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659B1 -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 Google Patents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659B1
KR101364659B1 KR1020110025412A KR20110025412A KR101364659B1 KR 101364659 B1 KR101364659 B1 KR 101364659B1 KR 1020110025412 A KR1020110025412 A KR 1020110025412A KR 20110025412 A KR20110025412 A KR 20110025412A KR 101364659 B1 KR101364659 B1 KR 101364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projection lens
low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524A (ko
Inventor
잇페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1012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12Combinations of only three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21S41/365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successively reflecting th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우빔 배광 패턴 내에 큰 명암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드라이버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은, LED(9)와, 광축(X1)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7)와, LED(9)의 광을 수직 단면 상에서 투영 렌즈(7)의 후방 초점(F2) 근방에 반사하는 리플렉터(8)와, 전방 가장자리부(11)가 투영 렌즈(7)의 후방 초점(F2) 근방에 배치되어 리플렉터(8)에 의한 반사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쉐이드(6)와, 전방 가장자리부(11)의 후방에 일체로 마련되어 차광된 반사광의 일부를 투영 렌즈(7)에 재반사하는 재반사면(10)을 구비하고, 상기 재반사면(10)은, 수직 단면 내에서 리플렉터(8)를 향하여 볼록하게 된 연속 곡면인 광확산부(16)를 적어도 일부에 갖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LOW BEAM LAMP UNIT}
본 발명은, 드라이버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용 등기구의 광원 유닛을 나타내는 것으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광원 유닛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을 중심으로 한 대략 회전 타원면 형상을 갖는 부재의 내측에 제1 반사면을 갖는 리플렉터와, 제1 반사면의 수직 단면에서의 제1 초점에 배치된 LED와, 리플렉터의 전방에서 광축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와, LED와 투영 렌즈의 사이에 마련된 광제어 부재를 갖는다. 광제어 부재는, 투영 렌즈의 제2 초점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전단 가장자리와, 전단 가장자리의 후방으로 신장되는 평면으로서 연속 형성된 제3 반사면을 갖는다.
특허문헌 1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사면은, 수직 단면 내에서 투영 렌즈의 후방 제2 초점 근방의 전후 위치에 집속하도록 LED의 출사광을 반사한다. 제2 초점의 전방에 반사되어, 광제어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를 통과한 반사광은, 투영 렌즈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출사(出射)되어 소정의 수평 및 경사 컷오프 라인을 포함하는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한편, 특허문헌 1의 광원 유닛에서는, 제2 초점의 후방에 반사되어 광제어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에 차광된 광도 제3 반사면에 의해 상방에 재반사시켜, 투영 렌즈에 입사되도록 하고, 광제어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를 통과한 광과 함께 로우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광의 손실이 적은 것이 되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751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등기구 유닛은, 광제어 부재(차광 쉐이드)에 의해 차광된 광도 제3 반사면에서 재반사하여 로우빔 배광 패턴에 이용하기 때문에, 광의 손실을 적게 하여 로우빔 배광 패턴을 보다 밝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특허문헌 1의 배광 패턴을 확인한 결과, 특허문헌 1의 등기구 유닛에서는, 제3 반사면이 수평면이므로, 재반사광이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에 집중적으로 반사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수직 단면 내에서 집속하도록 제3 반사면에 입사하는 광속(光束)에서는, 제3 반사면이 수평면이므로, 광제어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부에서 재반사된 광선(이후 간단히 재반사 광선이라고 함)의 반사각이 최대가 되고, 상기 반사각은, 재반사 광선의 반사 위치가 보다 후방이 될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제3 반사면에 입사하는 광속은, 광제어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부에 의한 재반사 광선보다 상방에 재반사되지 않는다. 한편, 제3 반사면에 의한 광속의 상(像)은, 투영 렌즈에서 상하가 반전되기 때문에, 광제어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부에 의한 재반사 광선은, 광속의 상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조사되고, 재반사된 광속은, 전단 가장자리부의 재반사 광선보다 상방에 조사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등기구 유닛에서는, 광제어 부재의 전단 가장자리부에서 재반사된 광선이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에 조사되고, 재반사광의 광속도 전체적으로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에 집중하여 반사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3 반사면에 의한 재반사광의 광속이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에 치우쳐 반사된 경우, 형성되는 로우빔 배광 패턴에서는, 컷오프 라인에 가까운 상측 영역이 보다 밝아지는 것과 대조적으로 보광(補光)되지 않은 하측 영역이 어둡게 보이기 때문에,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 사이에서 큰 명암차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하 영역 사이에서 명암차가 큰 로우빔 배광 패턴은, 드라이버에 대하여 로우빔 조사 영역의 바로 앞쪽을 보기 어렵게 하게 때문에, 드라이버의 시인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쉐이드에 차광된 광선을 로우빔 배광 패턴의 보광에 이용할 때 로우빔 배광 패턴 내에 큰 명암차를 발생시키지 않고, 드라이버의 시인성을 향상시킨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은, 광원이 되는 LED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와, LED를 덮는 반사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LED의 광을 상기 반사면의 수직 단면 상에서 상기 투영 렌즈의 후방 초점 근방에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전방 가장자리부가 상기 투영 렌즈의 후방 초점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리플렉터에 의한 반사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쉐이드와, 상기 쉐이드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후방에 일체로 마련되어 차광된 반사광의 일부를 상기 투영 렌즈에 재반사하는 재반사면을 구비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면은, 수직 단면이 상기 리플렉터를 향해 볼록하게 된 연속 곡면인 광확산부를 적어도 일부에 갖도록 했다.
(작용) LED의 출사광은, 리플렉터에 의해 쉐이드의 전방 가장자리부가 배치된 투영 렌즈의 후방 초점 근방에 반사되고, 상기 쉐이드를 통과한 일부의 반사광이 투영 렌즈에 입사하며, 상기 쉐이드에 차광되어 재반사면에 입사한 일부의 반사광이, 투영 렌즈를 향해 재반사된다. 재반사면의 광확산부에서 재반사되는 광속은,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으로부터 하측 영역에 걸쳐 확산되기 때문에, 재반사면에 의한 재반사광이 로우빔 배광 패턴을 보광하더라도,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과 하측 영역의 사이에서 명암차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재반사면의 광확산부에 의해 재반사되는 광선은, 상기 광확산부가 볼록형의 연속 곡면이므로, 재반사면이 수평면인 경우와는 반대로 광선의 반사 위치가 후방이 될수록 보다 상방에 반사된다. 바꾸어 말하면, 볼록형의 연속 곡면을 포함하는 재반사면에 의해 투영 렌즈에 재반사된 광속은, 수평한 재반사면에 의해 재반사되는 것보다 상방으로 확산된다. 또한, 재반사광된 광속의 상은, 투영 렌즈에 의해 상하 방향이 역전되기 때문에, 로우빔 배광 패턴 내에서는, 재반사된 광속이 상측 영역뿐만 아니라 하측 영역으로도 확산된다. 그 결과, 재반사광에 의해 로우빔 배광 패턴을 보광하더라도,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에서 명암차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청구항 2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연속 곡면의 곡률이 후방을 향해 감에 따라 서서히 커지도록 상기 광확산부를 형성했다.
연속 곡면의 곡률이 후방을 향해 감에 따라 서서히 커지면, 광확산부에 입사하는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은, 곡률이 일정한 연속 곡면에 비하여, 입사 위치가 보다 후방이 됨에 따라서 더욱 상방에 반사되기 때문에, 광확산부에서 재반사되는 광속은 더욱 상방으로 확산된다. 그 결과, 로우빔 배광 패턴에서는, 재반사광이 더욱 하측 영역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의 명암차가 더욱 형성되지 않게 된다.
청구항 3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으로서, 상기 재반사면이, 상기 쉐이드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후방에 일체화된 근사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광확산부가 상기 근사 수평면의 후방에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했다.
(작용) 리플렉터에 반사되어 근사 수평면에 입사한 광은,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에 집중적으로 재반사된다. 즉, 청구항 3의 재반사면에서는, 근사 수평면에 의한 재반사광에 의해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이 보광되고, 연속 곡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확산된 재반사광에 의해 로우빔 배광 패턴의 하측 영역이 보광된다. 그 결과, 형성된 로우빔 배광 패턴에서는, 상측 영역의 광량이 확산에 의해 지나치게 감소하지 않고 하측 영역이 밝게 보광된다.
청구항 4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으로서, 상기 재반사면이 상방에서 볼 때 상기 리플렉터의 내측에 마련되는 반사면의 형상을 따른 대략 U자형을 갖도록 했다.
(작용) LED를 덮는 리플렉터 내주의 반사면의 형상을 따라서 재반사면이 U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리플렉터의 반사광이 재반사면에 입사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1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의하면, 광확산부에 의한 재반사광이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방 영역으로부터 하방 영역으로 확산됨으로써, 로우빔 배광 패턴이 상하 영역에서 명암차가 생기지 않고 재반사광에 의해 보광되므로, 차량 전방의 바로 앞쪽 영역이 밝게 조명되어, 드라이버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2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의하면, 재반사광에 의한 로우빔 배광 패턴의 하방 영역으로의 확산이 넓어짐으로써, 차량 전방의 바로 앞쪽 영역이 보다 밝게 조명되어, 드라이버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청구항 3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의하면,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측 영역의 시인성을 낮추지 않고 하측 영역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드라이버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청구항 4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의하면, 재반사면으로부터 투영 렌즈에 재반사되는 광선이 증가하여, 로우빔 배광 패턴이 보다 효율적으로 보광되므로, 드라이버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실시예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 단면도(수직 단면도).
도 3은 쉐이드의 재반사면에 관한 도 2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쉐이드의 재반사면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II-II 단면도(수평 단면도).
도 6은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의 배광 패턴 설명도.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에 의해 본 발명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을 갖는 차량용 등기구(1)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차량용 등기구(1)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 투명한 수지 등으로 형성한 전면(前面) 커버(3), 램프 보디(4), 로우빔 보광 유닛(5)을 갖는다. 전면 커버(3)는 램프 보디(4)에 일체화되고, 램프 보디(4)의 내측에는 등실이 구획된다. 등실내에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과 로우빔 보광 유닛(5)이 배치된다.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은, 쉐이드(6), 투영 렌즈(7), 리플렉터(8) 및 LED(9)를 갖는다. 또한,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은, 본 실시예에서는, 좌배광(左配光)의 로우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에 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도 2의 투영 렌즈측을 전방(부호 F 방향), 리플렉터측을 후방(부호 R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쉐이드(6)는 평판형상을 가지며, 알루미늄 증착 등에 의해 그 상면에 재반사면(10)이 형성된다. 또한, 쉐이드(6)의 상면의 전방 가장자리부에는 컷오프 라인 형성부(11)가 마련되고, 상면의 후단부에는 리플렉터(8)가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쉐이드(6)의 상면의 후단부에는 단차부(12)가 마련되고, 단차부(12)에 LED(9)가 고정된다. 또한, 쉐이드(6)의 하면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신장되고 전방으로 만곡되는 만곡부(13)가 일체로 마련되고, 만곡부(13)의 전단부에는, 투영 렌즈(7)를 유지하는 링형의 렌즈 홀더(14)가 마련된다.
광축(X1) 상에 배치되는 투영 렌즈(7)는, 전방측이 볼록형 곡면이고 후방측이 평면인 평볼록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지고, 리플렉터(8)는, 광축(X1)을 중심으로 한 대략 반회전 타원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에 반사면(8a)을 갖는다. 대략 반회전 타원면이 되는 반사면(8a)은, 수직 단면으로부터 수평 단면에 근접함에 따라서 단면의 이심률이 서서히 커진다.
LED(9)는, LED 칩(9a)과 LED 기판(9b)으로 이루어지고, LED 기판(9b)은, LED 칩(9a)이 리플렉터(8)의 반사면(8a)의 제1 초점(F1)에 배치되도록 단차부(12)에 고정된다.
쉐이드(6)의 전방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는 컷오프 라인 형성부(11)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의 정면에서 볼 때 우측 오르막으로 경사진 경사 컷오프 라인 형성부(11a)와, 그 좌우 양단에 연속하는 2개의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b, 11c)로 구성된다. 경사 컷오프 라인 형성부(11a)와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c)의 경계부(11d)는, 수직 단면 상에서 투영 렌즈의 후방 초점[제2 초점(F2)]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b, 11c)는, 도 5에 나타내는 수평 단면 상에서 경사 컷오프 라인 형성부(11a)로부터 전방으로 만곡 형성되고, 컷오프 라인 형성부(11)는, 상방으로부터 전방 방향(도면의 F 방향)에서 볼 때 반사면(8a)을 따른 대략 U자형을 갖는다.
재반사면(10)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및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a∼11c)의 후단부로부터 광축(X1)을 따라서 후방으로 신장되는 근사 수평면(15)과, 근사 수평면(15)의 후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광확산부(16)로 구성된다. 근사 수평면(15)은, 경사 컷오프 라인 형성부(11a)와 동일한 기울기로 후방으로 신장되는 사면(15a)과, 그 좌우에 연속한 수평면(15b, 15c)에 의해 형성된다. 광확산부(16)는, 사면(15a)과 수평면(15b, 15c)의 각각의 수직 단면 상에서, 각 평면(15a∼15c)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만곡하는 볼록형의 연속 곡면이다. 또한, 재반사면(10)은, 리플렉터 컷오프 라인 형성부(11)와 마찬가지로 상방으로부터 전방 방향(도 4와 도 5의 F 방향)에서 볼 때 반사면(8a)을 따른 대략 U자형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광확산부(16)는, 근사 수평면(15)의 수직 단면 상에서, 복수의 곡면을 인접하여 복수 배치시킨 렌즈 스텝 형상으로 하지 않고, 하나의 볼록형 연속 곡면으로서 형성하였다. 광확산부(16)를 하나의 연속 곡면으로 한 이유는, (a) 복수의 렌즈 스텝으로 확산되면, 목표가 되는 렌즈 스텝에 입사시키고자 하는 광선이 인접하는 바로 앞의 렌즈 스텝에 방해(인접하는 렌즈 스텝에 입사해 버린다)를 받아, 입사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입사각이 한정되어 버린다는 것과, (b) 입사각이 한정되면, 투영 렌즈를 향해 재반사할 수 없는 광선이 증가하기 때문에, 재반사에서 이용할 수 있는 광선의 양이 감소해 버린다는 것 때문이다.
로우빔 보광 유닛(5)은,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의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c)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5a)를 쉐이드(도시하지 않음)에 가짐으로써, 로우빔용 배광 패턴의 하방 영역을 집중적으로 보광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도 3, 도 5에 의해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의 광로와 배광 패턴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단면 내에서, 리플렉터(8)의 제1 초점에 배치된 LED 칩(9a)으로부터 출사한 광은, 수직 단면 내에서 반사면(8a)에 의해 투영 렌즈(7)의 후방 제2 초점 근방에 수속되도록 반사된다. 반사광의 광선을 B1∼B4로 하면, 일부의 광선 B1, B2는, 경사 및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에 의해 차광되지 않고 쉐이드(6)를 통과하여, 일단 수속된 후 다시 상하로 확산된다.
또한,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선 B3은, 근사 수평면(15)에 의해 재반사되고, 재반사 광선 B5이 되어 투영 렌즈(7)에 입사한다. 한편, 일부의 반사 광선 B4는 광확산부(16)에 의해 재반사되고, 재반사 광선 B6으로서 투영 렌즈(7)에 입사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단면 내에서, 리플렉터(8)의 제1 초점에 배치된 LED 칩(9a)으로부터 출사되어 반사면(8a)에서 반사된 광을 반사광 B7∼B10으로 하면, 반사광 B7∼B10은, 수평 단면 내에서 수직 단면으로부터 이심률이 커진 반사면(8a)에 의해, 투영 렌즈(7) 내의 제3 초점(F3) 근방에 수속된 후, 다시 좌우로 확산되어 투영 렌즈(7)의 전방으로 출사한다.
다음으로, 수직 단면 내에서 재반사면(10)에 입사하는 광선을 도 3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는, 근사 수평면(15)에 입사한 반사 광선 B3에 대응하는 광속을 입사 위치가 쉐이드 전단부의 컷오프 라인 형성부에 가까운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B31 내지 B33으로 나타내고, 광확산부(16)에 입사한 반사 광선 B4에 대응하는 광속을 B41 내지 B43으로 나타내며, 광속 B31∼B33이 재반사되어 이루어진 광속을 B51∼B53으로 나타내고, 광속 B41∼B43가 재반사되어 이루어진 광속을 B61∼B63으로 나타내기로 한다.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속 B31∼B33은, 컷오프 라인 형성부(11)(제2 초점) 근방을 향해 집속하는 광속이면서 전후로 차이가 생기면서 근사 수평면(15)에 입사하기 때문에, 입사 위치가 후방이 될수록 근사 수평면(15)에 대한 입사각(=반사각)이 커진다. 그 결과, 근사 수평면(15)에서 재반사되어 확산되는 광속 B51∼B53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가장자리부의 컷오프 라인 형성부(11)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반사된 광선 B51이 가장 상방에 반사되고, 그것보다 후방에서 재반사된 광선 B52와 B53은, 광선 B51보다 하방에 반사된다. 바꿔 말하면, 근사 수평면(15)에 의해 재반사되는 광속 B51∼B53은, 광선 B51보다도 하방으로 확산되게 된다.
한편, 광확산부(16)는, 근사 수평면(15)의 후방에 연속하면서 하방으로 만곡한 볼록형의 연속 곡면이다. 따라서, 광확산부(16)에 전방을 향해 수속되는 광속 B41∼B43이 입사한 경우, 광확산부(16)에서 재반사된 광속 B61∼B63은, 광확산부의 곡률에 기초하여, 광속 B41∼B43의 입사 위치가 보다 후방일수록 상방에 반사된다. 바꿔 말하면, 광확산부(16)에 의해 재반사되는 광속 B61∼B6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선 B61보다 상방으로 확산되게 된다. 광속 B61∼B63은, 광확산부(16)의 곡률을 크게 할수록 상방으로 크게 확산된다.
투영 렌즈(7)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되는 광속은, 투영 렌즈(7)에 의해 상하 좌우의 상이 반전된다. 그 때문에, 투영 렌즈(7)에 입사하기 전에 하방으로 확산되는 광속 B51∼B53은, 투영 렌즈(7)에 의해 상방으로 확산되고, 투영 렌즈(7)에 입사하기 전에 상방으로 확산되는 광속 B61∼B63은, 투영 렌즈(7)에 의해 하방으로 확산된다. 또한, 투영 렌즈(7)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되는 광속 B61∼B63은, 광확산부의 곡률이 클수록 하방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서는, 광확산부(16)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하방향으로의 확산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차량용 등기구의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것이다. 로우빔 배광 패턴(Pa1)은, 본원의 실시예인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에 의한 배광 패턴을 나타내고, 로우빔 배광 패턴(PaS)은, 로우빔 보광 유닛(5)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다.
배광 패턴(Pa1)의 상방 가장자리부는,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b)에 대응한 수평 컷오프 라인(17b)과, 수평 컷오프 라인 형성부(11c)에 대응한 수평 컷오프 라인(17c)이, 경사 컷오프 라인 형성부(11a)에 대응하여 우측 내리막으로 형성된 컷오프 라인(17a)의 양단에 연속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우빔 배광 패턴(Pa1)을 상하로 이분할하는 수평선을 X2로 하고, 로우빔 배광 패턴의 상방 영역을 Pa11로 하며, 하방 영역을 Pa12로 하면, 로우빔 보광 유닛(5)의 배광 패턴(PaS)은, 하방 영역(Pa12)에 중첩되도록 배광되어 있다.
또한, 근사 수평면(15)에서 재반사된 광속 B51∼B53은, 소정의 높이보다 하방으로 확산되지 않기 때문에, 배광 패턴(Pa1)의 상방 영역(Pa11)을 보광하여, 도면 부호 Pa3의 상을 형성한다. 한편, 광확산부(16)에서 재반사된 광속 B61∼B63은, 볼록형 연속 곡면의 곡률에 따라서 배광 패턴(Pa1)의 상방 영역(Pa11)으로부터 하방 영역(Pa12)을 보광하여, 도면 부호 Pa4의 상을 형성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에서는, 광확산부(16)의 재반사광에 의한 상(Pa4)을 근사 수평면(15)의 재반사광에 의한 상(Pa3)의 하방에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에서는, 광확산부(16)의 볼록형 연속 곡면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배광 패턴(Pa1)의 상방 영역(Pa11)과 하방 영역(Pa12)에 걸쳐 폭넓게 상(Pa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면에 근사 수평면(15)을 마련하고 있지만,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2)에서는, 재반사면(10)에 근사 수평면(15)을 마련하지 않고, 재반사면(10)을 볼록형 연속 곡면으로 이루어진 광확산부(16)만으로 구성하며, 볼록형 연속 곡면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배광 패턴(Pa1)의 상하 영역(Pa11, Pa12)을 전체적으로 보광해도 좋다. 또한, 로우빔 보광 유닛(5)은, 마련하지 않아도 지장 없다.
2 :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6 : 쉐이드
7 : 투영 렌즈
8 : 리플렉터
9 : LED
10 : 재반사면
11 : 컷오프 라인 형성부[쉐이드(6)의 전방 가장자리부]
15 : 근사 수평면
16 : 광확산부
X1 : 광축

Claims (6)

  1. 광원이 되는 LED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된 투영 렌즈와, LED를 덮는 반사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LED의 광을 수직 단면 상에서 상기 투영 렌즈의 후방 초점 근방에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전방 가장자리부가 상기 투영 렌즈의 후방 초점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리플렉터에 의한 반사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쉐이드와, 상기 쉐이드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후방에 일체로 마련되어 차광된 반사광의 일부를 상기 투영 렌즈에 재반사하는 재반사면을 갖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면은, 수직 단면이 상기 리플렉터를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하방으로 만곡된 연속 곡면인 광확산부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연속 곡면의 곡률이 리플렉터측을 향해 감에 따라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면은, 상기 쉐이드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후방에 일체화된 근사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광확산부가 상기 근사 수평면의 후방에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면은, 상방에서 볼 때 상기 리플렉터의 내측에 마련되는 반사면의 형상을 따른 U자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면은, 상방에서 볼 때 상기 리플렉터의 내측에 마련되는 반사면의 형상을 따른 U자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사면은, 상방에서 볼 때 상기 리플렉터의 내측에 마련되는 반사면의 형상을 따른 U자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KR1020110025412A 2010-05-17 2011-03-22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KR101364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3282 2010-05-17
JP2010113282A JP5620714B2 (ja) 2010-05-17 2010-05-17 ロービーム用灯具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524A KR20110126524A (ko) 2011-11-23
KR101364659B1 true KR101364659B1 (ko) 2014-02-19

Family

ID=4491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412A KR101364659B1 (ko) 2010-05-17 2011-03-22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39539B2 (ko)
JP (1) JP5620714B2 (ko)
KR (1) KR101364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6576B2 (ja) * 2011-06-30 2015-05-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5874450B2 (ja) * 2012-03-07 2016-03-0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US8894257B2 (en) * 2012-05-17 2014-11-25 Osram Sylvania Inc. Headlamp featuring both low-beam and high-beam outputs and devoid of moving parts
JP2014082164A (ja) * 2012-10-18 2014-05-08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6154169B2 (ja) * 2013-03-29 2017-06-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6180772B2 (ja) * 2013-04-01 2017-08-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184150B2 (ja) * 2013-04-05 2017-08-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A2864723C (en) 2013-09-25 2021-12-07 Harsco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rail track corrections
KR102313633B1 (ko) * 2014-12-24 2021-10-18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KR102289755B1 (ko) * 2014-12-24 2021-08-13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JP2016181351A (ja) * 2015-03-23 2016-10-1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TWI568973B (zh) * 2016-02-22 2017-02-01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of the headlight module
JP6889609B2 (ja) * 2017-05-24 2021-06-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102390256B1 (ko) * 2017-07-06 2022-04-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 장치
JP2019096515A (ja) * 2017-11-24 2019-06-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ユニット及び車両用灯具
US20190195455A1 (en) * 2017-12-22 2019-06-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eadlight device
CN109611781A (zh) * 2019-01-31 2019-04-12 成都恒坤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车灯近光照明光学装置及汽车前照灯总成
JP7420362B2 (ja) * 2019-02-28 2024-01-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ヘッドランプ
CN111853701A (zh) * 2019-04-30 2020-10-30 株洲湘火炬汽车灯具有限责任公司 近光车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20B1 (ko) 2002-04-23 2005-09-29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광원 유닛
KR100524498B1 (ko) 2002-07-04 2005-10-3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KR100564712B1 (ko) 2003-02-10 2006-03-30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전조등 및 광학 유닛
US20080247185A1 (en) * 2007-04-05 2008-10-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Lamp unit for vehicle headlamp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077Y2 (ja) * 1992-07-27 1998-07-2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153364B2 (ja) * 2003-05-22 2008-09-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969958B2 (ja) * 2006-09-13 2012-07-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4754518B2 (ja) * 2007-03-26 2011-08-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2008276955A (ja) * 2007-04-25 2008-11-13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
JP2009211964A (ja) * 2008-03-05 2009-09-17 Koito Mfg Co Ltd 車両用ランプシステム
JP5233686B2 (ja) * 2009-01-13 2013-07-1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420B1 (ko) 2002-04-23 2005-09-29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광원 유닛
KR100524498B1 (ko) 2002-07-04 2005-10-31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등기구
KR100564712B1 (ko) 2003-02-10 2006-03-30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차량용 전조등 및 광학 유닛
US20080247185A1 (en) * 2007-04-05 2008-10-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Lamp unit for vehicle head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80029A1 (en) 2011-11-17
US8439539B2 (en) 2013-05-14
JP5620714B2 (ja) 2014-11-05
KR20110126524A (ko) 2011-11-23
JP2011243362A (ja)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659B1 (ko) 로우빔용 등기구 유닛
KR100767253B1 (ko) 차량용 전조등
JP4970136B2 (ja)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4308708B2 (ja) 車両用前照灯
CN101285561B (zh) 车辆用灯具单元
JP4205048B2 (ja) 車両用前照灯
JP4694438B2 (ja) 車両前照灯
JP4391870B2 (ja) 車両用照明灯具
US9103517B2 (en) Vehicle light
CN112664899B (zh) 前照灯模块
US7985011B2 (en) Vehicle lamp
US20050180158A1 (en) Vehicle lamp unit
KR101393659B1 (ko) 차량용 전조등
JP4536479B2 (ja) 車両用前照灯
JP2005251435A (ja) 車両用前照灯
JP5457925B2 (ja) 車両用灯具
JP2017521832A (ja) 自動車用の照明モジュール
JP2011040247A (ja)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4339153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6688153B2 (ja) レンズ体および車両用灯具
JP5445049B2 (ja) 車両用灯具
KR20220082495A (ko) 차량용 슬림형 램프 장치
WO2022260095A1 (ja) 車両用灯具のレンズ、車両用灯具ユニット、車両用灯具装置
JP7459481B2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前照灯
KR102409832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