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351B1 - 이슬점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이슬점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351B1
KR101377351B1 KR1020087012859A KR20087012859A KR101377351B1 KR 101377351 B1 KR101377351 B1 KR 101377351B1 KR 1020087012859 A KR1020087012859 A KR 1020087012859A KR 20087012859 A KR20087012859 A KR 20087012859A KR 101377351 B1 KR101377351 B1 KR 101377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hannel
cooling channel
evaporation
lcs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878A (ko
Inventor
윌렘 메이저
Original Assignee
옵팀에어 홀딩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팀에어 홀딩 비.브이. filed Critical 옵팀에어 홀딩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7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28D5/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in which the evaporating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ap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흐름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흐름을 냉각하기 위한 유입통로 및 냉각된 공기흐름(airflow)을 유출하는 유출통로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냉각채널, 전도 벽(transfer wall)에 의해 냉각채널로부터 분리되고, 냉각채널의 유출통로와 연결되는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증발채널, 증발채널로 향하는 전도 벽의 측면을 습윤하기 위한 수단, 냉각채널 내에서 공기흐름을 제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습수단은 하한 임계 용해온도를 지닌 폴리머(LCST polymer)를 포함하며, 냉각채널로 향하는 전도 벽의 측면은 LCST 폴리머로 제작되거나, LCST 폴리머로 덮여질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제습수단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지닌다.
유입통로, 유출통로, 냉각채널, 증발채널, 전도 벽(transfer wall), LCST 폴리머, 하한 임계 용해온도, 제습수단, 재생수단

Description

이슬점 냉각 장치{DEWPOINT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흐름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흐름을 냉각하기 위한 유입통로 및 냉각된 공기흐름(airflow)을 유출하는 유출통로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냉각채널과, 전도 벽(transfer wall)에 의해 냉각채널로부터 분리되며, 냉각채널의 유출통로와 연결되는 유입통로, 유출통로 및 증발채널을 향하는 전도 벽의 측면을 습윤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증발채널을 포함한다. 공기흐름이 증발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또한 "이슬점 냉각기"로서 언급된 이러한 장치는 미국 특허 제 4.002.040호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냉각 장치는 서로 평행한 다수의 냉각채널 그룹 및 냉각채널에 수직으로 되어 있으며 역시 서로 평행한 다수의 증발채널의 그룹을 지닌 역류 열교환기(cross-current heat exchanger) 형태를 가진다. 한 그룹의 냉각채널의 양 측면상에 두 개의 그룹의 증발 채널이 인접하며, 다르게, 한 그룹의 증발채널의 양 측면상에 두 개의 그룹의 냉각 채널이 인접함으로써, 층상 구조의 열교환기처럼 된다.
증발채널과 냉각채널 사이에 칸막이를 형성하고 이들 채널사이에서 열(냉기) 전달 작용을 하는 벽은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열이 매우 잘 전도되는 재료로 제작된다. 또한 증발채널과 냉각채널 사이에 칸막이를 형성하는 벽들을 포함하는 증발채널의 벽들은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로 전체가 덮여진다. 증발채널 위에는 수분-유지 재료(moisture-retaining materal)로 함께 벽에 다량의 수분을 분무하는, 주기적으로 작동하여 분무기 형태의 습윤수단(wetting means)이 배치되어 있다.
공지된 냉각장치에서는, 예컨대 대기와 같은 냉각용 공기를 팬으로 빨아들여 냉각채널로 밀어 넣는다. 냉각채널에서 냉각된 공기는 실내 공간(환기 공간)으로 흐른다. 공기의 일부, 즉 유량(volume flow)의 3분의 1이 냉각채널로부터 나와 주흐름으로부터 분리되고 증발채널로 안내된다. 증발채널에서, 냉각된 공기가 습기찬 벽을 따라 흘러서 수분을 증발하여 공기흐름과 함께 날아간다. 수분의 증발은 벽들의 온도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전도 벽들의 양호한 열전도 때문에 냉각채널내에서 온도 감소가 초래되어 공기흐름이 냉각된다.
예컨대 에어 컨디셔닝 설비와 비교해서, 간접 증발을 기초로한 공지된 냉각장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단지 적은 동력이 요구되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냉각장치는 적은 가동부(moving parts)를 가지므로, 간단한 방식 및 적은 비용으로 제작되고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냉매(cold-generating agents)가 필요하지 않다.
직접 증발 냉각기와 비교해서, 간접 작동 냉각 장치는 냉각 공기가 습기를 많이 포함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건조하게 냉각된 공기의 공급은 냉각된 공간에 있어 쾌적한 기후를 만든다. 이러한 간접 작동 냉각장치를 가지고서, 공기를 직접 증발 냉각기로 가능한 것보다 더 낮은 온도로 냉각할 수 있다. 직접 증발 냉각기로는 소위 "습구"(wet bulb) 온도 이상으로 공기를 냉각할 수 없으며, 상기 간접 작동 증발 냉각기로는 소위 "이슬점"(dewpoint)까지 공기를 냉각할 수 있어서, 공지된 냉각장치가 이슬점 냉각기로서 언급된 이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술된 형태의 냉각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된 공기흐름을 여전히 냉각할 수 있으며, 거기에 더해서 쾌적한 실내 기후를 실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냉각 장치에서 냉각채널내에서 공기흐름을 제습(dehumidifying)함으로써 달성된다. 냉각용 공기로부터 습기를 추출함으로, 공기는 증발채널내에서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다량의 증발열이 벽으로부터 추출되어 온도가 한층 더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습 수단은 하한 임계 용해온도를 지닌 폴리머(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polymer)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머는 임계 온도까지 수용성이며 이런 식으로 수분을 유지한다. 용해된 상태에서의 폴리머의 안전성은 적합하게 선택된 교차-결합수단(cross-linking means)에 의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의 단순한 실시 예는, 냉각장치로 향하는 칸막이벽의 측면이 LCST 폴리머로 제작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때 달성된다. 따라서, 냉각채널의 유입 측은 예컨대 LCST 폴리머의 스트립(strip)으로 덮여질 수 있다. 또한 냉각채널의 모든 벽들을 이들 폴리머로 완전히 덮는 것도 물론 생각할 수 있다.
상기 LCST 폴리머는 폴리옥사졸린(polyoxazoline), 폴리(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라이트)(p(DMAEMa) 및 폴리(엔-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AAm)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모든 폴리머들은 공기로부터 상대적으로 다량의 수분을 추출하여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는 제습 수단을 재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제공된다. 이러한 제습 수단의 효력은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더 많은 수분을 추출함으로써 흠뻑 젖게 되어 결국에는 감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재생 수단을 활성화함으로써 제습 수단으로부터 수분이 방출되고 제습 수단의 원래의 효력이 복구된다.
냉각장치의 구조상 및 작동상으로 단순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regenerating means)은 임계 용해 온도 이상으로 LCST 폴리머를 주기적으로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폴리머는, 일반적으로 대략 60℃ 내지 70℃인 하한 임계 용해온도로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단순한 가열 요소로 이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런 재생이 냉각 동안에 공기흐름을 젖게하는 결과를 유발하지 못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재생 동안에 LCST 폴리머에 의해 양도(relinquished)되는 수분을 냉각채널로부터 흡수하고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효한 냉각장치는, 재생 수단이 흡수된 수분을 습윤 수단으로 안내되도록 될 때 달성된다. 극히 적은 물이 증발채널을 습윤화하기 위하여 공급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2개의 실시 예를 기초하여 명백히 설명된다.
도 1은 역류 작용시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통하는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각장치의 증발채널 및 냉각채널의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냉각장치의 대안적인 실시 예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라인을 지나는 횡단면도이다.
공기흐름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1)(도 1)는, 공기흐름(A1)을 냉각하기 위한 유입통로 및 냉각된 공기흐름(A2,airflow)을 유출하는 유출통로를 지니며, 칸막이 벽(7)(도 2)에 의해 분리되는 서로 평행한 다수의 냉각채널(2) 그룹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유입통로는 외부 환경(S)과 연결되어 있고, 한편 유출통로는 냉각 공간(R)으로 유출시킨다. 냉각장치(1)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은 팬(5)에 의해서 제공된다.
냉각장치(1)는 전도 벽(4)에 의해서 냉각채널(2)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증발채널(3)의 그룹을 더 포함한다. 증발채널(3)은 칸막이 벽(8)에 의해서 서로 분리 된다. 증발채널(3)의 유입통로는 냉각채널(2)의 유출통로와 연결되며, 한편 냉각채널(2)의 유출통로는 외부 환경(S)으로 유출시킨다.
증발채널(3)과 냉각채널(2) 사이의 연결에 기인하는 부분적인 흐름(A3)은 냉각된 공기흐름(A2)로부터 분리되고 증발채널(3)로 안내된다. 증발채널을 통과한 후에, 습한 공기흐름(A5)은 외부 환경(S)으로 배출된다. 결국 냉각 공간(R)으로 안내되는 주흐름(A4)과 분리된 부분적인 흐름(A3)사이의 비율은 여러 요소들중에서 냉각채널과 증발채널의 치수에 의해 결정되며 그 비율은 2:1일 수 있다.
냉각장치(1)는 증발채널(3)과 특히 전도 벽(4)을 습윤하기 위한 습윤 수단(6)이 더 제공된다. 상기 습윤 수단(6)은 펌프(여기에는 미도시됨)를 사용하여 증발채널(3)아래의 수집 용기(12)에서 분무 파이프(9)로 운반되는 물이 통과하는 공급 도관(11, feed conduit) 및 다수의 개구(10)를 지닌 분무 파이프(9)를 포함한다. 습윤 수단(6)이 계속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도록 증발채널(3)의 벽(4,8)은, 예컨대, 흡수직물 또는 세라믹 금속 코팅과 같은 수분 유지 재료(13)로 덮여진다.
여태까지, 냉각 장치는 여전히 종래 구조와는 크게 다르지 않다. 상기 냉각장치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냉각장치가 가능한 것보다 유입되는 공기흐름(A1)이 한층더 냉각되도록, 본 발명에서는 유입되는 공기흐름(A1)을 제습하도록 제안한다. 분리된 공기흐름(A1)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증가하여 더 많은 수분이 증발채널(3)내에서 증발될 수 있어 보다 큰 증발열이 전도 벽(4)으로부터 추출된다. 이 같은 방식으로 전도 벽은 종래의 냉각장치보다 더 차갑게 되어 더 높은 냉각 능력이 달성된다.
냉각되는 공기흐름(A1)을 제습하기 위한 수단(14)은 하한 임계 용해온도를 지닌 폴리머 재료(LCST 폴리머)로 형성되며, 냉각채널(2)의 벽(4,7)상에 커버링 층(15)으로 배치된다. LCST 폴리머로서 폴리옥사졸린(polyoxazoline), 폴리(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라이트)(p(DMAEMa) 및 폴리(엔-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AAm)와 같은 재료를 생각할 수 있다. 비록 냉각채널(2)의 모든 벽(4,7)이 완전히 LCST 폴리머로 덮여져도, 예컨대 수직벽(4)인 벽의 일부만을 커버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LCST 폴리머가 냉각채널(2)의 길이의 일부분상에만, 예컨대 유입측 상에서(도3), 또는 실제 냉각채널(2)의 상류(upstream)에 위치된 냉각장치(1)의 유입부내에도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벽(4,7)상의 상기 LCST 폴리머 층(15,layer)은 흐르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용해상태로 된다. 상기 용해된 폴리머 층(15)은 적합하게 선택된 가교제(cross-linker)가 존재하기 때문에 안정성을 유지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증발채널(3)내에서 공기흐름(A3)의 수분 흡수 능력 - 냉각 능력과 함께- 은 공기의 제습으로 인해 증가한다. 게다가, 공간(R)에 공급되는 냉각된 공기흐름(A2)이 더 건조해지므로 고도로 안락해진다.
더 많은 수분이 LCST 폴리머 층(15)으로 흡수되어 상기 층이 더 흠뻑 젖게 되면, 제습 수단(14)의 효력이 감소된다. 실시 예에서 나타나듯, 또한 상기 냉각장치(1)는 폴리머 층(15)을 재생하기 위한 수단(16)이 제공된다. 이들 재생 수단(16)은 임계 용해 온도(critical solution temperature)이상으로 LCST 폴리머를 주기적으로 가열하도록 적응된다. 임계 온도는 대략 60℃ 내지 70℃로 상대적으로 낮고, 단순하기 때문에 저-동력 가열 요소(17,low-power heating elements)로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열 요소의 작용 및 구조는 미공개 네덜란드 특허 출원 제1030149호 에 도시 및 설명되어 있다.
LCST 폴리머 층(15)이 임계 용해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때, 용해물이 빠져나가서 수분(L)이 다시 한번 방출된다. 그 후에 상기 수분(L)은 벽(4,7)을 따라서 흐른다. 그 결과, 유입하는 공기(A1)가 원하지 않게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재생수단(16)은 재생 동안에 버려진(relinquished) 수분(L)을 냉각채널로부터 흡수하고 방출하도록 더 되어 있다. 이런 목적 때문에 냉각채널(2)은 수분(L)이 냉각 채널(2)의 저점으로 흐르도록 어느 정도 아래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집 용기(18, collecting container)가 위치해 있다. 용기(18)는 습윤수단(6)의 수집용기(12)에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장치(1)의 물 소비량은 유입하는 공기로부터 추출된 수분(L)을 습윤수단으로 안내함으로써 감소된다.
냉각채널(2)과 증발채널(3)은 서로 교차하는 대신에, 평행이 될 수 있으며 반대방향이 될 수도 있다(도 3 및 도 4). 이것이 역류(counterflow) 냉각기이다.
이런 채널 구성(set-up)은 더욱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냉각될 공기흐름(A1)과 증발 흐름(A3)사이에서 더욱 강력한 열교환 접촉을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 예를 기초하여 상기에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하기의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8)

  1. 공기흐름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 공기흐름을 냉각하기 위한 유입통로 및 냉각된 공기흐름(airflow)을 유출하는 유출통로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냉각채널,
    - 전도 벽(transfer wall)에 의해 냉각채널로부터 분리되고, 냉각채널의 유출통로와 연결되는 유입통로, 및 유출통로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증발채널,
    - 증발채널로 향하는 전도 벽의 측면을 습윤하기 위한 수단, 및
    - 냉각채널 내에서 공기흐름을 제습하기 위한 제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습수단은 하한 임계 용해온도를 지닌 폴리머(LCST polymer)를 포함하며,
    상기 LCST 폴리머는 폴리옥사졸린(polyoxazoline) 및 폴리(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라이트)(p(DMAEMa)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채널로 향하는 전도 벽의 측면은 LCST 폴리머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LCST 폴리머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dehumidifying means)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임계 용해 온도 이상으로 LCST 폴리머를 주기적으로 가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재생 동안에 LCST 폴리머에 의해 버려진(relinquished) 수분을 냉각채널로부터 흡수하고 방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흡수된 수분을 습윤 수단으로 안내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
KR1020087012859A 2005-11-28 2008-05-28 이슬점 냉각 장치 KR101377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30538A NL1030538C1 (nl) 2005-11-28 2005-11-28 Inrichting voor het indirect door verdamping koelen van een luchtstroom.
NL1030538 2005-11-28
PCT/NL2006/000595 WO2007061298A1 (en) 2005-11-28 2006-11-28 Dewpoint coo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878A KR20080072878A (ko) 2008-08-07
KR101377351B1 true KR101377351B1 (ko) 2014-03-25

Family

ID=3783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859A KR101377351B1 (ko) 2005-11-28 2008-05-28 이슬점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8499576B2 (ko)
EP (1) EP1969292B1 (ko)
JP (1) JP5337489B2 (ko)
KR (1) KR101377351B1 (ko)
CN (1) CN101317040B (ko)
AT (1) ATE502264T1 (ko)
AU (1) AU2006317768B2 (ko)
BR (1) BRPI0619361A2 (ko)
CA (1) CA2631139C (ko)
CY (1) CY1112898T1 (ko)
DE (1) DE602006020777D1 (ko)
DK (1) DK1969292T3 (ko)
ES (1) ES2363950T3 (ko)
IL (1) IL191720A (ko)
MY (1) MY145954A (ko)
NL (1) NL1030538C1 (ko)
NZ (1) NZ568621A (ko)
PL (1) PL1969292T3 (ko)
PT (1) PT1969292E (ko)
RU (1) RU2423651C2 (ko)
SI (1) SI1969292T1 (ko)
WO (1) WO2007061298A1 (ko)
ZA (1) ZA200804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9320A1 (en) * 2006-06-15 2007-12-20 Mohinder Singh Bhatti Vapor compression AC system with evaporative cooler assisted evaporator
US8569464B2 (en) 2006-12-21 2013-10-29 Emd Millipore Corporation Purification of proteins
US8163886B2 (en) 2006-12-21 2012-04-24 Emd Millipore Corporation Purification of proteins
US20100058794A1 (en) * 2008-09-05 2010-03-11 Bhatti Mohinder S Low profile evaporative cooler
KR101054445B1 (ko) * 2008-11-20 2011-08-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생증발식 냉방기, 냉방 시스템 및 그의 코어 모듈
CN105037535A (zh) 2008-12-16 2015-11-11 Emd密理博公司 搅拌槽反应器及方法
NL2004708C2 (nl) * 2010-05-12 2011-11-15 Optimair Holding B V Sorptiedroger.
EP3597671B1 (en) 2010-05-17 2022-09-21 EMD Millipore Corporation Stimulus responsive polymers for the purification of biomolecules
US8943850B2 (en) * 2010-05-25 2015-02-03 7Ac Technologies, Inc. Desalination methods and systems
NL2006314C2 (nl) * 2010-12-24 2012-06-27 Optimair Holding B V Systeem voor het drogen en/of koelen van een luchtstroom.
US9308490B2 (en) 2012-06-11 2016-04-12 7Ac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urbulent, corrosion resistant heat exchangers
DE102012107340A1 (de) * 2012-08-09 2014-02-13 D+S Hydrokultur Luftbefeuchtungsanlage
US9506697B2 (en) 2012-12-04 2016-11-29 7Ac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oling buildings with large heat loads using desiccant chillers
JP2014126326A (ja) * 2012-12-27 2014-07-07 Sharp Corp 気化式冷却装置
KR102069812B1 (ko) 2013-03-01 2020-01-23 7에이씨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흡습제 공기 조화 방법 및 시스템
WO2014152905A1 (en) 2013-03-14 2014-09-25 7Ac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ini-split liquid desiccant air conditioning
US9470426B2 (en) 2013-06-12 2016-10-18 7Ac Technologies, Inc. In-ceiling liquid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NL2011443C (en) * 2013-09-13 2015-03-16 Oxycom Beheer Bv Water extracting device.
CN105473208B (zh) * 2013-12-06 2020-06-02 夏普株式会社 除湿机
CN105517691A (zh) * 2013-12-06 2016-04-20 夏普株式会社 除湿机
CN110594883B (zh) 2014-03-20 2022-06-14 艾默生环境优化技术有限公司 组合热交换器和注水系统
CN105273143B (zh) * 2014-07-25 2018-06-19 宿迁学院 温敏材料、应用该材料的除湿装置及该装置工作方法
JP6385781B2 (ja) * 2014-10-06 2018-09-05 シャープ株式会社 除湿装置
JP6433752B2 (ja) * 2014-10-16 2018-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除湿装置
CN106687198B (zh) * 2014-10-29 2019-08-16 夏普株式会社 吸湿材料及使用该吸湿材料的除湿机
US10024558B2 (en) 2014-11-21 2018-07-17 7Ac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ini-split liquid desiccant air conditioning
JP6528094B2 (ja) * 2015-04-08 2019-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水集積装置および水集積方法
JP6595199B2 (ja) * 2015-04-08 2019-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調湿装置
JP6528097B2 (ja) * 2015-05-29 2019-06-12 シャープ株式会社 除湿装置及び除湿方法
NL2016458B1 (en) 2016-03-18 2017-10-04 Oxycom Beheer Bv Smart dehumidifier.
EP3704415A4 (en) 2017-11-01 2021-11-03 7AC Technologies, Inc. TANK SYSTEM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LIQUID DRYING AGENTS
KR102609680B1 (ko) 2017-11-01 2023-12-05 코프랜드 엘피 액체 건조제 공조 시스템의 멤브레인 모듈에서 액체 건조제의 균일한 분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22330B2 (en) 2018-05-18 2021-06-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Three-way heat exchangers for liquid desiccant air-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7275519B2 (ja) * 2018-10-03 2023-05-18 富士電機株式会社 気化式熱交換器
JP7379897B2 (ja) * 2019-07-18 2023-1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空調機
KR102317999B1 (ko) * 2020-04-16 2021-10-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증발기 일체형 간접증발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냉각 방법
CN114923231A (zh) * 2022-04-01 2022-08-19 东南大学 一种lcst型温敏性离子液体除湿空调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736A (ja) * 1998-06-18 2000-01-11 Nippon Chem Ind Co Ltd 抗菌感温性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51345A (en) * 1999-05-27 2000-12-27 Zyl Robert Peter Van Desiccant cooling system
JP2002126442A (ja) * 2000-10-31 2002-05-08 New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 除湿・吸水シート
JP2004069257A (ja) * 2002-08-09 2004-03-04 Daikin Ind Ltd 調湿エレメント及び調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83777B (sv) * 1973-07-18 1976-03-29 Munters Ab Carl Sett och anordning for kylning av luft
SE8400302L (sv) * 1984-01-20 1985-08-18 Munters Ab Carl Kontaktkropp
JPH0612217B2 (ja) * 1985-04-30 1994-02-16 日本電装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法
US4976113A (en) * 1988-08-26 1990-12-11 Gershuni Alexandr N Apparatus for indirect evaporative gas cooling
US5187946A (en) * 1991-09-24 1993-02-23 Yefim Rotenberg Apparatus & Method for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of a fluid
WO1996004462A1 (en) * 1994-08-05 1996-02-15 Bp Exploration Operating Company Limited Hydrate inhibition
JP3118779B2 (ja) * 1994-08-12 2000-12-18 花王株式会社 改良された高吸水性樹脂の製造法
US6018953A (en) * 1996-02-12 2000-02-01 Novelaire Technologies, L.L.C.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indirect evaporative cooler
WO1999041552A1 (en) * 1998-02-13 1999-08-19 Antonius Van Hecke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air
JP2000309068A (ja) * 1999-02-23 2000-11-07 Toto Ltd 親水性、流滴性、防曇性、防汚性を備えたフィルム、該フィルムの製造方法、該フィルムにより基材に親水性、流滴性、防曇性、防汚性を付与する方法、該フィルムを貼り付けた基材、該フィルムを製造するためのコーティング組成物、該コーティング組成物の製造方法
US6497107B2 (en) 2000-07-27 2002-12-24 Idale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indirect-evaporation cooling
US6705096B2 (en) * 2000-09-27 2004-03-16 Idale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plate apparatus for dew point evaporative cooler using a trough wetting system
US6581402B2 (en) * 2000-09-27 2003-06-24 Idalex Technologies, Inc. Method and plate apparatus for dew point evaporative cooler
KR100409265B1 (ko) * 2001-01-17 2003-12-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생형 증발식 냉방기
US6718790B2 (en) * 2001-08-07 2004-04-13 Tetsuo Moriguchi Cooling device, condens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4558245B2 (ja) * 2001-08-31 2010-10-06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クーリング層積層構造
NL1021812C1 (nl) 2002-04-26 2003-10-28 Oxycell Holding Bv Dauwpuntskoeler.
JP4323417B2 (ja) * 2004-02-27 2009-09-02 富士男 阿部 調湿材とその調湿方法
US20050210907A1 (en) * 2004-03-17 2005-09-29 Gillan Leland E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of a gas using common product and working gas in a partial counterflow configuration
US7143597B2 (en) * 2004-06-30 2006-12-05 Speakman Company Indirect-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operable from sustainable energy source
US7264649B1 (en) * 2004-07-23 2007-09-04 Advanced Design Consulting Usa, Inc. System for allergen reduction through indoor humidity control
JP4975970B2 (ja) * 2005-01-21 2012-07-11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収着式熱交換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法
NL1030149C1 (nl) * 2005-10-10 2007-04-11 Eurocore Trading & Consultancy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regenereren van een sorptiedroger of -reiniger.
GB0517776D0 (en) 2005-09-01 2005-10-12 Oxycell Holding Bv Vapour extr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736A (ja) * 1998-06-18 2000-01-11 Nippon Chem Ind Co Ltd 抗菌感温性吸水性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51345A (en) * 1999-05-27 2000-12-27 Zyl Robert Peter Van Desiccant cooling system
JP2002126442A (ja) * 2000-10-31 2002-05-08 New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 除湿・吸水シート
JP2004069257A (ja) * 2002-08-09 2004-03-04 Daikin Ind Ltd 調湿エレメント及び調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Y1112898T1 (el) 2016-04-13
ZA200804552B (en) 2009-10-28
BRPI0619361A2 (pt) 2011-09-27
ES2363950T3 (es) 2011-08-19
AU2006317768A1 (en) 2007-05-31
AU2006317768B2 (en) 2010-12-09
ATE502264T1 (de) 2011-04-15
EP1969292A1 (en) 2008-09-17
WO2007061298A1 (en) 2007-05-31
CN101317040B (zh) 2010-05-26
US8499576B2 (en) 2013-08-06
IL191720A0 (en) 2008-12-29
CN101317040A (zh) 2008-12-03
NL1030538C1 (nl) 2007-05-30
KR20080072878A (ko) 2008-08-07
JP5337489B2 (ja) 2013-11-06
JP2009517622A (ja) 2009-04-30
CA2631139A1 (en) 2007-05-31
US20090223241A1 (en) 2009-09-10
RU2008127072A (ru) 2010-01-10
RU2423651C2 (ru) 2011-07-10
PL1969292T3 (pl) 2012-04-30
DE602006020777D1 (de) 2011-04-28
EP1969292B1 (en) 2011-03-16
CA2631139C (en) 2014-05-13
MY145954A (en) 2012-05-31
PT1969292E (pt) 2011-06-28
NZ568621A (en) 2011-03-31
IL191720A (en) 2011-12-29
DK1969292T3 (da) 2011-07-11
SI1969292T1 (sl) 201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351B1 (ko) 이슬점 냉각 장치
US9140471B2 (en) Indirect evaporative coolers with enhanced heat transfer
US20130340449A1 (en) Indirect evaporative cooler using membrane-contained liquid desiccant for dehumidification and flocked surfaces to provide coolant flow
US7197887B2 (en) Method and plate apparatus for dew point evaporative cooler
KR102396679B1 (ko) 액체 제습제를 이용하는 스테이지식 프로세스를 이용한 공기조화 방법
CN100476308C (zh) 调湿装置
US4023949A (en) Evaporative refrigeration system
JP2019511697A (ja) 多相プレート式熱交換器による空調
KR101526114B1 (ko) 공기 조화 장치
US20140260372A1 (en) Control methods and systems for indirect evaporative coolers
US20100058778A1 (en) Thermoelectrically powered indirect evaporative cooling system with desiccant dehumidification
MX2007008386A (es) Metodo y materiales para mejorar intercambiadores de calor evaporativos.
JP6475746B2 (ja) 第1の空気ストリームを冷却しかつ除湿する装置および方法
RU2320947C2 (ru) Способ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до точки росы и пластинчат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охладителя
KR101116036B1 (ko) 액체식 제습장치
KR20100056915A (ko) 재생증발식 냉방기, 냉방 시스템 및 그의 코어 모듈
CN1328552C (zh) 一种室内空气环境调节方法
JP2014500475A (ja) 空気流を乾燥させるおよび/または冷却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2102548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humidification
KR20210078987A (ko)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186690B1 (ko) 증발열을 이용한 냉방장치
JP2004116856A (ja) 多段式間接型熱交換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S59173692A (ja) 空気用熱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