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745B1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745B1
KR101549745B1 KR1020130097476A KR20130097476A KR101549745B1 KR 101549745 B1 KR101549745 B1 KR 101549745B1 KR 1020130097476 A KR1020130097476 A KR 1020130097476A KR 20130097476 A KR20130097476 A KR 20130097476A KR 101549745 B1 KR101549745 B1 KR 10154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medium
heat
heat exchanger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961A (ko
Inventor
백은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7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temperat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9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수요처까지 연결된 액화가스 공급라인; 상기 수요처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 사이의 상기 액화가스 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액화가스를 우회시키는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열교환기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가 액화가스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화가스를 우회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shutdown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본 발명은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개발에 따라 가솔린이나 디젤을 대체하여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가스전에서 채취한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냉각해 액화시킨 것이며, 무색ㆍ투명한 액체로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높아 대단히 우수한 연료이다. 반면 액화석유가스는 유전에서 석유와 함께 나오는 프로판(C3H8)과 부탄(C4H10)을 주성분으로 한 가스를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연료이다.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천연가스와 마찬가지로 무색무취이고 가정용, 업무용, 공업용, 자동차용 등의 연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액화가스는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거나 또는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인 선박에 구비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는데, 액화천연가스는 액화에 의해 1/600의 부피로 줄어들고, 액화석유가스는 액화에 의해 프로판은 1/260, 부탄은 1/230의 부피로 줄어들어 저장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액화가스는 다양한 수요처로 공급되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구동하는 LNG 연료공급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엔진 등과 같은 수요처가 요구하는 액화가스의 온도 및 압력 등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가스의 상태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액화가스의 온도 및 압력 등을 제어하여 수요처에 공급하는 기술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에서 액화가스로 인해 열 전달매체가 과냉되어 열 전달매체에 포함된 물 등이 어는 것(아이싱(Ic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 전달매체의 온도에 따라 액화가스를 우회하도록 하여,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액화가스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적인 구현이 가능한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수요처까지 연결된 액화가스 공급라인; 상기 수요처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 사이의 상기 액화가스 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액화가스를 우회시키는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우회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우회시키는 제1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회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단에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우회시키는 제2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우회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우회시키는 제3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는 매체 히터; 상기 매체 히터로부터 상기 열교환기까지 연결된 매체 순환 라인; 상기 매체 순환라인에 마련되어 열 전달매체를 저장하는 매체 탱크; 및 상기 매체 탱크에 저장된 열 전달매체를 상기 매체 히터에 공급하는 매체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체 히터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 라인; 및 상기 열원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열원 공급 라인의 개도를 조절하는 열원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열 전달매체는, 글리콜 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은, 열교환기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가 액화가스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화가스를 우회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shutdown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엔진(20), 펌프(30), 전기히터(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액화가스는 LNG 또는 LPG, 에틸렌, 암모니아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보관되는 모든 가스 연료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열이나 가압에 의해 액체 상태가 아닌 경우 등도 편의상 액화가스로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증발가스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액화가스를 직접 가열하는 전기히터(40)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전기히터(40)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기에너지는, 연료를 사용하여 발전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여야만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소비에 의한 비용 문제와, 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배기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점선은 신호가 송수신되는 흐름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2)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 액화가스 수요처(20), 펌프(30), 열교환기(50), 매체 공급 장치(60), 온도측정부(70), 우회라인(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 펌프(30) 및 열교환기(50) 등은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1)에서의 각 구성과 편의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나, 반드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수요처(20)에 공급될 액화가스를 저장한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액화가스를 액체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때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압력 탱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외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내조 탱크(도시하지 않음), 단열부를 포함한다. 외조 탱크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의 외벽을 이루는 구조로서,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외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며, 서포트(Support;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외조 탱크의 내부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는 내조 탱크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물론 내조 탱크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내조 탱크의 측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5bar 내지 10bar(일례로 6bar)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내조 탱크를 이와 같이 일정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은, 내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된 액화가스가 증발되어 증발가스가 생성됨에 따라 내조 탱크의 내압이 상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열부는, 내조 탱크와 외조 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열에너지가 내조 탱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는 진공상태일 수 있다. 단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에 따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일반적인 탱크와 비교할 때 높은 압력에 더욱 효율적으로 견뎌낼 수 있다. 일례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는 진공의 단열부를 통해 5bar 내지 20bar의 압력을 버텨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진공 형태의 단열부를 외조 탱크와 내조 탱크 사이에 구비하는 압력 탱크형 액화가스 저장탱크(10)를 사용함으로써, 증발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압이 상승하더라도 액화가스 저장탱크(1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수요처(2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는다. 수요처(20)는 액화가스를 통해 구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일 수 있으며, 일례로 선박에 탑재되는 MEGI 엔진 또는 이중연료 엔진일 수 있다.
수요처(20)가 이중연료 엔진일 경우, 액화가스인 LNG와 오일이 혼합되어 공급되지 않고 LNG 또는 오일이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연소 온도가 상이한 두 물질이 혼합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엔진은 액화가스의 연소에 의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부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왕복운동 함에 따라, 피스톤에 연결된 크랭크 축(도시하지 않음)이 회전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되는 샤프트(도시하지 않음)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구동 시 최종적으로 샤프트에 연결된 프로펠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함에 따라,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수요처(20)인 엔진은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일 수 있으나, 발전을 위한 엔진 또는 기타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엔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엔진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엔진은 액화가스의 연소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일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수요처(20) 사이에는 액화가스를 전달하는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이 설치될 수 있고,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에는 펌프(30), 열교환기(50) 등이 구비되어 액화가스가 수요처(2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에는 액화가스 공급 밸브(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액화가스 공급 밸브의 개도 조절에 따라 액화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펌프(30)는,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되며,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한다. 펌프(30)는 부스팅 펌프(Boosting Pump; 31)와 고압 펌프(High Pressure Pump; 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스팅 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와 고압 펌프(32) 사이의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 또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압 펌프(32)에 충분한 양의 액화가스가 공급되도록 하여 고압 펌프(32)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한다. 또한 부스팅 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액화가스를 빼내어서 액화가스를 수 내지 수십 bar 이내로 가압할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를 거친 액화가스는 1bar 내지 25bar로 가압될 수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화가스는 액체 상태에 놓여있다. 이때 부스팅 펌프(31)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화가스를 가압하여 압력 및 온도를 다소 높일 수 있으며,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가압된 액화가스는 여전히 액체 상태일 수 있다.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수요처(20)에 액화가스가 공급되도록 한다. 액화가스는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약 10bar 이내의 압력으로 배출된 후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1차로 가압되는데,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에 의해 가압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2차로 가압하여, 후술할 열교환기(50)에 공급한다.
이때 고압 펌프(32)는 액화가스를 수요처(20)에서 요구하는 압력, 예를 들어 200bar 내지 400bar까지 가압하여 수요처(20)에 공급함으로써, 수요처(20)가 액화가스를 통해 동력 등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되, 액화가스가 초임계점(Critical Point)보다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을 갖는 초임계 상태가 되도록 상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초임계 상태인 액화가스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또는 고압 펌프(32)는, 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과냉액체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의 액화가스란 액화가스의 압력이 임계압력보다 높고,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고압 펌프(32)는, 부스팅 펌프(31)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200bar 내지 400bar까지 고압으로 가압하되, 액화가스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하여, 액화가스를 과냉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냉액체 상태인 액화가스의 온도는, 임계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14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다만 고압 펌프(32)는, 수요처(20)가 저압 엔진일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수요처(20)가 저압 엔진인 이중연료 엔진일 경우, 액화가스는 부스팅 펌프(31)에 의하여 가압된 뒤 후술할 열교환기(50)를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열교환기(50)는, 수요처(20)와 펌프(30) 사이의 액화가스 공급 라인(21) 상에 마련되며, 펌프(30)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켜서 수요처(20)에 공급한다. 열교환기(50)에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펌프(30)는 고압 펌프(32)일 수 있으며, 열교환기(50)는 과냉액체 상태 또는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를 고압 펌프(32)에서 배출되는 압력인 200bar 내지 400bar를 유지하면서 가열시켜서, 30도 내지 60도의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로 변환한 후 수요처(20)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열교환기(50)는, 매체 히터(63)로부터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를 사용하여 액화가스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열 전달매체는 글리콜 워터일 수 있고, 글리콜 워터라 함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과 물을 혼합한 유체로서,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고 열교환기(50)에서 냉각되어 매체 순환 라인(64)을 따라 순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50)에서 액화가스와 열교환한 후 토출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는, 앞서 언급한 고압 펌프(32)의 액화가스 상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고압 펌프(32)가 액화가스를 과냉액체 상태로 상변화시킨 후 열교환기(50)에 공급하면, 열 전달매체는 과냉액체 상태인 액화가스를 30도 내지 60도까지 가열하면서 냉각될 수 있고, 또는 고압 펌프(32)가 액화가스를 초임계 상태로 상변화시킨 후 열교환기(50)에 공급하면, 열 전달매체는 과냉액체 상태보다 온도가 높은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를 수요처(20)의 요구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이때 과냉액체 상태의 액화가스와 열교환하는 경우의 열 전달매체는, 초임계 상태의 액화가스와 열교환하는 경우의 열 전달매체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 후 매체 탱크(61)로 순환될 수 있다.
매체 공급 장치(60)는, 열교환기(50)에 열 전달매체를 공급한다. 매체 공급 장치(60)는 매체 탱크(61),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매체 순환 라인(64), 분기 라인(65), 열원 공급 라인(66)을 포함한다.
매체 탱크(61)는, 열 전달매체를 저장한다. 열 전달매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글리콜 워터일 수 있으며, 매체 탱크(61)는 글리콜 워터의 크래킹(Cracking; 물의 상변화로 인해 물과 에틸렌글리콜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로 열 전달매체를 보관할 수 있다.
매체 탱크(61)의 하류에는 매체 펌프(62)가 구비되어, 매체 펌프(62)에 의해 일정량의 열 전달매체가 매체 탱크(61)로부터 매체 히터(63)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매체 탱크(61)의 상류에는 열교환기(50)가 연결되어, 액화가스에 열을 공급하고 냉각된 열 전달매체가 매체 탱크(61)로 재유입될 수 있다.
매체 탱크(61)와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및 열교환기(50)는, 매체 순환 라인(6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열 전달매체는 매체 순환 라인(64)을 따라 유동하면서, 매체 탱크(61),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열교환기(50) 순으로 이동하여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매체 펌프(62)는, 매체 탱크(61)에 저장된 열 전달매체를 매체 히터(63)에 공급한다. 매체 펌프(62)는 매체 탱크(61)의 하류에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매체 펌프(62)가 파손될 경우 다른 하나의 매체 펌프(62)를 통해 열 전달매체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매체 펌프(62)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매체 히터(63)로 공급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매체 펌프(62)의 구동 속도(RPM), 압력 등이 컨트롤러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매체 히터(63)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이 달라짐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는, 액화가스가 열교환기(50)에서 가열될 때, 가열된 액화가스가 수요처(20)의 액화가스 요구 온도에 적합한 한도 내에서, 매체 펌프(62)의 가동을 최소화하여 순환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매체 펌프(62) 등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매체 히터(63)는, 매체 탱크(61)로부터 배출되는 열 전달매체를 가열한 뒤 열교환기(50)에 공급한다. 매체 히터(63)는 열 전달매체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열 전달매체가 열교환기(50)에서 충분한 열을 액화가스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매체 히터(63)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열 전달매체를 가열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는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매체 히터(63)에는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 라인(66)이 연결되고, 열원 공급 라인(66)은 보일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생성되는 스팀을 매체 히터(63)에 공급하며, 스팀은 열 전달매체에 열을 공급하고 열 전달매체는 스팀을 냉각시켜서, 열 전달매체는 가열되고 스팀은 응축수로 응축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보일러로 재유입되어 스팀으로 변화한 뒤 다시 매체 히터(63)에 유입될 수 있으며, 스팀에 의해 가열된 열 전달매체는 매체 히터(63)로부터 배출되어 열교환기(50)에 유입될 수 있다.
매체 순환 라인(64)은, 매체 히터(63)로부터 열교환기(50)까지 연결되어 열 전달매체를 순환시킨다. 열 전달매체는 매체 순환 라인(64)을 따라 순환하면서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고 열교환기(50)에서 액화가스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순환 라인(64)은, 매체 탱크(61), 매체 펌프(62), 매체 히터(63), 열교환기(50)를 연결하여 열 전달매체가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열 전달매체를 재사용함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분기 라인(65)은, 적어도 일부의 열 전달매체가 매체 순환 라인(64)에서 분기되어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도록 한다. 분기 라인(65)은 매체 순환 라인(64) 상에서 매체 히터(63)의 상류 지점에서 분기되어, 매체 히터(63)의 하류 지점에서 합류할 수 있다.
분기 라인(65)을 통해 매체 히터(63)를 우회한 열 전달매체와, 분기 라인(65)으로 유입되지 않고 매체 순환 라인(64)을 통해 매체 히터(63)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는 매체 히터(63)의 하류에서 합류될 수 있으며, 이때 매체 히터(63)를 우회한 열 전달매체의 온도는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된 열 전달매체보다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매체 히터(63)를 우회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하면, 열교환기(50)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열 전달매체 중 일부가 매체 히터(63)를 우회한 뒤 합류하도록 함으로써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분기 라인(65)에는, 우회 조절밸브(651)가 구비될 수 있다. 우회 조절밸브(651)는 컨트롤러에 의해 개도가 제어되어, 분기 라인(65)에 유입되는 열 전달매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우회 조절밸브(651)는 분기 라인(65) 상에 마련되는 2방향 밸브일 수 있다.
열원 공급 라인(66)은, 매체 히터(63)에 열원을 공급한다. 이때 열원은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여 가열된 열 전달매체가 액화가스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스팀일 수 있다. 즉, 열원 공급 라인(66)은 스팀 공급 라인일 수 있다. 열원 공급 라인(66) 상에는 열원 공급밸브(661)가 마련될 수 있다.
열원 공급밸브(661)는 열원 공급 라인(66)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열원 공급밸브(661)에 의하여 열원 공급 라인(66)을 따라 유동하는 스팀의 양이 제어되고, 매체 히터(63)에서 가열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열원 공급밸브(661)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제어되어, 열 전달매체가 기화되어 열 전달매체에 포함된 물질(열 전달매체가 글리콜 워터일 경우 물을 의미한다.)이 분리되는 크래킹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온도측정부(70)는, 매체 순환 라인(64) 상에 마련되거나 열교환기(5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측정부(70)가 매체 순환 라인(64) 상에 마련되는 경우, 열교환기(50)와 매체 탱크(61)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열교환기(50)에서 액화가스에 의해 냉각된 후의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열 전달매체의 온도는 기준값 온도 이하시, 컨트롤러에 의해 우회라인(80)을 통해 액화가스가 열교환기(50)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우회라인(80)은 온도측정부(70)에서 측정되는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액화가스를 우회시킬 수 있으며, 제1 우회라인(81), 제2 우회라인(82), 제3 우회라인(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회라인(81)은 열교환기(5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우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우회라인(81)은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상에 마련되어, 펌프(30)에서 가압된 액화가스를 열교환기(50)에서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하지 않도록 우회시켜서, 수요처(2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우회라인(82)은 열교환기(50)의 전단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우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우회라인(82)의 일단은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에 연결되고, 제2 우회라인(82)의 타단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까지 연결되어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우회시킬 수 있다.
제3 우회라인(83)은 열교환기(50)의 후단에서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우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우회라인(83)의 일단은 액화가스 공급 라인(21)에 연결되고, 제3 우회라인(83)의 타단은 액화가스 저장탱크(10)까지 연결되어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저장탱크(10)로 우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우회라인(82)과 제3 우회라인(83)이 액화가스 저장탱크(10)까지 연결되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우회라인(82)이 제3 우회라인(83)에 합류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10)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50)에 유입된 열 전달매체가 액화가스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화가스를 우회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50)의 고장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shutdown을 막을 수 있다.
1: 종래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2: 본 발명의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10: 액화가스 저장탱크 20: 수요처
21: 액화가스 공급 라인 30: 펌프
31: 부스팅 펌프 32: 고압 펌프
40: 전기히터 50: 열교환기
60: 매체 공급 장치 61: 매체 탱크
63: 매체 히터 62: 매체 펌프
64: 매체 순환 라인 65: 분기 라인
66: 열원 공급 라인 651: 우회 조절밸브
661: 열원 공급밸브 70: 온도측정부
80: 우회라인 81: 제1 우회라인
82: 제2 우회라인 83: 제3 우회라인

Claims (8)

  1.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수요처까지 연결된 액화가스 공급라인;
    상기 수요처와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 사이의 상기 액화가스 공급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열 전달매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및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상기 열 전달매체의 온도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액화가스를 우회시키는 우회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우회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류로 우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우회시키는 제1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단에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우회시키는 제2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라인은,
    상기 열교환기의 후단에서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 우회시키는 제3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열 전달매체를 가열하는 매체 히터;
    상기 매체 히터로부터 상기 열교환기까지 연결된 매체 순환 라인;
    상기 매체 순환라인에 마련되어 열 전달매체를 저장하는 매체 탱크; 및
    상기 매체 탱크에 저장된 열 전달매체를 상기 매체 히터에 공급하는 매체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히터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 라인; 및
    상기 열원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열원 공급 라인의 개도를 조절하는 열원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공급 라인 상에 마련되며, 상기 액화가스 저장탱크로부터 배출된 액화가스를 가압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를 열 전달매체와 열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열 전달매체는,
    글리콜 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0130097476A 2013-08-16 2013-08-16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54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476A KR101549745B1 (ko) 2013-08-16 2013-08-16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476A KR101549745B1 (ko) 2013-08-16 2013-08-16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61A KR20150019961A (ko) 2015-02-25
KR101549745B1 true KR101549745B1 (ko) 2015-09-02

Family

ID=5257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476A KR101549745B1 (ko) 2013-08-16 2013-08-16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8692B (zh) * 2022-02-23 2023-09-26 江苏中建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乙烯卸车系统及卸车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761A (ja) 2003-04-24 2004-11-18 Kobe Steel Ltd 低温液化ガス気化装置の運転方法
JP2013015308A (ja) 2011-07-05 2013-01-24 Showa Denko Gas Products Co Ltd 液化ガスの気化熱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761A (ja) 2003-04-24 2004-11-18 Kobe Steel Ltd 低温液化ガス気化装置の運転方法
JP2013015308A (ja) 2011-07-05 2013-01-24 Showa Denko Gas Products Co Ltd 液化ガスの気化熱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61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733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77833B1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CN104214507A (zh) 液化气处理系统
KR101557571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904416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88100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04226B1 (ko) 가스 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423003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41244B1 (ko) Lng 처리 시스템
KR102016030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50080083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32023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549745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20140084832A (ko) 엔진룸의 냉각 해수를 통한 lng 기화 시스템
KR102160838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189079B1 (ko) 선박의 가스 처리 시스템
KR20190012027A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79218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88551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선박
KR101498388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535759B1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20150076484A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557555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287303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424928B1 (ko) Lng 연료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