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957A - 기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957A
KR20110119957A KR1020100039399A KR20100039399A KR20110119957A KR 20110119957 A KR20110119957 A KR 20110119957A KR 1020100039399 A KR1020100039399 A KR 1020100039399A KR 20100039399 A KR20100039399 A KR 20100039399A KR 20110119957 A KR20110119957 A KR 20110119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ubstrate
pair
guide groove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순
김종만
이선용
김영균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엠파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워(주) filed Critical 엠파워(주)
Priority to KR102010003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9957A/ko
Publication of KR20110119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나란하게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며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배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축설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구비된 종동축; 및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종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종동축과 동일한 회전을 하며 안착된 지그를 이송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판 이송장치{SUBSTRATE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정 중 또는 공정 후 처리되어야 할 기판을 지그를 이용해 수직한 상태로 고정시켜 이송하며 공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판 이송과정에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모듈(module)은 규칙성과 분리성을 가진 몇 개의 부품 또는 소자가 한 개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칭함)에 탑재되어 어떤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 부품 단위로 간주되는 반도체 소자를 가리키며, 그 대표적인 모듈로는 각종 메모리 반도체 소자를 하나의 PCB에 탑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용량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디램(DRAM), 싱크디림(SYNKDRAM) 등의 메모리 모듈이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 모듈의 PCB는 통상적으로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연배 열로 제조 공급되어 커팅기에 의해 단일의 PCB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PCB는 통상 부품 실장을 위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여러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종래 일반적인 반도체 모듈 PCB를 기판 처리 방법은 작업자가 다수의 PCB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 컨베이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시킨 상태에서 공정을 위한 라인에 이송 공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판 처리 방법은 PCB를 이송 컨베이어에 배열 공급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다수개의 PCB가 안착된 카세트에 로봇을 이용해 공정용 컨베이어에 이동시켜 공정 균일성을 추구하고 공정시 PCB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우에도 이송 컨베이어에 PCB를 수평 안착 또는 경사 안착시켜 이송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하고 있어 컨베이어와 PCB의 마찰에 의해 PCB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중 또는 공정 후 처리되어야 할 기판을 지그를 이용해 수직한 상태로 고정시켜 이송하며 공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판 이송과정에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기판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는, 나란하게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며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배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축설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구비된 종동축; 및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종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종동축과 동일한 회전을 하며 안착된 지그를 이송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 롤러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에는 상기 안내홈과 대응되는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지그의 안내 돌기가 안내홈에 삽입되어 지그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는 지그 저면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내주면이 기어 형태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안내 돌기는 기어 형태의 안내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지그 저면의 길이 방향에 등간격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 중 또는 공정 후 처리되어야 할 기판을 지그를 이용해 수직한 상태로 고정시켜 이송하며 공정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판 이송과정에 기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이 적재된 지그와 이를 이송하는 지지 롤러가 서로 맞물려 기어 방식으로 이송되게 함으로써 지그 이송에 따른 미세 위치 변동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기판에 공정 진행시 공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10)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11), 구동축(12), 구동기어(13), 종동기어(14), 종동축(15) 및 지지롤러(16)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11)은 서로 나란하게 이웃된 상태로 바닥면에 고정되는 "L"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11) 중 어느 하나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축(12)이 축설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2)은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모터의 구성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2)에는 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동기어(13)가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11)에 등간격 결합되는 다수개의 종동축(15)이 상기 구동축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종동축(15)의 단부에는 상기 구동기어(13)와 맞물려 구동되는 종동기어(14)가 각각의 종동축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동축(15) 각각에는 한쌍의 지지 롤러(16)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 롤러(16)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안내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롤러(16)에는 후술하는 지그(20)가 안착된 상태로 지지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20)는 지지 롤러(16)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 상부로 돌출되어 기판(미도시)을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23)로 구성되며, 상기 기판이 고정 플레이트와 중첩될 수 있게 고정 플레이트 중앙면이 개구된 상태이다.
본 실시예 따른 작동상태를 보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송되어야할 기판(미도시)을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시킨 상태로 외부로터 로봇을 이용해 지그를 본 발명의 기판 이송장치(10)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 하부에는 상기 지지 롤러(16)의 안내홈(17)과 대응되는 한쌍의 안내 돌기(22) 돌출되며, 상기 안내 돌기(22)는 지그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 롤러에 안착된 상태의 지그는 지지 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지그의 안내 돌기와 지지 롤러의 안내홈이 서로 맞물리며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과정에 지지 롤러로부터 지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홈과 안내 돌기의 맞물림에 의해 지그 이송과정 중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기판의 위치가 항시 정위치에 올 수 있어 공정 진행시 공정 오차에 의한 기판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롤러(16')에 형성된 안내홈(17')이 톱니 형태를 하도록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안내 돌기(22')를 안내홈과 맞물릴 수 있도록 등간격 배치하면 지지 롤러에 의해 이송과정 중 정지시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지 롤러로부터 슬림되어 미끄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정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나란하게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며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배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대해 직교하게 위치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축설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종동기어가 구비된 종동축; 및
    상기 한쌍의 지지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종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종동축과 동일한 회전을 하며 안착된 지그를 이송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에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에는 상기 안내홈과 대응되는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지그의 안내 돌기가 안내홈에 삽입되어 지그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는 지그 저면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내주면이 기어 형태로 형성되게 하며, 상기 안내 돌기는 기어 형태의 안내홈과 대응되는 형태로 지그 저면의 길이 방향에 등간격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장치.
KR1020100039399A 2010-04-28 2010-04-28 기판 이송장치 KR20110119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99A KR20110119957A (ko) 2010-04-28 2010-04-28 기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99A KR20110119957A (ko) 2010-04-28 2010-04-28 기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57A true KR20110119957A (ko) 2011-11-03

Family

ID=4539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399A KR20110119957A (ko) 2010-04-28 2010-04-28 기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99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1080A (zh) * 2014-09-05 2015-01-07 芜湖新瑞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粉煤灰蒸压加气砌块的新型传送装置
KR101715656B1 (ko) * 2016-12-29 2017-03-13 최병준 디퓨져 홀 가공용 정밀 지그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1080A (zh) * 2014-09-05 2015-01-07 芜湖新瑞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粉煤灰蒸压加气砌块的新型传送装置
KR101715656B1 (ko) * 2016-12-29 2017-03-13 최병준 디퓨져 홀 가공용 정밀 지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9661B2 (ja) 電子部品の処理装置
JP2007036227A (ja) 基板の保存用カセット、搬送コンベア及びそれらを用いた搬送システム
KR100683265B1 (ko) 광학적 검사 장치의 인쇄회로기판 자동 공급 취출장치
JP4835573B2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JP2006140380A (ja) 基板処理装置
EP3102015B1 (en) Substrate carrier apparatus and substrate work system configured to include same
JP5371127B2 (ja) 電子部品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2012146714A (ja) 部品実装装置
KR20110119957A (ko) 기판 이송장치
JP4734280B2 (ja) 基板重装用昇降装置、バックアップ用昇降装置、基板支持ユニット、及び印刷装置
JP2005247516A (ja) 浮上式基板搬送処理装置
JP2007001716A (ja) ワーク収納装置及びワーク収納方法
WO2012067332A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방법
TWM650636U (zh) 固定裝置及具有該固定模組的焊接設備
JP2008265141A5 (ko)
KR101947168B1 (ko) 트레이 직립 이송 장치
JP6411786B2 (ja) 基板搬送装置
JP2008300389A (ja) 基板搬送装置
JP2005145713A (ja) 基板の搬送装置
JP2014038948A (ja) テープカセットの位置決め機構、テープカセット、実装装置、及び基板の製造方法
JP5879196B2 (ja) 基板支持装置
JP5965697B2 (ja) 部品供給ユニット
KR100780800B1 (ko) 듀얼 인덱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물 이송 장치
JP4095316B2 (ja) プリント基板用ストック装置
JP6454170B2 (ja) 部品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