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370B1 -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370B1
KR100904370B1 KR1020070103354A KR20070103354A KR100904370B1 KR 100904370 B1 KR100904370 B1 KR 100904370B1 KR 1020070103354 A KR1020070103354 A KR 1020070103354A KR 20070103354 A KR20070103354 A KR 20070103354A KR 100904370 B1 KR100904370 B1 KR 10090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yarrow
centella asiatic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071A (ko
Inventor
설장호
백남용
김동호
고재건
김동현
이호준
전용석
박은경
박상희
이광옥
김명화
Original Assignee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데나 filed Critical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3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와 야로우(yarrow)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상처치유 및 콜라겐 합성 효과, 항염 효과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균 및 아토피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가능하다
센텔라아시아티카마, 야로우, 세포재생, 항염, 나노리포좀, 아토피, 화장품

Description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noliposomes}
본 발명은 아토피치료 효과가 있는 나노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는 유아기에 주로 발생하여 종전에는 태열이라고도 하였으며 주로 각질층내의 세라마이드(ceramides)의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발생한다. 아토피는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가 건조되어 각질이 다량 일어며, 피부장벽(skin barrier) 기능이 저하되고 자극유발물질이 각질층내로 침입하여 자극을 유발시켜 정상피부에서는 침입하기 어려운 항원 단백질이 침입되고, 피부 알러지 등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심한 소양증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는 심하게 긁게 되면 습진, 켈로이드(keloid) 현상이 수반되고 심한 각질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피부보호기능을 담당하는 피부 보호막인 세포막의 인지질과 각질세포간의 결합물질인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필수지방산 인 감마-리놀레인산(γ-linoleic acid;GLA)이 부족하여 피부 보호막을 단단하게 만들지 못하게 되므로 피부표면의 수분이 쉽게 소실되고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알러지가 발생하게된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해 세라마이드, 리놀레인산, 식물유 또는 광물성 오일 등의 성분들,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과 같은 스테로이드(steroid)제제 또는 특정의 식물추출물을 일반적인 유화제품의 처방에 함유시키거나, 보습효과 및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막을 만들어주고 세균오염 등을 막아주기 위해 항균·항염 기능의 성분을 강화한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료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토피 피부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효과의 측면이나 피부안전성 측면에 있어서 문제점이 아직 존재하며, 손상된 피부에 대한 근본적인 염증 개선 효과와 피부 정상화를 위한 세포재생 효과를 이루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아토피 피부용 제품에 함유된 계면활성제, 향료, 알코올 등은 보호 능력이 약한 아토피 피부에는 쉽게 흡수되어 가려움을 촉진하고 아토피를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의 식물 유래의 효능효과 성분에 의한 안전한 화장품 성분 및 제형에 대한 요구가 필요하다.
한편,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는 미나리과의 다년생 풀로 주요성분으로는 Indocentelloside, brahmoside, brahminoside, ASIATICOSIDE, thankuniside and isothankuniside이다. Glycosiders에서 가수분해반응으로 얻어진 triterpene acids는 indocentoic, brahmic, asatic, thankunic and isothankunic. Mesoinositol, oligosaccharide, 'centellose', kaempferol, quercetin and stigmasterol 등의 물질도 포함하고 있다. 중요 성분은 Bacoside A와 B인데, Bacoside A의 경우 산화질소의 배출을 통해 대동맥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센텔라아시아티가는 면역 능력을 강화하고, 활력을 증대시켜, 각종 피부질환 (skin disorders), 상처치료 (wound healing), 강장효과 (tonics), 기억향상 (memory enhancer for mental), 스트레스 관련질환 (stress related disorders), 위궤양 (ulcers)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로우(Achillea millefolium)는 서양톱풀이라고도 불리우며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야로우의 주요 성분은 에테르오일, 플라빈, 아줄렌이다. 이 성분중 아줄렌(Azulene)은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특히 케모마일의 에테르오일에 함유되어 있으며 병원균을 죽이고 강한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야로우는 간세포에서 담즙이 잘 나오도록 하며 항균작용과 염증완화 작용이 있으며, 수렴작용을 하기도 하고 경련을 해소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와 더불어 식용부진이나 위장장애 그리고 위장의 가벼운 경련증상에 좋은 효과가 있고, 외용으로는 여성의 하복부에 통증이 수반되는 신경성 경련과 월경통을 해소하는데 좌욕의 재료로 이용된다.
본 발명은 강력한 세포재생효과와 항염효과를 보유하는 다양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센텔라아시아티카와 야로우 추출물의 안정성, 효능 및 흡수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화장품에 적용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하기 위한 나노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와 야로우(Achillea millefolium)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야로우 추출물, 포화 레시친, 에탄올, 스쿠알란,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글리세린 및 정제수(잔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포함되는 추출물인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또는 야로우 추출물은 각각의 건조엽, 줄기 등을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용매를 통하여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함수에탄올이다(본 발명에서, 70% 함수 알코올은 알코올이 30%이고, 물이 70% 함유된 용매를 의미한다). 또 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포화 레시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중량 %, 스쿠알란 1.0내지, 10.0 중량%,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0.05% 내지 1.0% 중량%, 야로우 추출물 0.1% 내지 10 %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0.5 중량%, 글리세린 10.0 내지 50.0 중량% 및 정제수(잔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서, 포화레시친 대신에 포스파티틸콜린 함량이 90~95%인 불포화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탄올 대신에 니트로소아민 생성이 적은 테트라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쿠알란 대신에 디메치콘, 파라핀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부틸하이드록시 톨우엔 대신에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부틸히드록시아니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글리세린 대신에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된 성분들을 혼합교반기에 넣고 실온에서 교반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그 혼합중량비가 1~ 10: 10~1인 것이 바람직하 다. 예를 들어,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의 혼합중량비는 1:2, 1:3, 1:4, 1:7, 1:9, 2:1, 3:1, 4:1, 7:1, 9:1 일 수 있다.  추출물의 수율상 가장 바람직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의 혼합중량비는 1:1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센텔라아시아티마 및 야로우엽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다양하게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해 0.001∼5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나노리포좀 입자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2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재생, 항염 및 아토피 피부 완화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화장품 제형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또는 팩이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센텔라아시아티카와 야로우 추출물의 안정성, 효능 및 흡수율을 극대화시키고 상처치유 효과, 콜라겐 합성 효과, 항염 효과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항균 및 아토피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나노리포좀의 제조
먼저 하기 표1과 같은 조성으로 포화 레시친 5.0 중량%, 에탄올 1중량%, 스쿠알란 1.0 중량%,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1.0 중량%(제조사: hangzhou Gosun Biotechnologies Co.Ltd, 제조국: 중국), 야로우 추출물 5.0 %(제조사: Mountainroseherb, 제조국: 미국),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HT) 0.05 중량%, 글리세린 50.0 중량%를 첨가하고 전체 중량이 10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나노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표1의 조성으로 센텔라아시아티카 또는 야로우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비 교예 1 및 2를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Micro Fluidizer(고압 미세 균질기, Microfluidizer M-110F, Microfluidics International Corporation)를 600∼1,200bar의 압력하에서 3∼5회 통과시킨 후 탈포하여 센텔라아시아티카와 야로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입자를 얻었다.
[표1]
성 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포화레시틴 5 5 5
에탄올 1 1 1
스쿠알란 1.0 1.0 1.0
센텔라아시아티카 1 - 1
야로우추출물 5 5 -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05 0.05 0.05
글리세린 50 50 50
정제수 To 100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1의 나노 리포좀 입자의 입자 모양을 동결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평균크기(Mean Size)=26.25nm였다(도1).
상기와 같은 조성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은 그 구조상 친수성 성분과 친유성 성분을 모두 함유할 수 있어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센텔라아시아티카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제조예 1. 화장수 제조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2]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1에서 제조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표2에 기재된 11번에 2,3,4,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5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용액에 1,6,7,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실온에서 교반한 뒤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영양로션 제조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을 하기 표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3]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1에서 제조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상기 표3에 기재된 10, 11, 13, 16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를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난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였다.  이후, 35℃에서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영양크림의 제조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4]
번호 원       료 제조예3함량(중량%)
1 실시예1에서 제조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 1.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상기표 4에 기재된 12, 13, 14, 16번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번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번을 투입 교반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본 발명의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에센스 제조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를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5]
번호 원    료 함량(중량%)
1 실시예1에서 제조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혼합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상기 표5에 기재된 2, 3, 4, 5 및 6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번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시킨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 후, 10, 11, 12, 13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1 ~3: 영양크림 제조
하기 표 6의 비교 제조예 1 내지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제조예 1 내지 3에 해당하는 영양크림을 각각 제조하였다.
[표6]
번호 원       료 비교 제조예1 비교 제조예2 비교 제조예3
2 스테아린산 2.0 2.0 2.0
3 세틸알콜 2.0 2.0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1.0 1.0
8 왁스 1.0 1.0 1.0
9 유동파라핀 4.0 4.0 4.0
10 스쿠알란 4.0 4.0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0.3
13 부틸렌글리콜 5.0 5.0 5.0
14 글리세린 3.0 3.0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1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7 1.0 - -
18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 - 1.0 -
19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 - - 1.0
< 실험예 1 > 상처치유효과 확인 실험실험
실시예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에 대하여 세포의 상처치유효과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HacaT 세포를 24-well plage에 시딩(seeding)한 후 배양하고, 배양한 플레이트에 세포 단층(Cell monmolayer)이가 형성되면 1000-A1 Blue plastic pipette tip으로 형성된 세포 단층에 스크레치를 하여 세포 자유구역[Cell-free area(wound)]을 대략 2mm넓이로 만들었다. 세포 자유구역을 버퍼로 씻어주고, 단층에서 떨어진 세포를 제거하였다. 세포생장 효과를 막아주기 위해 세포에 미토마이신C[mitomycin C,(10Ag.ml, Sigma, St. Louis,MO,USA)]를 2시간 동안 처리해 준 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씻었다. 이처리는 세포를 죽이지 않고 증식만을 저해해 준다. 세포에 10nM, 50nM, 100nM의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1에서 제조 된 나노리포좀을 처리한 세포주와 처리하지 않은 세포주에 대한 24시간 후 세포자유구역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의 센텔라아시아티카와 야로우 함유 나노리포좀(Curesome)을 처리한 human HacaT Cell의 Cell-free area(Wound)가 24시간 배양 이후 세포의 사멸 없이 세포의 증식만을 억제한 상태에서 그 범위가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
이것은 센텔라아시아티카와 야로우 함유 리포좀(Curesome)이 세포에 대해 상처치유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 실험예 2 > 콜라겐 합성 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에 대하여 세포의 콜라겐 합성 효과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콜라겐 측정 키트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키트 (MK101), Takara, Kyoto, Japan)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콜라겐 키트에 포함된 표준용액을 희석한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농도 곡선을 작성하였다. 각 웰에 POD 효소가 붙어 있는 항체용액을 100ul 첨가하고 농도별로 희석한 표준용액과 상기 샘플의 상층액을 각각 20ul씩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37℃에서 3시간 방치한 후 내용물을 모두 제거하고 각각의 웰을 PBS 400ul로 4회 세척하였다. 상기 웰에 100ul의 기질 용액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하였다.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1N 황산용액 100ul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은 동시에 2회씩 수행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측정값은 하기 표7과 같다.
[표7]
Collagen synthesis(A450nm)
Mock (대조군의 세포주를 의미함) 3.8
비타민VCC 100uM (VC100Um) 4.2
비타민 C VC250uM (VC250Um) 4.5
비타민 CVC 500uM (VC500Um) 4.6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 10uM(Curesome10uM)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 50uM(Curesome50uM) 4.2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 100uM(Curesome100uM) 4.5
비타민C와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의 각 농도별 콜라겐 합성도는 표7과 같다. 비타민 C는 콜라겐 생합성에 필수적인 cofactor로써 대표적인 항노화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비타민 C는 콜라겐 생합성에 사용되는 주요 아미노산인 Hydoroxy proline과 Hydroxy lysine에 필요한 OH기를 아미노산에 전이할 때 OH기 도너(donor)로써 작용동한다.
표 7을 도식화하면 도 3과 같다. 도3 에서 보여지듯이 비타민 C는 100uM, 250uM, 500uM에서 농도증가에 따라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500uM에서는 약 20% 정도 증가하였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Curesome)역시 10uM, 50uM, 100uM의 처리농도 모두에서 콜라겐 합성이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 실험예 3 > 함염효과 확인 실험
실시예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에 대하여 세포의 항염 효과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HaCaT cells의 일정수를 6웰 접시(dish)에 시딩(seeding)한 후 하루 동안 배양하고, FBS가 없는 세포배지에 8시간 배양한 후, PMA(phorbol ester phorbol12-myristate 13-acetate)(10uM)를 첨가 또는 동시에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을 표7에 기재된 바와 같이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6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6시간 후, media를 제거한 다음, PBS로 2회 세척한 후, 세포를 수집(harvest)하여, 일정량의 Cox buffer를 처리하고, 초음파기(sonicator)를 이용하여 cell lysate를 만들었다. 각 cell lysate를 4C, 12000rpm으로 15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assay buffer(140㎕), heme(10㎕), cell lysate(10㎕) 및 SC-560(COX-1 inhibitor) 10㎕를 각각 첨가하여 25°C에 5분 동안 배양하였다. 열량측정 기질(Calorimetric substrate) 20ul를 각 웰에 PBS 400㎕ 및 아라키돈산 용액(Arachidonic acid solution) 20㎕과 함께 넣고 섞은 후, 25°C에서 5분간 배양하고 590nm에서 ELISA reader로 검출하였다.
[표8]
Cox-2 activity(A590nm)
mock 0.2
PMA(1uM) 0.34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 1uM(Curesome1uM) 0.42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10uM(Curesome10uM) 0.22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 30uM(Curesome30uM) 0.23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 60uM(Curesome60uM) 0.22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 100uM(Curesome100uM) 0.21
[표8]에서 보여지듯 PMA를 처리하여 자극을 발생시킨 비교구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COX-2 효소가 약 35% 정도 활성도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예1에서 제조한 나노리포좀 처리구에서는 10uM에서 100uM 농도 까지 모든 농도에서 대조구에 가깝게 완전 억제하였다(도4).
< 실험예 4>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 확인 실험
제조예 3 및 비교제조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피부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자를 임의로 2개 조로 나누어 각 조에 실시예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제조예3, 비교제조예 1 내지 3을 맹검법(double-blinded test)에 의하여 각각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어 전신에 도포하되, 가능한 한 시험시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보습제의 사용은 금지하였다. 시험 시료를 도포한 지 1, 2, 3, 4주 후의 효과를 스코래드 (SCORAD:SCORing Atopic Dermatitis) 측정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9에 나타내었다.
1) 판정기준
① 정도 기준(Extent criteria) : 면적 = 파손부위/100
② 강도 기준(intensity criteria)
   - 홍반 (1/2/3),  - 부종 (1/2/3), - 삼출 (1/2/3), - 피부 벗겨짐(1/2/3), - 태선화 정도 (1/2/3),  - 건조 정도 (1/2/3)
③ 주관적 기준
   - 가려움 (1-10) ,  - 불면증 (1-10)
*스코래드 계산 = (정도기준/5) + (강도기준/7) + 주관적기준
[표9]
  분류 0주 1주 2주 3주 4주
제조예3 스코래드지수 62.1 34.2 21.2 14.8 10.5
개선률 0% 44.93% 65.86% 76.17% 83.09%
비교 제조예1 스코래드지수 58.3 48.2 36.1 21.1 10.3
개선률 0% 17.32% 38.08% 63.81% 81.33%
비교 제조예2 스코래드지수 61.2 46.1 29.6 23.1 21.5
개선률 0% 25.1% 49.5% 60.4% 63.5%
비교 제조예3 스코래드지수 64.5 48.3 30.8 22.3 21.2
개선률 0% 25.4% 53.2% 65.7% 67.4%
표 9를 참조하면,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추출 성분 함유 나노리포좀(실시예1에서 제조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제조예3의 화장료가 비교제조예 1 내지 3의 화장료에 비해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조예3의 4주 후의 결과를 보면 83% 정도의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보호자가 느끼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아토 피가 있는 소아 20명에게 제조예 3 및 비교제조예 1의 화장료를 1개월 동안 사용한 후, 사용자의 부모가 하기 기준에 따라 피부염의 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에 대한 만족도와 함께 전반적인 피부염 개선 정도 및 시험시료에 의한 부작용 여부 등을 평가한 것을 하기 표 10에 나타냈으며, 이를 도식화하여 도5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1 2 3 4 5
효과없음 약간있음 보통 우수 매우우수
매우불만 불만 보통 만족 매우만족
[표10]
분류 피부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 전반적 개선효과 부작용
제조예3 4.51 3.12 3.42 4.51 4.01
비교 제조예1 2.23 3.42 3.59 3.14 3.99
비교 제조예2 3.01 3.12 3.51 3.34 3.89
비교 제조예3 3.41 3.42 3.54 3.57 4.00
상기 표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의 화장료는 피시험자인 아토피성 피부를 갖는 소아에 대하여 전 평가항목에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1에 의하여 제조된 센텔라아시아티카와 야로우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1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는 실험예2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콜라겐합성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실험예3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험예4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9)

  1.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와 야로우(yarrow)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콜라겐합성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나노리포좀이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야로우 추출물, 포화 레시친, 에탄올, 스쿠알란,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글리세린 및 정제수(잔량)로 이루어진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나노리포좀이 포화 레시친 1.0 내지 5.0 중량%, 에탄올 1.0 내지 10.0중량 %, 스쿠알란 1.0내지, 10.0 중량%,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 0.05% 내지 1.0% 중량%, 야로우 추출물 0.1% 내지 10 % 중량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1 내지 0.5 중량%, 글리세린 10.0 내지 50.0 중량% 및 정제수(잔량)으로 이루어진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 10: 10~1인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센텔라아시아티카 및 야로우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가 1: 1인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나노리포좀 입자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20.0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또는 팩의 제형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03354A 2007-10-15 2007-10-15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54A KR100904370B1 (ko) 2007-10-15 2007-10-15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54A KR100904370B1 (ko) 2007-10-15 2007-10-15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71A KR20090038071A (ko) 2009-04-20
KR100904370B1 true KR100904370B1 (ko) 2009-06-23

Family

ID=4076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354A KR100904370B1 (ko) 2007-10-15 2007-10-15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3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588A2 (ko) * 2010-04-13 2011-10-20 (주)아모레퍼시픽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3698B1 (ko) 2021-03-10 2021-05-17 윤준식 화장품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984B1 (ko) * 2015-05-19 2016-12-08 한국콜마주식회사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551369B1 (ko) * 2018-09-06 2023-07-05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투명한 리포좀 조성물
KR102436044B1 (ko) * 2020-06-01 2022-08-25 주식회사 엔에프씨 투명한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491A (ja) * 1997-04-01 1998-10-20 Kao Corp インターロイキン4産生抑制剤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20040027829A (ko) * 2004-03-11 2004-04-01 더미스킨(주) 천연물 함유 나노 리포좀 조성물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9491A (ja) * 1997-04-01 1998-10-20 Kao Corp インターロイキン4産生抑制剤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20040027829A (ko) * 2004-03-11 2004-04-01 더미스킨(주) 천연물 함유 나노 리포좀 조성물
KR20070001045A (ko) * 2006-12-12 2007-01-03 이상희 탁시폴린과, 꾸지뽕 추출물 를 함유한 나노 리포좀 입자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및 비누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9588A2 (ko) * 2010-04-13 2011-10-20 (주)아모레퍼시픽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1129588A3 (ko) * 2010-04-13 2012-02-02 (주)아모레퍼시픽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9572769B2 (en) 2010-04-13 2017-02-21 Amorepacific Corporation Polymer-liposome nanocomposite composi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2253698B1 (ko) 2021-03-10 2021-05-17 윤준식 화장품 조성물
KR102253702B1 (ko) 2021-03-10 2021-05-17 윤준식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71A (ko)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5756B1 (en) Stable, homogeneous natural product extracts containing polar and apolar fractions
KR101964809B1 (ko) No 활성 억제제,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제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6898B1 (ko)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CN105902408B (zh) 含有褐藻和红藻精华的化妆品组合物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4370B1 (ko)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hen et al. Emulsification and antioxidation of biosurfactant extracts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fermentation in vitro
CN113995693B (zh) 一种具有抗炎功效脂质体的精华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53278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5423A (k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WO2000030602A1 (en) Oil bodies as topical delivery vehicles for active agents
KR101761005B1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051492A (ja) 老化防止剤又は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0532556A (ja) 皮膚外用剤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10471A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4315A (ko)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51387B1 (ko)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364000B (zh) 具有舒缓修护功效的化妆品组合物、冻干面膜及制备方法
KR20200136194A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282536A (ja) スーパーオキサイド消去剤、ラジカル消去剤、過酸化水素消去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2632236B1 (ko)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33334B1 (ko) 사상자 추출물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를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7069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