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900B1 -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900B1
KR101359900B1 KR1020120065331A KR20120065331A KR101359900B1 KR 101359900 B1 KR101359900 B1 KR 101359900B1 KR 1020120065331 A KR1020120065331 A KR 1020120065331A KR 20120065331 A KR20120065331 A KR 20120065331A KR 101359900 B1 KR101359900 B1 KR 10135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olymer layer
electrolyte
lay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090A (ko
Inventor
권요한
장성균
홍승태
김제영
오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3000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4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product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13Gas-impermeable carbon-contain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대해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과,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제 2 고분자 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1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0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2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60 내지 400 중량%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Nov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대해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과,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제 2 고분자 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1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0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2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60 내지 400 중량%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의 고갈에 의한 에너지원의 가격이 상승하고, 환경 오염의 관심이 증폭되면서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미래생활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원자력, 태양광, 풍력, 조력 등 다양한 전력 생산 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렇게 생산된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력 저장 장치 또한 지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력 저장 장치로는 이차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차전지 중에서도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휴대용 기기에 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경량, 높은 전압 및 용량으로 인한 수요가 증가하여, 현재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그리드(grid)화를 통한 전력 보조전원 등으로 그 사용 영역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대용량 전원으로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남아 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과제는 에너지 밀도 향상과 안전성의 증대라 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화로 인한 wetting의 균일화 및 공정 시간의 단축 또한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면서 저비용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재료의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의 연구에도 노력을 기하고 있다.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한 재료로는 기존에 사용하던 LiCoO2보다 높은 용량을 가지는 Ni계 물질 또는 Mn계 물질 등이 대표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음극으로는 기존의 흑연계에서 벗어나 Si, Sn 등을 이용한 기존의 intercalation 반응이 아닌 Li alloy 반응에 의한 재료가 대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안전성을 향상시키기는 측면에서는, LiFePO4와 같은 안정한 올리빈계 양극 활물질 또는 Li4Ti5O12와 같은 음극 활물질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러한 재료는 근본적으로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게 되고,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구조상 나타나는 안전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주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이차전지의 안전성은 내적 안전성(internal safety)과 외적 안전성(external safety)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고, 세분화하면 electrical safety, impact safety, thermal safety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안전성 문제들은 공통적으로 문제 발생시 온도 상승을 수반하게 되고, 이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신 분리막의 수축이 필연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안전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all solid 형태의 전지를 제안하고 있으나, 실제 상용화된 전지를 대체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극 활물질은 고체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고체 전해질 또는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리튬 이동을 위한 활물질과의 접촉면이 매우 적어지게 된다. 그 결과, 고체 전해질 또는 폴리머 전해질 자체의 전도도가 현재 액체 전해질 수준인 10-5 S/cm를 가진다 하더라도 그 이온 전도도는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둘째, 상기와 같은 이유로 고체와 고체의 계면, 또는 고체와 폴리머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이온 전도도는 더욱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셋째, 전지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결착력이 중요하고, 전도도가 높은 고체 전해질의 경우에도 폴리머 바인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이로 인하여 이온 전도도는 더욱 낮아지게 된다.
넷째, 전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이온 전도도가 분리층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전극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양극 및 음극 활물질에도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이 필요하고, 고체 전해질 또는 폴리머 전해질이 전극 성분으로 포함되는 경우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섯째, 유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폴리머 전해질의 경우, 유기용매의 함량에 따라 기계적 물성과 이온 전도도가 서로 상반관계에 있으므로, 이온 전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유기 전해액의 양을 증가시키면, 폴리머 전해질 층의 기계적 물성이 매우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따라서, 분리막 수축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고 전기적 성능이 우수한 전지의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에 대하여 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의 중량비를 달리함에 따라 상반관계에 있는 고분자 층의 기계적 물성과 이온전도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온전도성이 우수한 다층 구조의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전해질은 외력에 대해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과,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제 2 고분자 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1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0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2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60 내지 400 중량%로 함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전해질은 우수한 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 및 내부에 존재하는 유기 전해액이 전극으로 확산됨에 따라 전지 내의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제 2 고분자 층의 다층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우수한 이온전도성을 발휘한다.
즉,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우수한 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제공함으로써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방지하고, 상기 제 2 고분자 층은 내부에 존재하는 유기 전해액이 전극으로 확산됨에 따라 전지 내의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우수한 이온전도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층들의 작용은 당해 고분자 층의 주요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제 1 고분자 층 역시 소정의 리튬 이온 전도 경로를 제공하고, 제 2 고분자 층 역시 소정의 기계적 강성을 제공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폴리머 전해질의 기계적 물성과 이온 전도도는 서로 상반관계에 있으므로, 하나의 고분자 층에서 두 가지 성질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의 제 1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1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0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2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60 내지 400 중량%로 함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 2 고분자 층에서 유기 전해액의 함량이 6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이온 전도성은 증대될 수 있지만 겔의 자립성이 없어져 유동체로 되어 버리므로, 탄성률이 저하되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40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유기 전해액이 누액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1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0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외력에 대해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고분자 층을 총칭하여 표현한 것이고, 상기 제 2 고분자 층은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고분자 층을 총칭하여 표현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전해질은 상기 제 1 고분자 층 및 제 2 고분자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이며, 단순히 제 1 및 제 2 고분자 층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머 전해질은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접하는 제 2 고분자 층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제 1 고분자 층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 또는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접하는 제 1 고분자 층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제 2 고분자 층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 전해액은 전극에 일부 유입되어 전극의 이온 전도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성에 있어 별도의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염은 예를 들어 리튬염일 수 있고,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 전해액은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비닐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설포레인, 메틸아세테이트 및 메틸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고분자 층 및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전극조립체의 제작 과정에서 분리층으로부터 전극으로 일부 유입되어 전극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유기 전해액; 및 상기 유기 전해액에 대해 친화성을 가지며 양극과 음극에 대한 결착력을 제공하는 선형 고분자, 삼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가교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폴리머 매트릭스; 를 포함하는 2상(two-phas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에서 얻어지는 점탄성 구조체는 액상 성분이 함침된 상태에서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독립된 겔(gel)들이 선형 고분자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독립된 겔들이 각각 가교 포인트를 형성하고, 선형 고분자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액상 성분이 높은 함량으로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선형 고분자들은, 예를 들어, 그것의 일부가 가교 고분자들의 겔에 침투한 형상으로 물리적 연결 구조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에서설명한 네트워크 구조의 형성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며, 가교 고분자의 겔에 침투한 선형 고분자의 길이는 선형 고분자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의 범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가교 구조체로 구성된 가교도가 높은 막의 경우, 이온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고분자 사슬(polymer chain)의 유동성(mobility)가 억제되어 이온 전도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기계적 물성 측면에서 취성(brittleness)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점탄성 구조체의 경우, 선형 고분자로 인하여 고분자 사슬이 적정한 유동성을 가지므로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가질 수 있고, 가교 고분자가 매트릭스 내에서 가교 포인트를 형성하고 선형 고분자가 이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탄성을 가질 수 있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층들은 상기한 점탄성 구조체로 이루어지므로 10-5 S/cm 내지 10-3 S/cm의 이온 전도성, 1 MPa 내지 100 MPa의 인장강도, 20% 내지 500%의 신장률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고분자 층은 10-3 S/cm의 이온 전도성을 갖는 경우 0.1 MPa 이하의 인장강도를 갖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층은 유연성과 기계적 강성을 동시에 만족시킴과 동시에 이온전도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머 매트릭스에 있어서, 선형 고분자와 가교 고분자의 비율은 점탄성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비율이면 별도의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중량비로 1 : 9 내지 8 : 2일 수 있다.
상기 선형 고분자가 너무 적거나 많은 경우, 탄성이 약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액상 성분의 함침 성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기 선형 고분자와 가교 고분자의 비율은 중량비로 3 : 7 내지 7 :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선형 고분자는 그 종류에 있어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예로 폴리옥사이드계의 비가교 고분자 및 극성 비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옥사이드계의 비가교 고분자와 극성 비가교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옥사이드계 비가교 고분자의 비제한적인 예로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Poly(oxymethylene) 및 Poly(dimethyl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극성 비가교 고분자의 비제한적인 예로 Polyacrylonitril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ethylene imine) 및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가교 고분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그 종류에 있어 별도의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티롤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비닐벤젠, 폴리에스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 (trimethylolpropane),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에톡시레이티드 비스페놀A디메타크릴 레이트(ethoxylated bis phenol A di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극성 단량체는 그 종류에 있어 별도의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클로라이드, 및 비닐플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고분자 층은 각각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고상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고상 성분은 각각 제 1 폴리머 매트릭스 또는 제 2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상 성분이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분자 층을 지지하는 효과, 예를 들어, 고분자 층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할 수 있고, 80 중량% 초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온 전도도가 저하되어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경직한 특성으로 인해 충방전 과정에서 취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기 고상 성분은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상 성분의 함량은 소망하는 기계적 강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상 성분은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고체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5 ㎛의 평균 입경을 가진 고상 입자일 수 있다. 고상 성분의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응집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분리층의 지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분리층의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고상 성분의 평균 입경은 50 nm 내지 200 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고체 화합물은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산화물은 그 종류에 있어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한 예로 MgO, TiO2(Rutile) 및 Al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제 2 고분자 층의 두께 대비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므로 두께가 두꺼울수록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은 자명하나, 상기 제 1 고분자 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리튬 이차전지의 전반적인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제 1 고분자 층의 두께만큼 내부 저항이 증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고분자 층에는 상기 고상 성분을 제 2 고분자 층에 비해 더 많이 첨가함으로써 기계적 강성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그 두께를 얇게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제 2 고분자 층의 두께 대비 50% 내지 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고분자 층의 두께가 제 2 고분자 층의 두께 대비 50% 미만일 경우에는 소망하는 이온 전도도 및 외력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고, 100% 초과인 경우에는 제 2 고분자 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어 내부저항이 증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폴리머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전극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합제를 NMP 등의 용매에 첨가하여 제조한 슬러리를 도포 및 건조하여 제작되며, 상기 양극 합제에는 선택적으로 바인더, 도전재, 충진제, 점도 조절제, 및 접착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는, 상기 음극 집전체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2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망간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Cr, Zn 또는 Ga 이고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0.01≤y≤0.7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계 산화물; Li1+zNi1/3Co1/3Mn1/3O2, Li1+zNi0.4Mn0.4Co0.2O2 등과 같이 Li1+zNibMncCo1-(b+c+d)MdO(2-e)Ae (여기서, -0.5≤z≤0.5, 0.1≤b≤0.8, 0.1≤c≤0.8, 0≤d≤0.2, 0≤e≤0.2, b+c+d<1 임, M = Al, Mg, Cr, Ti, Si 또는 Y 이고, A = F, P 또는 Cl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복합산화물; 화학식 Li1+xM1-yM'yPO4-zXz(여기서, M = 전이금속, 바람직하게는 Fe, Mn, Co 또는 Ni 이고, M' = Al, Mg 또는 Ti 이고, X = F, S 또는 N 이며, -0.5≤x≤+0.5, 0≤y≤0.5, 0≤z≤0.1 임)로 표현되는 올리빈계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셀룰로오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고분자 고검화 폴리비닐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도전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틸렌 블랙 계열인 쉐브론 케미칼 컴퍼니(Chevron Chemical Company)나 덴카 블랙(Denka Singapore Private Limited), 걸프 오일 컴퍼니(Gulf Oil Company) 제품 등), 케트젠블랙(Ketjenblack), EC 계열(아르막 컴퍼니(Armak Company) 제품), 불칸(Vulcan) XC-72(캐보트 컴퍼니(Cabot Company) 제품) 및 수퍼(Super) P(Timcal 사 제품) 등이 있다.
상기 충진제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전극 합제의 혼합 공정과 그것의 집전체 상의 도포 공정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전극 합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성분으로서, 음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까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점도 조절제의 예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등이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앞서 설명한 용매가 점도 조절제로서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촉진제는 집전체에 대한 활물질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보조성분으로서, 바인더 대비 10 중량% 이하로 첨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옥살산 (oxal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포름산(form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유도체, 이타콘산(itaconic acid)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극은, 예를 들어,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합제를 NMP 등의 용매에 첨가하여 제조한 슬러리를 도포 및 건조하여 제작되며, 상기 음극 합제에는 선택적으로 바인더, 도전재, 충진제, 점도 조절제, 및 접착 촉진제 등과 같이 양극의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한 기타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팽창 흑연, 탄소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블랙, 카본나노튜브, 플러렌, 활성탄 등의 탄소 및 흑연 재료; 리튬과 합금이 가능한 Al, Si, Sn, Ag, Bi, Mg, Zn, In, Ge, Pb, Pt, Ti 등의 금속 및 이러한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금속 및 그 화합물과 탄소 및 흑연 재료의 복합물; 리튬 함유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계 활물질, 주석계 활물질, 규소계 활물질, 또는 규소-탄소계 활물질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이차전지 내부에서 위험성이 극대화되는 순간은 에너지가 높아진 충전 상태이고, 충전 상태에서 분리막 수축 등으로 일어날 수 있는 단락의 상황은 (1) 충전된 양극과 충전된 음극, (2) 충전된 양극과 음극 집전체, (3) 음극 집전체와 양극 집전체, 및 (4) 양극 집전체와 충전된 음극이 만나는 4가지 경우이다.
충전된 전극을 건조실(dry room)에서 상기 상황들을 모두 실험한 결과, 예상과는 다르게 충전된 음극과 양극 집전체의 접촉에서 가장 극심한 열폭주(thermal runaway)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심도있는 연구의 결과, 이는,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인 Al-foil에서 4Al + 3O2 2Al2O3의 급격한 발열반응에 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 전지가 폭발된 모든 경우에서 Al-foil은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없었다.
상기 실험에서는 충전된 음극과 양극 집전체의 접촉시에만 열폭주가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다른 3가지 경우도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전지에서는 양극과 음극의 어떠한 부분이라도 상호 접촉하는 것이 위험하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폴리머 매트릭스와 고상 성분이 고온에서 수축되지 않으므로, 상기 실험에서와 같은 폭발 등의 이벤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고온 안전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액상 성분이 전극조립체의 제작 과정, 예를 들어 라미네이션 과정에서 전극으로 일부 유입되어 전극을 함침시키므로 전극의 이온 전도도가 향상되어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해액이 전극에 균일하게 wetting 됨에 따라서 대면적화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점인 전해액의 불균일 침투에 따른 전극 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유기 전해액의 상태와 관련하여, 폴리머 전해질로부터 유래된 일부 유기 전해액이 전극에 포함 내지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이때, 폴리머 전해질로부터 유래되어 전극에 포함 내지 내장된 유기 전해액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전극조립체 전체에 포함된 유기 전해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머 전해질이 유기 전해액과 경우에 따라 고상 성분을 내장한 상태에서 선형 고분자와 가교 고분자가 점탄성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머 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지의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전극의 부피 팽창 및 수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지만, 상기 점탄성 구조체로 인하여 상기 부피 변화를 상쇄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은,
(1) 선형 고분자, 가교 고분자용 단량체, 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유기 전해액, 선택적으로 고상 성분 및 중합 개시제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과정;
(2) 제 1 고분자 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을 하나의 전극 위에 코팅하고, 상기 제 1 고분자 층 상에 제 2 고분자 층을 구성하는 혼합물을 코팅하는 과정;
(3) UV 조사 또는 열의 인가에 의해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분리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4) 상기 분리층 위에 대응 전극을 탑재하고 가압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상기 전극조립체와 선택적으로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별도의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을 포함하지 않거나, 소량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 및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팩은 특히 높은 레이트 특성과 고온 안전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중대형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E-bike, 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등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전력저장용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전해질은 우수한 유연성 및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 및 내부에 존재하는 유기 전해액이 전극으로 확산됨에 따라 전지 내의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제 2 고분자 층의 다층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우수한 이온전도성을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액이 전극에 균일하게 wetting 됨에 따라서 대면적화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점인 전해액의 불균일 침투에 따른 전극 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폴리머 전해질이 유기 전해액과 경우에 따라 고상 성분을 내장한 상태에서 선형 고분자와 가교 고분자가 점탄성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는 폴리머 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지의 충방전이 진행되는 동안 전극의 부피 팽창 및 수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지만, 상기 점탄성 구조체로 인하여 상기 부피 변화를 상쇄할 수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충방전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의 사이클 수명 특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하기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 1 고분자 층 혼합물의 제조
PVdF-HFP 5% 및 유기 전해액(1M LiPF6, 에틸렌 카보네이트(E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1/1)을 70:30의 중량비 로 혼합하고, 폴리머를 녹이는 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하여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을 제조하였다.
제 2 고분자 층 혼합물의 제조
PVdF-HFP 5% 및 유기 전해액(1M LiPF6, 에틸렌 카보네이트(E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1/1)을 22:78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폴리머를 녹이는 용매로 아세톤을 사용하여 이온 전도성을 제공하는 제 2 고분자 층을 제조하였다.
폴리머 전해질 막의 제조
준비된 제 1 고분자 층의 혼합물을 유리판에 캐스팅하여 아세톤을 증발시킴으로써 전해질 막을 제조한 후, 준비된 제 2 고분자 층의 혼합물을 제 1 고분자 층에 캐스팅하고 아세톤을 증발시켜 제 1 고분자 층과 제 2 고분자 층으로 구성된 폴리머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폴리머 전해질(130)의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층 구조의 폴리머 전해질(130)은 이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력에 대해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131)과,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제 2 고분자 층(132)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살표와 같이, 제 1 고분자 층(131) 및 제 2 고분자 층(132)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전해액은 양극, 음극으로 확산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제 1 고분자 층의 혼합물을 유리판에 캐스팅하여 아세톤을 증발시킴으로써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제 2 고분자 층의 혼합물을 유리판에 캐스팅하여 아세톤을 증발시킴으로써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기계적 물성 및 이온 전도성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인장강도와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온 전도도 (mS/cm) 인장강도 (Mpa)
실시예 1 1.4 2.2
비교예 1 0.0021 6.5
비교예 2 4.2 0.02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 1은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보이는 반면 열악한 이온 전도성을 보이고, 비교예 2는 약한 기계적 강도를 보이는 반면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비해 향상된 이온 전도성과 기계적 강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00)은 양극(110), 음극(120) 및 다층 구조의 폴리머 전해질(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양극(110)과 음극(120) 사이에 다층 구조의 폴리머 전해질(130)이 개재되어 있다.
이하, 음극(120)으로서 Li 금속을 사용하고, 반쪽 전지를 제작하여 다층 구조의 폴리머 전해질(130)이 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LiCoO2, PVdF, 카본블랙을 N-메틸피롤리돈에 첨가하여 슬러리로 제조한 후 구리 호일에 도포하고 약 130℃에서 2시간동안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에 실시예 1의 제 1 고분자 층을 코팅한 후 제 2 고분자 층을 코팅하여 다층의 폴리머 전해질 층을 형성하였다. 준비된 폴리머 전해질이 코팅된 양극과 상대극으로는 Li 금속을 이용하여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2의 양극과 세퍼레이터, 상대극으로 Li 금속, 유기 전해액(1M LiPF6, 에틸렌 카보네이트(EC)/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1/1)을 이용하여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전지 성능 실험
실시예 2 및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전지를 사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충전시 0.1 C의 전류밀도로 4.25 V까지 정전류 충전 후 정전압으로 4.25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류밀도가 0.05 C이 되면 충전을 종료하였다. 방전시 0.1 C의 전류밀도로 3.0 V까지 정전류 모드로 방전을 완료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충방전을 15회 반복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도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실시예 2에 대응하는 그래프는 점선으로 표시하고, 비교예 3 대응하는 그래프는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2의 전지는 액체 전해액이 적용된 비교예 3이 전지에 비해 증가된 전지 저항을 갖지만, 액체 전해액이 사용된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용량 구현율 및 충방전 특성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5회의 충방전 과정 동안 용량 저하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예 2의 전지는 우수한 사이클 특성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4)

  1. 외력에 대해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제 1 고분자 층과, 리튬 이온의 전도 경로를 확보하는 제 2 고분자 층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1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0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고 있고, 상기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2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60 내지 400 중량%로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고분자 층 및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전극조립체의 제작 과정에서 분리층으로부터 전극으로 일부 유입되어 전극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유기 전해액; 및
    상기 유기 전해액에 대해 친화성을 가지며 양극과 음극에 대한 결착력을 제공하는 선형 고분자, 삼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폴리머 매트릭스;
    를 포함하는 2상(two-phase)으로 이루어져 있고, 액상 성분이 함침된 상태에서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독립된 겔(gel)들이 각각 가교 포인트를 형성하고, 선형 고분자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점탄성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접하는 상기 제 2 고분자 층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제 1 고분자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접하는 상기 제 1 고분자 층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제 2 고분자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염은 리튬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분자 층은 인장강도가 1 MPa 내지 10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분자 층은 신장률이 2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해액을 제 1 고분자 층의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 대비 0.1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분자 층은 이온 전도성이 10-5 S/cm 내지 10-3 S/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고분자와 가교 고분자의 비율은 중량비로 1 : 9 내지 8 :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고분자는 폴리옥사이드계의 비가교 고분자 및 극성 비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폴리옥사이드계의 비가교 고분자과 극성 비가교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고분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층 및 제 2 고분자 층은 기계적 강성을 제공하는 고상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성분은 폴리머 매트릭스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성분은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고체 화합물로서 10 nm 내지 5 ㎛의 평균 입경을 가진 고상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화합물은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분자 층은 제 2 고분자 층의 두께 대비 1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전해질.
  19. 제 1 항에 따른 폴리머 전해질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21. 제 20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2. 제 21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KR1020120065331A 2011-06-30 2012-06-19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359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268 2011-06-30
KR20110064268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90A KR20130004090A (ko) 2013-01-09
KR101359900B1 true KR101359900B1 (ko) 2014-02-11

Family

ID=4742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331A KR101359900B1 (ko) 2011-06-30 2012-06-19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91344B2 (ko)
EP (1) EP2713432B1 (ko)
JP (1) JP5765835B2 (ko)
KR (1) KR101359900B1 (ko)
CN (1) CN103636051B (ko)
WO (1) WO201300250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8970B2 (en) 2017-12-27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All-solid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9947B2 (en) 2008-08-05 2020-04-21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WO2010016881A1 (en) 2008-08-05 2010-02-11 Sion Power Corporation Application of force in electrochemical cells
EP2721665B1 (en) 2011-06-17 2021-10-27 Sion Power Corporation Plating technique for electrode
KR101545432B1 (ko) * 2013-01-28 201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
WO2014116085A1 (ko) * 2013-01-28 2014-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
WO2014116082A1 (ko) 2013-01-28 2014-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990613B1 (ko) * 2015-06-12 2019-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17104867A1 (ko) 2015-12-17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486801B1 (ko) 2016-03-09 2023-0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10868306B2 (en) 2017-05-19 2020-12-15 Sion Power Corporation Passivating agent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7210475B2 (ja) 2017-05-19 2023-01-23 シオン・パワー・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化学セルの不動態化剤
WO2018236064A1 (ko)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구조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102093970B1 (ko) 2017-06-20 2020-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구조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CN109256582A (zh) * 2017-07-14 2019-01-22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用于全固态锂离子电池的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CN110915050B (zh) * 2017-07-31 2023-06-27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具有基于四面体芳基硼酸根节点的聚合物电解质复合材料的电池组
KR102268180B1 (ko) * 2017-11-08 2021-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112B1 (ko) * 2017-11-22 2019-09-02 한국화학연구원 전고상 리튬-폴리머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이차전지
US11637311B2 (en) 2018-01-31 2023-04-25 Lg Chem, Ltd. Separat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epa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963334B (zh) * 2018-07-13 2020-06-23 周伟东 一种多层聚合物电解质以及电池
JP2023502993A (ja) 2019-11-19 2023-01-26 シオン・パワー・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791511B2 (en) 2019-11-19 2023-10-17 Sion Power Corporation Thermally insulating compressible components for battery packs
US11984575B2 (en) 2019-11-19 2024-05-14 Sion Power Corporation Battery alignmen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978917B2 (en) 2019-11-19 2024-05-07 Sion Power Corporation Batteries with components including carbon fibe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923495B2 (en) 2020-03-13 2024-03-05 Sion Power Corporation Application of pressure to electrochemical devices including deformable solids, and related systems
JP7236424B2 (ja) * 2020-12-08 2023-03-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電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7A (en) * 1896-07-14 g-rilli
KR20010066272A (ko) * 1999-12-31 2001-07-11 김덕중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20040092189A (ko) * 2003-04-25 2004-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이온 전도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 고분자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JP4140240B2 (ja) * 2002-01-23 200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用のゲル電解質および二次電池,二次電池用のゲル電解質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0052A (ja) * 1992-09-08 1994-05-20 Sumitomo Seika Chem Co Ltd ゲル状電解質
US5658685A (en) * 1995-08-24 1997-08-19 Motorola, Inc. Blended polymer gel electrolytes
CA2231201C (en) 1995-10-27 2005-01-25 The Clorox Company Toilet bowl cleaning tablet
JP2000048639A (ja) * 1998-07-29 2000-02-18 Asahi Chem Ind Co Ltd 複合構造ゲル電解質シート積層体
US6214251B1 (en) * 1999-03-09 2001-04-10 Hew-Der Wu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JP4296637B2 (ja) * 1999-07-02 2009-07-15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ゲル電解質
KR100404883B1 (ko) * 1999-12-13 2003-11-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화학 소자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JP2002110243A (ja) 2000-09-29 2002-04-12 Pionics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JP3974371B2 (ja) * 2001-10-19 2007-09-12 シロウマ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ポリマーゲル電解質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462782B1 (ko) * 2002-06-18 2004-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내누액성이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0490642B1 (ko) * 2002-09-30 2005-05-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030005255A (ko) * 2002-09-30 2003-0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층 구조의 자외선 경화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4048105B2 (ja) * 2002-12-06 2008-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用高分子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と二次電池
JP2005044663A (ja) * 2003-07-23 2005-02-17 Sony Corp 固体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09693B1 (ko) * 2004-04-24 2006-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리튬 단이온 전도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0588475B1 (ko) * 2004-06-07 2006-06-09 한국화학연구원 폴리실록산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JP2006120577A (ja) * 2004-10-25 2006-05-11 Nissan Motor Co Ltd ポリマー電池
JP5023428B2 (ja) * 2004-12-27 2012-09-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
FR2881275B1 (fr) * 2005-01-24 2007-04-27 Batscap Sa Electrolyte bicouche pour batterie au lthium
WO2007011898A2 (en) * 2005-07-15 2007-01-25 Cymbe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in-film batteries with soft and hard electrolyte layers
US7846571B2 (en) * 2006-06-28 2010-12-07 Robert Bosch Gmbh Lithium reservoir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ies
CN101601150B (zh) * 2006-12-04 2015-02-18 赛昂能源有限公司 电解质的分离
JP2011096492A (ja) * 2009-10-29 2011-05-12 Sony Corp リチウム空気電池
JP2012238444A (ja) * 2011-05-11 2012-12-06 Seiko Epson Corp 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957A (en) * 1896-07-14 g-rilli
KR20010066272A (ko) * 1999-12-31 2001-07-11 김덕중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4140240B2 (ja) * 2002-01-23 200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用のゲル電解質および二次電池,二次電池用のゲル電解質製造方法
KR20040092189A (ko) * 2003-04-25 2004-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이온 전도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 고분자전해질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8970B2 (en) 2017-12-27 2020-10-27 Hyundai Motor Company All-solid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2504A2 (ko) 2013-01-03
EP2713432A2 (en) 2014-04-02
CN103636051B (zh) 2016-08-17
WO2013002504A3 (ko) 2013-03-14
JP5765835B2 (ja) 2015-08-19
CN103636051A (zh) 2014-03-12
US9391344B2 (en) 2016-07-12
EP2713432A4 (en) 2015-01-21
KR20130004090A (ko) 2013-01-09
EP2713432B1 (en) 2017-08-09
US20140106236A1 (en) 2014-04-17
JP2014523068A (ja) 201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900B1 (ko)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8993174B2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novel structur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10658674B2 (en) Electrode
KR102134458B1 (ko) 전고체 전지 및 이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
KR101689496B1 (ko) 비수 전해액계 이차 전지
KR101647910B1 (ko) 쌍극형 전극 및 이를 사용한 쌍극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1355836B1 (ko) 일체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4088755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170027403A (ko) 높은 팽윤도를 가진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393534B1 (ko)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283331B1 (ko) 일체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2010244943A (ja) 双極型二次電池
KR101872309B1 (ko) 발화 억제 코팅층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323153B1 (ko)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2011171185A (ja) 二次電池用集電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