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742B1 -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화상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화상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742B1
KR101076742B1 KR1020080005676A KR20080005676A KR101076742B1 KR 101076742 B1 KR101076742 B1 KR 101076742B1 KR 1020080005676 A KR1020080005676 A KR 1020080005676A KR 20080005676 A KR20080005676 A KR 20080005676A KR 101076742 B1 KR101076742 B1 KR 10107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member
time
image
c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341A (ko
Inventor
요시히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6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72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광 장치에서의 감광체 드럼 위에서의 노광 위치의 설정을 단시간에 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영역(263t)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과, 영역(263t) 이외의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에 의해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유지된다.
화상 형성 유닛, 렌즈 지지 프레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

Description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EXPORSURE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EXPORSUR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본 발명은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광에 의한 정보의 기입을 행하는 노광(露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나 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체 드럼과 노광 장치가 각각 각 색마다 배치되어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각 노광 장치가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광에 의해 각 감광체 드럼을 주사(走査) 노광하기 때문에, 각 노광 장치에서의 감광체 드럼 위에서의 노광 위치를 미리 정밀도 좋게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노광 장치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각 노광 장치에 관한 감광체 드럼 위에서의 노광 위치의 조정이 행해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5-156914호 공보(제 4-5 페이지)
본 발명은 노광 장치에서의 광학 부재의 위치 결정 및 접착을 단시간에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형태에 따른 발명은, 광학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양단(兩端)은,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1 접착부와, 당해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이다.
제 2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 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 상기 광학 부재는 양단부의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조사된 상기 광을 당해 제 1 접착부에 집광(集光)하는 집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 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 상기 광학 부재는, 양단부의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볼록 렌즈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 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 상기 제 1 접착부는, 상기 제 2 접착부보다도 얇은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4 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접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 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 상기 제 1 접착부는, 상기 제 2 접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 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 상기 제 2 접착부는, 상기 제 1 접착부보다도 큰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 형태에 따른 노광 장치에서, 상기 광학 부재는, 광원(光源)으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고, 당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노광되는 피노광체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형태에 따른 발명은,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를 노광하는 노광 수단을 가지며, 상기 노광 수단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 위에 배치된 광학 부재와,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양단은,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1 접착부와, 당해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10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9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조사된 상기 광을 당해 제 1 접착부에 집광하는 집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0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집광부가 볼록 렌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9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제 1 접착부가 상기 제 2 접착부보다도 얇은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2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제 1 접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9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노광 수단은, 복수의 상기 상 유지체의 각각을 노광하는 복수의 상기 광원과, 당해 광원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상기 광학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5 형태에 따른 발명은,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유지 부재의 제 1 접착부에 의해 광학 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상기 유지 부재의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제 16 형태에 따른 발명은, 노광 장치에 의해 상 유지체를 노광하여 정전(靜電) 화상을 당해 상 유지체 위에 만들고,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 화상을 현상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고,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 위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노광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 위에 배치된 광학 부재와,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양단은,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1 접착부와, 당해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형성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노광 장치에서의 광학 부재의 위치 결정 및 접착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 대한 조사 광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 대한 조사 광의 광량을 간단한 구성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서의 경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서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노광 장치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에 의하면, 시장에서 통상 사용이 되는 상태에서도, 광학 부재에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 등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피노광체 위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광학 부재를 유지 부재에 접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 유지체 위에서의 노광 위치의 설정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 대한 조사 광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 대한 조사 광의 광량을 간단한 구성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서의 경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제 1 접착부에서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상 유지체를 노광하는 노광부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노광 수단에 있어서,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 유지체 위에서의 노광 위치를 단시간에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에 의하면, 노광 장치에서의 광학 부재의 위치 결정 및 접착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상 유지체 위에서의 노광 위치의 설정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는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한 소위 탠덤형의 디지털 컬러 프린터로서, 각 색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70), 화상 형성 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부(80),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3)나 스캐너 등의 화상 판독 장치(4) 등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부(81), 처리 프로그램이나 화상 데이터 등이 기억되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Hard Disk Drive)에서 실현되는 주 기억부(8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70)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0Y, 10M, 10C, 10K)(이하, 「화상 형성 유닛(10)」으로도 총칭함)이 상하 방향(대략 연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10)은 상 유지체(또는, 피노광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1),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대전(帶電)하는 대전 롤(12), 감광체 드럼(1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靜電潛像)을 각 색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기(13),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1) 표면을 청소하는 드럼 클리너(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화상 형성 유닛(10)은 화상 형성 장치(1)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예를 들면, 현상기(13) 내의 토너가 소비되거나, 감광체 드럼(11)이 수명에 달한 경우 등에는, 화상 형성 유닛(10) 단위로 교환된다.
대전 롤(12)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도전성 코어(core) 위에, 도전성 탄성체층과 도전성 표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롤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전 전원(도시 생략)으로부터 대전 바이어스 전압의 공급을 받아, 감광체 드럼(11)에 대해서 종동 회전하면서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소정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한다.
현상기(13)는 화상 형성 유닛(10) 각각에서,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 각 색 토너와 자성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성분 현상제를 유지하여, 감광체 드럼(1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각 색 토너로 현상한다.
드럼 클리너(14)는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 부재를 감광체 드럼(11) 표면에 접촉시켜서, 감광체 드럼(11) 위에 부착된 토너나 종이가루 등을 제거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는, 각 화상 형성 유닛(10) 각각에 배열 설치된 감광체 드럼(11)을 노광하는 노광 수단(노광 장치)의 일례로서의 레이저 노광기(20)가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 노광기(20)는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81)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점등 제어된 레이저 광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닛(10)의 감광체 드럼(11) 위를 각각 주사 노광한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유닛(10)의 감광체 드럼(11)과 접촉하면서 이동하도록, 기록재(기록지)인 용지(P)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 벨트(30)가 배치되어 있다. 용지반송 벨트(30)는 용지(P)를 정전 흡착하는 필름 형상의 무단 벨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롤(32)과 아이들 롤(idle roll)(33)에 걸쳐져 순환 이동하고, 감광체 드럼(11)과의 사이에 용지(P)가 대략 연직 방향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반송되는 용지 반송로(M1)를 형성하고 있다.
용지 반송 벨트(30)의 내측이고 각 감광체 드럼(1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각 전사 롤(31)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전사 롤(31)은 감광체 드럼(11)과의 사이에 전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용지 반송 벨트(30)에 유지·반송되는 용지(P) 위 에, 각 화상 형성 유닛(10)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전사한다. 또한, 용지 반송 벨트(30)의 외측이고 각 전사 롤(31)의 하류측에는,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1)을 제전(除電)하는 제전 램프(35)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 반송 벨트(30)의 감광체 드럼(11)측의 최상류부에는, 용지 반송 벨트(30)를 대전하는 흡착 롤(34)이 배치되어 있다. 용지 반송 벨트(30)는 표면이 흡착 롤(34)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됨으로써, 용지(P)를 안정적으로 정전 흡착시킨다.
또한, 용지 반송로(M1)를 따라 용지 반송 벨트(30)의 하류측에는, 용지(P) 위의 미정착 토너상에 대해서 열 및 압력에 의한 정착 처리를 실시하는 정착기(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지 반송 벨트(30) 이외의 용지 반송계로서는, 급지(給紙)측에, 용지(P)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50), 이 용지 수용부(50)에 수용된 용지(P)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꺼내어 반송하는 픽업 롤(51), 픽업 롤(51)에 의해 속출된 용지(P)를 반송하는 반송 롤(52), 화상 형성 동작에 맞춰서 용지(P)를 용지 반송 벨트(30)에 내보내는 레지스트 롤(5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배지(排紙)측에는, 정착기(40)에서 정착 처리된 용지(P)를 반송하는 배지 롤(54), 편면 프린트의 경우에는 용지(P)를 장치 본체 상부에 설치된 배지부(90)를 향해서 배출하고, 양면 프린트의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배지부(90)를 향한 회전 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반전함으로써, 정착기(40)에서 편면이 정착된 용지(P)를 양면 반송로(M2)를 향해서 내보내는 반전 롤(55)이 배열 설치되어 있 다. 게다가, 양면 반송로(M2)에는, 양면 반송로(M2)를 따라 복수의 반송 롤(5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에서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부(70)는 제어부(80)에 의한 제어하에서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한다. 즉, PC(3)나 화상 판독 장치(4)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81)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레이저 노광기(20)에 공급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블랙(K)의 화상 형성 유닛(10K)에서는, 대전 롤(12)에 의해 소정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이, 레이저 노광기(20)에 의해 화상 처리부(81)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점등 제어된 레이저 광으로 주사 노광되어, 감광체 드럼(11)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기(13)에 의해 현상되어, 감광체 드럼(11) 위에는 블랙(K)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 유닛(10Y, 10M, 10C)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옐로(Y), 마젠타(M), 시안(C)의 각 색 토너상이 형성된다.
한편, 각 화상 형성 유닛(10)에서의 각 색 토너상의 형성이 개시되면, 용지 수용부(50)로부터 꺼내진 용지(P)는 레지스트 롤(53)에 의해 토너상의 형성 타이밍에 맞추어 용지 반송 벨트(30)에 공급된다. 용지 반송 벨트(30)는 흡착 롤(34)에 의해 표면이 소정 전위로 대전된다. 그것에 의해, 용지(P)는 용지 반송 벨트(30) 위에 정전 흡착되고,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는 용지 반송 벨트(30)에 의해, 용지 반송로(M1)를 따라 반송된다. 그 도중에서, 전사 롤(31)에 의해 형성되는 전사 전계에 의해 각 색 토너상이 용지(P) 위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각 색 토너상이 정전 전사된 용지(P)는 화상 형성 유닛(10K)의 하류에서 용지 반송 벨트(30)로부터 박리되어, 정착기(40)에 반송된다. 용지(P)가 정착기(40)에 반송되면, 용지(P) 위의 미정착 토너상은 열 및 압력에 의한 정착 처리를 받아서 용지(P)에 정착된다. 각 색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P)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배출부에 설치된 배지부(90)에 적재된다. 한편, 양면 프린트시에는, 양면 반송로(M2)를 경유하여 재차 동일한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 후, 배지부(90)에 적재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노광기(20)는, 예를 들면, 4개의 반도체 레이저로 이루어지는 광원(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 광원(21)으로부터의 각 레이저 광에 대응하여 설치된 4개의 콜리메이터 렌즈(22), 실린더 렌즈(23), 예를 들면, 정육각면체로 형성된 회전 다면경(폴리곤 미러)(24), 복수의 반사 미러(25), fθ렌즈의 한쪽을 구성하는 폴리곤 미러측 렌즈(도시 생략) 및 fθ렌즈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4개의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노광기(20)는 유지 부재의 일례로서의 하우징(27) 내에 구성되어, 레이저 광의 외부로의 누설이나 각 광학 부재에의 먼지 등의 부착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 노광기(20)에는, 화상 형성 장치(1) 내에 설치하기 위한 하우징(27)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지지 샤프트(28),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를 고정하는 유지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렌즈 지지 프레임(29)이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된 발산성의 4개의 레이저 광은, 각 콜리메이터 렌즈(22)에 의해 평행광으로 변환되어, 부주사 방향으로만 굴절력을 갖는 실린더 렌즈(23)에 의해, 폴리곤 미러(24)의 편향 반사면(24a) 근방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긴 선상(線像)으로서 결상(結像)된다. 그리고, 각 레이저 광은 고속으로 정속(定速) 회전하는 폴리곤 미러(24)의 편향 반사면(24a)에 의해 반사되어, 등각 속도적으로 주사된다.
각 레이저 광은 fθ렌즈를 구성하는 폴리곤 미러측 렌즈를 통과하여, 복수의 반사 미러(25)에 의해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향해서 방향을 바꾸고,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로부터 각 화상 형성 유닛(10)의 감광체 드럼(11)의 표면을 주사 노광한다. 여기서, fθ렌즈를 구성하는 폴리곤 미러측 렌즈 및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각각 레이저 광의 광 스폿의 주사 속도를 감광체 드럼(11) 위에서 등속화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선상은, 폴리곤 미러(24)의 편향 반사면(24a)의 근방에 결상 하고, fθ렌즈는 부주사 방향에 관해서 편향 반사면(24a)을 물점(物点)으로서 광 스폿을 감광체 드럼(11)의 표면 위에 결상시키므로, 이 주사 광학계는, 편향 반사면(24a)의 면 쓰러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LK, LC, LM, LY)은 각각 화상 형성 유닛(10K, 10C, 10M, 10Y)의 감광체 드럼(11)을 주사 노광한다. 그 때문에, 레이저 광(LK, LC, LM, LY)이 각각 화상 형성 유닛(10K, 10C, 10M, 10Y)에 설치된 감광체 드럼(11)의 소정의 노 광 위치를 주사하도록, 감광체 드럼(11) 위에서의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노광 위치가 공장에서의 제조 공정에서 설정된다. 그 노광 위치의 설정은, 주로 각 반사 미러(25)의 설정 각도의 조정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감광체 드럼(11) 위에서의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노광 위치는 매우 높은 정밀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노광 위치 설정의 최종 단계에서는, 레이저 노광기(20)를 계측 장치에 설치하고, 실제로 레이저 광을 발광시켜서,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의 노광 위치를 계측하면서,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의 설정 각도를 미세 조정하여, 설계값에 맞추는 조정이 실시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노광 위치가 설계값에 일치한 상태에서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를 하우징(27)에 고정한다. 그것에 의해, 레이저 노광기(20)에서의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노광 위치를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도 3은 레이저 노광기(20)를 각 화상 형성 유닛(10)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노광기(20)의 각 화상 형성 유닛(10)측에는, 광학 부재의 일례로서의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계측 장치에 의해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의 조사 위치가 계측되고, 그 계측값에 의거하여, 유지 지그(100)(후단의 도 4 참조)에 의해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의 설정 각도(θ)가 미세 조정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노광기(20)에서의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노광 위치가 감광체 드럼(11)의 소정 위치(설계값)에 설정되도록, 출사측 렌즈(26K)를 각도(θK), 출사측 렌즈(26C)를 각도(θC), 출사측 렌 즈(26M)를 각도(θM), 출사측 렌즈(26Y)를 각도(θY)만큼 설정 각도(θ)를 조정한다. 그리고,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완료될 때까지는,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하우징(27)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 지그(100)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의 설정 각도(θ)뿐만 아니라, 유지 지그(100)에 의해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의 조정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노광 위치 설정을 행할 때의 레이저 노광기(20)를 감광체 드럼(11)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에서는, 도시 생략된 계측 장치가 도면 앞쪽에 놓이고,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로부터의 레이저 광은 도면 앞쪽을 향해서 출사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측 장치에 의한 계측시에는, 계측 장치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유지 지그(100)가 레이저 노광기(20)에 부착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1 공정으로서 행해진다. 그 때에, 레이저 노광기(20)의 하우징(27)의 양측부에 설치된 본체 고정부(27y)(도 3도 참조)가 유지 지그(100)의 부착부(104)와 고정됨으로써, 레이저 노광기(20)와 유지 지그(100) 사이에서의 소정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다.
또한, 레이저 노광기(20)에 유지 지그(100)가 부착되었을 때에는,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의 양단부가, 각각 유지 지그(100)의 렌즈 지지부(102K, 102C, 102M, 102Y)에 유지된다. 각 렌즈 지지부(102K, 102C, 102M, 102Y)는 유지 지그(100)의 케이싱(101)에 상하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 렌즈 지지부(102K, 102C, 102M, 102Y)는 각각 설치된 마이크로미터를 구비한 조정부(103K, 103C, 103M, 103Y)에 의해, 상하 방향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양단부를 각각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102K, 102C, 102M, 102Y)의 상하 방향 위치가 미세하게 조정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설정 각도(θ)가 미세 조정된다. 그것에 의해, 레이저 노광기(20)에서의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감광체 드럼(11) 위에서의 노광 위치가 고정밀도로 설정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2 공정으로서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계측 장치를 사용한 레이저 노광기(20)에서의 노광 위치의 설정이 완료된 후에는,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레이저 노광기(20)의 하우징(27)의 양측부에 배치된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된다. 그 때에,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5는 일례로서, 출사측 렌즈(26C)의 한쪽 단부가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사측 렌즈(26C)의 양단부에는,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대향하는 위치에 렌즈 고정부(261)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렌즈 고정부(261)의 일부 영역에는, 볼록 렌즈 형상으 로 형성된 집광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지지 프레임(29)과 렌즈 고정부(261) 사이에는,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되어, 렌즈 지지 프레임(29)과 렌즈 고정부(261)를 접착 고정하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출사측 렌즈(26C)의 양단부가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된다. 다른 출사측 렌즈(26K, 26M, 26Y)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가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되는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가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3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계측 장치를 사용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에 관한 미세 조정이 종료된 후에, 레이저 노광기(20)에 유지 지그(100)가 부착된 상태로 행해진다(도 4 참조). 즉,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종료되고,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의 노광 위치를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위치로 조정된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 지그(100)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이 단계에서 렌즈 고정부(261)에 대한 비교적 단시간의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렌즈 고정부(2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집광부(262)에 대향하는 제 1 접착부의 일례로서의 영역(263t)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만을 경화시킨다.
일반적으로, 렌즈 고정부(261)와 대향하는 영역에 설치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위치 조정된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이 경화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레이저 노광기(20)에 유지 지그(100)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해 둘 필요가 있다. 유지 지그(100)는 레이저 노광기(20)의 노광 위치를 고정밀도로 설정하기 위해서, 계측 장치와의 소정 위치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어, 통상, 계측 장치와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이 경화될 때까지의 동안, 레이저 노광기(20)에 유지 지그(100)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해 둔다고 하면, 그러는 동안, 계측 장치를 점유하게 된다. 그 결과, 다른 레이저 노광기(20)의 조정을 행할 수 없는 시간이 길어져, 레이저 노광기(20)의 생산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렌즈 고정부(261)에 대한 비교적 단시간의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렌즈 고정부(2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집광부(262)에 대향하는 영역(263t)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만을 경화시키고 있다. 그것에 의해, 계측 장치에 의해 위치 조정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에서, 그 후의 제조 공정에서 행해지는 작업에 의해서는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강도로, 일단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를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임시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비교적 단시간에 레이저 노광기(20)로부터 유지 지그(100)를 분리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렌즈 고정부(261)의 일부 영 역에 볼록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집광부(262)를 형성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렌즈 고정부(261)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부(262)에 의해 집광하고,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에 자외선이 집중되는 영역(263t)을 형성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영역(263t)에서는 강한 자외선이 집중적으로 조사되어, 비교적 단시간에 수지가 경화되므로, 영역(263t)에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된다. 이 단계에서는, 영역(263t) 이외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영역은 아직 경화되지 않았지만, 영역(263t)에 의해 그 후의 레이저 노광기(20)의 제조 공정에서의 작업에 의해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설정된다.
따라서, 제 3 공정에서의 렌즈 고정부(261)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시간은, 집광부(262)에 의해 자외선이 집중되는 영역(263t)이 경화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 시간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을 경화시키는 시간에 비해서 충분히 짧다.
또한, 상기한 제 3 공정에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에서의 렌즈 고정부(261)에 대한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렌즈 고정부(261)의 집광부(262)에 대향하는 영역(263t)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만을 경화시키는 처리는,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 전체가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을 종료한 시점에서 행해도 좋다. 또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가 각각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을 종료한 시점에서, 순차적으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마다 행해도 좋다.
다음에, 도 6의 (b)는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4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4 공정에서는, 렌즈 고정부(26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집광부(262)에 대향하는 영역(263t)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만을 경화시킨 후, 레이저 노광기(20)로부터 유지 지그(100)가 분리된다.
이어서, 도 6의 (c)는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5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5 공정에서는, 레이저 노광기(20)로부터 유지 지그(1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에 충분한 자외선이 조사된다. 그것에 의해, 제 2 접착부의 일례의 영역(263t) 이외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도 충분히 경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일부 영역(263t)만을 경화시키고 있다. 또한, 계측 장치(유지 지그(100))로부터 분리된 후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에 충분한 자외선이 조사되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이 충분히 경화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영역(263t)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 내의 영역에 형성된다. 그러나,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영역(263t)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 외부의 영역에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일부의 영 역(263t)만을 경화시키고 있다. 또한, 계측 장치(유지 지그(100))로부터 분리된 후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에 충분한 자외선이 조사되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이 충분히 경화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렌즈 고정부(261)의 일부 영역에 집광부(262)를 형성하고,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일부 영역(263t)만을 경화시키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실시예 2에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에서 단시간에 경화 가능한 접착제가 얇게 형성된 층을 형성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가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상기한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 후에 행해지는 본 실시예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3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의 제 3 공정은, 계측 장치를 사용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에 관한 미세 조정이 종료된 후에, 레이저 노광기(20)에 유지 지그(100)가 부착된 상태로 행해진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예를 들면, 중앙부에, 다른 영역에 비해서 접착제가 얇게(적게) 도포된 제 1 접착부의 일례인 영역(263s)이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렌즈 고정부(261)에 대한 비교적 단시간의 자외선 조사를 행함으로써,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 중의 영역(263s)만을 경화시킨다.
또한, 렌즈 고정부(261)에 대향하는 렌즈 지지 프레임(29)에는, 접착제가 얇은 영역(263s)에 대응시킨 높이의 높은 볼록부(29b)와, 접착제가 충분한 두께로 도포된 영역(영역(263s) 이외의 영역)에 대응시킨 평탄부(29a)가 설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영역(263s)에서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는 렌즈 지지 프레임(29)에 고정된다. 이 단계에서는, 영역(263s) 이외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영역은 아직 경화되지 않았지만, 영역(263s)에 의해 그 후의 레이저 노광기(20)의 제조 공정에서의 작업에 의해 각 출사측 렌즈(26K, 26C, 26M, 26Y)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강도가 설정된다.
또한, 그 경우에, 제 3 공정에서의 렌즈 고정부(261)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시간은, 접착제가 얇은 영역(263s)이 경화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 시간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을 경화시키는 시간에 비해서 충분히 짧다.
또한, 출사측 렌즈(26C)의 양단부의 렌즈 고정부(261)에, 접착제가 얇은 영역(263s)에 대향하는 위치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볼록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집광부를 형성해도 좋다.
다음에, 도 7의 (b)는 본 실시예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4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4 공정에서는, 영역(263s)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만을 경화시킨 후, 레이저 노광기(20)로부터 유지 지그(100)가 분리된다.
이어서, 도 7의 (c)는 본 실시예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 5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5 공정에서는, 레이저 노광기(20)로부터 유지 지그(1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에 충분한 자외선이 조사된다. 그것에 의해, 제 2 접착부의 일례인 영역(263s) 이외의 접착제가 충분한 두께로 도포된 영역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도 경화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레이저 노광기(20)에서도, 계측 장치를 사용한 조정이 종료된 시점에서,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일부의 영역(263s)만을 경화시키고 있다. 또한, 계측 장치(유지 지그(100))로부터 분리된 후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의 전체 영역에 충분한 자외선이 조사되어, 충분한 접착제량으로 형성된 영역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263)도 경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레이저 노광기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3은 레이저 노광기를 각 화상 형성 유닛측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노광 위치 설정을 행할 때의 레이저 노광기를 감광체 드럼에서 본 정면도.
도 5는 출사측 렌즈의 한쪽 단부가 렌즈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각 출사측 렌즈가 렌즈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각 출사측 렌즈가 렌즈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공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10Y, 10M, 10C, 10K : 화상 형성 유닛
11 : 감광체 드럼
20 : 레이저 노광기
26K, 26C, 26M, 26Y : 출사측 렌즈
27 : 하우징
29 : 렌즈 지지 프레임
100 : 유지 지그
261 : 렌즈 고정부
262 : 집광부
263 :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층

Claims (16)

  1. 광학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양단부(兩端部)는,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1 접착부와, 당해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양단부의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조사된 상기 광을 당해 제 1 접착부에 집광(集光)하는 집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양단부의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볼록 렌즈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부는 상기 제 2 접착부보다도 얇은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접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부는 상기 제 2 접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부는 상기 제 1 접착부보다도 큰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광원(光源)으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고, 당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노광되는 피노광체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
  9. 상(像)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를 노광하는 노광 수단을 가지며,
    상기 노광 수단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光路) 위에 배치된 광학 부재와,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양단은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1 접착부와, 당해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노광 수단은 상기 광학 부재의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조사된 상기 광을 당해 제 1 접착부에 집광하는 집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수단의 상기 집광부가 볼록 렌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수단의, 상기 제 1 접착부가 상기 노광 수단의 상기 제 2 접착부보다도 얇은 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수단의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제 1 접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수단은 복수의 상기 상 유지체의 각각을 노광하는 복수의 상기 광원과, 당해 광원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상기 광학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유지 부재의 제 1 접착부에 의해 광학 부재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상기 유지 부재의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를 유지하고,
    여기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조사된 광을 당해 제 1 접착부에 집광하는 집광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16. 노광 장치에 의해 상 유지체를 노광하여 정전(靜電) 화상을 당해 상 유지체 위에 만들고,
    현상기에 의해 상기 정전 화상을 현상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고,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 위에 고정하고,
    여기서, 상기 노광 장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로 위에 배치된 광학 부재와,
    상기 광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부재의 양단은, 제 1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1 접착부와, 당해 제 1 시간보다도 긴 제 2 시간의 광 조사로 경화되는 제 2 접착부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에 유지되고,
    상기 광학 부재는 양단부의 상기 제 1 접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조사된 상기 광을 당해 제 1 접착부에 집광하는 집광부가 구비되어 있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80005676A 2007-03-22 2008-01-18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화상 형성 방법 KR101076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75383 2007-03-22
JP2007075383A JP2008230145A (ja) 2007-03-22 2007-03-22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341A KR20080086341A (ko) 2008-09-25
KR101076742B1 true KR101076742B1 (ko) 2011-10-26

Family

ID=3977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676A KR101076742B1 (ko) 2007-03-22 2008-01-18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32918B2 (ko)
JP (1) JP2008230145A (ko)
KR (1) KR101076742B1 (ko)
CN (1) CN1012711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378A (ko) * 2009-01-16 2010-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1798486A (zh) * 2009-02-06 2010-08-11 新科实业有限公司 一种胶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0673A1 (en) * 2002-11-08 2004-05-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Optical member holding device, and optical scann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300B2 (ja) * 1994-05-31 2002-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源装置
JP3542224B2 (ja) * 1996-03-05 2004-07-14 株式会社リコー 光源装置におけるコリメータレンズの接着方法
JP2003207736A (ja) * 2002-01-16 2003-07-25 Canon Inc 走査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21133A (ja) * 2002-06-20 2004-01-22 Canon Inc 走査光学装置
JP2004151388A (ja) * 2002-10-30 2004-05-27 Canon Inc 光学素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5156914A (ja) * 2003-11-26 2005-06-16 Canon Inc 走査光学装置
JP2006323157A (ja) 2005-05-19 2006-11-30 Sharp Corp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0673A1 (en) * 2002-11-08 2004-05-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Optical member holding device, and optical scann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1193A (zh) 2008-09-24
KR20080086341A (ko) 2008-09-25
US7932918B2 (en) 2011-04-26
JP2008230145A (ja) 2008-10-02
US20080232855A1 (en) 2008-09-25
CN101271193B (zh)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8007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errors
JP2008051978A (ja) 光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露光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US20110222132A1 (en) Mounting structure of a mounted component, light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05791B2 (ja) 光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350882B2 (en) Optical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element thereof
JP2007047748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47333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076742B1 (ko) 노광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노광 장치의 제조 방법 및화상 형성 방법
US8446448B2 (en) Optical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06106735A (ja) 光走査装置
JP2007047749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レンズ
JP5544694B2 (ja) 光学素子固定機構、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57194A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この光走査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982398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光走査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光走査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2005049509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80081295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82554B2 (ja) 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
JP4998055B2 (ja) 露光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2247716A (ja)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82177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01193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72999A (ja)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光走査装置の製造方法
JP2013029610A (ja)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05929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リントヘッド
JP4913633B2 (ja) 光書込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