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542B1 -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 Google Patents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542B1
KR101046542B1 KR1020080134191A KR20080134191A KR101046542B1 KR 101046542 B1 KR101046542 B1 KR 101046542B1 KR 1020080134191 A KR1020080134191 A KR 1020080134191A KR 20080134191 A KR20080134191 A KR 20080134191A KR 101046542 B1 KR101046542 B1 KR 101046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de
electrodes
capacitor body
exter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015A (ko
Inventor
마사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12Form of non-self-suppor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 제 1 외부 접속 도체,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을 갖는다. 접지용 내부 전극은,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또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고, 또한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또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신호용/접지용 단자 전극, 접속 도체, 절연체층

Description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Penetrating multilayer condenser array}
본 발명은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적층 콘덴서로서, 복수의 유전체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이 적층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입력 전극, 출력 전극 및 그라운드 전극과, 입력 전극과 출력 전극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체와, 분리된 한쪽의 부분이 입력 전극에 접속되는 동시에 다른쪽의 부분이 출력 전극에 접속된 제 1 도체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에 접속된 제 2 도체 전극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도체 전극 간에 정전 용량이 생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8382호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8382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소위 CR 필터로서, 저항체를 형성하기 위한 저항 페이스트에 있어서의 유전체 분말의 배합비를 변경함으로써, 저항체의 저항치를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8382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와 같이, 저항체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저항체의 저항치를 저항 페이스트의 유전체 분말의 배합비를 변경함으로써 조정한다면, CR 필터에 있어서의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정밀도 좋게 관리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8382호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특히, 상기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정밀도 좋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구비하고, 콘덴서 소체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을 갖고, 접지용 내부 전극은,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또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고, 또한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또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제 1 외부 접속 도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을 갖게 된다.
그런데, 모든 신호용 내부 전극이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각 콘덴서에 있어서, 각 신호용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저항 성분 각각이, 신호용 단자 전극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게 되고, 신호용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저항 성분의 합성 저항치가 작아져 버린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각 콘덴서의 정전 용량을 크게 설정하기 위해서 절연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많게 하면, 상기 합성 저항치는 더욱 작아진다.
본 발명자들은,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정밀도 좋게 관리할 수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각 콘덴서에 있어서, 신호용 내부 전극을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외부 접속 도체로 접속하고 또한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신호용 내부 전극의 수를 바꿀 수 있으면, 신호용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 저항 성분의 합성 저항치를 원하는 값에 설정할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각 콘덴서에 있어서, 신호용 내부 전극을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외부 접속 도체로 접속하고 또한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신호용 내부 전극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면, 마찬가지로, 신호용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 저항 성분의 합성 저항치를 원하는 값에 설정할 수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각 콘덴서에 있어서,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신호용 내부 전극의 수를 신호용 내부 전극의 총수보다도 적게 한다, 즉, 신호용 단자 전극에 외부 접속 도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신호용 내부 전극을 갖도록 하면, 상기 합성 저항치를 크게 하는 방향에서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사실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각 콘덴서에 있어서, 각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정밀도 좋게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각 콘덴서에 있어서, 정전 용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CR 필터에 있어서의 저항 성분의 저항치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이, 콘덴서 소체내에서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이, 콘덴서 소체내에서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저배화(低背化)가 가능해진다.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의 쌍방 또는 한쪽이 미앤더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류 경로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정밀도 좋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 그리고, 예시적으로만 주어져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는 첨부 도면들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응용 분야는 이하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특정 예들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나타내지만, 단지 예시적으로만 제공됨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B1)와, 콘덴서 소체(B1)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과,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제 1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를 구비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예를 들면, 신호 등의 배선을 통한 노이즈의 누설이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분말 및 글래스 프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부여하고,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단자 전극 및 외부 접속 도체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콘덴서 소체(B1)의 표면상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B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과,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을 갖는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접지용 단자 전극(5)은, 콘덴서 소 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접지용 단자 전극(6)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측면(B1c)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3), 및 접지용 단자 전극(5)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서, 제 1 단면(B1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접지용 단자 전극(5),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측면(B1d)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2, 4), 및 접지용 단자 전극(6)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서, 제 1 단면(B1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 접지용 단자 전극(6),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외부 접속 도체(7)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에 배치된다. 제 2 외부 접속 도체(8)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에 배치된다.
콘덴서 소체(B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층)의 절연체층(11 내지 18)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각 절연체층(11 내지 18)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콘덴서 소체(B1)에 있어서의 절연체층(11 내지 18)의 적층 방향을, 이하 간단히 「적층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 실제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절연체층(11 내지 18)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B1)는, 내부에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제 2 신호용 내 부 전극(41, 42),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을 갖는다.
제 1 내지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41, 42, 31, 32, 51, 52)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주전극 부분(21a, 22a, 41a, 42a, 31a, 32a, 51a, 52a)을 포함한다. 각 주전극 부분(21a, 22a, 41a, 42a, 31a, 32a, 51a, 52a)은, 각 변이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의 장변 방향 또는 단변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은, 또한, 주전극 부분(21a, 22a)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b, 22b)과, 주전극 부분(21a, 2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c, 22c)과, 주전극 부분(21a, 2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d, 22d)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21b, 22b)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21c, 22c)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21d, 22d)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에 접속된다. 즉, 각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은,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과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또한, 주전극 부분(41a, 42a)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41b, 42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41b, 42b)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즉, 각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은, 또한, 주전극 부분(31a, 32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b, 32b)과, 주전극 부분(31a, 3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c, 32c)과, 주전극 부분(31a, 3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d, 32d)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31b, 32b)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31c, 32c)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31d, 32d)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에 접속된다. 즉, 각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은,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과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또한, 주전극 부분(51a, 52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51b, 52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51b, 52b)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즉, 각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을 포함한다. 각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은, 각 변이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의 장변 방향 또는 단변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은, 또한,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b 내지 63b)과,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c 내지 63c)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61b 내지 63b)은, 접지용 단자 전극(5)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c 내지 63c)은, 접지용 단자 전극(6)에 접속된다. 즉,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은,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31)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2, 32)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1, 51)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2, 52)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은, 복수의 절연체(11 내지 18)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또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41, 42)과 대향하고, 또한 복수의 절연체층(11 내지 18)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또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31, 32, 51, 52)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은, 절연체층(12)을 끼우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주전극 부분(21a)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의 주전극 부분(31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은, 또한, 절연체층(13)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은, 절연체층(14)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은, 또한, 절연체층(15)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2)의 주전극 부분(42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3)의 주전극 부분(63a)은, 절연체층(16)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2)의 주전극 부분(42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3)의 주전극 부분(63a)은, 또한, 절연체층(17)을 끼우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주전극 부분(22a)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2)의 주전극 부분(32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측에 배치된다.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측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됨과 동시에,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측에 배치된다.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측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과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됨과 동시에,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의 주전극 부분(41a, 42a)과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은, 대응하는 주전극 부분끼리가 절연 체층(13 내지 16)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용량 성분이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주전극 부분(21a)과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도, 절연체층(12)을 끼우고 대향하고, 또한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주전극 부분(22a)과 접지용 내부 전극(63)의 주전극 부분(63a)도, 절연체층(17)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고, 용량 성분이 형성되어 있다.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의 주전극 부분(51a, 52a)과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은, 대응하는 주전극 부분끼리가 절연체층(13 내지 16)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용량 성분이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의 주전극 부분(31a)과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도, 절연체층(12)을 끼우고 대향하고, 또한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2)의 주전극 부분(32a)과 접지용 내부 전극(63)의 주전극 부분(63a)도, 절연체층(17)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고, 용량 성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량 성분(CC1 내지 CC6)과, 저항 성분(RC1 내지 RC4)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이 신호 도선에 접속되는 동시에 접지용 단자 전극(5, 6)이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 접속 도체(7, 8)는 신호 도선 및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회로도이다.
용량 성분(CC1)은, 절연체층(13 내지 16), 및, 절연체층(13 내지 16)을 끼우고 대향하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으로써 구성된다. 용량 성분(CC2 및 CC3)은, 절연체층(12), 및, 절연체층(12)을 끼우고 대향하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으로써 구성되는 용량 성분과, 절연체층(17), 및, 절연체층(17)을 끼우고 대향하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3)으로써 구성되는 용량 성분에 의해서 구성된다.
저항 성분(RC1 및 RC2)은,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41, 42) 및 제 1 외부 접속 도체(7)로써 구성된다. 따라서, 저항 성분(RC1 및 RC2)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과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게 된다.
용량 성분(CC4)은, 절연체층(13 내지 16), 및, 절연체층(13 내지 16)을 끼우고 대향하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으로써 구성된다. 용량 성분(CC5 및 CC6)은, 절연체층(12), 및, 절연체층(12)을 끼우고 대향하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으로써 구성되는 용량 성분과, 절연체층(17), 및, 절연체층(17)을 끼우고 대향하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3)으로써 구성되는 용량 성분에 의해서 구성된다.
저항 성분(RC3 및 RC4)은, 제 3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31, 32, 51, 52)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로써 구성된다. 따라서, 저항 성분(RC3 및 RC4)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과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용량 성분(CC1 내지 CC6) 뿐만 아니라, 저항 성분(RC1 내지 RC4)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3으로부터도 분명한 것처럼,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CR 필터를 갖는다.
그런데,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만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을 통해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41, 42)이, 제 1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고, 1개 이상의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에 착안하면, 제 1 외부 접속 도체(7)의 저항 성분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에 착안하면, 제 1 외부 접속 도체(7)의 저항 성분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이들에 의해,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모든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41, 42)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인출 부분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비하여, 저항 성분(RC1, RC2)의 저항치가 커진다.
그리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저항 성분(RC1, RC2)의 저항치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의 위치(콘덴서 소체(B1)에 있어서의 적층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제 1 외부 접속 도체(7)의 저항 성분의 접속 상태(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가 변화하게 되고, 저항 성분(RC1, RC2)의 저항치가 변화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출 부분(21c, 21d, 22c, 22d)을 통해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의 수 및 위치의 한쪽 또는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저항 성분(RC1, RC2)의 저항치가 원하는 값에 설정되기 때문에, 저항 성분(RC1, RC2)의 저항치의 제어를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적층수를 늘려 용량 성분(CC1)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라도,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저항 성분(RC1, RC2)의 저항치가 작아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만이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을 통해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복수의 제 3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31, 32, 51, 52)이, 제 2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고, 1개 이상의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이,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에 착안하면, 제 2 외부 접속 도체(8)의 저항 성분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에 착안하면, 제 2 외부 접속 도체(8)의 저항 성분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이들에 의해,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모든 제 3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31, 32, 51, 52)이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인출 부분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비하여, 저항 성분(RC3, RC4)의 저항치가 커진다.
그리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저항 성분(RC3, RC4)의 저항치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의 위치(콘덴서 소체(B1)에 있어서의 적층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제 2 외부 접속 도체(8)의 저항 성분의 접속 상태(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가 변화하게 되고, 저항 성분(RC3, RC4)의 저항치가 변화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출 부분(31c, 31d, 32c, 32d)을 통해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의 수 및 위치의 한쪽 또는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저항 성분(RC3, RC4)의 저항치가 원하는 값에 설정되기 때문에, 저항 성분(RC3, RC4)의 저항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적층수를 늘려 용량 성분(CC4)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라도,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저항 성분(RC3, RC4)의 저항치가 작아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이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저항 성분(RC1 내지 RC4)의 저항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콘덴서 소체(B1) 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을 접속하는 것,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을 접속하는 것, 또한 직선형의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대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을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실장이 용이해진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31)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2, 32)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1, 51)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2, 52)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 을 입력측에 접속하고,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을 출력측에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접속된 신호 도선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된 신호 도선의 쌍방에 동시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이들의 신호용 내부 전극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2, 32),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1, 51), 및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2, 52)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소자를 저배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4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의 형상의 점에서 상술한 실시형태 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다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의 주전극 부분(21a, 22a, 31a, 32a)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망의 용량 성분을 실현하기 위한 내부 전극을 설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주전극 부분(21a, 22a, 31a, 32a))이 미앤더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의 선로 길이(전류 경로)가 길어짐으로써, 저항치가 비교적 커져, 저항 성분(RC1 내지 RC4)의 저항치를 한층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콘덴서 소체상에 형성된 접지용 단자 전극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의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이하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B1)와, 콘덴서 소체(B1)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과,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제 1 외부 접속도체(7),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를 구비한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접지용 단자 전극(5)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에 배치된다. 한편, 접지용 단자 전극(6)은, 제 1 단면(B1a)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에 배치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1 외부 접속 도체(7)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한편, 제 2 외부 접속 도체(8)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측면(B1c)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3),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서, 제 1 단면(B1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제 2 외부 접속 도체(8),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측면(B1d)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2, 4), 및 제 1 외부 접속 도체(7)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서, 제 1 단면(B1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 제 1 외부 접속 도체(7),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B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층)의 절연체층(11 내지 18)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41, 42, 31, 32, 51, 52)은 각각, 크기가 다른 2개의 직사각형이 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주전극 부분(21a, 22a, 41a, 42a, 31a, 32a, 51a, 52a)을 포함한다.
각 주전극 부분(21a, 22a)은, 큰 직사각형의 장변이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작은 직사각형이 큰 직사각형의 제 2 단면(B1b) 측의 장변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조합된 형상을 나타낸다 각 주전극 부분(41a, 42a)은, 큰 직사각형의 장변이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작은 직사각형이 큰 직사각형의 제 2 단면(B1b)측의 장변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조합된 형상을 나타낸다
각 주전극 부분(31a, 32a)은, 큰 직사각형의 장변이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작은 직사각형이 큰 직사각형의 제 1 단면(B1a)측의 장변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조합된 형상을 나타낸다 각 주전극 부분(51a, 52a)은, 큰 직사각형의 장변이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작은 직사각형이 큰 직사각형의 제 1 단면(B1a)측의 장변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조합된 형상을 나타낸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은, 주전극 부분(21a, 2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b, 22b)과, 주전극 부분(21a, 2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c, 22c)과, 주전극 부분(21a, 2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d, 22d)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21b, 22b)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21c, 22c)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21d, 22d)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에 접속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주전극 부분(41a, 4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41b, 42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41b, 42b)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은, 주전극 부분(31a, 3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b, 32b)과, 주전극 부분(31a, 3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c, 32c)과, 주전극 부분(31a, 3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d, 32d)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31b, 32b)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31c, 32c)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31d, 32d)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에 접속된다.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주전극 부분(51a, 5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51b, 52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51b, 52b)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은,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b 내지 63b)과, 주전극 부분(61a 내지 63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c 내지 63c)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61b 내지 63b)은, 접지용 단자 전극(5)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c 내지 63c)은, 접지용 단자 전극(6)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31)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2, 32)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1, 51)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2, 52)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은, 절연체층(12)을 끼우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주전극 부분(21a)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의 주전극 부분(31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은, 또한, 절연체층(13)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은, 절연체층(14)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은, 또한, 절연체층(15)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2)의 주전극 부분(42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3)의 주전극 부분(63a)은, 절연체층(16)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2)의 주전극 부분(42a)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접지용 내부 전극(63)의 주전극 부분(63a)은, 또한, 절연체층(17)을 끼우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주전극 부분(22a)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2)의 주전극 부분(32a)의 쌍방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측에 배치된다.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측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됨과 동시에,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측에 배치된다.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측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과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됨과 동시에,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도,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마찬가지로 용량 성분뿐만 아니라, 저항 성분도 갖는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CR 필터를 갖는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만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을 통해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모든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41, 42)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인출 부분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비하여,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커진다.
그리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저항 성분의 저항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출 부분(21c, 21d, 22c, 22d)을 통해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의 수 및 위치의 한쪽 또는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원하는 값에 설정되기 때문에, 저항 성분의 저항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41, 4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적층수를 늘려 용량 성분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라도,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작아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만이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을 통해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모든 제 3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31, 32, 51, 52)이 제 2 신호용 단자 전 극(3, 4)에 인출 부분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비하여,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커진다.
그리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변화하게 된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변화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출 부분(31c, 31d, 32c, 32d)을 통해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의 수 및 위치의 한쪽 또는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원하는 값에 설정되기 때문에, 저항 성분의 저항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51, 5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적층수를 늘려 용량 성분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라도,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저항 성분의 저항치가 작아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이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저항 성분의 저항치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콘덴서 소체(B1) 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 각각에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을 접속하는 것,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을 접속하는 것, 또한 직선형의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대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을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실장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및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2, 32)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1, 51), 및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2, 52)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이들 의 신호용 내부 전극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2, 32),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1, 51), 및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2, 52)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소자를 저배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과 접속되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과 접속되는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과 접속되는 접지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1 외부 접속 도체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2 외부 접속 도체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의 배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접지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 또는 제 1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는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 또는 제 1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절연체층(11 내지 18)의 적층수, 제 1 내지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 41, 4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내지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 41, 42), 및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2)의 적층 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31, 32)의 적층 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고, 또한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고, 또한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고, 또한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접지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고, 또한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대향하는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과 제 1 또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끼워지는 절연체층의 수는, 적어도 1개이면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대향하는 접지용 내부 전극(61 내지 63)과 제 3 또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끼워지는 절연체층의 수는, 적어도 1개이면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및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22, 32)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1, 51), 및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42, 52)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 소체에 대하여 또한, 절연체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또는 절연체층과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회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Claims (4)

  1.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소체는,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을 갖고,
    상기 접지용 내부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워 상기 제 1 또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워 상기 제 3 또는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상기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에만 접속되고,
    상기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은, 상기 적어도 1개의 상기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통해서 상기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에만 접속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상기 제 1 외부 접속 도체로 구성되는 2개의 제 1 저항 성분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 간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상기 제 2 외부 접속 도체로 구성되는 2개의 제 2 저항 성분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 간에 직렬 접속되고, 적어도 상기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상기 접지용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용량 성분이 상기 2개의 제 1 저항 성분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의 사이에 접속되고, 적어도 상기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과 상기 접지용 내부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용량 성분이 상기 2개의 제 2 저항 성분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가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가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가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어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콘덴서 소체 내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신호용 내부 전극의 쌍방 또는 한 방향이 미앤더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20080134191A 2007-12-28 2008-12-26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46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40442A JP4502006B2 (ja) 2007-12-28 2007-12-28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JP-P-2007-340442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15A KR20090073015A (ko) 2009-07-02
KR101046542B1 true KR101046542B1 (ko) 2011-07-06

Family

ID=4079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191A KR101046542B1 (ko) 2007-12-28 2008-12-26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0100B2 (ko)
JP (1) JP4502006B2 (ko)
KR (1) KR101046542B1 (ko)
CN (1) CN101471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24B1 (ko) * 2013-11-08 2015-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16485B1 (ko) * 2014-07-28 2019-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KR102097325B1 (ko) * 2014-09-23 2020-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JP6694235B2 (ja) * 2015-01-29 2020-05-1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KR102236097B1 (ko) 2015-09-04 2021-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전자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JP2018049881A (ja) * 2016-09-20 2018-03-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283277B2 (en) * 2017-03-23 2019-05-07 Tdk Corporation Capacitor and substrate module
US10468185B2 (en) 2017-06-02 2019-11-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JP7282285B1 (ja) * 2023-01-27 2023-05-26 キユーピー株式会社 液状調味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961A (ja) * 2002-06-11 2004-01-15 Tdk Corp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JP2007201467A (ja) * 2006-01-26 2007-08-09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8351A (en) * 1922-08-07 1922-12-12 Albert M Ahern Smoke producer
US2960981A (en) * 1957-07-12 1960-11-22 Design Engineers Hand-operable smoke jet generator
US3658719A (en) * 1969-10-09 1972-04-25 Mine Safety Appliances Co Smoke generating tube
CH501284A (de) * 1969-11-14 1970-12-31 Cerberus Ag Vorrichtung zur Prüfung der Funktionsbereitschaft von Rauchmeldern
US3943499A (en) * 1974-04-16 1976-03-09 Pyrotector, Incorporated Portable fire detector
US4306575A (en) * 1979-08-06 1981-12-22 Minozzi Jr Michael F Smoke detector tester
US4271693A (en) * 1979-12-10 1981-06-09 Bute Donald R Device for testing smoke detector alarms
US4301674A (en) * 1980-01-14 1981-11-24 Haines William H Smoke detector tester
USD275183S (en) * 1981-12-28 1984-08-21 Minozzi Jr Michael F Smoke detector tester
US4462244A (en) * 1982-05-03 1984-07-31 Lee Thomas G Apparatus for field testing a smoke detector
US4901056A (en) * 1988-01-04 1990-02-13 Pittway Corporation Test initiation apparatus with continuous or pulse input
US5170148A (en) * 1990-06-04 1992-12-08 Jack Duggan Radiant energy testing device for fire detectors
US5361623A (en) * 1990-07-30 1994-11-08 Leon Cooper Delivery system for smoke detector testing spray formulation
US5309148A (en) * 1992-12-18 1994-05-03 Birk David M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moke detector operation
CH685410A5 (de) * 1993-02-15 1995-06-30 Cerberus Ag Vorrichtung zur Funktionsprüfung von Rauchmeldern.
GB9309115D0 (en) * 1993-05-04 1993-06-16 No Climb Prod Ltd Smoke testing detector sensitivity testing apparatus
US5611620A (en) * 1994-12-29 1997-03-18 Leon Cooper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heat detectors
JPH0993069A (ja) * 1995-09-28 1997-04-04 Kyocera Corp 多連ノイズフィルタ
US5785891A (en) * 1996-09-12 1998-07-28 Leon Cooper Spray formulation for the testing of smoke detectors
US6015230A (en) * 1997-10-01 2000-01-18 Leon Cooper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heat detectors
GB9721782D0 (en) * 1997-10-14 1997-12-17 No Climb Prod Ltd Test apparatus for testing detectors
US6266228B1 (en) * 1997-11-10 2001-07-2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apacitor
US5959188A (en) * 1997-12-08 1999-09-28 Leon Cooper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of carbon monoxide detectors
JP3336954B2 (ja) * 1998-05-21 2002-10-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
JP2000058382A (ja) 1998-08-14 2000-02-25 Sumitomo Metal Ind Ltd チップ型cr部品
US6420973B2 (en) * 1999-01-23 2002-07-16 James Acevedo Wireless smoke detection system
US6282940B1 (en) * 1999-06-07 2001-09-04 Patrick Plastics Inc. Apparatus for testing carbon monoxide alarms
US6441459B1 (en) * 2000-01-28 2002-08-27 Tdk Corporation Multilay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6198399B1 (en) * 2000-03-09 2001-03-06 Martin P. Mattis Smoke detector tes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GB0010558D0 (en) * 2000-05-02 2000-06-21 No Climb Prod Ltd Ducted test tool
US6741181B2 (en) * 2000-05-17 2004-05-25 Robert E. Skaggs System for testing a duct smoke or other hazardous gas detector and method for use thereof
EP1297543B1 (en) * 2000-07-06 2005-10-19 Phycomp Holding B.V. Ceramic multilayer capacitor array
DE10040570C1 (de) * 2000-08-18 2002-04-18 Bosch Gmbh Robert Prüfvorrichtung zur Funktionsprüfung eines Temperaturfühlers eines Melders, Melder und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eines Melders
US20040035179A1 (en) * 2000-09-29 2004-02-26 Hubert Koch Gas or heat detector, gas or heat generator, flue gas generator, method for testing a gas detector or a heat detector, and method for testing a flue gas detector
US6532143B2 (en) * 2000-12-29 2003-03-11 Intel Corporation Multiple tier array capacitor
US6469623B2 (en) * 2001-01-26 2002-10-22 Gentex Corporation Smoke detector maintenance and verification tool
DE60208664T2 (de) * 2001-03-14 2006-11-23 Robert Burlingame Kelly Rauchdetektor-änderungseinrichtung
US20020166361A1 (en) * 2001-05-14 2002-11-14 Wantz James C. Functional testing of explosive gas detectors
US20040050137A1 (en) * 2001-06-11 2004-03-18 Rex Hoppenworth Carbon monoxide detector tester and method of using tester
US6591716B2 (en) * 2001-08-07 2003-07-15 Home Safeguard Industries, L.L.C. Universal tool for detaching and retrieving overhead mounted smoke and heat detectors
GB2393955B (en) * 2002-10-10 2006-03-22 No Climb Products Ltd Generation of carbon monoxide for testing CO sensors, detectors and alarms
US6819543B2 (en) * 2002-12-31 2004-11-16 Intel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with multiple plates per layer
TWI229878B (en) * 2003-03-12 2005-03-21 Tdk Corp Multilayer capacitor
CA2427320C (en) * 2003-04-30 2009-07-21 Digital Security Controls Ltd. Smoke detector with performance reporting
JP3942565B2 (ja) * 2003-08-29 2007-07-11 Tdk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
KR100568310B1 (ko) * 2004-09-08 2006-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캐패시터
US7254411B2 (en) * 2004-09-24 2007-08-07 Benq Corporatio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method
US7281404B2 (en) * 2004-10-19 2007-10-16 Industrial Scientif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gas detection instruments
US7275411B2 (en) * 2004-10-19 2007-10-02 Industrial Scientif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gas detection instruments
JP4351181B2 (ja) * 2005-03-10 2009-10-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等価直列抵抗調整方法
US7433172B2 (en) * 2005-03-10 2008-10-07 Tdk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KR100663941B1 (ko) * 2005-03-30 2007-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레이형 적층 세라믹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43093A (ja) * 2005-07-05 2007-02-15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ンデンサ
JP4213744B2 (ja) * 2005-12-22 2009-01-21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実装構造
JP4293560B2 (ja) * 2006-07-12 2009-07-0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KR100992311B1 (ko) * 2008-08-13 2010-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칩 커패시터 및 이를 구비한 회로기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961A (ja) * 2002-06-11 2004-01-15 Tdk Corp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JP2007201467A (ja) * 2006-01-26 2007-08-09 Tdk Corp 積層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1179B (zh) 2011-06-15
JP2009164257A (ja) 2009-07-23
US20090168298A1 (en) 2009-07-02
US7660100B2 (en) 2010-02-09
KR20090073015A (ko) 2009-07-02
JP4502006B2 (ja) 2010-07-14
CN101471179A (zh)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542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309499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102053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369819B1 (ko) 적층형 필터
JP58706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KR101339693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0910934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JP5708245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20100036982A (ko) 적층 콘덴서
CN108023152B (zh) 定向耦合器
KR101700461B1 (ko) 전기 다층형 구성요소 및 그를 포함한 회로 장치
KR101369818B1 (ko) 적층형 필터
KR10102730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26646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645971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952779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3104958U (ja) 低キャパシタンス積層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