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968B1 - 차선분리대 - Google Patents

차선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968B1
KR101361968B1 KR1020120052450A KR20120052450A KR101361968B1 KR 101361968 B1 KR101361968 B1 KR 101361968B1 KR 1020120052450 A KR1020120052450 A KR 1020120052450A KR 20120052450 A KR20120052450 A KR 20120052450A KR 101361968 B1 KR101361968 B1 KR 101361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spring
elastic
guide
elastic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614A (ko
Inventor
강준우
강혜영
Original Assignee
강혜영
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영, 강준우 filed Critical 강혜영
Priority to KR102012005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96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53Rails of materials other than metal or concrete, e.g. wood, plastics; Rails of different materials, e.g. rubber-faced metal profiles, concrete-filled steel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지면서 복원우수성이 뛰어난 차선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선분리대는 앵카볼트(11) 상부로 결합부재(12)가 일체구성되는 한편 결합부재(12) 중심 선상으로 와이어(13)가 일정길이 상향 돌출되어 그 외주연으로 스프링(14)이 스프링고정구(15)에 의해 탄발,설치되는 결합수단(1)과;, 상기 결합부재(12)로 하단을 끼워 나사(21)결합시키는 수직선상의 지주대(2)와;, 상기 지주대(2) 상부 양측에 수평선상으로 연결,설치되는 가이드연결대(3)로 구성되는 차선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2) 상부 양측에 설치공(22)을 형성한 다음 그 내에 탄력스프링(4)의 양측단이 지주대(2) 양측부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설치하고, 상기 가이드연결대(3)는 양측부에 상기 탄력스프링(4)의 감김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연결핀(31)을 끼움,설치하여 연결핀(31)이 탄력스프링(4)의 코일 감김 방향을 따라 회전,이송하면서 가이드연결대(3)를 지주대(2)에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선분리대{A DIVISIONAL STRIP}
본 발명은 차량충돌 등의 외부충격으로부터 파손 및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복원우수성이 뛰어나도록 한 다방향 유연성을 가지는 차선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분리대는 도로 중앙분리, 커브길 표시, 인도와 차도분리, 차량 진입금지 등의 표시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조물로 통상 여러 개의 지주대와 그 지주대를 연결하는 여러 개의 가이드연결대로 이루어져 도로면으로 여러 개의 지주대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앵커볼트로 설치한 다음 그 각각의 지주대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가이드연결대를 볼트,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선분리대는 차량 충돌 등에 의한 외부충격 발생시 유연성이 전혀 없음은 물론 충격흡수가 불가능하여 지주대가 쉽게 파손됨은 물론 심할 경우 앵커볼트를 강제 인출시켜 위치이탈시키게 되므로 2차 사고의 우려가 있었고, 또 가이드연결대가 지주대와 볼트 결합되어 있어 작은 충격에도 그 연결부위의 볼트가 쉽게 훼손되거나 볼트 주변 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여 도로의 미관을 해치므로 잦은 교체가 불가피하여 많은 비용 낭비를 가져왔다.
단 차선분리대는 그 사용목적상 불가피하게 차량 및 보행자와의 충돌 우려가 많으므로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소정의 유연성을 부여하게 되나, 그 재질 특성만으로는 충격흡수가 미진하여 위 문제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없었음은 물론 동절기 내지는 장기간 사용시 파손을 피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하여 지주대가 도로면으로부터 스프링에 의해 휘어지도록 유연성을 부여한 차선규제봉 및 차선분리대 기능을 갖는 도로 안전가이드(발명 제10-1129958호, 이하 선 출원된 발명이라 칭함)를 안출한 바 있다.
하지만, 위 선 출원된 발명은 앞서 설명한 차선분리대의 문제점인 지주대의 파손 및 원상태 복귀에 대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하였으나 지주대 일측 내지는 양측에 결합되는 가이드연결대의 파손에 대한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던 숙제를 가지고 있었다.
즉, 선 출원된 발명은 지주대를 도로면으로부터 스프링으로 연결설치하여 차량등의 충돌시 상기 스프링이 지주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지주대를 충격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유도하여 지주대와 차량의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주지만, 지주대 일측 내지는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연결대는 종전과 동일하게 볼트결합되어 외부충격시 그 연결부위가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종래 문제와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선 출원된 발명을 보완하여 보다 양질의 차선분리대를 제공코자 본 발명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차선분리대의 가이드연결대로 유연성을 부여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가이드연결대가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로 인한 차선분리대와 차량 등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 차선분리대의 복귀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선분리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며,
나아가 본외부충격에 의한 다방향 유연성 발휘로 차선분리대의 보호가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차선분리대를 제공코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선분리대는 앵카볼트(11) 상부로 결합부재(12)가 일체구성되는 한편 결합부재(12) 중심 선상으로 와이어(13)가 일정길이 상향 돌출되어 그 외주연으로 스프링(14)이 스프링고정구(15)에 의해 탄발,설치되는 결합수단(1)과;, 상기 결합부재(12)로 하단을 끼워 나사(21)결합시키는 수직선상의 지주대(2)와;, 상기 지주대(2) 상부 양측에 수평선상으로 연결,설치되는 가이드연결대(3)로 구성되는 차선분리대에 있어서,
지주대(2)와 그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연결대(3)를 탄력스프링(4)으로 상호 연결구성하되,
상기 지주대(2)는 상부 양측에 설치공(22)을 형성한 다음 그 내에 탄력스프링(4)의 양측단이 지주대(2) 양측부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설치하고, 상기 탄력스프링(4)은 지주대(2)에서 일정길이 돌출된 양측단을 연결부(41)로, 지주대 (2)양측 설치공(22) 선상에 위치하는 내측부를 탄성부(42)로, 상기 탄성부(42)와 탄성부(42)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부를 고정부(43)로 나누어 구성하되,
상기 탄력스프링(4)의 양측 연결부(41)는 코일감김방향을 서로 대칭형성함과 동시에 코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양측 탄성부(42)는 코일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하여 탄성의 효과가 배가 되게 하고,
상기 고정부(43)는 탄성부(42)와 탄성부(42)를 연결하는 중심 선상의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90° 비틀어 코일 중심부에 끼움공(44)을 부여하는 한편 그 끼움공(44) 내에 상부 걸림대(45)를 가지는 이탈방지핀(46)을 억지끼움하여 구성하며,
가이드연결대(3)는 양측부에 상기 탄력스프링(4)의 감김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연결핀(31)을 끼움,설치하여 연결핀(31)이 탄력스프링(4)의 코일 감김 방향을 따라 회전,이송하면서 가이드연결대(3)와 지주대(2)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선분리대는 지주대와 가이드연결대를 탄력스프링으로 연결구성하여 유연성을 부여한 것으로 차량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 발생시 지주대와 가이드연결대가 다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차량은 물론 차선분리대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하고, 또 차선분리대의 원위치 복기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을 도모하며,
특히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 절감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으로 비용을 현저히 절감해 대외 경쟁력을 배가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대단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 확대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제시하는 탄력스프링과 그에 결합되는 가이드연결대의 부분 예시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선분리대는 도로면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다수 설치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 양측에 설치되어 지주대와 지주대를 연결시키는 가이드연결대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 상부 양측에 설치공을 형성하여 그 내에 탄력스프링의 양측단이 지주대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설치하는 한편 상기 탄력스프링 양측단에 가이드연결대를 결합시켜 지주대와 가이드연결대가 탄력스프링에 의해 다방향 유연성을 가지도록 함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력스프링은 지주대에서 일정길이 돌출된 양측단을 연결부로, 지주대 양측 설치공 선상에 위치하는 내측부를 탄성부로, 상기 탄성부와 탄성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부를 고정부로 나누어 구성하되,
상기 탄력스프링의 양측 연결부는 코일감김방향을 서로 대칭형성함과 동시에 코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양측 탄성부는 코일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는 탄성부와 탄성부를 연결하는 중심 선상의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90° 비틀어 코일 중심부에 끼움공을 부여하는 한편 그 끼움공 내에 상부 걸림대를 가지는 이탈방지핀을 억지,끼움한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이드연결대는 양측부에 상기 탄력스프링의 감김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연결핀을 끼움,설치하여 상기 연결핀이 탄력스프링의 코일 감김 방향을 따라 회전,이송하면서 가이드연결대를 지주대에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선분리대를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선분리대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통상적으로 차선분리대는 도로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다수개 설치되는 지주대(2)와 상기 지주대(2)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주대(2)와 지주대(2)를 연결하는 다수의 가이드연결대(3)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차선분리대의 지주대(2)는 본 출원인 선출원한 결합수단(1)에 의해 설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차선분리대에 있어서, 지주대(2)와 가이드연결대(3)를 탄력스프링(4)으로 상호 연결구성하여 다방향으로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주대(2)의 상부 양측에 설치공(22)을 형성한 다음 그 내에 탄력스프링(4)의 양측단이 지주대(2) 양측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관통설치한다.
또 가이드연결대(3)의 양측부에 상기 탄력스프링(4)의 감김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연결핀(31)을 끼움,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탄력스프링(4) 양측단을 가이드연결대(3) 일측단 내에 삽입하여 연결핀(31)과 탄력스프링(4)의 양측 연결부(41)를 접촉시킨 다음 가이드연결대(3)를 회전시켜 연결핀(31)을 탄력스프링(4)의 연결부(41)를 따라 회전,이송시켜 지주대(2)로 가이드연결대(3)가 결합되게 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선분리대는 도 1에서와 같이 차량 충돌 등과 같은 외부충격발생시, 지주대는 도로면으로부터 선 출원된 결합수단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고 지주대와 지주대를 연결하는 가이드연결대는 지주대에 설치된 탄력스프링에 의해 충격방향으로 유연하게 기울어지거나 꺾이면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및 차선분리대의 파손과 훼손이 최소화되고 차후 스프링작용에 의해 원상 복귀가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반 영구적인 사용을 도모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다수의 지주대와 가이드연결대가 모두 결합수단의 스프링과 탄력스프링에 의해 결합연결되어 외부충격시 다방향으로 기울어져 대처함은 물론
다양한 외부충격 행태 즉 직선상 내지는 곡선상 내지는 뒤틀림 등의 충격형태에도 지주대와 가이드연결대가 스프링작용에 의해 비틀어지면서 대처하여 차량과 차선분리대의 파손 예방 및 그 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력스프링(4)을 지주대(2)에서 일정길이 돌출된 양측단을 연결부(41)로, 지주대 (2)양측 설치공(22) 선상에 위치하는 내측부를 탄성부(42)로, 상기 탄성부(42)와 탄성부(42)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부를 고정부(43)로 나누어 구성하되,
양측 연결부(41)는 코일감김방향을 서로 대칭형성함과 동시에 코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한다.
상기의 양측 연결부는 지주대 양측에 돌출되어 가이드연결대의 연결핀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핀이 경유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형성함이 바람직한다.
또 도 1에서와 같이 지주대와 지주대 사이에 하나의 가이드연결대를 결합할 때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가이드연결대의 양측단 내로 각각 지주대에 설치된 탄성스프링 일측 연결부를 끼움,회전시켜 연결핀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대와 지주대 사이의 가이드연결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그 양측단이 각각 양측 지주대의 탄성스프링 일측과 위 방법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그 감김방향이 상호 대칭형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양측 탄성부(42)는 코일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한다.
상기 탄성부는 가이드연결대로 충격이 가해질 때 유연성을 발휘하는 부분으로 그 유연성과 복귀력이 우수하도록 코일을 서로 밀착형성하여 탄성의 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정부(43)는 탄성부(42)와 탄성부(42)를 연결하는 중심 선상의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90° 비틀어 코일 중심부에 끼움공(44)을 부여하는 한편 그 끼움공(44) 내에 상부 걸림대(45)를 가지는 이탈방지핀(46)을 억지,끼움시켜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는 도 5에서와 같이 탄력스프링을 구성할 때 그 양측의 연결부와 탄성부 사이에 위치한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비틀어 양측을 구분시킴과 동시에
비틀어진 코일(원형)을 끼움공으로 사용하여 그 내에 상기 이탈방지핀이 억지 끼움되어 탄력스프링이 지주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가이드연결대가 탄력스프링에 회전결합될 때, 탄력스프링이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핀은 상단에 걸림대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핀이 끼움공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선분리대의 지주대는 본 출원이 선출원한 결합수단으로 도로면에 설치구성하고 상기 지주대와 지주대를 연결하는 가이드연결대는 본 발명의 탄력스프링으로 상호 연결구성하여 차량충돌 등의 외부충격 발생시, 다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비틀려 차량은 물론 차선분리대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원위치 복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도모하여 종래에 대두되었던 문제를 한번에 일소하여 주고 또 반영구적인 사용으로 비용까지 절감시켜 주는 경재적 효과까지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선분리대를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 결합수단 11 : 앵커볼트
12 : 결합부재 13 : 와이어
14 : 스프링 15 : 스프링고정구
2 : 지주대 21 : 나사
22 : 설치공 3 : 가이드연결대
31 : 연결핀 4 : 탄력스프링
41 : 연결부 42 : 탄성부
43 : 고정부 44 : 끼움공
45 : 걸림대 46 : 이탈방지핀

Claims (2)

  1. 앵카볼트(11) 상부로 결합부재(12)가 일체구성되는 한편 결합부재(12) 중심 선상으로 와이어(13)가 일정길이 상향 돌출되어 그 외주연으로 스프링(14)이 스프링고정구(15)에 의해 탄발,설치되는 결합수단(1)과;, 상기 결합부재(12)로 하단을 끼워 나사(21)결합시키는 수직선상의 지주대(2)와;, 상기 지주대(2) 상부 양측에 수평선상으로 연결,설치되는 가이드연결대(3)로 구성되는 차선분리대에 있어서,
    지주대(2)와 그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연결대(3)를 탄력스프링(4)으로 상호 연결구성하되,
    상기 지주대(2)는 상부 양측에 설치공(22)을 형성한 다음 그 내에 탄력스프링(4)의 양측단이 지주대(2) 양측부로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도록 탄력스프링(4)을 관통설치하고,
    상기 가이드연결대(3)는 양측부로 탄력스프링(4)의 감김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연결핀(31)을 끼움,설치하여,
    가이드연결대(3) 양측단 내부로 지주대(2)에 설치대 탄력스프링(4) 양측을 각각 삽입하여 연결핀(31)이 탄력스프링(4)의 코일 감김 방향을 따라 회전,이송하면서 가이드연결대(3)를 지주대(2)에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분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스프링(4)은 지주대(2)에서 일정길이 돌출된 양측단을 연결부(41)로, 지주대 (2)양측 설치공(22) 내측 선상에 위치하는 내측부를 탄성부(42)로, 상기 탄성부(42)와 탄성부(42)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부를 고정부(43)로 나누어 구성하되,
    상기 탄력스프링(4)의 양측 연결부(41)는 코일감김 방향을 서로 대칭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코일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양측 탄성부(42)는 코일을 서로 밀착된 상태로 형성하여 탄성의 효과가 배가 되게 하고,
    상기 고정부(43)는 탄성부(42)와 탄성부(42)를 연결하는 중심 선상의 코일을 수평방향으로 90° 비틀어 코일 중심부에 끼움공(44)을 부여하는 한편 그 끼움공(44) 내에 상부 걸림대(45)를 가지는 이탈방지핀(46)을 억지끼움하여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분리대.
KR1020120052450A 2012-05-17 2012-05-17 차선분리대 KR101361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50A KR101361968B1 (ko) 2012-05-17 2012-05-17 차선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50A KR101361968B1 (ko) 2012-05-17 2012-05-17 차선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614A KR20130128614A (ko) 2013-11-27
KR101361968B1 true KR101361968B1 (ko) 2014-02-11

Family

ID=4985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450A KR101361968B1 (ko) 2012-05-17 2012-05-17 차선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9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013B1 (ko) * 2015-01-15 2018-01-1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중앙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8958B1 (ko) 2017-03-10 2018-08-17 주식회사 로드폴 차선 분리대
KR101993613B1 (ko) * 2018-09-21 2019-06-27 (주)건축사사무소테마공간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564B (zh) * 2017-03-21 2019-03-19 安徽卓航展示用品有限公司 防撞护栏
CN108457221B (zh) * 2018-02-10 2019-02-19 平顶山市公路工程公司 一种市政道路安全防护装置
KR102231697B1 (ko) * 2020-06-12 2021-03-24 주식회사 이도산업 탄성 어댑터를 이용한 펜스용 지주와 횡대의 연결장치
CN112302414B (zh) * 2020-10-23 2021-12-21 中铁二十一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工程的安全防护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523605B (zh) * 2020-11-26 2022-01-11 上海民航新时代机场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拆卸的节能环保型电力围栏固定桩辅助装置
CN112854895A (zh) * 2021-01-14 2021-05-28 广州香珍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市政园林施工防护系统
KR102298570B1 (ko) * 2021-03-17 2021-09-06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펜스와 지주의 순차적 충격흡수가 가능한 탄성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812A (ko) * 2007-05-18 2008-11-21 남상경 완충형 가드레일 연결대
KR20090084420A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드레일
KR101028334B1 (ko) 2010-08-20 2011-04-11 (주)도경이앤씨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
KR101129958B1 (ko) 2011-12-02 2012-03-26 강혜영 차선규제봉 및 차선분리대 기능을 갖는 도로 안전가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812A (ko) * 2007-05-18 2008-11-21 남상경 완충형 가드레일 연결대
KR20090084420A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드레일
KR101028334B1 (ko) 2010-08-20 2011-04-11 (주)도경이앤씨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
KR101129958B1 (ko) 2011-12-02 2012-03-26 강혜영 차선규제봉 및 차선분리대 기능을 갖는 도로 안전가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013B1 (ko) * 2015-01-15 2018-01-1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중앙분리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88958B1 (ko) 2017-03-10 2018-08-17 주식회사 로드폴 차선 분리대
KR101993613B1 (ko) * 2018-09-21 2019-06-27 (주)건축사사무소테마공간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614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968B1 (ko) 차선분리대
KR10127145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안전 휀스
KR102118831B1 (ko) 차선분리대 구조물
KR101213761B1 (ko) 충격 완화용 보행자 방호 울타리
AU2016387170B2 (en) A wire rope barrier
KR102091924B1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KR101672788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KR200390592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1286982B1 (ko) 차선분리대
CN104895317A (zh) 一种方盘快速安装脚手架
JP2023041907A (ja) ケーブル式道路防護柵用支柱
EA025553B1 (ru) Съемн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вертика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малых архитектурных форм
KR102126738B1 (ko) 차선분리대
EP2584096A1 (en) Road barrier
KR20070064413A (ko) 차선 규제봉
KR101163030B1 (ko) 복원기능과 차선규제기능을 갖는 무단횡단방지용 탄성 중앙분리대
CN209670384U (zh) 一种建筑工地安全管理系统
KR200459949Y1 (ko) 조립식 레일지지용 슬리브가 구비된 난간
JP6974121B2 (ja) 可動支柱、ワイヤロープ式防護柵及び橋梁
KR200467526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101149719B1 (ko) 차선지시봉
CN106702924B (zh) 防撞护栏
CN220183898U (zh) 一种新型sb级缆索护栏
CN215485203U (zh) 一种公路桥梁防撞装置
KR102298570B1 (ko) 펜스와 지주의 순차적 충격흡수가 가능한 탄성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