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844B1 - 차량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844B1
KR101384844B1 KR1020127012284A KR20127012284A KR101384844B1 KR 101384844 B1 KR101384844 B1 KR 101384844B1 KR 1020127012284 A KR1020127012284 A KR 1020127012284A KR 20127012284 A KR20127012284 A KR 20127012284A KR 101384844 B1 KR101384844 B1 KR 10138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engagement
rotor
input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284A (ko
Inventor
미키오 이와세
도모히데 스즈키
나오야 진나이
다츠야 오키시마
도시히코 가미야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64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52973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9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99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9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62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465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0013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6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motors or th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4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assembly or relative disposition of components
    • B60K6/405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2045/0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comprising a clutch between prime mover and flui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three chamber system, i.e. comprising a separated, closed chamber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ng a lock-up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21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 F16H2045/0226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with damping means comprising two or more vibration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84Multiple disk type lock-up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로 적절히 오일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전기기기의 로터부재를 적절히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축길이를 단축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를 실현한다.
내연기관에 구동연결되는 입력부재(I)와, 차륜에 구동연결되는 출력부재와, 회전전기기기(MG)와, 유체(流體)이음매와, 계합장치(C1)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스(3)를 구비한 차량용 구동장치.
케이스(3)는, 계합장치(C1)에 대하여 내연기관측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지지벽(5)과, 이 지지벽(5)으로부터 계합장치(C1)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통형상 돌출부(11)를 가진다. 계합장치(C1)는, 계합부재(33)와, 가압부재(34)와, 작동유압실(H1)을 구비한다. 회전전기기기(MG)의 로터(Ro)가 지지베어링(71)에 의하여 통형상 돌출부(11)에 지지됨과 함께, 통형상 돌출부(11)에 작동유압실(11)에 오일을 공급하는 작동공급유로(L1)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구동장치{Driv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구동연결되는 입력부재와, 차륜에 구동연결되는 출력부재와, 회전전기기기(回轉電機)와, 회전전기기기에 구동연결되는 유체(流體)이음매와, 입력부재와 회전전기기기 및 유체이음매 사이를 유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하는 계합(係合, engaged)장치와, 적어도 회전전기기기, 계합장치, 및 유체이음매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용 구동장치로서, 예컨대 아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도 1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차량용 구동장치에서는, 회전전기기기(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모터; 이하 마찬가지), 유체이음매(토크컨버터(1)), 및 이들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하는 계합장치(클러치기구(16))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스(모터하우징(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油壓室)에는, 내연기관(엔진)측의 지지벽(엔진측 측벽부) 내에 형성된 유로(油路)(오일통로)로부터 작동용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회전전기기기의 로터부재(로터(12) 및 그 지지부재)는, 계합장치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내연기관과는 반대측에서, 지지벽과는 상이한 케이스 벽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장치에서는,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에의 유압 공급과 로터부재의 회전 지지를 각각 적절히 실현하기 위하여, 계합장치에 대하여 축방향 양측에 서로 다른 2개의 벽부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그만큼 축길이가 길어져서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지 않을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6-137406호 공보
그래서,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에 적절히 오일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회전전기기기의 로터부재를 적절히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축길이를 단축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의 실현이 요망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연기관에 구동연결되는 입력부재와, 차륜에 구동연결되는 출력부재와, 회전전기기기와, 상기 회전전기기기에 구동연결되는 유체이음매와, 상기 입력부재와 상기 회전전기기기 및 상기 유체이음매 사이를 유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하는 계합장치와, 적어도 상기 회전전기기기, 상기 계합장치, 및 상기 유체이음매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구동장치의 특징구성은,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계합장치에 대하여 축방향의 상기 내연기관측인 축 제1 방향측에 있어서 적어도 직경방향으로 뻗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으로부터 상기 축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축 제2 방향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통형상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계합장치는, 상기 유압이 공급되는 작동유압실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전기기기의 로터부재가,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됨과 함께,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상기 작동유압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작동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여기서, 「구동연결」이란, 2개의 회전요소가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2개의 회전요소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상태, 혹은 상기 2개의 회전요소가 1 또는 2 이상의 전동(傳動; 동력전달)부재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쓰이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부재로서는, 회전을 동속(同速)으로 또는 변속(變速)하여 전달하는 각종의 부재가 포함되고, 예컨대, 축, 기어기구, 벨트, 체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전동부재로서, 회전 및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계합장치, 예컨대 마찰클러치나 맞물림식 클러치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회전전기기기」는, 모터(전동기), 제네레이터(발전기), 및 필요에 따라서 모터 및 제네레이터의 쌍방의 기능을 하는 모터·제네레이터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쓰이고 있다.
또한, 「유체이음매」는, 토크증폭 기능을 가지는 토크컨버터, 및 토크증폭 기능을 가지지 않는 통상의 유체이음매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쓰이고 있다.
상기한 특징구성에 의하면, 케이스의 통형상 돌출부에,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회전전기기기의 로터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직경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로터부재를 직경방향으로 지지하는 통형상 돌출부에 형성된 작동공급유로를 통하여,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에의 유압 공급과 로터부재의 회전 지지를, 지지벽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통형상 돌출부에 의하여 각각 적절히 실현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축길이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유압실로 적절히 오일을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로터부재를 적절히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축길이를 단축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합장치는, 상기 입력부재에 연결된 계합입력측 부재와, 상기 계합입력측 부재와 쌍을 이룸과 함께 상기 유체이음매에 연결된 계합출력측 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와 상기 로터부재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부재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된 계합출력측 부재를, 로터부재 및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통형상 돌출부에 직경방향으로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지지벽으로서의 제1 지지벽과는 별도로, 상기 유체이음매에 대하여 상기 축 제2 방향측에 있어서 적어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2 지지벽을 구비하고, 상기 유체이음매는, 이음매 입력측 부재와,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와 쌍을 이루는 이음매 출력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와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가, 상기 지지베어링으로서의 제1 지지베어링과는 별도인 제2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벽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전기기기, 계합장치, 및 유체이음매에 대하여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벽 및 제2 지지벽에 의하여, 서로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된 로터부재, 계합출력측 부재, 및 이음매 입력측 부재를, 축방향으로 긴 지지간격으로 직경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부재, 계합출력측 부재, 및 이음매 입력측 부재의 전체를 높은 축심(軸心) 정밀도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이음매에 구동연결됨과 함께 상기 출력부재에 구동연결되는 중간출력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유체이음매는, 상기 유체이음매의 본체부를 수용하는 본체부 수용실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출력부재에, 상기 본체부 수용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이음매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에의 오일을 통형상 돌출부에 형성된 작동공급유로를 통하여 공급함과 함께, 유체이음매의 본체부 수용실에의 오일을 중간출력부재에 형성된 이음매 공급유로를 통하여 공급한다. 이로써, 작동공급유로 및 이음매 공급유로의 쌍방을 중간출력부재에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중간출력부재를 소경화(小徑化)할 수 있다. 따라서, 계합장치의 작동유압실 및 유체이음매의 본체부 수용실에 대하여 각각 적절히 오일을 공급하면서, 직경방향의 치수를 축소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합장치는, 계합부재와, 상기 계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는, 상기 계합부재의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을 덮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계합부재의 직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대하여 직경방향에 대향(對向)하여 배치되는 대향 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대향 통형상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대향 통형상부에 의하여, 상기 작동유압실의 적어도 일부가 구획설정되고, 상기 대향 통형상부에, 상기 작동공급유로와 상기 작동유압실을 연통(連通)하는 유공(油孔)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합출력측 부재를, 대향 통형상부를 통하여 통형상 돌출부에 직경방향으로 더욱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계합출력측 부재를 보다 확실히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계합출력측 부재의 대향 통형상부와 가압부재에 의하여 작동유압실의 적어도 일부가 구획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대향 통형상부에 형성된 유공을 통하여, 작동공급유로로부터 작동유압실로 적절히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 통형상부가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베어링이,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됨과 함께, 축방향에서 상기 지지벽과 상기 대향 통형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지지베어링과 대향 통형상부를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로터부재 및 계합출력측 부재의 전체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부재는, 로터 본체와, 상기 로터 본체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서 상기 로터 본체를 지지하는 로터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는, 상기 유체이음매의 본체부를 수용하는 커버부와, 상기 제2 지지벽의 직경방향 내측에 삽입되어 오일펌프에 구동연결되는 펌프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와 상기 커버부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로터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펌프구동부재가 상기 제2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지지벽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부재, 계합출력측 부재, 및 이음매 입력측 부재를 일체회전하도록 연결함과 함께, 이들 전체를 축방향으로 긴 지지 간격으로 직경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을 적절히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음매 입력측 부재의 펌프구동축을 통하여 오일펌프를 구동하여, 장치 속의 각 부에서 필요로 하는 유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입력부재와 상기 계합입력측 부재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입력전달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계합장치에 대하여 상기 축 제1 방향측에서,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통형상 돌출부 사이에 제1 시일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통형상 돌출부와 상기 입력전달부재 사이에 제2 시일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동력(動力)을,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입력부재를 통하여 계합장치의 계합입력측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작동공급유로로부터 작동유압실로 공급되는 오일이 통형상 돌출부의 주변에서 누출되었다 하더라도, 제1 시일부재와 제2 시일부재에 의하여 그 오일을 통형상 돌출부의 주변에 고이게 하여, 내연기관이나 회전전기기기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는, 상기 계합장치에 구비되는 계합부재의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을 덮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계합부재의 직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베어링이, 축방향에서 상기 제1 시일부재와 상기 대향 통형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동공급유로로부터 작동유압실로 공급될 때에 통형상 돌출부와 대향 통형상부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오일을 이용하여 지지베어링의 윤활을 행하면서, 회전전기기기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의 연결부에, 볼트에 의하여 서로를 체결고정하는 체결고정부와, 직경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하는 직경방향 끼워맞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직경방향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 사이에, 제3 시일부재가 더욱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직경방향 끼워맞춤부에 의하여, 로터지지부재와 계합출력측 부재의 직경방향의 위치 결정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체결고정부에 의하여, 로터지지부재와 계합출력측 부재의 체결고정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지지부재와 계합출력측 부재를, 높은 축심 정밀도로 덜거덕거림 없이 강고히 연결고정된 일체의 회전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계합장치의 축심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공급유로로부터 작동유압실로 공급되는 오일이 통형상 돌출부의 주변에서 누출되었다 하더라도, 직경방향 끼워맞춤부에 배치된 제3 시일부재에 의하여 그 오일을 통형상 돌출부의 주변에 고이게 하여, 회전전기기기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합장치는, 계합부재와, 상기 계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는, 상기 계합부재의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을 덮도록 축방향으로 뻗는 축방향 연재(延在)부와, 상기 축방향 연재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방향 연재부의 상기 축 제1 방향측의 단부(端部)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는 직경방향 연재부를 가지며, 상기 직경방향 연재부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상기 작동유압실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지지부재가 상기 직경방향 연재부에 연결되며, 상기 축방향 연재부의 상기 축 제2 방향측의 개구 단부가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합출력측 부재 중 직경방향으로 뻗는 직경방향 연재부를 이용하여, 가압부재와의 사이에 작동유압실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계합출력측 부재와 로터지지부재의 연결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계합출력측 부재 중 축방향으로 뻗는 축방향 연재부의 축 제2 방향측의 개구 단부를 이용하여, 계합출력측 부재와 커버부의 연결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부재, 계합출력측 부재, 및 이음매 입력측 부재의 전체를 컴팩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지지베어링으로서의 제1 지지베어링과는 별도인 제3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내주면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계합출력측 부재에 연결된 로터부재와, 계합입력측 부재에 연결된 입력부재가, 회전전기기기에 대하여 동일 축 제1 방향측에서 통형상 돌출부의 각각 외주면 및 내주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직경방향으로 지지되므로, 계합장치의 입출력 양측의 부재인 계합입력측 부재와 계합출력측 부재를, 축방향의 비교적 좁은 범위 내에서 직경방향으로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계합장치의 축심 정밀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축길이를 단축하여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상기 계합장치에 구비되는 계합부재를 수용하는 계합부재 수용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순환공급유로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 돌출부에 형성된 순환공급유로를 통하여 계합부재 수용실에 오일을 공급하고, 상기 오일에 의하여 계합부재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작동공급유로 및 순환공급유로를 예컨대 입력부재의 내부 등에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차량용 구동장치의 제조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단부 지지벽 속의 유로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1)는, 차량의 구동력원(源)으로서 내연기관(E) 및 회전전기기기(MG)의 일방 또는 쌍방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장치(하이브리드 구동장치)이다. 이 구동장치(1)는, 소위 1 모터 패럴렐 방식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구동장치의 전체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구동장치(1)는, 차량의 제1 구동력원으로서의 내연기관(E)에 구동연결되는 입력축(I)과, 차륜(W)에 구동연결되는 출력축(O)과, 차량의 제2 구동력원으로서의 회전전기기기(MG)와, 토크컨버터(T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동장치(1)는, 입력클러치(C1)와, 변속기구(TM)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동력전달 경로 상에서, 내연기관(E)의 측으로부터, 입력축(I), 입력클러치(C1), 회전전기기기(MG), 토크컨버터(TC), 변속기구(TM), 및 출력축(O)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각 구성은, 입력축(I)의 일부와 출력축(O)의 일부를 제외하고, 케이스(구동장치 케이스)(3) 내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력축(I)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력부재」에 상당하고, 출력축(O)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출력부재」에 상당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축(I), 회전전기기기(MG), 토크컨버터(TC), 및 출력축(O)은 모두 축심(X)(도 2를 참조)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1)는, FR(Front Engine Rear Drive) 방식의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에 적합한 일축(一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명기하여 구별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축심(X)을 기준으로 하여 「축방향」,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각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구동장치(1) 속의 특정한 부위에 주목한 경우에 있어서의 축방향을 따른 방향성에 관하여, 축방향 일방측인 내연기관(E)측(도 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축 제1 방향(A1)」이라 하고, 축방향 타방측인 출력축(O)측(도 2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축 제2 방향(A2)」이라 하고 있다.
내연기관(E)은, 기관 내부에 있어서의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구동되어 동력을 인출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가솔린엔진이나 디젤엔진 등의 공지(公知)의 각종 엔진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내연기관(E)의 크랭크샤프트 등의 출력회전축이 제1 댐퍼(16)(도 2를 참조)를 통하여 입력축(I)에 구동연결되어 있다. 또한, 입력축(I)은 입력클러치(C1)를 통하여 회전전기기기(MG)에 구동연결되어 있어서, 입력축(I)은 입력클러치(C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전기기기(MG)에 구동연결된다. 이 입력클러치(C1)의 계합상태에서는, 입력축(I)을 통하여 내연기관(E)과 회전전기기기(MG)가 구동연결되고, 입력클러치(C1)의 해방상태에서는 내연기관(E)과 회전전기기기(MG)가 분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력클러치(C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합장치」에 상당한다.
회전전기기기(MG)는, 스테이터(St)와 로터(Ro)를 가지고 구성되고,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전동기)로서의 기능과, 동력의 공급을 받아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제네레이터(발전기)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회전전기기기(MG)는, 축전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축전장치로서 배터리가 이용되고 있다. 다만, 축전장치로서 커패시터 등을 이용하여도 적절하다. 회전전기기기(MG)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서 역행(力行)하거나, 혹은, 내연기관(E)이 출력하는 토크(여기서는, 「구동력」과 동의(同義)로 쓰고 있음)나 차량의 관성력에 의하여 발전시킨 전력을 배터리에 공급하여 축전시킨다. 회전전기기기(MG)의 로터(Ro)는, 동력전달부재(T)를 구성하는 토크컨버터(TC)의 펌프임펠러(41)에 구동연결되어 있다.
토크컨버터(TC)는, 내연기관(E) 및 회전전기기기(MG)의 일방 또는 쌍방의 토크를 변환하여 중간축(M)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토크컨버터(TC)는, 회전전기기기(MG)의 로터(Ro)에 구동연결된 펌프임펠러(41)와, 중간축(M)과 일체회전하도록 구동연결된 터빈러너(51)와, 이들의 사이에 설치된 스테이터(56)(도 2를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토크컨버터(TC)는, 그 내부에 충전된 오일을 통하여, 펌프임펠러(41)와 터빈러너(51) 사이에서 토크의 전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때, 펌프임펠러(41)와 터빈러너(51) 사이에 회전속도 차가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회전속도 비에 따라서 토크변환된 토크가 전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크컨버터(TC)가 「유체이음매」에 상당한다.
또한, 토크컨버터(TC)는, 록업클러치(C2)를 구비하고 있다. 록업클러치(C2)는, 펌프임펠러(41)와 터빈러너(51)를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한다. 이 록업클러치(C2)의 계합상태에서는, 토크컨버터(TC)는, 내부의 오일을 통하지 않고 내연기관(E) 및 회전전기기기(MG)의 일방 또는 쌍방의 토크를, 그대로 중간축(M)에 전달한다. 이 중간축(M)은, 토크컨버터(TC)의 출력축(이음매 출력축)임과 함께 변속기구(TM)의 입력축(변속입력축)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축(M)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간출력부재」에 상당한다.
변속기구(TM)는, 중간축(M)의 회전속도를 소정의 변속비로 변속하여 출력축(O)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변속기구(TM)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속비가 상이한 복수의 변속단을 전환가능하게 구비한 자동 유단(有段)변속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다만, 변속기구(TM)로서, 변속비를 무(無)단계로 변경 가능한 자동 무단(無段)변속기구, 변속비가 상이한 복수의 변속단을 전환가능하게 구비한 수동식 유단변속기구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변속기구(TM)는, 각 시점에 있어서의 소정의 변속비로, 중간축(M)의 회전속도를 변속함과 함께 토크를 변환하여 출력축(O)으로 전달한다. 출력축(O)으로 전달된 회전 및 토크는, 출력용 차동(差動)기어장치(DF)를 통하여 좌우 2개의 차륜(W)에 분배되어 전달된다. 이로써, 구동장치(1)는, 내연기관(E) 및 회전전기기기(MG)의 일방 또는 쌍방의 토크를 차륜(W)에 전달시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2. 구동장치의 각 부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1)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과는 둘레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2-1. 케이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는, 개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3)는, 개략 원통형상으로서 회전전기기기(MG)나 입력클러치(C1), 토크컨버터(TC) 등의 직경방향 외측을 덮는 둘레벽(4)과, 회전전기기기(MG) 및 입력클러치(C1)의 축 제1 방향(A1)측을 덮는 단부(端部) 지지벽(5)과, 토크컨버터(TC)의 축 제2 방향(A2)측을 덮는 중간지지벽(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3) 내에 있어서의 단부 지지벽(5)과 중간지지벽(6) 사이의 공간에, 회전전기기기(MG), 입력클러치(C1), 및 토크컨버터(TC)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중간지지벽(6)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의 공간에, 변속기구(TM)가 수용되어 있다. 다만, 단부 지지벽(5)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의, 케이스(3)의 외부공간에는, 제1 댐퍼(16)가 배치되어 있다.
단부 지지벽(5)은, 적어도 직경방향으로 뻗는 형상을 가지며, 여기서는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뻗는 대략 원판형상의 벽부(壁部)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부 지지벽(5)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벽」에 상당한다. 이 단부 지지벽(5)의 직경방향 중심부에는, 통형상 돌출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11)는, 축심(X)에 대하여 동축(同軸)형상으로 배치되고, 단부 지지벽(5)으로부터 축 제2 방향(A2)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부이다. 통형상 돌출부(11)는, 단부 지지벽(5)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11)는, 어느 정도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통형상 돌출부(11)는, 로터(Ro)의 축방향 길이보다도 긴 축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통형상 돌출부(11)의 직경방향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축심 관통공(11a)(도 3 등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심 관통공(11a)에 입력축(I)이 삽입통과되고 있다. 이로써, 입력축(I)은, 통형상 돌출부(11)의 직경방향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단부 지지벽(5)을 관통하여 케이스(3) 내에 삽입되고 있다.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의 축방향의 소정위치에, 제1 단차부(11b)가 구비되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은, 제1 단차부(11b)를 경계로 하여, 이 제1 단차부(11b)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이 대경(大徑)부가 되고, 제1 단차부(11b)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 소경(小徑)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소경부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제1 베어링(71)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베어링(71)으로서는, 직경방향 하중을 받는 것이 가능한 베어링이 이용되고, 본 예에서는 볼베어링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베어링(71)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베어링」에 상당한다. 다만, 제1 단차부(11b)는, 후술하는 지지 원통형상부(25)의 내주 단차부(25b)보다도 근소하게 축 제1 방향(A1)측이 되는 축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 중, 제1 단차부(11b)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의 소정위치에, 제2 단차부(11c)가 구비되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은, 제2 단차부(11c)를 경계로 하여, 이 제2 단차부(11c)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 더욱 소경(小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경부보다도 더욱 소경으로 형성된 통형상 돌출부(11)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접하여 슬리브(86)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슬리브(86)의 외경은, 통형상 돌출부(11)의 소경부의 외경에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돌출부(11)에는, 복수의 유로(油路)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유로(L1), 제2 유로(L2), 제3 유로(L3), 및 제4 유로(L4)의 4개의 유로가 통형상 돌출부(1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유로(L1)는, 입력클러치(C1)의 후술하는 작동유압실(H1)에 연통하여, 상기 작동유압실(H1)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로이다(도 4를 참조). 제2 유로(L2)는, 입력클러치(C1)의 후술하는 순환유압실(H2)에 연통하여, 상기 순환유압실(H2)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로이다(도 3을 참조). 제3 유로(L3)는, 순환유압실(H2)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오일팬(oil pan)(미도시)으로 되돌려주기 위한 오일배출로이다(도 3을 참조). 제4 유로(L4)는, 후술하는 베어링 배치공간(P)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오일팬(미도시)으로 되돌려주기 위한 오일배출로이다(도 4를 참조). 이들 유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중간지지벽(6)은, 적어도 직경방향으로 뻗는 형상을 가지며, 여기서는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뻗는 평탄한 원판형상의 벽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지지벽(6)은, 단부 지지벽(5)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지지벽(6)은, 둘레벽(4)과도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둘레벽(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체결고정되어 있다. 이 중간지지벽(6)에는, 오일펌프(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중간지지벽(6)의 축 제1 방향(A1)측의 면에 펌프커버(7)가 장착되어 있고, 중간지지벽(6)과 펌프커버(7) 사이에 형성된 펌프실에 펌프로터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지지벽(6)과 펌프커버(7)에 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지지벽」이 구성되고 있다. 중간지지벽(6) 및 펌프커버(7)의 직경방향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중간축(M)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이 관통공에는, 고정축(58) 및 펌프구동축(47)도 삽입통과되어 있다. 고정축(58)은, 중간지지벽(6)에 고정되어 토크컨버터(TC)의 스테이터(56)를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축부(軸部)로서, 축심(X)에 대하여 동축형상으로, 중간축(M)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펌프구동축(47)은, 토크컨버터(TC)의 펌프임펠러(41)와 일체회전하는 원통형상의 축부로서, 축심(X)에 대하여 동축형상으로, 고정축(58)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일펌프(9)는, 펌프로터로서 이너로터와 아우터로터를 가지는 내접형 기어펌프로 되어 있다. 오일펌프(9)의 펌프로터는, 펌프구동축(47)을 통하여 펌프임펠러(41)와 일체회전하도록 구동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임펠러(41)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일펌프(9)는 오일을 토출하여, 구동장치(1)의 각 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을 발생시킨다. 중간지지벽(6) 및 펌프커버(7)에는, 오일펌프(9)의 흡입유로 및 토출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등에 일부가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장치(1)의 케이스(3)(단부 지지벽(5) 및 통형상 돌출부(11)를 포함함)나 각 축의 내부에는, 이와 같은 오일의 공급을 위한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2-2. 회전전기기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전기기기(MG)는, 단부 지지벽(5)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고 토크컨버터(TC)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전기기기(MG)는, 입력축(I) 및 입력클러치(C1)에 대하여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전기기기(MG)와 입력클러치(C1)는, 직경방향으로 보아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부재의 배치에 관하여, 「어느 방향으로 보아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진다」란, 그 방향을 시선방향으로 하여 그 시선방향에 직교하는 각 방향으로 시점(視點)을 이동시킨 경우에, 2개의 부재가 겹쳐서 보이는 시점이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전기기기(MG)의 스테이터(St)는, 케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St)의 직경방향 내측에, 로터(Ro)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Ro)는, 스테이터(St)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미소간극을 두고 대향배치됨과 함께, 회전가능한 상태로 케이스(3)에 지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터(Ro)를 지지하고 이 로터(Ro)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터지지부재(22)가, 제1 베어링(71)을 통하여 케이스(3)의 통형상 돌출부(1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터(Ro)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로터 본체」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체회전하는 로터(Ro) 및 로터지지부재(22)에 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로터부재(21)」가 구성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지지부재(22)는, 회전전기기기(MG)의 로터(Ro)를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부재이다. 로터지지부재(22)는, 입력클러치(C1)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터지지부재(22)는, 로터(Ro)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1 베어링(71)에 대하여 로터(Ro)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직경방향으로 뻗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는, 로터지지부(23), 직경방향 연재부(24), 및 지지 원통형상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지지부(23)는, 로터(Ro)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로터지지부(23)는, 축심(X)에 대하여 동축형상으로 배치되고, 로터(Ro)의 내주면 및 축방향 양측면에 접하는 둥근링(圓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경방향 연재부(24)는, 로터지지부(2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로터지지부(23)의 축방향의 중앙부 근방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직경방향 연재부(24)는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뻗는 둥근링판(圓環板)형상부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직경방향 연재부(24)는,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거의 균일한 두께의 평탄한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직경방향 연재부(24)의 둘레방향의 복수 부위에는, 제1 볼트 삽입통과구멍(24a)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볼트 삽입통과구멍(24a)에는,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체결을 행하기 위한 제1 볼트(91)가 삽입통과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방향 연재부(24)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에, 지지 원통형상부(25)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 원통형상부(25)는, 축심(X)에 대하여 동축형상으로 배치되고, 직경방향 연재부(24)에 대하여 축방향 양측으로 뻗어 있도록 형성된 원통형상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원통형상부(25)의 내주면에 제1 베어링(71)이 배치되고, 이 지지 원통형상부(25)의 내주면과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된 제1 베어링(71)에 의하여 로터지지부재(22)가 지지된다. 이로써, 로터지지부재(22)는, 제1 베어링(71)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에 지지된다.
지지 원통형상부(25)의 내주면의 축방향의 소정위치에, 내주 단차부(25b)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원통형상부(25)의 내주면은, 내주 단차부(25b)를 경계로 하여, 이 내주 단차부(25b)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이 내주 소경부가 되고, 내주 단차부(25b)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 내주 대경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주 대경부의 내주면과 내주 단차부(25b)의 축 제2 방향(A2)측의 측면에 접하도록 제1 베어링(71)이 배치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주 단차부(25b)는, 직경방향 연재부(24)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베어링(71)은,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직경방향 연재부(24)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원통형상부(25)의 외주면의, 직경방향 연재부(24)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의 소정위치에, 외주 단차부(25c)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원통형상부(25)의 외주면은, 외주 단차부(25c)를 경계로 하여, 이 외주 단차부(25c)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이 외주 소경부, 외주 단차부(25c)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 외주 대경부로 되어 있다. 다만, 외주 단차부(25c)는 내주 단차부(25b)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원통형상부(25)는, 외주 대경부에 있어서 직경방향 연재부(2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 소경부의 외주면과 외주 단차부(25c)의 축 제1 방향(A1)측의 측면에 접하도록, 회전센서(13)의 센서로터(13b)가 장착되어 있다. 센서로터(13b)의 직경방향 외측에는, 이 센서로터(13b)에 대하여 직경방향에 미소간극을 두고 센서 스테이터(13a)가 대향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스테이터(13a)는, 단부 지지벽(5)에 형성된 소정의 센서 스테이터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센서(13)는, 회전전기기기(MG)의 스테이터(St)에 대한 로터(Ro)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며, 본 예에서는 리졸버가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원통형상부(25) 중, 직경방향 연재부(24)에 대하여 축 제2 방향(A2)측의 통형상 부분이, 끼워맞춤 돌출부(25a)로 되어 있다. 즉, 로터지지부재(22)는, 직경방향 연재부(24)로부터 축 제2 방향(A2)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통형상의 끼워맞춤 돌출부(25a)를 가지고 있다. 끼워맞춤 돌출부(25a)는, 적어도 필요한 끼워맞춤 길이분 이상의 길이로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끼워맞춤 돌출부(25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 연결부재(32)의 통형상 연재부(32d)가 직경방향에 접촉하면서 끼워맞춤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베어링(71)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에 있어서,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돌출부(11) 사이에 제1 시일부재(81)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지지 원통형상부(25)의 내주 소경부와 통형상 돌출부(11)의 대경부 사이에 제1 시일부재(8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시일부재(81)에 의하여, 지지 원통형상부(25)와 통형상 돌출부(11) 사이가 밀폐되어, 제1 베어링(71)의 윤활 등을 행한 후의 오일이 회전센서(13)나 회전전기기기(MG)의 스테이터(St) 등에 도달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 여기서,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 지지 원통형상부(25)의 내주면, 및 제1 시일부재(81)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에 제1 베어링(71)이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공간을 「베어링 배치공간(P)」이라 하고 있다.
2-3. 입력클러치
입력클러치(C1)는, 입력축(I)과 회전전기기기(MG) 및 토크컨버터(TC) 사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하는 마찰계합장치이다. 입력클러치(C1)는, 습식 다판(多板) 클러치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클러치(C1)는, 축방향에서 로터지지부재(22)와 토크컨버터(T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입력클러치(C1)는, 로터지지부재(22)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고 토크컨버터(TC)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되어 있다. 입력클러치(C1)는, 토크컨버터(TC)와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입력클러치(C1)는, 직경방향에서 통형상 돌출부(11)와 회전전기기기(MG)의 로터(Ro)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입력클러치(C1)는, 통형상 돌출부(11)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이고 로터(Ro)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11), 입력클러치(C1), 및 로터(Ro)는,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서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입력클러치(C1)는, 클러치허브(31), 통형상 연결부재(32), 마찰부재(33), 피스톤(34), 및 작동유압실(H1)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클러치(C1)는, 마찰부재(33)로서, 쌍이 되는 입력측 마찰부재와 출력측 마찰부재를 가진다. 여기서, 입력클러치(C1)는,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입력측 마찰부재와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출력측 마찰부재를 가지며, 이들은 축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마찰부재(33)는, 모두 둥근링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마찰부재(33)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합부재」에 상당한다.
클러치허브(31)는, 복수의 입력측 마찰부재(본 예에서는, 허브측 마찰부재)를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직경방향으로 뻗는 둥근링판형상 부재이다. 클러치허브(31)는, 축방향에서 피스톤(34)과 토크컨버터(TC)의 후술하는 커버부(42) 사이를 통과하여 직경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클러치허브(31)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가 입력축(I)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축(I)은, 축방향에서 통형상 돌출부(11)와 커버부(42) 사이를 통과하여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뻗는 플랜지부(Ia)를 가진다. 그리고, 플랜지부(Ia)의 직경방향 외측 단부와 클러치허브(31)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가, 용접 등에 의하여 접합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입력축(I)과 클러치허브(31)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이들 입력축(I)과 클러치허브(31)에 의하여 「입력전달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클러치허브(31)는, 입력축(I)을 통하여 내연기관(E)의 회전 및 토크가 전달되는 부재이고, 입력클러치(C1)의 입력측 회전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러치허브(3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합입력측 부재」에 상당한다.
통형상 연결부재(32)는, 복수의 마찰부재(33)의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을 덮음과 함께, 출력측 마찰부재(본 예에서는, 드럼측 마찰부재)를 직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도록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 부재이다. 통형상 연결부재(32)는, 입력클러치(C1)의 클러치드럼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연결부재(32)는, 피스톤(34)의 축 제1 방향(A1)측과, 피스톤(34)의 직경방향 외측을 더욱 덮도록 전체로서 그릇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는, 로터지지부재(22)나 토크컨버터(TC)의 커버부(42)와는 독립된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상 연결부재(32)는, 로터지지부재(22)에 연결됨과 함께 커버부(42)에 연결되어 있다. 통형상 연결부재(32)는, 클러치허브(31)와 쌍을 이루고, 입력클러치(C1)의 계합상태에서 클러치허브(31)에 입력되는 회전 및 토크를 출력축(O)측이 되는 토크컨버터(TC)에 전달하는, 입력클러치(C1)의 출력측 회전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합출력측 부재」에 상당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치드럼으로서의 통형상 연결부재(32)는, 축방향 연재부(32a), 연재부(32b), 통형상 연재부(32d), 통형상 돌출부(32e), 및 직경방향 연출(延出)부(32f)를 구비하고 있다. 축방향 연재부(32a)는, 축심(X)에 대하여 동축형상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의 소정범위에 걸쳐서 뻗어나오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연재부(32a)는, 적어도 축 제1 방향(A1)측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의 직경방향 연재부(24)에 접함과 함께 축 제2 방향(A2)측에서는 토크컨버터(TC)의 커버부(42)에 접하도록,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축방향 연재부(32a)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42)가 직경방향으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된다. 또한, 축방향 연재부(32a)는, 로터지지부재(22)의 로터지지부(23)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배치되어 있다.
직경방향 연출부(32f)는, 축방향 연재부(3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축방향 연재부(32a)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나오도록 둥근링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경방향 연출부(32f)의 둘레방향의 복수 부위에는, 제2 볼트 삽입통과구멍(32g)이 구비되어 있다. 제2 볼트 삽입통과구멍(32g)에는, 커버부(42)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체결을 행하기 위한 제2 볼트(92)가 삽입통과된다. 직경방향 연출부(32f)는, 스테이터(St)의 축 제2 방향(A2)측의 코일엔드부(Ce)의 직경방향 내측에,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이 코일엔드부(Ce)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직경방향 연출부(32f)는, 로터(Ro)의 축 제2 방향(A2)측에, 축방향에서 보아서 로터(Ro)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직경방향 연재부(32b)는, 축방향 연재부(32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축방향 연재부(32a)의 축 제1 방향(A1)측의 단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향하여 뻗도록 대략 둥근링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연재부(32a)와 직경방향 연재부(32b) 사이의 연결부위는, 축방향 및 직경방향으로 소정두께를 가지는 두께부로 되어 있으며, 이 두께부가, 통형상 연결부재(32)와 로터지지부재(22)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32c)로 되어 있다. 장착부(32c)의 둘레방향의 복수 부위에는, 제1 볼트(91)가 체결되는 제1 볼트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직경방향 연재부(32b)는, 장착부(32c)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이 직경방향 연재부(32b)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축방향으로 뻗는 통형상 연재부(32d)를 가진다. 즉, 직경방향 연재부(32b)는, 통형상 연재부(32d)보다도 직경방향 내측 부위가 직경방향 외측 부위에 대하여 축 제2 방향(A2)측으로 오프셋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통형상 연재부(32d)는, 로터지지부재(22)의 끼워맞춤 돌출부(25a)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한다.
통형상 돌출부(32e)는, 직경방향 연재부(32b)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직경방향 연재부(32b)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적어도 축 제2 방향(A2)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통형상 돌출부(32e)는 직경방향 연재부(32b)에 대하여 축방향 양측으로 뻗어 있다. 통형상 돌출부(32e)는, 마찰부재(33)의 직경방향 내측에,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마찰부재(33)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돌출부(32e)는, 케이스(3)의 통형상 돌출부(11)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이 통형상 돌출부(11)에 대하여 소정간격을 둔 상태에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상 돌출부(32e)와 케이스(3)의 통형상 돌출부(11) 사이에는, 슬리브(86)가 배치되어 있다. 즉, 통형상 돌출부(32e)의 내주면과 케이스(3)의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슬리브(86)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돌출부(11)를 포함하는 케이스(3)가 알루미늄제, 통형상 돌출부(32e)를 포함하는 통형상 연결부재(32)가 철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케이스(3)의 통형상 돌출부(11)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통형상 돌출부(32e) 사이의 상대회전에 의한 통형상 돌출부(11)의 마모를 억제할 목적으로, 슬리브(86)는 철제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 돌출부(32e)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향 통형상부」에 상당한다.
또한, 가압방향을 따라서 마찰부재(33)를 가압하여 동작시키는 가압부재로서의 피스톤(34)이, 통형상 연재부(32d)의 외주면 및 통형상 돌출부(32e)의 외주면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톤(34)은, 마찰부재(33)를 축 제1 방향(A1)측으로부터 가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본 예에서는 축 제2 방향(A2)이 상기 「가압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통형상 연재부(32d)와 피스톤(34) 사이, 및 통형상 돌출부(32e)와 피스톤(34) 사이에는, 각각 O링 등의 시일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직경방향 연재부(32b), 통형상 연재부(32d), 통형상 돌출부(32e), 및 피스톤(34)에 의하여 구획되어 밀폐된 공간으로서, 작동유압실(H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유압실(H1)에는, 제1 유로(L1)를 통하여 피스톤(34)의 작동용 오일이 공급된다.
또한, 피스톤(34)에 대하여 작동유압실(H1)과는 반대측(여기서는, 축 제2 방향(A2)측)에는, 순환유압실(H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순환유압실(H2)은, 오일이 공급된 상태에서, 피스톤(34)에 있어서의 작동용의 유압이 작용하는 측(본 예에서는, 내연기관(E)측인 축 제1 방향(A1)측)과는 반대측(본 예에서는, 축 제2 방향(A2)측)에 유압을 작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순환유압실(H2)은, 주로 피스톤(34), 축방향 연재부(32a), 토크컨버터(TC)의 커버부(42), 통형상 돌출부(11), 및 상술한 입력전달부재(입력축(I) 및 클러치허브(31))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순환유압실(H2)은, 축방향에서 작동유압실(H1)과 토크컨버터(TC)의 커버부(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 돌출부(11)와 입력전달부재를 구성하는 입력축(I) 사이에 제2 시일부재(82)가 배치되어, 이들의 사이가 밀폐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 연재부(32a)와 커버부(42) 사이에 제4 시일부재(84)가 배치되어, 이들의 사이가 밀폐되어 있다. 이로써, 순환유압실(H2)은 밀폐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순환유압실(H2)에는, 오일펌프(9)에 의하여 토출되어, 유압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소정의 유압레벨로 조정된 압유(壓油)가, 제2 유로(L2)를 통하여 공급된다. 제2 유로(L2)를 통하여 오일이 공급됨으로써, 순환유압실(H2) 속은 기본적으로는 소정압 이상의 오일로 채워진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유로(L2)를 통하여 순환유압실(H2)에 공급되는 유압은, 피스톤(34)에 대하여, 작동유압실(H1)에 공급되는 유압(피스톤(34)의 작동용 유압)과는 반대측으로 작용함과 함께, 이 작동유압실(H1)에 공급되는 유압과는 다른 유압으로 조정되어 있다. 이로써, 피스톤(34)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이 되는 작동유압실(H1)로부터 작용하는 유압과 축 제2 방향(A2)측이 되는 순환유압실(H2)로부터 작용하는 유압의 차압(差壓)에 따라서, 피스톤(34)을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켜서, 입력클러치(C1)의 계합 및 해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작동유압실(H1)로의 공급 유압을 순환유압실(H2)로의 공급 유압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피스톤(34)을 축 제1 방향(A1)측으로 이동시켜서 입력클러치(C1)를 해방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작동유압실(H1)로의 공급 유압을 순환유압실(H2)로의 공급 유압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피스톤(34)을 축 제2 방향(A2)측으로 이동시켜서 마찰부재(33)를 서로 마찰계합시켜서, 입력클러치(C1)를 계합상태로 할 수 있다.
순환유압실(H2) 내에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순환유압실(H2) 내에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직경방향 내측에 삽입통과되는 입력축(I)의 플랜지부(Ia)가, 통형상 돌출부(11)의 축 제2 방향(A2)측을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순환유압실(H2) 내에는, 플랜지부(Ia)에 연결되는 클러치허브(31)가 직경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마찰부재(33)도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환유압실(H2) 내에 채워지는 오일에 의하여 복수의 마찰부재(33)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순환유압실(H2)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합부재 수용실」에 상당한다.
2-4. 토크컨버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크컨버터(TC)는, 회전전기기기(MG) 및 입력클러치(C1)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고 중간지지벽(6) 및 변속기구(TM)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되어 있다. 토크컨버터(TC)는, 입력클러치(C1)와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토크컨버터(TC)는, 펌프임펠러(41), 터빈러너(51), 스테이터(56), 및 이들을 수용하는 커버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부(42)는, 펌프임펠러(41)와 일체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커버부(42)의 내측에, 펌프임펠러(4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42)는, 통형상 연결부재(32)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커버부(42)는, 통형상 연결부재(32) 및 로터지지부재(22)를 통하여, 회전전기기기(MG)의 로터(Ro)와 일체회전하도록 구동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일체회전하는 펌프임펠러(41) 및 커버부(42)는, 내연기관(E) 및 회전전기기기(MG)의 일방 또는 쌍방의 회전 및 토크가 전달되는 부재이며, 토크컨버터(TC)의 입력측 회전부재이다. 또한, 커버부(42)는, 펌프구동축(47)에 연결되어 있다. 커버부(42)는, 펌프구동축(47)을 통하여 오일펌프(9)의 펌프로터와 일체회전하도록 구동연결되어 있다. 펌프구동축(47)은, 펌프커버(7)의 관통공에 설치된 제2 베어링(72)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펌프커버(7)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펌프임펠러(41), 커버부(42), 및 펌프구동축(47)에 의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음매 입력측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터빈러너(51)는, 펌프임펠러(41)의 축 제1 방향(A1)측에 이 펌프임펠러(41)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터빈러너(51)는, 펌프임펠러(41)와 쌍을 이루고, 펌프임펠러(41)에 입력되는 회전 및 토크를 출력축(O)측이 되는 중간축(M)에 전달하는, 토크컨버터(TC)의 출력측 회전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터빈러너(5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음매 출력측 부재」에 상당한다. 터빈러너(51)는, 직경방향으로 뻗는 직경방향 연재부(52)를 가진다. 이 직경방향 연재부(52)는, 축방향에서, 후술하는 통형상 연재부(46)(도 3 등을 참조)와 일방향 클러치(5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터빈러너(51)는, 직경방향 연재부(5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직경방향 연재부(52)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축 제1 방향(A1)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통형상 돌출부(53)(도 3을 참조)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돌출부(53)와 이 통형상 돌출부(53)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중간축(M)이, 스플라인 연결되어 있다.
스테이터(56)는, 축방향에 있어서, 펌프임펠러(41)와 터빈러너(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56)는, 일방향 클러치(57)를 통하여 고정축(58)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축(58)은, 원통형상의 축부로서 축 제2 방향(A2)측에 있어서 케이스(3)의 중간지지벽(6)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56)는, 일방향 클러치(57) 및 고정축(58)을 통하여 중간지지벽(6)에 연결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57)는, 축방향에서 직경방향 연재부(52)와 펌프구동축(4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향배치되는 펌프임펠러(41)와 터빈러너(51)에 의하여, 토크컨버터(TC)의 본체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임펠러(41)를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커버부(42)가, 또한 터빈러너(51)도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커버부(42)는, 토크컨버터(TC)의 본체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크컨버터(TC)의 본체부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된 록업클러치(C2) 및 제2 댐퍼(54)도, 커버부(4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의 본체부 등이 수용되는 커버부(42) 속의 공간을, 「본체부 수용실(H4)」이라 하고 있다. 이 본체부 수용실(H4)에는, 중간축(M)의 내부에 형성된 제6 유로(L6)를 통하여 오일이 공급된다. 본체부 수용실(H4) 속의 오일을 통하여, 펌프임펠러(41)와 터빈러너(51)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6 유로(L6)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음매 공급유로」에 상당한다.
커버부(42)는, 본체부, 록업클러치(C2), 및 제2 댐퍼(54)에 대하여, 축방향 양측 및 직경방향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42)는, 본체부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에 있어서,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 축방향 연재부(44),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 및 통형상 연재부(46)를 가진다.
축방향 연재부(44)는, 소정범위에 걸쳐서 축방향을 따라서 뻗는 통형상부이다. 축방향 연재부(44)는, 커버부(42)의, 본체부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 부분이 직경방향에서 점유하는 영역의 대략 중간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방향 연재부(44)는,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축방향 연재부(32a)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한다.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는, 축방향 연재부(4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축방향 연재부(44)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도록 둥근링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는 축방향에서 회전전기기기(MG)와 제2 댐퍼(54) 사이를 통과하여 직경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는, 축방향 연재부(4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축방향 연재부(44)의 축 제1 방향(A1)측의 단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도록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는 축방향에서 입력클러치(C1)와 록업클러치(C2) 사이를 통과하여 직경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의 직경방향 중앙부는, 축방향에서 입력축(I)과 중간축(M)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2 댐퍼(54)의 직경방향 외측을 덮는 원통형상부와,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 축방향 연재부(44), 및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에 의하여, 커버부(42)는, 전체로서 단(段) 있는 그릇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 연재부(46)는,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이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의 직경방향 중앙부로부터 축 제2 방향(A2)측으로 향하여 뻗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재부(46)의 내주면의 축방향의 소정위치에, 단차부(46a)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 연재부(46)의 내주면은, 단차부(46a)를 경계로 하여, 이 단차부(46a)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이 소경부가 되고, 단차부(46a)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이 대경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소경부의 직경방향 내측에, 중간축(M)의 축 제1 방향(A1)측의 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의 직경방향 내측이고 중간축(M)의 직경방향 외측에, 터빈러너(51)의 통형상 돌출부(5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연재부(46)는, 일방향 클러치(57) 및 터빈러너(51)의 직경방향 연재부(52)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되어 있다.
록업클러치(C2)는, 커버부(42)와 일체회전하는 펌프임펠러(41)와 터빈러너(51) 사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하는 마찰계합장치이다. 록업클러치(C2)는, 습식 다판 클러치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록업클러치(C2)는, 커버부(42)의 축방향 연재부(44)의 직경방향 내측으로서,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이 축방향 연재부(44)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록업클러치(C2)는, 터빈러너(51)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록업클러치(C2)는, 커버부(42)의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를 사이에 두고 입력클러치(C1)에 대하여 축 제2 방향(A2)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업클러치(C2)는, 클러치허브(61), 클러치드럼(62), 마찰부재(63), 피스톤(64), 및 작동유압실(H3)을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허브(61)는, 커버부(42)를 구성하는 통형상 연재부(46)와 일체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드럼(62)은, 제2 댐퍼(54)를 통하여 터빈러너(51) 및 중간축(M)에 구동연결되어 있다. 클러치허브(61)와 클러치드럼(62) 사이에 복수의 마찰부재(63)가 배치되고, 이들의 마찰부재(63)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에 피스톤(6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64)은, 커버부(42)를 구성하는 축방향 연재부(44) 및 통형상 연재부(46)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축방향 연재부(44)와 피스톤(64) 사이, 및 통형상 연재부(46)와 피스톤(64) 사이에는, 각각 O링 등의 시일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축방향 연재부(44),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 통형상 연재부(46), 및 피스톤(64)에 의하여 구획되어 밀폐된 공간으로서, 작동유압실(H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유압실(H3)에는, 중간축(M)의 내부에 형성된 제7 유로(L7)를 통하여 피스톤(64)의 작동용 오일이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축방향 연재부(32a)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하는 축방향 연재부(44)의 직경방향 내측에, 록업클러치(C2)의 피스톤(6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방향 연재부(32a), 제4 시일부재(84), 축방향 연재부(44), 피스톤(64), 및 축방향 연재부(44)와 피스톤(64) 사이의 시일부재는,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서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장치 전체의 축길이 단축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통형상 연결부재(32)와 커버부(42)의 직경방향의 상호위치 결정을 위한 구성(후술하는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과, 록업클러치(C2)의 작동유압실(H3)을 밀봉하기 위한 구성이 공통화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수용실(H4)에 공급되는 유압은, 작동유압실(H3)에 공급되는 유압(피스톤(64)의 작동용 유압)과는 다른 유압으로 조정되고 있다. 이로써, 피스톤(64)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이 되는 작동유압실(H3)로부터 작용하는 유압과 축 제2 방향(A2)측이 되는 본체부 수용실(H4)로부터 작용하는 유압의 차압에 따라서, 피스톤(64)을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시켜서, 록업클러치(C2)의 계합 및 해방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수용실(H4)과 순환유압실(H2)은,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2-5. 동력전달부재
동력전달부재(T)는, 차량의 구동력원으로부터의 회전 및 토크를 변속기구(TM)로 전달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의 구동력원으로부터의 회전 및 토크를 토크컨버터(TC)의 펌프임펠러(41)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 및 토크를, 토크컨버터(TC)를 통하여 변속기구(TM)로 전달한다. 그로 인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동력전달부재(T)는, 로터지지부재(22)와, 입력클러치(C1)의 출력측 회전부재로서의 통형상 연결부재(32)와, 토크컨버터(TC)의 커버부(42)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는, 적어도 2군데, 본 예에서는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 및 제1 체결고정부(F1)에서 접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는,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직경방향의 상호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에 설치된 끼워맞춤 돌출부(25a), 및 통형상 연결부재(32)에 설치된 통형상 연재부(32d)는, 모두 축방향으로 뻗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끼워맞춤 돌출부(25a)의 외주면과 통형상 연재부(32d)의 내주면이, 둘레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서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함으로써,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직경방향의 상호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의 끼워맞춤 돌출부(25a)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통형상 연재부(32d)에 의하여,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돌출부(25a)와 통형상 연재부(32d) 사이에는, O링 등의 제3 시일부재(83)가 더욱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직경방향의 상호위치 결정을 위한 구성(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과, 베어링 배치공간(P)을 밀봉하여 회전전기기기(MG)의 스테이터(St)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이 공통화되어 있다.
제1 체결고정부(F1)는,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를 체결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의 직경방향 연재부(24), 및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장착부(32c)는, 축방향으로 서로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직경방향 연재부(24)에 설치된 복수의 제1 볼트 삽입통과구멍(24a)의 축심과 장착부(32c)에 설치된 복수의 제1 볼트구멍의 축심이 모두 일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볼트(91)는, 각각의 제1 볼트 삽입통과구멍(24a)에 삽입통과되어 제1 볼트구멍에 체결된다. 이로써, 직경방향 연재부(24)와 장착부(32c)가 제1 볼트(91)에 의하여 서로 체결고정되고, 직경방향 연재부(24)와 장착부(32c) 사이의 체결부위에 의하여, 제1 체결고정부(F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체결고정부(F1)에 의하여,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가 덜거덕거림 없이 서로 강고히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체결고정부(F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체결고정부」에 상당한다. 다만, 본 예에서는, 제1 볼트(91), 제1 볼트 삽입통과구멍(24a), 및 제1 볼트구멍은, 복수 세트가 둘레방향으로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제1 체결고정부(F1)」는, 그들 복수 세트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쓰이고 있다(후술하는 제2 체결고정부(F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임).
통형상 연결부재(32)와 커버부(42)는, 적어도 2군데, 즉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 및 제2 체결고정부(F2)에서 접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는, 통형상 연결부재(32)와 커버부(42)의 직경방향의 상호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에 설치된 축방향 연재부(32a), 및 커버부(42)에 설치된 축방향 연재부(44)는, 모두 축방향으로 뻗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축방향 연재부(32a)의 축 제2 방향(A2)측의 개구 단부에 있어서, 축방향 연재부(32a)의 내주면과 축방향 연재부(44)의 외주면이, 둘레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서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함으로써, 통형상 연결부재(32)와 커버부(42)의 직경방향의 상호위치 결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축방향 연재부(32a)와 커버부(42)의 축방향 연재부(44)에 의하여,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가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 연재부(32a)와 축방향 연재부(44) 사이에 제4 시일부재(84)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통형상 연결부재(32)와 커버부(42)의 직경방향의 상호위치 결정을 위한 구성(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과, 순환유압실(H2)을 밀봉하기 위한 구성이 공통화되어 있다.
제2 체결고정부(F2)는, 통형상 연결부재(32)와 커버부(42)를 체결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직경방향 연출부(32f), 및 커버부(42)의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는, 둘레방향의 복수 부위에 설치된 커버측 연결부(43a)를 통하여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직경방향 연출부(32f)와 커버측 연결부(43a)가 축방향에 서로 접함과 함께, 커버측 연결부(43a)와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가 축방향에서 서로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만, 각각의 커버측 연결부(43a)에는, 제2 볼트(92)가 체결되는 제2 볼트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커버측 연결부(43a)는, 커버부(42)와 일체회전하도록, 용접 등에 의하여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의 축 제1 방향(A1)측의 측면에 접합되어 있다. 직경방향 연출부(32f), 커버측 연결부(43a), 및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는, 직경방향 연출부(32f)에 설치된 복수의 제2 볼트 삽입통과구멍(32g)의 축심과 복수의 커버측 연결부(43a)에 설치된 제2 볼트구멍의 축심이 모두 일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볼트(92)는, 각각의 제2 볼트 삽입통과구멍(32g)에 삽입통과되어 제2 볼트구멍에 체결된다. 이로써, 직경방향 연출부(32f)와 커버측 연결부(43a)가 제2 볼트(92)에 의하여 서로 체결고정되고, 커버측 연결부(43a)를 통하여 직경방향 연출부(32f)와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가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방향 연출부(32f)와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 사이의 체결부위에 의하여, 제2 체결고정부(F2)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체결고정부(F2)에 의하여, 통형상 연결부재(32)와 커버부(42) 및 펌프임펠러(41)가 덜거덕거림 없이 서로 강고히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는, 제1 체결고정부(F1)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의 직경방향 내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 원통형상부(25)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가 구성됨과 함께, 로터지지부재(22)의 직경방향 연재부(24) 중, 직경방향 외측의 부위(로터지지부(23)에 가까운 부위)에 제1 체결고정부(F1)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돌출부(25a) 및 통형상 연재부(32d)를 비교적 소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체결고정부(F1)를 직경방향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레의 원리에 의하여, 제1 체결고정부(F1)에 있어서 제1 볼트(91)를 통하여 전달가능한 토크의 최대치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는, 제2 체결고정부(F2)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와 제2 체결고정부(F2)는 직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 통형상 연결부재(32), 및 커버부(42)는, 서로 독립된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하여, 이들을 각각 단품으로 가공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이 점으로부터도 각 부재를 소망의 형상으로 가공하면서 그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특히, 센터링이 필요하게 되는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돌출부(25a) 및 통형상 연재부(32d), 및,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를 구성하는 축방향 연재부(32a) 및 축방향 연재부(44)의 축심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이로써, 제1 체결고정부(F1) 및 제2 체결고정부(F2)와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 및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가 협력작용함으로써, 높은 축심 정밀도로 덜거덕거림 없이 강고히 연결고정된 일체의 동력전달부재(T)가, 전체로서 드럼형상의 회전부재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동력전달부재(T)의 내부에, 입력클러치(C1)의 작동유압실(H1), 순환유압실(H2), 록업클러치(C2)의 작동유압실(H3), 및 본체부 수용실(H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동력전달부재(T)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제1 방향(A1)측에서는, 제1 베어링(71)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단부 지지벽(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베어링(71)은, 축방향에서 단부 지지벽(5)과 통형상 연결부재(32)의 통형상 돌출부(32e)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베어링(71)은, 축방향에서 제1 시일부재(81)와 통형상 돌출부(32e)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재(T)는, 축 제2 방향(A2)측에서는, 제2 베어링(72)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중간지지벽(6)에 장착된 펌프커버(7)의 관통공의 내주면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제2 베어링(72)으로서는, 직경방향 하중을 받는 것이 가능한 베어링이 이용되며, 본 예에서는 니들베어링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베어링(72)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지지베어링」에 상당한다.
여기서, 동력전달부재(T)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입력클러치(C1), 록업클러치(C2), 및 토크컨버터(TC)에 대하여, 축 제1 방향(A1)측에 제1 베어링(71)이 배치되고, 그들에 대하여 축 제2 방향(A2)측에 제2 베어링(72)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으로 긴 지지 간격으로 동력전달부재(T)를 직경방향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동력전달부재(T)의 전체를 높은 축심 정밀도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재(T)의 일부를 이용하여 각각 구성되는 입력클러치(C1), 회전전기기기(MG), 및 토크컨버터(TC)의 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부 지지벽(5)에 설치된 통형상 돌출부(11)의 축심 관통공(11a)을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된 입력축(I)은, 제3 베어링(73)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제3 베어링(73)으로서는, 직경방향 하중을 받는 것이 가능한 베어링이 이용되며, 본 예에서는 니들베어링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축(I)은 축방향의 복수 부위, 여기서는 2군데에서 축심 관통공(11a)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다. 즉, 입력축(I)은,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소정거리를 두고 나뉘어서 배치된 2개의 제3 베어링(73a, 73b)을 통하여,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3 베어링(73a, 73b)을 이용하여 입력축(I)을 2점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통형상 돌출부(11)에 의하여 입력축(I)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지지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3 베어링(73)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 지지베어링」에 상당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으로 입력클러치(C1)의 클러치허브(31)에 연결된 입력축(I)을 높은 축심 정밀도로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같은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으로 입력클러치(C1)의 클러치드럼으로서의 통형상 연결부재(32)를 일부에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재(T)를 높은 축심 정밀도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클러치(C1)의 지지 정밀도는 매우 양호하게 된다. 그로 인하여, 입력클러치(C1)의 계합상태(피스톤(34)에 의한 계합압이나, 입력클러치(C1)의 전달 토크 용량 등을 포함함)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1)와 같이 1 모터 패럴렐 방식의 하이브리드 차량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내연기관 시동제어나 슬립 가속제어 등을 실행하는 경우에, 입력클러치(C1)의 계합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에 대한 요청이 특히 강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동장치(1)에 의하면, 입력클러치(C1)의 지지 정밀도가 매우 높고, 입력클러치(C1)를 계합시킬 때에 소망의 계합 특성을 고정밀도로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청에 적절히 응할 수 있다. 다만, 내연기관 시동제어는 입력클러치(C1)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전기기기(MG)의 토크에 의하여 내연기관(E)을 시동시키는 제어이고, 슬립 가속제어는 입력클러치(C1)의 입력측 마찰부재와 출력측 마찰부재 사이에 미끄러짐이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입력클러치(C1)를 통하여 전달되는 내연기관(E)의 토크에 의하여 차량을 가속시키는 제어이다.
3. 입력클러치로의 오일의 공급구조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입력클러치(C1)가 가지는 작동유압실(H1) 및 순환유압실(H2)로의 오일의 공급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순환유압실(H2) 등으로부터의 오일의 배출구조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이들의 구조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3)의 단부 지지벽(5) 및 통형상 돌출부(11)에 형성된 4개의 유로(제1 유로(L1), 제2 유로(L2), 제3 유로(L3), 및 제4 유로(L4))를 주요한 구성으로 하여 실현되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유로(L1)는, 입력클러치(C1)의 작동유압실(H1)에 연통하여, 이 작동유압실(H1)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로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유로(L1)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동공급유로」에 상당한다. 제1 유로(L1)에는, 오일펌프(9)에 의하여 토출되고, 유압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소정의 유압레벨로 조정된 압유가, 제1 유로 형성부재(96a)(도 5를 참조)를 통하여 공급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유로(L1)는, 통형상 돌출부(11) 속을 축방향으로 뻗는 제1 축방향 유로(L1a)와, 통형상 돌출부(11)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1 직경방향 유로(L1b)와, 케이스(3)의 단부 지지벽(5)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1 벽 내 유로(L1c)를 가진다. 제1 벽 내 유로(L1c)는,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에서 제1 유로 형성부재(96a)에 접속됨(도 5를 참조)과 함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에서 제1 축방향 유로(L1a)에 연통하고 있다. 제1 축방향 유로(L1a)는, 제1 벽 내 유로(L1c)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서 축 제2 방향(A2)측에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직경방향 유로(L1b)는, 제1 축방향 유로(L1a)에 연통하여, 이 제1 축방향 유로(L1a)로부터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직경방향 유로(L1b)는, 직경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방향 유로(L1a)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는, 통형상 돌출부(11)에 설치된 폐쇄부재(본 예에서는,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제1 직경방향 유로(L1b)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외주 개구부(12a)에 개구하고 있다. 이 제1 외주 개구부(12a)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제2 단차부(11c)보다도 축 제2 방향(A2)측인 최소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통형상 돌출부(11)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에 외부삽입된 슬리브(86)의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86)에는, 외주면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움푹 들어가면서 둘레방향으로 연속하는 오목홈이 형성됨과 함께, 이 슬리브(86)의 내주면과 오목홈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둘레방향의 복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연통구멍과 제1 외주 개구부(12a)는,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 연결부재(32)의 통형상 돌출부(32e)에는, 이 통형상 돌출부(32e)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통하는 유공(油孔)(32h)이 형성되어 있다. 유공(32h)과 슬리브(86)에 형성된 연통구멍은,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공(32h)은, 직경방향 외측의 개구부를 통하여 작동유압실(H1)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직경방향 유로(L1b)는, 제1 외주 개구부(12a), 슬리브(86)의 연통구멍, 및 유공(32h)을 통하여 작동유압실(H1)에 연통하고 있다. 이로써, 제1 유로(L1)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이, 제1 외주 개구부(12a), 연통구멍, 및 유공(32h)을 통하여 작동유압실(H1)로 적절히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86)의 외주면과 통형상 돌출부(32e)의 내주면 사이의 미소간극을 통과하여, 약간씩 축방향으로 오일이 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미소간극을 통과하여 축 제1 방향(A1)측으로 누출되는 오일은, 베어링 배치공간(P)으로 유입하여, 이 베어링 배치공간(P)에 배치된 제1 베어링(71)의 윤활을 행한다.
제2 유로(L2)는, 입력클러치(C1)의 순환유압실(H2)에 연통하여, 이 순환유압실(H2)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로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유로(L2)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순환공급유로」에 상당한다. 제2 유로(L2)에는, 오일펌프(9)에 의하여 토출되고, 유압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소정의 유압레벨로 조정된 압유가, 제2 유로 형성부재(96b)(도 5를 참조)를 통하여 공급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유로(L2)는, 통형상 돌출부(11) 속을 축방향으로 뻗는 제2 축방향 유로(L2a)와, 케이스(3)의 단부 지지벽(5)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2 벽 내 유로(L2c)를 가진다. 제2 벽 내 유로(L2c)는,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에서 제2 유로 형성부재(96b)에 접속됨(도 5를 참조)과 함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에서 제2 축방향 유로(L2a)에 연통하고 있다. 제2 축방향 유로(L2a)는, 제2 벽 내 유로(L2c)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축방향을 따라서 축 제2 방향(A2)측에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방향 유로(L2a)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면(端面)에 형성된 단면 개구부(12e)에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축방향 유로(L2a)는 단면 개구부(12e)를 통하여 순환유압실(H2)에 연통하고 있다. 이로써, 제2 유로(L2)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이, 단면 개구부(12e)를 통하여 순환유압실(H2)로 적절히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축방향 유로(L2a)는 순환유압실(H2)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클러치허브(31)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인 제1 공간(V1)에 연통하고 있고, 제2 유로(L2)로부터의 오일은, 순환유압실(H2)에 있어서의 제1 공간(V1)에 공급된다.
제2 유로(L2)를 통하여 오일이 공급됨으로써, 케이스(3) 내에 있어서의 독립된 밀폐공간으로서 형성된 순환유압실(H2) 속은, 기본적으로는 오일로 채워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체로서는 순환유압실(H2) 속이 오일로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순환유압실(H2) 속을 오일이 유통한다. 즉, 제2 유로(L2)로부터 순환유압실(H2)의 제1 공간(V1)에 공급된 오일은, 축방향에서 피스톤(34)과 클러치허브(31) 사이를 통과하여 직경방향 외측으로 흘러, 복수의 마찰부재(33)에 도달한다. 오일은, 복수의 마찰부재(33)의 열 교환에 의하여 이 복수의 마찰부재(33)를 냉각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순환유압실(H2) 내에 채워지는 오일에 의하여 입력클러치(C1)의 복수의 마찰부재(33)를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마찰부재(33)를 냉각한 후의 오일은, 순환유압실(H2) 내에 있어서의 클러치허브(31)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 즉 축방향에서 클러치허브(31)와 커버부(42)의 내측 직경방향 연재부(45) 사이의 제2 공간(V2)을 통과하여 직경방향 내측으로 흘러, 입력축(I)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에 형성된 축단(軸端)구멍부(Ib)에 도달한다. 축단구멍부(Ib)의 직경방향 내측의 공간은, 이 제2 공간(V2)의 직경방향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입력축(I)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에는, 제5 유로(L5)가 형성되어 있다. 제5 유로(L5)에는, 순환유압실(H2) 속을 유통하여 입력축(I)의 축단구멍부(Ib)에 도달한 오일이 공급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유로(L5)는, 입력축(I)의 내부를 축심(X)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뻗는 제5 축방향 유로(L5a)와, 입력축(I)의 내부를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5 직경방향 유로(L5b)를 가진다. 제5 축방향 유로(L5a)는, 입력축(I)의 축단구멍부(Ib)에 있어서의 축 제2 방향(A2)측의 측면에 개구함과 함께, 이 개구부로부터 소정범위에 걸쳐서 축 제1 방향(A1)측으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5 축방향 유로(L5a)는, 적어도 후술하는 제1 내주 개구부(12c)보다도 축 제1 방향(A1)측까지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5 직경방향 유로(L5b)는, 제5 축방향 유로(L5a)에 연통하며, 이 제5 축방향 유로(L5a)로부터 직경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5 직경방향 유로(L5b)는,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제3 베어링(73) 사이에서, 입력축(I)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5 유로(L5)는, 순환유압실(H2)과, 입력축(I)의 외주면과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연통하고 있다. 이로써, 제5 유로(L5)를 통하여, 순환유압실(H2)의 제2 공간(V2)의 직경방향 중심부로부터의 오일을 입력축(I)과 통형상 돌출부(11)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2개의 제3 베어링(73) 중, 축 제2 방향(A2)측의 제3 베어링(73b)은, 그 축방향 양측의 측면이, 직접적으로 또는 제5 유로(L5)를 통하여, 제1 공간(V1) 및 제2 공간(V2)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즉, 제3 베어링(73b)은, 축 제2 방향(A2)측의 측면이 순환유압실(H2) 내의 제1 공간(V1)에 직접적으로 연통하고 있고, 축 제1 방향(A1)측의 측면이, 제5 유로(L5)를 통하여 순환유압실(H2) 내의 제2 공간(V2)에 연통하고 있다. 이로써, 제3 베어링(73b)의 축방향 양측의 측면에 작용하는 유압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베어링(73b)과 통형상 돌출부(11) 사이, 및 제3 베어링(73b)과 입력축(I) 사이로부터의 오일의 누출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3 베어링(73b)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본 예에서는, 순환유압실(H2)로부터 제5 유로(L5)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일의 일부를 이용하여, 제3 베어링(73)의 윤활을 행할 수도 있다.
제3 유로(L3)는, 제2 유로(L2)와는 별도로 순환유압실(H2)에 연통하여, 순환유압실(H2)로부터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오일배출로이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유로(L3)는, 통형상 돌출부(11) 속을 축방향으로 뻗는 제3 축방향 유로(L3a)와, 통형상 돌출부(11)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3 직경방향 유로(L3b)와, 케이스(3)의 단부 지지벽(5)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3 벽 내 유로(L3c)를 가진다. 제3 직경방향 유로(L3b)는, 축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제3 베어링(73) 사이에서,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내주 개구부(12c)에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제3 직경방향 유로(L3b)는, 제1 내주 개구부(12c), 입력축(I)과 통형상 돌출부(11) 사이의 공간, 및 입력축(I)의 내부에 형성된 제5 유로(L5)를 통하여, 순환유압실(H2)의 제2 공간(V2)의 직경방향 중심부에 연통하고 있게 된다. 다만, 본 예에서는, 제1 내주 개구부(12c)와 제5 유로(L5)를 구성하는 제5 직경방향 유로(L5b)는, 직경방향에서 보아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직경방향 유로(L3b)는, 제1 내주 개구부(12c)로부터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3 직경방향 유로(L3b)는, 직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축방향 유로(L3a)는, 제3 직경방향 유로(L3b)의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에 연통하고, 축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축방향 유로(L3a)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는, 통형상 돌출부(11)에 설치된 폐쇄부재(본 예에서는,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제3 벽 내 유로(L3c)는,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에서 제3 축방향 유로(L3a)의 축 제1 방향(A1)측의 단부에 연통하고 있음과 함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에서 제3 유로 형성부재(96c)에 접속된다(도 2 및 도 5를 참조). 이로써, 순환유압실(H2) 속을 유통할 때에 복수의 마찰부재(33)를 냉각한 후의 오일은, 제5 유로(L5) 및 제3 유로(L3)를 통하여 배출되고, 또한 제3 유로 형성부재(96c)를 통하여 오일팬(미도시)으로 되돌려진다.
제4 유로(L4)는, 베어링 배치공간(P)으로부터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오일배출로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유로(L4)는, 통형상 돌출부(11) 속을 축방향으로 뻗는 제4 축방향 유로(L4a)와, 통형상 돌출부(11)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4 직경방향 유로(L4b)와, 케이스(3)의 단부 지지벽(5) 속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4 벽 내 유로(L4c)를 가진다. 제4 직경방향 유로(L4b)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 외주 개구부(12b)에 개구하고 있다. 이 제2 외주 개구부(12b)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1 시일부재(81)와 제1 베어링(71) 사이에서, 베어링 배치공간(P)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외주 개구부(12b)는, 통형상 돌출부(11)의 외주면 중, 제1 단차부(11b)가 구비된 위치에 있어서 대경부와 소경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제4 직경방향 유로(L4b)는, 제2 외주 개구부(12b)로부터 적어도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4 직경방향 유로(L4b)는, 직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4 직경방향 유로(L4b)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제2 시일부재(82)와 제3 베어링(73)(본 예에서는, 축 제1 방향(A1)측에 배치된 쪽의 제3 베어링(73a)) 사이에서,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내주 개구부(12d)에도 개구하고 있다. 이로써, 베어링 배치공간(P)으로부터의 오일을 이용하여, 제3 베어링(73a)의 윤활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축방향 유로(L4a)는, 제4 직경방향 유로(L4b)에 연통하며, 축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 축방향 유로(L4a)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는, 통형상 돌출부(11)에 설치된 폐쇄부재(본 예에서는,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제4 벽 내 유로(L4c)는, 직경방향 내측의 단부에서 제4 축방향 유로(L4a)의 축 제1 방향(A1)측의 단부에 연통하고 있음과 함께, 직경방향 외측의 단부에서 제4 유로 형성부재(96d)에 접속된다(도 5를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유로(L1)를 통하여 작동유압실(H1)로 공급되는 오일의 일부는, 슬리브(86)의 외주면과 통형상 연결부재(32)의 통형상 돌출부(32e)의 내주면 사이의 미소간극을 통과하여 베어링 배치공간(P)으로 유입하여, 이 베어링 배치공간(P)에 배치된 제1 베어링(71)의 윤활을 행한다. 베어링 배치공간(P)에 있어서 제1 베어링(71)을 윤활한 후의 오일은, 제4 유로(L4)를 통하여 배출되고, 또한 제4 유로 형성부재(96d)를 통과하여 오일팬(미도시)으로 되돌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유로(L1∼L4)는, 모두 소정의 제1 기준면(RP1)에 대하여 일방측(본 예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유로(L1) 및 제3 유로(L3)는, 모두 소정의 제2 기준면(RP2)에 대하여 일방측(본 예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좌측)에 형성됨과 함께, 제2 유로(L2) 및 제4 유로(L4)는, 모두 제2 기준면(RP2)에 대하여 타방측(본 예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클러치(C1)의 각각 작동유압실(H1) 및 순환유압실(H2)로의 오일공급로인 제1 유로(L1) 및 제2 유로(L2)는, 제2 기준면(RP2)에 대하여 서로 면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 순환유압실(H2) 및 베어링 배치공간(P)으로부터의 오일배출로인 제3 유로(L3) 및 제4 유로(L4)도, 제2 기준면(RP2)에 대하여 서로 면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예에서는, 도 5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이 수평방향에 일치함과 함께 상하방향이 연직방향에 일치하고 있고, 축심(X)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제1 기준면(RP1), 축심(X)을 통과하는 연직면을 제2 기준면(RP2)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통형상 돌출부(1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축방향 유로(L3a), 제1 축방향 유로(L1a), 제2 축방향 유로(L2a), 및 제4 축방향 유로(L4a)는,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둘레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벽 내 유로(L1c∼L4c)는, 케이스(3)의 단부 지지벽(5)의 내부에 있어서, 모두 제2 기준면(RP2)에 평행이 되도록 연직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3 벽 내 유로(L3c), 제1 벽 내 유로(L1c), 제2 벽 내 유로(L2c), 및 제4 벽 내 유로(L4c)는,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제1 기준면(RP1)을 따른 방향으로 이 순서대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 제1 유로(L1) 및 제2 유로(L2)에 접속되는 제1 유로 형성부재(96a) 및 제2 유로 형성부재(96b)는,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제2 기준면(RP2)에 평행하게,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각 제3 유로(L3) 및 제4 유로(L4)에 접속되는 제3 유로 형성부재(96c) 및 제4 유로 형성부재(96d)는, 축방향으로부터 보아서, 2군데에서 굴곡짐과 함께 각 굴곡점보다도 외측 부분(벽 내 유로(L3c, L4c)측의 부분, 및 미도시의 오일팬측의 부분)이, 제2 기준면(RP2)에 평행하게,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4. 그 밖의 실시형태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구동장치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그 실시형태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시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로터지지부재(22)가 다른 부재를 통하여 통형상 연결부재(32)에 연결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예컨대, 로터지지부재(22)가 유성기어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속장치를 통하여 통형상 연결부재(32)에 연결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가 마찰부재(33)의 직경방향 내측에 통형상 돌출부(32e)를 가지고, 입력클러치(C1)의 피스톤(34)이 통형상 돌출부(32e)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피스톤(34)과 통형상 돌출부(32e)에 의하여 작동유압실(H1) 중 적어도 일부가 구획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피스톤(34)이 케이스(3)의 통형상 돌출부(11)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피스톤(34)과 통형상 돌출부(11)에 의하여 작동유압실(H1) 중 적어도 일부가 구획설정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3)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력전달부재(T)를 구성하는 펌프구동축(47)이, 축 제2 방향(A2)측에서, 중간지지벽(6)에 장착된 펌프커버(7)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케이스(3)가 단부 지지벽(5)이나 중간지지벽(6)과는 달리 직경방향으로 뻗는 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동력전달부재(T)가 이 벽부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4)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지지벽(6)과 펌프커버(7) 사이에 중간축(M)과 동축형상으로 오일펌프(9)가 배치되고, 동력전달부재(T)를 구성하는 펌프구동축(47)이 이 오일펌프(9)의 펌프로터에 구동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축심(X)과는 축심을 다르게 하여 배치되는 등, 케이스(3)의 다른 위치에 오일펌프(9)가 배치되고, 동력전달부재(T)가 축부재나 기어부재 등의 다른 부재를 통하여 오일펌프(9)의 펌프로터에 구동연결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5)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체결고정부(F1) 및 제2 체결고정부(F2)에 의하여, 로터지지부재(22), 통형상 연결부재(32), 및 커버부(42)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T)가,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 및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 및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는, 동력전달부재(T)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직경방향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전달부재(T)에 요구되는 축심 정밀도에 따라서는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 및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 중 일방 또는 쌍방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동력전달부재(T)가, 제1 체결고정부(F1), 제2 체결고정부(F2), 및 제2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2)만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이 경우, 베어링 배치공간(P)을 밀봉하여 회전전기기기(MG)의 스테이터(St)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예컨대 제1 체결고정부(F1)를 구성하는 직경방향 연재부(24)와 장착부(32c) 사이에, O링 등의 제3 시일부재(83)가 배치된 구성으로 하면 적절하다.
(6)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체결고정부(F1)에 있어서, 직경방향 연재부(24)와 장착부(32c)가 제1 볼트(91)에 의하여 서로 체결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또한, 제2 체결고정부(F2)에 있어서, 직경방향 연출부(32f)와 외측 직경방향 연재부(43)가 커버측 연결부(43a)를 통하여 제2 볼트(92)에 의하여 서로 체결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들의 제1 체결고정부(F1) 및 제2 체결고정부(F2)의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 서로 체결고정되는 2개의 부재가 용접에 의하여 접합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7)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끼워맞춤 돌출부(25a)의 외주면과 통형상 연재부(32d)의 내주면이 직경방향에 서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하여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직경방향 연재부(32b)가, 이 직경방향 연재부(32b)로부터 축 제1 방향(A1)측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돌출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축방향 돌출부의 외주면과 끼워맞춤 돌출부(25a)의 내주면이 직경방향에 서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하여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J1)가 구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8)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력축(I)이, 2개의 제3 베어링(73, 73a, 73b)을 통하여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력축(I)이, 단일의 제3 베어링(73)을 통하여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에 지지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혹은, 입력축(I)이, 3개 이상의 제3 베어링(73)을 통하여 통형상 돌출부(11)의 내주면에 지지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9)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형상 연결부재(32)가 축방향 연재부(32a)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는 직경방향 연재부(32b)를 가지고, 통형상 연결부재(32)의 직경방향 연재부(32b)와 로터지지부재(22)가 축방향 연재부(32a)의 직경방향 내측에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통형상 연결부재(32)가 축방향 연재부(32a)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는 부위를 가지고, 축방향 연재부(32a)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이 부위와 로터지지부재(22)가 연결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10)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3)의 통형상 돌출부(11)에, 순환유압실(H2)에 오일을 공급하는 제2 유로(L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제2 유로(L2)가 케이스(3)에 있어서의 통형상 돌출부(11)와는 다른 부위(예컨대 중간축(M))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11)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 수용실(H4)에 오일을 공급하는 제6 유로(L6)가 중간축(M)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제6 유로(L6)가 중간축(M)과는 다른 부위(예컨대 케이스(3))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12)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력클러치(C1)가 소위 노멀오픈형 마찰계합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력클러치(C1)를 소위 노멀클로즈형 마찰계합장치로서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13)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가 서로 독립된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로터지지부재(22)와 통형상 연결부재(32)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도 6에는, 이와 같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로터지지부재(22)의 로터지지부(23)가 입력클러치(C1)의 클러치드럼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로터지지부(23)를 통하여 로터지지부재(22)와 커버부(42)가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로터지지부(23)의 축 제2 방향(A2)측의 단부로부터 축 제2 방향(A2)측으로 더욱 돌출하는 원통형상의 축방향 돌출부(23a)의 내주면과, 축방향 연재부(44)의 외주면이, 둘레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서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어 일체적으로 연결고정되어 있다.
(14)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러치허브(31)가 입력축(I)과 일체회전하도록 구동연결됨과 함께, 동력전달부재(T)를 구성하는 통형상 연결부재(32)가, 클러치허브(31)와 쌍을 이루는 클러치드럼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클러치드럼이 입력축(I)과 일체회전하도록 구동연결됨과 함께, 통형상 연결부재(32)가 클러치드럼과 쌍을 이루는 클러치허브를 가지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15)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펌프임펠러(41), 터빈러너(51), 및 스테이터(56)를 가지는 토크컨버터(TC)가, 유체이음매로서 구동장치(1)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스테이터(56)를 가지지 않고, 펌프임펠러(41) 및 터빈러너(51)만을 가지는 플루이드 커플링(fluid coupling) 등이 유체이음매로서 구동장치(1)에 구비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16)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장치(1)가, FR(Front Engine Rear Drive)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에 적절한 구성, 즉 전체가 동축 상에 배치된 일축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카운터 기어기구 등을 구비하고, 입력축(I) 및 중간축(M)에 공통인 축심(X)과는 축심을 다르게 하여 차축이 배치된, 복축(複軸) 구성의 구동장치로 하는 것도,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장치는, FF(Front Engine Front Drive)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에 적절하다.
(17)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원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구성 및 이와 균등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의 일부를 적절히 개변한 구성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구동연결되는 입력부재와, 차륜에 구동연결되는 출력부재와, 회전전기기기와, 유체이음매와, 입력부재와 회전전기기기 및 유체이음매 사이를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하는 계합장치와, 적어도 회전전기기기, 계합장치, 및 유체이음매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구동장치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구동장치(차량용 구동장치)
3 케이스
5 단부 지지벽(지지벽)
6 중간지지벽(제2 지지벽)
9 오일펌프
11 통형상 돌출부
22 로터지지부재
31 클러치허브(계합입력측 부재)
32 통형상 연결부재(계합출력측 부재)
32a 축방향 연재부
32b 직경방향 연재부
32e 통형상 돌출부(대향 통형상부)
32h 유공
33 마찰부재(계합부재)
34 피스톤(가압부재)
41 펌프임펠러(이음매 입력측 부재)
42 커버부(이음매 입력측 부재)
47 펌프구동축(이음매 입력측 부재)
51 터빈러너(이음매 출력측 부재)
71 제1 베어링(지지베어링)
72 제2 베어링(제2 지지베어링)
73 제3 베어링(제3 지지베어링)
81 제1 시일부재
82 제2 시일부재
83 제3 시일부재
91 제1 볼트(볼트)
E 내연기관
MG 회전전기기기
Ro 로터(로터 본체)
TC 토크컨버터(유체이음매)
W 차륜
I 입력축(입력부재)
M 중간축(중간출력부재)
O 출력축(출력부재)
C1 입력클러치(계합장치)
J1 제1 직경방향 끼워맞춤부(직경방향 끼워맞춤부)
F1 제1 체결고정부(체결고정부)
H1 작동유압실
H2 순환유압실(계합부재 수용실)
L1 제1 유로(작동공급유로)
L2 제2 유로(순환공급유로)
L6 제6 유로(이음매 공급유로)

Claims (13)

  1. 내연기관에 구동연결되는 입력부재와, 차륜에 구동연결되는 출력부재와, 회전전기기기(回轉電機)와, 상기 회전전기기기에 구동연결되는 유체(流體)이음매와, 상기 입력부재와 상기 회전전기기기 및 상기 유체이음매 사이를 유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연결하는 계합(係合, engaged)장치와, 적어도 상기 회전전기기기, 상기 계합장치, 및 상기 유체이음매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구동장치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계합장치에 대하여 축방향의 상기 내연기관측인 축 제1 방향측에 있어서 적어도 직경방향으로 뻗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으로부터 상기 축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축 제2 방향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통형상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계합장치는, 상기 유압이 공급되는 작동유압실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전기기기의 로터부재가,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됨과 함께,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상기 작동유압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작동공급유로(油路)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합장치는, 상기 입력부재에 연결된 계합입력측 부재와, 상기 계합입력측 부재와 쌍을 이룸과 함께 상기 유체이음매에 연결된 계합출력측 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와 상기 로터부재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지지벽으로서의 제1 지지벽과는 별도로, 상기 유체이음매에 대하여 상기 축 제2 방향측에 있어서 적어도 직경방향으로 뻗는 제2 지지벽을 구비하고,
    상기 유체이음매는, 이음매 입력측 부재와,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와 쌍을 이루는 이음매 출력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와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가, 상기 지지베어링으로서의 제1 지지베어링과는 별도인 제2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2 지지벽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음매에 구동연결됨과 함께 상기 출력부재에 구동연결되는 중간출력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유체이음매는, 상기 유체이음매의 본체부를 수용하는 본체부 수용실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출력부재에, 상기 본체부 수용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이음매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합장치는, 계합부재와, 상기 계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는, 상기 계합부재의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을 덮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계합부재의 직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대하여 직경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대향 통형상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대향 통형상부에 의하여, 상기 작동유압실의 적어도 일부가 구획설정되고,
    상기 대향 통형상부에, 상기 작동공급유로와 상기 작동유압실을 연통(連通)하는 유공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향 통형상부가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베어링이,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됨과 함께, 축방향에서 상기 지지벽과 상기 대향 통형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재는, 로터 본체와, 상기 로터 본체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서 상기 로터 본체를 지지하는 로터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 입력측 부재는, 상기 유체이음매의 본체부를 수용하는 커버부와, 상기 제2 지지벽의 직경방향 내측에 삽입되어 오일펌프에 구동연결되는 펌프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와 상기 커버부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로터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상기 펌프구동축이 상기 제2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상기 제2 지지벽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입력부재와 상기 계합입력측 부재가 일체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입력전달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계합장치에 대하여 상기 축 제1 방향측에서,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통형상 돌출부 사이에 제1 시일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통형상 돌출부와 상기 입력전달부재 사이에 제2 시일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는, 상기 계합장치에 구비되는 계합부재 중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을 덮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계합부재의 직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통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베어링이, 축방향에서 상기 제1 시일부재와 상기 대향 통형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의 연결부에, 볼트에 의하여 서로를 체결고정하는 체결고정부와, 직경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면서 끼워맞춤하는 직경방향 끼워맞춤부가 구비되고,
    상기 직경방향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기 로터지지부재와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 사이에, 제3 시일부재가 더욱 배치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장치는, 계합부재와, 상기 계합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계합출력측 부재는, 상기 계합부재 중 적어도 직경방향 외측을 덮도록 축방향으로 뻗는 축방향 연재(延在)부와, 상기 축방향 연재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방향 연재부의 상기 축 제1 방향측의 단부(端部)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는 직경방향 연재부를 가지며,
    상기 직경방향 연재부와 상기 가압부재 사이에 상기 작동유압실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지지부재가 상기 직경방향 연재부에 연결되고, 상기 축방향 연재부의 상기 축 제2 방향측의 개구 단부가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가,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직경방향 내측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지지베어링으로서의 제1 지지베어링과는 별도인 제3 지지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형상 돌출부의 내주면에 직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돌출부에, 상기 계합장치에 구비되는 계합부재를 수용하는 계합부재 수용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순환공급유로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구동장치.
KR1020127012284A 2009-11-19 2010-11-19 차량용 구동장치 KR101384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4381 2009-11-19
JP2009264381A JP5297352B2 (ja) 2009-11-19 2009-11-19 車両用駆動装置
JP2010049192A JP5249976B2 (ja) 2010-03-05 2010-03-05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2010049193A JP5306264B2 (ja) 2010-03-05 2010-03-05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JP-P-2010-049192 2010-03-05
JPJP-P-2010-049193 2010-03-05
JPJP-P-2010-246512 2010-11-02
JP2010246512A JP5250013B2 (ja) 2010-11-02 2010-11-02 車両用駆動装置
PCT/JP2010/070716 WO2011062266A1 (ja) 2009-11-19 2010-11-19 車両用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284A KR20120093284A (ko) 2012-08-22
KR101384844B1 true KR101384844B1 (ko) 2014-04-15

Family

ID=4405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284A KR101384844B1 (ko) 2009-11-19 2010-11-19 차량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22182B2 (ko)
EP (1) EP2463136B1 (ko)
KR (1) KR101384844B1 (ko)
CN (1) CN102596613B (ko)
WO (1) WO2011062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4454B (zh) 2009-11-19 2014-11-12 爱信艾达株式会社 车辆用驱动装置
JP5306264B2 (ja) 2010-03-05 2013-10-0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5297352B2 (ja) * 2009-11-19 2013-09-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US8622182B2 (en) 2009-11-19 2014-01-07 Aisin Aw Co., Ltd. Vehicle drive device
US8997956B2 (en) * 2009-11-19 2015-04-07 Aisin Aw Co., Ltd. Vehicle drive device
WO2011108769A1 (en) 2010-03-05 2011-09-09 Aisin Aw Co., Ltd. Vehicle driving apparatus
JP5471955B2 (ja) * 2010-08-06 2014-04-1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回転電機及び車両用駆動装置
WO2012034031A2 (en) 2010-09-10 2012-03-15 Allison Transmission, Inc. Hybrid system
US9097330B2 (en) * 2010-11-24 2015-08-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US8998760B2 (en) * 2011-01-12 2015-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damper isolation for a motor vehicle hybrid powertrain
JP5149974B2 (ja) * 2011-02-17 2013-02-2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5747980B2 (ja) * 2011-02-23 2015-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8758180B2 (en) * 2011-10-11 2014-06-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draulic circuit for hybrid electric transmission
JP5793787B2 (ja) 2011-11-04 2015-10-1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5589247B2 (ja) * 2011-11-04 2014-09-1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5675571B2 (ja) * 2011-12-05 2015-0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オイルポンプ
CN103166360B (zh) * 2011-12-14 2018-07-06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混合动力电动变速器的电动机支架
US9421854B2 (en) 2012-01-20 2016-08-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rive device
US8960393B2 (en) 2012-01-31 2015-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powertrain component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US9581210B2 (en) 2012-01-31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hybrid electric vehicle rotor hub
US9593761B2 (en) 2012-01-31 2017-03-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neumatic venting of modular hybrid electric vehicle
US9416826B2 (en) 2012-01-31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sconnect clutch for modular hybrid electric vehicle
US8770364B2 (en) 2012-01-31 2014-07-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powertrain component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US9579965B2 (en) 2012-01-31 2017-0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powertrain component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US9421857B2 (en) 2012-01-31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powertrain component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JP5825361B2 (ja) 2012-02-10 2015-12-0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DE112013000269B4 (de) 2012-02-10 2020-08-20 Aisin Aw Co., Ltd. Hybridantriebsvorrichtung
US9249841B2 (en) * 2012-07-11 2016-0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id supply for rotating piston
WO2014022698A1 (en) * 2012-08-02 2014-02-06 New Hybrid Technologies, Llc Hybrid drive system
US9636990B2 (en) * 2012-09-28 2017-05-02 Aisin Aw Co., Ltd. Hybrid drive apparatus
KR20140105227A (ko) * 2013-02-22 2014-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장치
JP6027044B2 (ja) * 2014-03-14 2016-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とその組付方法
JP2016033003A (ja) * 2014-07-29 2016-03-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9917482B2 (en) * 2014-10-09 2018-03-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brid drive module having a rotor secured to a hub via staking
WO2016060792A1 (en) * 2014-10-16 2016-04-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brid drive module with optimized electric motor attachment
CN107208778B (zh) * 2014-10-31 2019-08-13 Gkn汽车有限公司 电驱动器
JP6436109B2 (ja) * 2016-01-26 2018-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のクラ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290959B (zh) * 2017-03-28 2022-05-10 株式会社爱信 车辆用驱动装置
JP6531133B2 (ja) * 2017-04-27 2019-06-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US10752103B2 (en) * 2017-10-06 2020-08-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otor assembly for hybrid vehicle
WO2019087263A1 (ja) * 2017-10-30 2019-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US10797548B2 (en) * 2017-12-15 2020-10-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brid module including motor rotor clamp ring staked to rotor hub
EP3736952A4 (en) * 2018-03-28 2021-06-16 Aisin Aw Co., Ltd. VEHICLE TRAINING DEVICE
US11654766B2 (en) * 2018-05-04 2023-05-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brid module including stamped rotor carrier
DE102018211377A1 (de) * 2018-07-10 2020-02-13 Zf Friedrichshafen Ag Rotorträg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CN110829730B (zh) * 2018-08-08 2021-09-21 爱信艾达株式会社 旋转电机用转子和具备该转子的车辆用驱动装置
US10875399B2 (en) * 2018-09-28 2020-12-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brid module including integrated hydraulics and controls
DE102019001957C5 (de) 2019-03-20 2024-03-28 Mercedes-Benz Group AG Hybridantriebsystem
WO2020203777A1 (ja) * 2019-03-29 2020-10-0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11614B2 (en) * 2019-06-10 2022-11-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otor carrier conn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06A (ja) * 2004-10-15 2006-06-01 Aisin Seiki Co Ltd 複数の駆動源を備えた車両用駆動装置
JP2009001127A (ja) * 2007-06-20 2009-01-08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8346B (de) 1963-09-10 1967-04-0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Ohne Zugkraftunterbrechung schaltbares zweigaengiges Umlaufraedergruppengetriebe, insbesondere zum Zusammenbau mit Kraftfahrzeugwechselgetrieben
JPS5856921A (ja) 1981-09-29 1983-04-04 Fuji Heavy Ind Ltd 4輪駆動車
JPS58206466A (ja) 1982-05-24 1983-12-01 Komatsu Ltd 装軌車両の操向クラツチブレ−キ装置
JPH0369748U (ko) 1989-11-13 1991-07-11
JPH07217724A (ja) 1994-02-04 1995-08-15 Toyo A Tec Kk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オイルポンプカバー
JP3552784B2 (ja) 1995-03-31 2004-08-11 ジヤトコ株式会社 ピストンストッパー構造
DE19747964A1 (de) 1997-10-30 1999-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bindung für einen Drehmomentwandler
DE19942445A1 (de) * 1998-09-07 2000-05-04 Toyota Motor Co Ltd Fahrzeugantriebsvorrichtung
JP3719339B2 (ja) 1998-11-09 2005-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可変動弁制御装置
US6258001B1 (en) 1999-03-26 2001-07-10 Aisin Aw Co., Ltd. Vehicle drive train
JP3553437B2 (ja) 1999-10-19 2004-08-11 ジヤトコ株式会社 電気式トルクコンバータ
JP2002125348A (ja) 2000-10-12 2002-04-26 Suzuki Motor Corp 配線接続装置
JP2002220078A (ja) 2001-01-24 2002-08-06 Sanyo Electric Co Ltd 補助動力付き車両
FR2830589B1 (fr) 2001-10-08 2004-04-23 Valeo Ensemble de transmission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ux embrayages et une machine electrique
US6533692B1 (en) 2001-10-19 2003-03-18 New Venture Gear, Inc. Drivetrain with hybrid transfer case
DE10160466C1 (de) 2001-12-08 2003-06-05 Daimler Chrysler Ag Kraftfahrzeug-Antriebseinrichtung
JP3894178B2 (ja) 2003-09-29 2007-03-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
DE10346640A1 (de) 2003-10-08 2005-05-1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ntriebsstrang für ein Hybridfahrzeug
JP4568496B2 (ja) * 2003-12-18 2010-10-2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
JP4145250B2 (ja) 2004-01-27 2008-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装置
US7679238B2 (en) 2004-04-28 2010-03-16 Aisin Aw Co., Ltd. Driv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FR2871107B1 (fr) * 2004-06-03 2007-11-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lement fonctionnel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element de transmission a embrayages humides et un systeme hydrauliqu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ensemble fonctionnel
FR2871205B1 (fr) 2004-06-03 2007-10-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lement de transmission a embrayages humides pour chaine de traction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element
DE102004033141A1 (de) 2004-07-08 2006-02-0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2006089002A (ja) * 2004-09-27 2006-04-06 Toyota Motor Corp 車両用駆動装置
US7326149B2 (en) * 2004-11-05 2008-0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verterless transmission shift control system
EP1736345A1 (de) 2005-06-22 2006-12-27 Zf Friedrichshafen Ag Elektromotorisches Antriebsmodul
JP4165532B2 (ja) * 2005-06-24 2008-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2007015810A (ja) 2005-07-07 2007-01-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07071083A (ja) 2005-09-06 2007-03-22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4758198B2 (ja) 2005-10-26 2011-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DE102005063248B4 (de) * 2005-12-21 2010-09-30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Doppelkupplungsanordnung
US7810592B2 (en) * 2006-09-11 2010-10-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ight hybrid vehicle configuration
DE102007001840A1 (de) * 2007-01-12 2008-07-17 Voith Patent Gmbh Hybridantrieb,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5326128B2 (ja) 2007-01-29 2013-10-30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ハイブリッド使用のための湿式の発進クラッチを備えるパワートレーン
JP4464984B2 (ja) * 2007-04-20 2010-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オイル供給装置
DE102008026426A1 (de) 2007-06-20 2008-12-2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Hydrodynamische Kopplungsvorrichtung für Hybridfahrzeuge
JP2009001165A (ja) 2007-06-21 2009-01-08 Nissan Motor Co Ltd 摩擦クラッチ
JP5251014B2 (ja) 2007-06-26 2013-07-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機
KR100946491B1 (ko) 2007-08-24 2010-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JP5413633B2 (ja) 2007-10-19 2014-02-1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5125725B2 (ja) 2008-04-23 2013-01-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発進制御装置
JP2009264545A (ja) 2008-04-28 2009-11-12 Aisin Aw Co Ltd 車両用制御装置
WO2009152793A1 (de) 2008-06-19 2009-12-2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Schaltbare kupp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reibschlüssige nasskupplung, antriebsstrang für ein hybrid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antriebsstranges und 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antriebsstrang
DE102009022275A1 (de) 2008-08-11 2010-02-1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ntriebsstrang für ein Hybrid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Antriebsstranges
US8322504B2 (en) * 2008-08-14 2012-12-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ombined power transmission, drive unit and drive train for a hybrid system
DE102009038198A1 (de) 2008-09-08 2010-03-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ombinierte Kraftübertragungs- und Anfahreinheit und Antriebssystem
JP5157823B2 (ja) * 2008-10-28 2013-03-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US8622182B2 (en) 2009-11-19 2014-01-07 Aisin Aw Co., Ltd. Vehicle drive device
US8997956B2 (en) * 2009-11-19 2015-04-07 Aisin Aw Co., Ltd. Vehicle drive device
CN102574454B (zh) 2009-11-19 2014-11-12 爱信艾达株式会社 车辆用驱动装置
JP5297352B2 (ja) 2009-11-19 2013-09-2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WO2011108769A1 (en) 2010-03-05 2011-09-09 Aisin Aw Co., Ltd. Vehicle driving apparatus
US20120319514A1 (en) 2010-03-05 2012-12-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dri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406A (ja) * 2004-10-15 2006-06-01 Aisin Seiki Co Ltd 複数の駆動源を備えた車両用駆動装置
JP2009001127A (ja) * 2007-06-20 2009-01-08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3136A1 (en) 2012-06-13
WO2011062266A1 (ja) 2011-05-26
US8622182B2 (en) 2014-01-07
US20110240430A1 (en) 2011-10-06
KR20120093284A (ko) 2012-08-22
CN102596613A (zh) 2012-07-18
EP2463136B1 (en) 2015-09-09
EP2463136A4 (en) 2014-05-21
CN102596613B (zh)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844B1 (ko) 차량용 구동장치
KR101426626B1 (ko) 차량용 구동장치
WO2011062265A1 (ja) 車両用駆動装置
JP5278774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168598B2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9677646B2 (en) Drive device that transfers rotation of at least one of a rotary electric machine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o an oil pump
US10160305B2 (en) Hybrid drive device
CN110290959B (zh) 车辆用驱动装置
WO2012017770A1 (ja) 回転電機及び車両用駆動装置
WO2017057190A1 (ja) 車両用駆動装置
JP5250013B2 (ja) 車両用駆動装置
CN113261182A (zh) 车用驱动装置
WO2012018027A1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5261461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5406815B2 (ja) 車両用駆動装置
JP2011213231A (ja)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JP2011214671A (ja) 変速装置
JP2012067803A (ja) 発進装置
CN112572129A (zh) 车辆用驱动装置
JP2012067804A (ja) 発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