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870B1 - 동물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동물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870B1
KR101354870B1 KR1020107001476A KR20107001476A KR101354870B1 KR 101354870 B1 KR101354870 B1 KR 101354870B1 KR 1020107001476 A KR1020107001476 A KR 1020107001476A KR 20107001476 A KR20107001476 A KR 20107001476A KR 101354870 B1 KR101354870 B1 KR 10135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nimal
upper container
animal toile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183A (ko
Inventor
다카유키 마츠오
다케시 이케가미
겐지 히로시마
노부아키 나미카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시의 원재료비를 억제할 수 있고, 포장시에는 보관·운반이 용이하고 컴팩트하며, 또한 동물에게 있어서 쾌적한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한다.
이 동물용 화장실(1)은,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와, 입상물(粒狀物)을 흩어두는 액 통과성의 바닥면부를 구비한 상부 용기(10); 및 바닥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개구와, 바닥면부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흡액(吸液) 시트를 배치하기 위한 흡액 시트 배치 용기(30)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부 용기(20)를 포함하고, 상부 용기(10)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는, 하부 용기(20)의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맞춤부(14)가 마련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4)는 단차부 또는 오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동물용 화장실{ANIMAL TOILET}
본 발명은, 예컨대 실내에서 사육되는 고양이 등의 동물이 사용하는 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 등의 동물은 동물용 화장실 안으로 들어가, 고양이 모래 등의 위에서 소변이나 대변 등을 배설한다. 사육주는 소변이나 대변으로 더러워진 부분의 고양이 모래를 대변 등과 함께 용기 내에서 제거하고, 제거한 만큼, 새로운 고양이 모래를 보충한다. 그러나, 고양이 등은 배설 후에 고양이 모래를 발로 뒤섞기 때문에, 소변이나 대변으로 더러워지는 고양이 모래의 양이 많아지고, 또한 더러워진 고양이 모래가 확산되어 더러워진 부분만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또한, 고양이 모래 등에 이용되는 입자는 소변을 어느 정도 흡수하지만, 완전히 흡수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점에서, 사육주는, 화장실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 시간이 들고 있었다.
이 때문에,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동물용 화장실로서,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와, 입상물(粒狀物)을 흩어두는 액 통과성의 바닥면부와, 바닥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곳에 흡액(吸液) 시트용 용기를 빼낼 수 있게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일체 성형한 입상물 수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동물용 화장실은, 흡액 시트를 바닥면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함으로써, 흡액 시트에 흡수된 소변 등의 액은 바닥면부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다. 이러한 점에서, 시간이 들지 않고 청소가 용이한 동물용 화장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입상물 수납 용기는, 바닥면부와 수용부가 일체 성형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예컨대 바닥면부의 이면(수용부측) 등이 청소하기 어렵다.
또한, 하기의 특허 문헌 2에는,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액 투과성의 바닥면부를 구비하는 내측 용기와, 마찬가지로 개구부를 가지며, 내측 용기의 외측에 포개지도록 배치되는 외측 용기로 이루어지고, 양(兩) 용기는 서로의 개구부에서 끼워 맞춰져 있으며, 내측 용기의 바닥면부와 외측 용기의 바닥면부 사이에 흡액 시트용 용기를 배치한 동물용 화장실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6605호 공보 일본 의장 등록 제124026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동물용 화장실은, 내측 용기의 개구 가장자리를 외측 용기의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양 용기는 스태킹(stacking)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그 측면에 있어서 내측 용기의 측면과 외측 용기의 측면이 포개져 2중으로 되기 때문에, 성형 재료에 낭비가 발생하여 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끼워맞춤 위치가 양 용기의 개구 가장자리끼리이기 때문에, 외측 용기의 깊이가 용기 전체의 깊이와 일치한다. 동물용 화장실은 일반적으로 대형이며, 제조 이외의 유통이나 판매에 있어서도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포장시에는 조금이라도 공간 절약적인 동물용 화장실이 요구되고 있다. 이 점에서, 외측 용기가 큰 특허 문헌 2의 동물용 화장실은, 유통 판매시의 컴팩트성이 부족하다. 또한, 성형에 큰 금형이 필요해지는 점도 비용을 높이며, 생산성도 낮고, 가공 불량도 발생하기 쉽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동물용 화장실에 있어서는, 내측 용기는, 외측 용기의 개구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어 매달려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고양이 등의 동물이 바닥면부에 올라 앉으면, 역점(力點)이 되는 내측 용기의 바닥면부와, 그 힘을 지지하는 받침점이 되는 개구 가장자리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내측 용기의 바닥면부의 휘어짐이 커진다. 고양이 등의 동물은 일반적으로 이 바닥면부의 휘어짐을 싫어하기 때문에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나, 특허 문헌 2의 동물용 화장실에서는, 이 휘어짐 대책이 불충분하여, 동물에게 있어서 불쾌한 것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성형시의 원재료비를 억제할 수 있고, 포장시에는 보관·운반이 용이하고 컴팩트하며, 또한 동물에게 있어서 쾌적한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부 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하부 용기의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마련하여 하부 용기 상에 상부 용기를 포개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상부 개구와, 4개의 측면과, 입상물을 흩어두는 액 통과성의 바닥면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오목부를 갖는 상부 용기와, 상기 바닥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면측의 개구부와, 상기 바닥면부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를 배치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부 용기를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로서, 상기 상부 용기의 오목부의 내부의 크기는 상기 하부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상부 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상기 하부 용기의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맞춤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
(1)의 발명에 따르면, 상부 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하부 용기의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마련함으로써, 동물용 화장실의 측면이, 상부 용기의 측면과 하부 용기의 측면에 의해 크게 2중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내측 용기와 외측 용기를 내외 2중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상하 2단으로 적층하는」 것을 그 본질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측면의 2중 부분의 성형 수지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 재료에 낭비가 발생하지 않아,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서 끼워 맞추기 때문에, 용기 전체의 깊이가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로 분배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용기는 작아지므로 성형시의 금형도 작아도 되고, 생산성도 높으며, 가공 불량도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상부 용기는 전체적으로 오목부를 가지며, 그 내부에 하부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통시에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분리하여, 상부 용기의 오목부 내에 하부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시의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고, 유통 판매시의 포장 형태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도 갖는다. 상부 용기의 깊이(높이)와, 하부 용기의 깊이(높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2이다.
또한 덧붙여,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상부 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서 끼워 맞추기(접합) 때문에, 역점이 되는 상부 용기의 바닥면부와, 그 힘을 지지하는 받침점이 되는 「측면 또는 바닥면」의 거리가 짧다. 이 때문에, 상부 용기의 바닥면부의 휘어짐이 작아지기 때문에, 고양이 등의 동물이 불쾌하게 느끼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 통과성의 바닥면부」란, 예컨대, 입상물 상에 배설된 소변 등의 액체가 상부 용기의 바닥면부의 상면(입상물과 접하는 면)으로부터 이면측(흡액 시트와 대면하는 측)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것이며, 복수의 개구부가 메시 형상, 발(簾)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개구부는, 바닥면부 상에 흩어두는 입상물이 통과하지 않도록 입상물의 크기보다도 작은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변 등의 액체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고, 또한 고양이 등의 동물이 올라 앉아도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복수 개의 개구부의 전체 개구 면적의 합계가, 바닥면부의 개구 영역의 면적(실질적인 개구 영역을 의미하며, 그 주변 영역을 제외함)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개구율이라고 함)은 25%∼75%, 바람직하게는 35%∼65%, 더 바람직하게는 45%∼55%가 적합하다. 입상물이나 흡수 시트로서는,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이란, 개, 고양이, 토끼, 햄스터 등의 소위 페트 외에, 호랑이, 사자 등의 아기 등도 포함된다. 또한, 「액체」란, 동물로부터 배설되는 것이며, 입상물을 통과할 수 있는 모든 수분을 포함한다. 또한, 「액 통과」란, 액체가 입상물의 임의의 지점을 통과하여 바닥면부의 이면측으로 옮겨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흩어두다」란, 입상물을 상부 용기의 바닥면부 상에 뿌려 층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2) 상기 끼워맞춤부는 단차부 또는 오목부인 것인 (1)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2)의 발명은, 끼워맞춤부의 구체예로서, 단차부 또는 오목부를 예시한 것이다. 이 양태에 따르면, 청소시 등의 경우에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로부터 착탈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끼워 맞춤이란, 양 용기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간단히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 뿐만 아니라, 단순히 양 용기가 접하고 있을 뿐인 상태도 포함한다.
(3) 상기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양 용기가 결합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용기 및 하부 용기의 각각에는, 결합용의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인 (1) 또는 (2)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3)의 발명에 따르면, 양 용기가 결합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청소시 이외에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에 결합부를 마련함으로써, 동물이 올라 앉은 경우에 역점이 되는 상부 용기의 바닥면과, 그 힘을 지지하는 받침점이 되는 결합부의 거리가, (1)의 발명의 끼워맞춤부만이 받침점이 되는 경우보다, 더 짧아지기 때문에, 보다 휘어짐이 적은 동물용 화장실이 되어 동물에게 있어서의 쾌적성이 증가한다.
(4) 상기 상부 용기에는, 동물의 출입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화장실.
(4)의 발명에 따르면, 고양이 등의 동물이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출입구 이외의 부분을 통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배설 후에 분뇨에 발로 입상물을 끼얹은 경우에, 입상물이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커버로서는, 예컨대 바닥부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둘레 가장자리 프레임이며, 이 둘레 가장자리 프레임의 3방면에 측벽이 세워지고, 나머지 한쪽에 동물이 출입하는 개구가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コ자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지붕이 있는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측벽의 높이는, 동물이 뛰어넘지 못할 정도, 및 동물이 분뇨에 발로 입상물을 끼얹었을 때에 입상물이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을 정도의 높이이며, 10 ㎝ 이상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40 ㎝이다. 또한,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시의 원재료비를 억제할 수 있고, 포장시에는 보관·운반이 용이하고 컴팩트하며, 또한 동물에게 있어서 쾌적한 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상부 용기 및 하부 용기의 유통 포장시의 수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화장실의 분해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동물용 화장실의 분해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1)은, 도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용기(10)와, 상부 용기(10)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부 용기(10)를 지지하는 하부 용기(20)와, 하부 용기(20)에 수납되는 흡액 시트 배치 용기(30)와, 상기 상부 용기(10)의 상부에 측면을 덮도록 하여 설치된 커버(40)를 주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동물용 화장실의 A-A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액 시트 배치 용기(30)에는, 흡액 시트(31)가 부설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동물용 화장실의 B-B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A-A 단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아울러 참조하면, 상부 용기(10)는, 동물이 출입하는 상부 개구(11)를 가지며, 4개의 측면(12)과 바닥면부(13)로 구성되는 것이고,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비롯한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이 상부 용기(10)의 오목부 내의 바닥면부(13)에 입상물을 흩어지게 하여 마련함으로써 동물용 화장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닥면부(1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2)과의 접합부에, 하부 용기(20)의 상면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14)를 갖고 있다. 이 끼워맞춤부(14)는, 상부 용기(10)의 정면을 제외한 3측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부(13)의 양측면의 대략 중앙부 부근에는,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양 용기를 결합부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걸림편(15)을 갖고 있다. 또한, 바닥면부(13)는 복수의 개구부(17)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부의 위치가, 바닥면부(13)와 측면(12)과의 접합부에 마련되어 있으나, 상부 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1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14)는 상부 용기(10)의 바닥면 또는 측면이 하부 용기(20)의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양태로서, 예컨대 끼워맞춤부가 오목부여도 좋다.
걸림편(15)은,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용기(10)와 하부 용기(20)가 결합용의 걸림 볼록부(16)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하기 위해서, 걸림편(15)은 걸림 볼록부(16)를 갖지만, 상부 용기(10)와 하부 용기(20)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양태로서, 예컨대 걸림 오목부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簾)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부(13)에 일체화된 것이며,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 가공되어 있다. 복수의 개구부(17)는 흡액 시트(31)에 대면하는 측에 연속 아치 형상의 액 유도부를 구비한다. 이 연속 아치 형상의 액 유도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양이 등의 동물이 입상물 상에 배설한 소변은 액 통과성의 바닥면부를 통과하여 바닥면부의 이면측(흡액 시트에 대면하는 측)으로 옮겨가고, 바닥면부의 이면측에 형성된 대략 아치 형상의 액 유도부를 따라 효율적으로 모이며, 하방에 설치된 흡액 시트 상에 적하되어 흡수된다.
하부 용기(20)는, 도 2,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액 시트 배치 용기(30)를 수용하는 수용부(21)를 가지며, 하부 개구부(22)와, 3개의 측벽(23)과, 1개의 개구 측면(24)과, 하부 프레임(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용기(10)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비롯한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한 것이다.
수용부(21)는, 도 1,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 측면(24)으로부터 인출체를 수용할 수 있는 인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21)는, 흡액 시트 배치 용기(30)를 수용하며, 흡액 시트 배치 용기 내의 흡액 시트(31)는, 상부 용기(10)의 바닥면부(13)에 마련된 복수의 개구부(17)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프레임(25)은,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편(26)을 갖고 있다. 또한, 제2 걸림편(26)은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걸림 볼록부(27)를 갖고 있다. 제2 걸림 볼록부(27)가 상부 용기에 마련된 걸림 볼록부(16)를 타고 넘음으로써,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서로 결합된다(도 2, 도 4 참조). 동물이 화장실에 올라 앉은 경우에는, 상부 용기(10)에 마련된 복수의 개구부(17)의 중앙부 부근이 역점이 되고, 그 힘을 지지하는 받침점이, 이 결합부이기 때문에, 역점과 받침점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상부 용기(10)의 바닥면부(13)의 휘어짐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용기(10)와 하부 용기(20)를 튼튼히 고정함으로써, 청소시 이외에는 상부 용기(10)가 하부 용기(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액 시트 배치 용기(30)는,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부(32)와, 바닥판부(32)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진 3방면의 측판부(33)와, 전판부(前板部; 34)로 구성되는 인출형의 상자체이며, 바닥판부(32)에 흡액 시트(31)가 부설되어 있다. 상부 용기(10) 등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비롯한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한 것이다. 또한, 흡액 시트 배치 용기(30)는, 상부 용기(10)의 하방에 설치되며, 하부 용기(20)에 마련된 개구 측면(24)으로부터 출납 가능한 인출체로 되어 있다.
커버(40)는, 도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둘레 가장자리 프레임(41)이며, 이 둘레 가장자리 프레임(41)의 3방면에 벽체(42)가 세워지고, 나머지 한쪽에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43)가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コ자 형상 상자체이며, 상부 용기(10) 등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비롯한 플라스틱 재료,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판을 성형 가공한 것이다. 그리고, 둘레 가장자리 프레임(41)은, 상부 용기(10)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한 크기이며, 상부 용기(10)의 상단부에 끼워 맞출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벽체(42)의 높이는, 동물이 배설 후에 분뇨에 발로 입상물을 끼얹은 경우에, 이 입상물이 밖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동물이 출입구 이외의 부분을 통해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40 ㎝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40)가 상부 용기(10)의 상부에 끼워 맞춰져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 커버(40)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동물용 화장실은, 사용시 뿐만 아니라, 운반시·보관시에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5는 상부 용기 및 하부 용기의 유통 포장시의 수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를 분리시켜 상부 용기(10)와 하부 용기(20)를 분리했을 때에는, 하부 용기(20)는 상부 용기(10)의 오목부 내에 수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용시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운반·보관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상부 개구와, 4개의 측면과, 입상물(粒狀物)을 흩어두는 액 통과성의 바닥면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오목부를 갖는 상부 용기와,
    상기 바닥면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면측의 개구부와, 상기 바닥면부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는 흡액 시트를 배치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부 용기
    를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로서,
    상기 상부 용기의 오목부의 내부의 크기는 상기 하부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며,
    상기 상부 용기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상기 하부 용기의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끼워 맞추기 위한 끼워맞춤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단차부 또는 오목부인 것인 동물용 화장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양(兩) 용기가 결합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용기 및 하부 용기의 각각에는, 결합용의 걸림편이 마련되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에는, 동물의 출입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인 동물용 화장실.
KR1020107001476A 2007-06-29 2008-06-18 동물용 화장실 KR101354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3557A JP5265890B2 (ja) 2007-06-29 2007-06-29 動物用トイレ
JPJP-P-2007-173557 2007-06-29
PCT/JP2008/061123 WO2009004925A1 (ja) 2007-06-29 2008-06-18 動物用トイ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183A KR20100044183A (ko) 2010-04-29
KR101354870B1 true KR101354870B1 (ko) 2014-01-22

Family

ID=4015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476A KR101354870B1 (ko) 2007-06-29 2008-06-18 동물용 화장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27802B2 (ko)
EP (1) EP2163152B1 (ko)
JP (1) JP5265890B2 (ko)
KR (1) KR101354870B1 (ko)
CN (1) CN101686648B (ko)
AU (1) AU2008272242B2 (ko)
WO (1) WO2009004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0014A1 (en) * 2008-04-07 2009-10-08 Chris Juan Cat litter box
JP5219277B2 (ja) * 2009-01-23 2013-06-26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ペット用トイレ
JP5563293B2 (ja) * 2009-12-28 2014-07-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システムトイレ及びそれに用いる液透過パネル
JP5752899B2 (ja) * 2010-06-25 2015-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液透過パネル
JP5695849B2 (ja) * 2010-06-25 2015-04-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犬用システムトイレ
JP5943564B2 (ja) * 2011-07-13 201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便器
JP6008537B2 (ja) * 2012-03-29 2016-10-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犬用システムトイレ
US9107383B2 (en) 2012-09-09 2015-08-18 Kevin Khalili Tidy cat litter box
US9750224B2 (en) * 2013-04-05 2017-09-05 Todd Kupka Pet training apparatus and waste receptacle
US20140352622A1 (en) * 2013-05-30 2014-12-04 Michael Walter Wallace Raised litter tray enclosure with sliding sub-floor
JP6173052B2 (ja) * 2013-06-06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173145B2 (ja) * 2013-06-06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133698B2 (ja) * 2013-06-12 2017-05-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排泄物処理材パッケージおよび動物用排泄物処理材収容容器
JP6192468B2 (ja) * 2013-09-30 2017-09-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の包装体
US9737045B1 (en) * 2014-03-17 2017-08-22 Equipt4 LLC Pet waste station and training device
JP1531270S (ko) * 2015-02-27 2015-08-17
JP1537340S (ko) * 2015-02-27 2015-11-09
JP6461645B2 (ja) * 2015-03-02 2019-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747140B1 (ja) * 2015-03-02 2015-07-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768199B1 (ja) * 2015-03-02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5768200B1 (ja) 2015-03-02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389778B2 (ja) * 2015-03-02 2018-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491943B2 (ja) * 2015-04-30 2019-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6491942B2 (ja) * 2015-04-30 2019-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CN106550888A (zh) * 2015-09-30 2017-04-05 宗迎雪 便于清洁的宠物厕所
CN106550892A (zh) * 2015-09-30 2017-04-05 宗迎雪 宠物厕所
CN106550886A (zh) * 2015-09-30 2017-04-05 郑嘉雯 宠物便盆
CN106550881A (zh) * 2015-09-30 2017-04-05 宗迎雪 宠物的厕所
CN106550882A (zh) * 2015-09-30 2017-04-05 宗迎雪 新型宠物厕所
CN106550887A (zh) * 2015-09-30 2017-04-05 宗迎雪 便于清理的宠物厕所
CN106550883A (zh) * 2015-09-30 2017-04-05 宗迎雪 洁净的宠物厕所
JP6322789B2 (ja) * 2016-03-01 2018-05-16 株式会社大貴 トイレ
US10624309B2 (en) * 2017-08-10 2020-04-21 Karen Remick Cat litter box
IT201800009848A1 (it) * 2018-10-29 2020-04-29 Vittorio Emanuele Poli Una cassetta igienica per il contenimento di lettiera con sistema di drenaggio di liquidi
JP7082559B2 (ja) * 2018-10-31 2022-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USD955070S1 (en) * 2019-07-31 2022-06-14 Jiangsu Zhongheng Pet Articles Joint-Stock Co., Ltd. Leakproof pad
JP7449674B2 (ja) * 2019-11-13 2024-03-14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JP7275073B2 (ja) 2020-06-04 2023-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2022098560A (ja) * 2020-12-22 2022-07-04 株式会社大貴 動物用トイレ
JP2023005433A (ja) * 2021-06-29 2023-0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の製造方法及び動物用トイレ
US11793155B2 (en) 2021-12-10 2023-10-24 Kathy RUSCH Cat litter box system
US11596612B1 (en) 2022-03-08 2023-03-07 PTC Innovations, LLC Topical anesthetic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0149A1 (fr) 2000-02-17 2001-08-23 Heart To Heart Ltd. Toilettes pour chats et feuilles de criblage de litiere utilisees a cet effet
JP2005006605A (ja) 2003-06-20 2005-01-13 Unicharm Petcare Corp 動物用トイレ
JP2005110700A (ja) 2005-01-27 2005-04-28 Unicharm Petcare Corp ペット用トイレ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0225A (en) * 1981-10-27 1987-02-03 Patrick Yananton Odorless animal litter unit
CA1169308A (en) * 1982-06-25 1984-06-19 Justus A. Derx Litter box
US4732111A (en) * 1987-01-12 1988-03-22 Runion William J Disposable litter box
JPH01240264A (ja) 1988-03-23 1989-09-25 Hitachi Metals Ltd ワイヤーソー用ローラー
JPH0310755U (ko) * 1989-06-16 1991-01-31
US5058528A (en) * 1989-12-13 1991-10-22 Counseller Erika R Cat litter box apparatus and method
JPH0448958U (ko) * 1990-08-25 1992-04-24
DE4127835C2 (de) * 1991-06-07 1993-11-11 Frietjof Scheffler Kleintiertoilette
US5353743A (en) * 1991-11-18 1994-10-11 Walton Robert W Urine collection device for pet animals
US5289800A (en) * 1991-11-18 1994-03-01 Walton Robert W Waste odor eliminator cover for a cat waste box
US5392733A (en) * 1994-02-28 1995-02-28 Kabushiki Kaisha Tominaga Jyushi Kogyosho Box-shaped toilet for pet animals
US5598810A (en) * 1995-04-10 1997-02-04 Lawton, Iii; Glenn S. Litter filtering system
US5699754A (en) * 1996-01-31 1997-12-23 Cahajla; Janice Litter box
US6129050A (en) * 1998-03-18 2000-10-10 Carbajal; Jesse V. Canine waste collection apparatus
US6135057A (en) * 1998-05-06 2000-10-24 Bruce D. Cummings Top entry feline litter box
CA2323262C (en) * 1999-10-13 2005-11-29 Bradley L. Ceccon Litter box
JP3804772B2 (ja) * 2001-12-21 2006-08-02 花王株式会社 ペット用排泄物処理具
US6796430B2 (en) * 2002-02-15 2004-09-28 Doug Mercier Nesting containers and lids
JP4447517B2 (ja) 2005-06-27 2010-04-07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NZ542641A (en) * 2005-09-27 2008-06-30 Fmfs Holdings Ltd Toileting device for a domestic animal
JP2006101890A (ja) 2006-01-12 2006-04-20 Unicharm Petcare Corp 動物用トイレ
AU2007201254B2 (en) * 2006-03-29 2012-04-19 Pup Pee Solutions Pty Ltd Portable Toilet
JP4455604B2 (ja) 2007-02-16 2010-04-21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0149A1 (fr) 2000-02-17 2001-08-23 Heart To Heart Ltd. Toilettes pour chats et feuilles de criblage de litiere utilisees a cet effet
JP2005006605A (ja) 2003-06-20 2005-01-13 Unicharm Petcare Corp 動物用トイレ
JP2005110700A (ja) 2005-01-27 2005-04-28 Unicharm Petcare Corp ペット用トイレ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183A (ko) 2010-04-29
AU2008272242A1 (en) 2009-01-08
CN101686648B (zh) 2012-06-13
JP5265890B2 (ja) 2013-08-14
EP2163152A4 (en) 2013-01-09
US20090000558A1 (en) 2009-01-01
WO2009004925A1 (ja) 2009-01-08
US8327802B2 (en) 2012-12-11
CN101686648A (zh) 2010-03-31
EP2163152A1 (en) 2010-03-17
AU2008272242B2 (en) 2013-08-01
JP2009011181A (ja) 2009-01-22
EP2163152B1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870B1 (ko) 동물용 화장실
CN107205360B (zh) 动物用厕所
US10076098B2 (en) Animal litter box
WO2014196418A1 (ja) 動物用トイレ
JP2010239914A (ja) ペット用トイレ
US11032998B2 (en) Toilet for animal
JP7234033B2 (ja) 動物用トイレ
WO2016139965A1 (ja) 動物用トイレ
JP2006101890A (ja) 動物用トイレ
US3688741A (en) Portable animal toilet
JP5872225B2 (ja) ペット用トイレ
EP4212013A1 (en) Animal toilet
JP2016158620A (ja) 動物用トイレ
JP5838064B2 (ja) ペット用トイレ
JP2022174684A (ja) ペット用トイレ
EP3424313A1 (en) Toilet
JP2022174685A (ja) ペット用トイレ
JP2022101958A (ja) ペット用トイレ
JP5844927B1 (ja) ペット用トイレ
CN117729844A (zh) 具有斜坡的小型动物厕所
JP2012075399A (ja) 簀の子及びペット用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