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499B1 - 관통형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관통형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499B1
KR101309499B1 KR1020070072220A KR20070072220A KR101309499B1 KR 101309499 B1 KR101309499 B1 KR 101309499B1 KR 1020070072220 A KR1020070072220 A KR 1020070072220A KR 20070072220 A KR20070072220 A KR 20070072220A KR 101309499 B1 KR101309499 B1 KR 101309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ground
signal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979A (ko
Inventor
마사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관통형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소체와,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을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신호용 내부 전극 또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을 갖는다. 신호용 내부 전극은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은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에 각각 접속된다.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은,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에만 접속되어 있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신호용 단자 전극, 절연체층, 접지용 단자 전극, 스루홀 도체

Description

관통형 적층 콘덴서{Feedthrough multi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로서, 절연체층과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접지용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에 형성된 신호용 단자 전극 및 접지용 단자 전극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1-206615호 참조).
한편, 디지털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PU)에 공급용의 전원에 있어서는 저전압화가 진행되는 한편으로 부하전류는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부하전류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전원 전압의 변동을 허용치 내로 억제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게 되었기 때문에, 디커플링 콘덴서라고 불리는 적층 콘덴서가 전원에 접속되도록 되었다. 그리고, 부하전류의 과도적인 변동시에 이 적층 콘덴서로부터 CPU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원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CPU의 동작주파수의 더욱 고주파수화에 따라서, 부하전류는 고속이며 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고, 디커플링 콘덴서에 사용되는 적층 콘덴서에는, 대용량화와 함께 등가 직렬 저항(ESR)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렇지만,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1-206615호에 기재된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더욱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1-206615호에 기재된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모든 내부 전극이 단자 전극과 직접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적층수를 늘려 정전용량을 크게 하면,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는, 모든 내부 전극이 인출 부분을 통하여 대응하는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인출 부분이 내부 전극의 수만큼 존재하게 되고,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린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대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절연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많게 하면, 인출 부분의 수도 많아진다.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인출 부분의 저항성분은 단자 전극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게 되기 때문에,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인출 부분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등가 직렬 저항이 더욱 작아져 버린다. 이와 같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한다는 것은, 상반되는 요구이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관해서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절연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동일하게 하더라도, 내부 전극을 스루홀 도체로 접속하고 또 인출 부분의 수를 바꿀 수 있으면, 등가 직렬 저항을 소망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내부 전극을 스루홀 도체로 접속하고 또 콘덴서 소체의 적층방향에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면, 등가 직렬 저항을 소망의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인출 부분의 수를 내부 전극의 수보다도 적게 하면,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상기 신호용 내부 전극 또는 상기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을 갖고,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이,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상기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 에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의하면, 접지용 내부 전극에는,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접지용 단자 전극에 직접 접속되지 않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포함된다. 그 때문에, 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모든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접지용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절연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로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은, 적어도 1개의 신호용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복수의 단자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적어도 1개의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상기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 중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이,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고,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상기 접지용 내부 전극의 총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의하면, 일부의 접지용 내부 전극만이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모든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접지용 단자 전극과 접속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들로부터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며,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방법으로 제공되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단지 예시의 방법으로 제공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II-II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III-III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와, 콘덴서 소체(L1)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신호용 단자 전극(1, 2)과, 콘덴서 소체(L1)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접지용 단자 전극(3, 4)을 구비한다. 신호용 단자 전극(1,2), 및 접지용 단자 전극(3, 4)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분말 및 글라스 플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의 부여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단자 전극의 위에 도금 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 신호용 단자 전극(1,2), 및 접지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L1)의 표면상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L1)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과,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L1a, L1b)과,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L1c, L1d)을 갖는다.
신호용 단자 전극(1)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측면(L1a)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용 단자 전극(2)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측면(L1a)과 대향하는 제 2 측면(L1b)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측면(L1a)에 배치된 신호용 단자 전극(1)과 제 2 측면(L1b)에 배치된 신호용 단자 전극(2)은, 제 1 측면(L1a)과 제 2 측면(L1b)이 대향하는 방향에서 대향한다.
신호용 단자 전극(1)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측면(L1a) 전체면 및 상기 제 1 측면(L1a)과 인접하고 있는 다른 면(제 1 및 제 2 주면(L1e, L1f), 및 제 3 및 제 4 측면(L1c, L1d)) 각각의 일부를 덮고 있다. 또한, 신호용 단자 전극(2)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2 측면(L1b) 전체면 및 상기 제 2 측면(L1b)와 인접하고 있는 다른 면(제 1 및 제 2 주면(L1e, L1f), 및 제 3 및 제 4 측면(L1c, L1d)) 각각의 일부를 덮고 있다.
접지용 단자 전극(3)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3 측면(L1c)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단자 전극(4)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4 측면(L1d)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측면(L1c)에 배치된 접지용 단자 전극(3)과 제 4 측면(L1d)에 배치된 접지용 단자 전극(4)은, 제 3 측면(L1c)과 제 4 측면(L1d)이 대향하는 방향에서 대향한다.
콘덴서 소체(L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0층)의 절연체층(11 내지 20)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9층)의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32, 41 내지 43)을 갖는다. 각 절연체층(11 내지 20)은, 예를 들면 절연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또, 실제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절연체층(11 내지 2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복수의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32, 41 내지 43)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층)의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층)의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을 포함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은,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을 포함한다. 각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32, 41 내지 43)은,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은, 1개의 절연체층(13, 14, 17, 18)을 각각의 사이에 끼워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신호용 내부 전극(21)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이, 절연체층(13)을 끼워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 전극(22)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이, 절연체층(14)을 끼워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 전극(23)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2)이, 절연체층(17)을 끼워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 전극(24)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2)이, 절연체층(18)을 끼워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1개의 절연체층(12, 15, 16, 19)을 각각의 사이에 끼워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신호용 내부 전극(21)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이, 절연체층(12)을 끼워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 전극(22)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이, 절연체층(15)을 끼워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 전극(23)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이, 절연체층(16)을 끼워 대향한다. 신호용 내부 전극(24)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이, 절연체층(19)을 끼워 대향한다.
각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주전극 부분(21a 내 지 24a)과,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으로부터 제 1 측면(L1a)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b 내지 24b)과,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으로부터 제 2 측면(L1b)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c 내지 24c)을 포함한다. 각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에는, 절연체층(13, 15, 17, 19)이 노출하도록, 개구(21d 내지 24d)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 부분(21b 내지 24b, 21c 내지 24c)은 모두,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과 제 3 측면(L1c)과 제 4 측면(L1d)의 대향 방향에서 폭이 같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의 제 1 측면(L1a)을 향하도록 신장하는 각 인출 부분(21b 내지 24b)은 신호용 단자 전극(1)에 접속된다. 동일하게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의 제 2 측면(L1b)을 향하도록 신장하는 각 인출 부분(21c 내지 24c)은 신호용 단자 전극(2)에 접속된다.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고,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의 단변 방향을 단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이다. 각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은, 적층체(L1)의 제 1 내지 제 4 측면 각각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주면(L1e, L1f)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직사각형상의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과,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으로부터 제 3 측면(L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41b 내지 43b)과,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으로부터 제 4 측면(L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41c 내지 43c)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의 제 3 측면(L1c)을 향하도록 신장하는 각 인출 부분(41b 내지 43b)은 접지용 단자 전극(3)에 접속된다. 동일하게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L1)의 제 4 측면(L1d)을 향하도록 신장하는 각 인출 부분(41c 내지 43c)은 접지용 단자 전극(4)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 중 1개 이상 또한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의 총수(본 실시형태에서는, 5층)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인 3층의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이, 접지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된다.
절연체층(12)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개구(21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2)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1)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1)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3)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개구(21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3)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2)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2)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4)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개구(22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4)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3)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3)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5)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개구(22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5)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4)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4)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6)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3)의 개구(23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6)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5)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5)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7)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3)의 개구(23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7)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6)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6)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8)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4)의 개구(24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8)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7)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7)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19)에 있어서의 신호용 내부 전극(24)의 개구(24d)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체층(19)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68)가 형성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8)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61)와 스루홀 도체(62)는, 절연체층(12, 13)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루홀 도체(62)와 스루홀 도체(63)는, 절연체층(13, 14)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루홀 도체(63)와 스루홀 도체(64)는, 절연체층(14, 15)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루홀 도체(64)와 스루홀 도체(65)는, 절연체층(15, 16)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루홀 도체(65)와 스루홀 도체(66)는, 절연체층(16, 17)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루홀 도체(66)와 스루홀 도체(67)는, 절연체층(17, 18)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루홀 도체(67)와 스루홀 도체(68)는, 절연체층(18, 19)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스루홀 도체(61 내지 68)는, 절연체층(11 내지 20)이 적층됨으로써, 적층방향에 대략 직선형으로 병설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통전경로를 구성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은, 스루홀 도체(61 내지 68)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또한,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은, 스루홀 도체(61 내지 68)를 통하여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에만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 전부가 직접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제 2 접지 용 내부 전극(41 내지 43))만이 직접 접지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되고, 나머지(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및 스루홀 도체(61 내지 68)를 통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3, 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5의 등가 회로도는, 신호용 단자 전극(1, 2)이 신호 도선에 접속되고, 접지용 단자 전극(3, 4)이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 있어서 얻어지는 등가 직렬 저항(R)은, 접지용 단자 전극(3, 4)측에 있어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가 갖는 정전용량(C)과 직렬로 접속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은, 스루홀 도체(61 내지 68)를 통하여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에만 접속되고, 접지용 단자 전극(3, 4)에는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인출 부분(41b 내지 43b, 41c 내지 43c)을 통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 접속되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의 수를 3개로 하고,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의 총수보다도 적게 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는, 모든 접지용 내부 전극이 대응하는 접지용 단자 전극에 인출 부분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또한,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짐으로써, 공진 주파수에서의 급격한 임피던스의 저하가 방지되어, 광대역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출 부분(41b 내지 43b, 41c 내지 43c)을 통 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되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의 수 및 위치의 한쪽 또는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이 소망의 값에 설정되기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고 또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늘려 정전용량을 크게 하여도,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리는 것은 억제된다.
또한, 등가 회로가 도 5에 도시한 회로가 되도록 관통형 적층 콘덴서(C1)를 회로기판 등에 접속한 경우, 정전용량(C) 및 정전용량(C)과 직렬로 접속되는 등가 직렬 저항(R)은 접지용 단자 전극(3, 4)측에 접속된다. 그 때문에, 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C1)는, 전원용의 콘덴서로서 적합하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서는, 신호용 단자 전극(1,2)이 콘덴서 소체(L1)의 제 1 및 제 2 측면(L1a, L1b)의 대향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접지용 단자 전극(3, 4)이 콘덴서 소체(L1)의 제 3 및 제 4 측면(L1c, L1d)의 대향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신호용 단자 전극(1,2)을 접속하는 것, 및 직선형의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대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3, 4)을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고, 그 실장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접속되는 신호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과 접속되는 접지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이거나,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스루홀 도체(61 내지 68)의 수를 조정하여,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이 소망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의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보다 한층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C1)에 있어서의 스루홀 도체(61 내지 68)의 수를 2개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지용 내부 전극(31, 32, 41 내지 43) 끼리는, 스루홀 도체(61 내지 68)의 수인 2개 이상의 통전경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또한, 각 스루홀 도체(61 내지 68)를 형성하는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각 스루홀 도체(61 내지 68)가 형성된 각각의 절연체층(13, 15, 17, 19)상에 위치하는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외윤곽의 외측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신호용 단자 전극(1,2), 및 접지용 단자 전극(3, 4)의 배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접지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3 및 제 4 측면의 대향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절연체층의 적층수(11 내지 20), 및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32, 41 내지 43)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32, 41 내지 43)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인출 부분(21b 내지 24b, 21c 내지 24c)이,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과 제 3 측면(L1c)과 제 4 측면(L1d)의 대향 방향에서 폭이 달라도 좋다.
또한, 인출 부분을 통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의 수 및 적층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은, 적어도 1개의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상기 접지용 내부 전극의 총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이면 좋다.
또한,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절연체층을 끼워 신호용 내부 전극에 대향하는 것은 아니며, 절연체층을 끼워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31, 32)의 사이에 끼워지는 절연체층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과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사이에 끼워지는 절연체층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기재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많은 방법들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한 변경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명백한 그러한 모든 수정들은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II-II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III-III 화살표 단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의 등가 회로도.

Claims (2)

  1.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상기 신호용 내부 전극 또는 상기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을 갖고,
    상기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이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상기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에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2. 복수의 절연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을 구비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로서,
    상기 복수의 내부 전극은 적어도 1개의 신호용 내부 전극과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워 상기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 중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이 스루홀 도체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고,
    상기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 중 1개 이상 상기 접지용 내부 전극의 총수보다도 1개 적은 수 이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1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20070072220A 2006-07-21 2007-07-19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1309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9862A JP4335237B2 (ja) 2006-07-21 2006-07-21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6-00199862 2006-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979A KR20080008979A (ko) 2008-01-24
KR101309499B1 true KR101309499B1 (ko) 2013-09-24

Family

ID=3897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220A KR101309499B1 (ko) 2006-07-21 2007-07-19 관통형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23337B2 (ko)
JP (1) JP4335237B2 (ko)
KR (1) KR101309499B1 (ko)
CN (1) CN1011102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879B1 (ko) * 2007-09-28 2009-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JP4501996B2 (ja) * 2007-11-29 2010-07-14 Tdk株式会社 貫通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5042892B2 (ja) * 2008-03-14 2012-10-03 Tdk株式会社 貫通コンデンサ
JP5234135B2 (ja) * 2011-04-04 2013-07-10 Tdk株式会社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101504015B1 (ko) * 2013-07-09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504017B1 (ko) * 2013-07-11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1508540B1 (ko) * 2013-08-09 2015-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내장용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및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내장형 인쇄회로기판
US10403439B2 (en) 2015-12-21 2019-09-0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ultilayer capacitor
KR102494324B1 (ko) * 2016-07-27 2023-02-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283A (ja) * 1991-12-30 1994-05-20 Electron & Telecommun Res Inst 高周波ノイズ除去用チップ型キャパシター
JPH0855758A (ja) * 1994-08-10 1996-02-27 Sumitomo Metal Ind Ltd 積層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6615A (ja) 1988-02-15 1989-08-18 Murata Mfg Co Ltd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
JPH07169649A (ja) * 1993-12-16 1995-07-04 Tdk Corp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アレイ
JP4332634B2 (ja) * 2000-10-06 2009-09-16 Tdk株式会社 積層型電子部品
JP3850398B2 (ja) * 2003-08-21 2006-11-2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KR100714608B1 (ko) * 2004-12-03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KR100649579B1 (ko) * 2004-12-07 2006-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캐패시터 및 적층형 캐패시터 어레이
JP4167231B2 (ja) * 2005-01-13 2008-10-15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等価直列抵抗調整方法
JP4287822B2 (ja) * 2005-01-25 2009-07-01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等価直列抵抗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283A (ja) * 1991-12-30 1994-05-20 Electron & Telecommun Res Inst 高周波ノイズ除去用チップ型キャパシター
JPH0855758A (ja) * 1994-08-10 1996-02-27 Sumitomo Metal Ind Ltd 積層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9076A1 (en) 2008-01-24
JP2008028195A (ja) 2008-02-07
CN101110295A (zh) 2008-01-23
US7623337B2 (en) 2009-11-24
CN101110295B (zh) 2011-09-28
JP4335237B2 (ja) 2009-09-30
KR20080008979A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499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089930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US10102971B2 (en) Multilayer capacitor with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JP4354475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7663862B2 (en) Multilayer capacitor
US7859820B2 (en) Multilayer capacitor with capacitor element body having laminated insulator layers
KR101010875B1 (ko) 적층 콘덴서
KR101046542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2053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2012221993A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101339693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US20080225463A1 (en) Layered capacitor and mounting structure
JP58706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KR101369819B1 (ko) 적층형 필터
JP4293561B2 (ja)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の実装構造
JP4428446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7535694B2 (en) Feedthrough multilayer capacitor
KR10102730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26646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20170028700A (ko)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4952779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2019149530A (ja) 積層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