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987A -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987A
KR20210078987A KR1020190170996A KR20190170996A KR20210078987A KR 20210078987 A KR20210078987 A KR 20210078987A KR 1020190170996 A KR1020190170996 A KR 1020190170996A KR 20190170996 A KR20190170996 A KR 20190170996A KR 20210078987 A KR20210078987 A KR 20210078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heat pump
flow path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훈
한재현
김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17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987A/ko
Publication of KR20210078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은, 히트펌프와 증발냉각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되어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으로서, 내부가 서로 격리된 건채널과 습채널로 이루어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주수장치를 통해 물을 분무하면,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며 흘러내리는 증발수를 배수하는 제1 배수부; 상기 히트펌프의 가동중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제2 배수부; 및 상기 제1 배수부 및 상기 제2 배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발수 및 상기 응축수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히트펌프의 응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COOL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방 및 제습 장치인 에어컨은 냉매를 사용하며, 냉매의 누설에 의한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냉매 사용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내 배기와 실외 흡입 공기 사이의 현열 및 잠열 전달을 통해 환기부하를 경감시키는 에너지 환기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환기장치들은 잠열회수율이 현열회수율에 비해 현저히 낮아 냉방부하 증가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에너지 환기장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재생 증발식 냉방기술이 개발되었다.
재생 증발식 냉방기술은 물의 증발 냉각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냉방부하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증발식 냉각기는 습채널과 건채널을 교대로 반복적으로 형성하고, 습채널에서의 증발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건채널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습채널에 물을 주수하기 위해서 분사노즐이 구비된 주수관으로 물(직수)을 공급하여 분사하게 되는데, 혹서기 기간에는 분무되는 물의 온도가 높아(대략 26℃) 증발냉각기의 성능하락이 발생하여 전체 냉방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히트펌프를 작동시켜 추가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운영된다.
그러나, 혹서기 기간의 경우 히트펌프의 부하가 늘어나게 되며, 이 경우 응축기의 온도 또한 상승하게 되어 전체 냉방성능의 하락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히트펌프의 부하가 늘어나게 되면 응축기의 온도를 낮추기 의해 팬이 해야할 일이 많아지면서 소비전력이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비전력이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응축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은, 히트펌프와 증발냉각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되어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으로서, 내부가 서로 격리된 건채널과 습채널로 이루어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주수장치를 통해 물을 분무하면,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며 흘러내리는 증발수를 배수하는 제1 배수부; 상기 히트펌프의 가동중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제2 배수부; 및 상기 제1 배수부 및 상기 제2 배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발수 및 상기 응축수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히트펌프의 응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는 판형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 및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가 내부에 흐르는 냉매라인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유로를 경유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수를 배수하는 제1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수부는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하는 상기 응축수가 수용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에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에 모이는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는 제2 배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배수라인 및 상기 제2 배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출구에는 제3 배수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는 일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라인은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내부 유로의 흐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 내지 제3공기유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습영역과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생영역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 방출하는 제습로터; 복수의 건채널과 복수의 습채널이 교대로 반복 배치되며,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해 상기 제습영역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냉각기;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라인, 상기 증발냉각기를 통과한 상기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상기 제1공기유로에서 상기 제습로터로 유동하는 상기 공기로 흡수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냉각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직수를 분무수로 생성하여 분무하는 주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습로터 사이에는 온수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기의 온도를 낮춤으로써 냉방 사이클 성능은 향상되고, 소비전력은 낮아짐으로써 냉방 효율을 올릴 수 있다. 이러한 이점은 전체 공기조화기의 냉방 성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와 증발냉각기 및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공기조화기에서 히트펌프와 증발냉각기 및 냉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냉각 시스템에서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와 증발냉각기 및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기조화기에서 히트펌프와 증발냉각기 및 냉각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냉각 시스템에서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프레임 부재에 해당하는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11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111),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112),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3유입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20)는 실외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1),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일단이 제3유입구(113)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배출구(121)와 연결되는 제1공기유로(131), 일단이 제2유입구(112)와 연결되고 타단이 추후 설명하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과 연결되는 제2공기유로(132), 일단이 증발냉각기(200)의 타측 하부영역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배출구(122)와 연결되는 제3공기유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111)와 제2유입구(112) 및 제3유입구(113)에는 각각 프리필터(141, 142, 143)가 장착될 수 있고,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는 집진필터(144)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유로(131)에는 제3유입구(113)를 통해 실외공기를 유입시키고 제1배출구(121)로 배출시키기 위한 재생송풍기(151) 및 제3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수단은 추후 설명하는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 및 내부에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배관(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유로(132)에는 제2유입구(112)를 통해 실내공기과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유입시키고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송풍기(1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공기유로(133)에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서 제2배출구(122)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추기송풍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본체(100) 내에 배치되는 제습로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로터(160)는 제1공기유로(131) 상에 구비된 재생영역(161)과 제2공기유로(132) 상에 구비된 제습영역(162)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제2공기유로(132)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착하고, 흡착된 수분을 제1공기유로(131)를 유동하는 공기로 방출할 수 있다.
제습로터(160)에는 내부에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흡착재는 제습영역(162)에서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하고,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재생영역(161)에서 수분을 방출함으로써 재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증발냉각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증발냉각기(200)는 냉각기본체(210)와, 냉각기본체(210)에 물(W)을 분무하기 위한 주수장치(220)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기본체(210)는 열교환부(211)와 상부유로가이드부(212) 및 하부유로가이드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부(211)의 내부에는, 복수의 건채널과 습채널이 격판에 의해 격리되어 구획되며 전후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습채널을 경유하는 제1공기에 주수된 물(W)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건채널을 경유하는 제2공기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공기는 실내측 환기를 통해 실내로부터 유입되어 실외측 배기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일 수 있다. 그리고, 냉각 대상이 되는 제2공기는 제2공기유로(132)를 따라서 유동하며 제습영역(162)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일 수 있으며, 실내측 급기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유로가이드부(212)는 습채널로 유입되는 제1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건채널을 통과한 제2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하부유로가이드부(213)는 건채널로 유입되는 제2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습채널을 통과한 제1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1공기(실내공기와 추기공기)는 상부유로가이드부(212) 상부의 제1유입구(111)를 통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부(211)의 습채널을 경유하여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일측부를 통해 제3공기유로(133)를 따라서 유동하여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동시에, 제2공기(흡입공기와 공급공기)는 제2유입구(112)를 통해 제2공기유로(132) 안으로 유입되어 제습로터(160)의 제습영역(162)을 통과한 후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서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타측부를 통해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11)의 건채널을 경유하여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일측부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유로를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실외공기는 제3유입구(113)를 통해 제1공기유로(131) 안으로 유입되어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에 의해 가열된 후 제습로터(160)의 재생영역(161)을 통과하여 제습로터(160)를 재생시키고 제1배출구(121)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주수장치(220)는 증발냉각기(200)의 상측에서 습채널로 물(W)을 분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라인(222)을 따라서 물(W) 또는 직수가 냉각기본체(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주수장치(220)로 공급되면, 주수장치(2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분사노즐(221)을 통해 물(W)을 분무수(SW)로 생성하여 상향으로 분무할 수 있다. 공급라인(222)에는 직수밸브(223)와 배수밸브(2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분사노즐(221)을 통해 미세 크기의 분무수(SW)로 생성되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상측 공간으로 분무되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와 열교환부(211)의 습채널 및 하부유로가이드부(213)를 통과하며 흘러내리는 증발수(EW)는 냉각기본체(210)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냉각기본체(210)의 하부에 모이는 증발수(EW)는 추후 설명하는 제1 배수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히트펌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펌프(300)는 냉매(RF)가 냉매라인(330)을 따라 순환하며 증발기(310)에서 증발하여 증발냉각기(200)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추가로 냉각시키고 응축기(320)로 들어가 흡수한 열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냉각 대상이 되는 공기는 건채널을 경유하는 제2공기일 수 있다.
히트펌프(300)의 증발기(310)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310)는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일측부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를 추가 냉각시킬 수 있다.
외기가 높은 하절기 또는 혹서기에는 주수장치(220)를 이용한 증발냉각기(200)로 충분히 냉기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열교환부(211)로 분무하는데 사용되는 물(W)은 온도가 낮아야 열교환이 잘 이루어져 충분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데, 하절기에는 분무되는 물(W)의 온도가 높아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히트펌프(300)를 작동시켜 증발기(310)를 통해 냉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증발기(310)는 건채널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건채널을 통과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310)는 히트펌프(300)의 가동에 의해 응축수(SC)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응축수(SC)는 대략 15℃이하의 온도로 차가운 상태이며, 증발기(310)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는 가열수단으로서 제1공기유로(131)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제습로터(160)를 재생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히트펌프(300)의 냉매(RF)를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냉각 시스템(400)은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로 들어가는 냉매(RF)를 냉각시킬 수 있다.
히트펌프(300)의 증발기(310)에서 증발을 통해 공기의 열을 흡수한 냉매(RF)는 기체 상태가 되며, 다시 응축기(320)로 들어가 흡수한 열을 방출하여 액화하게 되는데, 혹서기에는 응축기(320)에서 충분히 열을 방출하지 못해 히트펌프(300)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되는 증발수(EW)와 응축수(SC)를 히트펌프(300)와 연계하여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로 들어가는 냉매(RF)를 냉각시키는데 사용한다. 차가운 상태의 응축수(SC) 및 증발수(EW)와의 열교환을 통해 고온 상태의 냉매(RF)를 냉각시킨 이후에 응축기(320)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혹서기에도 히트펌프(300)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수배관(17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습로터(162)를 재생하기 위한 열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어, 응축기(320)에 제공되는 냉매(RF)의 온도가 낮아지더라도 공기조화기(1)의 제습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공기조화기(1)의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400)은 제1 배수부(410), 제2 배수부(420), 열교환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수부(410)는 냉각기본체(2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배수라인(411)을 포함하고, 습채널을 통과하며 흘러내려 냉각기본체(210)의 하부에 모이는 증발수(EW)를 냉각기본체(210)로부터 제1 배수라인(411)을 따라 배수할 수 있다.
제2 배수부(420)는 증발기(310)의 하측에 구비되어 증발기(310)에서 낙하하는 응축수(SC)가 수용되는 물받이(422) 및 물받이(422)에 연결되는 제2 배수라인(421)을 포함하고, 물받이(422)에 모이는 응축수(SC)를 물받이(422)로부터 제2 배수라인(421)을 따라 배수할 수 있다.
열교환기(430)는 배수되는 증발수(EW) 및 배수되는 응축수(SC)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냉각수(CW)와 열교환을 통해 응축기(320)로 공급되는 냉매(RF)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430)는 내부에 냉각수(CW)가 흐르는 내부 유로(432)를 구비하는 판형의 몸체(431)를 가지며, 몸체(431)에는 냉각수(CW)가 유입되는 입구(433) 및 냉각수(CW)가 배출되는 출구(434)가 구비될 수 있다.
입구(433)는 제1 배수부(410)의 제1 배수라인(411) 및 제2 배수부(420)의 제2 배수라인(421)과 연결되고, 출구(434)에는 제3 배수라인(435)이 연결되어 냉각수(CW)는 일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배수라인(421)이 제1 배수라인(411)에 연결된 상태로 제1 배수라인(411)이 입구(433)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히트펌프(300)의 압축기(미도시), 응축기(320), 증발기(310) 및 팽창밸브(미도시)는 냉매라인(33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냉매(RF)는 냉매라인(330)의 내부를 따라서 흐르며 순환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냉매라인(330)은 열교환기(430)의 몸체(431)를 관통하여 내부 유로(432)를 경유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냉매라인(330)은 몸체(431) 내에서 내부 유로(432)의 흐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냉매라인(330)을 따라서 흐르는 냉매(RF)는 몸체(431) 내의 내부 유로(432)를 경유하면서 냉각수(CW)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후 응축기(3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가운 상태로 배수되는 응축수(SC)와 증발수(EW)를 곧바로 배수처리하지 않고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로 공급되는 냉매(RF)를 냉각시키는데 사용한다. 따라서, 혹서기에도 히트펌프(300)의 성능 및 효율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1)의 전체 냉방성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공기조화기 100: 본체
110: 유입구 111: 제1유입구
112: 제2유입구 113: 제1유입구
120: 배출구 121: 제1배출구
122: 제2배출구 131: 제1공기유로
132: 제2공기유로 133: 제3공기유로
141, 142, 143: 프리필터 144: 집진필터
151: 재생송풍기 152: 제습송풍기
153: 추기송풍기 160: 제습로터
161: 재생영역 162: 제습영역
200: 증발냉각기 210: 냉각기본체
211: 열교환부 212: 상부유로가이드부
213: 하부유로가이드부 220: 주수장치
221: 분사노즐 222: 공급라인
223: 직수밸브 224: 배수밸브
300: 히트펌프 310: 증발기
320: 응축기 330: 냉매라인
400: 냉각 시스템 410: 제1 배수부
411: 제1 배수라인 420: 제2 배수부
421: 제2 배수라인 422: 물받이
430: 열교환기 431: 몸체
432: 내부 유로 433: 입구
434: 출구

Claims (8)

  1. 히트펌프와 증발냉각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구비되어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으로서,
    내부가 서로 격리된 건채널과 습채널로 이루어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주수장치를 통해 물을 분무하면,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며 흘러내리는 증발수를 배수하는 제1 배수부;
    상기 히트펌프의 가동중 상기 히트펌프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수하는 제2 배수부; 및
    상기 제1 배수부 및 상기 제2 배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증발수 및 상기 응축수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상기 히트펌프의 응축기로 공급되는 상기 냉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상기 냉각수가 흐르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는 판형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 및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냉매가 내부에 흐르는 냉매라인이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유로를 경유하는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부는 상기 증발냉각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발수를 배수하는 제1 배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수부는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낙하하는 상기 응축수가 수용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에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에 모이는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는 제2 배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배수라인 및 상기 제2 배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출구에는 제3 배수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는 일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흐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라인은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내부 유로의 흐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6.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 내지 제3공기유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습영역과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생영역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 방출하는 제습로터;
    복수의 건채널과 복수의 습채널이 교대로 반복 배치되며,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해 상기 제습영역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냉각기;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라인, 상기 증발냉각기를 통과한 상기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상기 제1공기유로에서 상기 제습로터로 유동하는 상기 공기로 흡수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및
    상기 히트펌프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시스템은 제1항에 따른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냉각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직수를 분무수로 생성하여 분무하는 주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제습로터 사이에는 온수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170996A 2019-12-19 2019-12-19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210078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96A KR20210078987A (ko) 2019-12-19 2019-12-19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96A KR20210078987A (ko) 2019-12-19 2019-12-19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87A true KR20210078987A (ko) 2021-06-29

Family

ID=7662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96A KR20210078987A (ko) 2019-12-19 2019-12-19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9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5394A1 (en) * 2022-11-16 2024-05-23 University Of Northumbria At Newcastle Atmospheric water gen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5394A1 (en) * 2022-11-16 2024-05-23 University Of Northumbria At Newcastle Atmospheric water gen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94883B (zh) 组合热交换器和注水系统
KR102223241B1 (ko) 천장형 액체 흡습제 공조 시스템
KR101481706B1 (ko) 에너지회복이 강화된 냉각기가 재가동된 건조냉동제습기
KR20170086496A (ko) 미니-스플릿 액체 데시컨트 공기 조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643079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절전형 공기조화기
KR101250050B1 (ko) 냉각유체의 증발냉각 장치 및 방법
KR20150119344A (ko) 소형-분할형 액체 흡수제 공조 방법 및 시스템
KR20120114012A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JP427355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1087674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357285B1 (ko)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CN205747186U (zh) 空气处理系统
CN109425063B (zh) 空调机
KR20210078987A (ko) 공기조화기의 냉각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9951963B2 (en) Hybrid heat pump apparatus
US10502437B2 (en) Dehumidifying and cooling apparatus
KR20160097694A (ko) 공기조화장치
CN105874278A (zh) 空调装置
JPH1151421A (ja) 外気処理装置
KR20220083585A (ko) 환기 제습 냉방 시스템
JP3373948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190905B1 (ko) 공기 조화기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H0894130A (ja) 空気調和装置
JP2008304113A (ja) 調湿空調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