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646B1 -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 - Google Patents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646B1
KR101372646B1 KR1020060015801A KR20060015801A KR101372646B1 KR 101372646 B1 KR101372646 B1 KR 101372646B1 KR 1020060015801 A KR1020060015801 A KR 1020060015801A KR 20060015801 A KR20060015801 A KR 20060015801A KR 101372646 B1 KR101372646 B1 KR 10137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rosslinked
gum
acid dichlorid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072A (ko
Inventor
에리끄 뻬리에
나빌 압둘-말락
쥘리에 사줴
Original Assignee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1198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726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FR0501674A external-priority patent/FR2882366B1/fr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바스프 뷰티 케어 솔루션즈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6009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005Crosslinking of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5/00Preparation of other cellulose derivatives or modified cellulose, e.g. complexes
    • C08B15/10Crosslinking of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1/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starch
    • C08B31/003Crosslinking of sta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1/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starch
    • C08B31/003Crosslinking of starch
    • C08B31/006Crosslinking of derivatives of sta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3Xanthan, i.e. D-glucose, D-mann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saubstituted with acetate and pyruvate, with a main chain of (beta-1,4)-D-glucose unit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36Galact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42Carragenan or carragen, i.e. D-galactose and 3,6-anhydro-D-galactose, both partially sulfated, e.g. from red algae Chondrus crispus or Gigantia stellata; kappa-Carragenan; iota-Carragenan; lambda-Carragen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51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Fructofuranans, e.g. beta-2,6-D-fructofuranan, i.e. lev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54Inulin, i.e. beta-2,1-D-fructofuran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93Locust bean gum, i.e. carob bean gum, with (beta-1,4)-D-mannose units in the main chain branched with D-galactose units in (alpha-1,6), e.g. from the seeds of carob tree or Ceratonia siliqua;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36Special crank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63Special speed variation means, i.e. speed redu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eu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하나 이상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성분을 갖는 가교된 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중합체는 피부에 도포하여 텐싱 및(또는) 토닝 효과를 얻고자 하는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가교된 중합체, 일차 알콜 관능기, 탄수화물 성분,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 {Cross-Linked Polymers of Carbohydrates}
[특허문헌 1] WO 94/18944
[특허문헌 2] 프랑스 특허 제2,766,090호 (미국 특허 제5,912,016호에 상응함)
[특허문헌 3] 프랑스 특허 제2,780,901호 (미국 특허 제6,197,757호에 상응함)
[특허문헌 4] WO 03/040216 A1
본 발명은 다양한 단백질 또는 펩티드 물질에 기재하여 상기 물질로 인한 알레르기의 문제점을 회피하는, 텐싱(tensing)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제제는 매우 종종 특징적인 텐싱 효과가 유도되도록 하는 물질을 함유한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특히 소비자에 의해 유의하게 감지되는 감각적인 효과에 의한 화장료 제제의 효능성의 인지의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텐싱 효과는 눈가, 목, 목선 또는 손 형태의 제제에 사용되어 한 편으로는 피부 주름의 즉각적이지만 일시적인 감소를 가능하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피부의 팽팽함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특성으로 가장 잘 알려진 물질 중에서, 소 혈청 알부민 또는 콜라겐은 과거에 가장 빈번히 사용되어 왔던 분자였다. 보다 최근에는, 상기 활성용으로 개발된 물질은 식물 기원의 물질을 향해 바뀌고 있으며, 식물성 단백질이 특히 상기 활성을 위해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즉, 예를 들어 곡류 또는 콩과 식물의 식물성 알부민 분획은 소 혈청 알부민과의 유사성에 대한 특히 흥미있는 특허의 대상이었다 (WO 94/18944). 유사하게, 이관능화제를 사용한 식물성 단백질의 중합이 다양한 화장료 용도에 대해 기재되었다. 프랑스 특허 제2,766,090호 (미국 특허 제5,912,016호에 상응함), 및 프랑스 특허 제2,780,901호 (미국 특허 제6,197,757호에 상응함) 참조. 또한, 식물성 단백질의 가수분해된 분획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물질이 화장료에서의 텐싱 효과용으로 기재되었고, 사용되었다 (WO 03/040216 A1).
그러나, 화장료에서의 단백질의 사용은 이들이 다양한 농도에서 면역 반응, 심지어 총체적 과민성을 초래할 수 있는 알레르기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밀, 견과류, 개암, 땅콩, 우유 기원의 단백질은 이러한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상기 단백질의 소수 예이다.
앞으로, 화장료에서 단백질과 같은 피부에 자극적인 화합물의 사용은 법률 때문에 제한되거나 금지될 수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는 당업자가 텐싱 효과용으로 화장료 또는 약제에 사용될 수 있 는 특정 화합물이 또한 종종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용액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특히 목적하는 신규한 기술적 문제점의 해결은, 임의의 확인가능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도 사용자에 의해 인지가능한 방식으로 피부 표면에서 텐싱 및(또는) 토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목적하는 기술적 문제점의 해결은, 재생성 생물학적 물질로부터 기원하며, 동물계 뿐만 아니라 식물계에도 존재할 수 있고, 또한 미생물 발효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는,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생체적합성, 완전한 생체분해성, 완전한 동화, 완전한 무해성을 갖는 출발 물질에 기재한 토닝 용액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목적하는 기술적 문제점의 해결은, 또한 상기 언급된 기술적 문제점의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화합물의 신규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적 문제점 전부는 본 발명에 의해 최초로 만족스럽고, 저렴하며, 공업적 규모로, 특히 화장료적 규모로 사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해결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탄수화물 또는 탄수화물 유도체 1종 이상의 중합체가 인간의 피부와 같은 피부 조직의 텐싱 및(또는) 토닝 효과를 얻게 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기 정의된 방법에 따르면 수득가능한 가교된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합체에는 하나 이상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의 중합체 중 캡슐 또는 스피어의 형태, 특히 마이크로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의 형태, 또는 나노캡슐 또는 나노스피어의 형태는 제외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가교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제약 조성물 및(또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체의 피부 조직에 도포하여 상기 조직에서 텐싱 및(또는) 토닝 효과를 얻고자 하는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가교된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탄수화물"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수화물 및 탄수화물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텐싱 및(또는) 토닝 효과는 특히 지원자의 의견의 관점에서, 피부 조도의 측정으로부터 및(또는) 비-가교된 탄수화물의 수용액과 비교시 가교된 탄수화물의 수용액의 점도로부터 측정된다.
한 가지 변형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체의 피부 조직에 도포하여 상기 조직의 주름 및(또는) 잔주름의 감소를 얻고자 하는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가교된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변형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대상체의 피부 조직에 도포하여 상기 조직의 생물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가교된 중합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안면의 적어도 한 부분, 특히 눈의 윤곽선, 목, 손, 목선 및(또는) 가슴에 도포하고자 하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제약 조성물 또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기원한 생성물은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토닝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으로부터 기원한 생성물은 이러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때 임의의 확인가능한 알레르기 형성 효과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생성물은 피부의 표면에 흡착되어 부드럽고 연속적인 탄성 필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렇게 중합된 탄수화물, 특히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의 필모제닉(filmogenic) 특성, 텐싱 및 가소화 특성은 특히 흥미롭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생성물은 따라서 필모제닉 및(또는) 가소화 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탄수화물은 다당류, 올리고당류,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다당류 또는 올리고당류의 중합 방법에 대해 알고 있다 (콜렉티카(COLETICA), 프랑스 특허 제2,688,422호, 미국 특허 제5,562,924호). 그러나, 상기 방법은 마이크로캡슐 및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용 에멀젼에서의 계면 중합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는 스피어 및(또는) 캡슐의 형태, 특히 마이크로캡슐 또는 마이크로스피어의 형태 이외의 고분자량 탄수화물 중합체를 수득할 수 없다.
따라서,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균질한 수성상에서 탄수화물의 일차 알콜 관능기와 가교제의 반응성 관능기 사이의 가교 반응으로 1종 이상의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를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교된 중합체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수화물은 다당류, 올리고당류,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제1 실시양태에서, 탄수화물, 특히 폴리올 및(또는) 올리고당류는 분자량이 150 g/mol (이하의 내용에서, g/mol 또는 달톤 또는 Da로 표시함)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Da 이상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1 실시양태에서, 가교제에 대한 탄수화물, 특히 폴리올 및(또는) 올리고당류의 몰비는 0.1 초과,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제2 실시양태에서, 탄수화물, 특히 다당류의 분쟈량은 50,000 D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0 D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0 Da 이상이다. 이 경우, 가수분해는, 중합 반응이 특히 가용성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도록, 가교 반응 전에 수행될 수 있다. 탄수화물의 가수분해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2 실시양태에서, 가교제에 대한 탄수화물, 특히 다당류 의 몰비는 0.1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 미만이다.
유리하게는, 다당류는 디오시딕(diosidic) 잔기당 일차 알콜 관능기 0.5 내지 4개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반응 전, 탄수화물은 국소 경로를 통해 허용되는 부형제, 특히 화장료적으로 또는 피부과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의 혼합물이다.
또다른 특정 실시양태 변형법에 따르면, 일차 알콜 관능기를 갖는 탄수화물, 특히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의 농도는 수성상의 0.001 중량% 내지 50 중량%, 보다 특히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유리하게는, 가교제는 다관능성 가교제, 즉 탄수화물의 일차 알콜 관능기와 특히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 관능기 2개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제이며, 유리하게는 폴리카르복실산 염화물, 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티오이소시아네이트, 폴리알데히드,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탄수화물이 고분자량을 가질 경우, 이를 반응 전에 균질한 수성상에서 가수분해시킨 후 가교제와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방법은 가교 반응 후, 반응의 마지막에 불용성 화합물이 존재할 경우, 수성상 중에 불용성인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탄수화물을 수성상 중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이를 에탄올 및(또는) 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알콜에 용해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은 가교제를 함유하는 상과, 상기 탄수화물을 가교시켜 특히 고분자량의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단락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균질한 수성상에서의 중합에 의해 고분자량의 탄수화물의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은 반응 단계의 수와 출발 물질의 비용을 줄이고, 또한 사람에 대한 안전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공업적 제조의 관점에서 아주 유리하다.
수득된 중합체가 "텐싱 효과" 특성으로 알려진 특성을 가질 것임은 상상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본 발명은 특히, 특히 일차 알콜 관능기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관능화제를 사용하여 가교된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과 같은 가교된 탄수화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특히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과 같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물질을 수성상 중에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선택된 다관능화제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탄수화물을 중합하는 단계; 및
3) 임의로 반응 매질 중에 불용성 (용해되지 않음)인 반응 생성물을 제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된 (또는 가교된) 고분자량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포함하는 탄수화물, 예를 들어 특히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특히 화장료 분야에서 중요한, 중합된 (가교된) 탄수화 물, 특히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을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중합된 탄수화물은 고분자량이며, 놀랍게도 완벽한 피부 내성(skin tolerance)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하나의 이점은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과 같은 탄수화물이 풍부한 물질로부터 피부의 생물기계적 특성의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삼차원 망상체를 생성할 수 있는, 고 몰질량의 분자 구조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가교화도는 확인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교된 중합체에 대한 명확한 방식의 정의를 제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량 중합체"라는 용어를, 상당 부분의 쇄의 분자량이 50,000 달톤 이상인 중합체, 특히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150,000 달톤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0 달톤 이상인 가교된 다당류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추가의 또는 별도의 특징은 하기와 같다:
- 탄수화물, 특히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이 풍부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식물 기원, 동물 기원 및(또는) 생명공학적 기원 (예를 들어 발효)로 이루어진 천연 물질로부터 선택된다.
- 상기 물질을 20 g/L 내지 500 g/L의 속도로 수성상 중에 용해시킨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한 일차 관능기를 갖는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 하기 다당류:
- 갈락토만난, 예를 들어 비스코검(Viscogum; 등록상표)(사노피(SANOFI))과 같은 구아(guar) 기원, 또는 리곰메(Lygomme; 등록상표)(사노피) 또는 메이프로-플루어(Meypro-Fleur; 등록상표) 또는 메이프로딘(Meyprodyn; 등록상표)(메이홀(MEYHALL))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캐럽(carob) 기원의 갈락토만난;
- 사티아겔(Satiagel; 등록상표) 또는 사티아검(Satiagum; 등록상표)(데구사(DEGUSSA)) 또는 제누비스코(Genuvisco; 등록상표)(허큘레스(HERCULES))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홍조류로부터 추출된 카라게난;
- 누트리콜(Nutricol; 등록상표)(FMC 코포레이션(FMC Corporation)) 또는 프로폴(Propol; 등록상표)(FMC 쉬이츠(FMC SCHIITZU))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곤약 검 기원의 글루코만난;
- 크산탄(Xanthane)(켈코(KELKO)), 겔란(Gellane; 등록상표)(켈코), 쿠드란(Curdlane; 등록상표)(다께다(TAKEDA)) 또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발효 기원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갖는 다당류;
- 나트로솔(Natrosol; 등록상표) 250HHX (아쿠알론(AQUALON)), 클루셀 EF(Klucel EF; 등록상표)(아쿠알론), 비바푸르(Vivapur; 등록상표)(인스텔 키모스(Instel Chimos))와 같은 셀룰로스;
-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아쿠알론), 메틸 에틸 셀룰로스 (아쿠알론), 메틸 히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아쿠알론) 또는 블라노스(Blanose; 등록상표)(아쿠알론)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 덱스트란(Dextran; 등록상표), 덱스트란 T70, T500 또는 T2000, 덱스트란 술페이트 (파마시아 파인 케미칼즈(Pharmacia Fine Chemicals))와 같은 폴리홀로시드;
- 식품 등급의 한천 (시그마(Sigma)), 세균성 한천 (세텍삼(Setexam)), 모노가르(Monogar) M540 한천 (세텍삼) 또는 한천 QSN5 (세텍삼)와 같은 한천;
- 알긴산의 나트륨염 A2158 (시그마), 사티알긴(Satialgine; 등록상표)(데구사) 또는 알긴산나트륨 FD 125 (다니스코(Danisco))와 같은 알기네이트;
- 아밀로펙틴 (플루카(Fluka)), 아밀로스 (플루카), 나스타(Nastar; 등록상표)(코수크라(Cosucra)), 왁시 메이즈 스타치(Waxy Maize starch)(로케뜨(Roquette)), 왁실리스(Waxillis; 등록상표)(로케뜨), 밀 유래의 전분 (로케뜨), 쌀 유래의 전분 (로케뜨), 감자 유래의 전분 (로케뜨) 또는 옥수수 유래의 전분 (로케뜨)과 같은 전분;
- 키타머(Kitamer; 등록상표)(유니펙스(Unipex))와 같은 키토산;
- 퓨어글루칸(Pureglucan; 등록상표)(다께다)과 같은 쿠드란;
- 아드라간트 검 또는 트라가칸트 검 (에미가(Emiga));
- 아라비아 검 또는 아카시아 검 (콜린(Colin)) 또는 발검(Valgum; 등록상표)(발마(Valmar));
- 치아 검(Chia gum)(시그마);
- 엘레미 검(Gum elemi)(에미가);
- 켈코겔(Kelcogel; 등록상표)(SPCI)과 같은 겔란 검(Gellan gum);
- 가티 검(Gum ghatti) 또는 인디안 검(Indian gum)(시그마);
- 카라야 검(gum karaya)(시그마);
- 셸락(Shellac)(시그마);
- 마닐라 검(Manilla gum)(시그마);
● 하기를 예로 하는 이하의 올리고당류, 단당류 또는 이당류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시그마사로부터 시판됨):
- 시클로덱스트린 (특히, α, β 또는 γ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유도체),
- 덱스트린 (글루시덱스 40(Glucidex 40; 등록상표) 또는 글루시덱스 47(Glucidex 47; 등록상표), 로케뜨);
- 라피노스, 셀로비오스, 수크로스, 말토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디히드록시아세톤 (DHA), 프룩토스, 소르보스, 리보스, 데옥시리보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스,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에리트로스, 트레오스, 알로스, 아트로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크실룰로스, 프사이코스, 타가토스, 세도헵툴로스, 크실로비오스, 키토비오스, 니게로스, 아미나리비오스, 코지비오스, 소포로스, 겐티아노스, 겐티오비오스, 멜리비오스, 멜레지토스, 투라노스, 스타키오스, 베르바스코스;
-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글루코사민, 갈락토사민, 갈락토사민 술페이트, 글루코사민 술페이트;
- 퀼라야(quillaya)의 수피 유래의 사포닌과 같은 사포닌;
- 구아노신, 우리딘;
- 스트렙토마이신 술페이트;
- 리보플라빈; 및
● 하기를 예로 하는 이하의 폴리올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로케뜨사로부터 시판됨):
- 글리세롤,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시그마), 말티톨, 소르비톨, 만니톨, 락티톨 (시그마), 갈락티톨 (시그마), 리비톨 (시그마), 글리세롤 (시그마), 크실리톨, 미로-이노시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중합 수준을 갖는 PEG 등.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일차 관능기를 갖는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 또는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크산탄의 다당류, 셀룰로스, 캐럽 유래의 검, 크실리톨, 말토스, 카라게난, 라피노스, 아카시아 검, 글리세롤 (예를 들어 10%, w/w)과 크산탄 (예를 들어 2%, w/w)의 혼합물, 만니톨 (예를 들어 10%, w/w)과 이눌린 (예를 들어 5%, w/w)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일차 관능기를 갖는 다당류,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은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크산탄의 다당류,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셀룰로스,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캐럽 유래의 검,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크실리톨,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말토스,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카라게난,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라피노스,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아카시아 검,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글리세롤 (예를 들어 10%, w/w)과 크산탄 (예를 들어 2%, w/w)의 혼합물,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만니톨 (예를 들어 10%, w/w)과 이눌린 (예를 들어 5%, w/w)의 혼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유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조 방법은, 일차 알콜 관능기를 갖는 탄수화물, 특히 다당류 및(또는) 올리고당류 및(또는) 폴리올을 수성상 중에 용해시킨 후, 탄수화물의 일차 알콜 관능기와 가교제의 반응성 관능기 간의 중합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수성상과, 바람직하게는 탄수화물의 일차 알콜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에탄올 및(또는) 부틸렌 글리콜과 같은 알콜 중에 용해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은 가교제를 함유하는 상을, 고분자량의 중합된 탄수화물을 얻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법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가교제는 다가산 염화물, 다가산 무수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티오이소시아네이트, 폴리알데히드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가교제로는 반응의 중화 이후에 분리 조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피부에 허용되는 비반응성 부분이 유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가산 염화물은 예를 들어 산 삼염화물 또는 산 이염화물부터 선택되어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알콜에 용해된 가교제의 중량 비율은 일반적으로 5 내지 30%이 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다.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가교제는 프탈산 트리클로라이드, 프탈산 디클로라이드,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 아젤라산 디클로라이드, 숙신산 디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시트르산과 같은 트리카르복실산의 디클로라이드 또는 트리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된다. 다가산 무수물은 예를 들어 숙신산 이무수물 또는 말레산 이무수물과 같은 산 이무수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히 유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성상은 알칼리 수성상, 즉 pH가 7 초과의 알칼리성이다. 바람직한 pH 범위는 약 7.1 내지 약 10이다. 보다 바람직한 pH 범위는 8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9이다. KOH 또는 NaOH와 같은 강염기, 또는 암모니아 용액, 보레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약염기는 수성상을 염기성 pH로 바꾸기 위한 염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는 국소 조성물, 특히 화장료 조성물, 피부-제약 조성물 또는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된다. 이로부터 상기 조성물용의 부형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연화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수분제, 증점제, 컨디셔너, 매티화잉제(matifying agent),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직제(texture agent), 증백제, 필모제닉제(filmogenic agent), 가용화제, 안료, 염료, 향료 및 태양 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러한 부형제는 아미노산 및 이의 유도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셀룰로스의 중합체 및 유도체, 라놀린 유도체, 포스포리피드, 락토페린, 락토퍼옥시데이즈, 수크로스계 안정화제,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천연 및 합성 왁스, 식물성유, 트리글리세리드, 비감화물(insaponifiable), 피토스테롤, 식물 에스테르, 실리콘 및 이의 유도체, 단백질 가수분해물, 호호바유 및 이의 유도체, 지용성/수용성 에스테르, 베타인, 아민옥시드, 식물 추출물, 수크로스의 에스테르, 이산화티타늄, 글리신 및 파라벤으로 이루어진 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틸렌 글리콜, 스테아레트-2, 스테아레트-21, 글리콜-15 스테아릴 에테르, 카테아릴 알콜,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부틸렌 글리콜, 천연 토코페롤, 글리세롤, 나트륨 디히드록시세틸, 이소프로필 히드록시세틸 에테르,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노나오인, 옥틸 코코에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이소파라핀, 라우레트-7, 카르보머(carbomer),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비스아볼올, 디메티콘, 수산화나트륨, PEG 30-디폴리히드록시스테레이트, 카프르/카프릴산 트리글리세리드, 카테아릴 옥타노에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 포도씨유, 호호바유, 황화마그네슘, EDTA, 시클로메티콘, 크산탄 검, 시트르산,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광랍 및 광유,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페라르고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PEG 8 밀랍, 목심부의 수소화 팜유 글리세리드, 수소화 팜유 글리세리드, 라놀린유, 참깨유, 세틸 락테이트, 라놀린 알콜, 피마자유, 이산화티타늄, 락토스, 수크로스,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등장성 염수 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언급된 조성물은 수성이거나 오일성인 용액, 특히 포트 또는 튜브 중의 크림 또는 수용성 젤 또는 지용성 젤, 특히 샤워 젤, 샴푸; 밀크; 특히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또는 복합물 또는 실리콘-함유물인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나노에멀젼; 특히 유리병, 플라스틱병, 계측병, 에어로졸 중의 로션; 앰풀; 액상 비누; 피부형 바아; 연고; 발포제; 및 바람직하게는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예를 들어 스틱, 특히 립스틱의 형태의 무수물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태로 제제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를 참조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루며, 실시예를 포함하여, 전체로서 포함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의 임의의 선행기술에 대해 신규한 것으로 여겨지는 임의의 특징은 이의 기능성 및 이의 일반성에서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는 일반적인 범위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에서, 별도로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고, 별도로 나타내지 않는 한 온도는 섭씨 온도로 표현되며, 별도로 나타내지 않는 한 압력은 대기압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2% 크산탄 수용액의 가교 및 인간 피부에 대한 텐싱 효과의 증명
1- 다음과 같이 크산탄의 다당류 (5,000,000 Da)를 제조하였다: 크산탄 (켈트롤(KELTROL), SPCI사) 2.10 g을 냉각, 탈염수 93.1 g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강 한 교반 하에 NaHCO3 4.8 g을 제조생성물에 첨가하였다. 용해를 완료한 후에, pH는 8 내지 8.4의 값으로 안정화시켰다.
2- 가교제의 제조: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 0.75 g을 부틸렌 글리콜 4.25 g 에 용해시켰다.
3- 크산탄 수용액의 가교: 교반 하에 2에서 제조한 용액을 1에서 제조한 용액에 첨가하였다. 교반 하에 전체 용액을 60분 동안 두어, 한편의 활성화된 이산과 다른 한편의 다당류의 알콜 작용기 간의 중합을 초래하였다. 이 반응은 염기성 매질에서 촉진된다. 반응 후에, 가교된 크산탄 용액은 불용성 물질을 포함하지만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22 ㎛의 컷-오프(cut-off) 입구(threshold)를 포함하는 장치 상에서 행하는 여과에 의해 생성물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4- 텐싱 효과의 측정 원리: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중합된 다당류의 미용 효과에 대한 피부의 생물기계적 특성을 기술하기 위해서, 특히 시판명 "비디오 디지털 변환기(Video Digitizer(등록상표))" (커리지 등(Courage et), 카자카사(Khazaka))으로 시판되는 장치를 사용하여 텐싱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장치로서, 피부의 거칠기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는 "첨곡(peaks and valleys)"의 형태로 존재하는 피부의 릴리프(relief) 이미지에 의해 측정된다. 거칠기가 줄어들수록, 텐싱 효과는 커진다.
상박 위에 두 측정 부위 (2cm x 2cm)를 결정하고, 제1 부위에 3에서 제조한 용액 50 mg을 도포하였다. 제2 부위에 비-가교된 중합체 용액 50 mg을 도포하였다. 1분 동안 건조시킨 후에, ≪비디오 디지털 변환기(등록상표)≫를 사용하여 부피 파라미터를 측정하였다. 측정치의 양호한 동차성을 위해 10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처리한 후에 측정시, 텐싱 효과는 거칠기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다음 표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1
이 시험에 의해 본 발명의 생성물이 건강한 지원자의 피부에서 유의한 텐싱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실시예 2 : 2% 크산탄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1의 단계 1 동안에, 1%의 트리나트륨 시트레이트를 2% 크산탄 용액에 첨가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였다.
실시예 3 : 2% 크산탄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1의 단계 1 동안에, 0.4%의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을 2% 크산탄 용액에 첨가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였다.
실시예 4 : 2% 크산탄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1의 단계 1 동안에, 0.5%의 인산이나트륨을 2% 크산탄 용액에 첨가 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였다.
실시예 5 : 셀룰로스 수용액의 가교 및 감각 평가
1- 다음과 같이 셀룰로스 (1,000,000 Da)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나트로솔(Natrosol)(등록상표) 250HHX 0.56 g을 차가운 탈염수 94.64 g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강한 교반 하에 NaHCO3 4.8 g을 제조생성물에 첨가하였다. 용해를 완료한 후에, pH는 8 내지 8.4의 값으로 안정화시켰다.
2- 가교제의 제조: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 1.5 g을 부틸렌 글리콜 8.5 g에 용해시켰다.
3- 셀룰로스 수용액의 가교: 교반 하에 2에서 제조한 용액을 1에서 제조한 용액에 첨가하였다. 교반 하에 전체 용액을 60분 동안 두어, 한편의 활성화된 이산과 다른 한편의 다당류의 알콜 작용기 간의 중합을 초래하였다. 이 반응은 염기성 매질에서 촉진된다. 반응 후에, 가교된 나트로솔(등록상표) 250HHX 용액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4- 텐싱 효과의 측정 원리: 상박 위에 두 측정 부위 (2cm x 2cm)를 결정하고, 제1 부위에 가교된 나트로솔(등록상표) 250HHX 용액 50 mg을 도포하였다. 제2 부위에 비가교된 나트로솔(등록상표) 250HHX 용액 50 mg을 도포하였다.
1분 동안 건조시킨 후에, 지원자 패널들이 감각 평가하여 토닝 감각을 기록하였다.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2
이 시험에 의해 본 발명의 생성물이 건강한 지원자의 피부에서 감각 평가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유의한 텐싱 효과를 초래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실시예 6 : 캐럽 검 (300,000 Da)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5의 단계 1 동안에, 5% 캐럽 용액, 및 바람직하게는 2% 캐럽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였다.
실시예 7 : 크실리톨 (152 Da)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5의 단계 1 동안에, 5% 크실리톨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였다.
실시예 8 : 말토스 (342 Da)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5의 단계 1 동안에, 20% 말토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였다.
실시예 9a : 카라게난 수용액의 가교: 레올로지의 변형
1- 다음과 같이 카라게난 (제누비스코(등록상표), 허큘레스사) (500,000 Da)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누비스코(등록상표) (허큘레스사) 0.55 g을 차가운 탈염수 94.65 g에 넣었다. 이어서 강한 교반 하에 NaHCO3 4.8 g을 제조생성물에 첨가하였다. 용해를 완료한 후에, pH는 8 내지 8.4의 값으로 안정화시켰다.
2- 가교제의 제조: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 0.1 g을 에탄올 0.9 g에 용해시켰다.
3- 카라게난 수용액의 가교: 교반 하에 2에서 제조한 용액을 1에서 제조한 수용액에 첨가하였다. 교반 하에 전체 용액을 60분 동안 두어, 한편의 활성화된 이산과 다른 한편의 다당류의 알콜 작용기 간의 중합을 초래하였다. 이 반응은 염기성 매질에서 촉진된다. 반응 후에, 가교된 카라게난 용액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여과하여 불용성인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였다.
점도의 측정 원리: 비가교된 다당류 수용액에 대한 가교된 다당류 수용액의 점도 측정을 행하였다. 사용한 점도계는 속도 50에서 사용되며 바늘침 04를 포함하는 브룩필드(Brookfield) RVTDV-II형 회전 장치였다.
또한, 탄수화물의 중합은 이들의 분자량의 증가를 초래하고, 용해 매질에서 점도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도의 증가를 검사하여 중합 정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3
실시예 9b : 종래의 가수분해된 카라게난 수용액의 가교
1- 다음과 같이 가수분해된 카라게난 (제누비스코(등록상표), 허큘레스사)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누비스코(등록상표) (허큘레스사) 10 g을 0.1M HCl 용액 (0.1 몰/리터) 90 g에 넣었다. 중간 정도의 교반 하에 60℃에서 5시간 동안 가수 분해시키고, pH 8 내지 9 이하가 될 때까지 1M NaOH를 사용하여 중화시킴으로써 가수분해를 중지시켰다.
2- 가교제의 제조: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 0.1 g을 에탄올 0.9 g에 용해시켰다.
3- 카라게난 수용액의 가교: 교반 하에 2에서 제조한 용액을 1에서 제조한 수용액에 첨가하였다. 교반 하에 전체 용액을 60분 동안 두어, 한편의 활성화된 이산과 다른 한편의 다당류의 알콜 작용기 간의 중합을 초래하였다. 이 반응은 염기성 매질에서 촉진된다. 반응 후에, 가교된 카라게난 용액은 염을 제거하기 위해 초여과하고 이어서 불용성인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텐싱 효과는 상기 실시예에서 관찰된 효과 (특히 실시예 5의 생성물에 대해 얻은 효과)보다 훨씬 더 높았다.
실시예 10 : 라피노스 펜타히드레이트 (594 Da)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9의 단계 1 동안에, 10% 라피노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지만, 매우 뚜렷한 연화 효과가 패널들에 의해 인지되었다.
실시예 11 : 아카시아 검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9의 단계 1 동안에, 5% 아카시아 검 (250,000 Da)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보다 더 높았다.
실시예 12 : 다당류/폴리올 혼합물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9의 단계 1 동안에, 글리세롤 (92 Da) (10%, w/w) 및 크산탄 (2%, w/w)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지만, 매우 뚜렷한 연화 효과가 패널들에 의해 인지되었다.
실시예 13 : 올리고당류/폴리올 혼합물 수용액의 가교
실시예 9의 단계 1 동안에, 만니톨 (182 Da) (10%, w/w) 및 이눌린 (약 5000 Da) (5%, w/w)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른 단계 모두는 동일하였다. 텐싱 효과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효과와 유사하지만, 매우 뚜렷한 연화 효과가 패널들에 의해 인지되었다.
실시예 14 : 수중유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 또는 제약 제제에서 본 발명의 생성물의 사용
제제 14a :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4
제제 14b :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5
제제 14c :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6
실시예 15: 유중수 유형의 제제에서 본 발명의 생성물의 사용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7
실시예 16 : 샴푸 또는 샤워 젤 형태의 제제에서 본 발명의 생성물의 사용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8
실시예 17 : 립스틱 형태 및 다른 무수물 제품의 제제에서 본 발명의 생성물의 사용
Figure 112006011961716-pat00009
실시예 18 : 수성 젤 (아이 크림(eye surround), 슬리머 등)의 제제에서 본 발명의 생성물의 사용
Figure 112006011961716-pat00010
실시예 19 : 본 발명의 목적생성물을 함유하는 제조생성물의 미용 허용성의 평가
토끼에 대해 시각 평가하고, 래트에 단독으로 경구 투여함으로써 비정상적 독성 부재를 연구하고, 기니아 피그에서 민감성을 연구함으로써, 0.5% 크산탄 젤에 10%로 혼입된 실시예 2에 따라 수득된 화합물에 대한 독성학 시험을 행하였다.
토끼에 대한 일차 피부 자극 평가 :
"피부에 대한 급성 자극/부식 영향"의 연구와 관련된 OECD 지시문에 의해 제안된 방법에 따라서 3마리 토끼의 피부에 상기에 기재된 제조생성물을 희석시키지 않고 0.5 mL의 투여량으로 도포하였다.
1982년 2월 21일자로 프랑스 공화국의 약전 저널("JORF")에 반포된 1982년 2월 1일자 판결문에서 정의된 범주에 따라 생성물을 분류하였다.
이들 시험 결과로서, 실시예 2에 따라서 수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조생성물이 피부에 비-자극성인 것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토끼에 대한 시각 자극 평가 :
"눈에 대한 급성 자극/부식 영향"의 연구와 관련된 1987년 2월 24일의 OECD 제405호의 지시문에 의해 제안된 방법에 따라서 상기에 기재된 제조생성물을 순수한 형태로 한 배치에 0.1 mL의 속도로 한 방울씩 떨어뜨렸다.
이들 시험 결과로서, 지시문 91/326 EEC의 의미에서 순수하거나 또는 희석시키지 않은 제조생성물은 눈에 비-자극성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래트에 단독으로 경구 투여함으로써 비정상적 독성의 부재에 대한 시험 :
1987년 2월 24일의 OECD 제401호의 지시문으로부터 시사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5마리의 수컷 래트 및 5마리의 암컷 래트에, 상기 기재되고 미용료 생성물로 채택된 제조생성물을 한 배치에 신체 중량 kg당 5 g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LD0 및 LD50은 5,000 mg/Kg 초과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시험한 제조생성물은 섭취시 위험한 제조생성물 중 하나로 분류되지 않는다.
기니아 피그에 대한 피부 민감성 평가 :
OECD의 지시문 행 제406호에 따르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에 기재된 제조생성물에 대해 마그누손(Magnusson) 및 클리그만(Kligmann)에 의해 기재된 극한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제조생성물은 피부와 접촉시 비-민감성인 것으로 분류되었다.
비교하면, 상기 시험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가교된 시판 밀 단백질은 시험한 동물의 40%에 대해 민감성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확인가능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도 사용자에 의해 인지가능한 방식으로 피부 표면에 텐싱 및(또는) 토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우수한 생체적합성, 완전한 생체분해성, 완전한 동화, 완전한 무해성을 갖는 출발 물질에 기재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가교제의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로 다당류, 올리고당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탄수화물 성분의 하나 이상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균질한 수성상에서 중합에 의해 가교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스피어도 캡슐도 아닌 형태의, 하나 이상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탄수화물 성분의 가교된 중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가교된 중합체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수용성인 조성물.
  5. 삭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수화물 성분이 알칼리 수성상에 용해된 것인 조성물.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폴리카르복실산 염화물, 카르복실산 무수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티오이소시아네이트, 폴리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수화물 성분을 반응 전에 수성상에서 가수분해시킨 후 가교제와 접촉시키는 것인 조성물.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가교 반응 후 수성상 중에 불용성인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이 50,000 달톤 이상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성분의 수평균분자량이 100,000 달톤 이상인 조성물.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성분이,
    a) - 갈락토만난, 구아(guar) 또는 캐럽(carob) 기원의 갈락토만난;
    - 카라게난, 홍조류로부터 추출된 카라게난;
    - 글루코만난, 곤약 검 기원의 글루코만난;
    - 발효 기원의 일차 알콜 관능기를 갖는 다당류, 크산탄, 히알루론산;
    - 셀룰로스,
    -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및 메틸 에틸 셀룰로스, 메틸 히드록시 메틸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셀룰로스 성분;
    - 폴리홀로시드;
    - 한천;
    - 알기네이트, 알긴산의 나트륨염, 알긴산나트륨;
    - 전분, 아밀로펙틴, 아밀로스, 밀 유래의 전분, 쌀 유래의 전분, 감자 유래의 전분, 옥수수 유래의 전분;
    - 키토산;
    - 쿠드란(curdlan);
    - 아드라간트 검 또는 트라가칸트 검;
    - 아라비아 검 또는 아카시아 검;
    - 치아 검(Chia gum);
    - 엘레미 검(Gum elemi);
    - 겔란 검(Gellan gum);
    - 가티 검(Gum ghatti) 또는 인디안 검(Indian gum);
    - 카라야 검(gum karaya);
    - 셸락(Shellac); 및
    - 마닐라 검(Manilla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당류;
    b) - 시클로덱스트린, α 시클로덱스트린, β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γ 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
    - 덱스트린;
    - 라피노스, 셀로비오스, 수크로스, 말토스, 락토스, 트레할로스, 디히드록시아세톤 (DHA), 프룩토스, 소르보스, 리보스, 데옥시리보스, 크실로스, 아라비노스,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에리트로스, 트레오스, 알로스, 아트로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에리트룰로스, 크실룰로스, 프사이코스, 타가토스, 세도헵툴로스, 크실로비오스, 키토비오스, 니게로스, 아미나리비오스, 코지비오스, 소포로스, 겐티아노스, 겐티오비오스, 멜리비오스, 멜레지토스, 투라노스, 스타키오스, 베르바스코스;
    - 글루콘산, 글루코노락톤, 글루코사민, 갈락토사민, 갈락토사민 술페이트, 글루코사민 술페이트;
    - 사포닌, 퀼라야(quillaya)의 수피 유래의 사포닌;
    - 구아노신, 우리딘;
    - 스트렙토마이신 술페이트; 및
    - 리보플라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올리고당류, 단당류, 및 이당류로부터 선택된 당류 성분; 및
    c) 글리세롤,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만니톨, 락티톨, 갈락티톨, 리비톨, 글리세롤, 크실리톨, 미로-이노시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다가산 염화물, 다가산 무수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티오이소시아네이트, 폴리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프탈산 트리클로라이드, 프탈산 디클로라이드,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 숙신산 디클로라이드, 트리카르복실산의 디클로라이드 또는 트리클로라이드, 산 이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인 조성물.
  1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성분이,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크산탄의 다당류,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셀룰로스,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캐럽 유래의 검,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크실리톨, 세바스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말토스,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카라게난,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라피노스,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아카시아 검,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글리세롤과 크산탄의 혼합물,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로 가교된 만니톨과 이눌린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17.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텐싱, 피부의 토닝, 주름의 감소, 잔주름의 감소 및 피부의 생물기계적 특성의 개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미용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미용 관리를 안면, 목, 손 및 목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에 수행하는 방법.
  19.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관리 방법.
KR1020060015801A 2005-02-18 2006-02-17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 KR101372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1674A FR2882366B1 (fr) 2005-02-18 2005-02-18 Polymere reticule de carbohydrate, notamment a base de polysaccharides et/ou de polyols
FR0501674 2005-02-18
US11/174,414 2005-07-01
US11/174,414 US9133279B2 (en) 2005-02-18 2005-07-01 Cross-linked polymer of carbohydrate, notably based on polysaccharides, and/or on oligosaccharides and/or on poly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072A KR20060093072A (ko) 2006-08-23
KR101372646B1 true KR101372646B1 (ko) 2014-03-10

Family

ID=3611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01A KR101372646B1 (ko) 2005-02-18 2006-02-17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91863B2 (ko)
KR (1) KR101372646B1 (ko)
DE (1) DE102006007831C5 (ko)
ES (1) ES2293816B2 (ko)
GB (1) GB24232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4514A2 (en) * 2007-05-17 2008-11-2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lyol-based polymers
WO2009060140A2 (fr) * 2007-08-31 2009-05-14 Greentech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ou plusieurs composes de type beta- ( 1, 3 ) -glucuronane ou beta- ( 1, 3 ) -glucoglucuronane
JP4836087B2 (ja) * 2007-10-18 2011-12-14 株式会社ネオス 媒体に含有されるハロゲン化芳香族化合物の選択固着剤及び選択固着方法
BR112013003895A2 (pt) * 2010-08-19 2016-07-12 Merz Pharma Gmbh & Co Kgaa composição de enchimento e seu uso,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a composição de enchimento, kit e dispositivo de injeção
FR2997406B1 (fr) * 2012-10-25 2015-07-03 Basf Beauty Care Solutions F Polymere de hyaluronate et de glucomannane
CN114409929A (zh) * 2022-02-07 2022-04-29 南京易亨制药有限公司 一种聚合物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8944A1 (fr) 1993-02-23 1994-09-01 Coletica Compositions a usage pharmaceutique et cosmetique a base d'albumine vegetale, preparations contenant de telles compositions et procede de preparation
US5912016A (en) * 1997-07-15 1999-06-15 Coletica Particles of crosslinked plant proteins and the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6197757B1 (en) * 1998-07-09 2001-03-06 Coletica Particles, especially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of crosslinked mono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s in which they are present
KR100277602B1 (ko) * 1992-03-11 2001-04-02 데빅또르 삐에르 1차 알콜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당질 벽 미소캡슐 및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951A (en) * 1937-04-15 1939-02-28 Du Pont Organic starch derivatives and process
US2461139A (en) * 1945-01-08 1949-02-08 Nat Starch Products Inc Starch ester derivatives and method of making same
NL302923A (ko) * 1963-04-06 1900-01-01
LU66959A1 (ko) * 1973-02-05 1974-09-25
DE2415556C3 (de) * 1974-03-30 1982-09-09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it Glyoxal behandelten hochmolekularen Substanzen
JPS51149883A (en) * 1975-06-19 1976-12-23 Sumitomo Chem Co Ltd Hydrophilic gel
US4152170A (en) * 1975-06-18 1979-05-01 Sumitomo Chemical Company, Ltd. Cross-linked pullulan
US4226264A (en) * 1975-09-02 1980-10-07 Teepak, Inc. Elastic amylose polymers
JPS5366496A (en) * 1976-11-22 1978-06-13 Merck & Co Inc Rapidly dispersible vegetable gum
DE2908437A1 (de) * 1979-03-05 1980-09-18 Fresenius Chem Pharm Ind Vernetzte hydroxyaethylstaerke
CA1238043A (en) * 1983-12-15 1988-06-14 Endre A. Balazs Water insoluble preparations of hyaluronic acid and processes therefor
US4716224A (en) * 1984-05-04 1987-12-29 Seikagaku Kogyo Co. Ltd.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its use
US5270459A (en) * 1992-05-13 1993-12-14 Shatzman Howard M Method for producing dispersible xanthan gum products
US5840338A (en) * 1994-07-18 1998-11-24 Roos; Eric J. Loading of biologically active solutes into polymer gels
WO1996019180A1 (en) * 1994-12-20 1996-06-27 Maybelline Intermediate Co. Skin revitalizing makeup composition
DE69733781T2 (de) * 1996-03-22 2006-06-01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New Castle Durch Hydroxypropylierung stabilisierte Wachskartoffelstärke
DE19627498A1 (de) * 1996-07-08 1998-01-15 Nat Starch Chem Invest Stärkehaltige Reinigungs- und Pflegemittel
FR2752843B1 (fr) * 1996-08-30 1998-10-16 Sod Conseils Rech Applic Copolymeres reticules a base de polymeres polycarboxyliques et leur utilisation comme support de composition pharmaceutique
DE19643066C2 (de) * 1996-10-18 1999-07-01 Henkel Kgaa Kollagenfreie kosmetische Zubereit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920557B4 (de) * 1999-05-05 2004-09-09 Biotec A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llagenfreien kosmetischen Zubereitungen
TWI244487B (en) * 2001-08-07 2005-12-01 Eko Yamaguti Hydrolyzed and condensation-polymerized starch,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shaped articles of hydrolyzed and condensation-polymerized starch
US20030108505A1 (en) * 2001-08-17 2003-06-12 Hongjie Cao Use of xanthan gum as a hair fixative
FR2832157B1 (fr) 2001-11-09 2004-06-04 Silab Sa Procede de preparation d'un principe actif a base de proteines polymerisees,principe actif et composition a effet lissant, anti-rides et tenseur immediat de la peau
US20030099691A1 (en) * 2001-11-16 2003-05-29 Susan Lydzinski Films containing starch
US20030094104A1 (en) * 2001-11-21 2003-05-22 Roger Jeffcoat Process tolerant low amylose tapioca distarch adipates
JP2004217590A (ja) * 2003-01-16 2004-08-05 Unitika Ltd 化粧品組成物
JP4057927B2 (ja) * 2003-02-05 2008-03-05 英子 山口 デンプン加水分解糖類およびその縮重合物
FR2861734B1 (fr) * 2003-04-10 2006-04-14 Corneal Ind Reticulation de polysaccharides de faible et forte masse moleculaire; preparation d'hydrogels monophasiques injectables; polysaccharides et hydrogels obten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602B1 (ko) * 1992-03-11 2001-04-02 데빅또르 삐에르 1차 알콜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당질 벽 미소캡슐 및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WO1994018944A1 (fr) 1993-02-23 1994-09-01 Coletica Compositions a usage pharmaceutique et cosmetique a base d'albumine vegetale, preparations contenant de telles compositions et procede de preparation
US5912016A (en) * 1997-07-15 1999-06-15 Coletica Particles of crosslinked plant proteins and the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6197757B1 (en) * 1998-07-09 2001-03-06 Coletica Particles, especially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of crosslinked mono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food compositions in which they are pres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6007831A1 (de) 2006-10-12
JP2006225392A (ja) 2006-08-31
ES2293816A1 (es) 2008-03-16
DE102006007831C5 (de) 2018-05-24
KR20060093072A (ko) 2006-08-23
JP5291863B2 (ja) 2013-09-18
DE102006007831B4 (de) 2009-08-20
ES2293816B2 (es) 2010-03-11
GB2423252B (en) 2007-10-17
GB0602683D0 (en) 2006-03-22
GB2423252A (en)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3279B2 (en) Cross-linked polymer of carbohydrate, notably based on polysaccharides, and/or on oligosaccharides and/or on polyols
JP6377020B2 (ja) カルボキシメチル基含有修飾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これを含む化粧料、食品組成物および医薬組成物
KR101372646B1 (ko) 탄수화물의 가교된 중합체
JP4565745B2 (ja) カラゲナン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のための方法
JP5824599B1 (ja) 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製造方法
KR20100017339A (ko) 양이온화 히알루론산 및/또는 이의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 개질제, 큐티클 수복제, 피부 개질제 및 화장료
JP2013181001A (ja) ヒアルロン酸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JP2008285421A (ja) 毛髪改質浸透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毛髪用化粧料
WO2015053282A1 (ja) カルボキシメチル基含有修飾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架橋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14181B2 (ja) 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
JP2016166133A (ja) パック化粧料
JP5734536B1 (ja) カルボキシメチル基含有修飾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の架橋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5489B2 (ko)
JP2021104934A (ja) 活性成分を局所送達するための無水組成物
JP2004217590A (ja) 化粧品組成物
JP2019108298A (ja) 穀物の発酵生成物及びヘクトライトを含むo/wエマルションの形態の組成物
JP3878629B2 (ja) 複合化水性ゲ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複合化水性ゲルを含有するゲル化製剤、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6599673B2 (ja) 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該ヒアルロン酸および/またはその塩を含む食品、化粧料、および医薬品
JP2016199515A (ja) 乳化化粧料
KR20070121027A (ko) 화장용 전달 시스템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8140959A (ja) 疎水性デンプン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およびそれらを含む化粧料
JP2016199516A (ja) ゲル状化粧料
JP2023092506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849017B2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