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139Y1 - 결합형 보빈 - Google Patents

결합형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139Y1
KR200185139Y1 KR2019990030047U KR19990030047U KR200185139Y1 KR 200185139 Y1 KR200185139 Y1 KR 200185139Y1 KR 2019990030047 U KR2019990030047 U KR 2019990030047U KR 19990030047 U KR19990030047 U KR 19990030047U KR 200185139 Y1 KR200185139 Y1 KR 200185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erminal
pin
presen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현
Original Assignee
용인전자주식회사
최홍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인전자주식회사, 최홍현 filed Critical 용인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30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1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보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소형 트랜스형 결합형 보빈에 관한 것으로 1차, 2차 권선 또는 섹션 권선이 가능한 권선부위의 보빈과 핀이 삽입된 결선 부위의 단자를 결합시켜 제품의 다양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킨 결합형 보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결선부위의 보빈은 저렴한 일반 사출물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선 부위의 컨넥터는 열 안정성이 좋은 평판 재질에 핀 자동삽입기에 의해 핀이 삽입된 핀 어레이를 용도에 맞게 끊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보빈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합형 보빈 {Joint type bobbin}
본 고안은 모니터, 노우트북 PC 등의 정보 통신기기에 사용되는 소형 트랜스용의 결합 보빈에 관한 것으로, 특히 1차, 2차 권선 또는 섹션 권선이 가능한 권선부위의 보빈과 핀이 삽입된 결선부위의 단자를 별도로 제조하여 필요한 각도에서 보빈과 단자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킨 결합형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트랜스용의 보빈은 모니터나 노우트북 PC 등의 정보 통신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트랜스용 보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을 하기 위한 보빈(10)과 결선을 하기 위한 핀(30)을 가진 단자(20)가 일체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체화된 보빈을 사출하기가 어려워 사출 금형비가 고가이었으며, 결선 부위의 단자(20)는 보빈(10)의 사출 성형후 핀(30)을 삽입하거나 사출 과정 중 동시에 핀(30)을 삽입 성형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핀(30)이 단자(20)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핀(30)을 임의 로 빼고 끼울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빈(10)의 성형은 핀(30)의 납땜을 고려하여 내열성이 좋은 고가의 사출 재료로 고온의 사출 성형기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보빈(10)의 원가가 증가하였다.
또한, 일체형 보빈으로 성형함으로써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고 단지 전용 트랜스로서만 사용해야 하는 제한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권선 부위의 보빈과 결선부위의 단자를 별개로 형성하여 보빈은 내열성이 약하면서 원가가 싼 것으로 제조하고, 단자는 고가이지만 내열성이 강한 것을 사용하여 제조한 후 이들 부품을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형 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한 금형으로 단자 프레임을 바꿈으로써 즉, 핀 숫자나 핀 위치, 핀 배열을 임의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규격에 호환성이 있도록 하는 결합형 보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보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결합형 보빈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결합형 보빈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단자 어레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보빈 2:돌기
3:핀 4:구멍
5:단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권선 부위의 보빈은 저렴한 일반 성형 재료로 성형된 단순 보빈으로 하고, 내열성이 문제가 되는 결선부위의 단자는 열안정성이 좋은 평판 재질에 핀이 삽입된 핀 어레이를 적당한 길이로 끊어 사용하는 단자로 구성하되, 상기 단자를 보빈의 측면 또는 하단부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관형이나 표면 실장형 모두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형 보빈의 분해 상태 사시도로, 1차, 2차 권선 또는 섹션 권선이 가능한 권선부위의 보빈(1)과, 상기 보빈(1)의 양측 하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2)와, 하단에 다수의 핀(3)이 부착되고 양측에 상기 돌기(2)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용 구멍(4)이 형성된 단자(5)로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결합형 보빈의 분해 상태 사시도로, 상기 제1실시 예의 경우와 유사하나, 이 경우에는 돌기(2)를 보빈(1)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하고, 다수의 핀(3)을 가진 단자(5)에도 양 측방에 결합용 구멍(4)을 형성한 차이가 있다.
단, 상기 도 2와 도 3에서 상기 보빈(1)에 구멍이 형성되고, 단자(5)에 돌기가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단자(5) 어레이를 나타낸 것으로, 연속하여 단자 어레이를 형성하고 이들 어레이를 적당한 길이로 끊어 단자(5)로 사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보빈(1)과 단자(5)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개로 형성한 후 이들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되는 단자(5)어레이를 제조하여 적당한 길이로 끊어 하나의 단자(5)로 사용한다.
이러한 단자(5)에는 하단에 다수의 핀(3)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관통되게 한 쌍의 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빈(1)의 양단 하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2)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돌기(2)를 상기 단자(5)의 구멍(4)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권선 부위의 열 특성은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전기적 특성과 성형성이 좋은 저렴한 일반 사출 성형으로 보빈(1)을 형성하고, 결선부위의 단자(5)는 열 특성과 작업성을 고려하여 핀 어레이 부품을 부분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같은 실시 예의 경우에는, 단자(5)에 구멍(4)이 측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보빈(1)에도 양측 하단에 측면으로 한 쌍의 돌기(2)가 형성되어 이들 돌기(2)를 단자(5)의 구멍(4)에 수평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과 같이 권선 부위의 보빈과 결선 부위의 단자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별개로 형성하여 다양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보빈의 주위에 코일을 권선하여 트랜스로 사용하며, 단자(5)의 핀(3)에는 결선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보빈(1)에 돌기(2)대신 구멍을 형성하고, 단자(5)에는 구멍(4)대신 돌기를 형성하여 단자(5)의 돌기를 보빈(1)의 구멍에 끼워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권선부위의 보빈과 결선 부위의 단자를 각각 특성을 살려 제조한 2종류의 부품을 결합시킨 구조로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가의 사출기를 사용하지 않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핀 어레이 부품인 단자를 권선 부위의 보빈에 결합함에 있어 보빈의 측면 또는 하단의 어느 부분에 결합하는가에 따라 핀형 트랜스와 표면 실장형 트랜스로 구성할 수 있어 모든 규격에 호환성이 있는 다양한 보빈을 저가에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보통신 기기에 사용되는 소형 트랜스용의 보빈에 있어서,
    1차, 2차 권선 또는 섹션 권선이 가능하며, 양측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권선 부위의 보빈과,
    다수의 핀이 부착되고 다수의 결합용 구멍이 형성된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보빈의 돌기를 단자의 구멍에 삽입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보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돌기가, 하방이나 측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보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구멍과 핀이 하방이나 측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보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어레이로 형성하여 일정부분씩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보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구멍이 형성되고, 단자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형 보빈.
KR2019990030047U 1999-12-28 1999-12-28 결합형 보빈 KR200185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047U KR200185139Y1 (ko) 1999-12-28 1999-12-28 결합형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047U KR200185139Y1 (ko) 1999-12-28 1999-12-28 결합형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139Y1 true KR200185139Y1 (ko) 2000-06-15

Family

ID=1960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047U KR200185139Y1 (ko) 1999-12-28 1999-12-28 결합형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1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30B1 (ko)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변압기
GB2568497A (en) * 2017-11-17 2019-05-22 Invertek Drives Ltd A transfor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30B1 (ko) 2012-06-29 2014-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변압기
GB2568497A (en) * 2017-11-17 2019-05-22 Invertek Drives Ltd A transform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for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2175B2 (en) Electronic packaging device
US6219913B1 (en) Connector producing method and a connector produced by insert molding
US6342778B1 (en) Low profile, surface mount magnetic devices
US8052461B2 (en) Bayonet type electronic connector
US20100003863A1 (en)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Termination Variability
SG186504A1 (en) Cross talk reduction for a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US1113962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72931B1 (en) Male-female mutually-pluggable connector
US7204719B2 (en) Connector for solderless connection and plug connected to the connector
US6193568B1 (en) Mid connector with extending solder creeping paths
CN116014404A (zh) 谐振器及滤波器
KR200185139Y1 (ko) 결합형 보빈
US20080297297A1 (en) Conductive winding structure and transformer having such conductive winding structure
JPH0765880A (ja)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
US679353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114297B2 (ja) グランドバー及びケーブルアセンブリ
US5438307A (en) Single-pole magnetic reed relay
CN102013588A (zh) 电路板端子
JPS61227386A (ja) グランド端子板を有する多極コネクタおよびその作成方法
US6575780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n external cable
JP3054231B2 (ja) コイル装置
US6102748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05063A (ja) 導体配索構造及び該構造を用いた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636151B2 (ja) ピンジャックの回路基板への取付
EP0761075A4 (en) PCB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