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633B1 -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Google Patents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3633B1 KR102313633B1 KR1020140188578A KR20140188578A KR102313633B1 KR 102313633 B1 KR102313633 B1 KR 102313633B1 KR 1020140188578 A KR1020140188578 A KR 1020140188578A KR 20140188578 A KR20140188578 A KR 20140188578A KR 102313633 B1 KR102313633 B1 KR 1023136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plate
- cut
- edge
- low beam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F21V11/16—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using sheets without apertures, e.g. fix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4—Surgical or dental spot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는, 차량의 헤드 램프 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에 있며, 수평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의 선단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1 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선단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2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2 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오프 에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제2 컷오프 에지를 포함하는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 램프용 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로우빔/하이빔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방향 지시 램프,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라이트(Position Light)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각종의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광도, 빛의 색상, 배광 범위 등이 법규화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로우빔 램프에서 출사되는 로우빔은 대항 차량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기 위해 소정의 컷오프 라인을 넘어서지 않도록 규제되고 있다.
이를 위해, 로우빔 램프는 일반적으로 광원에서 출사된 빛을 렌즈를 향해 반사하는 리플렉터의 반사면 및 리플렉터에서 렌즈로 향하는 빛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쉴드를 포함한다.
도 10은 종래의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의 쉴드에 의한 로우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폐루프의 선들은 스크린에 조사된 빔 패턴 내에서 대략 동일한 광도를 갖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으로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들어올수록 점진적으로 높은 광도를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빔 패턴(A1)은 소정의 컷오프 라인(C)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쉴드(1)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차단하는 연속하는 플레이트들 (12, 13, 14)을 형성하고, 플레이트들 (12, 13, 14)의 선단에는 로우빔 패턴(A1)의 컷오프 라인(C)에 대응하는 컷오프 에지(11)를 형성한다.
차량의 우측 통행이 강제되는 지역에서는 차량의 전방 우측으로는 대항 차량이 없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비해 우측이 상부에 위치하는 컷오프 라인(C)을 갖는 로우빔을 사용하여, 차량의 전방 우측에 대한 조사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러한 컷오프 라인(C)을 형성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오프 에지(11)는 상호 단차를 형성하는 제1 컷오프 에지(11a)와 제2 컷오프 에지(11c) 그리고, 경사를 형성하며 제1 컷오프 에지(11a)와 제2 컷오프 에지(11c)를 연결하는 제3 컷오프 에지(11b)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컷오프 에지(11)의 형상으로 인해, 제1 컷오프 에지(11a)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12)와 제2 컷오프 에지(11c)가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14) 역시 상호 단차를 형성하고, 제3 컷오프 에지(11b)가 형성되는 제3 플레이트(13)는 제1 플레이트(12)와 제2 플레이트(14)를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플레이트들(12, 13, 14)에 의해 차단된 빛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12), 제2 플레이트(14) 및 제3 플레이트(13)의 상면은 반사 물질로 코팅된다. 따라서, 플레이트들(12, 13, 14)의 상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어 로우빔 패턴(A1)을 형성한다.
그러나, 제1 플레이트(12)와 제2 플레이트(14)가 전체적으로 단차를 형성하므로 도 11의 B 영역과 같이 로우빔 패턴(A1) 중 일그러지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도 11의 B 영역과 같이 일그러지는 영역은 불균일한 조도 및 휘도를 형성하므로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피로감을 느끼게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고른 광 분포를 갖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는, 차량의 헤드 램프 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에 있며, 수평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 상기 백플레이트의 선단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1 전방 플레이트 및 상기 백플레이트의 선단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2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2 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오프 에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제2 컷오프 에지를 포함하는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양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양의 기울기 또는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제1 양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1 양의 기울기와는 다른 제2 양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제1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상기 백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1 양의 기울기와는 다른 제2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의 선단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컷오프 에지와 상기 제2 컷 오프 에지를 연결하는 제3 컷 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3 전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비틀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와 접하는 상기 제3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의 후단측은 상기 백플레이트와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컷오프 에지 및 상기 제2 컷오프 에지는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보다 고른 광 분포를 갖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로우빔에 의한 운전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에 의한 로우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쉴드에 의한 로우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에 의한 로우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쉴드에 의한 로우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는,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12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10)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기초를 형성하며,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후방으로부터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후방까지 이어지는 수평면을 형성하는 상면을 포함한다.
제1 전방 플레이트(120)는 백플레이트(110)의 선단 일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선단에는 후방으로 볼록한 제1 컷오프 에지(122)가 형성된다. 제1 컷오프 에지(122)는 로우빔 쉴드(100)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A2, 도 5 참고)의 컷오프 라인(C, 도 5 참고)의 일측 또는 타측을 형성한다.
제1 컷오프 에지(122)가 형성되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양의 기울기(θ2)를 형성하며 상향의 경사면을 이룬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의 후단측(123)은 백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제2 전방 플레이트(130)는 백플레이트(110)의 선단 타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선단에는 후방으로 볼록한 제2 컷오프 에지(132)가 형성된다. 제2 컷오프 에지(132)는 로우빔 쉴드(100)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A2, 도 5 참고)의 컷오프 라인(C, 도 5 참고)의 타측 또는 일측을 형성한다.
제2 컷오프 에지(132)의 일측(제3 컷오프 에지(142)와 연결되는 측)은 제1 컷오프 에지(122)의 타측(제3 컷오프 에지(142)와 연결되는 측)과 단차를 이룬다. 이 때, 제2 컷오프 에지(132)의 일측은 제1 컷오프 에지(122)의 타측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2 컷오프 에지(132)는 전체적으로 제1 컷오프 에지(122)와 단차를 형성하며 제1 컷오프 에지(122)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컷오프 에지(132)가 형성되는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음의 기울기(θ1)를 형성하며 하향의 경사면을 이룬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의 후단측(133)은 백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제3 전방 플레이트(140)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와 제2 전방 플레이트(130)를 연결하도록 백플레이트(110)의 선단 중앙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은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과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선단에는 제3 컷오프 에지(142)가 형성된다. 제3 컷오프 에지(142)는 제1 컷오프 에지(122)와 제2 컷 오프 에지(42)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호 단차를 이루는 제2 컷오프 에지(132)의 일측과 제1 컷오프 에지(122)의 타측을 연결하기 위해 제3 컷오프 에지(142)는 수평선 및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를 갖는 에지를 형성한다.
제3 컷오프 에지(142)는 제1 컷오프 에지(122)와 제2 컷 오프 에지(42) 사이에서 로우빔 쉴드(100)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빔 패턴(A2, 도 5 참고)의 컷오프 라인(C, 도 5 참고)의 중심부를 형성한다.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의 후단측(133)은 백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제3 컷오프 에지(142)가 형성되는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의 선단측은 수평선 및 수직선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를 갖는 에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고 있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과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을 연결하며 비틀어진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를 전방에서 바라봤을 때에, 제1 전방 플레이트(120)는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양의 기울기(θ2)를 형성하므로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은 관측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 전방 플레이트(130)는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음의 기울기(θ1)를 형성하므로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이 관측된다.
또한,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은 비틀어진 곡면을 형성하므로, 전방에서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이 일부 관측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로우빔 쉴드의 배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를 후방에서 바라봤을 때,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후방으로부터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후방까지 이어지는 수평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110)가 관측된다.
그리고, 제1 전방 플레이트(120)는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양의 기울기(θ2)를 형성하므로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이 관측된다. 반면에, 제2 전방 플레이트(130)는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음의 기울기(θ1)를 형성하므로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은 관측되지 않는다.
또한,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은 비틀어진 곡면을 형성하므로, 후방에서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이 일부 관측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12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21, 131, 141)은 알루미늄, 크롬 등의 반사 물질로 코팅되어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12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 중 어느 하나로 입사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구성된다.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12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21, 131, 141)에서 반사된 빛은 리플렉터(미도시)에 의해 반사되어 로우빔 패턴(A2)의 광도를 보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에 의한 로우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에 의한 로우빔을 스크린에 조사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우빔 패턴(A2)이 출사된다. 도 5에 도시된 폐루프의 선들은 스크린에 조사된 빔 패턴 내에서 대략 동일한 광도를 갖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으로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들어올수록 점진적으로 높은 광도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패턴(A2)은 제1 컷오프 에지(122), 제2 컷오프 에지(132) 및 제3 컷오프 에지(142)에 대응하는 컷오프 라인(C)을 형성한다.
도 11의 종래의 로우빔 패턴(A1)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패턴(A2)의 컷오프 라인(C)은 종래의 로우빔 패턴(A1)의 컷오프 라인(C)과 유사하게 좌측에 비해 우측이 상부에 위치하는 컷오프 라인(C)을 형성한다.
다만, 도 11의 종래의 로우빔 패턴(A1)의 B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일그러지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쉴드(1, 도 10 참고)와 달리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 전방 플레이트(120)와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21, 131)이 후단측(123, 133)으로 갈수록 단차가 줄어들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12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21, 131, 141)에서 반사된 빛이 크게 일그러지지 않고 대략 균일한 분포로 컷오프 라인(C)의 하부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도 11의 B 영역과 같이 광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빔 패턴은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었을 때 지면에 조사되는 빛의 조도 및 휘도가 불균일하게 나타나게 되어 운전자에게 시각적인 피로감을 느끼게 한다.
그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패턴(A2)은 광도가 급격하게 영역이 없이 광도의 분포가 대략 균일하게 나타나므로, 로우빔에 의한 운전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200)는,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22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200)의 백플레이트(110), 제2 전방 플레이트(1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양의 기울기(θ2)를 형성하였음에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200)의 제1 전방 플레이트(220)는 제1 전방 플레이트(220)의 상면(22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로우빔 쉴드(200)의 형상에 따른 로우빔 패턴은 도 5에 도시된 로우빔 패턴(A2)과는 다소 다른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며,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 전방 플레이트(220)와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221, 131)이 후단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은 공통되므로, 종래의 로우빔 패턴(A1, 도 11 참고)의 B 영역과 같은 광도가 급변하는 영역은 출현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300)는,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320), 제2 전방 플레이트(3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300)의 백플레이트(11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양의 기울기(θ2)를 형성하고,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음의 기울기(θ1)를 형성하였음에 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300)는 제1 전방 플레이트(320)의 상면(32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330)의 상면(331)이 모두 음의 기울기(θ3, θ4)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1 전방 플레이트(320)의 상면(321)과 제2 전방 플레이트(330)의 상면(331)의 기울기(θ3, θ4)는 서로 다른 음의 기울기를 가지며, 컷오프 에지의 형상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제1 전방 플레이트(320)의 상면(321)이 제2 전방 플레이트(330)의 상면(331)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 전방 플레이트(320)의 상면(321)의 기울기(θ3)의 절대값이 제2 전방 플레이트(330)의 상면(331)의 기울기(θ4)의 절대값보다 작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로우빔 쉴드(300)의 형상에 따른 로우빔 패턴은 도 5에 도시된 로우빔 패턴(A2)과는 다소 다른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며,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 전방 플레이트(320)와 제2 전방 플레이트(330)의 상면(321, 331)이 후단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은 공통되므로, 종래의 로우빔 패턴(A1, 도 11 참고)의 B 영역과 같은 광도가 급변하는 영역은 출현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400)는,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420), 제2 전방 플레이트(4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400)의 백플레이트(11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양의 기울기(θ2)를 형성하고,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음의 기울기(θ1)를 형성하였음에 반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400)는 제1 전방 플레이트(420)의 상면(421) 및 제2 전방 플레이트(430)의 상면(431)이 모두 양의 기울기(θ5, θ6)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1 전방 플레이트(420)의 상면(421)과 제2 전방 플레이트(430)의 상면(431)의 기울기(θ5, θ6)는 서로 다른 양의 기울기를 가지며, 컷오프 에지의 형상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제1 전방 플레이트(420)의 상면(421)이 제2 전방 플레이트(430)의 상면(431)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 전방 플레이트(420)의 상면(421)의 기울기(θ6)의 절대값이 제2 전방 플레이트(430)의 상면(431)의 기울기(θ5)의 절대값보다 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로우빔 쉴드(400)의 형상에 따른 로우빔 패턴은 도 5에 도시된 로우빔 패턴(A2)과는 다소 다른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며,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 전방 플레이트(420)와 제2 전방 플레이트(430)의 상면(421, 431)이 후단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은 공통되므로, 종래의 로우빔 패턴(A1, 도 11 참고)의 B 영역과 같은 광도가 급변하는 영역은 출현하지 않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500)는,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220), 제2 전방 플레이트(53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500)의 백플레이트(110), 제1 전방 플레이트(120) 및 제3 전방 플레이트(1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100)는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대해 음의 기울기(θ1)를 형성하였음에 반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쉴드(500)의 제2 전방 플레이트(530)는 제2 전방 플레이트(530)의 상면(531)이 백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로우빔 쉴드(500)의 형상에 따른 로우빔 패턴은 도 5에 도시된 로우빔 패턴(A2)과는 다소 다른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한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며, 백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제1 전방 플레이트(120)와 제2 전방 플레이트(530)의 상면(121, 531)이 후단측으로 갈수록 단차가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구조적 특징은 공통되므로, 종래의 로우빔 패턴(A1, 도 11 참고)의 B 영역과 같은 광도가 급변하는 영역은 출현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00, 200, 300, 400, 500: 로우빔 쉴드
110: 백플레이트
120, 220, 320, 420: 제1 전방 플레이트
121, 221, 321, 421: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
11a, 122: 제1 컷오프 에지
123: 제1 전방 플레이트의 후단측
130, 330, 430, 530: 제2 전방 플레이트
131, 331, 431, 531: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
11b, 132: 제2 컷오프 에지
133: 제2 전방 플레이트의 후단측
140: 제3 전방 플레이트
141: 제3 전방 플레이트 상면
11c, 142: 제3 컷오프 에지
143: 제3 전방 플레이트의 후단측
C: 컷오프 라인
A1: 종래의 로우빔 패턴
A2: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패턴
110: 백플레이트
120, 220, 320, 420: 제1 전방 플레이트
121, 221, 321, 421: 제1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
11a, 122: 제1 컷오프 에지
123: 제1 전방 플레이트의 후단측
130, 330, 430, 530: 제2 전방 플레이트
131, 331, 431, 531: 제2 전방 플레이트의 상면
11b, 132: 제2 컷오프 에지
133: 제2 전방 플레이트의 후단측
140: 제3 전방 플레이트
141: 제3 전방 플레이트 상면
11c, 142: 제3 컷오프 에지
143: 제3 전방 플레이트의 후단측
C: 컷오프 라인
A1: 종래의 로우빔 패턴
A2: 제1 실시예에 따른 로우빔 패턴
Claims (10)
- 차량의 헤드 램프 내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에 있어서,
수평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110);
상기 백플레이트(110)의 선단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1 전방 플레이트(120, 220, 320, 420); 및
상기 백플레이트(110)의 선단 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2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2 전방 플레이트(130, 330, 430, 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컷오프 에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120, 220, 320, 420)의 상면(121, 221, 321, 421)은 상기 제2 컷오프 에지를 포함하는 제2 전방 플레이트(130, 330, 430, 530)의 상면(131, 331, 431, 531)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120, 220, 320, 420)와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130, 330, 430, 530)를 연결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10)의 선단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컷오프 에지와 상기 제2 컷오프 에지를 연결하는 제3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제3 전방 플레이트(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백플레이트(110)와 접하는 후단측으로부터 상기 제3 컷오프 에지를 형성하는 선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120, 220, 320, 420)의 상면(121, 221, 321, 421)과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130, 330, 430, 530)의 상면(131, 331, 431, 531) 사이의 기울기 차이에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비틀리는 형상을 가지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120)의 상면(12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양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220)의 상면(22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130)의 상면(13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양의 기울기 또는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420)의 상면(42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제1 양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430)의 상면(43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상기 제1 양의 기울기와는 다른 제2 양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320)의 상면(32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제1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방 플레이트(330)의 상면(331)은 상기 백플레이트(110)에 대해 상기 제1 음의 기울기와는 다른 제2 음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110), 상기 제1 전방 플레이트(120, 220, 320, 420)의 상면(121, 221, 321, 421), 제2 전방 플레이트(130, 330, 430, 530)의 상면(131, 331, 431, 531) 및 상기 제3 전방 플레이트(140)의 상면(141)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으로 형성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컷오프 에지 및 상기 제2 컷오프 에지는 상기 로우빔 패턴의 컷오프 라인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8578A KR102313633B1 (ko) | 2014-12-24 | 2014-12-24 |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DE102015226441.6A DE102015226441A1 (de) | 2014-12-24 | 2015-12-22 | Abblendlichtabschirmung für Scheinwerf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8578A KR102313633B1 (ko) | 2014-12-24 | 2014-12-24 |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7985A KR20160077985A (ko) | 2016-07-04 |
KR102313633B1 true KR102313633B1 (ko) | 2021-10-18 |
Family
ID=5650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8578A KR102313633B1 (ko) | 2014-12-24 | 2014-12-24 |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363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4994A (ja) * | 2007-10-25 | 2009-05-14 | Ichikoh Ind Ltd | 車両用灯具 |
JP2010015836A (ja) * | 2008-07-03 | 2010-01-21 | Koito Mfg Co Ltd | 車両用前照灯 |
JP2010165474A (ja) | 2009-01-13 | 2010-07-29 | Ichikoh Ind Ltd | 車両用灯具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20714B2 (ja) * | 2010-05-17 | 2014-11-05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ロービーム用灯具ユニット |
-
2014
- 2014-12-24 KR KR1020140188578A patent/KR1023136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4994A (ja) * | 2007-10-25 | 2009-05-14 | Ichikoh Ind Ltd | 車両用灯具 |
JP2010015836A (ja) * | 2008-07-03 | 2010-01-21 | Koito Mfg Co Ltd | 車両用前照灯 |
JP2010165474A (ja) | 2009-01-13 | 2010-07-29 | Ichikoh Ind Ltd | 車両用灯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7985A (ko) | 2016-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9755B1 (ko) |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
EP2299166B1 (en) | Lamp unit for vehicle headlamp | |
JP6232225B2 (ja) | 車両用灯具 | |
JP6663164B2 (ja) | 車両用灯具ユニット | |
CN104864334B (zh) | 照明装置以及具有照明装置的汽车 | |
JP6158549B2 (ja) | 車両用前照灯 | |
US10156333B2 (en) | Lamp for vehicle | |
JP5848920B2 (ja) | 車両用前照灯 | |
KR101672031B1 (ko) | 차량용 램프 모듈 | |
KR101794065B1 (ko) |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 |
KR102118137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313633B1 (ko) |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 |
KR20150112549A (ko) | 차량용 램프 | |
JP2010192334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5723418B2 (ja) | 車両用前照灯 | |
KR101486818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298960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250659B1 (ko) |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 |
JP6162543B2 (ja) | 車両用前照灯 | |
KR20130088266A (ko) | 자동차용 안개등 | |
KR101948528B1 (ko) | 차량용 램프 | |
KR102140216B1 (ko) | 차량용 램프 | |
JP2009218061A (ja) | 車両前照灯用光学ユニット | |
KR102243936B1 (ko) |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 |
KR20150057387A (ko) | 차량용 램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