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949B1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949B1
KR101386949B1 KR1020070098036A KR20070098036A KR101386949B1 KR 101386949 B1 KR101386949 B1 KR 101386949B1 KR 1020070098036 A KR1020070098036 A KR 1020070098036A KR 20070098036 A KR20070098036 A KR 20070098036A KR 101386949 B1 KR101386949 B1 KR 10138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electrode
internal
exposed
interna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895A (ko
Inventor
마사키 토가시
요시토모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01G4/2325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제 1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접속 도체와,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과, 제 1 접속 도체와 제 1 단자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절연체를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복수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이 배치된다. 제 2 단자 전극은 제 2 내부 전극에 접속된다. 각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는 제 1 인출부를 갖는다. 일부의 제 1 내부 전극이, 제 1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는 제 2 인출부도 갖는다. 제 1 접속 도체는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의 단부를 전부 연속적으로 덮는 동시에, 제 1 인출부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제 1 단자 전극은 제 1 절연체 전영역 및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덮고, 또한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배치된다.
적층, 콘덴서, 절연체, 전극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적층 콘덴서로서,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한 쌍의 주면(
Figure 112007070101864-pat00001
)과, 한 쌍의 주면 간을 연결하도록 한 쌍의 주면의 장변(
Figure 112007070101864-pat00002
)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과, 한 쌍의 주면간을 연결하도록 한 쌍의 주면의 단변(
Figure 112007070101864-pat00003
)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 직방체형의 콘덴서 소체(
Figure 112007070101864-pat00004
)와, 주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콘덴서 소체가, 한 쌍의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워 대향하도록 교대로 배치되는 동시에 대응하는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내부 전극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한 쌍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단자 전극의 간격이 짧기 때문에, 상기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가 비교적 짧아지고, 등가 직 렬 인덕턴스(ESL)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48174호
그런데,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는 그 용도에 따라, 등가 직렬 저항(ESR)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적층 콘덴서를 디커플링 콘덴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요구가 있다. 디지털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PU)에 공급용의 전원에 있어서는 저전압화가 진행되는 한편으로 부하전류는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부하전류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전원 전압의 변동을 허용치 내로 억제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게 되었기 때문에, 디커플링 콘덴서라고 불리는 적층 콘덴서가 전원에 접속되게 되었다. 그리고, 부하전류의 과도적인 변동 시에 이 적층 콘덴서로부터 CPU에 전류를 공급하고, 전원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CPU의 동작 주파수가 더욱 고주파수화됨에 따라, 부하전류는 고속이며 보다 큰 것으로 되고, 디커플링 콘덴서에 사용되는 적층 콘덴서에는 대용량화와 함께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한 검토는 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는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과, 제 1 및 제 2 주면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제 1 및 제 2 주면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고, 복수의 절연체층이 제 1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교대로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 전극과,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단자 전극과,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도체와, 접속 도체 전영역을 덮도록 제 1 단자 전극과 접속 도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체를 구비하고, 제 2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각 제 1 내부 전극은 주전극부 및 상기 주전극부로부터 제 1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1 인출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은 주전극부로부터 제 1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2 인출부를 더 포함하고, 접속 도체는 콘덴서 소체의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단부를 덮지 않고,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의 단부를 전부 연속적으로 덮는 동시에, 제 1 인출부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제 1 단자 전극과 제 1 측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절연체는 콘덴서 소체의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단부를 덮지 않고, 제 1 단자 전극은 절연체 전영역 및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단부를 연속적으로 덮고, 또한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 1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 전극은 접속 도체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도체는 절연체로 덮여 있고, 제 1 단자 전극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제 2 인출부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1층의 제 1 내부 전극만이, 다른 내부 전극을 통하지 않고 제 1 단자 전극에 직접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상술한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은 모두, 제 1 및 제 2 주면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의 간격이 짧아지고, 상기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가 비교적 짧아지기 때문에, 등가 직렬 인덕턴스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적층 콘덴서는 제 1 내부 전극을 접속하는 접속 도체에 대하여, 상기 접속 도체를 덮는 절연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접속 도체와 랜드 패턴의 접속관계에 대하여 배려하지 않고, 기판 등에 실장할 수 있게 되어,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하지 도체를 더 구비하고, 하지 도체는 제 1 측면 상에 있어서 접속 도체와는 겹치지 않고,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단부를 덮도록, 제 1 측면과 제 1 단자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금속재료를 제 1 측면 상에 소결함으로써 접속 도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결 시에, 제 1 측면에 노출된 제 1 내부 전극의 제 2 인출부의 단부가 산화되는 것을 적합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 및 단지 예로서 주어진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 범위는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반면 단지 예로서 주어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이것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 1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접속 도체, 절연체, 하지 도체, 및 제 1 단자 전극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접속 도체, 절연체, 하지 도체, 및 제 2 단자 전극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V-V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VI-VI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3, 도 4에 있어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빗금을 생략한다.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C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와, 콘덴서 소체(L1)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11, 21), 제 1 및 제 2 하지 도체(12A, 12B, 22A, 22B), 제 1 및 제 2 절연체(13, 23), 및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10, 20)을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L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과,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 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L1c, L1d)과,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 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L1e, L1f)을 갖는다.
콘덴서 소체(L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7층)의 절연체층(30 내지 36)은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대향 방향으로 적층 되어 형성된 적층체이다. 각 절연체층(30 내지 36)이 예를 들면 절연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또, 실제의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절연체층(30 내지 36)의 사이의 경계가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L1)내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3층)의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40 내지 42, 50 내지 52)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40 내지 42, 50 내지 52)은 복수의 절연체층(30 내지 36)중 적어도 1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도록, 교대로 콘덴서 소체(L1)내에 배치된다. 각 내부 전극(40 내지 42, 50 내지 52)은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예를 들면 Ni, Ag/Pd를 주성분으로 한 도체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각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주전극부(40a 내지 42a)와, 주전극부(40a 내지 42a)로부터 제 1 측면(L1c)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1 인출부(40b 내지 42b)를 포함한다. 제 1 인출부(40b 내지 42b)는 대응하는 주전극부(40a 내지 42a)의 제 1 측면(L1c)측의 장변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제 1 측면(L1c)을 향하여 신장한다.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중, 1개의 제 1 내부 전극(40)은 주전극부(40a)로부터 제 1 측면(L1c)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2 인출부(40c, 40d)를 더 포함한다. 제 2 인출부(40c)는 주전극부(40a)의 제 1 측면(L1c)측의 장변의 제 3 측면(L1e)측으로부터, 제 1 측면(L1c)을 향하여 신장한다. 제 2 인출부(40d)는 주전극부(40a)의 제 1 측면(L1c)측의 장변의 제 4 측면(L1f)측으로부터, 제 1 측면(L1c)을 향하여 신장한다.
제 1 내부 전극(40)에서는 콘덴서 소체(L1)의 제 3 측면(L1e)측으로부터 제 4 측면(L1f)측을 향하여, 제 2 인출부(40c), 제 1 인출부(40b), 제 2 인출부(40d)가 이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내부 전극(50 내지 52)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주전극부(50a 내지 52a)와, 주전극부(50a 내지 52a)로부터 제 2 측면(L1d)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3 인출부(50b 내지 52b)를 포함한다. 제 3 인출부(50b 내지 52b)는 대응하는 주전극부(50a 내지 52a)의 제 2 측면(L1d)측의 장변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제 2 측면(L1d)을 향하여 신장한다.
제 2 내부 전극(50 내지 52)중, 1개의 제 2 내부 전극(52)은 주전극부(52a)로부터 제 2 측면(L1d)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4 인출부(52c, 52d)를 더 포함한다. 제 2 인출부(52c)는 주전극부(52a)의 제 2 측면(L1d)측의 장변의 제 3 측면(L1e)측으로부터, 제 2 측면(L1d)을 향하여 신장한다. 제 4 인출부(52d)는 주전극부(52a)의 제 2 측면(L1d)측의 장변의 제 4 측면(L1f)측으로부터, 제 2 측면(L1d)을 향하여 신장한다.
제 2 내부 전극(52)에서는 콘덴서 소체(L1)의 제 3 측면(L1e)측으로부터 제 4 측면(L1f)측을 향하여, 제 2 인출부(52c), 제 1 인출부(52b), 제 2 인출부(52d)가 이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내부 전극(40)의 주전극부(40a)와 제 2 내부 전극(50)의 주전극부(50a)는 절연체층(31)을 끼워 대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41a)와 제 2 내부 전극(50)의 주전극부(50a)는 절연체층(32)을 끼워 대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41)의 주전극부(41a)와 제 2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51a)는 절연체층(33)을 끼워 대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42a)와 제 2 내부 전극(51)의 주전극부(51a)는 절연체층(34)을 끼워 대향하고 있다. 제 1 내부 전극(42)의 주전극부(42a)와 제 2 내부 전극(52)의 주전극부(52a)는 절연체층(35)을 끼워 대향하고 있다.
제 1 측면(L1c) 상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도체(11), 제 1 하지 도체(12A, 12B), 제 1 절연체(13), 및 제 1 단자 전극(10)이 배치된다. 제 1 접속 도체(11)는 제 1 측면(L1c)으로 노출되는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의 제 1 인출부(40b 내지 42b)의 단부를 전부 연속적으로 덮도록, 제 1 측면(L1c)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11)는 제 1 측면(L1c)과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접속 도체(11)는 제 1 측면(L1c)에 노출되는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c, 40d)의 단부의 어느 것도 덮지 않는다.
제 1 하지 도체(12A)는 제 1 측면(L1c)에 노출되는 제 2 인출부(40c)의 단부를 덮도록, 제 1 측면(L1c) 위이며 또한 제 1 단자 전극(1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하지 도체(12B)는 제 1 측면(L1c)에 노출되는 제 2 인출부(40d)의 단부를 덮도록, 제 1 측면(L1c) 위이며 또한 제 1 단자 전극(1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하지 도체(12A, 12B)는 제 1 측면(L1c)과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하지 도체(12A, 12B)는 모두, 제 1 측면(L1c) 상에 있어서, 서로 겹치지 않고, 또한 제 1 접속 도체(11)와 겹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제 1 절연체(13)는 제 1 측면(L1c)에 노출되는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c, 40d)의 단부를 덮지 않고 제 1 접속 도체(11) 전영역을 덮도록, 제 1 접속 도체(11) 위, 즉 제 1 접속 도체(11)와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 전극(10)은 제 1 절연체(13) 전영역 및 제 1 하지 도체(12A, 12B) 전영역을 연속적으로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 전극(10)은 제 1 측면(L1c)에 노출되는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c, 40d)의 단부를 덮게 된다.
제 2 측면(L1d) 상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 도체(21), 제 2 하지 도체(22A, 22B), 제 2 절연체(23), 및 제 2 단자 전극(20)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접속 도체(21)는 제 2 측면(L1d)에 노출되는 제 2 내부 전극(50 내지 52)의 제 3 인출부(50b 내지 52b)의 단부를 전부 연속적으로 덮도록, 제 2 측면(L1d)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접속 도체(21)는 제 2 측면(L1d)과 제 2 단자 전극(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접속 도체(21)는 제 2 측면(L1d)에 노출되는 제 2 내부 전극(52)의 제 4 인출부(52c, 52d)의 단부를 어느 것도 덮지 않는다.
제 2 하지 도체(22A)는 제 2 측면(L1d)에 노출되는 제 2 인출부(52c)의 단부를 덮도록, 제 2 측면(L1d) 위이며 또한 제 2 단자 전극(2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하지 도체(22B)는 제 2 측면(L1d)에 노출되는 제 2 인출부(52d)의 단부를 덮도록, 제 2 측면(L1d) 위이며 또한 제 2 단자 전극(20)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하지 도체(22A, 22B)는 제 2 측면(L1d)과 제 2 단자 전극(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하지 도체(22A, 22B)는 모두, 제 2 측면(L1d) 상에 있어서, 서로 겹치지 않으며, 또한 제 2 접속 도체(21)와 겹치지 않고 배치되어 있다.
제 2 절연체(23)는 제 2 측면(L1d)에 노출되는 제 2 내부 전극(52)의 제 2 인출부(52c, 52d)의 단부를 덮지 않고 제 2 접속 도체(21) 전영역을 덮도록, 제 2 접속 도체(21) 위, 즉, 제 2 접속 도체(21)와 제 2 단자 전극(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단자 전극(20)은 제 2 절연체(23) 전영역 및 제 2 하지 도체(22A, 22B) 전영역을 연속적으로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단자 전극(20)은 제 2 측면(L1d)에 노출되는 제 2 내부 전극(52)의 제 2 인출부(52c, 52d)의 단부를 덮게 된다.
도 5에,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V-V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로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의 제 1 인출부(40b 내지 42b)의 단부는 제 1 접속 도체(11)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50 내지 52)의 제 3 인출부(50b 내지 52b)의 단부는 제 2 접속 도체(21)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5로부터, 제 1 접속 도체(11)는 제 1 측면(L1c)과 제 1 절연체(13)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절연체(13)는 제 1 접속 도체(11)와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제 2 접속 도체(21)는 제 2 측면(L1d)과 제 2 절연체(23)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절연체(23)는 제 2 접속 도체(21)와 제 2 단자 전극(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이해된다.
도 6에,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VI-VI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c)의 단부는 제 1 하지 도체(12A)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52)의 제 4 인출부(52c)의 단부는 제 2 하지 도체(22A)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d)의 단부는 제 1 하지 도체(12B)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내부 전극(52)의 제 4 인출부(52d)의 단부는 제 2 하지 도체(22B)에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6으로부터, 제 1 하지 도체(12A)는 제 1 측면(L1c)과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이해된다. 더욱이, 제 2 하지 도체(22A)는 제 2 측면(L1d)과 제 2 단자 전극(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 1 하지 도체(12B)는 제 1 측면(L1c)과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하지 도체(22B)는 제 2 측면(L1d)과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단자 전극(10)은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c, 40d)에, 다른 내부 전극 및 제 1 접속 도체(11)를 통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단자 전극(20)은 제 2 내부 전극(52)의 제 4 인출부(52c, 52d)에, 다른 내부 전극 및 제 2 접속 도체(21)를 통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1 단자 전극(10)은 제 1 접속 도체(11)를 통하는 것으로,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단자 전극(20)은 제 2 접속 도체(21)를 통함으로써,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50 내지 52)에 전기적으로 접 속된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적층 콘덴서(C1)의 콘덴서 소체(L1)에 대하여 제 1 접속 도체, 제 1 절연체, 제 1 하지 도체, 및 제 1 단자 전극을 형성하여, 적층 콘덴서(C1)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 도 7, 도 8에 있어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빗금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콘덴서 소체(L1)의 제 1 측면(L1c) 상에 제 1 접속 도체(11) 및 제 1 하지 도체(12A, 12B)를 형성한다. 제 1 접속 도체(L1)의 형성은 제 1 측면(L1c) 상에 있어서,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의 제 1 인출부(40b 내지 42b)가 노출되는 단부를 전부 연속적으로 덮도록 도체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이 페이스트에 대하여 가열(소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행한다. 제 1 하지 도체(12A)의 형성은 제 1 측면(L1c) 상에 있어,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c)가 노출되는 단부를 덮도록 도체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이 페이스트에 대하여 소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행한다. 제 1 하지 도체(12B)의 형성은 제 1 측면(L1c) 상에 있어서,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d)가 노출되는 단부를 덮도록 도체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이 페이스트에 대하여 소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행한다. 도체 페이스트로서, 예를 들면 Cu, 또는 Ni, 또는 Ag를 주성분으로 한 도체 페이스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소결 처리를 함으로써,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의 제 1 인출부(40b 내지 42b)와 제 1 접속 도체(11)가, 또한, 제 1 내부 전극(40)의 제 2 인출부(40c, 40d)와 제 1 하지 도체(12A, 12B)가 각각 합금화되기 때문에, 이들의 인출부와 접속 도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한층 더 확실하게 된다.
다음에, 제 1 접속 도체(11) 상에 제 1 절연체(13)를 형성한다. 제 1 절연체(13)는 제 1 접속 도체(11) 전영역을 덮도록, 제 1 접속 도체(11) 상에 절연체 페이스트(예를 들면 유리, 또는 세라믹스, 또는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를 도포하고, 도포된 페이스트를 소결하거나(절연체 페이스트가 예를 들면 유리 또는 세라믹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 또는 건조(절연체 페이스트가 예를 들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함으로써 형성된다. 또는, 제 1 접속 도체(11) 형성을 위해 도포한 도체 페이스트의 표면을 산화시킴으로써, 제 1 절연체(13)를 형성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제 1 절연체(13) 및 제 1 하지 도체(12A, 12B) 상에 제 1 단자 전극(10)을 형성한다. 제 1 단자 전극(10)은 제 1 절연체(13) 및 제 1 하지 도체(12A, 12B)의 쌍방을 연속적으로 덮도록, 제 1 측면(L1c) 상에 도체 페이스트(예를 들면 Cu, 또는 Ni, 또는 Ag, 또는 도전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를 도포하여 소결하거나(도체 페이스트가 예를 들면 Cu, 또는 Ni, 또는 Ag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 또는 건조(도체 페이스트가 예를 들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경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하거나 또는 건조된 제 1 단자 전극(10)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에 의해, 제 1 단자 전극(10)은 콘덴서 소체(L1)에 형성된다.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내부 전극(40 내지 42)의 제 1 인출부(40b 내지 42b)는 제 1 접속 도체(11)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내부 전 극(40 내지 42)은 제 1 접속 도체(11)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접속 도체(11)는 제 1 절연체(13)로 덮여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접속 도체(11)는 기판 등에 형성된 랜드 패턴에 접속되는 제 1 단자 전극(10)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한편, 제 1 내부 전극(40)만이 제 2 인출부(40c, 40d)를 갖고, 제 1 단자 전극(10)에 다른 내부 전극 및 제 1 접속 도체(11)를 통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다른 제 1 내부 전극(41, 42)은 제 1 단자 전극(10)에 제 1 내부 전극(40) 및 제 1 접속 도체(11)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들의 결과, 적층콘덴서(C1)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10, 20)은 모두, 제 1 및 제 2 주면(L1a, L1b)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또는 제 2 측면(L1c, L1d)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10, 20)의 간격이 짧아지고, 상기 적층 콘덴서(C1)에 있어서의 전류 경로가 비교적 짧아진다. 그 때문에,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접속 도체(11)와 제 1 단자 전극(10)의 사이에 제 1 절연체(13)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반적인 2단자 콘덴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단자 전극(10, 20)을 그대로 기판 등에 형성된 랜드 패턴에 접 속시키도록 실장하였다고 해도, 상기한 바 같은 효과(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C1)는 일반적인 2단자 콘덴서를 실장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판회로 등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판 등과의 관계에 있어서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층 콘덴서(C1)에 있어서는 제 2 측면(L1d)과 제 2 단자 전극(20)의 사이에, 제 2 접속 도체(21), 제 2 하지 도체(22A, 22B), 및 제 2 절연체(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도, 적층 콘덴서(C1)는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층 콘덴서(C1)에서는 한층 더 등가 직렬 인덕턴스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절연체층(30 내지 36) 및 각 내부 전극(40 내지 42, 50 내지 52)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인출부를 갖고, 다른 내부 전극 및 접속 도체를 통하지 않고 제 1 단자 전극(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내부 전극의 수 및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4 인출부를 갖고, 다른 내부 전극 및 접속 도체를 통하지 않고서 제 2 단자 전극(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내부 전극의 수 및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 및 위치 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내부 전극(40)이 갖는 제 1 및 제 2 인출부의 수 및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내부 전극(52)이 갖는 제 1 및 제 2 인출부의 수 및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11, 21)는 모두,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각 1개이거나, 또는 2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11, 21)는 같은 수가 아니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절연체(13, 23)는 모두,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하지 도체(12A, 12B, 22A, 22B)는 모두, 2개가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1개이거나,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하지 도체(12A, 12B, 22A, 22B)는 같은 수가 아니어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하지 도체(12A, 12B, 22A, 22B)의 쌍방 또는 한쪽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 2 접속 도체(21), 제 2 절연체(23), 및 제 2 하지 도체(22A, 22B)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설명된 바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식들로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경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되며,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모든 그러한 변경들은 다음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 1 측면 상에 배치되는 도체, 절연체, 및 단자 전극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 1 측면 상에 배치되는 도체, 절연체, 및 단자 전극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V-V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적층 콘덴서의 VI-VI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 1 단자 전극 부재를 콘덴서 소체에 대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콘덴서의 제 1 단자 전극 부재를 콘덴서 소체에 대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3)

  1.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
    Figure 112013106483606-pat00017
    )과,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 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의 장변(
    Figure 112013106483606-pat00018
    )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Figure 112013106483606-pat00019
    )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는, 복수의 절연체층이 상기 제 1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적층된 콘덴서 소체(
    Figure 112013106483606-pat00020
    )와,
    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층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교대로 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단자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 도체와,
    상기 제 1 접속 도체 전영역을 덮도록, 상기 제 1 단자 전극과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절연체와,
    상기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 도체와,
    상기 제 2 접속 도체 전영역을 덮도록, 상기 제 2 단자 전극과 상기 제 2 접속 도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절연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 1 내부 전극은 제 1 주전극부와, 상기 제 1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제 1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1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내부 전극 중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제 1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2 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인출부는 상기 제 1 내부 전극의 제 1 주전극부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변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을 향하여 신장하고,
    상기 각 제 2 내부 전극은 제 2 주전극부와, 상기 제 2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제 2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3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내부 전극 중 적어도 1개의 제 2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제 2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4 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제 2 내부 전극의 제 3 인출부는 상기 제 2 내부 전극의 제 2 주전극부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변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상기 제 2 측면을 향하여 신장하고,
    상기 제 1 접속 도체는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덮지 않고, 상기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상기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1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전부 연속적으로 덮는 동시에, 상기 제 1 인출부의 상기 단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제 1 단자 전극과 상기 제 1 측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절연체는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덮지 않고,
    상기 제 1 단자 전극은 상기 제 1 절연체 전영역 및 상기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연속적으로 덮고, 또한 상기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인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는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제 2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내부 전극의 상기 제 4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덮지 않고, 상기 제 2 측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상기 제 2 내부 전극의 상기 제 3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전부 연속적으로 덮는 동시에, 상기 제 3 인출부의 상기 단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제 2 단자 전극과 상기 제 2 측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절연체는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제 2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내부 전극의 상기 제 4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덮지 않고,
    상기 제 2 단자 전극은 상기 제 2 절연체 전영역 및 상기 제 2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내부 전극의 상기 제 4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연속적으로 덮고, 또한 상기 제 2 내부 전극의 상기 제 4 인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 2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접속 도체와 상기 제 2 접속도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에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인출부의 상기 단부에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하지 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지 도체는 상기 제 1 측면 상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도체와는 겹치지 않고, 상기 제 1 측면에 노출되는 상기 제 1 내부 전극의 상기 제 2 인출부의 상기 단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측면과 상기 제 1 단자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제 1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2 인출부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내부 전극은 상기 제 2 주전극부로부터 상기 제 2 측면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신장하는 제 4 인출부를 복수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제 1 인출부의 상기 제 3 측면측 및 상기 제 4 측면측의 쌍방에서 상기 제 2 인출부가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내부 전극에서는 상기 제 3 인출부의 상기 제 3 측면측 및 상기 제 4 측면측의 쌍방에서 상기 제 4 인출부가 인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KR1020070098036A 2006-09-28 2007-09-28 적층 콘덴서 KR101386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5306A JP4354475B2 (ja) 2006-09-28 2006-09-28 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6-00265306 2006-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895A KR20080029895A (ko) 2008-04-03
KR101386949B1 true KR101386949B1 (ko) 2014-04-21

Family

ID=3925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036A KR101386949B1 (ko) 2006-09-28 2007-09-28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20795B2 (ko)
JP (1) JP4354475B2 (ko)
KR (1) KR101386949B1 (ko)
CN (1) CN1011545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0891B2 (en) * 2007-12-17 2012-02-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having low equivalent series inductance and controlled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JP4475338B2 (ja) * 2008-02-14 2010-06-0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JP4450084B2 (ja) * 2008-03-14 2010-04-14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5267583B2 (ja) * 2011-01-21 2013-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CN102655079B (zh) * 2012-04-16 2014-12-24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多层金属-多层绝缘体-金属电容器的制作方法
KR101422926B1 (ko) 2012-10-26 2014-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101412900B1 (ko) 2012-11-06 2014-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9815B1 (ko) * 2013-07-11 2015-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1983154B1 (ko) * 2013-11-05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KR102004780B1 (ko) * 2014-01-27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JP6020503B2 (ja) * 2014-03-31 2016-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6020502B2 (ja) * 2014-03-31 2016-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20160013703A (ko) 2014-07-28 2016-0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커패시터,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사용하는 전자기기
CN113114150B (zh) * 2015-12-24 2024-01-1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滤波器电路以及电容元件
JP6892992B2 (ja) * 2017-07-31 2021-06-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薄膜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61932B1 (ko) * 2018-08-29 2023-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커패시터 부품
JP6965865B2 (ja) * 2018-11-08 2021-11-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174A (ja) * 1995-11-24 1997-06-06 Rohm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構造
JP2004193352A (ja) * 2002-12-11 2004-07-08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実装体
JP2004247386A (ja) * 2003-02-12 2004-09-02 Tdk Corp 複合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1175B2 (ja) * 1997-11-10 1999-12-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3336954B2 (ja) * 1998-05-21 2002-10-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EP1179826A1 (en) * 2000-07-12 2002-02-13 Littelfuse Ireland Development Company Limited An integrated passive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evice
CN100474465C (zh) * 2002-04-15 2009-04-01 阿维科斯公司 通过镀覆技术形成的元件以及制造该元件的方法
US7152291B2 (en) * 2002-04-15 2006-12-26 Avx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plated terminations
KR100568310B1 (ko) * 2004-09-08 2006-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캐패시터
JP4150394B2 (ja) * 2005-09-29 2008-09-17 Tdk株式会社 積層型フィル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8174A (ja) * 1995-11-24 1997-06-06 Rohm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構造
JP2004193352A (ja) * 2002-12-11 2004-07-08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実装体
JP2004247386A (ja) * 2003-02-12 2004-09-02 Tdk Corp 複合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4475B2 (ja) 2009-10-28
KR20080029895A (ko) 2008-04-03
US20080080122A1 (en) 2008-04-03
CN101154502B (zh) 2011-02-09
US7420795B2 (en) 2008-09-02
CN101154502A (zh) 2008-04-02
JP2008085177A (ja)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949B1 (ko) 적층 콘덴서
KR100801777B1 (ko) 고체 전해 콘덴서
JP4953988B2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コンデンサ実装基板
JPWO2008044483A1 (ja) 複合電気素子
KR101010875B1 (ko) 적층 콘덴서
JP4475298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20140081360A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그 제조방법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가 실장된 회로기판
KR101309499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JP2016149426A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
US7558049B1 (en) Multilayer capacitor array
KR20180058021A (ko)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WO2007063704A1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KR101051620B1 (ko) 적층 콘덴서
US8395881B2 (en) Multilayer feedthrough capacitor and mounted structure of multilayer feedthrough capacitor
JP4924698B2 (ja) 電子部品実装構造
JP6497127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5741416B2 (ja) 電子部品の実装構造
KR101701056B1 (ko) 커패시터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EP1605478A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for three-dimensional mounting
JP2016149425A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
JP4565964B2 (ja) コンデンサ、半導体装置、デカップリング回路及び高周波回路
JP6476954B2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
JP2016136562A (ja) 積層コンデンサ
US20100309608A1 (en) Buried Capacitor Structure
JP2022184580A (ja) 複合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複合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実装方法、及び、配線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