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681B1 -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681B1
KR101338681B1 KR1020117031657A KR20117031657A KR101338681B1 KR 101338681 B1 KR101338681 B1 KR 101338681B1 KR 1020117031657 A KR1020117031657 A KR 1020117031657A KR 20117031657 A KR20117031657 A KR 20117031657A KR 101338681 B1 KR101338681 B1 KR 10133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nut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ract
sk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432A (ko
Inventor
심범
김선영
김혁
고재영
윤정훈
서정아
윤준원
임경민
주영협
박영호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2002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밤껍질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가려움의 자극원인 단백분해효소 활성 수용체-2(Proteinase-Activated Receptor-2: PAR-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는 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HEALTH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HESTNUT SHELL EXTRACT}
본 발명은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은 긁고 싶은 욕구를 유발하는 불유쾌한 피부 감각으로 정의 되어 있으며, 통증, 촉각, 차가움 또는 뜨거움과 같은 생리적 자기 방어기전으로서, 피부가 외부로부터의 해로운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가려움증은 다양한 피부 질환 또는 전신 질환에서 흔히 나타나는 공통된 증상 중 한가지로, 두드러기나 여러 약물들의 부작용에 따른 급성 가려움증은 쉽게 치유될 수 있으나, 담도 폐쇄나 신장질환 또는 아토피 질환과 같은 중증의 만성 가려움증은 그 치료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가려움은 염증이나 암, 대사성 질환, 감염, 정신과적 질병, 약물투여 또는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며, 최근의 여러 연구결과는 피부와 말초신경계 및 중추신경계의 유기적 연결이 가려움을 유발시키는 자극에 대한 반응과 조절에 깊게 관여함을 밝히고 있다.
최근, 특정 감각신경세포와 그들의 수용체들이 가려움에 특이적으로 반응함이 밝혀져, 가려움이 더 이상 통증의 하위 양상이 아닌 감각신경계의 개별적 감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가려움 매개 물질들과 그 수용체들이 다양한 가려움 유발 질환들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Steinhoff et al.,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6, pp1705-1718, 2006).
지금까지의 가려움증 연구를 위한 실험에서 주로 히스타민이 사용되어 왔지만, 아토피와 같은 만성 가려움증에서는 히스타민 의존적 경로(pathway)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신경성 원인에 따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왜 항히스타민이 아토피 질환의 가려움증에 효과적이지 못한지를 설명하고 있다(Stander et al., Experimental Dermatology, 11, pp12-24, 2002).
또한, 일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주로 전신 투여하여 사용하는데, 항부교감 작용이 있어서 진정작용을 나타내고, 1 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은 국소 투여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을 억제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Munday et al.,Dermatology, 205, pp40-45, 2002), 피부 과민반응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아토피성 피부염에 국소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진정작용이 없는 2 세대 항히스타민제 에바스틴과 터페나딘은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ketoconazole, erythromycin)과 함께 복용하면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어(Hey et al., Arzneimittelforschung, 46, pp159-163, 1996), 이와 관련된 부작용이 나타난다.
따라서,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이 적어 안전한 가려움증 치료제, 특히 아토피와 같은 만성 가려움증에 유효한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과거로부터 요청되어 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피부 장벽 개선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및 면역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종래의 가려움증 치료제들이 갖는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탁월한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효과가 있는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가려움의 자극원인 단백분해효소 활성 수용체-2(Proteinase-Activated Receptor-2: PAR-2)의 활성을 억제를 통해, 우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를 발휘할 수 있으며, 가려움증으로 인해 유발되는 피부 장벽 파괴를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밤껍질 추출물의 면역 억제활성을 통해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면역 과민성 반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PAR-2 활성 억제 효과(트립신 처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PAR-2 활성 억제 효과(SLIGKV 처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 의 PAR-2 활성 억제 효과(트립신, SLIGKV 처리)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 의 가려움증(트립신 처리)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 의 가려움증(SLIGRL 처리)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가려움증(SLIGRL 처리)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의 가려움증(SLIGRL 처리)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TNF-α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IL-6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IL-1α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IL-8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GM-CSF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IL-6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IL-8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추출물의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GM-CSF 분비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과각질화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NC/Nga모델에서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NC/Nga모델에서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IgE 감소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밤의 내피(속껍질) 및 외피(겉껍질) 추출물에 따른 PAR-2 활성 억제 효과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단백분해효소 활성 수용체-2(Proteinase-Activated Receptor-2: PAR-2)를 가려움증 치료의 타겟으로 하여, 밤껍질 추출물에 의한 PAR-2의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 하기 실시예에 입증된 바와 같이 시험관 내에서 우수한 PAR-2 길항 작용을 보임을 확인하였고, 또한 PAR-2를 특이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펩타이드인 SLIGRL, SLIGKV 또는 단백분해효소인 트립신(Trypsin)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 억제실험에서, PAR-2의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매우 우수한 가려움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가려움증은 소양증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가려움증의 유발 원인 또는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염증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살갗의 거칠어짐으로 인한 피부염, 땀띠, 진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선 및 유건선으로 이루어진 피부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가려움증의 경우, 계속되는 가려움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피부를 문지르거나 긁거나, 또는 꼬집게 된다. 이에 의해, 피부의 진무름, 찰과상, 태선, 양진, 과색소 침착 또는 색소 침착의 감소 등 2차적인 피부손상이 유발되며, 피부에서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여러 물질들이 분비되고, 이러한 분비는 다시 가려움을 증가시켜 가려움-긁기의 순환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밤껍질 추출물은 효과적인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바, 가려움에 의해 유발된 2차적인 피부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유래된 가려움에 의해 발생한 2차적인 피부 손상에 대하여, 피부 장벽 손상의 완화 또는 피부 장벽의 회복력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며, 이를 통해 유의하게 피부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피부 보습 증진 또는 피부 과각질화 방지를 통해 피부 장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무모 생쥐(Hairless mice)에 옥사졸론(oxazolon)을 처리한 알러지 모델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경표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과 피부두께(skin thickness)를 측정한 결과, 밤껍질 추출물이 효과적인 피부 보습 증진 또는 과각질화 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아토피,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또는 크론씨병(Crohn's disease)의 치료를 위한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면역 과민성 반응인 아토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아토피 질환이 피부의 손상 등으로 인한 급성 단계에서 만성질환단계로 발전 할 때 면역매개물질들의 다양한 분비양상 변화가 관찰 되는데, 아토피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손상된 피부에서 다수의 인터루킨(Interleukin)들의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인자(GM-CSF)는 아토피 피부질환 환자들의 손상된 피부에서 그 분비량이 증가하여, 만성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환자의 면역체계의 불균형을 일으키게 된다(Matsubara et al., FEBS Letters, 566, pp195-200, 2004).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밤껍질 추출물이 면역 과민성 반응과 관련된 종양 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루킨-6(IL-6), 인터루킨-1α(IL-1α), 인터루킨-8(IL-8) 또는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밤껍질 추출물은 면역 억제용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은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8(IL-8)은 아토피질환에서 가려움을 유발하는 인자로도 알려져 있어, 밤껍질 추출물이 아토피 질환 유래의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밤껍질은 밤나무의 과실을 싸고 있는 짙은 갈색의 껍질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밤껍질 추출물은 밤의 내피(율피), 외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밤껍질은 어떠한 종류의 밤으로부터 유래된 껍질이라도 무관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밤(Castanea crenata S. et Z., Castanea mollissima Bl., Castanea bulgaris), 약밤(Castanea Bungeana Bl) 및 상두밤(Castanea crenata for. multicarpa (Uyeki) Chung)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밤의 껍질일 수 있다. 밤껍질로는 밤의 내피(율피)가 사용될 수 있고, 밤의 외피(밤의 겉껍질)가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밤의 외피(밤의 겉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우수한 PAR-2 길항 작용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밤껍질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1, 3-부틸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통해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1, 3-부틸글리콜,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밤껍질 추출물은 10~100% 알코올수용액 또는 10~100% 1, 3-부틸글리콜에서 추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밤껍질 20~9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70% 1,3-부틸글리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밤껍질 40~9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50% 1,3-부틸글리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밤껍질 60~9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20~40% 1,3-부틸글리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밤껍질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8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밤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제형의 안정도가 낮아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 피부장벽 개선 및 면역 억제를 위해 밤껍질 추출물과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 국소마취, 면역 억제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들과의 병용 또한 가능하다.
종래 아토피성 피부염 및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기술은 항히스타민제의 복용이나 스테로이드제제를 외용제로 도포하는 것이었으나, 이들 제제의 경우 일시적 치료효능을 보이더라도 곧 재발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고, 아울러 이들 약물들을 복용 하였을 경우, 중추신경 장애, 소화기 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부신피질호르몬인 스테로이드제제는 강력한 소염작용과 면역억제작용으로 효과가 우수하지만 부작용 또한 심각하며, 면역 억제제인 타크롤리무스 수화물 연고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피부암을 유발 하거나, 피부손상 부위에 다량으로 체내 흡수되었을 때에는 신장 장해를 유발할 염려가 있어서 안전성 측면에서 장기적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 국소마취, 면역억제제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적절히 병용 할 경우,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 피부장벽 개선 및 면역 억제 등에 부작용을 동반하지 않고 안전하게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 하거나,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캬라멜, 다이어트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조성물 1 내지 500mg/k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mg/kg을 1일 1 내지 2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밤껍질 추출물의 제조
1-1) 밤껍질 1,3- 부틸글리콜 추출물의 제조
밤껍질을 30% 1,3-부틸글리콜(1,3-buthylene glycol)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3일간 침출시켰다. 이어, 250 메쉬, 3㎛, 1㎛, 0.5㎛ 크기의 여과기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였다. 이후, 0~4℃에서 3일간 방치(Standing)한 다음, 0.5㎛, 0.3㎛, 0.2㎛ 크기의 여과기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밤껍질 1,3-부틸글리콜 추출물을 얻었다.
1-2)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밤껍질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3일간 침출시켰다. 이어, 250 메쉬, 3㎛, 1㎛, 0.5㎛, 0.3㎛, 0.2㎛ 크기의 여과기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였다. 이후 60℃에서 용액을 농축시킨 후 30℃에서 18시간 동안 진공 건조를 실시하여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을 분말 형태로 얻었다.
[ 시험예 1]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PAR -2 활성 억제효과( in vitro , Trypsin 처리, HEK :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
실험 하루 전 각질형성세포(세포주명: HaCaT 입수처: ATCC)를 96 웰(well) 플레이트에 4X104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HBSS(Hanks'Balanced Salt solution) 버퍼로 96 웰 플레이트를 2회 세척(washing) 후, 반응 버퍼(reaction buffer: 2uM Fluo-4-AM, 20% pluronic acid, 2.5mM probenecid)를 세포에 넣어주었다.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30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HBSS 버퍼로 2회 세척(washing)하고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을 세포에 각각 1ppm, 2ppm, 5ppm, 10ppm, 20ppm, 30ppm 및 50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2U/ml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고 80초간 세포 내 Ca2 +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 내 Ca2 + 농도 변화 측정은 플렉스테이션3(FlexStation3: Molecular Device, USA)를 이용하였다.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과 트립신(Trypsin) 처리 후, 80초간 플렉스(flex)를 측정하여 얻어낸 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를 구한 후, 그 값을 트립신(Trypsin) 처리 시의 최소 값과 최대값의 차와 비교하여 억제율을 구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립신에 의해 PAR-2의 N-말단에서 세린 시퀀스(sequence)를 잘라 PAR-2가 활성화되는 경우, 세포 내로 칼슘 이온들이 유입되는데, 밤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PAR-2 활성화가 억제되어 칼슘 이온의 유입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2]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PAR -2 활성 억제효과( in vitro , SLIGKV 처리, HEK :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
실험 하루 전 각질형성세포(세포주명: HaCaT 입수처: ATCC)를 96 웰(well) 플레이트에 4X104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버퍼로 96 웰(well) 플레이트를 2회 세척(washing) 후, 반응 버퍼(reaction buffer: 2uM Fluo-4-AM, 20% pluronic acid, 2.5mM probenecid)를 세포에 넣어주었다.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30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HBSS 버퍼로 2회 세척(washing)하고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을 세포에 각각 1ppm, 2ppm, 5ppm, 10ppm, 20ppm, 30ppm 및 50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5uM PAR-AP(SLIGKV)을 처리하고 80초간 세포 내 Ca2 +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 내 Ca2 + 농도 변화 측정은 플렉스테이션3(FlexStation3: Molecular Device, USA)를 이용하였다.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과 5uM PAR-AP(SLIGKV) 처리 후 80초간의 플렉스(flex)를 측정하여 얻어낸 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를 구한 후, 그 값을 5uM PAR-AP(SLIGKV)처리 시의 최소 값과 최대값의 차와 비교하여 억제율을 구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활성화 펩타이드인 SLIGKV(Human)가 직접적인 리간드로 작용하여 PAR-2가 활성화되면, 세포 내로 칼슘 이온들이 유입되는데, 밤껍질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PAR-2 활성화가 억제되어 칼슘 이온의 유입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3] 밤껍질 1,3- 부틸글리콜 ( BG ) 추출물의 PAR -2 활성 억제효과( in vitro, SLIGKV 처리, HEK :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
실험 하루 전 각질형성세포(세포주명: HaCaT 입수처: ATCC)를 96 웰(well) 플레이트에 4X104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버퍼로 96 웰(well) 플레이트를 2회 세척(washing) 후, 반응 버퍼(reaction buffer: 2uM Fluo-4-AM, 20% pluronic acid, 2.5mM probenecid)를 세포에 넣어주었다.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30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HBSS 버퍼로 2회 세척(washing)하고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을 세포에 각각 0.1w/v%, 0.5w/v % 및 1 w/v%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2U/ml 트립신(Trypsin) 또는 5uM PAR-AP(SLIGKV)을 처리하고 80초간 세포 내 Ca2 +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 내 Ca2 + 농도 변화 측정은 플렉스테이션3(FlexStation3: Molecular Device, USA)를 이용하였다.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과 2U/ml 트립신(Trypsin) 또는 5uM PAR-AP(SLIGKV)처리 후 80초간의 플렉스(flex)를 측정하여 얻어낸 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를 구한 후, 그 값을 2U/ml Trypsin 또는 5uM PAR-AP(SLIGKV)처리 시의 최소 값과 최대값의 차와 비교하여 억제율을 구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립신 또는 PAR-2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세포 내 칼슘 이온들의 유입이 밤껍질 추출물의 농도를 높여줌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4] 밤껍질 1,3- 부틸글리콜 ( BG ) 추출물의 트립신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증 억제 효과
무모 생쥐(Hairless mice)에서 트립신(in PBS buffer) 200㎍/site 피내(ID) 주사 에 따른 스크래칭 행동 특성(scratching behavior)이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in PBS buffer)을 각각 1w/v%, 10w/v % 및 20w/v%의 농도로 동시 주사하여 농도별로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각 측정치는 2회의 베이스라인(Baseline) 측정 평균값에 대한 % 변화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고하면, 1,3-부틸글리콜(BG; vehicle) 처치군과 1%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 처치군은 트립신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을 억제하는 효과는 없는 것이 관찰되었지만, 10%, 20%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 처치군은 억제효과가 매우 큰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시험예 5] 밤껍질 1,3- 부틸글리콜 ( BG ) 추출물의 SLIGRL 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증 억제 효과
무모 생쥐(Hairless mice)에서 SLIGRL(Murine PAR-2 활성 펩타이드 in PBS buffer) 50㎍/site 피내(ID) 주사 에 따른 스크래칭 행동 특성(scratching behavior)이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in PBS buffer)을 각각 1%, 10% 및 20%의 농도로 동시 주사하여 농도별로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각 측정치는 2회의 베이스라인(Baseline) 측정 평균값에 대한 % 변화로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고하면, 1%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 처치군에서부터 10%, 20% 밤껍질 1,3-부틸글리콜(BG) 추출물 처치군으로 밤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LIGRL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이 억제되는 정도가 늘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시험예 6]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 피부 도포에 따른 SLIGRL 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증 억제 효과
각 시험군에 피부도포 처리한 밤껍질 추출물은 모두 물과 에탄올, 1,3 부틸글리콜을 5:3:2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녹여 사용하였으며, 시험 농도는 분말 형태의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을 1, 3 및 10w/v%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비히클(vehicle)군은 실시예1의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만든 제제를 사용하였으며, 가려움 유발 물질로는 PAR-2 활성 펩타이드(Activating Peptide(SLIGRL; 설치류 유래 펩타이드))를 PBS 버퍼에 녹여 50㎍/site의 농도로 피내주사 하였다.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각 시료들을 200㎕ 취하여 무모생쥐의 등 부위에 넓게 펴 바르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1일 2회 4일간 처리하였고, 5일째 오전 가려움 유발 물질 주사 30분 전에 마지막으로 처리하였다.
가려움 유발 물질(PAR-2 활성 펩타이드; SLIGRL)에 의한 가려움의 증가와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가려움 감소 여부를 비교하기 위하여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도포 이전 2일간 매 측정당 40분 동안의 긁은 횟수를 측정하여 2일 간의 평균치를 계산한 값을 자극원 주입 후 40분간의 긁은 횟수와 비교하여, %변화 값으로 나타내었다.
가려움 실험은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하기 20분 이전에 관찰용 투명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어 20분간 적응하는 시간을 주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적응 시간이 끝나면 가려움 유발 물질(PAR-2 활성 펩타이드; SLIGRL)을 적응이 끝난 시험용 무모생쥐의 등 부위 피부에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하였다. 주사가 끝나면 곧바로 다시 관찰용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은 후 40분간, 뒷다리로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한 부위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앞발로 긁거나 입으로 물어뜯는 행동은 제외하고 오직 뒷발로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만을 가려움 행동의 지표로 간주하여 측정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Chestnut Inner Bark Extract)을 피부에 도포해 준 후, 10% 농도에서는 가려움 자극을 주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도 긁는 횟수가 감소하였으며, 가려움 자극을 준 경우는 1% 농도에서부터 긁는 횟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7]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 경구투여에 따른 SLIGRL 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증 억제 효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8주령의 암컷 무모생쥐(Hariless mice)에게 경구 투여하여 가려움증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각 시험군에 경구투여 처리한 밤껍질 추출물은 모두 증류수와 섞어 현탁액으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시험 농도는 분말 형태의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200 및 5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다. 비히클(vehicle)군은 실시예1의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순수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가려움 유발 물질로는 PAR-2 활성 펩타이드(Activating Peptide(SLIGRL; 설치류 유래 펩타이드))를 PBS 버퍼에 녹여 50㎍/site의 농도로 피내주사 하였다.
경구투여는 상기 시료들을 적정량 취하여 1일 1회 5일간 투여하였고, 5일째 오전 가려움 유발 물질 주사 30분 전에 마지막으로 투여하였다.
가려움 유발 물질(PAR-2 활성 펩타이드; SLIGRL)에 의한 가려움의 증가와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가려움 감소 여부를 비교하기 위하여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경구투여 이전 2일간 매 측정당 40분 동안의 긁은 횟수를 측정하여 2일 간의 평균치를 계산한 값을 자극원 주입 후 40분간의 긁은 횟수와 비교하여, %변화 값으로 나타내었다.
가려움 실험은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하기 20분 이전에 관찰용 투명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어 20분간 적응하는 시간을 주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적응 시간이 끝나면 가려움 유발물질(PAR-2 활성 펩타이드; SLIGRL)을 적응이 끝난 시험용 무모생쥐의 등 부위 피부에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하였다. 주사가 끝나면 곧바로 다시 관찰용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은 후 40분간, 뒷다리로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한 부위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앞발로 긁거나 입으로 물어뜯는 행동은 제외하고 오직 뒷발로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만을 가려움 행동의 지표로 간주하여 측정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투여해 준 후, 가려움 자극에 대한 밤껍질의 억제효과가 농도에 따라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8] 밤껍질 추출물의 TNF -α 분비 감소
실험 하루 전 피부 각화상피세포(Normal human skin keratinocyte, NHEK, 입수처: Lonza) 를 96 웰(well) 플레이트에 5X104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PBS로 세포를 2회 씻어주고 세럼 프리 KBM(serum free KBM(keratinocyte basement media))으로 갈아주었다. 각각의 웰(well)에 밤껍질을 농도별로 처리하고(10, 25, 50ppm) 30분간 반응시킨 후, PGSA(10, 50ppm), LPS(1ppm)를 각각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TNF-α에 대한 ELISA를 진행하였다. ELISA는 제조회사(BD science)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밤껍질이 PGSA와 LPS에 의해 증가한 TNF-α의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켜 주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시험예 9] 밤껍질 추출물의 IL -6 분비 감소
IL-6에 대한 ELISA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밤껍질이 PGSA와 LPS에 의해 증가한 IL-6의 분비를 현격히 억제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시험예 10] 밤껍질 추출물의 IL -1α 분비 감소
IL-1α에 대한 ELISA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밤껍질이 PGSA와 LPS에 의해 증가한 IL-1α의 분비량을 농도에 따라서 감소시켜 주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시험예 11] 밤껍질 추출물의 IL -8 분비 감소
IL-8에 대한 ELISA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밤껍질이 PGSA와 LPS에 의해 증가한 IL-8의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켜 주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 시험예 12] 밤껍질 추출물의 GM - CSF 분비 감소
GM-CSF에 대한 ELISA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밤껍질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GSA와 LPS에 의해 분비되는 GM-CSF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 시험예 13] 밤껍질 추출물의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IL -6 분비 억제효과
실험 하루 전 피부 각화상피세포(Normal human skin keratinocyte, NHEK, 입수처: Lonza) 를 96 웰(well) 플레이트에 5X104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24시간 후, PBS로 세포를 2회 씻어주고 세럼 프리 KBM(serum free KBM(keratinocyte basement media))으로 갈아주었다. 각각의 웰(well)에 밤껍질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10, 50ppm) 30분간 반응시킨 후, 트립신(10nM) 또는 PAR-2 활성화 펩타이드(SLIGKV, 50 uM)를 각각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IL-6에 대한 ELISA를 진행하였다. ELISA는 제조회사(BD science)의 실험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밤껍질 추출물이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IL-6의 분비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다.
[ 시험예 14] 밤껍질 추출물의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IL -8 분비 억제효과
IL-8에 대한 ELISA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4를 참조하면, 밤껍질 추출물이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IL-8의 분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관찰할 수 있다.
[ 시험예 15] 밤껍질 추출물의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GM -CSF 분비 억제효과
GM-CSF에 대한 ELISA를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밤껍질 추출물이 트립신과 활성 펩타이드(SLIGKV)에 의한 GM-CSF의 분비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함을 관찰 할 수 있다.
[ 시험예 16]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 측정
실시예 1 의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장기간 피부손상으로 인한 피부장벽기능의 회복능력을 평가하였다. 우선, 출생 후 7 내지 8주가 경과한 젊은 무모생쥐(오리엔트, 한국)의 등(back)에 옥사졸론(oxazolone)을 1일 1회씩 6일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의 피부장벽을 손상시켰다. 이후, 증발계(델핀, 핀란드)로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여 시간당 50g/m2 이상의 경피수분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을 군분리하여 1 및 5w/v%의 밤껍질 추출물 각각을 피부면적 5cm2 당 100㎕ 용량으로 1일 2회씩 10일간 연속 도포를 실시한 후, 실험동물의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모 생쥐에 옥사졸론을 처리한 알러지 모델(Allergy model)에서 옥사졸론에 의해 유도된 피부염(atopic dermatitis)으로 인해 증가한 경피수분손실량은 밤껍질 추출물을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손상된 장벽기능을 회복시켜 정상피부로 되돌리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17]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과각질화 개선 효과 측정
실시예 1 에서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 의 피부 과각질화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우선, 출생 후 7 내지 8주가 경과한 젊은 무모생쥐(오리엔트, 한국)의 등(back)에 옥사졸론(oxazolone)을 1일 1회씩 6일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동물의 피부장벽을 손상시켰다. 이후, 증발계(델핀, 핀란드)로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여 시간당 50g/m2 이상의 경피수분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을 군분리하여 시험물질을 피부면적 5cm2 당 100㎕ 용량으로 1일 2회씩 10일간 연속 도포를 실시한 후, 등(back) 측정부위 좌우를 접어올려(two-folding measurement) 측미계(미쯔비시, 일본)를 이용하여 피부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7를 참조하면, 옥사졸론(oxazolon)에 의해 유도된 피부염으로 인해 증가한 피부 두께가, 밤껍질 추출물 분말 사용으로 피부 과각질화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18]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NC / Nga 모델에서 IgE 감소와 가려움증 개선 효과 측정
실시예 1 에서 밤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혈청내 IgE 감소와 가려움 개선효과를 NC/Nga 생쥐 모델로 평가하였다. 우선, 출생 후 7 내지 8주가 경과한 젊은 NC/Nga 생쥐의 등(back)부위를 클리퍼(clipper)를 이용하여 제모하고, 남아있는 털은 제모크림을 이용하여 완벽하게 제거하였다. 노출된 등 부위와 귓바퀴부위에 Df(dermatophagoides farinae) 100mg을 주 2회 3주간 4회 균일하게 도포하여, 아토피질환을 유발하였다. 주 5회 3주간 밤껍질 추출물을 100mg/kg 와 250mg/kg의 두 군으로 나누어 투여한 후, 가려움증 측정을 위해 관찰용 우리에 NC/Nga 생쥐를 넣은 후 2시간 동안, 뒷다리로 등 부위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앞발로 긁거나 입으로 물어뜯는 행동은 제외하고, 오직 뒷발로 긁는 행동만을 가려움 행동의 지표로 간주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IgE의 측정은 안와정맥총을 통해 채혈한 혈액샘플에서 혈청을 분리하여, BD 사이언스(BD science)의 옵트 IgE 키트(Opt IgE kit)를 이용하여 ELISA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도 18에 250mg/kg 투여군에서 가려움이 비처리 군에 비해 감소한 것을 표시하였고, 도 19를 참조하면 IgE의 감소가 250mg/kg의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19] 밤 겉껍질 에탄올 추출물과 밤 속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PAR -2 활성 억제효과 비교( in vitro , SLIGKV 처리, HEK :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
밤의 겉껍질과 속껍질을 분리하여 건조한 후,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밤 겉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밤 속껍질 추출물 또한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2에서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밤 겉껍질 에탄올 추출물과 밤 속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PAR-2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여 하기 표 2 및 도 20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1105405269-pct00001
[ 시험예 20] 밤 겉껍질 에탄올 추출물과 밤 속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PAR -2 활성 억제효과 비교( in vitro , SLIGKV 처리, HEK :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
밤의 겉껍질(외피)과 속껍질(내피) 추출물의 농도를 하기 표 3에서와 같이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PAR-2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표 3]
Figure 112011105405269-pct00002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피부 외용제 중 연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1105405269-pct00003
[제형예 2] 산제의 제조
실시예 1...............................100 mg
유당...........................................................100 mg
탈크...........................................................10 mg
유지............................................................5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3] 정제의 제조
실시예 1..............................50 mg
옥수수전분.................................................100 mg
유당.......................................................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mg
비타민 C....................................................5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4]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50 mg
옥수수전분...............................................100 mg
유당......................................................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비타민 C...................................................50 mg
세린.......................................................50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100 mg
이성화당...................................................10 g
만니톨.....................................................5 g
비타민 C...................................................50 mg
세린........................................................50 mg
유지........................................................적량
정제수.......................................................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5)

  1.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분해효소 활성 수용체-2(PAR-2) 유발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살갗의 거칠어짐으로 인한 피부염, 땀띠, 진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건선 및 유건선으로 이루어진 피부염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발되는 가려움증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유발되는 가려움증을 완화 또는 억제하는 가려움증 완화 또는 억제용 약학 조성물.
  4.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밤껍질은 밤의 외피(겉껍질)인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유래된 피부 장벽 손상의 완화 또는 피부 장벽의 회복력 개선을 위한 것인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증진 또는 피부 과각질화 방지를 위한 것인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7.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밤껍질은 밤의 외피(겉껍질)인 면역 억제용 약학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토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인 면역 억제용 약학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토피의 치료를 위한 면역 억제용 약학 조성물.
  10. 밤껍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밤껍질은 밤의 외피(겉껍질)인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밤껍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8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밤껍질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1, 3-부틸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통해 추출된 약학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밤껍질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1, 3-부틸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통해 추출되는 약학 조성물.
KR1020117031657A 2009-06-18 2010-06-18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338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579 2009-06-18
KR20090054579 2009-06-18
PCT/KR2010/003983 WO2010147440A2 (ko) 2009-06-18 2010-06-18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432A KR20120027432A (ko) 2012-03-21
KR101338681B1 true KR101338681B1 (ko) 2013-12-09

Family

ID=4335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657A KR101338681B1 (ko) 2009-06-18 2010-06-18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530699A (ko)
KR (1) KR101338681B1 (ko)
CN (2) CN102458156A (ko)
WO (1) WO20101474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O3246B1 (ar) 2009-09-09 2018-03-08 Regeneron Pharma اجسام مضادة بشرية ذات ألفة تفاعل عالية مع مستقبل 2 المفعل بالبروتين البشري
KR101595959B1 (ko) * 2013-02-18 2016-02-19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율피 열수추출물 또는 율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3048B1 (ko) * 2014-10-23 2016-07-2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770644A (zh) * 2015-04-29 2015-07-15 唐凯 一种基于药食同源的糖尿病保健品
JP6692905B2 (ja) * 2016-07-29 2020-05-13 株式会社 サティス製薬 栗皮抽出物の製造方法
CN107686451B (zh) * 2017-09-29 2020-07-03 烟台新时代健康产业日化有限公司 一种含神经酰胺的板栗皮提取物制备方法
KR102165675B1 (ko) 2018-10-17 2020-10-14 강진영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WO2021084760A1 (ja) * 2019-11-01 2021-05-06 株式会社 資生堂 皮膚での活性型par-2を指標とした皮膚状態評価方法、par-2活性化促進剤又は抑制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par-2活性化抑制剤
FR3124947A1 (fr) * 2021-07-12 2023-01-13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Composition ingérable (Ci) pour une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d’un trouble cutané induit par un trouble intestinal
KR20240149303A (ko) 2023-04-04 2024-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밤 과피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843B1 (ko) 1997-02-14 2000-07-01 유상옥 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KR20000065305A (ko) * 1999-04-01 2000-11-15 유상옥 안정화시킨 레티놀, 파이토스핑고신 및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169A (ko) * 2007-04-04 2008-10-08 (주) 아디포젠 쑥 또는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파론을함유하는 체중조절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0A (ja) * 1995-06-15 1997-01-07 Watanabesan Shoten:Kk 皮膚炎治療材および皮膚炎の治療方法
JPH09175993A (ja) * 1995-12-27 1997-07-08 Pairei:Kk 入浴剤の製法
JPH09182574A (ja) * 1996-01-05 1997-07-15 Pairei:Kk 栗茶の製法
KR100308178B1 (ko) * 1997-11-10 2002-02-28 유상옥,송운한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376136B1 (ko) * 1998-08-13 2003-06-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료 조성물
DE60035059T2 (de) * 1999-10-29 2008-01-31 Kyowa Hakko Kogyo Co., Ltd. Mittel zur verbesserung der hauttextur
KR20010092070A (ko) * 2000-03-20 2001-10-24 유상옥,송운한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JP2002371276A (ja) * 2001-06-14 2002-12-26 Kanebo Ltd 抗酸化剤、それを用いた食品及び化粧品
JP3847649B2 (ja) * 2002-04-01 2006-11-22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KR100483539B1 (ko) *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090861B2 (ja) * 2002-12-13 2008-05-28 クラシエフーズ株式会社 抗酸化剤、それを用いた食品及び化粧品
JP2005139070A (ja) * 2003-11-04 2005-06-02 Kanebo Cosmetics Inc 皮膚化粧料
CN101268847A (zh) * 2007-03-23 2008-09-24 张宝林 消除亚健康血液净化可乐
JP2008195936A (ja) * 2008-01-28 2008-08-28 Kracie Foods Ltd 抗酸化剤、それを用いた食品及び化粧品
KR20080101821A (ko) * 2008-08-27 2008-11-21 김선일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2114B1 (ko) * 2008-11-17 2012-08-10 (주)아모레퍼시픽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3843B1 (ko) 1997-02-14 2000-07-01 유상옥 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
KR20000065305A (ko) * 1999-04-01 2000-11-15 유상옥 안정화시킨 레티놀, 파이토스핑고신 및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0169A (ko) * 2007-04-04 2008-10-08 (주) 아디포젠 쑥 또는 율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스코파론을함유하는 체중조절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5986A (zh) 2016-02-03
CN102458156A (zh) 2012-05-16
JP2012530699A (ja) 2012-12-06
WO2010147440A3 (ko) 2011-03-31
KR20120027432A (ko) 2012-03-21
WO2010147440A2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681B1 (ko)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60708B1 (ko)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038568A1 (en) Use of total coumarins of cnidium fruit in preparing medicaments for treating psoriasis
WO2016190661A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8362A (ko) 항염, 항소양증, 피부보습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0926047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619486B (zh) 一种治疗皮肤病的软膏剂及其制备方法
KR101708761B1 (ko) 퓨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730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70087B1 (ko) 면역억제제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제 2 억제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248513B1 (ko) 무좀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50364B1 (ko) 석산(꽃무릇)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아토피, 항주름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2019002932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293740A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
KR20240003499A (ko) 말채나무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ngadi et al. MANAGEMENT OF EKA KUSHTA-A CASE STUDY
KR20160097771A (ko)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09309A (ko) 피부소양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4110B1 (ko) Abh 항원의 발현을 조절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