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830B1 - 변압기 - Google Patents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830B1
KR101388830B1 KR1020120070529A KR20120070529A KR101388830B1 KR 101388830 B1 KR101388830 B1 KR 101388830B1 KR 1020120070529 A KR1020120070529 A KR 1020120070529A KR 20120070529 A KR20120070529 A KR 20120070529A KR 101388830 B1 KR101388830 B1 KR 10138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obbin
coupling means
transformer
assemb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058A (ko
Inventor
권순영
안덕진
남기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830B1/ko
Priority to CN201210315650.6A priority patent/CN103515064B/zh
Priority to CN2012204381526U priority patent/CN202871506U/zh
Priority to EP12275147.2A priority patent/EP2680282A1/en
Publication of KR20140003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변압기는 일 단에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보빈; 상기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조립 부재; 상기 조립 부재에 형성되는 제1핀 부재; 및 상기 보빈의 타 단에 형성되는 제2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제1핀 부재로부터 상기 제2핀 부재까지의 절연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거리의 조절이 용이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 필요한 구동 전압은 낮으나, 이러한 전자 장치에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전압은 높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외부 전압을 전자 장치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낮추기 위한 변압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변압기는 보빈의 양단에 코일이 감기는 핀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보빈의 일 단에 형성되는 핀 부재와 보빈의 타 단에 형성되는 핀 부재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절연거리는 변압기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므로,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절연거리를 갖는 보빈을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변압기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변압기의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2종의 절연거리를 갖는 변압기를 설명하고 있고, 특허문헌 2는 다수의 단자대(2-2, 2-3, 4-1, 4-2)를 갖는 변압기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절연거리의 다양한 변경이 불가능하고, 특허문헌 2는 단순히 다수의 리드(2-4)를 구비한 형태이므로,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절연거리를 제공할 수 없다.
KR 2005-021683 A JP 1994-12004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절연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변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일 단에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보빈; 상기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조립 부재; 상기 조립 부재에 형성되는 제1핀 부재; 및 상기 보빈의 타 단에 형성되는 제2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제1핀 부재로부터 상기 제2핀 부재까지의 절연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보빈의 일 단에 상기 조립 부재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 ㎜ 단위로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조립 부재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조립 부재에 상기 보빈의 일 단이 끼워지는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끼움 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 부재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돌출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돌출편에 각각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일 단에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보빈; 상기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조립 부재; 상기 보빈의 일단 및 상기 조립 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제1핀 부재; 상기 보빈의 타 단에 형성되는 제2핀 부재; 및 상기 제2핀 부재와 다른 절연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보빈의 타 단의 절개부에 형성되는 제3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제1핀 부재로부터 상기 제2핀 부재까지의 절연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보빈의 일단에 상기 조립 부재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조립 부재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조립 부재에 상기 보빈의 일 단이 끼워지는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끼움 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 부재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돌출편에 각각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일 단과 타 단에 각각 제1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보빈; 상기 일 단의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제1조립 부재; 상기 타 단의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제2조립 부재; 상기 제1조립 부재에 형성되는 제1핀 부재; 및 상기 제2조립 부재에 형성되는 제2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보빈의 일 단 및 타 단에 상기 제1조립 부재와 상기 제2조립 부재가 각각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조립 부재 및 상기 제2조립 부재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제1조립 부재에 상기 보빈의 일 단이 끼워지는 제1끼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조립 부재에 상기 보빈의 타 단이 끼워지는 제2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끼움 홈의 내측면 및 상기 제2끼움 홈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 단 및 타 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 부재 및 상기 제2조립 부재의 일 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 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돌출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는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돌출편에 각각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1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에서 상기 제2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2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핀 부재 간의 절연거리를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다양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다양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변압기의 절연거리(1차 코일이 끝단이 고정되는 제1핀 부재와 2차 코일의 끝단이 고정되는 제2핀 부재 간의 거리)는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른 절연거리의 편차는 수 ㎜ 에서 수십 ㎜ 단위이다. 그러나 이러한 절연거리를 확보하지 않으면 변압기의 안정성이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절연거리를 필요 이상으로 확보하면 변압기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 절연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보빈을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부재들 간의 결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1핀 부재와 제2핀 부재 간의 거리(즉, 절연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다양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보빈과 조립 부재의 다양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보빈(10), 조립 부재(20), 제1핀 부재(40), 제2핀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변압기(100)는 보빈(10)에 장착되는 코어(도시되지 않음)와 보빈(10)에 감기는 코일(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로 분류될 수 있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보빈(10)은 제1방향(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보빈(10)의 중앙에는 보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공(11)에는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코어가 삽입될 수 있다.
보빈(10)의 양단에는 핀 부재(40, 42, 50)가 결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보빈(10)의 일 단(12)에는 제1핀 부재(40, 42)가 결합하고, 타 단(14)에는 제2핀 부재(50)가 결합할 수 있다.
한펴, 보빈(10)의 일 단(12)에는 절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6)는 보빈(10)의 길이방향(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절개부(16)에는 다수의 제1돌기(70)와 제1홈(7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돌기(70)와 제1홈(72)은 절개부(16)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16)의 길이방향(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립 부재(20)는 보빈(10)의 일 단(12)에 끼워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조립 부재(20)는 보빈(10)의 절개부(16)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보빈(10)의 절개부(16)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립 부재(20)에는 절개부(16)의 제1돌기(70) 및 제1홈(72)과 각각 대응하는 제2홈(82)과 제2돌기(80)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제1돌기(70)와 제1홈(72)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결합 수단일 수 있고, 제2돌기(80)와 제2홈(82)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2결합 수단일 수 있다.
제1핀 부재(40, 42)는 보빈(10)의 일 단(12)과 조립 부재(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제2핀 부재(50)는 보빈(10)의 타 단(14)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핀 부재(40, 42)에는 1차 코일의 끝이 고정될 수 있고, 제2핀 부재(50)에는 2차 코일의 끝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제1핀 부재(40, 42)와 제2핀 부재(50) 간의 거리만큼 절연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보빈(10)의 일 단(12)에 형성되는 제1핀 부재(42)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첨부된 도 1에서는 제1핀 부재(40, 42)가 4개이고 제2핀 부재(50)가 5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이므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압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절연 거리(L1, L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100)는 절연 거리(L2)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압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 거리(L1: 제1핀 부재(42)와 제2핀 부재(50) 사이의 거리)와 제2절연 거리(L2: 제1핀 부재(40)와 제2핀 부재(50) 사이의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조립 부재(20)의 결합 위치를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변경하여 제2절연 거리(L2)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변압기(100)는 조립 부재(20)를 절개부(16)의 안쪽(도 1 기준으로 X축의 + 방향)에 끼워넣어 절연 거리(L2)를 줄일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조립 부재(20)를 절개부(16)의 바깥쪽(도 1 기준으로 X축의 - 방향)에 끼워넣어 절연 거리(L2)를 느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변압기가 탑재될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절연 거리(L1, L2)를 용이하게 선택하거나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조립 부재(20)의 형상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즉,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립 부재(20)는 제2돌기(80)와 제2홈(82)이 조립 부재(20)의 둘레(Y-Z평면 방향)를 따라 형성된 점에서 제1실시 예의 조립 부재와 구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압기(100)는 조립 부재(20)의 결합 위치를 보빈(10)의 길이방향(도 4 기준으로 X축 방향)과 보빈(10)의 높이 방향(도 4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모두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핀 부재(40)와 제1핀 부재(42) 간의 높이 편차가 최대가 되도록 조립 부재(20)를 배치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핀 부재(40)와 제1핀 부재(42) 간의 높이 편차가 최소가 되도록 조립 부재(20)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는 인접한 제1핀 부재(40)와 제1핀 부재(42) 간의 거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핀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후자는 보빈(10)과 조립 부재(2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변압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제1결합 수단과 제2결합 수단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즉, 제1결합 수단인 제1돌기(70)와 제1홈(72)은 보빈(10)의 일단(12)의 밑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결합 수단인 제2돌기(80)와 제2홈(82)은 조립 부재(20)의 윗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압기(100)는 보빈(10)과 조립 부재(2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조립 부재(20)의 결합 위치의 변경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보빈(10)과 조립 부재(20)의 형상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제4실시 예에 따른 보빈(10)은 일 단(12)에 다수의 제1홈(7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홈(72)은 보빈(10)의 일 단(12)에 보빈(10)의 길이방향(도 9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홈(72)의 단면은 후술할 제2돌기(8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립 부재(20)는 보빈(10)의 일 단(12)을 수용할 수 있는 끼움 홈(22)을 구비할 수 있다. 끼움 홈(22)에는 복수의 제2돌기(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돌기(80)는 제1홈(72)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압기(100)는 보빈(10)의 일 단(12)이 조립 부재(20)의 끼움 홈(22)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보빈(10)과 조립 부재(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홈(72)과 제2돌기(80)의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이므로(도 10 참조), 보빈(10)에 대한 조립 부재(20)의 결합 위치 변경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보빈(10)과 조립 부재(20)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변압기(100)에서 제1결합 수단과 제2결합 수단은 돌기 및 홈이 아닌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 수단은 보빈(10)의 일 단(12)에 형성되는 수용 홈(18)이고, 제2결합 수단은 조립 부재(20)의 일 단에 길게 형성되는 돌출편(24)일 수 있다.
따라서, 보빈(10)과 조립 부재(20) 간의 결합은 수용 홈(18)에 끼워지는 돌출편(2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핀 부재(40)와 제2핀 부재(50) 간의 절연 거리는 수용 홈(18)에 끼워지는 돌출편(24)의 삽입 깊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압기(100)는 보빈(10)과 조립 부재(20) 간의 결합이 수용 홈(18)과 돌출편(24) 간의 면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제1핀 부재(40)와 제2핀 부재(50) 간의 절연 거리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보빈(10)에 대한 조립 부재(20)의 결합위치가 결정되면, 보빈(10)과 조립 부재(20)의 결합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보빈(10)과 조립 부재(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보빈(10)의 형상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6실시 예에 따른 보빈(10)은 타 단(14)에 절개부(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절개부(142)에는 제3핀 부재(60)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압기(100)는 더욱 다양한 절연 거리(L1, L2, L3, L4)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변압기(100)는 제1핀 부재(42)와 제2핀 부재(50)에 의해 형성되는 제1절연 거리(L1), 제1핀 부재(40)와 제2핀 부재(50)에 의해 형성되는 제2절연 거리(L2), 제1핀 부재(42)와 제3핀 부재(60)에 의해 형성되는 제3절연 거리(L3), 제1핀 부재(40)와 제3핀 부재(60)에 의해 형성되는 제4절연 거리(L4)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전자 장치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없이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를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7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100)는 2개의 조립 부재(20, 30)를 구비한 점에서 전술된 실시 예들과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보빈(10)은 2개의 절개부(16, 17)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0)의 일 단(12)과 타 단(14)에는 각각 절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12)의 절개부(16)에는 제1조립 부재(20)가 끼워질 수 있고, 타 단(14)의 절개부(17)에는 제2조립 부재(30)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조립 부재(20)에는 제1핀 부재(40)가 구비될 수 있고, 제2조립 부재(30)에는 제2핀 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압기(100)는 제1조립 부재(20)와 제2조립 부재(3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제1핀 부재(40)와 제2핀 부재(50) 간의 절연 거리(L2)를 더욱더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는 일부 핀 부재(40)가 조립 부재(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모든 핀 부재(40, 42)가 조립 부재(20)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된 실시 예에서는 제1핀 부재(40)에 1차 코일이 고정되고 제2핀 부재(50)에 2차 코일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1핀 부재(40)에 2차 코일이 고정되고 제2핀 부재(50)에 1차 코일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변압기
10 보빈
12 (보빈의) 일 단 14 (보빈의) 타 단
16 절개부 18 수용 홈
20 조립 부재 또는 제1조립 부재
22 끼움 홈 24 돌출편
30 제2조립 부재
40 제1핀 부재 50 제2핀 부재
60 제3핀 부재
70 제1돌기 72 제1홈
80 제2돌기 82 제2홈

Claims (31)

  1. 일 단에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보빈;
    상기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조립 부재;
    상기 조립 부재에 형성되는 제1핀 부재; 및
    상기 보빈의 타 단에 형성되는 제2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제1핀 부재로부터 상기 제2핀 부재까지의 절연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단에는 상기 조립 부재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변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 ㎜단위로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조립 부재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변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부재에는 상기 보빈의 일 단이 끼워지는 끼움 홈이 형성되는 변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끼움 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 부재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돌출편인 변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돌출편에는 각각 요철이 형성되는 변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변압기.
  11. 일 단에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보빈;
    상기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조립 부재;
    상기 보빈의 일단 및 상기 조립 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제1핀 부재;
    상기 보빈의 타 단에 형성되는 제2핀 부재; 및
    상기 제2핀 부재와 다른 절연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보빈의 타 단의 절개부에 형성되는 제3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제1핀 부재로부터 상기 제2핀 부재까지의 절연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변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단에는 상기 조립 부재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변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조립 부재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변압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부재에는 상기 보빈의 일 단이 끼워지는 끼움 홈이 형성되는 변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끼움 홈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조립 부재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 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돌출편인 변압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돌출편에는 각각 요철이 형성되는 변압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변압기.
  21. 일 단과 타 단에 각각 제1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보빈;
    상기 일 단의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제1조립 부재;
    상기 타 단의 제1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2결합 수단이 형성되는 제2조립 부재;
    상기 제1조립 부재에 형성되는 제1핀 부재; 및
    상기 제2조립 부재에 형성되는 제2핀 부재;
    를 포함하는 변압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 단 및 타 단에는 상기 제1조립 부재와 상기 제2조립 부재가 각각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변압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조립 부재 및 상기 제2조립 부재의 둘레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변압기.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 부재에는 상기 보빈의 일 단이 끼워지는 제1끼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조립 부재에는 상기 보빈의 타 단이 끼워지는 제2끼움 홈이 형성되는 변압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1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제1끼움 홈의 내측면 및 상기 제2끼움 홈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제2홈 및 제2돌기인 변압기.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수단은 상기 보빈의 일 단 및 타 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 부재 및 상기 제2조립 부재의 일 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수용 홈이고,
    상기 제2결합 수단은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돌출편인 변압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과 상기 돌출편에는 각각 요철이 형성되는 변압기.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1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변압기.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핀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제2핀 부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변압기.
KR1020120070529A 2012-06-29 2012-06-29 변압기 KR10138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529A KR101388830B1 (ko) 2012-06-29 2012-06-29 변압기
CN201210315650.6A CN103515064B (zh) 2012-06-29 2012-08-30 变压器
CN2012204381526U CN202871506U (zh) 2012-06-29 2012-08-30 变压器
EP12275147.2A EP2680282A1 (en) 2012-06-29 2012-09-21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529A KR101388830B1 (ko) 2012-06-29 2012-06-29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58A KR20140003058A (ko) 2014-01-09
KR101388830B1 true KR101388830B1 (ko) 2014-04-23

Family

ID=4708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529A KR101388830B1 (ko) 2012-06-29 2012-06-29 변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680282A1 (ko)
KR (1) KR101388830B1 (ko)
CN (2) CN1035150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30B1 (ko) *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변압기
CN104332291B (zh) * 2014-08-28 2016-08-17 合肥市菲力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针脚高度可调的变压器骨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945A (ja) * 1995-12-22 1997-07-11 Tokin Corp ピン端子付ボビ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KR200185139Y1 (ko) 1999-12-28 2000-06-15 용인전자주식회사 결합형 보빈
JP2012015526A (ja) * 2010-07-02 2012-01-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68B2 (ja) * 1984-06-07 1994-03-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変成器
JPS61172318A (ja) * 1985-01-28 1986-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変成器
JP2668545B2 (ja) * 1988-04-26 1997-10-27 株式会社キジマ 電気巻線部品
JPH03222309A (ja) * 1990-01-26 1991-10-01 Musashino Tsuukou Kk 二重絶縁構造トランス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858063B2 (ja) 1992-10-02 1999-02-17 新電元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06851A (ja) * 1996-09-27 1998-04-24 Tokin Corp インダクタ
JP3454801B2 (ja) * 2001-08-08 2003-10-06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コイルボビン
KR20050021683A (ko) 2003-08-25 2005-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트랜스포머
CN201378502Y (zh) * 2009-02-26 2010-01-06 刘清伟 一种安规变压器骨架
KR101388830B1 (ko) *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변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945A (ja) * 1995-12-22 1997-07-11 Tokin Corp ピン端子付ボビ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KR200185139Y1 (ko) 1999-12-28 2000-06-15 용인전자주식회사 결합형 보빈
JP2012015526A (ja) * 2010-07-02 2012-01-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0282A1 (en) 2014-01-01
CN103515064A (zh) 2014-01-15
CN202871506U (zh) 2013-04-10
KR20140003058A (ko) 2014-01-09
CN103515064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652B2 (ja) 有極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組立
US8922320B2 (en) Transformer
CN109727819A (zh) 电磁继电器
US20170162353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200203052A1 (en) Coil component
JP5234033B2 (ja) 電源装置
KR20140015993A (ko) 변압기
JP2007157956A (ja)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
JP2014175353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KR101388830B1 (ko) 변압기
JP2013507783A (ja) 閉磁気コアと永久磁石とを有する点火コイル、ならびに同コイルの製造方法
KR20200121743A (ko) 안테나
US20140266553A1 (en) Bobbin and magnetic mechanism using the same
JP6561460B2 (ja) コイル部品
US20150116069A1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265104A1 (en) Coil component
KR20150073067A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5729405B2 (ja) コイル部品
CN103681114B (zh) 电磁开关设备
US9251949B2 (en) Magnetic element
US11211195B2 (en) Noise current absorber
JP2008218465A (ja) コイル部品
KR20150139851A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JP2008252035A (ja) コア巻線構造及び絶縁部材
JP2017204631A (ja) 磁気ラッチ式ソレノイドアクチュエータ用プラン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