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363B1 -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363B1
KR101193363B1 KR1020110009956A KR20110009956A KR101193363B1 KR 101193363 B1 KR101193363 B1 KR 101193363B1 KR 1020110009956 A KR1020110009956 A KR 1020110009956A KR 20110009956 A KR20110009956 A KR 20110009956A KR 101193363 B1 KR101193363 B1 KR 10119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rive roller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952A (ko
Inventor
전기주
김규남
이봉규
김동원
박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3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롤의 회전시 상기 구동롤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클린롤러; 그리고 상기 클린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상기 회전축에 연결시키는 롤러 가이드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롤러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시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구동롤러로부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이물 전사를 방지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쇄회로기판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f Driving Roller}
본 발명은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구동롤러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시 상기 구동롤러의 오염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정 중 Wet LIne은 용도에 따라 그 기능과 명칭이 달라지게 되어 있는데, 대부분의 Wet Line은 In-Line으로 인쇄회로기판의 전처리, 현상, 박리, 표면처리, 세정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설비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과정 중에서의 불량의 대부분이 상기 Wet line으로 제품이 진행되면서 발생이 되며, 그 중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의 이물 불량은 인쇄회로기판의 불량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정의 가장 큰 개선과제이다.
보다 상세하게, 인쇄회로기판의 박판 구동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Wet Line 상에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구동롤러는 최대한 밀집되게 설계하는 것이 최근 일반적이며, 상기 구동롤러의 개수 증가는 인쇄회로기판이 wet line을 진행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과 상기 구동롤러가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박판 사양의 인쇄회로기판이 Wet Line 진행시 Water Rinse시의 상, 하단의 압력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여 구동의 안전성 확보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설비 내 구동럴러의 밀집도 증가는 박판의 구동 안전성을 확보하였으나, 역으로 구동롤러의 오염에 의한 이물 및 오염과 관련된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들이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즉, 구동롤러 표면의 클리닝이 확보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접촉되는 구동롤러의 면적 증가는 설비 내에서의 발생되는 이물을 인쇄회로기판으로 전사시키는 역효과를 발생시켰고 그로 인한 이물과 오염의 불량은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정의 불량 중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많은 업체들이 이런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구동롤러의 클리닝 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며, 구동롤러의 오염이 발생시에는 구동롤러의 교체 및 PM(세정)을 실시함으로써, 구동롤러의 오염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수율 저하를 예방하는 활동들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구동롤러의 오염이 언제 발생될지 모르는 상황에서의 위와 같은 관리는 생산성 측면에서 비 효율적인 활동들을 초래하였다.
이를 위해, 구동롤러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나, 종래 구동롤러 세정장치는 회전되는 구동롤러에 구동롤러의 길이 만큼의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이물을 제거하거나 구동롤러에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여 구동롤러 표면의 이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 구동롤러의 세정 장치들은 Wet Line에서 구동롤러의 클린 장치로 적용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 구동롤러의 세정 장치들은 사용처가 제한적이다. 즉, Wet Line 상에서 Water Rinse의 공정 설비 내에서는 이물 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둘째, 종래 구동롤러의 세정 장치들은 크기와 설치 위치 및 설치 공간이 제약적이었다. 즉, 구동롤러와 동일한 수평상에 높여져야 하는 관계로 인쇄회로기판의 Wet Line에서와 같이 구동롤러 간의 간격이 좁을 경우에는 설치의 제한을 받았다.
셋째, 종래 구동롤러의 세정 장치들은 기존 Wet Line에 설치시 기존 설비를 개조해야되며,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동롤러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시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 가이드를 이용하여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간단하게 클린롤러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린롤러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소형 사이즈의 클린롤러에 의해서도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가 가능하므로 이물 제거 작업을 위한 설비의 위치 및 공간의 제약을 개선할 수 있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시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클린롤러; 그리고 상기 클린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상기 회전축에 연결시키는 롤러 가이드를 포함하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를 갖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축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 지지부를 갖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연통부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 지지부는 상기 지지축이 관통되는 홀 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는 기판이송장치의 본체 일측에 삽입 지지되는 인서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클린롤러는 외주면이 상기 복수개의 이격 설치된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린롤러는 외주면이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의 내측으로 중첩되도록 쿠션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클린롤러는 스펀지(spong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구동롤러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시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구동롤러로부터 인쇄회로기판으로의 이물 전사를 방지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불량율을 최소화하며, 나아가 인쇄회로기판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롤러 가이드를 통하여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간단하게 클린롤러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를 위한 클린롤러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소형 사이즈의 클린롤러에 의해서도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가 가능하므로 이물 제거 작업을 위한 기판이송장치의 위치 및 공간의 제약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롤러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클린롤러의 설치 전, 후의 이물 불량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롤러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5는 클린롤러의 설치 전, 후의 이물 불량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크게 회전축(110), 구동롤러(120), 클린롤러(130), 그리고 롤러 가이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10)은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기어 또는 벨트 및 풀리와 같은 동력전달부재를 매개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120)는 상기 회전축(110)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10)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클린롤러(130)는 상기 구동롤러(1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롤러(120)의 회전시 상기 구동롤러(120)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150)는 상기 클린롤러(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140)을 상기 회전축(1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 가이드(150)는, 상기 회전축(11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151a)를 갖는 상부가이드(151)와, 상기 회전축 지지부(151a)와 연통되는 연통부(152a)를 가지며 상기 지지축(14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 지지부(152b)를 갖는 하부가이드(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 지지부(151a)와 상기 연통부(152a)는 상기 회전축(110)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 지지부(152b)는 상기 지지축(140)이 관통되는 홀 또는 상기 지지축(140)이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151)는 기판이송장치의 본체(100) 일측에 삽입 지지되는 인서트부(151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린롤러(130)는 외주면이 상기 복수개의 이격 설치된 구동롤러(120)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클린롤러(130)는 상기 복수개의 이격 설치된 구동롤러(120)의 설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린롤러(130)는 외주면이 상기 구동롤러(120)의 외주면 내측으로 중첩되도록 쿠션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클린롤러(130)는 스펀지(spong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린롤러(130)의 외주면이 상기 구동롤러(120)의 외주면 내측으로 중첩되는 깊이는 상기 클린롤러(130)의 외주면 표면에서 대략 1~2mm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중첩되는 깊이는 상기 클린롤러(130)의 직경과 재질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는 상기 롤러 가이드(150)를 통해 기존 Wet Line 중 기판이송장치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120)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먼저 상기 롤러 가이드(150)의 상부 가이드(151) 및 하부 가이드(152)의 각 회전축 지지부(151a, 152a)에 상기 구동롤러(120)가 설치된 회전축(110)의 단부를 관통 장착한다.
그 다음, 상기 지지축(140)에 상기 클린롤러(130)를 삽입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클린롤러(130)가 장착된 상기 지지축(140)을 상기 회전축(110)이 장착된 롤러 가이드(150)의 하부가이드(152)의 지지축 지지부(152b)에 삽입 장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151)의 인서트부(151b)를 기판이송장치의 본체(100) 일측에 삽입하여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롤러 가이드(15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이물 제거장치 역시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는 Wet Line에 설치되기 전에 비하여,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이물 불량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실험예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기존 인쇄회로기판 공정 중 SR 현상 공정의 Wet Line 수세 3, 4, 5, 6, 8단에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를 설치한 후, 설치하기 전과 후 각각 15일간의 인쇄회로기판의 표면 이물 불량율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를 설치한 전 이물 불량율은 평균 2.5%였으나, 설치 후 이물 불량율은 평균 0.8%로 설치 전보다 68%의 이물 불량율이 감소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회전축 120: 구동롤러
130: 클린롤러 140: 지지축
150: 롤러 가이드 151: 상부가이드
152: 하부가이드

Claims (7)

  1.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이송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외주면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시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클린롤러; 그리고
    상기 클린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을 상기 회전축에 연결시키는 롤러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 지지부를 갖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연통되는 연통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축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 지지부를 갖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부와 상기 연통부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각각 관통되는 홀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 지지부는 상기 지지축이 관통되는 홀 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는 기판이송장치의 본체 일측에 삽입 지지되는 인서트부가 형성되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클린롤러는 외주면이 상기 복수개의 이격 설치된 구동롤러의 외주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사이즈를 갖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롤러는 외주면이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면의 내측으로 중첩되도록 쿠션재질로 형성되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롤러는 스펀지(sponge)로 이루어지는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KR1020110009956A 2011-02-01 2011-02-01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KR10119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56A KR101193363B1 (ko) 2011-02-01 2011-02-01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56A KR101193363B1 (ko) 2011-02-01 2011-02-01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52A KR20120088952A (ko) 2012-08-09
KR101193363B1 true KR101193363B1 (ko) 2012-10-19

Family

ID=4687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956A KR101193363B1 (ko) 2011-02-01 2011-02-01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2223A (zh) * 2019-08-27 2019-11-2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去膜后玻璃板的输送装置
KR102638937B1 (ko) 2023-08-29 2024-02-21 (주)휴맥 기판 이물제거용 세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324A (ja) * 2006-06-27 2008-01-17 Sumitomo Metal Mining Package Materials Co Ltd 表面清掃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324A (ja) * 2006-06-27 2008-01-17 Sumitomo Metal Mining Package Materials Co Ltd 表面清掃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2223A (zh) * 2019-08-27 2019-11-2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去膜后玻璃板的输送装置
KR102638937B1 (ko) 2023-08-29 2024-02-21 (주)휴맥 기판 이물제거용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52A (ko)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7264B2 (ja)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及び半導体基板の洗浄装置
TWI376344B (en) Apparatus for carrying substrates
KR101193363B1 (ko) 기판이송장치용 구동롤러의 이물 제거장치
KR101147662B1 (ko) 기판 이송 장치
KR200456428Y1 (ko) 고무롤러의 지지축 고무 잔존물 제거장치
JP3926593B2 (ja) 基板処理装置
KR20070074488A (ko) 기판의 반송 방법 및 장치
KR20150077726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111607A (ko) 기판 이송용 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이송 장치
KR102018726B1 (ko) 이송용 롤러조립체
KR101077486B1 (ko) 대면적 기판 이송장치
JP4908316B2 (ja) 洗浄装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CN210187919U (zh) 一种清洁机
KR101401541B1 (ko) 기판 이송장치
JP4482188B2 (ja) 矩形基板の処理装置
KR102440855B1 (ko) 기판 습식 세정 장치
JP2005313014A (ja) 処理液供給装置
KR101077485B1 (ko) 기판 이송용 아이들 롤러 장치
KR20150060064A (ko) 기판 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1581318B1 (ko) 기판 반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2005194060A (ja) 基板搬送装置
KR100779949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00067910A (ko) 롤 상의 이물질 제거용 블레이드 장치
KR101585526B1 (ko) 대면적 기판의 접촉식 세정장치
KR20110119957A (ko) 기판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