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982A - 적층 콘덴서 - Google Patents

적층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982A
KR20100036982A KR1020090092162A KR20090092162A KR20100036982A KR 20100036982 A KR20100036982 A KR 20100036982A KR 1020090092162 A KR1020090092162 A KR 1020090092162A KR 20090092162 A KR20090092162 A KR 20090092162A KR 20100036982 A KR20100036982 A KR 2010003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electrode
electrode
internal
connection
dielectric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토가시
다카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54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05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41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771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70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93044B2/ja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3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3Thin- or thick-film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한다.
적층 콘덴서는 유전체 소체와, 제 1 및 제 2 복수의 내부전극과, 한 쌍의 단자전극과, 한 쌍의 연결용 전극을 구비한다. 제 1 내부전극은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영역과,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제 2 내부전극은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3 영역과,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자용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제 4 영역을 갖고 있다. 제 1 영역의 면적은 제 4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아져 있고, 제 3 영역의 면적은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아져 있다.
적층 콘덴서, 유전체층, 내부전극, 임피던스, 공진 주파수, 등가직렬 인덕턴스(ESL)

Description

적층 콘덴서{Multilayer condensor}
본 발명은 적층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등가직렬저항(ESR:Equivalent Series Resistance)을 증가시켜 전원의 전압진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러가지의 용도에 적용 가능하게 한 적층 콘덴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 적층 콘덴서는 직방체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주면과,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는 적층체와, 제 1 측면에 배치된 제 1 단자전극과, 제 2 측면에 배치된 제 2 단자전극과, 제 3 측면에 배치된 제 1 연결용 전극과, 제 4 측면에 배치된 제 2 연결용 전극을 구비한다. 적층체는 유전체층을 개재시켜 제 1 내지 제 4 내부전극을 교대로 적층시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전극에는 제 1 측면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제 1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단자용 돌출부와, 제 3 측면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제 1 연결전극에 접속되는 접속용 돌출부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의 도 10 참조). 제 2 내부전극에는 제 2 측면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제 2 단자전극에 접속되는 단자용 돌출부와, 제 4 측면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제 2 연결전극에 접속되는 접속용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동 도면 참조). 제 3 내부전극에는 제 3 측면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제 1 연결전극에 접속되는 접속용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동 도면 참조). 제 4 내부전극에는 제 4 측면에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제 2 연결전극에 접속되는 접속용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동 도면 참조). 이 때문에, 전류는 제 1 단자전극, 제 1 내부전극, 제 1 연결전극 및 제 3 내부전극의 순서로 흐르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이 동극성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 전류는 제 4 내부전극, 제 2 연결전극, 제 2 내부전극 및 제 2 단자전극의 순서로 흐르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동극성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적층 콘덴서 내에서의 전류의 유로의 증가도 초래되고, 이에 따라 적층 콘덴서의 ESR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ESR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임피던스를 크게 할 수 있고, 공진 주파수를 중심으로 한 광역파 대역에 걸쳐 임피던스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68620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적층 콘덴서에서는 ESR을 증가시켜 공진 주파수를 크게 하여도, 공진점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 여전히 임피던스가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도 3의 파선 b 참조).
그래서, 본 발명은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 임피던스가 저하되어 버리는 원인에 관해서 거듭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이하의 지견을 얻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접속용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접속용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 2 내부전극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있다. 즉, 이극(異極)이 되는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이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의 사이에 정전용량이 발생하였다.
그런데, 전류는 제 1 내부전극에 있어서는 단자용 돌출부, 제 1 내부전극 및 접속용 돌출부의 순서로 흐르고, 제 2 내부전극에 있어서는 접속용 돌출부, 제 2 내부전극 및 단자용 돌출부의 순서로 흐른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은 제 1 내부전극에 있어서는 전류가 흐르는 단자용 돌출부, 제 1 내부전극 및 접속용 돌출부의 사이에 발생하고, 제 2 내부전극에 있어서는 단자용 돌출부, 제 2 내부전극 및 접속용 돌출부의 사이에 발생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에서는 제 1 내부전극 중 단자용 돌출부와 접속용 돌출부의 사이와는 반대측의 부분과, 제 2 내부전극 중 단자용 돌출부와 접속용 돌출부의 사이의 부분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기생용량이라고도 함) Cp가,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에 병렬로 접속되게 된다(도 4 참조). 그리고, 본 발명자 등은 해당 기생용량 Cp이 클 수록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가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과,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1 내부전극에는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2 내부전극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와,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1 내부전극은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단자측영역과,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제 1 반대측영역을 갖고, 제 2 내부전극은 제 2 연결용 접속부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2 단자측영역과,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 자용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제 2 반대측영역을 갖고, 제 1 단자측영역과 제 2 반대측영역은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1 반대측영역과 제 2 단자측영역은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1 단자측영역의 면적은 제 2 반대측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고, 제 2 단자측영역의 면적은 제 1 반대측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단자측영역과,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제 1 반대측영역을 갖고 있고, 제 2 내부전극이,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2 단자측영역과,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자용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제 2 반대측영역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단자측영역과 제 2 반대측영역이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1 반대측영역과 제 2 단자측영역이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1 단자측영역의 면적이 제 2 반대측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고, 제 2 단자측영역의 면적이 제 1 반대측영역의 면적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단자측영역과 제 2 반대측영역의 대향면적이 작아지고,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2 단자측영역과 제 1 반대측영역의 대향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 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개구부는 메시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개구부는 장공(長孔)형을 나타내고 있고, 복수의 개구부 중 제 1 단자측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는 그 길이방향이 제 1 단자측영역 및 제 1 반대측영역의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개구부 중 제 2 단자측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는 그 길이방향이 제 2 단자측영역 및 제 2 반대측영역의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단자측영역과 제 2 반대측영역의 대향면적 및 제 2 단자측영역과 제 1 반대측영역의 대향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을, 예를 들면, 가는 1개의 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는 1개의 선 형상부분에 전류가 집중하여 흐르게 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ESL:Equivalent Series Inductance)가 증대하여 버린다. 그리고, ESL은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에서 정전용량 C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도 4 참조), 콘덴서의 급속한 충방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ESL이 증대하면 회로의 고속화가 억제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형(그물코형) 또는 장공형(슬릿형)이 되도록 복수의 개구부를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 형성하도록 하면,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서 전류가 분산하여 흐르게 되기 때문에, ESL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 c1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3 및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3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4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1 단자측영역 및 제 1 반대측영역과 제 4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2 단자측영역 및 제 2 반대측영역과 제 3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반대측영역과 제 4 내부전극이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정전용량이 발생하고, 제 2 반대측영역과 제 3 내부전극이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정전용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적층 콘덴서 전체로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3 및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3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및 제 4 내부전극은 소체의 내부에 있어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3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4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1 단자측영역 및 제 1 반대측영역과 제 3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2 단자측영역 및 제 2 반대측영역과 제 4 내부전극은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단자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내부전극이 적층방향에서 이극인 제 2 및 제 4 내부전극에 인접하지 않고, 제 2 단자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내부전극이 적층방향에서 이극인 제 1 및 제 3 내부전극에 인접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내부전극과 동극인 제 3 내부전극의 존재에 의해서, 제 1 내부전극이 이극인 제 4 내부전극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고,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내부전극과 동극인 제 4 내부전극의 존재에 의해서, 제 2 내부전극이 이극인 제 3 내부전극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기생용량을 더 한층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는 제 1 내지 제 3 유전체층을 적어도 갖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과,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1 유전체층, 제 2 유전체층 및 제 3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3 내부전극은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 되고, 제 4 내부전극은 제 3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내부전극에는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2 내부전극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와,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2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전극에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 및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4 내부전극의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 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2 내부전극에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제 2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2 내부전극이 제 3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서로 이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3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지 않은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 C(도 4 참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5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5 내부전극은 제 3 내부전극과 이격된 상태로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5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의 적층방향에서 제 1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4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5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는 제 1 내지 제 3 유전체층을 적어도 갖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 자전극과,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5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1 유전체층, 제 2 유전체층 및 제 3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3 및 제 5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4 내부전극은 제 3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내부전극에는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2 내부전극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와,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5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1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5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3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2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전극에 제 1 단자전극과 접 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 및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5 내부전극에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5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2 내부전극에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5 내부전극에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제 2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2 내부전극이 제 3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 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서로 이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3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3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지 않은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 C(도 4 참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6 내지 제 10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내지 제 6 유전체층을 갖고, 제 1 유전체층, 제 2 유전체층, 제 3 유전체층, 제 6 유전체층, 제 4 유전체층 및 제 5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소체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1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1 주면과,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5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면을 갖고,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10 내부전극은 제 6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제 6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7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8 내부전극에는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3 단자용 접속부와,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8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9 내부전극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4 단자용 접속부와,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9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10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0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6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8 및 제 10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7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9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6 내부전극과 제 8 내부전극과 제 10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6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7 내부전극과 제 8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 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제 7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소체의 제 1 주면의 직선거리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제 8 및 제 9 내부전극과 소체의 제 2 주면의 직선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8 내부전극이 제 6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9 내부전극이 제 7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서로 이극인 제 6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8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하면, 제 1 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지 않은 제 6 내부전극과 제 10 내부전극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제 6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8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 C(도 4 참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제 1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와, 제 2 주면과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의 직선거리가 다르면, 제 1 주면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와 제 2 주면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에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변하여, 회로기판에 대한 적층 콘덴서의 실장상태에 따라서는 고주파 특성이 변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 1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와, 제 2 주면과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의 직선거리가 대략 동일하면,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릴 우려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 적층 콘덴서는 공업제품이고,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의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동일」에는 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오차범위 내에서의 동일성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6 내지 제 9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및 제 5 유전체층을 갖고, 제 1 유전체층, 제 2 유전체층, 제 3 유전체층, 제 4 유전체층 및 제 5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소체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1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1 주면과,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5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면을 갖고,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6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7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8 내부전극에는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3 단자용 접속부와,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8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9 내부전극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4 단자용 접속부와,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9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7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6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8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7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9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4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6 내부전극과 제 8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6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7 내부전극과 제 8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소체의 제 1 주면의 직선거리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제 8 및 제 9 내부전극과 소체의 제 2 주면의 직선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8 내부전극이 제 6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9 내부전극이 제 7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서로 이극인 제 6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8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하면, 제 1 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지 않은 제 4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제 6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8 내부전극과 제 9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 C(도 4 참조)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제 1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와, 제 2 주면과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의 직선거리가 다르면, 제 1 주면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와 제 2 주면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에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변하여, 회로기판에 대한 적층 콘덴서의 실장상태에 따라서는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리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 1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와, 제 2 주면과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의 직선거리가 대략 동일하면,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릴 우려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 적층 콘덴서는 공업제품이고,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의 오차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동일」에는 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오차범위 내에서의 동일성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체는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1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1 주면과,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3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면을 갖고,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소체의 제 1 주면의 직선거리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소체의 제 2 주면의 직선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그런데, 제 1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와, 제 2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가 다르면, 제 1 주면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와 제 2 주면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에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변하여 버려, 회로기판에 대한 적층 콘덴서의 실장상태에 따라서는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리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 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 1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와, 제 2 주면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의 직선거리가 대략 동일하면,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릴 우려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또, 적층 콘덴서는 공업제품이고,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의 오차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동일」에는 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오차범위 내에서의 동일성도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유전체층을 갖고, 제 4 유전체층, 제 1 유전체층, 제 2 유전체층 및 제 3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6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7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6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7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제 6 내부전극과 제 1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6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7 내부전극과 제 1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제 7 내부전극과 제 2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6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는 동시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2 내부전극이 제 7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서로 이극인 제 6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내부전극은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단자측영역을 갖고, 제 2 내부전극은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2 단자측영역을 갖고 있고,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개구부는 메시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내부전극과 그 이극의 내부전극의 대향면적이나, 제 2 내부전극과 그 이극의 내부전극의 대향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을, 예를 들면, 가는 1개의 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는 1개의 선 형상부분에 전류가 집중하여 흐르게 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ESL:Equivalent Series Inductance)가 증대하여 버린다. 그리고, ESL은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에서 정전용량 C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도 4 참조), 콘덴서의 급속한 충방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ESL이 증대하면, 회로의 고속화가 억제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복수의 개구부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에 형성하도록 하면,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에 있어서 전류가 분산하여 흐르게 되기 때문에, ESL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 c1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볼 때의 제 1 내부전극과 그 이극과의 대향면적이 작아져 있고,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볼 때의 제 2 내부전극과 그 이극과의 대향면적이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이 이극으로부터의 자속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는 제 1 내지 제 3 유전체층을 적어도 갖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과,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4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2 내부전극은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 고, 제 3 내부전극은 제 3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내부전극에는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2 내부전극에는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와,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1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1 및 제 4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전극에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 및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3 내부전극에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3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3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 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1 내부전극에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 및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4 내부전극이 제 1 유전체층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서로 이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서는 제 3 내부전극에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4 내부전극에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지 않은 제 3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제 1 내부전극과 제 4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5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제 5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5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서로 이극인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5 및 제 6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유전체층을 갖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6 내부전극은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5 내부전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6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6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2 및 제 5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2 및 제 5 내부전극과 제 6 내부전 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2 내부전극이 제 6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하면, 서로 이극인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지 않은 제 2 내부전극과 제 6 내부전극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제 2 내부전극과 제 5 내부전극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7 및 제 8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5 및 제 6 유전체층을 갖고, 제 7 내부전극은 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8 내부전극은 제 6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제 7 내부전 극에는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8 내부전극에는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8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제 7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8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제 1 내부전극과 제 7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제 2 내부전극과 제 8 내부전극은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1 내부전극이 제 7 내부전극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와 같이 하면,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제 2 내부전극이 제 8 내부전극이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를 더욱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내부전극은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단자측영역을 갖고, 제 2 내부전극은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2 단자측영역을 갖고 있고,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개구부는 메시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 1 내부전극과 그 이극의 대향면적이나, 제 2 내부전극과 그 이극과의 대향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을, 예를 들면, 가는 1개의 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는 1개의 선 형상부분에 전류가 집중하여 흐르게 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ESL:Equivalent Series Inductance)가 증대하여 버린다. 그리고, ESL은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에서 정전용량 C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도 4 참조), 콘덴서의 급속한 충방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ESL이 증대하면, 회로의 고속화가 억제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복수의 개구부를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에 형성하도록 하면,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에 있어서 전류가 분산하여 흐르게 되기 때문에, ESL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 c1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볼 때의 제 1 내부전극과 그 이극의 대향면적이 작아져 있고,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볼 때의 제 2 내부전극과 그 이극의 대향면적이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이 이극으로부터의 자속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요소 또는 동일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적층 콘덴서(1)는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소체(10; 소체)와, 내부전극(12A; 제 1 내부전극, 12B; 제 2 내부전극, 14A; 제 3 내부전극, 14B; 제 4 내부전극)과, 단자전극(18A; 제 1 단자전극, 18B; 제 2 단자전극)과, 연결용 전극(20A; 제 1 연결용 전극, 20B; 제 2 연결용 전극)을 구비한다.
유전체 소체(10)는 서로 대향하는 주면(10a, 10b)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10c, 10d)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10e, 10f)을 갖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면(10a) 또는 주면(10b)이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주면과 대향하는 실장면으로 되어 있다.
측면(10c, 10d)은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을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측면(10e, 10f)은 주면(10a, 10b) 및 측면(10c, 10d)을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 소체(10)의 길이방향이 길이를 예를 들면 1.0mm 정도, 폭을 예를 들면 0.5mm 정도, 두께를 예를 들면 0.5mm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유전체 소체(10)는 통상, 소성 후에 배럴 연마되기 때문에, 유전체 소체(10)의 모서리부(稜部)는 소정의 크기의 곡율을 갖는 곡면형을 나타내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유전체 소체(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는 유전체층(A10 내지 A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유전체층(A10)의 상면이 유전체 소체(10)의 주면(10a)을 구성하고, 유전체층(A18)의 하면이 유전체 소체(10)의 주면(10b)을 구성함으로써, 주면(10a, 10b)의 대향방향(이하, 대향방향이라고 함)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유전체층; A10 내지 A18))의 적층방향(이하, 적층방향이라고 함)에 일치한다.
유전체층(A10 내지 A18)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로서 기능한다. 유전체층(A10 내지 A18)은 예를 들면, 티타늄산바륨이나 티타늄산스트론튬에 희토류원소를 첨가한 유전성 세라믹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실제의 유전체 소체(10)는 소성에 의해, 각 유전체층(A10 내지 A18)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유전체층(A11, A17)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2A)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2A)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2A)에는 측면(10c)측의 단변에 단자용 접속부(22A; 제 1 단자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용 접속부(22A)는 내부전극(12A)과 같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7)의 단자전극(18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c)에 노출되어 있다. 또, 내부전극(12A)에는 측면(10e)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4A;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4A)는 내부전극(12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7)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2A)은 연결용 접속부(24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2A) 근처의 영역(R1; 제 1 단자측영역)과, 연결용 접속부(24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2A)와는 반대측의 영역(R2; 제 1 반대측영역)을 갖고 있다. 영역(R1)에는 정방형상을 나타내는 개구부(26A)가 복수(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6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6A)는 영역(R1)에 있어서 4행×4열이 되도록, 즉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전체층(A12, A18)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2B)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에는 측면(10d)측의 단변에 단자용 접속부(22B; 제 2 단자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용 접속부(22B)는 내부전극(12B)과 같은 폭으로 유전체층(A12, A18)의 단자전극(18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d)에 노출되어 있다. 또, 내부전극(12B)에는 측면(10f)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4B;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4B)는 내부전극(12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2, A18)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은 연결용 접속부(24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2B) 근처의 영역(R3; 제 2 단자측영역)과, 연결용 접속부(24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2B)와는 반대측의 영역(R4; 제 2 반대측영역)을 갖고 있다. 영역(R3)에는 정방형상을 나타내는 개구부(26B)가 복수(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6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26B)는 영역(R3)에 있어서 4행×4열이 되도록, 즉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전체층(A13, A15)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4A)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4A)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4A)에는 측면(10e)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8A;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8A)는 내부전극(14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3, A15)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A14, A16)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4B)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4B)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4B)에는 측면(10f)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8B;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8B)는 내부전극(14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4, A16)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모두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유전체층(A11 내지 A17)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4A, 14B, 12A, 12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즉, 각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유전체층(A11 내지 A18)의 두께분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모두 적층방향(주면(10a, 10b)의 대향방향)부터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전극(12A)의 영역(R1)과 내부전극(12B)의 영역(R4)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내부전극(12A)의 영역(R2)과 내부전극(12B)의 영역(R3)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또한, 유전체층(A12)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2B)의 영역(R3, R4)과, 유전체층(A13)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4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유전체층(A17)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2A)의 영역(R1, R2)과, 유전체층(A16)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4B)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따라서, 적층방향에서 볼 때의 내부전극(14A, 14B)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4A, 14B)의 각각의 간격(즉, 유전체층(A13 내지 A15)의 두께), 적층방향에서 볼 때의 유전체층(A12)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2B)의 영역(R4)과 유전체층(A13)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4A)의 대향면적 및 상기 내부전극(12B, 14A)의 간격(즉, 유전체층(A12)의 두께), 및,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유전체층(A17)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2A)의 영역(R2)과 유전체층(A16) 위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전극(14B)의 대향면적 및 해당 내부전극(12A, 14B)의 간격(즉, 유전체층(A16)의 두께)에 의해서, 적층 콘덴서(1)의 정전용량이 규정된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예를 들면 Ag이나 Ni 등의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상기 도전성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자전극(18A)은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c)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c)이 인접하는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단자전극(18A)은 측면(10c)과,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 중 측면(10c)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전극(18A)은 측면(10c)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단자용 접속부(22A)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전극(16A)과 내부전극(12A)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단자전극(18B)은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d)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d)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단자전극(18B)은 측면(10d)과,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 중 측면(10d)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전극(18B)은 측면(10d)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단자용 접속부(22B)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전극(16B)과 내부전극(12B)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연결용 전극(20A)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e)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e)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연결용 전극(20A)은 측면(10e)과, 주면(10a, 10b) 중 측면(10e)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용 전극(20A)은 측면(10e)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용 접속부(24A, 28A)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이 연결용 전극(20A)을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은 동극이 된다.
연결용 전극(20B)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f)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f)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연결용 전극(20B)은 측면(10f)과, 주면(10a, 10b) 중 측면(10f)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용 전극(20B)은 측면(10f)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용 접속부(24B, 28B)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이 연결용 전극(20B)을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은 동극이 된다.
단자전극(18A, 18B) 및 연결용 전극(20A, 20B)은 예를 들면 도전성금속분말 및 유리 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유전체 소체(10)의 외표면에 도포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단자전극(18A, 18B) 및 연결용 전극(20A, 20B)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A)이 연결용 접속부(24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2A) 근처의 영역(R1)과, 연결용 접속부(24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2A)와는 반대측의 반대측영역(R2)을 갖고 있고, 내부전극(12B)이 연결용 접속부(24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2B) 근처의 단자측영역(R3)과, 연결용 접속부(24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단자용 접속부(20A)와는 반대측의 영역(R4)을 갖고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영역(R1)과 영역(R4)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영역(R3)과 영역(R4)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또, 제 1 실시형 태에 있어서는 영역(R1, R3)에는 복수의 개구부(26A, 26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영역(R1)의 면적이 영역(R4)의 면적보다도 작고, 영역(R3)의 면적이 영역(R2)의 면적보다도 작아져 있다. 그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1)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영역(R1)과 영역(R4)의 대향면적이 작아지고,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1)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영역(R3)과 영역(R2)의 대향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1)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그런데, 영역(R1)과 영역(R4)의 대향면적 및 영역(R3)과 영역(R2)의 대향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영역(R1, R3)을, 예를 들면, 가는 1개의 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전류가 가는 1개의 선 형상부분을 집중하여 흐르게 되고, ESL이 증대하여 버린다. 그리고, ESL은 적층 콘덴서(1)의 등가회로에서 정전용량 C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도 4 참조), 콘덴서의 급속한 충방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ESL이 증대하면, 회로의 고속화가 억제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복수의 개구부(26A, 26B)를 각각의 영역(R1, R3)에 형성하도록 하면, 영역(R1, R3)에 있어서 전류가 분산하여 흐르게 되기 때문에, ESL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 c1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B)이 유전체층(A12)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4A)과 인접하고 있고, 내부전극(12A)이 유전체층(A16)을 개재하여 내부전극(A14B)과 인접하고 있고, 영역(R4)과 내부전극(14A)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영역(R2)과 내부전극(14B)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영역(R4)과 내부전극(14A)이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정전용량이 발생하고, 영역(R3)과 내부전극(14B)이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정전용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적층 콘덴서(1) 전체로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2세트의 내부전극(12A, 12B)이 배치되어 있지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1세트의 내부전극(12A, 12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3세트 이상의 내부전극(12A, 12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또, 도 5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는 유전체층(A10 내지 A16)이 이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전체층(A11 내지 A15)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4A, 14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 는 유전체층(A10, A11, A14, A13, A16, A15, A12)이 이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전체층(A11, A14, A13, A16, A15)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4B, 14A, 14B, 14A, 12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2B)의 사이에 내부전극(14A, 14B)이 배치되어 있지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전극(12A, 12B)이 적층방향에서 인접하고 있어도 좋다.
또,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세트의 내부전극(12A, 12B)의 사이에 내부전극(14A, 14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내부전극(12A)의 영역(R1)에 정방형상의 개구부(26A)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B)의 영역(R3)에 정방형상의 개구부(26B)가 복수 형성되어 있지만, 개구부(26A, 26B)를 다각형상(삼각형상이나 사각형상 등), 원형상, 타원형상, 장공형과 같은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전극(12A)의 영역(R1)에 직사각형상(슬릿형)의 개구부(30A)를 복수(도 6에서는 4개) 형성하고, 내부전극(12B)의 영역(R3)에 직사각형상의 개구부(30B)를 복수(도 6에서는 4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도 6에 있어서는 개구부(30A)의 길이방향(슬릿형)이 영역(R1, R2)의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부(30A)가 영역(R1)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30B)의 길이방향이 영역(R3, R4)의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부(30B)가 영역(R3)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개구부(30A, 30B)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 에 나란하다. 단,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영역(R1)의 면적이 영역(R4)의 면적보다도 작고, 영역(R3)의 면적이 영역(R2)의 면적보다도 작으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주면(10a)부터의 내부전극(12A)까지의 직선거리와, 주면(10b)부터 내부전극(12B)까지의 직선거리가 다르면, 주면(10a)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1)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와 주면(10b)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1)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에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변하여 버려, 회로기판에 대한 적층 콘덴서(1)의 실장상태에 따라서는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리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면(10a)부터의 내부전극(12A)까지의 직선거리와, 주면(10b)부터 내부전극(12B)까지의 직선거리가 대략 동일하면, 즉, 유전체층(A10)의 두께와 유전체층(A12)의 두께가 대략 같으면,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릴 우려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적층 콘덴서는 공업제품이고,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의 오차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동일」에는 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오차범위 내에서의 동일성도 포함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1세트의 내부전극(12A, 12B)이 적층방향에서 인접하고 있었지만,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전극(14A)이 적층방향의 양측에서 동극인 내부전극(12A)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내부전극(14B)이 적층방향의 양측에서 동극인 내부전극(12B)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단자전극(18A)과 접속되는 내부전극(12A)과 동극인 내부전극(14A)의 존재에 의해서, 내부전극(12A)이 이극인 내부전극(14B)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 하지 않게 되고, 단자전극(18B)과 접속되는 내부전극(12B)과 동극인 내부전극(14B)의 존재에 의해서, 내부전극(12B)이 이극인 내부전극(14A)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기생용량을 더 한층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도 7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는 유전체층(A10, A19, A11, A20, A21, A12, A22, A13, A14)이 이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은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전체층(A19, A11, A20, A21, A12, A22, A13)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4A, 12A, 14A, 14B, 12B, 14B, 14A, 14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부전극(14A, 14B)의 수 및 유전체층의 수를 적절하게 원하는 수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적층 콘덴서(2)는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소체(10; 소체)와, 내부전극(12A; 제 1 내부전극, 제 8 내부전극, 12B; 제 2 내부전극, 제 9 내부전극, 14A; 제 5 내부전극, 제 6 내부전극, 14B; 제 3 내부전극, 제 7 내부전극, 16A; 제 4 내부전극, 16B; 제 10 내부전극)과, 단자전극(18A; 제 1 단자전극, 18B; 제 2 단자전극)과, 연결용 전극(20A; 제 1 연결용 전극, 20B; 제 2 연결용 전극)을 구비한다.
유전체 소체(10)는 서로 대향하는 주면(10a, 10b)과, 서로 대향하는 측 면(10c, 10d)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10e, 10f)을 갖는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면(10a) 또는 주면(10b)이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주면과 대향하는 실장면으로 되어 있다.
측면(10c, 10d)은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을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측면(10e, 10f)은 주면(10a, 10b) 및 측면(10c, 10d)을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 소체(10)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예를 들면 1.0mm 정도, 폭을 예를 들면 0.5mm 정도, 두께를 예를 들면 0.5mm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유전체 소체(10)는 통상, 소성 후에 배럴 연마되기 때문에, 유전체 소체(10)의 모서리부는 소정의 크기의 곡율을 갖는 곡면형을 나타내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유전체 소체(10)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는 유전체층(A10 내지 A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유전체층(A10)의 상면이 유전체 소체(10)의 주면(10a)을 구성하고, 유전체층(A18)의 하면이 유전체 소체(10)의 주면(10b)을 구성하게 되고, 주면(10a, 10b)의 대향방향(이하, 대향방향이라고 함)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 유전체층(A10 내지 A18))의 적층방향(이하, 적층방향이라고 함)에 일치한다.
유전체층(A10 내지 A18)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로서 기능한다. 유전체층(A10 내지 A18)은 예를 들면, 티타늄산바륨이나 티타늄산스트론튬에 희토류원소를 첨가한 유전성 세라믹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실제의 유전체 소체(10)는 소성에 의해, 각 유전체층(A10 내지 A18)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 어 있다.
유전체층(A11, A18)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2A, 12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2A)은 유전체층(A11, A18) 중 측면(10c) 근처의 영역(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1,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전극(12B)은 유전체층(A11, A18) 중 측면(10d) 근처의 영역(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1,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2A)에는 측면(10c)측의 단변에 단자용 접속부(22A; 제 1 단자용 접속부, 제 3 단자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용 접속부(22A)는 내부전극(12A)과 같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8)의 단자전극(18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c)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내부전극(12A)에는 측면(10d)측이며 또한 측면(10e)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4A; 제 1 연결용 접속부, 제 8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4A)는 내부전극(12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8)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에는 측면(10d)측의 단변에 단자용 접속부(22B; 제 2 단자용 접속부, 제 4 단자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용 접속부(22B)는 내부전극(12B)과 같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8)의 단자전극(18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에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d)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내부전 극(12B)에는 측면(10c)측이며 또한 측면(10f)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4B; 제 1 연결용 접속부, 제 9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4B)는 내부전극(12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8)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A12, A17)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4A, 14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4A)은 유전체층(A12, A17) 중 측면(10c) 근처의 영역(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2,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전극(14B)은 유전체층(A12, A17) 중 측면(10d) 근처의 영역(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2,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4A)에는 측면(10d)측이며 또한 측면(10e)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6A; 제 3 연결용 접속부,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6A)는 내부전극(14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2, A17)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4B)에는 측면(10c)측이며 또한 측면(10f)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6B; 제 5 연결용 접속부,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6B)는 내부전극(14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2, A17)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 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A13, A15)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6A)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6A)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6A)에는 측면(10e)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8A;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8A)는 내부전극(16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3, A15)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A14, A16)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6B)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6B)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6B)에는 측면(10f)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8B;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8B)는 내부전극(16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4, A16)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모두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유전체층(A11 내지 A17)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2B), 내부전극(14A, 14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4A, 14B) 및 내부전극(12A, 12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즉, 각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적층방향(주면(10a, 10b)의 대향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내부전극끼리가 유전체층(A11 내지 A18)의 두께분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 이, 주면(10a)부터의 내부전극(12A, 12B)까지의 거리(d1)와, 주면(10b)부터 내부전극(12A, 12B)까지의 거리(d2)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내부전극(12A, 14A, 16A, 16B)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A)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과, 내부전극(16B)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또한, 내부전극(12B, 14B, 16A, 16B)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과, 내부전극(16B)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한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2B, 14B)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또한,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2A, 14A)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따라서,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6A, 16B)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6A, 16B)의 각각의 간격(즉, 유전체층(A13 내지 A15)의 두께),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4A, 16B)의 간격(즉, 유전체층(A17)의 두께), 및,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4B, 16A)의 간격(즉, 유전체층(A12)의 두 께)에 의해서, 적층 콘덴서(2)의 정전용량이 규정된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예를 들면 Ag이나 Ni 등의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상기 도전성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자전극(18A)은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c)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c)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단자전극(18A)은 측면(10c)과,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 중 측면(10c)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전극(18A)은 측면(10c)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단자용 접속부(22A)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전극(18A)과 내부전극(12A)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단자전극(18B)은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d)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d)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단자전극(18B)은 측면(10d)과,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 중 측면(10d)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전극(18B)은 측면(10d)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단자용 접속부(22B)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전극(18B)과 내부전극(12B)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연결용 전극(20A)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e)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e)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연결용 전극(20A)은 측면(10e)과, 주면(10a, 10b) 중 측면(10e)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용 전극(20A)은 측면(10e)에 말 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용 접속부(24A, 26A, 28A)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A)이 연결용 전극(20A)을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A)은 동극이 된다.
연결용 전극(20B)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f)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f)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연결용 전극(20B)은 측면(10f)과, 주면(10a, 10b) 중 측면(10f)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용 전극(20B)은 측면(10f)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용 접속부(24B, 26B, 28B)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B)이 연결용 전극(20B)을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B)은 동극이 된다.
단자전극(18A, 18B) 및 연결용 전극(20A, 20B)은 예를 들면 도전성금속분말 및 유리 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유전체 소체(10)의 외표면에 도포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단자전극(18A, 18B) 및 연결용 전극(20A, 20B)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A)에 단자전극(18A)과 접속되는 단자용 접속부(22A) 및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4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4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 결용 접속부(26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B)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2)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내부전극(12A)이 내부전극(14A)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2)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B)에 단자전극(18B)과 접속되는 단자용 접속부(22B) 및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2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4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4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A)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내부전극(12B)이 내부전극(14A)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2)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 극(12B)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A11, A18)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4B)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A12, A17)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유전체 소체(10)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2)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4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6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8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이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또한, 내부전극(14B)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6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8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이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단자전극(18A, 18B)과 접속되지 않은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의 사이, 및, 단자전극(18A, 18B)과 접속되지 않은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2)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4B)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A12)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4B)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A17)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2)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2)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1), 유전체층(A12) 및 유전체층(A1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이 적층방향에서 내부전극(14A, 14B)과 인접하고, 내부전극(14A, 14B)이 적층방향에서 내부전극(16A)과 인접하고 있다. 요컨대, 단자전극(1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전극(12B)이 이극인 내부전극(16A)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고 있지 않다. 또한, 유전체층(A16), 유전체층(A17) 및 유전체층(A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내부전극(16B)이, 적층방향에서 내부전극(14A, 14B)과 인접하고, 내부전극(14A, 14B)이 적층방향에서, 내부전극(12A, 12B)과 인접하고 있다. 요컨대, 단자전극(18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전극(12A)이 이극인 내부전극(16B)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고 있지 않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B)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A)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그 때문에, 단자전극(18A)과 접속되는 내부전극(12A)과 동극인 내부전극(14A)의 존재에 의해서, 내부전극(12A)이 이극인 내부전극(16B)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고, 단자전극(18B)과 접속되는 내부전극(12B)과 동극인 내부전극(14B)의 존재에 의해서, 내부전극(12B)이 이극인 내부전극(16A)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기생용량을 더 한층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면(10a)부터의 내부전극(12A, 12B)까지의 거리(d1)와, 주면(10b)부터 내부전극(12A, 12B)까지의 거리(d2)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면(10a, 10b)의 어느 쪽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2)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에도,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변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적층 콘덴서(2)의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릴 우려가 거의 없어졌다. 또, 적층 콘덴서(2)는 공업제품이고,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의 오차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동일」에는 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오차범위 내에서의 동일성도 포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위치하는 내부전극(12A, 12B)과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위치하는 내부전극(14A, 14B)이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2세트 배치되었지만,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1세트의 내부전극(12A, 12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3세트 이상의 내부전극(12A, 12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세트의 내부전극(12A, 12B)과 2세트의 내부전극(14A, 14B)이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10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는 유전체층(A10 내지 A16)이 이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전체층(A11 내지 A15)을 개재하여 내부전 극(12A, 12B), 내부전극(14A, 14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및 내부전극(16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는 유전체층(A10, A13, A14, A12, A11, A17, A15, A16)이 이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전체층(A13, A14, A12, A11, A17, A15)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4A, 14B), 내부전극(12A, 12B), 내부전극(14A, 14B), 내부전극(16A) 및 내부전극(16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요컨대, 도 11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4A, 14B), 내부전극(12A, 12B) 및 내부전극(14A, 14B)이 적층방향에서 인접하고, 모두 동극인 내부전극(14A, 12A, 14A)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모두 동극인 내부전극(14B, 12B, 14B)이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단자전극(18A)과 접속되는 내부전극(12A)과 동극인 내부전극(14A)의 존재에 의해서, 내부전극(12A)이 이극인 내부전극(16B)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고, 단자전극(18B)과 접속되는 내부전극(12B)과 동극인 내부전극(14B)의 존재에 의해서, 내부전극(12B)이 이극인 내부전극(16A)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기생용량을 더 한층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1에 있어서도, 주면(10a)부터의 내부전극(12A, 12B)까지의 거리와, 주면(10b)부터 내부전극(12A, 12B)까지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릴 우려가 거의 없어졌다.
또한,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2B)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 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으면,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을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 12에 있어서, 내부전극(12A)은 L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1,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 및 유전체(A11, A18)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e)측의 영역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은 L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1,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 및 유전체(A11, A18)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f)측의 영역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4A)은 L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2,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 및 유전체(A12, A17)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e)측의 영역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4B)은 L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2,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 및 유전체(A11, A17)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f)측의 영역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전극(12A)에 정방형상을 나타내는 개구부(30A)를 복수 형성하고, 내부전극(12B)에 정방형상을 나타내는 개구부(30B)를 복수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개구부(30A, 30B)는 내부전극(12A, 12B)에서 4행×4열이 되도록, 즉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개구부(30A, 30B)를 다각형상(삼각형상이나 사각형상 등), 원형상, 타원형상, 장공형과 같은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내부전극(12A)이 이극의 내부전극(16B)과 적층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어도,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6B)의 대향면적이 작아지는 동시에, 내부전극(12B)이 이극의 내부전극(16A)과 적층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어도,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6A)의 대향면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기생용량을 더 한층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내부전극(12A)과 그 이극의 내부전극(16B)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2B)과 그 이극의 내부전극(16A)의 대향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내부전극(12A, 12B)을 예를 들면, 가는 1개의 선 형상으로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는 1개의 선 형상부분에 전류가 집중하여 흐르게 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 ESL이 증대하여 버린다. 그리고, ESL은 적층 콘덴서(2)의 등가회로에서 정전용량 C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도 4 참조), 콘덴서의 급속한 충방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ESL이 증대하면, 회로의 고속화가 억제되어 버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복수의 개구부(30A, 30B)를 내부전극(12A, 12B)에 각각 형성하도록 하면, 내부전극(12A, 12B)에서 전류가 분산하여 흐르게 되기 때문에, ESL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 c1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하면,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2A)과 그 이극의 대향면적이 작아지고,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2B)과 그 이극의 대향면적이 작아진다. 그 때문에, 내부전극(12A, 12B)이 이극으로부터의 자속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적층 콘덴서(2)의 저항 성분 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어서 실선 a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이, 유전체층(A11 내지 A17)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2B), 내부전극(14A, 14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4A, 14B) 및 내부전극(12A, 12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지만, 내부전극(16A, 16B)의 순서가 바뀌어도 좋다. 즉,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이 유전체층(A11 내지 A17)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2B), 내부전극(14A, 14B),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4A, 14B) 및 내부전극(12A, 12B)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2, A17) 위에 내부전극(14A, 14B)이 배치되어 있지만, 유전체층(A12, A17) 위에 내부전극(14A, 14B) 중 한쪽만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적층 콘덴서(2)의 정전용량 C(도 4 참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유전체층(A12) 위에 내부전극(14A)만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부전극(16B)이 내부전극(14A)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도록 유전체 소체(10) 내에 배치되게 되고, 유전체층(A12) 위에 내부전극(14B)만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부전극(16A)이 내부전극(14B)과 적층방향에서 인접하도록 유전체 소체(10) 내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2) 위에 배치된 내부전극(14A, 14B)과 유전체층(A17) 위에 배치된 내부전극(14A, 14B)의 사이에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이 적층방향에서 이 순서로 나란하였지만, 유전체층(A12) 위에 배치된 내부전극(14A, 14B)과 유전체층(A17) 위에 배치된 내부전극(14A, 14B)의 사이에 내부전극(16A) 또는 내부전극(16B)의 어느 한쪽이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내부전극(16A, 16B)의 수 및 유전체층의 수를 적절하게 원하는 수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3)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적층 콘덴서(3)는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소체(10; 소체)와, 내부전극(12A; 제 2 내부전극, 12B; 제 1 내부전극, 14A; 제 4 내부전극, 제 8 내부전극, 14B; 제 5 내부전극, 제 7 내부전극, 16A; 제 6 내부전극, 16B ;제 3 내부전극)과, 단자전극(18A; 제 1 단자전극, 18B; 제 2 단자전극)과, 연결용 전극(20A; 제 1 연결용 전극, 20B; 제 2 연결용 전극)을 구비한다.
유전체 소체(10)는 서로 대향하는 주면(10a, 10b)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10c, 10d)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10e, 10f)을 갖는다. 또,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면(10a) 또는 주면(10b)이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주면과 대향하는 실장면으로 되어 있다.
측면(10c, 10d)은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을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측면(10e, 10f)은 주면(10a, 10b) 및 측면(10c, 10d)을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 소체(10)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예를 들면 1.0mm 정도, 폭을 예를 들면 0.5mm 정도, 두께를 예를 들면 0.5mm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유전체 소체(10)는 통상, 소성 후에 배럴 연마되기 때문에, 유전체 소체(10)의 모서리부는 소정의 크기의 곡율을 갖는 곡면형을 나타내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유전체 소체(10)는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는 유전체층(A10 내지 A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유전체층(A10)의 상면이 유전체 소체(10)의 주면(10a)을 구성하고, 유전체층(A18)의 하면이 유전체 소체(10)의 주면(10b)을 구성하게 되고, 주면(10a, 10b)의 대향방향(이하, 대향방향이라고 함)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 유전체층(A10 내지 A18))의 적층방향(이하, 적층방향이라고 함)에 일치한다.
유전체층(A10 내지 A18)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로서 기능한다. 유전체층(A10 내지 A18)은 예를 들면, 티타늄산바륨이나 티타늄산스트론튬에 희토류원소를 첨가한 유전성 세라믹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실제의 유전체 소체(10)는 소성에 의해, 각 유전체층(A10 내지 A18)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유전체층(A11, A17)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2A, 14B)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2A)은 유전체층(A11, A17) 중 측면(10c) 근처의 영역(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방향에 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전극(14B)은 유전체층(A11, A17) 중 측면(10d) 근처의 영역(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2A)에는 측면(10c)측의 단변에 단자용 접속부(22A; 제 2 단자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용 접속부(22A)는 내부전극(12A)과 같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7)의 단자전극(18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c)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내부전극(12A)에는 측면(10d)측이며 또한 측면(10e)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4A;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4A)는 내부전극(12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7)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4B)에는 측면(10c)측이며 또한 측면(10f)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6B;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6B)는 내부전극(14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1, A17)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A12, A18)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2B, 14A)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은 유전체층(A12, A18) 중 측면(10d) 근처의 영역(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전극(14A)은 유전체 층(A12, A18) 중 측면(10c) 근처의 영역(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전체층(A12,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에는 측면(10d)측의 단변에 단자용 접속부(22B; 제 1 단자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용 접속부(22B)는 내부전극(12B)과 같은 폭으로 유전체층(A12, A18)의 단자전극(18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d)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내부전극(12B)에는 측면(10c)측이며 또한 측면(10f)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4B;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4B)는 내부전극(12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2, A18)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4A)에는 측면(10d)측이며 또한 측면(10e)측의 코너부에 연결용 접속부(26A;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6A)는 내부전극(14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2, A18)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A13, A15)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6B)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6B)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6B)에는 측면(10f)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8B;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8B)는 내부전극(16B)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3, A15)의 연결용 전극(20B)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f)에 노출되어 있다.
유전체층(A14, A16)의 각각의 표면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부전극(16A)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전극(16A)은 측면(10c, 10d)의 대향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내부전극(16A)에는 측면(10e)측의 장변의 중앙부에 연결용 접속부(28A;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접속부(28A)는 내부전극(16A)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폭으로 유전체층(A14, A16)의 연결용 전극(20A)이 형성되는 측의 가장자리로 인출되고, 그 말단부가 측면(10e)에 노출되어 있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모두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유전체층(A11 내지 A17)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4B), 내부전극(12B, 14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2A, 14B) 및 내부전극(12B, 14A)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즉, 각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적층방향(주면(10a, 10b)의 대향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내부전극끼리가 유전체층(A11 내지 A18)의 두께분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2A, 14A, 16A, 16B)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A)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과, 내부전극(16B)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또한, 내부전극(12B, 14B, 16A, 16B)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과, 내부전극(16B) 중 유전체층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은 모두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한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2B)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또한,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4B)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지 않다.
따라서,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6A, 16B)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6A, 16B)의 각각의 간격(즉, 유전체층(A13 내지 A15)의 두께),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4A, 16B)의 간격(즉, 유전체층(A12)의 두께), 및, 적층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의 대향면적 및 내부전극(14B, 16A)의 간격(즉, 유전체층(A16)의 두께)에 의해서, 적층 콘덴서(3)의 정전용량이 규정된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예를 들면 Ag이나 Ni 등의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다.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상기 도전성재료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자전극(18A)은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c)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c)이 인접하는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단자전극(18A)은 측면(10c)과, 주면(10a),10b 및 측면(10e, 10f) 중 측면(10c)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전극(18A)은 측면(10c)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단자용 접속부(22A)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전극(18A)과 내부전극(12A)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단자전극(18B)은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d)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d)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단자전극(18B)은 측면(10d)과, 주면(10a, 10b) 및 측면(10e, 10f) 중 측면(10d)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전극(18B)은 측면(10d)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단자용 접속부(22B)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전극(18B)과 내부전극(12B)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연결용 전극(20A)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e)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e)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용 전극(20A)은 측면(10e)과, 주면(10a, 10b) 중 측면(10e)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용 전극(20A)은 측면(10e)에 말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용 접속부(24A, 26A, 28A)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A)이 연결용 전극(20A)을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A)은 동극이 된다.
연결용 전극(20B)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 소체(10)의 측면(10f)을 덮는 동시에 이 측면(10f)과 인접하는 주면(10a, 10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연결용 전극(20B)은 측면(10f)과, 주면(10a, 10b) 중 측면(10f) 근처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용 전극(20B)은 측면(10f)에 말 단부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용 접속부(24B, 26B, 28B)와 물리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B)이, 연결용 전극(20B)을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즉,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B)은 동극이 된다.
단자전극(18A, 18B) 및 연결용 전극(20A, 20B)은 예를 들면 도전성금속분말 및 유리 프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유전체 소체(10)의 외표면에 도포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단자전극(18A, 18B) 및 연결용 전극(20A, 20B)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A)에 단자전극(18A)과 접속되는 단자용 접속부(22A) 및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6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8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6A)이 유전체층(A16)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이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3)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내부전극(12A)이 유전체층(A16) 위의 내부전극(16A)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유전체층(A15) 위의 내부전극(16B) 등)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또한, 내부전극(12B)에 단자전극(18B)과 접속되는 단자용 접속부(22B) 및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4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6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 부(28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6B)이, 유전체층(A12)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그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3)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내부전극(12B)이 유전체층(A16) 위의 내부전극(16A)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유전체층(A14) 위의 내부전극(16A) 등)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또, 내부전극(14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A)이 유전체층(A17)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그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3)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내부전극(12A)이 유전체층(A18) 위의 내부전극(14A)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또한, 내부전극(14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동극인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B)이 유전체층(A11)을 개재하여 인접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그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3)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는 내부전극(12B)이 유전체층(A11) 위의 내부전극(14B)과 인접하는 측에서, 이극과 인접하여 대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저항 성분에 병렬로 접속되는 기생용량 Cp(도 4 참조)가 작아진다. 그 결과, 도 3에 있 어서 실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의 근방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진 주파수의 근방을 포함하는 광역대에 걸쳐 임피던스의 변동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2A)에 단자전극(18A)과 접속되는 단자용 접속부(22A) 및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4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4B)이 유전체층(A11, A17)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전극(12B)에 단자전극(18B)과 접속되는 단자용 접속부(22B) 및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4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4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B, 14A)이 유전체층(A12, A18)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2A)과 내부전극(14B)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2B)과 내부전극(14A)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소체를 구성하는 유전체층의 적층수가 줄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3)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부전극(14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6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8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또한, 내부전극(14B)에 연결용 전극(20B)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6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전극(16A)에 연결용 전극(20A)과 접속되는 연결용 접속부(28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이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그 때문에, 전류가 흐른 경우에 적층 콘덴서(3)의 저항 성분 ESR(도 4 참조)이 생기지 않은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3)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고,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의 사이에서 적층 콘덴서(3)의 용량 성분 C(도 4 참조)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6B)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A12) 위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이극인 내부전극(14B)과 내부전극(16A)이 모두 동일한 유전체층(A17)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아울러, 적층 콘덴서(3)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적층 콘덴서(3)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있어서 2점쇄선 c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주파 대역 전체에 걸쳐 임피던스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위치하는 내부전극(12A, 14B)과 동일한 유전체층 위에 위치하는 내부전극(12B, 14A)이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2세트 배치되어 있지만,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1세트의 내부전극(12A, 12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 3세트 이상의 내부전극(12A, 12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세트의 내부전극(12A, 14B)과 내부전극(12B, 14A)의 사이에 내부전극(16A, 16B)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15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는 유전체층(A10 내지 A16)이 이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전체층(A11 내지 A15)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4B), 내부전극(12B, 14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및 내부전극(16A)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유전체 소체(10)는 유전체층(A10, A11, A14, A13, A16, A15, A12)이 이 순서로 적층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전극(12A, 12B, 14A, 14B, 16A, 16B)은 유전체 소체(10)의 내부에 있어서, 유전체층(A11, A14, A13, A16, A15)을 개재하여 내부전극(12A, 14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내부전극(16A), 내부전극(16B) 및 내부전극(12B, 14A)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그런데, 주면(10a)부터의 내부전극(12A)까지의 직선거리와, 주면(10b)부터 내부전극(12B)까지의 직선거리가 다르면, 주면(10a)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3)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와 주면(10b)을 실장면으로 하여 적층 콘덴서(3)를 회로기판에 실장한 경우에 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변하여 버려, 회로기판에 대한 적층 콘덴서(3)의 실장상태에 따라서는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리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면(10a)부터의 내부전극(12A)까지의 직선거리와, 주면(10b)부터 내부전극(12B)까지의 직선거리가 대략 동일하면, 즉, 유전체층(A10)의 두께와 유전체층(A12)의 두께가 대략 같으면, 고주파 특성이 변하여 버릴 우려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적층 콘덴서는 공업제품이고,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의 오차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말하는 「대략 동일」에는 공업제품에 있어서의 오차범위 내에서의 동일성도 포함된다.
또,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을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 17에 있어서, 내부전극(12A)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이며 또한 유전체(A11, A17)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e)측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2B)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2,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이며 또한 유전체(A12, A18)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f)측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4A)은 L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2,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 및 유전체(A12, A18)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e)측의 영역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4B)은 L자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 및 유전체(A11, A17)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f)측의 영역에 걸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내부전극(14A) 중 유전체층(A12,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이며 또한 유전체층(A12, A18)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e)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과, 내부전극(14B) 중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d)측의 영역이며 또한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e)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내부전극(14A) 중 유전체층(A12, A18)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이며 또한 유전체층(A12, A18)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f)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과, 내부전극(14B) 중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c)측의 영역이며 또한 유전체층(A11, A17)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서의 중앙보다도 측면(10f)측의 영역에 위치하는 부분은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다. 그 때문에, 내부전극(12A, 12B, 14A, 14B)을 도 17에 도시되는 형상으로 한 경우, 내부전극(14A)과 내부전극(14B)의 사이에서도 적층 콘덴서(3)의 용량 성분이 생기게 된다. 그 결과, 적층 콘덴서(3)의 전체로서의 정전용량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전극(12A)에 정방형상을 나타내는 개구부(30A)를 복수 형성하고, 내부전극(12B)에 정방형상을 나타내는 개구부(30B)를 복수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개구부(30A, 30B)는 내부전극(12A, 12B)에서 4행×4열이 되도록, 즉 메시형(그물코형)이 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개구부(30A, 30B)를 다각형상(삼각형상이나 사각형상 등), 원형상, 타원형상, 장공형과 같은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내부전극(16A, 16B)의 수 및 유전체층의 수를 적절하게 원하는 수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은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 및 종래의 적층 콘덴서의 임피던스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적층 콘덴서의 등가회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1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2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3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에 있어서의, 도 1의 VIII-VIII 선단면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1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2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3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4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1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2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3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적층 콘덴서를 구성하는 유전체 소체의 다른 예(제 4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Claims (22)

  1.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과,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은 상기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단자측영역과, 상기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1 단자용 접속부와는 반대측의 제 1 반대측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은 상기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2 단자측영역과, 상기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2 단자용 접속부는 반대측의 제 2 반대측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단자측영역과 상기 제 2 반대측영역은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1 반대측영역과 상기 제 2 단자측영역은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1 단자측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반대측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고,
    상기 제 2 단자측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1 반대측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메시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장공형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상기 제 1 단자측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1 단자측영역 및 상기 제 1 반대측영역의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상기 제 2 단자측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 2 단자측영역 및 상기 제 2 반대측영역의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3 및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1 단자측영역 및 상기 제 1 반대측영역과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2 단자측영역 및 상기 제 2 반대측영역과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 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3 및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소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제 2 내부전극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1 단자측영역 및 상기 제 1 반대측영역과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2 단자측영역 및 상기 제 2 반대측영역과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 서.
  7. 제 1 내지 제 3 유전체층을 적어도 갖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과,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2 유전체층 및 상기 제 3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제 3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2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제 3 내부전극과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5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제 3 내부전극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4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9. 제 1 내지 제 3 유전체층을 적어도 갖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과,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5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2 유전체층 및 상기 제 3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및 제 5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제 3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 와,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5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5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2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제 3 내부전극과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 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6 내지 제 10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내지 제 6 유전체층을 갖고,
    상기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2 유전체층, 상기 제 3 유전체층, 상기 제 6 유전체층, 상기 제 4 유전체층 및 상기 제 5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소체는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1 주면과,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5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면을 갖고,
    상기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0 내부전극은 상기 제 6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8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3 단자용 접속부 와,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8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9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4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9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0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0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8 및 제 10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9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과 상기 제 8 내부전극과 상기 제 10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6 내부전극과 상기 제 9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7 내부전극과 상기 제 8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7 내부전극과 상기 제 9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소체의 상기 제 1 주면과의 직선거리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상기 제 8 및 제 9 내부전극과 상기 소체의 상기 제 2 주면의 직선거리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6 내지 제 9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및 제 5 유전체층을 갖고,
    상기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2 유전체층, 상기 제 3 유전체층, 상기 제 4 유전체층 및 상기 제 5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소체는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1 주면과,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5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면을 갖고,
    상기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8 및 제 9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8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3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8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9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4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9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7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8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9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과 상기 제 7 내부전극과 상기 제 9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6 내부전극과 상기 제 8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6 내부전극과 상기 제 9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7 내부전극과 상기 제 8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소체의 상기 제 1 주면과의 직선거리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상기 제 8 및 제 9 내부전극과 상기 소체의 상기 제 2 주면의 직선거리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는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1 주면과,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3 유전체층측에 위치하는 제 2 주면을 갖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소체의 상기 제 1 주면과의 직선거리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소체의 상기 제 2 주면의 직선거리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유전체층을 갖고,
    상기 제 4 유전체층, 상기 제 1 유전체층, 상기 제 2 유전체층 및 상기 제 3 유전체층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6 및 제 7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과 상기 제 1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6 내부전극과 상기 제 2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7 내부전극과 상기 제 1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제 7 내부전극과 상기 제 2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전극은 상기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단자측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은 상기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2 단자측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메시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6. 제 1 내지 제 3 유전체층을 적어도 갖는 복수의 유전체층이 적층된 소체와,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단자전극과,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연결용 전극과,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4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은 상기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제 3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1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 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단자전극과 접속되는 제 2 단자용 접속부와,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3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4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4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및 제 4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4 내부전극과 상기 제 3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5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5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 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5 및 제 6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4 유전체층을 갖고,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제 5 내부전극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2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은 상기 제 4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5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6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6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2 및 제 5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2 및 제 5 내부전극과 상기 제 6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된 제 7 및 제 8 내부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은 제 5 및 제 6 유전체층을 갖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은 상기 제 5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8 내부전극은 상기 제 6 유전체층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1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7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8 내부전극에는 상기 제 2 연결용 전극과 접속되는 제 8 연결용 접속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7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8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1 내부전극과 상기 제 7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고,
    상기 제 2 내부전극과 상기 제 8 내부전극은 상기 복수의 유전체층의 적층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전극은 상기 제 1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1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1 단자측영역을 갖고,
    상기 제 2 내부전극은 상기 제 2 연결용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도 상기 제 2 단자용 접속부 근처의 제 2 단자측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측영역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메시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콘덴서.
KR1020090092162A 2008-09-30 2009-09-29 적층 콘덴서 KR20100036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54952A JP4600561B2 (ja) 2008-09-30 2008-09-30 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8-254952 2008-09-30
JPJP-P-2008-264125 2008-10-10
JP2008264125A JP5077180B2 (ja) 2008-10-10 2008-10-10 積層コンデンサ
JPJP-P-2008-270093 2008-10-20
JP2008270093A JP5093044B2 (ja) 2008-10-20 2008-10-20 積層コンデ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82A true KR20100036982A (ko) 2010-04-08

Family

ID=4205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162A KR20100036982A (ko) 2008-09-30 2009-09-29 적층 콘덴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189321B2 (ko)
KR (1) KR201000369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580B2 (en) 2011-04-21 2013-05-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capable of controlling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US11195657B2 (en) 2019-08-28 2021-12-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KR20220093451A (ko) 2020-12-28 2022-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4965B4 (de) * 2011-03-24 2014-11-13 Epcos Ag Elektrisches Vielschichtbauelement
DE102018115085B4 (de) * 2018-06-22 2021-03-25 Tdk Electronics Ag Keramisches Vielschicht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ramischen Vielschichtbauelements
JP7416021B2 (ja) * 2021-06-16 2024-01-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20230102299A (ko) * 2021-12-30 2023-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세라믹 전자부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8329B2 (ja) * 2001-11-29 2006-06-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デンサアレイ
JP3727575B2 (ja) 2001-12-03 2005-12-14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6819543B2 (en) * 2002-12-31 2004-11-16 Intel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with multiple plates per layer
JP3883528B2 (ja) * 2003-08-19 2007-02-21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3747940B2 (ja) * 2004-06-03 2006-02-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24570B2 (en) * 2004-06-28 2007-05-29 Kyocera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the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7046500B2 (en) * 2004-07-20 2006-05-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aminated ceramic capacitor
US7923395B2 (en) * 2005-04-07 2011-04-12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C0G multi-layered ceramic capacitor
JP4418969B2 (ja) * 2005-06-03 2010-0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4434228B2 (ja) * 2007-03-30 2010-03-17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4548492B2 (ja) * 2008-02-13 2010-09-22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580B2 (en) 2011-04-21 2013-05-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capable of controlling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US11195657B2 (en) 2019-08-28 2021-12-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KR20220093451A (ko) 2020-12-28 2022-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커패시터 및 그 실장 기판
US11848161B2 (en) 2020-12-28 2023-12-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board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00983A1 (en) 2012-08-09
US20100079925A1 (en) 2010-04-01
US8189321B2 (en) 2012-05-29
US8659873B2 (en) 201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041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0884902B1 (ko) 적층 커패시터 및 그 실장구조
KR100899299B1 (ko) 적층 콘덴서
KR20100036982A (ko) 적층 콘덴서
KR101010875B1 (ko) 적층 콘덴서
KR100936902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JP58706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5708245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5120426B2 (ja)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及び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KR101026649B1 (ko) 적층 콘덴서
JP5093044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600561B2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02730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6459717B2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5077180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8125760B2 (en) Multilayer capacitor
JP4412386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CN111261366B (zh) 层叠线圈部件
JP5929524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20035969A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実装構造
KR20180112647A (ko) 적층형 전자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