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592Y1 - 도로용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도로용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592Y1
KR200390592Y1 KR20-2005-0012057U KR20050012057U KR200390592Y1 KR 200390592 Y1 KR200390592 Y1 KR 200390592Y1 KR 20050012057 U KR20050012057 U KR 20050012057U KR 200390592 Y1 KR200390592 Y1 KR 200390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road
lane
retur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덕희
Original Assignee
임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덕희 filed Critical 임덕희
Priority to KR20-2005-0012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592Y1/ko
Priority to JP2005010964U priority patent/JP3119944U/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로용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불법 유턴 및 타측 차선으로의 진입을 규제하는 규제봉에 차량의 접촉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되며 그 충격을 흡수한 후 원상복귀되어 차량과 규제봉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로에 볼트(700)로 체결되는 좌대(200)와; 상기 좌대(200)의 상부에 세워지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와 좌대(200)를 이탈방지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600)와, 상기 지주(1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될 때 다시 세워지도록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0)의 상단부에는 코일스프링형상인 탄성복귀수단(500)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복귀수단(500)의 상단부가 걸리어 결합되는 걸림판(410)이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파이프(400)가 지주(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00)의 하부에는 지지파이프(400)가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좌대(200)에 지주(100)가 세워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하는 받침대(3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도로용 차선 규제봉{A Lane Control Stick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용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불법 유턴 및 타측 차선으로의 진입을 규제하는 규제봉에 차량의 접촉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되며 그 충격을 흡수한 후 원상복귀되어 차량과 규제봉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중앙선 침범 및 불번유턴은 물론, 타측 차선으로의 진입을 방지하고, 차선의 안내를 위한 도로안전용 규제봉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안전용 규제봉은 통상적으로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도로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제봉은, 운행중인 차량이 규제봉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규제봉이 충격력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됨은 물론, 차량에도 변형을 발생시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물질적 피해를 직접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차량과의 접촉에 의해 파손된 규제봉은 도로변에 비산되어 또다른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규제봉은 도로의 지면에 접하며 고정되는 죄대와, 상기 좌대의 상부에 세워지는 지주가 일체로 형성된 관계로, 상기 좌대나 지주가 변형 및 파손된 경우 부분적인 교체를 수행할 수 없어 불 필요하게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좌대와 지주를 분리하고, 상기 지주와 좌대를 와이어 또는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복원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좌대 및 지주가 와이어나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서만 지지연결 됨으로써, 복원현상이 반복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이 저하되어 좌대의 일측으로 지주가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지면에 볼트 체결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상부에 세워지는 지주의 연결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탄성복귀력이 우수한 도로용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좌대와 연결되는 지주의 강성을 향상시켜, 상기 지주에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에 볼트(700)로 체결되는 좌대(200)와; 상기 좌대(200)의 상부에 세워지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와 좌대(200)를 이탈방지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600)와, 상기 지주(1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될 때 다시 세워지도록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0)의 상단부에는 코일스프링형상인 탄성복귀수단(500)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복귀수단(500)의 상단부가 걸리어 결합되는 걸림판(410)이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파이프(400)가 지주(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00)의 하부에는 지지파이프(400)가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좌대(200)에 지주(100)가 세워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하는 받침대(3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규제봉에 차량의 접촉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지주가 탄성변형되며 그 충격을 흡수한 후 원상복귀되어 차량과 규제봉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확대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좌대(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면과 결속을 위한 볼트(700)가 통과되도록 결속구멍(230)들이 수개 뚫어지게 하고, 중앙에는 연결부재(600)가 관통하기위한 통과공(220)이이 뚫어진다.
이 좌대(200)의 상부로 위치되는 지주(100)는 봉 형상으로 야간식별력을 높일 수 있게 축관체 또는 반사체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야간식별구(110)가 외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야간식별구(110)가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지주(100)의 하부에는 받침대(300)가 결합 된다.
상기 받침대(300)는 지주(100)의 하부 외측면이 내측벽면에 접하는 하부덮개(310)와, 상기 지주(100)의 하부 내측면에 외측벽면이 접하는 상부덮개(320)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덮개(310)에 상부덮개(320)를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하부덮개(310)의 내측벽면과 상부덮개(320)의 외측벽면 사이에 지주(100)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됨으로서, 상기 받침대(300)에 지주(100)를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주(100)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300)의 하부덮개(310) 저면부는 볼록하게 곡면부(3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곡면부(311)와 접하는 지지홈부(210)가 좌대(2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어, 좌대(200)의 상부에 세워진 형태를 유지하는 지주(100)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방향성 없이 원활하게 굽힘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받침대(300)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주(100) 내부에는 상단부에 걸림판(410)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지지파이프(4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파이프(400)의 외측면은 지주(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지주(100)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지주(100)에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 지게되면, 상기 지주(100)에 가해진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좌대(200)와 받침대(300)가 결합되어 있는 지주(100)는 연결부재(600)로 연결하게 된다.
연결부재(600)는 지주(100)가 차량 충돌등에 의해 굽힘 변위가 작용될 때 약간의 굼힘 변위가 가능하게 하며 지주의 이탈은 방지하는 와이어임을 밝혀 둔다.
이 연결부재(600)의 상단부에는 상단부가 지지파이프(400)의 걸림판(410)에 결합되어 있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복귀수단(500)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복귀수단(500)이 결합되어 있는 연결부재(600)의 하단부에는 좌대(200)로부터 연결부재(6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보다 그 직경이 큰 머리부(6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연결부재(600)에 의해 좌대(200) 및 지지파이프(40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100)가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탄성복귀수단(500)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인장력 및 원상복귀력이 우수하게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차선규제봉은 도로에 차량의 통과되지 못하도록 규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게 되는데, 운전 부주의 등으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도 1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100)의 설치각도가 변형되면서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복귀수단(500)이 그 변위를 흡수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탄성복귀수단의 당기는 힘에 의해 다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차량의 불법 유턴 및 타측 차선으로의 진입을 규제하는 규제봉에 차량의 접촉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되며 그 충격을 흡수한 후 원상복귀되어 차량과 규제봉이 변형 및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좌대와 연결되는 지주의 강성이 향상되어, 상기 지주에 일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함으로써, 규제봉을 설치 및 유지 및 보수시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주 200 : 좌대
210 : 지지홈부 300 : 받침대
310 : 하부덮개 311 : 곡면부
320 : 상부덮개 400 : 지지파이프
410 : 걸림판 500 : 탄성복귀수단
600 : 연결부재 700 : 볼트

Claims (4)

  1. 도로에 볼트(700)로 체결되는 좌대(200)와; 상기 좌대(200)의 상부에 세워지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와 좌대(200)를 이탈방지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600)와, 상기 지주(1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될 때 다시 세워지도록 복귀시키는 탄성복귀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00)의 상단부에는 코일스프링형상인 탄성복귀수단(500)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복귀수단(500)의 상단부가 걸리어 결합되는 걸림판(410)이 상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파이프(400)가 지주(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100)의 하부에는 지지파이프(400)가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좌대(200)에 지주(100)가 세워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하는 받침대(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귀수단(500)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인장력 및 원상복귀력이 우수하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0)는 지주(100)의 하부 외측면이 내측벽면에 접하는 하부덮개(310)와, 상기 지주(100)의 하부 내측면에 외측벽면이 접하는 상부덮개(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300)의 하부덮개(310) 저면부는 볼록하게 곡면부(31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곡면부(311)와 접하는 지지홈부(210)가 좌대(2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20-2005-0012057U 2005-04-29 2005-04-29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200390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57U KR200390592Y1 (ko) 2005-04-29 2005-04-29 도로용 차선 규제봉
JP2005010964U JP3119944U (ja) 2005-04-29 2005-12-26 道路用車線規制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057U KR200390592Y1 (ko) 2005-04-29 2005-04-29 도로용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592Y1 true KR200390592Y1 (ko) 2005-07-21

Family

ID=4347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057U KR200390592Y1 (ko) 2005-04-29 2005-04-29 도로용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19944U (ko)
KR (1) KR2003905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220B1 (ko) 2008-09-30 2009-07-07 강복심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 탄력봉
KR101499459B1 (ko) * 2014-10-06 2015-03-06 주식회사 태산기업 조립식 안전 볼라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8480A (ja) * 2014-05-16 2015-12-07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交通標識
JP5902345B1 (ja) * 2015-11-25 2016-04-13 辰男 岩沢 可倒式ポール
KR102590239B1 (ko) * 2023-04-20 2023-10-16 장정은 랙 보호를 위한 탄성 볼라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220B1 (ko) 2008-09-30 2009-07-07 강복심 지주교체가 가능한 차선 규제 탄력봉
KR101499459B1 (ko) * 2014-10-06 2015-03-06 주식회사 태산기업 조립식 안전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9944U (ja)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592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0879605B1 (ko) 시선유도봉
US7614173B2 (en) Road traffic-control signboard assembly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KR102158426B1 (ko) 도로용 탄성 볼라드
KR101913838B1 (ko) 휀스
JP3162007B2 (ja) 道路標識柱
KR200430992Y1 (ko) 복원기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100930971B1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0756544B1 (ko) 차선 규제봉
KR200381723Y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0647518B1 (ko) 도로의 교통표지판 설치용 지주
KR20080109303A (ko) 차량규제용 탄력봉
KR101149719B1 (ko) 차선지시봉
KR200394516Y1 (ko) 차선규제봉
KR101645706B1 (ko) 볼라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6738B1 (ko) 차선분리대
KR200387103Y1 (ko) 차선규제봉
KR20120066694A (ko) 송배전선용 가공지지대 연결부 완충장치
KR101102582B1 (ko) 차선 규제봉
KR20080029190A (ko) 방호 울타리
KR101170976B1 (ko) 차선규제봉 및 그 설치방법
KR20060099890A (ko) 차선 규제봉
KR20090054763A (ko) 차선규제봉
KR102532407B1 (ko) 야드 트레일러용 레그 장치
KR101461493B1 (ko) 건축구조용 이력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