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558B1 -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558B1
KR101356558B1 KR1020100090305A KR20100090305A KR101356558B1 KR 101356558 B1 KR101356558 B1 KR 101356558B1 KR 1020100090305 A KR1020100090305 A KR 1020100090305A KR 20100090305 A KR20100090305 A KR 20100090305A KR 101356558 B1 KR101356558 B1 KR 101356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optical axis
holding member
attachment structure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828A (ko
Inventor
마사히로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4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72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광원 또는 광학 부품을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의 광축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위치 조정되는 유지 부재와,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이 설치되는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의 광축 방향으로 돌출한 축부와, 상기 축부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축부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2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로 제한되고, 경화 수단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 수지에 의해, 상기 광축 방향을 향해 대향 배치된 상기 유지 부재의 면과 접착되는 동시에, 상기 축부에 상기 경화 수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부재를 가지는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MOUNTING STRUCTURE FOR A MOUNTED COMPONENT, LIGHT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05-273483호 공보의 광원 장치는 반도체 레이저와, 반도체 레이저를 유지하는 베이스와,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와, 콜리메이터 렌즈를 유지하는 경통(鏡筒)과, 경통을 내부에서 지지하고 베이스에 접합되는 홀더(holder)를 가지고 있고, 베이스 또는 홀더의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홀(hole)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축을 설치하여, 이 홀에 축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접착 고정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9-002988호 공보의 레이저 주사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유지하는 부재에 홀을 형성하고, 콜리메이터 렌즈 홀더에 축을 설치하여, 이 홀에 축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접착 고정하고 있다.
본 발명은, 광원 또는 광학 부품을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을 케이싱에 부착할 때의 광축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는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 1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는, 광원 또는 광학 부품을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의 광축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위치 조정되는 유지 부재와,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이 설치되는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의 광축 방향으로 돌출한 축부와, 상기 축부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며, 상기 축부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2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로 제한되고, 경화 수단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 수지에 의해 상기 광축 방향을 향해 대향 배치된 상기 유지 부재의 면과 접착되는 동시에, 상기 축부에 상기 경화 수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의 태양 2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는, 상기 접촉부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2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로 제한되는 내경의 제 1 홀부(hole portio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 3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는, 상기 고정 부재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화 수지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이다.
본 발명의 태양 4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는, 상기 유지 부재에는, 상기 축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이고 또한 상기 축부에 삽입되는 제 2 홀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태양 5에 따른 광 주사 장치는, 상기 태양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와,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피부착 부품보다 하류측에 설치되고, 입사된 광을 상기 광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편향하는 편향기(偏向器)와, 상기 편향기를 회전시켜 광을 주사하는 회전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태양 6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잠상 유지체와, 상기 잠상 유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기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광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상기 태양에 기재된 광 주사 장치와, 상기 잠상에 현상제를 부여하여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잠상 유지체의 현상제 상을 피전사 부재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을 가진다.
태양 1의 발명은, 일 부재에 의해 3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통해 광원 또는 광학 부품을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을 케이싱에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광원 또는 광학 부품을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을 케이싱에 부착할 때의 광축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태양 2의 발명은, 접촉부의 일부가 축부와 접촉하는 구성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광축과 직교하는 2축 둘레의 고정 부재의 회전을 허용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태양 3의 발명은, 고정 부재를 자외선을 투과하지 않는 수지로 형성한 구성에 비해, 광원 또는 광학 부품을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을 케이싱에 부착할 때의 광축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태양 4의 발명은 유지 부재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태양 5의 발명은, 광원을 유지하는 부재를 케이싱에 직접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주사하는 광의 광축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태양 6의 발명은, 광원을 유지하는 부재를 케이싱에 직접 부착하는 구성에 비해, 잠상 유지체에 있어서의 광의 조사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유닛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노광 유닛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노광 유닛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콜리메이터 렌즈를 내포하는 경통 부재를 노광 유닛의 케이싱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경통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의 케이싱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의 케이싱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의 케이싱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의 케이싱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의 케이싱에의 부착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의 (a), (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의 케이싱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14는 비교예의 광원 유닛의 케이싱에의 부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본체(10A)의 상부에는, 복수 매의 판독 원고(G)를 일 매씩 자동으로 반송하는 원고 반송 장치(12)와, 일 매의 판독 원고(G)가 놓이는 플래튼 글래스(16)와,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판독 원고(G) 또는 플래튼 글래스(16)에 놓인 판독 원고(G)를 판독하는 원고 판독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판독 장치(14)에는,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판독 원고(G) 또는 플래튼 글래스(16)에 놓인 판독 원고(G)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고 판독 장치(14)에는, 광 조사부(18)에 의해 조사되어 판독 원고(G)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플래튼 글래스(16)와 평행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풀 레이트(full rate) 미러(20)와, 풀 레이트 미러(20)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하프 레이트(half rate) 미러(22)와, 하프 레이트 미러(22)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플래튼 글래스(16)와 평행한 방향으로 반사시키며 반대 방향으로 꺽는 하프 레이트 미러(24)와, 하프 레이트 미러(24)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꺽인 반사광이 입사되는 결상 렌즈(26)에 의해 구성되는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고 판독 장치(14)에는, 결상 렌즈(26)에 의해 결상된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28)와, 광전 변환 소자(28)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화상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2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 조사부(18), 풀 레이트 미러(20), 하프 레이트 미러(22) 및 하프 레이트 미러(24)는 플래튼 글래스(16)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래튼 글래스(16)에 놓인 판독 원고(G)를 판독할 경우에는, 광 조사부(18), 풀 레이트 미러(20), 하프 레이트 미러(22) 및 하프 레이트 미러(24)를 이동시키면서, 광 조사부(18)가 플래튼 글래스(16)에 놓인 판독 원고(G)에 광을 조사하여, 판독 원고(G)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광전 변환 소자(28)에 결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판독 원고(G)를 판독할 경우에는, 광 조사부(18), 풀 레이트 미러(20), 하프 레이트 미러(22) 및 하프 레이트 미러(24)를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고,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된 판독 원고(G)에 광 조사부(18)가 광을 조사하여, 판독 원고(G)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이 광전 변환 소자(28)에 결상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0A)의 상하 방향(화살표 V방향) 중앙부에는, 서로 다른 색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평 방향(화살표 H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화상 형성 유닛(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30)의 상측에는,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48),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롤(54), 종동 회전하는 지지 롤(50), 제 1 아이들러(idler) 롤(56), 및 제 2 아이들러 롤(58)에 감긴 무단(無端) 형상의 피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3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32)가 도면 중 화살표 A방향(도시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환 이동함으로써,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30)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4색의 토너(현상제의 일례)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이 중간 전사 벨트(32)의 이동 방향 하류측을 향해 이 순번으로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은, 화상 형성 유닛(30Y)이 가장 높은 위치, 화상 형성 유닛(30K)이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수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나열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은 수용되는 토너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색을 구별할 경우에는 부호에 각 색에 대응하는 영자(英子)(Y, M, C, K)를 부가하고, 특별하게 구별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 색에 대응하는 영자를 생략한다.
화상 형성 유닛(30)에는, 구동 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화살표 D방향(도시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잠상 유지체의 일례로서의 감광체(34)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34)의 표면(외주면)과 대향하여 감광체(34)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30)의 하방에는, 복수개의 화상 형성 유닛(30)을 따르도록 경사 배치된 광 주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노광 유닛(40)이 설치되어 있다. 노광 유닛(40)은, 상세를 후술하는 광원 유닛(130)의 부착 구조(170)(도 5 참조)를 가지고 있고, 대전 부재(36)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34)의 표면(감광체(34)의 회전 방향에서 대전 부재(36)보다 하류측의 부위)에 정해진 색에 대응한 레이저광을 노광해서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감광체(34)의 회전 방향에서 노광 유닛(40)의 레이저광이 노광되는 부위보다 하류측에는, 감광체(3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정해진 색의 토너로 현상해서 가시화시키는 현상 수단의 일례로서의 현상기(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34)의 회전 방향에서 현상기(42)보다 하류측이며 또한 중간 전사 벨트(32)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34)의 반대측에는, 감광체(34)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의 일례로서의 1차 전사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34)의 회전 방향에서 1차 전사 부재(46)보다 하류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34)의 표면에 잔류한 잔류 토너 등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화상 형성 유닛(30)은 감광체(34)와, 대전 부재(36)와, 현상기(42)와, 클리닝 장치(44)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30) 및 노광 유닛(40)에 인접하는 위치(도시한 좌단부)에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중간 전사 벨트(32)의 상방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현상기(42)에 정해진 색의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38Y, 38M, 38C, 38K)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흑(K)색의 토너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38K)는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다른 컬러의 토너 카트리지와 비교해서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2)를 사이에 두고 구동 롤(48)의 반대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32)의 표면을 청소하는 클리닝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클리닝 장치(52)는, 장치 본체(10A) 앞측(유저가 서는 정면측)에 설치된 프론트 커버(도시생략)를 개방함으로써 장치 본체(10A)에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2)를 사이에 두고 지지 롤(50)의 반대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32) 상에 1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시트(P)에 2차 전사하기 위한 2차 전사 부재(60)가 설치되어 있고, 2차 전사 부재(60)와 지지 롤(50) 사이가 기록 시트(P)에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2차 전사 위치로 되어 있다. 2차 전사 부재(60)의 상방에는, 2차 전사 부재(60)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P)에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우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반송 경로(62)가 설치되어 있고, 기록 시트(P)는 상방을 향해 반송 경로(62)를 따라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시트(P)의 반송 방향에서 정착 장치(64)보다 하류측(도면에서는 상측)에는,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시트(P)를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롤(6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 시트(P)의 반송 방향에서 반송 롤(66)보다 하류측에는, 요동해서 기록 시트(P)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게이트(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 시트(P)의 반송 방향에서 전환 게이트(68)보다 하류측에는, 일 방향으로 전환된 전환 게이트(68)에 의해 안내되는 기록 시트(P)를 제 1 배출부(69)에 배출시키는 제 1 배출 롤(7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 시트(P)의 반송 방향에서 전환 게이트(68)보다 하류측에는, 다른 방향으로 전환된 전환 게이트(68)에 의해 안내되는 동시에 반송 롤(73)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시트(P)를 제 2 배출부(72)에 배출시키는 제 2 배출 롤(74)과, 기록 시트(P)를 제 2 배출 롤(74)과는 반대측의 제 3 배출부(76)에 배출시키는 제 3 배출 롤(7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0A)의 하부이며, 기록 시트(P)의 반송 방향에서 2차 전사 부재(60)보다 상류측(도면에서는 하측)에는, 사이즈가 다른 기록 시트(P)가 수용되는 급지부(80, 82, 84, 86)가 설치되어 있다. 각 급지부(80, 82, 84, 86)에는, 수용된 기록 시트(P)를 각 급지부(80, 82, 84, 86)로부터 반송 경로(62)에 송출하는 급지 롤(88)이 설치되어 있고, 급지 롤(88)보다 하류측에는, 기록 시트(P)를 일 매씩 반송하는 반송 롤(90) 및 반송 롤(9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 시트(P)의 반송 방향에서 반송 롤(92)보다 하류측에는, 기록 시트(P)를 일단 정지시키는 동시에 정해진 타이밍에 2차 전사 위치로 송출하는 위치 맞춤 롤(9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2차 전사 위치의 측방(도시한 우측)에는, 기록 시트(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기록 시트(P)를 반전시켜서 반송하는 양면용 반송 유닛(98)이 설치되어 있다. 양면용 반송 유닛(98)에는, 반송 롤(73)을 역회전시킴으로써 기록 시트(P)가 보내지는 반전 경로(1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면용 반송 유닛(98)에는, 반전 경로(100)를 따라 복수의 반송 롤(102)이 설치되어 있고, 기록 시트(P)는 이들 반송 롤(102)에 의해 표리(表裏)가 반전된 상태로 위치 맞춤 롤(94)에 다시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양면용 반송 유닛(98)의 이웃(도시한 우측)에는, 절첩식의 수동 급지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본체(10A) 내에서 수동 급지부(106)로부터 기록 시트(P)가 급지되는 부위에는, 기록 시트(P)를 반송 경로(62)를 향해 반송하는 급지 롤(108) 및 반송 롤(110, 112)이 설치되어 있고, 반송 롤(110, 112)에 의해 반송된 기록 시트(P)는 위치 맞춤 롤(94)에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가 작동하면, 화상 처리 장치(29) 또는 외부로부터,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화상 데이터가 노광 유닛(40)에 순서대로 출력된다. 이어서, 노광 유닛(40)으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라 출사(出射)된 레이저광(L)(도 3 참조)은, 대전 부재(36)에 의해 대전된 대응하는 감광체(34)의 표면(외주면)을 노광하여, 감광체(34)의 표면에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감광체(3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42Y, 42M, 42C, 42K)에 의해,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된다.
이어서, 감광체(34)의 표면에 순서대로 형성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K)의 각 색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32) 상에 1차 전사 부재(46)에 의해 순서대로 다중 전사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32) 상에 다중 전사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은, 반송되어 온 기록 시트(P) 상에 2차 전사 부재(60)에 의해 2차 전사된다. 이어서,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P)는 정착 장치(64)를 향해 반송되고, 정착 장치(64)에서는 기록 시트(P) 상의 각 색의 토너 화상이 가열, 가압됨으로써 기록 시트(P)에 정착된다. 그리고,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시트(P)는 일례로서 제 1 배출부(69)에 배출된다. 또한, 화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화상면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양면 인쇄의 경우)는, 정착 장치(64)에 의해 표면에 화상 정착을 행한 후, 기록 시트(P)를 반전 경로(100)에 보내서 이면의 화상 형성 및 정착을 행한다.
다음으로, 노광 유닛(4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광 유닛(40)은 4개의 감광체(34Y, 34M, 34C, 34K)에 각각 레이저광(LY, LM, LC, LK)을 조사해서 감광체(34)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광 유닛(40)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케이싱(40A)을 가지고 있고, 케이싱(40A)에는 옐로우색용의 레이저광(LY), 마젠타색용의 레이저광(LM), 시안색용의 레이저광(LC), 블랙색용의 레이저광(LK)을 출사하는 광원(124Y, 124M, 124C, 124K)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색마다 설치된 부재에 대해서는, 부호의 끝에 각각의 색을 나타내는 영자(Y/M/C/K)를 부여하여 나타내지만, 특별하게 색을 구별하지 않고 설명할 경우에는, 이 부호 끝의 영자를 생략해서 설명한다. 또한, 광원(124)의 광축 방향을 화살표 Z방향, 화살표 Z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케이싱(40A) 내의 수평 방향(도시한 우측 방향)을 화살표 X방향, 화살표 Z방향 및 화살표 X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케이싱(40A) 내의 연직 방향(도시한 전방 방향)을 화살표 Y방향으로 한다.
노광 유닛(40)에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면)의 반사면(126A)를 구비하며, 회전 수단의 일례로서의 구동 모터(127)(도 3 참조)에 의해 회전하고, 광원(124)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을 반사시켜서 감광체(34)(도 3 참조) 상의 주주사 방향(감광체(34)의 회전축 방향)으로 레이저광(L)을 주사시키는 편향기의 일례로서의 폴리곤 미러(1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124)으로부터 폴리곤 미러(126)에 이르기까지의 광로에는, 각 색의 광원(124)에 대응하도록 광원(124)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을 평행 광으로 하는 콜리메이터 렌즈(114)가, 경통 부재(116)에 유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124)과 경통 부재(116) 사이에는, 광원(124)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이 투과하는 글래스판(128)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광원(124) 및 글래스판(128)에 의해 광원 및 피부착 부품의 일례로서의 광원 유닛(130)(도 7 참조)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 유닛(130)을 고정해서 콜리메이터 렌즈(114)를 위치 조정한 후 케이싱(40A)에 부착하는 구성에서는, 콜리메이터 렌즈(114)가 광학 부품 및 피부착 부품의 일례로 된다.
각 색의 콜리메이터 렌즈(114)에 대하여 레이저광(L)의 광로 하류측(이하, 「레이저광(L)의」를 생략해서 단지 「광로 하류측」으로 기재함)에는, 콜리메이터 렌즈(114)를 투과한 평행 광을 각각 입사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반사시키는 제 1 평면 미러(118Y, 118M, 118C, 118K)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광원(124)은 화살표 X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어, 각 레이저광(LY, LM, LC, LK)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평면 미러(118)보다 광로 하류측에는,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 레이저광(L)을 수속(收束)시키는 실린더 렌즈(120)가 1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렌즈(120)와 폴리곤 미러(126) 사이에는, 실린더 렌즈(120)를 투과한 레이저광(L)을 폴리곤 미러(126)를 향해 반사시키는 제 2 평면 미러(1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평면 미러(122)에 의해 폴리곤 미러(126)에 안내된 레이저광(LY, LM, LC, LK)은 회전 구동되는 폴리곤 미러(126)에 경사지게 입사하여, 폴리곤 미러(126)에 의해 주사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곤 미러(126)보다 광로 하류측에는, 폴리곤 미러(126)의 반사면(126A)에서 반사된 4개의 레이저광(L)이 입사하는 동시에, 감광체(34) 상에서 주주사되는 레이저광(L)의 주사 속도를 등속으로 하는 제 1 fθ 렌즈(132)와 제 2 fθ 렌즈(1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fθ 렌즈(134)보다 광로 하류측에는, 4개의 레이저광(LY, LM, LC, LK)을 각각 입사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도시한 상방)을 향해 반사하는 제 3 평면 미러(136)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평면 미러(136)보다 광로 하류측에는, 2개의 레이저광(LY, LM)을 각각 입사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반사하는 제 4 평면 미러(138)와, 제 4 평면 미러(138)에 의해 레이저광(LY, LM)이 반사된 방향(도시한 좌측 방향)에 대해 반대의 방향(도시한 우측 방향)을 향해서 2개의 레이저광(LC, LK)을 반사시키는 제 5 평면 미러(140)가 설치되어 있다.
제 4 평면 미러(138)의 광로 하류측에는, 레이저광(LM)을 반대 방향으로 꺽도록 반사시키는 제 6 평면 미러(142)와, 제 4 평면 미러(138)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광(LY)을 감광체(34Y)를 향해 반사시켜, 감광체(34Y) 상에 레이저광(LY)을 결상시키는 글레스로 만들어진 실린드리컬(cylindrical) 미러(148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6 평면 미러(142)의 광로 하류측에는, 제 6 평면 미러(142)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광(LM)을 감광체(34M)를 향해 반사시켜, 감광체(34M) 상에 레이저광(LM)을 결상시키는 글래스로 만들어진 실린드리컬 미러(148M)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5 평면 미러(140)의 광로 하류측에는, 레이저광(LC)을 반대 방향으로 꺽도록 반사시키는 제 7 평면 미러(144)와, 제 5 평면 미러(140)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광(LK)을 감광체(34K)을 향해 반사시켜, 감광체(34K) 상에 레이저광(LK)을 결상시키는 글래스로 만들어진 실린드리컬 미러(148K)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7 평면 미러(144)의 광로 하류측에는, 제 7 평면 미러(144)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광(LC)을 감광체(34C)를 향해 반사시켜, 감광체(34C) 상에 레이저광(LC)을 결상시키는 글래스로 만들어진 실린드리컬 미러(148C)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콜리메이터 렌즈(114)(도 4 참조)를 투과한 레이저광(L)을 감광체(34)에 안내해서 감광체(34)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는 광학계(146)는, 제 1 평면 미러(118), 실린더 렌즈(120), 제 2 평면 미러(122), 폴리곤 미러(126), 제 1 fθ 렌즈(132), 제 2 fθ 렌즈(134), 제 3 평면 미러(136), 제 4 평면 미러(138), 제 5 평면 미러(140), 제 6 평면 미러(142), 제 7 평면 미러(144), 실린드리컬 미러(14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광원(124K)(도 4 참조)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K)의 일부가, 동기(同期) 광(LS)으로서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동기 광(LS)은 제 5 평면 미러(140)에 의해 반사된 후, 미러(150)에 의해 화상 영역 외에 배치된 광검출 센서(152)를 향해 반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검출 센서(152)와 미러(150) 사이에는, 미러(150)에 의해 반사된 동기 광(LS)을 광검출 센서(152)에 집광(集光)하는 집광 렌즈(154)(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검출 센서(152)에 집광된 동기 광(LS)의 검출 타이밍에 의거하여, 제어부(41)(도 1 참조)가 감광체(34)로의 화상 기입 타이밍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케이싱(40A)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30)의 부착 구조(17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케이싱(40A)에 있어서의 광원 유닛(130)의 부착 구조(170Y, 170M, 170C, 170K)가 나타나 있다. 도 5에서는, 부착 구조(170K)만 모든 부품을 기재하고 있고, 부착 구조(170Y, 170M, 170C)에서는 일부의 부품을 기재하고 나머지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부착 구조(170Y, 170M, 170C, 170K)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각 부품의 Y, M, C, K의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부착 구조(170Y, 170M, 170C, 170K)의 순번이 부착 구조(170)의 부착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구조(170)는, 광원 유닛(130)을 유지하는 동시에 광원 유닛(130)의 광축(LG)과 직교하는 X-Y면 내에서 위치 조정되는 유지 부재(172)와, 케이싱(40A)의 외측면(측벽(40B))으로부터 광원 유닛(130)의 광축(LG) 방향(화살표 -Z방향(화살표 Z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 축부(174)와, 축부(174)에 의해 화살표 Z방향으로 안내되는 고정 부재(176)를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176)는, 경화 수단의 일례로서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S)에 의해 화살표 Z방향을 향해 대향 배치된 유지 부재(172)의 면(172A)과 접착되는 동시에, 축부(174)에 자외선 경화 수지(S)에 의해 고정된다.
축부(174)는, 케이싱(40A)의 측벽(40B)에 있어서, 화살표 X방향으로 간격을 두는 동시에 화살표 -Z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축부(174A)와 축부(174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0B)에 있어서의 축부(174A)와 축부(174B) 사이에는, 광원 유닛(130)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진행이 방해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의 관통홀(40C)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172)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며, 중앙부에 광원 유닛(13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내경의 관통홀(17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172B)에 광원 유닛(130)을 압입(壓入) 혹은 끼워 넣어 접착함으로써, 광원 유닛(130)이 유지 부재(172)에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172)에 있어서의 관통홀(172B)의 양측에는, 원형의 제 2 홀부의 일례로서의 관통홀의 홀벽(172C, 172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의 홀벽(172C, 172D)의 내경은 축부(174A, 174B)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고, 축부(174A) 또는 축부(174B)가 삽입 가능하고 또한 광축(LG)(도 7 참조)과 직교하는 X-Y면 내에서 유지 부재(172)의 위치 조정 가능해지는 크기의 조정값을 포함한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유지 부재(172)가 위치 조정 지그(도시생략)에 의해 파지되어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고정 부재(176)는 일례로서 자외선을 투과하는 수지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며, 축부(174A, 174B)에 외부 삽입되어 접촉하는 접촉부 및 제 1 홀부의 일례로서의 관통홀의 홀벽(176A, 176B)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관통홀의 홀벽(176A, 176B)은 축부(174A, 174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내경으로 되어 있고, 축부(174A, 174B)가 삽입되어 관통홀의 홀벽(176A, 176B)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176)의 광축(LG)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규제되도록, 즉 Z방향으로만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176)에는, 관통홀의 홀벽(176A)과 관통홀의 홀벽(176B) 사이에,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 조정을 하기 위한 관통홀(176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76C)의 내경은,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도 8 참조)에 접속되어 광원 유닛(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131)(도 5 참조)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176)에는, 관통홀의 홀벽(176A, 176B)의 가장자리부에 자외선 경화 수지(S)를 모아 두기 위한 오목부(176D, 176E)가 형성되어 있고, 계단식 홀로 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0A)의 내측에는, 각 광원 유닛(130)에 맞춰서 콜리메이터 렌즈(114)(도 7 참조)를 설치하기 위한 계단 형상의 부착부(119Y, 119M, 119C, 119K)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부착부(119Y, 119M, 119C, 119K)에는, 나사(121)에 의해 각 부착부(119)에 고정된 판 스프링 부재(117)에 의해, 콜리메이터 렌즈(114)를 유지하는 경통 부재(116)가 소요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통 부재(116)는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광원 유닛(130)(도 8 참조)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이 입사하는 입사측 통부(162)와, 입사측 통부(162)를 통과해서 콜리메이터 렌즈(114)를 투과한 레이저광(L)이 통과하는 출사측 통부(164)와, 출사측 통부(164)를 통과한 레이저광(L)을 제한해서 외부(제 1 평면 미러(118))로 출사시키는 슬릿 홀(166A)이 형성된 판 부재(166)를 가지고 있다. 입사측 통부(162)의 내주면의 내경은 출사측 통부(164)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출사측 통부(164)와 입사측 통부(162) 사이에는, 콜리메이터 렌즈(114)의 외주부가 끼워 넣어지는 통부(16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부착 구조(170Y, 170M, 170C, 170K)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부착 구조(170)로 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유지 부재(172)의 관통홀(172B)에 광원 유닛(130)을 압입, 혹은 끼워 넣기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어서,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를 고정 부재(176)의 관통홀(176C)에 통과시키고, 유지 부재(172)의 면(172A)과, 고정 부재(176)의 오목부(176D, 176E)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176F)을 접촉시킨다. 이 때, 디스펜서(dispenser)(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S)를 면(172A)과 면(176F) 사이 및 고정 부재(176)의 관통홀의 홀벽(176A, 176B)에 도포한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40A)의 축부(174A)에 관통홀의 홀벽(172C) 및 관통홀의 홀벽(176A)을 외부 삽입하는 동시에, 축부(174B)에 관통홀의 홀벽(172D) 및 관통홀의 홀벽(176B)을 외부 삽입한다. 여기에서, 축부(174A, 174B)로의 관통홀의 홀벽(172C, 172D)의 어느 한쪽의 외부 삽입을 실패해도, 관통홀의 홀벽(172C, 172D)의 다른쪽이 축부(174A, 174B)의 어느 하나에 걸려, 유지 부재(172)의 낙하 방지로 된다. 그리고, 오목부(176D, 176E)에도 자외선 경화 수지(S)를 도포한다.
이어서,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에 소켓(131)(도 5 참조)을 접속한다. 또한, 소켓(131)의 배선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소켓(131)을 화살표 X방향 및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X-Y스테이지(도시생략)에서 지지한다. 또한, 전원 유닛(도시생략)으로부터 광원 유닛(130)에 전원 공급하여, 광원 유닛(130)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출사시킨다. 그리고, 이 레이저광을 광로의 하류측에 배치된 모니터(도시생략)에 의해 위치 확인하면서,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 때, 광원 유닛(130)과 유지 부재(172)는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X-Y스테이지에서 소켓(131)을 이동시키면 유지 부재(172)는 고정 부재(176)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동일하게 이동한다. 또한, 유지 부재(172)의 관통홀의 홀벽(172C, 172D)은, 미리 조정값을 포함시킨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174A, 174B)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축부(174A, 174B)와 고정 부재(176)의 관통홀의 홀벽(176A, 176B)이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고정 부재(176)는, 광축(LG) 방향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된다. 이에 의해, 광원 유닛(130)의 X-Y 위치 조정을 행해도 고정 부재(176)가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어, 즉 Z방향으로만 제한되어, 광원 유닛(130)의 광축(LG)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초점 조정(화살표 Z방향 조정)을 위해 광원 유닛(130)을 광축(LG)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축부(174A, 174B)와 고정 부재(176)의 관통홀의 홀벽(176A, 176B)이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유지 부재(172) 및 광원 유닛(130)은 X-Y면 내에서 위치 어긋남 없이 광축(LG) 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하여, 광원 유닛(130)의 X, Y, Z방향의 위치 조정이 종료된 후, 고정 부재(176)의 오목부(176D, 176E)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면을 향해 자외선 조사를 행한다. 이 때, 고정 부재(176)가 자외선을 투과하기 때문에, 고정 부재(176)의 면(176F)과 유지 부재(172)의 면(172A) 사이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수지(S)가 자외선의 작용에 의해 경화된다. 또한, 다른 부위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수지(S)도 경화된다. 이에 의해, 광원 유닛(130)이 케이싱(40A)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도 14에는, 본 실시형태와의 비교예인 광원 유닛(130)의 부착 구조(300)가 나타나 있다. 또한, 비교예의 부착 구조(300)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부재 및 부위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의 것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부재 및 부위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부착 구조(300)는, 본 실시형태의 부착 구조(170)(도 8 참조)에 있어서 고정 부재(176)를 설치하지 않고, 유지 부재(172)만으로 광원 유닛(130)을 축부(174)에 유지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비교예의 부착 구조(300)에서는, 축부(174A, 174B)와 관통홀의 홀벽(172C, 172D) 사이에 자외선 경화 수지(S)를 도포한 후,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의 위치 조정 및 Z축 방향의 초점 조정을 행하고, 자외선 경화 수지(S)에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킨다. 그러나, 비교예의 부착 구조(300)에서는, 축부(174A)와 관통홀의 홀벽(172C) 사이, 및 축부(174B)와 관통홀의 홀벽(172D) 사이를 넓어져 있기 때문에, 유지 부재(172)는 광축(LG) 방향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외로 되어, 광원 유닛(130)의 광축(LG)이 기울어지게 되기 쉽다. 이에 의해, 위치 조정의 반복 작업이 필요해지고, 조정이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광원 유닛(130)의 부착 구조(170)에서는, 광원 유닛(130)의 X-Y 위치 조정을 행해도 고정 부재(176)가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어, 즉 Z방향으로만 규제되어, 광원 유닛(130)의 광축(LG)의 기울어짐이 억제되므로, 위치 조정의 반복 작업이 불필요해져, 위치 조정이 간단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품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는 제 2 실시형태의 부착 구조(180)가 나타나 있다. 부착 구조(180)는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부착 구조(170)(도 8 참조)에 있어서, 유지 부재(172)를 대신하여 유지 부재(182)를 설치하고, 고정 부재(176)를 대신하여 고정 부재(184)를 설치한 점이 다르고,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유지 부재(182)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며, 중앙부에 광원 유닛(13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내경의 관통홀(18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182B)에 광원 유닛(130)을 압입 혹은 끼워 넣어 접착함으로써, 광원 유닛(130)이 유지 부재(182)에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182)에 있어서의 관통홀(182B)의 양측에는 다른 관통홀은 없고, 유지 부재(182)는 축부(174A)와 축부(174B) 사이에 수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유지 부재(182)가 위치 조정 지그(도시생략)에 의해 파지되어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고정 부재(184)는 일례로서 자외선을 투과하는 수지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며, 축부(174A, 174B)에 외부 삽입되어 접촉하는 접촉부 및 제 1 홀부의 일례로서의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은 축부(174A, 174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내경으로 되어 있고, 축부(174A, 174B)가 삽입되어 관통홀의 홀벽(184A, 184B)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184)의 광축(LG)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되도록, 즉 Z방향으로만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184)에는, 관통홀의 홀벽(184A)과 관통홀의 홀벽(184B) 사이에,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 조정을 하기 위한 관통홀(184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84C)의 내경은 소켓(131)(도 5 참조)을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유지 부재(182)의 관통홀(182B)에 광원 유닛(130)을 압입 혹은 끼워 넣기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어서,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를 고정 부재(184)의 관통홀(184C)에 통과시키고, 유지 부재(182)의 면(182A)과 고정 부재(184)를 접촉시킨다. 이 때, 디스펜서(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S)를 유지 부재(182)와 고정 부재(184) 사이, 및 고정 부재(184)의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에 도포한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40A)의 축부(174A)에 관통홀의 홀벽(184A)을 외부 삽입하는 동시에, 축부(174B)에 관통홀의 홀벽(184B)을 외부 삽입한다.
이어서,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에 소켓(131)(도 5 참조)을 접속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순서로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 때, 광원 유닛(130)과 유지 부재(182)는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X-Y스테이지에서 소켓(131)을 이동시키면 유지 부재(182)는 고정 부재(184)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동일하게 이동한다. 또한, 유지 부재(182)는 축부(174A, 174B)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축부(174A, 174B)와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이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고정 부재(184)는 광축(LG) 방향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된다. 이에 의해, 광원 유닛(130)의 X-Y 위치 조정을 행해도 고정 부재(184)가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어, 광원 유닛(130)의 광축(LG)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광원 유닛(130)을 광축(LG)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축부(174A, 174B)와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이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유지 부재(182) 및 광원 유닛(130)은 X-Y면 내에서 위치 어긋남 없이 광축(LG) 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하여, 광원 유닛(130)의 X, Y, Z방향의 위치 조정이 종료된 후,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고정 부재(184)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제 2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품에는,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는 제 3 실시형태의 부착 구조(190)가 나타나 있다. 부착 구조(190)는 제 1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172)와, 제 2 실시형태의 고정 부재(184)를 조합시키고 있고,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축부(174A, 174B)를 대신하여 케이싱(40A)과 반대측의 단부가 직경이 축소된 축부(192A, 192B)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92A, 192B)에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을 외부 삽입할 때, 축부(192A, 192B)의 단부가 직경이 축소되어 있으므로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의 외부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축부(192A, 192B)의 직경이 축소된 부위와 관통홀의 홀벽(184A, 184B)의 극간이 자외선 경화 수지(S)가 모이는 오목부로 되므로, 고정 부재(184)로의 접착제의 흐름이 억제되어, 경화 후의 외관이 양호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품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는 제 4 실시형태의 부착 구조(200)가 나타나 있다. 부착 구조(200)는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부착 구조(170)(도 8 참조)에 있어서, 유지 부재(172)를 대신하여 유지 부재(182)를 설치하고, 고정 부재(176)를 대신하여 고정 부재(202)를 설치한 점이 다르고,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고정 부재(202)는 일례로서 자외선을 투과하는 수지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며, 축부(174A, 174B)에 외부 삽입되어 접촉하는 접촉부 및 제 1 홀부의 일례로서의 관통홀의 홀벽(202A, 202B)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관통홀의 홀벽(202A, 202B)은 축부(174A, 174B)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내경으로 되어 있고, 축부(174A, 174B)가 삽입되어 관통홀의 홀벽(202A, 202B)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202)의 광축(LG)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되도록, 즉 Z방향으로만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202)에는, 관통홀의 홀벽(202A)과 관통홀의 홀벽(202B) 사이에,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 조정을 하기 위한 관통홀(202C)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02C)의 내경은 소켓(131)(도 5 참조)을 삽입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거기에다, 관통홀의 홀벽(202A, 202B)의 가장자리부에는, 자외선 경화 수지(S)를 모아 두기 위한 오목부(202D, 202E)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유지 부재(182)에 광원 유닛(130)을 압입 혹은 끼워 넣기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어서,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를 고정 부재(202)의 관통홀(202C)에 통과시키고, 유지 부재(182)의 면(182A)과 고정 부재(202)를 접촉시킨다. 이 때, 디스펜서(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S)를 유지 부재(182)와 고정 부재(202) 사이 및 고정 부재(202)의 관통홀의 홀벽(202A, 202B)에 도포한다. 이 상태에서, 케이싱(40A)의 축부(174A, 174B)에 관통홀의 홀벽(202A, 202B)을 외부 삽입한다.
이어서,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에 소켓(131)(도 5 참조)을 접속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순서로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 때, 유지 부재(182)는 축부(174A, 174B)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축부(174A, 174B)와 관통홀의 홀벽(202A, 202B)이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고정 부재(202)는 광축(LG) 방향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된다. 이에 의해, 광원 유닛(130)의 X-Y 위치 조정을 행해도 고정 부재(202) 및 유지 부재(182)가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어, 광원 유닛(130)의 광축(LG)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광원 유닛(130)을 광축(LG)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축부(174A, 174B)와 관통홀의 홀벽(202A, 202B)이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유지 부재(182) 및 광원 유닛(130)은 X-Y면 내에서 위치 어긋남 없이 광축(LG) 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하여, 광원 유닛(130)의 X, Y, Z방향의 위치 조정이 종료된 후,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고정 부재(202)를 고정한다. 여기에서, 고정 부재(202)의 오목부(202D, 202E)에 자외선 경화 수지(S)가 모이므로, 고정 부재(202)로의 접착제의 흐름이 억제되어, 경화 후의 외관이 양호하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구조(200)의 변형예로서, 케이싱(40A)에의 유지 부재(182) 및 고정 부재(202)의 부착을 케이싱(40A)에 가까운 측에 고정 부재(202)를 배치하고, 케이싱(40A)으로부터 먼 측에 유지 부재(182)를 배치한 부착 구조(210)로 해도 된다. 부착 구조(210)에 있어서도, 유지 부재(182)는 고정 부재(202)에 의해 경사가 억제되어, 광원 유닛(130)의 광축(LG)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품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a), (b)에는, 제 5 실시형태의 부착 구조(230)가 나타나 있다. 부착 구조(230)는, 제 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부착 구조(170)(도 8 참조)에 있어서, 유지 부재(172)는 그대로고 고정 부재(176)를 대신하여 고정 부재(232)를 설치하고, 또한 축부(174A, 174B)를 대신하여 X-Y면 내의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축부(234A, 234B)를 설치한 점이 다르고,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축부(234A, 234B)의 크기는, 관통홀의 홀벽(172C, 172D)에 삽입 가능하고 또한 광원 유닛(130)의 X-Y 조정이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고정 부재(232)는 일례로서 자외선을 투과하는 수지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이며, X-Y면 내에 배치했을 때의 화살표 X방향의 양단부에는, 축부(234A, 234B)에 외부 삽입되어 접촉하는 접촉부의 일례로서의 오목부(232A, 23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232)에 있어서의 오목부(232A)와 오목부(232B) 사이에는, 소켓(131)(도 5 참조)이 단자(130A)에 접속 가능해지는 크기의 관통홀(232C)이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32A, 232B)의 크기는 축부(234A, 234B)의 외형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고, 축부(234A, 234B)가 삽입되어 오목부(232A, 232B)의 홀벽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232)의 광축(LG)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되도록, 즉 Z방향으로만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유지 부재(172)에 광원 유닛(130)을 압입 혹은 끼워 넣기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어서, 디스펜서(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S)를 유지 부재(172)와 고정 부재(232) 사이 및 오목부(232A, 232B)의 홀벽에 도포한다. 이 상태에서, 축부(234A, 234B)에 오목부(232A, 232B)를 외부 삽입하여, 유지 부재(172)의 면(172A)과 고정 부재(232)를 각각 접촉시킨다.
이어서, 광원 유닛(130)의 단자(130A)에 소켓(131)(도 5 참조)을 접속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순서로 광원 유닛(130)의 X-Y면 내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 때, 유지 부재(172)는 축부(234A, 234B)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축부(234A, 234B)와 오목부(232A, 232B)가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고정 부재(232)는 광축(LG) 방향과 직교하는 2축(X축, Y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 내로 제한된다. 이에 의해, 광원 유닛(130)의 X-Y 위치 조정을 행해도 고정 부재(232) 및 유지 부재(172)가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어, 광원 유닛(130)의 광축(LG)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또한, 광원 유닛(130)을 광축(LG)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축부(234A, 234B)와 오목부(232A, 232B)가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유지 부재(172) 및 광원 유닛(130)은 X-Y면 내에서 위치 어긋남 없이 광축(LG) 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하여, 광원 유닛(130)의 X, Y, Z방향의 위치 조정이 종료된 후, 자외선 조사를 행해서 고정 부재(232)를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 유닛(130)측을 고정으로 해서, 콜리메이터 렌즈(114)의 경통 부재(116)에 대하여 각 고정 부재를 설치하여, 콜리메이터 렌즈(114)의 위치 조정시의 광축(LG)의 기울어짐을 억제해도 된다. 또한, 각 축부의 수는 3개 이상의 복수여도 된다. 또한, 각 고정 부재는 X-Z면 내에 있어서의 가로 폭(판 두께)이 각 축부에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원고 반송 장치
14 : 원고 판독 장치 20 : 풀 레이트 미러
22 : 하프 레이트 미러 24 : 하프 레이트 미러
26 : 결상 렌즈 28 : 광전 변환 소자
30 : 화상 형성 유닛 32 : 중간 전사 벨트
34 : 감광체 36 : 대전 부재
40 : 노광 유닛 42 : 현상기
52 : 클리닝 장치 60 : 2차 전사 부재
114 : 콜리메이터 렌즈 116 : 경통 부재
117 : 판 스프링 부재 119 : 부착부
124 : 광원 126 : 폴리곤 미러
128 : 글래스판 130 : 광원 유닛
131 : 소켓 150 : 미러
152 : 광검출 센서 154 : 집광 렌즈
172 : 유지 부재 176 : 고정 부재

Claims (8)

  1. 광원 또는 광학 부품을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의 광축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위치 조정되는 유지 부재와,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이 설치되는 케이싱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광원 또는 상기 광학 부품의 광축 방향으로 돌출한 축부와,
    상기 축부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며, 상기 축부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2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로 제한되고, 경화 수단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 수지에 의해 상기 광축 방향을 향해 대향 배치된 상기 유지 부재의 면과 접착되는 동시에, 상기 축부에 상기 경화 수지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를 가지는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축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2축 둘레의 회전이 허용 범위로 제한되는 내경의 제 1 홀부(hole portion)를 포함하는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화 수지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인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는, 상기 축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이고 또한 상기 축부에 삽입되는 제 2 홀부가 형성되어 있는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접촉부에 인접하는 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경화 수지를 내부에 부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상기 광축 방향의 단부가 직경이 축소되어 있어, 상기 축부가 상기 접촉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단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접촉부에 인접하는 부위가 상기 경화 수지를 내부에 부가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와,
    상기 광축 방향에서 상기 피부착 부품보다 하류측에 설치되고, 입사된 광을 상기 광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편향(偏向)하는 편향기와,
    상기 편향기를 회전시켜 광을 주사하는 회전 수단을 가지는 광 주사 장치.
  8. 잠상 유지체와,
    상기 잠상 유지체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과,
    상기 대전 수단에 의해 대전된 상기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광을 주사하여 잠상을 형성하는 제 7 항에 기재된 광 주사 장치와,
    상기 잠상에 현상제를 부여하여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잠상 유지체의 현상제 상을 피전사 부재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90305A 2010-03-15 2010-09-15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56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58177 2010-03-15
JP2010058177 2010-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828A KR20110103828A (ko) 2011-09-21
KR101356558B1 true KR101356558B1 (ko) 2014-01-28

Family

ID=4455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305A KR101356558B1 (ko) 2010-03-15 2010-09-15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42263B2 (ko)
JP (1) JP5708054B2 (ko)
KR (1) KR101356558B1 (ko)
CN (1) CN1021931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5216B2 (ja) * 2012-06-22 2016-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988039B2 (ja) * 2013-01-21 2016-09-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88995B2 (ja) * 2013-09-06 2018-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26651B2 (ja) * 2013-09-06 2017-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69955B2 (ja) * 2014-07-25 2018-01-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コリメータレンズの筐体への固定方法、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38450B2 (ja) * 2015-06-26 2019-07-0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2018132643A (ja) * 2017-02-15 2018-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95881B2 (ja) * 2017-02-20 2018-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981036B2 (ja) * 2017-05-08 2021-12-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8988548A (zh) * 2017-06-02 2018-12-1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马达及指针式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8820B2 (en) 1999-12-08 2004-09-28 Ricoh Company, Ltd. Adjusting device for a multi-beam sourc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08859B2 (en) 2006-06-05 2009-03-24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2010054858A (ja) 2008-08-28 2010-03-11 Ricoh Co Ltd 光走査部および光走査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0052313A (ja) 2008-08-29 2010-03-1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702A (en) * 1987-12-02 1990-04-17 Canon Kabushiki Kaisha Laser unit
JPH04216514A (ja) * 1990-12-17 1992-08-06 Ricoh Co Ltd レーザー光発生装置
JP2962923B2 (ja) 1992-03-25 1999-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源装置
US5255015A (en) * 1992-06-03 1993-10-19 Eastman Kodak Company Athermally compensated optical head for a laser scanner
US5758950A (en) * 1996-03-05 1998-06-02 Ricoh Company, Ltd. Light source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105347A (ja) * 1998-07-29 2000-04-11 Ricoh Co Ltd マルチビ―ム光源装置、マルチビ―ム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82948B2 (ja) * 2006-07-27 2011-05-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145953A (ja) * 2006-12-13 2008-06-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9002988A (ja) 2007-06-19 2009-01-0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レーザ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94238A (ja) * 2008-06-02 2009-12-17 Ricoh Co Ltd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003729A (ja) * 2008-06-18 2010-01-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光学部材および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4565020B2 (ja) * 2008-06-27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26146A (ja) * 2008-07-17 2010-02-04 Canon Inc 光学走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8820B2 (en) 1999-12-08 2004-09-28 Ricoh Company, Ltd. Adjusting device for a multi-beam sourc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08859B2 (en) 2006-06-05 2009-03-24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2010054858A (ja) 2008-08-28 2010-03-11 Ricoh Co Ltd 光走査部および光走査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0052313A (ja) 2008-08-29 2010-03-1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93190B (zh) 2015-02-18
KR20110103828A (ko) 2011-09-21
JP5708054B2 (ja) 2015-04-30
CN102193190A (zh) 2011-09-21
US20110222132A1 (en) 2011-09-15
JP2011215609A (ja) 2011-10-27
US8542263B2 (en)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558B1 (ko) 피부착 부품의 부착 구조,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WO2007077979A1 (ja) 光学走査装置
JP2007121341A (ja)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834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054326B2 (en) Laser exposure device and optical axis adjustment method in laser exposure device
US8446448B2 (en) Optical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US20070211137A1 (en) Optical writing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348138B2 (ja) 光走査装置
JP5936887B2 (ja) 光走査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1076742B1 (ko)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화상 형성 방법
JP2021092662A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11291A (ja) 光走査装置
US11789376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07402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16645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9061192A (ja) 走査光学装置
JP5027681B2 (ja) レーザ光照射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8016009A (ja) 露光装置および受光装置
JP5556216B2 (ja) 光学部品の調整構造、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82354B2 (en) Optical wri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82554B2 (ja) 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3337300A (ja) 結像光学系、光書き込み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281852A (ja) 光走査装置、該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レーザダイオードの固定方法
JP2005231104A (ja) 画像形成装置
JPH08136836A (ja) 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