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98B1 -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98B1
KR102253698B1 KR1020210046123A KR20210046123A KR102253698B1 KR 102253698 B1 KR102253698 B1 KR 102253698B1 KR 1020210046123 A KR1020210046123 A KR 1020210046123A KR 20210046123 A KR20210046123 A KR 20210046123A KR 102253698 B1 KR102253698 B1 KR 10225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식
Original Assignee
윤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식 filed Critical 윤준식
Priority to KR102021004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수화(skin hydration) 효과를 제공하는 유효성분과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유효성분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시틴을 리포좀화하고, 리포좀 내부에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 피부 수화(skin hydration) 효과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분 공급, 수분 보호막 형성, 주름예방, 피부 볼륨 증가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에 포함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료들이 사용되며 통상적으로는 20종에서 50여의 원료를 사용하게 된다. 이들 원료들은 피부 자극 검사를 통하여 그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나 제품에 적용됨으로써 피부에 염증, 가려움증, 알레르기 등의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반응들은 모든 사람에게 일어날 수 있으나, 특정인에게만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장품 제조업자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극 완화 물질을 제품에 적용시킴으로써 그 자극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물질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이 다수 공개되고 있다.
일 예로, 종래 기술은 천연의 식물 유래의 효능효과 성분에 의한 안전한 화장품 성분을 제공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와 야로우(Achillea millefolium)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리포좀을 이용한 연구는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 촉진"(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2000-0008212 호 및 제 2000-0042399 호), "피부보습력 강화"(대한민국출원번호 제 1994-7004646 호), "아토피 피부염 및 피부건조증의 개선"(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2000-0027165 호) 등과 같이 피부 염증 및 피부 이상상태를 완화시키는 기술에 국한되어 있어,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904370 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피부수화(Skin hydration) 기능을 제공하여 피부 세포 단위에서의 원활한 대사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유효성분과, 면역기능 증강, 피부활력 및 노화 방지에 유효한 유효성분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수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레시틴을 리포좀화하고, 리포좀 내부에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레시틴 3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10 중량%, 세라마이드 1 내지 4 중량%, 히알루론산 3 내지 6 중량%, 개청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납작파래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퉁퉁마디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다시마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깽깽이풀 추출물 5 내지 7 중량%, 대파 추출물 6 내지 8 중량%, 스코리아 추출물 3 내지 5 중량%,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 3~5 중량% 및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 추출물 1~2 중량% 및 해수 20 내지 5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레시틴을 리포좀화하고, 리포좀 내부에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켜 피부 수화(skin hydration) 효과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분 공급, 수분 보호막 형성, 주름예방, 피부 볼륨 증가 등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역 추출물, 개청각 추출물, 납작파래 추출물, 퉁퉁마디 추출물, 다시마 추출물 및 해수가 포함되어 항산화 작용 및 피부진정에 도움을 주며, 미네랄이 풍부하여 면역기능 증강 효과가 있어 피부활력 및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수화(skin hydration) 효과를 제공하는 유효성분과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유효성분이 함유된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화(hydration)란, 수용액 속에서 용해된 용질 분자나 이온을 물 분자가 둘러싸고 상호작용하면서 마치 하나의 분자처럼 행동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어떤 용매가 용액 속에서 용질 분자나 이온을 둘러싼 채, 그 전체가 하나의 분자처럼 행동하는 현상을 보일 때, 용질 분자나 이온이 용매화되었다고 말하며, 용매가 물인 경우를 특별히 수화라고 말한다.
피부 수화(skin hydration) 효과는 보습인자, 피부장벽 및 피지 분비량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보습, 피부장벽 개선, 피지 분비량 억제, 피부 진정 및 항균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이러한 피부 수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레시틴을 리포좀화하고, 리포좀 내부에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포좀은 자기 스스로 회합하는 콜로이드 입자들의 구형 인지질 베지클로 정의되는데, 수용성 헤드(친수기)와 불용성 테일 (소수기)을 가진 양친매성 분자로 구성된 리포좀은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결합하여 정렬된 구조를 보이는데, 그 크기와 적층성 (Lamellarity)에 따라 SUV (Small Unilamellar Vesicle), LUV (Large Unilamellar Vesicle) 및 MLV (Multi Lamellar Vesicle) 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적층성을 나타내는 리포좀은 세포막과 유사한 이중막 구조를 갖는다.
초기에는 인지질로만 구성된 단순한 형태의 리포좀만 보고되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새로운 물질들로 리포좀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천연유래 레시틴을 리포좀화하고, 리포좀 내부에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및 히알루루산을 함유시킨 화장품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즉, 본 발명은 쳔연 유래 레시틴을 이용하여 세라마이드 등 유효성분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능 전달기술이 천연 유래 레시틴 캡슐 속에 유효성분을 함유(리포좀 처리)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유효성분을 보호하고 피부 친화력을 향상시켜 피부 진피층까지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레시틴은 세포막의 주요 성분으로, 생명의 기초대사에 관여하며, 친수성과 친유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리포좀화 구조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피부 친화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이러한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리포좀 내부에 피부수화 효과를 제공하는 유효성분을 담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피부수화 효과를 제공하는 유효성분은,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세라마이드(ceramide)는 스핑고신(sphingosine) 및 지방산(fatty acid)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며, 본 발명에서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를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세라마이드로는 세레브로사이드,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3B, 세라마이드 4 및 세라마이드 5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글리세린(glycerin)은 본 발명에서 리포좀의 안전한 분산 및 피부 보습력 향상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히알루론산(htaluronate)은 각종 안과 수술의 보조제, 관절 내 주사제, 인공눈물, 상처리유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로, 자신의 무게의 약 300 내지 1000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다당류의 일종이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리포좀 내부에는 히알루론산 복합체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알루론산 복합체는, 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및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로 구성된 복합체 형태일 수 있다.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피부의 가장 깊은 진피 하단에 침투해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 볼륨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피부의 가장 깊은 진피 하단에 침투해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 볼륨 증가에 도움을 준다.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피부 진피층에 침투해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 볼륨 증가에 효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피부의 표피와 기저층에 풍부한 수분을 공급하여 매끈한 피부를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피부 표면에 침투하여 볼륨을 증가하는데 도움을 주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는 표피에 히알루론산 막을 형성하여 각 층에 침투된 히알루론산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데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진정, 혈액순환, 항산화, 각질제거 등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조성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미역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개청각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납작파래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퉁퉁마디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다시마 추출물 1 내지 10 중량% 및 해수 20 내지 50 중량%를 더 포함한다.
미역 추출물은 피부 진정 기능이 있어 피부를 촉촉하게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개청각 추출물은 피부활력 및 생기부여에 효과가 있어 피부 컨디셔닝에 효과가 있다.
납작파래 추출물은 단백질 성분이 20~30%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작용 및 피부진정에 도움이 된다.
퉁퉁마디 추출물은 다른 식물들에 비해 칼슘, 칼륨 등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면역기능 증강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 추출물은 피부를 윤기있고 탄력있게 가꿀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그 외에도 각질제거, 노화방지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수(seawater)는 바닷물 성분으로, 바닷물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 성분으로 인해 피부보습과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쇠비름 추출물 2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쇠비름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 키는 약 30cm이고, 잎은 길이 1.5~2.5cm, 폭 0.5~1.5cm로 긴 타원형에 끝이 둥글며 마주나거나 어긋난다. 꽃은 황색으로 줄기나 가지 끝에 3~5개씩 모여서 줄기의 끝이나 가지의 끝 혹은 잎에서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 피는 다육질의 한해살이풀이다.
쇠비름 추출물이 화장품 조성물에 함유되었을 때, 피부진정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쇠비름 추출물은 쇠비름 잎을 분쇄하여 80 내지 90℃의 물에 1시간 내지 2시간 침지시켜 얻을 수 있다.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는 감탕나무과(Aquifoliaceae)에 속하는 쌍떡잎식물로, 높이는 4 ~ 5m까지 자란다. 잎은 두꺼운 타원상 육각형이며 모서리 끝이 가시모양이고 붉은 열매는 9 ~ 10월에 익는다. 한국의 변산반도 이남과 완도, 제주도에 자생하며, 잎과 열매를 약재로 이용한다. 잎은 거풍, 강장 등의 효능을, 열매는 강정 효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호랑가시나무의 잎과 열매 등과 같이 이미 알려진 부분의 추출물이 아닌 호랑가시나무 뿌리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사용하며, 상기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은 뿌리를 60도 내지 70도 환경에서 24시간 내지 30시간 건조한 후, 단독으로 분쇄된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60도 내지 70도 환경에서 24시간 내지 30시간 건조하여 분쇄된 호랑가시나무 뿌리 분말 100 중량%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EO-PO blockcopolymer) 10 내지 20 중량%가 물에 혼합된 수용액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이 화장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경우 혈액 순환 증진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접촉된 신체 피부의 혈액순환이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잔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야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 높이가 40㎝에 달하며 뿌리가 굵고 전체에 털이 있다. 잔대는 우리나라의 전도 각지에서 나고 일본·만주·중국에도 분포한다. 봄에 새싹을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이른 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구워먹거나 약재로 사용한다.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의 일종을 함유한다.
잔대 추출물은 잔대 잎을 건조한 후 200℃의 증기로 스팀 처리하여 분쇄한 것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잔대 추출물이 함유되는 경우 피부 진정 효과 및 염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칼린은 꿀풀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황금의 플라본 배당체 성분으로, 종래에는 주로 복용하는 형태로 사용되어 왔으며, 황금은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이러한 바이칼린이 피부에 흡수되도록 하며, 이러한 경우 피부 진정 효과 및 세균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리모넨은 소나무나 감귤류 껍질 정유에서 추출되는 무색의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지방족 탄화수소로, 테르펜류(類)에 속하는 탄화수소의 한 종류이며 오렌지와 비슷한 향기가 난다.
또한, 피톤치드 오일 또한 착향제로 작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리모넨 및 피톤치드 오일이 함유됨으로써 사용 시 상쾌한 향이 발향되어 심리적 안정 효과를 제공하여 정서적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카보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구아검, 산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습제는 쿠파수버터, 무루무루버터, 및 브라질넛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조성물일 수 있다.
쿠파수버터, 무루무루버터 및 브라질넛오일은 브라질 아마존강 유역에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쿠파수, 무루무루, 브라질 넛의 열매를 압착 정제한 트리글리세라이드 성분으로 온도에 따라 액상 및 고상의 성상을 갖는다.
쿠파수버터는 베타-시토스테롤, 스티크마스테롤, 캄페스테롤등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지질활동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고 또한 민간요법으로 궤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프리래디칼 스캐빈저 역할을 하고 진정역할을 하고, 피부에 수분과 탄력을 공급한다. 올레인산과 리놀레인산이 풍부한 무루무루버터는 진정효과와 살균효과가 좋고, 피부 배리어를 형성하여 주어 수분공급효과가 우수하다. 올레인산, 리놀레인 산 및 피토스테롤이 풍부한 브라질넛오일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하고 항산화 효과도 높다. 그리고, 띠추출물(Imperatacylindrica)은 아시아에 자생하는 다년생의 여러해살이 풀의 한 종류로 삼투압 조절 역할을 하는 칼륨과 3-디메칠설포프로피오네이트 (3-dimethylsulfopropionate)가 풍부하여 피부에 수분이 부족할 경우 삼투압 차이에 의해 보습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에탄올 50 내지 60 중량%, 계면활성제 0.5 내지 0.7 중량%, 호랑가시나무 뿌리 추출물 5 내지 10 중량%, 잔대 추출물 2 내지 5 중량%, 쇠비름 추출물 2 내지 5 중량%, 바이칼린 1 내지 5 중량%, 피톤치드 오일 5 내지 10 중량%, 리모넨 3 내지 7 중량%, 보습제 10 내지 20 중량% 및 점도조절제 10 내지 30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500 내지 1000rpm으로 5시간 내지 8시간 교반하여 얻을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스코리아 추출물, 대파 추출물 및 깽깽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깽깽이풀은 매자나무과의 숙근 다년초로 깽이풀이라고도 부르며, 뿌리가 노란색이어서 황련·조선황련이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9~10월에 뿌리줄기를 캐서 말린 것을 모황련(毛黃蓮)이라 하여 소화불량, 식욕부진, 오심(惡心), 장염, 설사, 구내염, 안질 등에 처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깽깽이풀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세척한 깽깽이풀 1kg에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다음,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한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후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깽깽이풀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대파는 잎 부분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대파의 흰 줄기인 연백부에는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대파 뿌리에 다량 함유된 알리신 성분은 혈액순환을 돕고 면역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신경을 안정시켜 불면증을 개선하고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파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세척된 대파 5 ㎏를 파쇄하여 온도 30℃ 습도 40% 조건으로 8시간 동안 1차 증자처리하였다. 다음으로, 1차 증자처리된 대파를 동결건조기에 넣고 -50℃에서 10시간 동안 1차 건조하였다. 이어서, 1차 건조된 대파를 온도 30℃ 습도 40% 조건으로 8시간 동안 2차 증자처리하였다. 다음으로, 2차 증자처리된 대파를 동결건조기에 넣고 -50℃에서 10시간 동안 2차 건조하였다.
동결건조기로 건조한 시료를 각각 60 내지 120 메쉬 (mesh) 크기로 분쇄하여 천연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추출용매로서 이용하기 위한 구연산 수용액은 0.2M 구연산 용액의 pH가 4.8이 될 때까지 증류수로 희석하여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제조한 pH 4.8 구연산 수용액 100 중량%에 천연물 분말(대파 분말) 1 중량%를 첨가하여 추출 혼합액(시료 30mg/구연산용액 30mL)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추출혼합액 30mL 기준으로 Novozymes사(Bagsvaerd, Denmark)의 Viscozyme (KTN02214) 또는 Pectinex Ultra SP-L(KRN05658), 또는 두 가지 효소의 혼합물 (Viscozyme + Pectinex) 50 내지 100μL를 추출혼합액에 첨가한다.
이렇게 제조한 추출용 혼합액을 초고압반응기 전용 플라스틱 용기인 Polypropylene bag(Nasco, WHIRL-PAK-4oz.)에 투여하여 공기의 기포가 없도록 밀봉해서 고압효소반응 처리를 위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효소를 포함하는 추출혼합액이 담긴 고압반응기 전용용기를 고압반응기(Toyo Koatsu사, TFS-2L)에 넣고, 고압반응기의 처리조건을 압력 100MPa, 온도를 50℃ 고압처리시간을 8시간으로 설정하여 가동하여 대파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스코리아는 화산석으로 불리는 광물로서, 철, 알루미늄, 망간, 티타늄, 니켈, 규소, 크롬, 아연, 구리, 불소, 바나듐, 코발트, 리튬, 스트론튬, 몰리브덴, 셀레늄, 게르마늄, 요오드, 루비듐, 세륨, 붕소, 은, 나이오븀, 지르코늄, 란탄, 갈륨 및 카드뮴 등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자극 및 염증과 같은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코리아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에 대하여 스코리아 0.5~5 중량%를 투입하여 45~60℃에서 12시간 동안 담지시키고, 염분 농도 0.85~0.90%로 탈염하여 여과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레시틴 3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10 중량%, 세라마이드 1 내지 4 중량%, 히알루론산 3 내지 6 중량%, 깽깽이풀 추출물 5 내지 7 중량%, 대파 추출물 6 내지 8 중량% 및 스코리아 추출물 3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 3~5 중량% 및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Haematococus pluvialis) 추출물 1~2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Haematococus pluvialis)는 헤마토코쿠스 종(Haematococus sp.)으로, 항산화성분인 아스타잔틴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먼저, 배지에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를 투입한 후 플라스크에서 10-30일간 계대 배양하였다.
배양용 인큐베이터에는 광합성이 원활히 일어나도록 광원을 설치하여 배양환경을 조성하고, 배양배지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배양기를 이용하여 플라스크배양을 실시하였다.
이후, 배양이 끝난 미세조류를 5,000~10,000rpm으로 20~30분간 각각 원심 분리하여 수분을 1차로 제거한 후, 원심 분리기를 통해 어느 정도 수분이 제거된 미세조류를 동결건조하여 잔여 수분을 2차로 제거하였다.
수분 제거가 완료된 각각의 미세조류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 여기에 특별히 언급되지 아니한 공지의 다양한 추출 방법, 예컨대, 물리적 방법,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법 등을 통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은 대나무라고도 불리우는 밤부사 불가리스의 전초를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약 60 일 내지 약 100 일 동안 계대배양하여 캘러스(callus)를 유도하고, 상기 유도된 캘러스를 분리하여 여과함으로써 수득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은 폴리페놀, 베타카로틴, 및 비타민 C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피부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피부 염증을 완화시켜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리포좀화된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유화장비(homomixer)를 이용하여 1300~1500rpm, 50~80℃에서 10~30분간 교반하여 혼합한 후,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800~1200 bar의 압력으로 3회 처리하여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21041455770-pat00001
(비교예) 일반적인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되, 리포좀화되지 않은 형태의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보습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품을 준비하고, 20~50세 피험자 50명을 대상으로 표피층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2개 그룹(비교예, 실시예)으로 나누었으며, 1일 1회씩 3주동안 저녁 세안 후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수분측정은 피부 수분함량 측정장치인 코네오미터(CM 825, C+K, Germany)를 이용하여 화장품 조성물 사용 후 30분 뒤에 측정하였으며, 시험제품 사용 전, 시험제품 사용 7일 후, 14일 후, 21일 후 피험자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21041455770-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정도의 수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비교예에서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미미한 수분 변화가 발생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에서는 2주 후부터 뚜렷한 수분 개선 효과가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유효물질의 리포좀화를 통한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지 억제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지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0~60세의 피험자 20명의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2개 그룹(비교예, 실시예)으로 나누었으며, 1일 1회씩 2주동안 저녁 세안 후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피지 억제 효과의 판정은 피부 유분 측정기(Sebum meter 810)를 이용하여 사용 전과 사용 2주 후를 측정하였다. 지성 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μg/cm2이상이고, 정상 피부인 경우 100~220μg/cm2이다.
[표 3]
Figure 112021041455770-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유의미한 유분량 감소 현상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실시예에서는 2주 후 뚜렷한 유분 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유효물질의 리포좀화를 통한 피지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피부 수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레시틴을 리포좀화하고, 리포좀 내부에 글리세린, 세라마이드 및 히알루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레시틴 3 중량%, 글리세린 7 중량%, 세라마이드 3 중량%, 히알루론산 5 중량%, 개청각 추출물 2 중량%, 납작파래 추출물 2 중량%, 퉁퉁마디 추출물 2 중량%, 다시마 추출물 2 중량%, 깽깽이풀 추출물 7 중량%, 대파 추출물 7 중량%, 스코리아 추출물 5 중량%, 밤부사 불가리스캘러스 배양추출물 3 중량%, 헤마토코쿠스 플루비알리스 추출물 2 중량%, 해수 2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210046123A 2021-03-10 2021-04-08 화장품 조성물 KR10225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23A KR102253698B1 (ko) 2021-03-10 2021-04-08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28A KR102253702B1 (ko) 2021-03-10 2021-03-10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210046123A KR102253698B1 (ko) 2021-03-10 2021-04-08 화장품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28A Division KR102253702B1 (ko) 2021-03-10 2021-03-10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98B1 true KR102253698B1 (ko) 2021-05-17

Family

ID=761579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28A KR102253702B1 (ko) 2021-03-10 2021-03-10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210046123A KR102253698B1 (ko) 2021-03-10 2021-04-08 화장품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28A KR102253702B1 (ko) 2021-03-10 2021-03-10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3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135B1 (ko) * 2022-09-13 2023-01-05 황의경 아스타잔틴 복합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060A (ko) * 1993-08-28 1995-03-20 구창남 청소용 포지의 제조방법
KR19990070313A (ko) * 1998-02-19 1999-09-15 임충헌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용 조성물
KR20060007080A (ko) * 2004-07-13 2006-01-24 이선화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90020407A (ko) * 2007-08-23 2009-02-26 주식회사 엔에스텍 나노리포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노리포좀을함유한 화장품
KR100904370B1 (ko) 2007-10-15 2009-06-23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KR20160062951A (ko) * 2014-11-26 2016-06-03 (주)미애부생명과학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9301A (ko) * 2016-10-10 2018-04-18 김용대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900651B1 (ko) * 2018-06-20 2018-11-02 강남석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4214B1 (ko) * 2019-12-24 2020-04-23 오한상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3347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샤이닝 스테비아 및 화산석 송이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7438A (ko) * 2019-05-02 2020-1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2365B1 (ko) * 2020-07-31 2021-03-03 주식회사 다이아린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앰플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060A (ko) * 1993-08-28 1995-03-20 구창남 청소용 포지의 제조방법
KR19990070313A (ko) * 1998-02-19 1999-09-15 임충헌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용 조성물
KR20060007080A (ko) * 2004-07-13 2006-01-24 이선화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090020407A (ko) * 2007-08-23 2009-02-26 주식회사 엔에스텍 나노리포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나노리포좀을함유한 화장품
KR100904370B1 (ko) 2007-10-15 2009-06-23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KR20160062951A (ko) * 2014-11-26 2016-06-03 (주)미애부생명과학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9301A (ko) * 2016-10-10 2018-04-18 김용대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900651B1 (ko) * 2018-06-20 2018-11-02 강남석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03347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샤이닝 스테비아 및 화산석 송이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광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127438A (ko) * 2019-05-02 2020-11-1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산송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4214B1 (ko) * 2019-12-24 2020-04-23 오한상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2365B1 (ko) * 2020-07-31 2021-03-03 주식회사 다이아린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앰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702B1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70047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 available ingredient the extracts of equisetum arvense l.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2253698B1 (ko) 화장품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2453A (ko) 산삼배양근추출물 제조방법과 산삼배양근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진세노사이드복합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130094043A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6118B1 (ko) 싸리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볼륨 증가용 조성물
KR102165566B1 (ko) 피부 탄력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7983A (ko)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9755A (ko) 생리활성이 증진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생리활성이 증진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3224A (ko) 쌀추출물, 귀리커넬추출물 및 코코넛야자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787B1 (ko) 모로헤이야와 용과 껍질을 포함하는 혼합 점액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46357B1 (ko) 탄닌 함유 식물 추출물 유래 세포외 소포체 및 이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206094B1 (ko) 견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2243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