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733B1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733B1
KR101342733B1 KR1020130054623A KR20130054623A KR101342733B1 KR 101342733 B1 KR101342733 B1 KR 101342733B1 KR 1020130054623 A KR1020130054623 A KR 1020130054623A KR 20130054623 A KR20130054623 A KR 20130054623A KR 101342733 B1 KR101342733 B1 KR 10134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heat
heat transfer
medium
transf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397A (ko
Inventor
한주석
백은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14/346,677 priority Critical patent/US9726327B2/en
Priority to CN201380002881.4A priority patent/CN103764986B/zh
Priority to PCT/KR2013/004284 priority patent/WO2013172644A1/ko
Priority to US14/348,040 priority patent/US9885446B2/en
Priority to JP2014534498A priority patent/JP2014529051A/ja
Priority to JP2014518838A priority patent/JP2014520240A/ja
Priority to CN201380017484.4A priority patent/CN104220739B/zh
Priority to CN201380017549.5A priority patent/CN104204492A/zh
Priority to JP2014533226A priority patent/JP6449649B2/ja
Priority to PCT/KR2013/004281 priority patent/WO2013172641A1/ko
Priority to US14/347,612 priority patent/US20140245755A1/en
Priority to CN201380017572.4A priority patent/CN104220740B/zh
Priority to JP2014534499A priority patent/JP2014534387A/ja
Priority to PCT/KR2013/004283 priority patent/WO2013172643A1/ko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4533227A priority patent/JP6449650B2/ja
Priority to US14/131,675 priority patent/US9851052B2/en
Priority to PCT/KR2013/004285 priority patent/WO2013172645A1/ko
Priority to PCT/KR2013/004282 priority patent/WO2013172642A1/ko
Priority to CN201380017449.2A priority patent/CN104246198B/zh
Priority to US14/348,521 priority patent/US20140238051A1/en
Publication of KR20130127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6Apparatus for de-liquefying, e.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temperat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16Facilitating the conveyance of liquids or effecting the conveyance of viscous products by modification of their viscosity
    • F17D1/18Facilitating the conveyance of liquids or effecting the conveyance of viscous products by modification of their viscosity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06Preventing deposits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3/00Features relating to the use of intermediate heat-exchange materials, e.g. selection of compositions
    • F28F23/02Arrangement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same in a liqui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12Liquefied petroleum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84Arrangement of multiple injectors or fuel-air mixers per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5High pressure, i.e. between 10 and 80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2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in a closed lo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9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7Composition; Humidity
    • F17C2250/0456Calorific or heating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1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36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42Composition; Humidity
    • F17C2250/0652Calorific or heating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89Method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 F17C2250/0694Method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with calc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34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placed above the ground
    • F17C2270/0139Fuel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수요처까지 연결된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수요처와 상기 펌프 사이의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는 매체 히터; 상기 매체 히터로부터 상기 열교환기까지 연결된 매체 순환 라인;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 및 상기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열량 산출기; 및 상기 열량 산출기로부터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전달받아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상기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은, 열교환기에 유입되기 전의 액화가스 유량 및 온도를 통해, 수요처의 요구 온도까지 가열되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열량을 통해 열 전달매체의 가열을 제어하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현하여, 효율적으로 액화가스를 수요처 요구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액화가스 온도센서로 측정하고, 펌프의 RPM을 통해 액화가스의 유량을 파악한 뒤, 액화가스의 유량과 온도를 통해 필요한 열량을 산출하여,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액화가스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A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냉각해 액화시킨 것이며, 무색ㆍ투명한 액체로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높아 대단히 우수한 연료이다. 반면 액화석유가스는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나오는 프로판(C3H8)과 부탄(C4H10)을 주성분으로 한 가스를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연료이다.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천연가스와 마찬가지로 무색무취이고 가정용, 업무용, 공업용, 자동차용 등의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인 선박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는데, 액화천연가스는 액화에 의해 1/600의 부피로 줄어들고,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에 의해 프로판은 1/260, 부탄은 1/230의 부피로 줄어들어 저장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는 다양한 수요처로 공급되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엔진 등과 같은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온도 및 압력 등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가스의 상태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액화가스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제어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는 기술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유량과 온도를 측정하여 필요한 열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열량을 토대로 열 전달매체를 적절히 가열하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액화가스를 수요처의 요구 온도에 맞춰줄 수 있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가스가 필요한 열량을 토대로 열 전달매체의 일부가 매체 히터를 우회하도록 하되 매체 히터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수요처에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출된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에 따라 매체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매체 히터의 유입량을 가변하거나, 매체 히터에서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조절하여,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수요처까지 연결된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수요처와 상기 펌프 사이의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는 매체 히터; 상기 매체 히터로부터 상기 열교환기까지 연결된 매체 순환 라인; 및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상기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 및 상기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열량 산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열량 산출기로부터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전달받아,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상기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량 산출기는,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를 통해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는, 상기 펌프의 RP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화가스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량 산출기는,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 상기 수요처의 액화가스 요구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화가스 온도센서는,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서 상기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상기 매체 순환 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매체 히터를 우회하도록 하는 분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기 라인 상에 마련되는 우회 조절밸브를 통해 상기 분기 라인에 유입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전달매체를 저장하는 매체 탱크; 및 상기 매체 탱크에 저장된 상기 열 전달매체를 상기 매체 히터에 공급하는 매체 펌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매체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매체 펌프로부터 상기 매체 히터로 공급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체 히터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 라인; 및 상기 열원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열원 공급 라인의 개도를 조절하는 열원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열원 공급밸브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원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전달매체는, 글리콜 워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방법은, 액화가스를 펌프로 가압하고 열교환기에서 열 전달매체로 가열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되,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에 따라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될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에 따라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를 통해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는, 상기 펌프의 RP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 및 상기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상기 매체 히터를 우회하도록 하되, 상기 매체 히터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 히터에 상기 열 전달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은, 열교환기에 유입되기 전의 액화가스 유량 및 온도를 통해, 수요처의 요구 온도까지 가열되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열량을 통해 열 전달매체의 가열을 제어하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현하여, 효율적으로 액화가스를 수요처 요구 온도까지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액화가스 온도센서로 측정하고, 펌프의 RPM을 통해 액화가스의 유량을 파악한 뒤, 액화가스의 유량과 온도를 통해 필요한 열량을 산출하여,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액화가스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수요처(20), 펌프(30), 전기히터(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가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엔진 등인 수요처(20)에 액화가스를 공급할 시, 전기히터(40)를 사용하여 수요처(20)가 요구하는 온도로 액화가스를 가열하였으며, 액화가스가 수요처(20)의 요구 온도까지 가열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전기히터(40)의 하류에서 수요처(20)로 이동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기히터(40)의 하류에서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히터(40)의 가열량을 변화시킴에 따라, 액화가스가 적절하지 못한 온도로 수요처(20)에 공급되어 수요처(20)의 운영 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2)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수요처(20), 펌프(30), 열교환기(50), 매체 공급 장치(60), 액화가스 온도센서(70), 열량 산출기(80), 컨트롤러(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수요처(20), 펌프(30) 등은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수요처(20)에 공급될 액화가스를 저장한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액화가스를 액체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압력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외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단열부를 포함한다. 외조 탱크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외벽을 이루는 구조로서,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외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포트(Support;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외조 탱크의 내부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는 내조 탱크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물론 내조 탱크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내조 탱크의 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5bar 내지 10bar(일례로 6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를 이와 같이 일정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은, 내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액화가스가 증발되어 증발가스가 생성됨에 따라 내조 탱크의 내압이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조 탱크의 내부에는 배플(Baffle;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배플은 격자 형태의 플레이트를 의미하며, 배플이 설치됨에 따라 내조 탱크 내부의 압력은 고르게 분포되어 내조 탱크가 일부분에 집중 압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는, 내조 탱크와 외조 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열에너지가 내조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는 진공상태일 수 있다. 단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일반적인 탱크와 비교할 때 높은 압력에 더욱 효율적으로 견뎌낼 수 있다. 일례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진공의 단열부를 통해 5bar 내지 20bar의 압력을 버텨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진공 형태의 단열부를 외조 탱크와 내조 탱크 사이에 구비하는 압력 탱크형 액화가스 저장탱크(10)를 사용함으로써, 증발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수요처(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는다. 수요처(20)는 액화가스를 통해 구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일 수 있으며, 일례로 선박에 탑재되는 MEGI 엔진 또는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다.
수요처(20)가 이중연료 엔진일 경우, 액화가스인 LNG와 오일이 혼합되어 공급되지 않고 LNG 또는 오일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연소 온도가 상이한 두 물질이 혼합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엔진은 액화가스의 연소에 의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부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왕복운동 함에 따라,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 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되는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구동 시 최종적으로 샤프트에 연결된 프로펠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함에 따라,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수요처(20)인 엔진은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일 수 있으나, 발전을 위한 엔진 또는 기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엔진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엔진은 액화가스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일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수요처(20) 사이에는 액화가스를 전달하는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이 설치될 수 있고,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에는 펌프(30), 열교환기(50) 등이 구비되어 액화가스가 수요처(2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에는 액화가스 공급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액화가스 공급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액화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에는 액화가스 온도센서(70)가 구비되어, 액화가스의 온도에 따라 액화가스에 열을 공급하는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파악하여, 매체 히터(63)를 통해 가열된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적절히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펌프(30)는,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한다. 펌프(30)는 부스팅 펌프(Boosting Pump; 31)와 고압 펌프(High Pressure Pump; 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팅 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고압 펌프(32) 사이의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 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압 펌프(32)에 충분한 양의 액화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고압 펌프(32)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한다. 또한 부스팅 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를 빼내어서 액화가스를 수 내지 수십 bar 이내로 가압할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를 거친 액화가스는 1bar 내지 25bar로 가압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액체 상태에 놓여있다. 이때 부스팅 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가압하여 압력 및 온도를 다소 높일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가압된 액화가스는 여전히 액체 상태일 수 있다.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수요처(20)에 액화가스가 공급되도록 한다.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약 10bar 정도의 압력으로 배출된 후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1차로 가압되는데,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가압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2차로 가압하여, 후술할 열교환기(50)에 공급한다.
이때 고압 펌프(32)는 액화가스를 수요처(20)에서 요구하는 압력, 예를 들어 200bar 내지 400bar까지 가압하여 수요처(20)에 공급함으로써, 수요처(20)가 액화가스를 통해 동력 등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되, 액화가스가 초임계점(Critical Point)보다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을 갖는 초임계 상태가 되도록 상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초임계 상태인 액화가스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0도 이하일 수 있다.
또는 고압 펌프(32)는,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과냉액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란 액화가스의 압력이 임계압력보다 높고,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200bar 내지 400bar까지 고압으로 가압하되, 액화가스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하여, 액화가스를 과냉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인 액화가스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14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다만 고압 펌프(32)는, 수요처(20)가 저압 엔진일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수요처(20)가 저압 엔진인 이중연료 엔진일 경우, 액화가스는 부스팅 펌프(31)에 의하여 가압된 뒤 후술할 열교환기(50)를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열교환기(50)는, 수요처(20)와 펌프(30) 사이의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되며, 펌프(3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켜서 수요처(20)에 공급한다. 열교환기(50)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펌프(30)는 고압 펌프(32)일 수 있으며, 열교환기(50)는 과냉액체 상태 또는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 펌프(32)에서 배출되는 압력인 200bar 내지 400bar를 유지하면서 가열시켜서, 30도 내지 60도의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로 변환한 후 수요처(2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열교환기(50)는, 후술할 매체 히터(63)로부터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를 사용하여 액화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열 전달매체는 글리콜 워터일 수 있고, 글리콜 워터라 함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과 물을 혼합한 유체로서,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고 열교환기(50)에서 냉각되어 매체 순환 라인(64)을 따라 순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50)에서 액화가스와 열교환한 후 토출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는, 앞서 언급한 고압 펌프(32)의 액화가스 상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고압 펌프(32)가 액화가스를 과냉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킨 후 열교환기(50)에 공급하면, 열 전달매체는 과냉액체 상태인 액화가스를 30도 내지 60도까지 가열하면서 냉각될 수 있고, 또는 고압 펌프(32)가 액화가스를 초임계 상태로 상변화시킨 후 열교환기(50)에 공급하면, 열 전달매체는 과냉액체 상태보다 온도가 높은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를 수요처(20)의 요구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이때 과냉액체 상태의 액화가스와 열교환하는 경우의 열 전달매체는,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와 열교환하는 경우의 열 전달매체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 후 매체 탱크(61)로 순환될 수 있다.
다만 열교환기(50)에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 또는 유량은, 열교환기(50)의 전단에서 측정된 액화가스의 유량, 온도 등에 따라 후술할 컨트롤러(90)를 통해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50) 후단에서의 액화가스 온도에 따라 액화가스의 가열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기(50) 전단에서의 액화가스 상태에 따라 액화가스에 공급할 열량을 가변시킴으로써, 열교환기(50)의 하류에는 항상 수요처(20)가 요구하는 온도에 적합한 액화가스가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 포워드(feed forward)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매체 공급 장치(60)는, 열교환기(50)에 열 전달매체를 공급한다. 매체 공급 장치(60)는 매체 탱크(61),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매체 순환 라인(64), 분기 라인(65), 열원 공급 라인(66)을 포함한다.
매체 탱크(61)는, 열 전달매체를 저장한다. 열 전달매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글리콜 워터일 수 있으며, 매체 탱크(61)는 글리콜 워터의 크래킹(Cracking; 물의 상변화로 인해 물과 에틸렌글리콜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로 열 전달매체를 보관할 수 있다.
매체 탱크(61)의 하류에는 매체 펌프(62)가 구비되어, 매체 펌프(62)에 의해 일정량의 열 전달매체가 매체 탱크(61)로부터 매체 히터(63)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매체 탱크(61)의 상류에는 열교환기(50)가 연결되어, 액화가스에 열을 공급하고 냉각된 열 전달매체가 매체 탱크(61)로 재유입될 수 있다.
매체 탱크(61)와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및 열교환기(50)는, 매체 순환 라인(6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열 전달매체는 매체 순환 라인(64)을 따라 유동하면서, 매체 탱크(61),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열교환기(50) 순으로 이동하여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매체 펌프(62)는, 매체 탱크(61)에 저장된 열 전달매체를 매체 히터(63)에 공급한다. 매체 펌프(62)는 매체 탱크(61)의 하류에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매체 펌프(62)가 파손될 경우 다른 하나의 매체 펌프(62)를 통해 열 전달매체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매체 펌프(62)는, 후술할 컨트롤러(9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매체 히터(63)로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매체 펌프(62)의 구동 속도, 압력 등이 컨트롤러(90)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변화는, 매체 히터(63)에서 배출되어 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총 열량의 변화를 의미하며, 본 실시예는 이를 통해 열교환기(50)에서 열 전달매체가 액화가스에 공급하는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매체 히터(63)는, 매체 탱크(61)로부터 배출되는 열 전달매체를 가열한 뒤 열교환기(50)에 공급한다. 매체 히터(63)는 열 전달매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열 전달매체가 열교환기(50)에서 충분한 열을 액화가스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매체 히터(63)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열 전달매체를 가열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는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매체 히터(63)에는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 라인(66)이 연결되고, 열원 공급 라인(66)은 보일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을 매체 히터(63)에 공급하며, 스팀은 열 전달매체에 열을 공급하고 열 전달매체는 스팀을 냉각시켜서, 열 전달매체는 가열되고 스팀은 응축수로 응축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보일러로 재유입되어 스팀으로 변화한 뒤 다시 매체 히터(63)에 유입될 수 있으며, 스팀에 의해 가열된 열 전달매체는 매체 히터(63)로부터 배출되어 열교환기(50)에 유입될 수 있다.
매체 순환 라인(64)은, 매체 히터(63)로부터 열교환기(50)까지 연결되어 열 전달매체를 순환시킨다. 열 전달매체는 매체 순환 라인(64)을 따라 순환하면서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고 열교환기(50)에서 액화가스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순환 라인(64)은, 매체 탱크(61),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열교환기(50)를 연결하여 열 전달매체가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열 전달매체를 재사용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50)에서 배출되는 열 전달매체 중 일부를 외부로 방출하는 매체 방출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매체 방출 라인은 매체 순환 라인(64)으로부터 분기 형성될 수 있다.
분기 라인(65)은,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매체 순환 라인(64)에서 분기되어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도록 한다. 분기 라인(65)은 매체 순환 라인(64) 상에서 매체 히터(63)의 상류 지점에서 분기되어, 매체 히터(63)의 하류 지점에서 합류할 수 있다.
분기 라인(65)을 통해 매체 히터(63)를 우회한 열 전달매체와, 분기 라인(65)으로 유입되지 않고 매체 순환 라인(64)을 통해 매체 히터(63)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는 매체 히터(63)의 하류에서 합류될 수 있으며, 이때 매체 히터(63)를 우회한 열 전달매체의 온도는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된 열 전달매체보다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하면, 열교환기(50)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열 전달매체 중 일부가 매체 히터(63)를 우회한 뒤 합류하도록 함으로써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분기 라인(65)에는, 우회 조절밸브(651)가 구비될 수 있다. 우회 조절밸브(651)는 후술할 컨트롤러(90)에 의해 개도가 제어되어, 분기 라인(65)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우회 조절밸브(651)는 분기 라인(65) 상에 마련되는 2방향 밸브일 수 있다.
열원 공급 라인(66)은, 매체 히터(63)에 열원을 공급한다. 이때 열원은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여 가열된 열 전달매체가 액화가스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스팀일 수 있다. 즉 열원 공급 라인(66)은 스팀 공급 라인일 수 있다. 열원 공급 라인(66) 상에는 열원 공급밸브(661)가 마련될 수 있다.
열원 공급밸브(661)는 열원 공급 라인(66)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열원 공급밸브(661)에 의하여 열원 공급 라인(66)을 따라 유동하는 스팀의 양이 제어되고,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는 열 전달매체의 토출온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열원 공급밸브(661)는 컨트롤러(9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액화가스 온도센서(70)는,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되며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액화가스 온도센서(70)는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서 펌프(30)와 열교환기(5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고압 펌프(32)에 의해 가압된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액화가스는 열교환기(50)에서 가열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되므로, 열교환기(50)의 전단에서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면 액화가스가 수요처(20)의 요구 온도를 맞추기 위해 어느 정도 가열이 필요한지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50)에 의해 가열된 액화가스 온도를 통해 열교환기(50)의 가열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기(50)에 유입될 액화가스의 온도를 통해서 열교환기(50)에 공급될 열 전달매체의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피드포워드(feed forward) 제어라 한다.
열량 산출기(80)는, 펌프(30)의 구동 정도를 통해 열교환기(50)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고, 액화가스의 유량 및 수요처(20)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한다. 이때 펌프(30)의 구동 정도라 함은 펌프(30)의 RPM을 의미하며, 펌프(30)는 용적형 펌프(30)인 고압 펌프(32)일 수 있다.
열량 산출기(80)는, 액화가스의 유량, 액화가스 온도센서(70)에 의해 측정된 액화가스의 온도, 수요처(20)의 액화가스 요구 온도를 이용하여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열량 산출기(80)는 액화가스가 수요처(20)에 적절히 공급되기 위해 열교환기(50)에서 공급받아야 하는 총 열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서, 열교환기(50)에 유입되기 전 액화가스의 유량 및 온도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액화가스가 수요처(20)의 요구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서 언급한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과는 달리, 열교환기(50)에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유량과 온도를 이용하여 열교환기(50)에 투입될 열 전달매체가 포함해야 하는 열량을 산출할 수 있고, 후술할 컨트롤러(90)가 열량 산출기(80)로부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수신하여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매체 히터(63)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 포워드 제어를 통하여 본 실시예는 효과적으로 액화가스의 온도가 수요처(20)의 요구 온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90)는, 열량 산출기(80)로부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전달받아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매체 히터(63)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한다. 물론 컨트롤러(90)는 열교환기(50)에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열 전달매체의 유량 등을 가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90)는 매체 펌프(62)의 구동을 제어하여 매체 펌프(62)로부터 매체 히터(63)로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또는 분기 라인(65) 상에 마련되는 우회 조절밸브(651)를 통해 분기 라인(65)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90)는, 열원 공급 라인(66)에 구비되는 열원 공급밸브(661)의 개도 조절을 통해서 매체 히터(63)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원의 양을 제어하여, 열 전달매체의 가열 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매체 펌프(62)로부터 매체 히터(63)로 유동하는 열 전달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매체 탱크(61) 또는 매체 펌프(62)로 되돌려서 매체 히터(63)의 유입량을 가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컨트롤러(90)는 상기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매체 히터(63)에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가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제어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50)의 전단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 온도 등을 측정하고, 수요처(20)에서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감안하여 액화가스가 열교환기(50)에서 공급받아야 하는 열량을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에 따라서, 열 전달매체의 매체 히터(63) 유입량 또는 매체 히터(63)에서 열 전달매체로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액화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2)을 구현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각 단계에 대해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방법은, 열교환기(50)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S10),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0), 액화가스의 유량, 액화가스의 온도 및 수요처(20)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열교환기(50)에 공급될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단계(S30),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에 따라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매체 히터(63)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단계 S10에서는, 열교환기(50)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한다. 액화가스의 유량은 펌프(30)의 구동 정도를 통해 산출될 수 있고, 이때 펌프(30)의 구동 정도라 함은 펌프(30)의 RPM을 의미하며, 펌프(30)는 RPM을 통해 액화가스의 유량 파악이 가능한 용적형 펌프(30)이고, 고압 펌프(32)일 수 있다.
펌프(30)의 RPM을 통해 액화가스의 유량이 산출되면 액화가스가 열교환기(50)에서 어느 정도의 열을 공급받아야 수요처(20)의 요구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액화가스의 온도가 필요하며, 액화가스의 온도는 단계 S20에서 측정된다.
단계 S20에서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한다. 액화가스의 온도라 함은 가열되기 이전 온도를 의미하며, 단계 S20에서 액화가스 온도센서(70)는 펌프(30)와 열교환기(50) 사이의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10 및 S20을 통해 열교환기(50)에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유량 및 온도가 파악되고, 수요처(20)에서 필요로 하는 액화가스의 온도가 주어지면, 액화가스의 현재 열량을 토대로 액화가스가 공급받아야 하는 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액화가스가 공급받아야 하는 열량은 곧 열교환기(50)에서 액화가스에 공급되어야 하는 열량, 즉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50) 전단의 액화가스 유량 및 온도를 토대로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현하여, 효율적인 액화가스 가열이 가능하다.
단계 S30에서는, 액화가스의 유량, 액화가스의 온도 및 수요처(20)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열교환기(50)에 공급될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한다. 단계 S30은 앞서 설명한 열량 산출기(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열량 산출기(80)는 펌프(30)의 RPM을 통해 액화가스의 유량을 파악하고, 액화가스 온도센서(70)를 통해 액화가스 온도를 파악하여 열교환기(50)에 유입될 액화가스의 현재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열량 산출기(80)는 수요처(20)가 필요로 하는 액화가스의 온도를 통해 액화가스의 온도 변화량을 구할 수 있으며, 열량 계산식을 이용하여 액화가스에 공급되어야 할 열량을 정확히 산출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열량은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으로서, 열 전달매체가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어 도달해야 하는 목표 열량이 된다.
단계 S40에서는,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에 따라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매체 히터(63)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한다.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은 액화가스가 공급받아야 하는 열량을 통해 구해지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은 매체 히터(63)를 통해 공급된다. 따라서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은,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는 매체 히터(63)에서 열 전달매체에 전달되는 열원(스팀 등)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단계 S30이 생략되고, S40에서 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에 따라 열 전달매체의 유량 등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액화가스의 가열 전 온도 및 유량을 토대로 액화가스가 수요처(20)의 요구 상태를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으로 산정하고, 열 전달매체가 이러한 필요 열량을 공급받기 위하여, 컨트롤러(90)는 열 전달매체의 매체 히터(63) 유입량 또는 매체 히터(63)의 열원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40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방법의 단계 S40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방법의 단계 S40은,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도록 하되,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S41), 매체 히터(63)에 열 전달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펌프(62)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S42), 매체 히터(63)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도록 하되,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분기 라인(65)을 사용할 수 있다.
열 전달매체는 매체 펌프(62)를 거쳐 매체 히터(63)로 유입되는데, 일부의 열 전달매체는 분기 라인(65) 상에 마련되는 우회 조절밸브(651)에 의해 분기 라인(65)을 거쳐 매체 히터(63)의 하류로 흐르며, 나머지 열 전달매체는 매체 히터(63)에 유입되어 매체 히터(63)에서 스팀 등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때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이 많을수록 매체 히터(63)의 하류, 즉 열교환기(50)의 상류에서 감지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고, 반대로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이 적을수록 열교환기(50)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열 전달매체가 매체 히터(63)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하되, 우회하는 유량을 가변함으로써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변화시켜 열교환기(50)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가 앞서 단계 S30에서 산출된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내포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42에서는, 매체 히터(63)에 열 전달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펌프(62)의 구동을 제어한다. 단계 S41에서는 열 전달매체의 일부가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도록 한 반면, 단계 S42에서는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매체 펌프(62)의 속도나 압력 등을 제어하여, 매체 펌프(62)로부터 매체 히터(63)에 공급되는 유량을 가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단계 S41과 마찬가지로 열 전달매체가 필요 열량을 갖고 열교환기(50)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43에서는, 매체 히터(63)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제어한다. 단계 S41과 S42의 경우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반면, 단계 S43의 경우 매체 히터(63)의 열원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열원은 스팀일 수 있고, 열원의 양은 매체 히터(63)에 연결된 열원 공급 라인(66)의 개도 조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열원 공급 라인(66)의 개도는 열원 공급 라인(66) 상에 마련된 열원 공급밸브(66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열원의 양이 가변되면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어 토출된 열 전달매체의 열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열 전달매체가 열교환기(50)에서 액화가스를 수요처(20) 요구 온도까지 충분히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41 내지 S43의 경우 각각 개별로 작동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계 S41 내지 S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즉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맞추기 위해서, 열 전달매체의 매체 히터(63) 우회 유량이 조절되는 동시에 스팀 공급량이 조절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단계 S41 내지 S43 외에도 매체 히터(63)에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 중 일부를 매체 탱크(61) 등으로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열 전달매체가 열교환기(50)에 유입될 때 열 전달매체에 포함된 열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50)에 유입되기 전의 액화가스 유량 및 온도를 통해 액화가스가 필요로 하는 열량을 산출하고, 이를 액화가스에 열을 공급하는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으로 산정하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맞춰주기 위해 열 전달매체가 매체 히터(63)에 공급되는 유량 또는 매체 히터(63)에서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피드 포워드 제어를 통한 효과적인 액화가스 공급이 가능하다.
1: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2: 본 발명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10: 액화가스 저장탱크 20: 수요처
21: 액화가스 공급 라인 30: 펌프
31: 부스팅 펌프 32: 고압 펌프
40: 전기히터 50: 열교환기
60: 매체 공급 장치 61: 매체 탱크
62: 매체 펌프 63: 매체 히터
64: 매체 순환 라인 65: 분기 라인
651: 우회 조절밸브 66: 열원 공급 라인
661: 열원 공급밸브 70: 액화가스 온도센서
80: 열량 산출기 90: 컨트롤러

Claims (19)

  1.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수요처까지 연결된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하는 펌프;
    상기 수요처와 상기 펌프 사이의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는 매체 히터;
    상기 매체 히터로부터 상기 열교환기까지 연결된 매체 순환 라인;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를 통해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열량 산출기; 및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상기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 산출기는,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 및 상기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열량 산출기로부터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전달받아,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상기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는,
    상기 펌프의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화가스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량 산출기는,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 상기 수요처의 액화가스 요구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온도센서는,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서 상기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상기 매체 순환 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매체 히터를 우회하도록 하는 분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분기 라인 상에 마련되는 우회 조절밸브를 통해 상기 분기 라인에 유입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매체를 저장하는 매체 탱크; 및
    상기 매체 탱크에 저장된 상기 열 전달매체를 상기 매체 히터에 공급하는 매체 펌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매체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매체 펌프로부터 상기 매체 히터로 공급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히터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 라인; 및
    상기 열원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열원 공급 라인의 개도를 조절하는 열원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열원 공급밸브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원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매체는,
    글리콜 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11. 액화가스를 펌프로 가압하고 열교환기에서 열 전달매체로 가열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되,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에 따라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를 통해 유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될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에 따라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 또는 상기 매체 히터가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구동 정도는,
    상기 펌프의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액화가스의 유량, 상기 액화가스의 온도 및 상기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상태를 토대로 상기 열 전달매체의 필요 열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액화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상기 매체 히터를 우회하도록 하되, 상기 매체 히터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 히터에 상기 열 전달매체를 공급하는 매체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달매체에 공급하는 열량을 가변하는 단계는,
    상기 매체 히터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에 공급되는 열원의 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방법.
KR1020130054623A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4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4284 WO2013172644A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4/348,040 US9885446B2 (en) 2012-05-14 2013-05-14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efied gas
JP2014534498A JP2014529051A (ja) 2012-05-14 2013-05-14 液化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4518838A JP2014520240A (ja) 2012-05-14 2013-05-14 液化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201380017484.4A CN104220739B (zh) 2012-05-14 2013-05-14 用于处理液化气的系统及方法
CN201380017549.5A CN104204492A (zh) 2012-05-14 2013-05-14 用于处理液化气的系统及方法
JP2014533226A JP6449649B2 (ja) 2012-05-14 2013-05-14 液化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PCT/KR2013/004281 WO2013172641A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14/347,612 US20140245755A1 (en) 2012-05-14 2013-05-14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efied gas
CN201380017572.4A CN104220740B (zh) 2012-05-14 2013-05-14 用于处理液化气的系统及方法
US14/346,677 US9726327B2 (en) 2012-05-14 2013-05-14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efied gas
PCT/KR2013/004283 WO2013172643A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534499A JP2014534387A (ja) 2012-05-14 2013-05-14 液化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4533227A JP6449650B2 (ja) 2012-05-14 2013-05-14 液化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4/131,675 US9851052B2 (en) 2012-05-14 2013-05-14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a liquefied gas
PCT/KR2013/004285 WO2013172645A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3/004282 WO2013172642A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201380017449.2A CN104246198B (zh) 2012-05-14 2013-05-14 用于处理液化气的系统及方法
US14/348,521 US20140238051A1 (en) 2012-05-14 2013-05-14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liquefied gas
CN201380002881.4A CN103764986B (zh) 2012-05-14 2013-05-14 用于处理液化气的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51047 2012-05-14
KR1020120051047 2012-05-14
KR20120146662 2012-12-14
KR1020120146662 2012-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397A KR20130127397A (ko) 2013-11-22
KR101342733B1 true KR101342733B1 (ko) 2013-12-19

Family

ID=4985498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623A KR101342733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54603A KR101342736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54614A KR101342800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54619A KR101342794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54617A KR101342810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603A KR101342736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54614A KR101342800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54619A KR101342794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0054617A KR101342810B1 (ko) 2012-05-14 2013-05-14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9885446B2 (ko)
EP (5) EP2851545B1 (ko)
JP (5) JP6449650B2 (ko)
KR (5) KR101342733B1 (ko)
CN (5) CN103764986B (ko)
DK (1) DK2851544T3 (ko)
WO (1) WO20131726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6103B2 (en) 2016-03-18 2021-10-05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Ship having gas regasif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571B1 (ko) * 2014-01-27 2015-10-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525728B1 (ko) * 2014-01-27 2015-06-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E102014102473B3 (de) * 2014-02-25 2015-07-23 Marine Service Gmbh Einrichtung zur Verdampfung von tiefsiedenden verflüssigten Gasen
KR101899622B1 (ko) * 2014-05-07 2018-10-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899623B1 (ko) * 2014-05-07 2018-10-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WO2015194774A1 (ko) * 2014-06-18 2015-12-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KR101938916B1 (ko) * 2014-10-06 201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방법
KR101938914B1 (ko) * 2014-10-06 201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방법
KR101938915B1 (ko) * 2014-10-06 201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 방법
JP6513815B2 (ja) * 2015-01-30 2019-05-15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船舶用エンジン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供給方法
CN104712905A (zh) * 2015-04-10 2015-06-17 武汉金惠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渔船lng冷能释放及供气系统
CN104948302B (zh) * 2015-05-25 2017-06-13 沈阳航空航天大学 以lng为燃料的航空发动机燃料供应系统及工作方式
KR101686912B1 (ko) * 2015-08-17 2016-1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공급 장치
CN107166820A (zh) * 2016-03-07 2017-09-15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散热循环系统
KR101916694B1 (ko) * 2016-08-19 2018-11-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1924535B1 (ko) * 2017-01-13 2018-12-03 삼성중공업(주) 부유식 발전 시스템
CN106828859A (zh) * 2017-01-20 2017-06-1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研究所 用于船舶的液态天然气气化加热系统
JP6707049B2 (ja) 2017-03-23 2020-06-10 大阪瓦斯株式会社 燃料ガス製造装置の運転方法
CN109104842B (zh) * 2017-06-21 2020-04-03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散热循环系统
KR101945525B1 (ko) * 2017-09-15 2019-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연료 공급시스템
KR102387172B1 (ko) * 2017-12-29 2022-04-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의 증발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JP6959187B2 (ja) * 2018-06-29 2021-11-02 エア・ウォーター・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低温液化燃料ガスの気化装置
KR102117852B1 (ko) * 2018-07-02 2020-06-03 주식회사래티스테크놀로지 내부 증발기를 가진 유체탱크
WO2020094237A1 (en) * 2018-11-09 2020-05-14 Wärtsilä Finland Oy A gas engine power plant and method of operating a gas engine power plant
CN109357163B (zh) * 2018-11-23 2023-10-03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气态乙烷管道停输再启动系统及方法
CN110056764A (zh) * 2019-04-29 2019-07-26 成都华气厚普机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lng加注在线调饱和装置及控制方法
CN110159373B (zh) * 2019-06-12 2021-12-14 北京建筑大学 热力装置及天然气防冻堵系统
JP7266482B2 (ja) * 2019-07-19 2023-04-28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冷却システム
CN111692524A (zh) * 2020-06-19 2020-09-22 江苏科技大学 一种lng再汽化实验系统及实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598A (ja) * 2000-09-08 2002-03-22 Tokyo Gas Co Ltd 都市ガ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324761A (ja) * 2003-04-24 2004-11-18 Kobe Steel Ltd 低温液化ガス気化装置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5827A (en) * 1966-08-19 1967-10-10 Phillips Petroleum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fluid removed from a source thereof
CH570296A5 (ko) * 1972-05-27 1975-12-15 Sulzer Ag
US4276749A (en) * 1980-04-16 1981-07-07 Phillips Petroleum Company Storage system for liquefied gases
US4487025A (en) * 1983-04-18 1984-12-11 Halliburton Company Passive booster for pumping liquified gases
JPS63163098A (ja) * 1986-12-26 1988-07-06 Chiyoda Chem Eng & Constr Co Ltd 液化軽質炭化水素の加熱・気化方法とその装置
JPS63214599A (ja) * 1987-03-02 1988-09-07 Toshiba Corp 液化天然ガス気化設備の制御装置
US4995234A (en) * 1989-10-02 1991-02-26 Chicago Bridge & Iron Technical Services Company Power generation from LNG
US5129264A (en) * 1990-12-07 1992-07-14 Goulds Pumps, Incorporated Centrifugal pump with flow measurement
JPH07139370A (ja) * 1993-11-18 1995-05-30 Kobe Steel Ltd 液化天然ガスの気化供給方法および気化供給装置
JPH08291899A (ja) * 1995-04-20 1996-11-05 Chubu Electric Power Co Inc 液化天然ガスの気化装置及びその冷却待機保持方法
JPH08296797A (ja) 1995-04-24 1996-11-12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ガスタービン吸気冷却システムにおけるlng気化器出口冷却水温度制御装置
US5678411A (en) * 1995-04-26 1997-10-21 Ebara Corporation Liquefied gas supply system
US6695046B1 (en) * 1997-02-18 2004-02-24 Hoffman Controls Corp. Variable speed fan motor control for forced air heating/cooling system
DE29723650U1 (de) * 1997-10-16 1998-11-26 Webasto Thermo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bschalten eines Fahrzeugheizgeräts
JPH11210993A (ja) * 1998-01-22 1999-08-0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液化ガス貯蔵設備
IL124462A (en) 1998-05-13 2005-06-19 Extra Exclusive Thermodynamics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vaporized gas on consumer demand
JP2001254895A (ja) * 2000-03-14 2001-09-21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液化ガス気化装置
JP2001263894A (ja) * 2000-03-23 2001-09-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液体貯蔵設備
JP4567849B2 (ja) * 2000-07-26 2010-10-20 三菱化工機株式会社 廃熱を利用した液化ガス気化システム及び廃熱供給方法
JP4150948B2 (ja) 2000-08-09 2008-09-17 アストモスエネルギー株式会社 液化ガス供給装置
JP2002276367A (ja) 2001-03-19 2002-09-25 Osaka Gas Co Ltd 循環熱媒液の蒸発抑制装置
JP2003020294A (ja) * 2001-07-09 2003-01-24 Tokyo Gas Engineering Co Ltd ガス発生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US6945049B2 (en) * 2002-10-04 2005-09-20 Hamworthy Kse A.S.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TWI314637B (en) * 2003-01-31 2009-09-11 Shell Int Research Process of liquefying a gaseous, methane-rich feed to obtain liquefied natural gas
US6840198B2 (en) * 2003-05-15 2005-01-11 Kyungdong Boilor Co., Ltd. Air-proportionality type boiler
CA2437264C (en) * 2003-08-12 2013-12-03 Brian Wilson Varney Heat exchanger optimization process and apparatus
JP2005133785A (ja) * 2003-10-29 2005-05-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供給装置
JP4564376B2 (ja) * 2005-02-23 2010-10-20 株式会社東芝 Lng利用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4683958B2 (ja) * 2005-02-25 2011-05-18 中国電力株式会社 ポンプの軸潤滑水供給システム
JP2007010261A (ja) * 2005-07-01 2007-01-18 Noritz Corp 多管型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14805A1 (en) * 2006-03-15 2007-09-20 Macmillan Adrian Armstrong Onboard Regasification of LNG Using Ambient Air
KR100678852B1 (ko) 2006-05-24 2007-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WO2008011666A1 (en) * 2006-07-25 2008-01-31 Drysdale Kenneth William Patte System and method of heat transfer
JP2008064126A (ja) * 2006-09-04 2008-03-21 Kita Kyushu Lng Kk ボイルオフガス送出設備の運転方法
US20080250795A1 (en) * 2007-04-16 2008-10-16 Conocophillips Company Air Vaporizer and Its Use in Base-Load LNG Regasification Plant
KR100835090B1 (ko) * 2007-05-08 2008-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운반선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0883742B1 (ko) 2007-10-09 2009-02-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종연료디젤엔진 추진기관을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을 위한 자연기화천연가스 온도조절장치
US7900451B2 (en) * 2007-10-22 2011-03-08 Ormat Technologies, Inc. Power and regasification system for LNG
KR20090059763A (ko) 2007-12-07 2009-06-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재기화 시스템
JP4523978B2 (ja) * 2008-03-28 2010-08-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システム
JP5461786B2 (ja) * 2008-04-01 2014-04-02 株式会社フジキン 気化器を備えたガス供給装置
JP5181813B2 (ja) * 2008-05-02 2013-04-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NO330187B1 (no) 2008-05-08 2011-03-07 Hamworthy Gas Systems As Gasstilforselssystem for gassmotorer
JP4656193B2 (ja) * 2008-06-17 2011-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触媒の暖機制御装置
US20090314484A1 (en) * 2008-06-18 2009-12-24 Akz Technologies Llc Standalone flow ra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flow rate of cooling or heating fluid through a heat exchanger
KR101641394B1 (ko) 2008-07-15 2016-07-20 크라이오스타 에스아에스 액화 천연 가스 변환 방법 및 장치
MX2011000428A (es) * 2008-07-17 2011-02-23 Fluor Tech Corp Configuraciones y metodos para la recuperacion de calor residual y vaporizadores de aire ambiente en regasificacion de gas natural licuado.
JP2010106861A (ja) * 2008-10-28 2010-05-13 Yazaki Corp 液化ガス供給装置
WO2010058397A1 (en) * 2008-11-18 2010-05-27 Phoebus Energy Ltd. Hybrid heating system
US8434325B2 (en) * 2009-05-15 2013-05-07 Ortloff Engineers, Ltd. Liquefied natural gas and hydrocarbon gas processing
NL2005009A (en) * 2009-07-27 2011-01-31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5495697B2 (ja) * 2009-10-02 2014-05-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この運転方法、これを備えた液化ガス運搬船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化ガス貯蔵設備
KR101168299B1 (ko) 2010-02-02 2012-07-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장치
KR101111704B1 (ko) * 2010-06-04 2012-0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재기화 장치
KR101195149B1 (ko) 2010-07-06 2012-10-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224915B1 (ko) 2010-07-15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의 재기화 시스템
KR101239341B1 (ko) 2010-09-03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447511B1 (ko) * 2012-04-02 2014-10-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101267110B1 (ko) 2013-03-06 2013-05-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연료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598A (ja) * 2000-09-08 2002-03-22 Tokyo Gas Co Ltd 都市ガ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324761A (ja) * 2003-04-24 2004-11-18 Kobe Steel Ltd 低温液化ガス気化装置の運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6103B2 (en) 2016-03-18 2021-10-05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Ship having gas regas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810B1 (ko) 2013-12-17
CN104220739B (zh) 2017-02-22
KR20130127394A (ko) 2013-11-22
EP2851545A1 (en) 2015-03-25
EP2851544B1 (en) 2019-03-27
JP6449650B2 (ja) 2019-01-09
JP2014520240A (ja) 2014-08-21
EP2851546B1 (en) 2020-12-30
EP2851547A4 (en) 2016-04-27
CN103764986A (zh) 2014-04-30
EP2851545A4 (en) 2015-12-09
CN104220740B (zh) 2017-02-22
EP2851546A4 (en) 2016-03-23
US20140238051A1 (en) 2014-08-28
US9885446B2 (en) 2018-02-06
KR101342794B1 (ko) 2013-12-19
WO2013172644A1 (ko) 2013-11-21
KR101342800B1 (ko) 2013-12-19
CN104220740A (zh) 2014-12-17
US9851052B2 (en) 2017-12-26
KR20130127396A (ko) 2013-11-22
CN104246198A (zh) 2014-12-24
US20140230459A1 (en) 2014-08-21
KR101342736B1 (ko) 2013-12-19
EP2851545B1 (en) 2016-08-24
KR20130127393A (ko) 2013-11-22
JP2014534387A (ja) 2014-12-18
EP2851544A4 (en) 2016-05-04
US9726327B2 (en) 2017-08-08
EP2851543A4 (en) 2016-02-24
JP2014530331A (ja) 2014-11-17
CN104220739A (zh) 2014-12-17
US20140238050A1 (en) 2014-08-28
CN103764986B (zh) 2016-07-13
JP6449649B2 (ja) 2019-01-09
EP2851544A1 (en) 2015-03-25
DK2851544T3 (da) 2019-07-08
US20140245755A1 (en) 2014-09-04
CN104246198B (zh) 2018-07-13
CN104204492A (zh) 2014-12-10
EP2851543A1 (en) 2015-03-25
EP2851543B1 (en) 2020-10-14
KR20130127397A (ko) 2013-11-22
JP2014529051A (ja) 2014-10-30
EP2851547A1 (en) 2015-03-25
EP2851547B1 (en) 2024-05-01
EP2851546A1 (en) 2015-03-25
JP2014534383A (ja) 2014-12-18
KR20130127395A (ko) 2013-11-22
US20140150470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733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4226B1 (ko) 가스 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549745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79218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557555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449408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KR20160144890A (ko) 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87303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