 렌즈의 접이 방법
ES2725562T3 (es) Herramienta de inserción de lente intraocular
EP2926770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JP2014079630A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5980218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6027536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US10213295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apparatus
JP5301943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KR20210094586A (ko) 안구내 렌즈 수용 장치 및 안구내 렌즈의 폴딩 방법
JP2007089915A (ja) 眼内レンズ挿入システム
JP5096132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