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114B1 -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114B1
KR101172114B1 KR1020080114025A KR20080114025A KR101172114B1 KR 101172114 B1 KR101172114 B1 KR 101172114B1 KR 1020080114025 A KR1020080114025 A KR 1020080114025A KR 20080114025 A KR20080114025 A KR 20080114025A KR 101172114 B1 KR101172114 B1 KR 10117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exfoliation
grain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099A (ko
Inventor
피봉수
박성일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1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1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형 내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천연 곡물 분말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물리적 각질 제거를 하는 동시에 이차적으로 미백 기능성 성분이 각질이 벗겨져 나간 피부 안쪽으로 쉽고 빠르게 흡수되어 적은 양의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 빠른 시일 내에 미백 효과를 부여하도록 제조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 곡물 분말, 물리적 각질 제거, 미백 기능성 성분, 율무, 당귀, 녹두, 팥, 율피, 현미, 흑미, 진피, 오트밀, 쌀겨

Description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crop powders as exfoliation surface skin cells}
본 발명은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형 내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천연 곡물 분말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물리적 각질 제거를 하는 동시에 이차적으로 미백 기능성 성분이 각질이 벗겨져 나간 피부 안쪽으로 쉽고 빠르게 흡수되어 적은 양의 미백 기능성 성분으로 빠른 시일 내에 미백 효과를 부여하도록 제조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속에 포함된 유효 물질들을 피부에 바를 때 각질을 벗겨내지 않고 화장품을 바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그 피부 흡수 정도를 비교해 보면, 각질을 벗겨낸 후에 화장품을 바르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유효 물질들이 피부 속으로 잘 스며든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보통의 미백 기능 성 화장품은 이러한 각질 제거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게다가 최근에 출시되는 제품에는 이러한 각질 제거 기능이 존재 하지만, 물리적인 각질 제거가 아닌 화학물질을 이용한 화학적 각질 제거로서 각질을 벗겨내는 것이 아니라 각질을 녹여내어 각질제거 효과를 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들은 일정 시간이상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 오히려 과각질화 현상이 발생하여 피부 손상 및 그로 인한 피부의 수분 손실이 더욱더 유발되기 때문에 미백 기능성 화장품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최근 물리적 각질제거 성분이 포함된 기능성 화장료에 대한 특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15764호가 존재하지만 물리적 각질제거를 위한 성분이 화학적인 입자로서 이 또한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피부에 자극을 적게 주면서 물리적 각질제거 효능이 우수한 천연 물질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고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물리적 각질 제거 성분을 찾아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노력한 결과, 우리 고유의 천연 곡물 분말이 모든 피부 유형에 사용하여도 안전하고 특정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피부에 도포한 상태로 유지하여도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피부의 수분 손실을 막아주면서 우수한 피부 각질 제거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자극이 없는 각질 제거제를 미백 기능성 성분과 함께 함유하여 상기 미백 기능성 성분이 피부 속 깊숙이 흡수될 수 있도록 제조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량 이상의 천연 곡물 분말을 각질 제거제로서 함유함으로써 천연 곡물 분말의 물리적 각질 제거 효과로 인해 미백 기능성 성분의 피부 속 흡수를 용이하게 하였고, 이를 통한 미백 효과를 기존 제품들에 비하여 빠른 시일 내에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천연 곡물 분말과 미백 기능성 성분을 모두 화학적 물질이 아닌 천연물로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여 피부에 자극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백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여러 유효 성분들은 피부에 존재하는 여러 층을 통과해야만 피부 속 깊숙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효성분들은 이러한 피부의 여러 층을 통과하는 동안 피부 내부에 있는 여러 장애물의 방해를 받아 우리가 원하는 곳까지 도달하지 못하여 원하는 효과를 단 시일 내에 볼 수 없게 된다. 그 중에서도 피부의 가장 겉 표면에 있는 각질층은 피부의 방어 기능 및 보수 기능을 지탱하는 층으로서,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질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0.02 mm 정도에 각질세포 15층 내지 20층으로 겹쳐져 있다.
또한 각질층의 각질세포는 기와를 쌓아 놓은 것 같이 정렬되어 있고, 세포와 세포 사이는 시멘트와 같이 세포간 지질과 천연 보습 인자(NMF: Natural Moisture Factor) 물질이 존재하고 있다. 보통 표피의 최하층(기저층)에서 생성된 세포가 서서히 밀려 올라가, 2주 정도 걸쳐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세포로 되는데 이 각질세포는 2주 정도 지나면, 각질층의 최하층으로부터 최상층에 밀어 올려 최종적으로는 때와 각질로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간다. 최근에 피부 관리에 있어서 시기 적절한 인위적인 각질 제거가 피부 건강 및 피부 미용에 좋다는 내용의 연구가 활발히 발표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각질 제거제인 천연 곡물 분말은 피부의 각질을 미세하게 벗겨내어 미백 기능성 성분들이 겉 피부에 있는 각질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적은 양으로도 피부 깊숙이 흡수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리적 각질 제거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각질제거를 위해 천연 곡물을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해가 없는 적절한 양의 각질을 피부에서 벗겨내어 건강하게 피부를 유지시키는 것과 더불어 여러 기능성 성분, 특히 미백 기능성 성분이 벗겨진 각질로 인해 얇아진 각질층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질 제거를 통한 미백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천연 곡물 분말은 율무, 당귀, 녹두, 팥, 율피, 현미, 흑미, 진피, 오트밀 및 쌀겨 등의 분말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천연 곡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곡물 분물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당한 피부 자극 유발이 예상되며,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각질 제거의 효과를 볼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연 곡물 분말은 각 곡물을 당업계에 잘 알려진 분쇄 방법, 예를 들면, 고속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곡물 분말의 입자직경은 10~1000 ㎛가 바람직하며, 동량 의 분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10 ㎛ 미만인 입자직경을 갖는 천연 곡물 분말을 사용했을 때 각질제거 효과를 볼 수 없고, 1000 ㎛를 초과하는 입자직경을 갖는 천연 곡물 분말은 피부에 바를 시 물리적 자극이 커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백 기능성 성분은 대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또는 도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들은 각 천연 물질을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백 기능성 성분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5 중량% 정도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함량은 미백 기능성 성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황 추출물은 0.1 중량% 이상, 감초 추출물은 0.05 중량% 이상, 도인 추출물은 2.0% 이상 제형 내에 포함되어야 미백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각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서는 제형 내에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피부 자극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각질 제거제 및 미백 기능성 성분은 유기 및 무기 화학 물질이 아니라 천연에서 유래한 성분으로 인체에 해가 없는 안전한 성분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마사지 크림의 제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천연 곡물 분말과 미백 기능성 성 분 이외에 마사지 크림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을 선택적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먼저 율무는 고속분쇄기로 분쇄하여 200 메쉬 망의 채로 쳐서 율무 분말을 얻었다. 다음에, 하기 표 1에 따른 조성에 따라 수상성분 원료들을 70℃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 때 대황추출물은 수상에 투입하기 전에 미리 외부에서 부틸렌글라이콜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그리고 유상성분 원료들을 70℃ 가온 용해한 다음 수상성분에 유상성분을 교반 하에 천천히 투입하면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유상성분 카나우바 왁스 0.6 0.6 0.6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5 25 25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2 2 2 2
2-옥틸도데카놀 8 8 8 8
베헤닐 알코올 1 1 1 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 1 1 1
메도우 폼 씨드 오일 3 3 3 3
밀납(비즈왁스) 0.9 0.9 0.9 0.9
방부제 0.25 0.25 0.25 0.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4 4 4 4
세테아릴 알코올/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수상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소듐디이티에이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2 2 2 2
율무 분말 - 8 2 5
대황추출물(파우더) 0.1 0.1 0.1 0.1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방부제 0.3 0.3 0.3 0.3
[시험예 1]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마사지 크림에 대한 유화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정성 평가의 방법으로는 제조 후 4℃, 25℃ 및 45℃ 에서 3개월 후 수상과 유상의 분리 정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 온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4℃
25℃
45℃
<판단 기준: ○:양호, △:보통, X:분리>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천연 곡물 분말의 함량이 높아 질수록 유화 안정도가 안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천연 곡물 분말을 특정 함량 이상 사용했을 경우에는 곡물 분말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유화 입자들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유화 안정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2] 피부 각질 제거 성능 및 미백 효능 평가
만 25~30세 보통 피부를 가진 남성 및 여성 30명을 무작위로 3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그룹 1은 비교예 1의 시료를 소정량 취하여 얼굴의 한쪽 볼에 바르고 다른 한 쪽 볼에는 실시예 1의 시료를 소정량 취하여 바른 후 양손을 이용하여 10분간 부드럽게 마사지하면서 시료 각각의 효과를 일주일 동안 시험해 보았다. 마찬가지로, 그룹 2는 비교예 1과 실시예 2를, 그룹 3은 비교예 1과 비교예 2를 각각 적용하여 각각의 효과를 일주일 동안 시험해 보았다.
그룹 1 그룹 2 그룹 3
비교예1 실시예1 비교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각질 제거 효과 1.2 4.3 2.2 6.5 1.3 8.5
미백 효과 3.2 5.4 2.1 7.6 4.3 8.8
피부 자극 0.9 3 2.3 5.1 1.4 8.3
<판단 기준: 효과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등급을 0~10까지 나눈 후 그룹 별 및 효과 별로 평균값을 구하였음(상기 등급은 0에 가까울수록 자극이 없고, 미백 효능이 없는 것이고, 10에 가까울 수록 자극이 많고 미백 효능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모든 그룹에 있어서, 천연 곡물 분말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을 가지고 실험을 했을 경우에는 각질 제거 효과 및 미백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피부자극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천연 곡물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각질제거 효과 및 그로 인한 미백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비교예 2의 결과를 통해 일정량 이상의 천연 곡물 분말이 포함된 경우에는 천연 곡물 분말에 의한 피부의 물리적 자극으로 인해 일주일 동안 같은 부위를 계속해서 사용했을 경우 피부에 일정 수준의 자극이 가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각질제거 및 그로 인한 미백효과를 증대 시키고 반면에 천연 곡물 분말에 의한 피부 자극을 최소로 하는 천연 곡물 분말의 함량을 결정 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일정량의 천연 곡물 분말이 포함된 실시예 2가 기존의 미백 화장품보다 우수한 미백 효과를 보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실시예 3~11]
먼저, 각질 제거제로 사용할 천연 곡물인 당귀, 녹두, 팥, 율피, 현미, 흑미, 진피, 오트밀 및 쌀겨는 고속분쇄기로 분쇄하여 200 메쉬 망으로 분말을 채로 쳐서 각각의 천연 곡물 분말을 얻었다. 다음에, 하기 표 4 및 표 5에 따른 조성에 따라 수상성분 원료들을 70℃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 때 대황추출물은 수상에 투입하기 전에 미리 외부에서 부틸렌글라이콜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그리고 유상성분 원료들을 70℃ 가온 용해한 다음 수상성분에 유상성분을 교반 하에 천천히 투입하면서 실시예 3~11의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유상성분 카나우바 왁스 0.6 0.6 0.6 0.6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5 25 25 25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2 2 2 2 2
2-옥틸도데카놀 8 8 8 8 8
베헤닐 알코올 1 1 1 1 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 1 1 1 1
메도우 폼 씨드 오일 3 3 3 3 3
밀납(비즈왁스) 0.9 0.9 0.9 0.9 0.9
방부제 0.25 0.25 0.25 0.25 0.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4 4 4 4 4
세테아릴 알코올/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1.5
수상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소듐디이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2 2 2 2 2
당귀 분말 5 - - - -
녹두 분말 - 5 - - -
팥 분말 - - 5 - -
율피 분말 - - - 5 -
현미 분말 - - - - 5
대황추출물(파우더) 0.1 0.1 0.1 0.1 0.1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5
방부제 0.3 0.3 0.3 0.3 0.3
성분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유상성분 카나우바 왁스 0.6 0.6 0.6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25 25 25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2 2 2 2
2-옥틸도데카놀 8 8 8 8
베헤닐 알코올 1 1 1 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 1 1 1
메도우 폼 씨드 오일 3 3 3 3
밀납(비즈왁스) 0.9 0.9 0.9 0.9
방부제 0.25 0.25 0.25 0.2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C6-14 올레핀 폴리머 4 4 4 4
세테아릴 알코올/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5
수상성분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디소듐디이티에이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2 2 2 2
흑미 분말 5 - - -
진피 분말 - 5 - -
오트밀 분말 - - 5 -
쌀겨 분말 - - - 5
대황추출물(파우더) 0.1 0.1 0.1 0.1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방부제 0.3 0.3 0.3 0.3
[시험예 3] 피부 각질 제거 성능 및 미백 효능 평가
만 25~30세 보통 피부를 가진 남성 및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11에서 제조한 마사지 크림의 각질 제거 효과, 미백 효과 및 피부 자극 효과를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각질 제거 효과 6.4 6.5 6.6 6.3 6.1 6.8 6.2 6.1 6.3
미백 효과 7.5 7.4 7.6 7.4 7.2 7.7 7.1 6.9 7.1
피부 자극 5.1 4.9 5.2 5.1 5.2 5.3 5.2 4.9 5.0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당귀, 녹두, 팥, 율피, 현미, 흑미, 진피, 오트밀 및 쌀겨 등의 천연 곡물 분말이 각질 제거 효과를 통해 미백 기능성 성분이 피부 깊숙이 흡수되어 미백 효과가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피부 각질층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Claims (7)

  1. 당귀, 팥, 율피, 흑미 및 진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곡물 분말과 대황 추출물 및 도인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미백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곡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곡물 분말의 입자 직경이 10~1000 ㎛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 기능성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 제거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14025A 2008-11-17 2008-11-17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25A KR101172114B1 (ko) 2008-11-17 2008-11-17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25A KR101172114B1 (ko) 2008-11-17 2008-11-17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99A KR20100055099A (ko) 2010-05-26
KR101172114B1 true KR101172114B1 (ko) 2012-08-10

Family

ID=4227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25A KR101172114B1 (ko) 2008-11-17 2008-11-17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4822A (zh) 2009-04-27 2010-11-03 玫琳凯有限公司 植物性抗痤疮制剂
CN105285986A (zh) * 2009-06-18 2016-02-0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栗子皮提取物的健康食品或药学组合物
KR101195117B1 (ko) * 2010-05-28 2012-10-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인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과색소성 질환 치료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32720B1 (ko) * 2010-08-26 2013-02-13 (주)라이프앤진 각질 제거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50188B1 (ko) * 2010-11-30 2013-04-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칠보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58646B1 (ko) * 2011-08-16 2013-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자, 매실, 석류, 현미를 발효하여 만든 초효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
EP3566691B1 (en) 2011-12-19 2024-04-17 Mary Kay Inc. Cosmetic method of whitening skin and evening tone with azuki beans
KR102132538B1 (ko) * 2018-11-24 2020-07-09 허남옥 쌀겨 추출 화장료 부스터의 제조 방법, 화장료 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208A (ja) * 1984-06-22 1986-01-13 Indoneshia Bunka Shinkoukai:Kk 植物粉末を主成分としたパツク剤又はピ−リング剤
WO2005074509A2 (en) * 2004-01-30 2005-08-18 E-L Management Corporation Nonabrasive sensory exfoliating system
KR100515764B1 (ko) * 2002-10-19 2005-09-21 김기철 피부각질제거 및 미백 세정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208A (ja) * 1984-06-22 1986-01-13 Indoneshia Bunka Shinkoukai:Kk 植物粉末を主成分としたパツク剤又はピ−リング剤
KR100515764B1 (ko) * 2002-10-19 2005-09-21 김기철 피부각질제거 및 미백 세정제
WO2005074509A2 (en) * 2004-01-30 2005-08-18 E-L Management Corporation Nonabrasive sensory exfoli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99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114B1 (ko) 각질 제거제로서 천연 곡물 분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3393581B (zh) 一种天然防皱抗衰老护肤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CN108743474B (zh) 一种油膏状宝宝护臀膏及其制备方法
TW200526260A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s
US8491940B2 (en) Petroleum-free compositions for skin care and other applic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80045539A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86990B1 (ko) 바쿠치올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9328410A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8986755B1 (en) Skin moisturizer
KR102342905B1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Aglawe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facial scrub
JP4109564B2 (ja) 皮膚障害抑制剤、皮膚障害改善剤並びにそれら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868481B1 (ko) 눈꽃모양 입자를 형성하는 보습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0904370B1 (ko)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40234628A1 (en) Top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ord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6915048B2 (ja) アルブツス・ウネドの果実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JP2004217583A (ja) 痩身用皮膚外用剤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6113A (ko) 천연 추출물과 천연오일을 포함한 나노 액정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5428B1 (ko) 저자극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0B1 (ko) 야생얌뿌리, 참깨, 눈연꽃 및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