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541B1 - 기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41B1
KR101401541B1 KR1020120123085A KR20120123085A KR101401541B1 KR 101401541 B1 KR101401541 B1 KR 101401541B1 KR 1020120123085 A KR1020120123085 A KR 1020120123085A KR 20120123085 A KR20120123085 A KR 20120123085A KR 101401541 B1 KR101401541 B1 KR 10140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oller
support member
lower conveying
roller shafts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855A (ko
Inventor
김종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to KR102012012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4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85Apparatus for treatments of printed circuits with liqui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conveyors and hold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1);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117); 상기 본체프레임(1) 상에서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30); 상기 지지부재(130) 상에 평행하게 복수로 배열되고 동력전달기어(11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복수개의 디스크 휠(111,121)을 구비하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130)는 동력전달기어(117)의 동력을 전달받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31)와, 상기 제1지지부재(131)에서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33) 및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135)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각각은 상기 지지부재(130)의 제2지지부재(133)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3,1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는, 회전하는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의 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 롤러 샤프트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송되지 아니하고 직진하여 이송되도록 하며, 구동력이 집중할 경우 나타나게 되는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와 지지부재 간의 결합부 상에서 발생하는 편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 롤러 샤프트의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인쇄회로기판 제조과정에서 품질저하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기판 이송장치{APPARATUS FOR PCB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이송하기 위해 기판 이송장치의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동력전달장치의 회전 구동력이 분산되는 상태로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에 작용하도록 하는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회전하는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의 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 롤러 샤프트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송되지 아니하고 직진하여 이송되도록 하며, 구동력이 집중할 경우 나타나게 되는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와 지지부재 간의 결합부 상에서 발생하는 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절연기판 표면에 구리의 박막으로 배선을 구성하고, 집적회로나 저항 등의 전기 부품을 상기 박막 상에 장치해 사용하는 합성수지판으로서, 페이퍼 페놀수지 또는 클래스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판 상에 동박 판을 적층시키고, 회로패턴의 인쇄 및 식각(etching) 등의 공정을 통해 배선을 완성시키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작공정에서는 박리, 현상, 에칭, 세정, 산세 및 건조 등의 다양한 공정이 수행되면서 제조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5893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7023호가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특허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5893호의『렘젯에어나이프, 기판이송장치와 이를 포함한 기판공정용 기기』는, 복수의 이송 롤러가 장착되고, 복수개가 평행하게 설치된 이송회전축; 상기 이송 회전축을 지지하는 롤러브라겟; N극과 S극이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회전자석; 및 상기 이송 회전축과 상호 직교하며 상기 구동자석에 연결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통하여 상기 구동자석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이송 회전축을 둘러싸는 롤링베어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판 이송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기판공정용 기기는 전자석에 의해 이송 회전축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진동을 저감하고, 회전축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위 렘젯에어나이프, 기판 이송장치와 이를 포함한 기판 공정용 기기는 이송 회전축의 지지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롤러브라켓이 삽입되며, 롤러브라켓에 형성된 축 구멍을 통해 이송 회전축의 양단부만 지지되면서 회전토록 구성되어 있어, 구동자석이 회전하여 이송 회전축이 결합된 회전자석이 회전할 경우 회전자석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용력이 이송 회전축과 롤러브라켓에 이송 회전축이 회전하는 동안 계속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자석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용력을 받게 된 이송 회전축에는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용력을 받는 롤러브라켓의 일면이 타면에 비해 더 많이 마모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 회전축은 경사지게 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게 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이 이송회전축에 형성된 이송 롤러상에서 이송시 경사방향으로 진행되어 에칭, 세정, 산세 및 건조 등이 효과적으로 되지 아니하며, 이송회전축과 롤러브라켓이 조기에 마모 또는 파손되어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선행특허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4552호의『이송속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판 이송장치』는, 기판을 이송하도록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각각의 샤프트에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롤러들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는 회전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회전측정부재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 동력을 벨트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로 전달하여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샤프트의 양측은 샤프트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이송속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판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속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판 이송장치는 회전하는 샤프트의 회전수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기판 이송장치의 일시 정지 등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작업자가 신속히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위 이송속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판이송장치의 경우에도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된 기어가 벨트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 동력을 전달받으며, 샤프트의 양측이 샤프트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어서, 샤프트에 형성된 기어는 벨트동력전달수단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작용력을 회전하는 동안 계속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와 지지부재는 일측 방향으로 조기에 마모 및 파손되게 되어 샤프트가 경사지게 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기판을 이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에 휨 현상이 발생하거나 경사지게 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기판을 이송하게 됨으로써,기판이 샤프트에 형성된 이송 롤러상에서 이송시 경사방향으로 진행되게 되어 세척등의 제반 공정 이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샤프트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샤프트가 조기에 마모 및 파손되어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45893호의『렘젯에어나이프, 기판이송장치와 이를 포함한 기판공정용 기기』 (공고일자 : 2008. 7. 7.)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4552호의『이송속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판이송장치』 (공개일자 : 2010. 5. 2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재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맞물려서 회전하는 롤러 샤프트의 구동부측의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축 중심선을 향한 휨 응력이 분산되어 작용하도록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회전하는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의 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맞물려서 회전하는 롤러 샤프트의 구동부측의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축 중심선을 향한 휨 응력이 분산되어 작용하도록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송 롤러 샤프트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송되지 아니하고 직진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맞물려서 회전하는 롤러 샤프트의 구동부측의 동력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축 중심선을 향한 휨 응력이 분산되어 작용하도록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 형성함으로써, 기판 이송 롤러 샤프트와 지지부재 간의 결합부에 편 마모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여 기판이송장치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 샤프트의 구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두께가 얇은 박판의 인쇄회로기판에서와 같이 높은 정밀도의 이송동작이 요구되는 공정에서도, 이송 롤러 샤프트의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인쇄회로기판 제조과정에서 품질저하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서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 평행하게 복수로 배열되고 동력전달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복수개의 디스크 휠을 구비하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동력전달기어의 동력을 전달받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서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의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의 각각은 상기 지지부재의 제2지지부재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는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에서 전달되는 동력이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동력이 전달되면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는, 동력전달기어는 헤리컬기어이고,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는 수퍼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는, 지지부재와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의 결합부에 베어링을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의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는, 상하 간격이 조절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는, 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제3지지부재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가 본체 프레임 상에서 인쇄회로기판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등을 이송하기 위해 기판 이송장치의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으로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동력전달장치의 회전 구동력이 분산되는 상태로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에 작용하도록 하는 기판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회전하는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의 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 롤러 샤프트 상에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송되지 아니하고 직진하여 이송되도록 하며, 구동력이 집중할 경우 나타나게 되는 기판 이송용 롤러 샤프트와 지지부재 간의 결합부 상에서 발생하는 편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 롤러 샤프트의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인쇄회로기판 제조과정에서 품질저하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 중 동력전달부측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의 인쇄회로기판이 이송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면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에 적용된 이송 롤러 사프트 지지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 중 동력전달부측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가 적용된 상태에서의 인쇄회로기판이 이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에 적용된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구조는, 인쇄회로기판의(160)의 이송 롤러 샤프트 장치와 구동모터 등을 수용하는 본체 프레임(1)부, 상기 본체 프레임부(1)의 내측에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160)을 이송시키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부(100), 인쇄회로기판의(160)의 이송과정에서 세정, 산세 및 건조 등을 실시하는 상하측 분사 노즐(170,172)을 구비하는 세정부[170,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160)을 세정, 산세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공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부(100)는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위 공정 중 인쇄회로기판의(160)의 세정장치에 대하여 도시함)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본체 프레임(1)은 이송 롤러 사프트 지지부(100)와 세정부(170)를 그 내측에 수용하면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측에는 세척액 펌프 및 구동모터 등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의 양 측면에는 측면프레임(3,4)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덮개(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과 측면프레임(3,4) 및 덮개(5)는 그 내측에 수용되는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부(100)와 세척부(170) 등의 작동 상태와 유지보수를 위한 도어(도시 생략)를 구비하거나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에 기재된 세정부(170)는 인쇄회로기판의(160)의 이송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의(160)의 상면과 하면 각각에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노즐(171,172)을 구비하는 통상의 세정부(170)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한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면 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의 이송 롤러 샤프트 지지부(100)를 이루고 있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송 롤러 사프트 지지부(100)는 인쇄회로기판의(160)의 상부에서 회전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 인쇄회로기판의(160)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 모터 등의 동력발생장치(도시 생략)에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기어(117) 및 상기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로 구성된다.
또한 이송 롤러 사프트 지지부(1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동력전달기어(117),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 제1지지부재(131) 및 제2지지부재(133)를 좌측에 배치하고 제3지지부재(135)를 우측에 배치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기판 이송장치의 설치여건에 따라 동력전달기어(117),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 제1지지부재(131) 및 제2지지부재(133)를 우측에 배치하고 제3지지부재(135)를 좌측에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송 롤러 사프트 지지부(100)의 동력전달기어(117)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장치(도시 생략)에 생성되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기어(117)이다.
이러한 동력전달기어(117)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이송시키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에 전달하여 상하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기어로, 도 1에서는 헤리컬기어를 도시하고 있으나 헤리컬기어 외에도 전자석 기어 및 벨트 등을 이용하여 동력발생장치에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상하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에 전달할 수 있고,상기 상하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종류의 기어 또는 벨트 등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송 롤러 사프트 지지부(100)는 동력전달기어(117)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일측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상하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을 구비한다.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는 샤프트 상에 다수의 상부 디스크 휠(1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디스크 휠(111)은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가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 상에 형성된 다수의 상부 디스크 휠(111)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 디스크 휠(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160)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일방향으로 밀어 이송되게 하는 롤러이다. 이러한 상하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는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이송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하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는 동력전달기어(11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와 연장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는 동력전달기어(117)로부터 직접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으나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본 발명에서는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것으로 도시]이고, 연장부(113)는 상기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로 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가 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휨 변형과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지 아니하도록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2지지부재(133)에 의해 지지되는 축이다. 또한 위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와 후술하는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는 수퍼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의 일측에는 연장부(113)를 형성하고 위 연장부(113)를 제2지지부재(13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가 통상적으로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131)와 제3지지부재(135)의해 지지되는 경우와 대비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가 통상적으로 지지되는 제1지지부재(131)와 제3지지부재(135)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가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게 되면 그 회전 동력의 일부는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를 회전하는데 사용되고 나머지의 회전동력은 회전동력의 작용방향에 대응하여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 후술하는 지지부재(130)의 결합부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130)에 작용하는 구동력은 상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 지지부재(130) 중에서 구동력이 직접 작용하게 되는 제1지지부(131)에 가장 많이 작용하게 되어 제1지지부재(131)와 상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결합부는 제3지지부재(135)에 비해 더 빨리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는 마모 등에 의해 발생된 틈 사이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가 구동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좌우 축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에 휨이 발생하거나 경사진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에 휨이 발생하거나 경사진 상태로 회전은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에 형성된 상부 디스크 휠(111)의 회전방향을 경사진 방향으로 변경시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하부에서 상부 디스크 휠(111)의 원주면과 접촉하면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의(160)은 직진하지 아니하고 경사진 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에 휨이 발생하거나 경사진 상태의 회전은 상부 이송 롤러 샤프트(110)가 베어링(114)를 개재하여 제1지지부재(131) 상에 설치된 경우 베어링(114)의 마모 및 파손을 촉진되게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에 더 형성된 연장부(113)가 제2지지부재(133)에 의해 지지되어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휨 발생과 경사진 상태의 회전을 방지하고 인쇄회로기판의(160)이 직진으로 이송되게 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측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장부(113)는, 제2지지부재(133)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위 연장부(113)를 형성하여 제2지지부재(133)에 지지되도록 하면,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측은 제1지지부재(131)에 의해 지지되게 되고, 연장부(113)의 단부측은 제2지지부재(133)가 지지하게 되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타측 단부는 제3지지부재(135)가 지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측에 연장부(113)를 형성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는 부분을 제1지지부재(131)와 제2지지부재(133)로 지지하게 되면,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가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를 회전하는데 사용된 나머지의 회전동력은 제1지지부재(131)와 제2지지부재(133)에 분산되면서 전달되게 되고, 제3지지부재(135) 측과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과 연결됨 따라 전달되는 휨의 작용력 방향도 제2지지부재(133)에서 반대측으로 작용하도로 지지함으로써,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 제1지지부재(131)에만 구동력이 주로 작용하여 마모와 파손을 발생시키던 작용력이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 제1지지부재(131)의 결합부, 연장부(113)와 제2지지부재(133)에 각각 분산되게 되어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 제1지지부재(131)의 결합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편 마모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게 되고, 지지부재(131,133)간의 거리가 멀어 큰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상부 디스크 힐(111)이 형성된 제3지지부재(135) 측에는 회전동작만이 이루어지고 휨을 방생하는 작용력은 그 전달이 거의 방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제1지지부재(131)와 제3지지부재(133) 사이에서는 휨이 발생이 극히 미미하여, 상부 디스크 휠(111)의 원주면이 인쇄회로기판의(160)이 이송되는 직선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인쇄회로기판의(160)은 인입구측에서 인출구측을 향해 직선으로 이송되면서 세척공정 등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 지지부재(130) 간의 결합부 상에서 발생하는 편 마모와 파손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 롤러 사프트 지지부(100)를 구성하는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는 샤프트 상에 다수의 하부 디스크 휠(1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디스크 휠(121)은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가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 상에 형성된 다수의 하부 디스크 휠(121)이 함께 회전하면서 하부 디스크 휠(1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의(160)의 하면과 접촉되면서 인쇄회로기판의(160)을 일방향으로 밀어 이송되게 하는 샤프트이다.
또한 상기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가 갖는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의 차이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사이로 인쇄회로기판의(160)이 이송되도록 하고,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에 구비되는 하측 롤러 샤프트 회전기어(122)에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에 형성된 상측 롤러 샤프트 회전기어(11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보다 낮으면서 수평방향의 이격된 위치 또는 수직방향의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차이와,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117)로부터 전달 전달된다는 차이만 있다.
즉,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는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상부 디스크 휠(111)과 동일한 하부 디스크 휠(121),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기어(112)와 동일한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기어(122) 및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연장부(113)와 동일한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연장부(123)를 구비하고,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가 지지되는 동일한 지지부재(130) 상에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상측 제1지지부(132), 제2지지부(134) 및 제3지지부(136)의 하측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하측의 제1지지부(137), 제2지지부(138) 및 제3지지부(139)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의 구동되는 동작 또한 상기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하측에서 회전방향만 상이할 뿐 기타의 동작은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상하측 롤러 샤프트 구동용 기어(112, 122)에 근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재(131) 상에서 회전하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각각 지지하는 상하측 제1지지부(132, 137), 연장부(113,123)를 각각 지지하도록 제2지지부재(133)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2지지부(134, 138),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구동용 기어(112, 122) 반대측을 각각 지지하는 제3지지부재(135)상에 형성되는 제3지지부(136,139)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제1지지부(132, 137), 제2지지부(134, 138) 및 제3지지부(136,139)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부로써,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가 제1지지부(132, 137), 제2지지부(134, 138) 및 제3지지부(136,139)와 결합되어 회전할 경우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베어링(137)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30)중 제1지지부재(131), 제2지지부재(133) 및 제3지지부재(135)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ㄴ』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부재를 사용(도시 생략)하고, 하면의 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에 장공을 형성한 후 그 장공을 통해 제1지지부재(131), 제2지지부재(133) 및 제3지지부재(135)를 본체 프레임(1)에 형성된 장공을 통해 볼트 등으로 고정하면, 제1지지부(132, 137), 제2지지부(134, 138) 및 제3지지부(136,139)가 장기간 사용에 의해 일측이 마모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볼트를 풀어 제1지지부재(131), 제2지지부재(133) 및 제3지지부재(135)의 설치위치를 인쇄회로기판(160)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모터 등을 동력발생장치를 작동시면 모터의 회전동력은 동력전달기어(117)을 통해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기어(122)에 전달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20)가 회전하면서 동시에 동력전달기어(117)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을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와 결합된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에 전달하여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측은 제1지지부재(131)에 의해 지지되게 되고, 연장부(113,123)의 단부측은 제2지지부재(133)가 지지하게 되며,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의 타측 단부는 제3지지부재(135)가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가 동력전달기어(1170 및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2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동시 회전하는데 사용된 나머지의 회전동력은 제1지지부재(131)와 제2지지부재(133)에 분산되면서 전달되고, 제3지지부재(135) 측과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로 연결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휨의 작용력 방향도 제2지지부재(133)에서 반대측으로 분산되게 작용 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와 제1지지부재(131)에만 주로 작용하여 마모와 파손을 발생시키던 작용력이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와 제1지지부재(131)의 결합부, 연장부(113,123)와 제2지지부재(133)에 각각 분산되게 되어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와 제1지지부재(131)의 결합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편 마모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게 되고, 지지부재(131,133)간의 거리가 멀어 큰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상하부 디스크 휠(111,122)이 형성된 제3지지부재(135) 측에는 회전동작만이 이루어지고 휨을 방생하는 작용력은 그 전달이 현저히 방지되면서 작동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와 지지부재(30) 간의 결합부에 동력이 분산하여 전달됨에 따라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제1지지부재(131)와 제3지지부재(133) 사이에서는 휨이 발생이 극히 미미하여, 상하부 디스크 휠(111,121)의 원주면이 인쇄회로기판(160)이 이송되는 직선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인쇄회로기판의(160)은 인입구측에서 인출구측을 향해 직선으로 이송되면서 세척공정 등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와 지지부재(130) 간의 결합부 상에서 발생하는 편 마모와 파손을 현저히 방지하면서 작동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 본체 프레임 2 : 하부 프레임
3,4 : 측면 프레임 5 : 덮개
100 : 이송 롤러 지지부 110 : 상측 이송 롤러 샤프트
111 : 상부 디스크 휠 112 : 상측이송롤러샤프트회전용기어
113 : 연장부 117 : 동려전달기어
120 : 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121 : 하부 디스크 휠
122 : 하측이송롤러샤프트회전용기어 123 : 연장부
130 : 지지부재 131 : 제1지지부재
132 : 상측제1지지부 133 : 제2지지부재
134 : 상측제2지지부 135 : 상측제3지지부
137 : 하측제1지지부 138 : 하측제2지지부
139 : 상측제3지지부 141 : 베어링
160 : 인쇄회로기판 170 : 세정부
171 : 상측분사노즐 172 : 하측분사노즐

Claims (6)

  1.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1);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117);
    상기 본체프레임(1) 상에서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30);
    상기 지지부재(130) 상에 평행하게 복수로 배열되고 동력전달기어(11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복수개의 디스크 휠(111,121)을 구비하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130)는 동력전달기어(117)의 동력을 전달받는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31)와, 상기 제1지지부재(131)에서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133) 및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135)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각각은 상기 지지부재(130)의 제2지지부재(133)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3,123)를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부재(131), 제2지지부재(133) 및 제3지지부재(135)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131,133,135)는 본체 프레임(1) 상에서 인쇄회로기판(160)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는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동력전달기어(117)에서 전달되는 동력이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동력이 전달되면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117)는 헤리컬기어이고,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 회전용 기어(112,122)는 수퍼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0)와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의 결합부에는 베어링(141)을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이송 롤러 샤프트(110,120)는 상하 간격이 조절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이송장치.
  6. 삭제
KR1020120123085A 2012-11-01 2012-11-01 기판 이송장치 KR10140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85A KR101401541B1 (ko) 2012-11-01 2012-11-01 기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85A KR101401541B1 (ko) 2012-11-01 2012-11-01 기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55A KR20140056855A (ko) 2014-05-12
KR101401541B1 true KR101401541B1 (ko) 2014-05-30

Family

ID=5088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085A KR101401541B1 (ko) 2012-11-01 2012-11-01 기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3854B (zh) * 2017-08-17 2023-11-28 深圳市欧亚建设工程有限公司 薄膜撕离结构
KR102108466B1 (ko) * 2019-04-16 2020-05-11 (주)도아테크 기판 반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079A (ko) * 2005-08-31 2007-03-0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KR20090020093A (ko) * 2007-08-22 2009-02-26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용 샤프트 지지 장치
KR20100096434A (ko) * 2009-02-24 2010-09-02 (유)에스엔티 기판이송장치
KR20110077680A (ko) * 2009-12-30 2011-07-07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에어를 이용한 이동 방향 및 속도가 조절되는 기판 이송장치 및 이송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079A (ko) * 2005-08-31 2007-03-0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KR20090020093A (ko) * 2007-08-22 2009-02-26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이송용 샤프트 지지 장치
KR20100096434A (ko) * 2009-02-24 2010-09-02 (유)에스엔티 기판이송장치
KR20110077680A (ko) * 2009-12-30 2011-07-07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에어를 이용한 이동 방향 및 속도가 조절되는 기판 이송장치 및 이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855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771B1 (ko) 기판 이송 가이드 장치
KR101201702B1 (ko) 가이드 롤러 장치
JP3944940B2 (ja) 基板の搬送装置
KR101084672B1 (ko) 와이어 연결형 롤러를 이용한 이송유닛
KR101401541B1 (ko) 기판 이송장치
TWI376344B (en) Apparatus for carrying substrates
KR20090006984A (ko) 이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100978852B1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그 장치를 갖는 기판제조 설비
JP2003086654A (ja) 基板処理装置
JP5431863B2 (ja) 基板処理装置
KR101334770B1 (ko) 디스플레이 기판 이송 가이드 장치
KR101904892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TW200824030A (en) Transfer roller and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KR101071268B1 (ko) 기판 이송 장치
KR101899387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KR101193363B1 (ko)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KR101145199B1 (ko) 이송장치
KR101077485B1 (ko) 기판 이송용 아이들 롤러 장치
KR101081517B1 (ko) 기판 이송 장치
KR20130056659A (ko) 대면적 기판의 접촉식 세정장치
JP3244865U (ja) 基板洗浄装置
CN220765733U (zh) 一种输送装置
KR101081531B1 (ko) 기판이송장치
JP4858087B2 (ja) 搬送装置
KR100820364B1 (ko) 기판 세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