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651B1 -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651B1
KR101900651B1 KR1020180070578A KR20180070578A KR101900651B1 KR 101900651 B1 KR101900651 B1 KR 101900651B1 KR 1020180070578 A KR1020180070578 A KR 1020180070578A KR 20180070578 A KR20180070578 A KR 20180070578A KR 101900651 B1 KR101900651 B1 KR 10190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layer
weight
parts
hydrophilic
hydrophilic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석
Original Assignee
강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석 filed Critical 강남석
Priority to KR102018007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 지역특산물인 용암해수와 손바닥 선인장을 숙성하여 첨가한 천연 겔 팩을 제조함으로써 지역특산물의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우수한 피부 진정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천연 겔 팩에 친수성 천연소재를 배합함으로써 사용 후 물에 녹여 스킨 또는 로션으로 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천연 겔 팩에 기능성 겔 레이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영양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손바닥 선인장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한 후 수분이 제거된 손바닥 선인장을 분쇄하여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주 송이 숙성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주 송이 숙성수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친수성 소재 20~23 중량부, 손바닥 선인장 분말 2~3 중량부,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3 중량부, 진주가루 1~3 중량부, 콜로이달골드 0.5~1 중량부, 다이아몬드가루 0.1~0.5 중량부를 혼합교반하여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숙성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10℃에서 급랭하여 단편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 단면에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가 부착된 친수성 겔 레이어를 절단하여 천연 겔 팩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NATURAL GEL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주 지역특산물인 용암해수와 손바닥 선인장을 숙성하여 첨가한 천연 겔 팩을 제조함으로써 지역특산물의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우수한 피부 진정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천연 겔 팩에 친수성 천연소재를 배합함으로써 사용 후 물에 녹여 스킨 또는 로션으로 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천연 겔 팩에 기능성 겔 레이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영양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팩은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제작되는 분말 또는 액상의 형태로 만들어져 제형 및 사용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건조 후 필름을 떼어내는 필-오프 타입이 있으며, 둘째는 티슈로 제거하는 티슈-오프 타입, 셋째는 물로 제거하는 워시-오프 타입, 넷째는 부직포를 화장수에 침적시킨 도포 타입 등으로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도포 타입 미용팩은 직포나 부직포 상에 천연 추출물, 단백질, 비타민 등의 영양 물질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함유시켜, 미백, 주름개선, 수분공급, 피부 트러블 완화, 피부 탄력 부여 등의 기능을 가지도록 제조되어 왔다.
하지만, 도포 타입 미용팩은 직포나 부직포를 기반으로 제조되므로 피부와 접촉하는 계면에서 충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유효성분을 피부의 깊은 곳까지 충분히 전달할 수 없었으며, 과량의 에센스를 첨가하여 피부와의 접착력이나 부착력을 향상시켜왔다. 하지만, 초과한 에센스의 흘러내림에 의해 사용이 불편하고 에센스가 낭비되는 단점도 있고, 부직포를 이용한 팩은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형광 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이드로겔 타입의 미용 팩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효과, 사용성, 폐기 측면에서 일부 문제점을 나타낸다.
종래의 마스크 팩은 한국 공개특허 10-2011-0800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상에 이중 층의 나노섬유 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중 층의 나노섬유층 상에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한 피부 미용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화학적 접착제 등을 사용과 공정과정에서 사용되는 용매가 제품에 잔류할 경우 독성에 의한 2차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1-0800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주 지역특산물인 용암해수와 손바닥 선인장을 숙성하여 첨가한 천연 겔 팩을 제조함으로써 지역특산물의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우수한 피부 진정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겔 팩에 친수성 천연소재를 배합함으로써 사용 후 물에 녹여 스킨 또는 로션으로 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 겔 팩에 기능성 겔 레이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영양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구성은, 손바닥 선인장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한 후 수분이 제거된 손바닥 선인장을 분쇄하여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주 송이 숙성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주 송이 숙성수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친수성 소재 20~23 중량부, 손바닥 선인장 분말 2~3 중량부,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3 중량부, 진주가루 1~3 중량부, 콜로이달골드 0.5~1 중량부, 다이아몬드가루 0.1~0.5 중량부를 혼합교반하여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숙성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10℃에서 급랭하여 단편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 단면에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가 부착된 친수성 겔 레이어를 절단하여 천연 겔 팩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손바닥 선인장을 절단하여 동결건조기에서 -5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 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손바닥 선인장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300~500mesh 크기로 분쇄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30℃의 제주 송이 숙성수를 사용하며 148 rpm 회전속도로 15~20분 동안 교반하여 점도 2,000~4,000 cps로 제조하고, 상기한 친수성 소재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가라기난 24~30 중량부, 곤약 12~18 중량부, 캐럽콩검 11~18 중량부, 구아검 11~18 중량부, 전분 0.5~6 중량부, 알긴산소다 0.5~6 중량부, 수용성 콜라겐 0.5~6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 숙성단계는,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통기성 마개로 용기의 입구를 막고 항온항습기에서 온도 10~15℃, 습도 35% 조건으로 12시간 동안 숙성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주 송이 숙성수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주지역에서 취수한 용암해수의 균과 고형물을 제거하는 1차 정제단계와, 중금속이 제거된 50~80 mesh 입자크기의 제주 송이 분쇄물을 토양소독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10~15분 동안 증기소독처리하는 단계와, 상기한 1차 정제가 완료된 용암해수에 상기한 증기소독처리된 제주 송이 분쇄물을 혼입하여 45~60℃에서 12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숙성된 용암해수를 탈염하는 2차 정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은, 제주 송이 숙성수, 손바닥 선인장 분말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380~400㎛ 두께의 친수성 겔 레이어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단편에 도포되며 상록수 껍질 추출물, 비누풀 잎 추출물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거품성 계면활성제로서 포함하는 70~100㎛ 두께의 기능성 겔 레이어를 포함한 멀티레이어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은 실제 산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제주 지역특산물인 용암해수와 손바닥 선인장을 숙성하여 첨가한 천연 겔 팩을 제조함으로써 지역특산물의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우수한 피부 진정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천연 겔 팩에 친수성 천연소재를 배합함으로써 사용 후 물에 녹여 스킨 또는 로션으로 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을 배출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천연 겔 팩에 기능성 겔 레이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영양성분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겔 팩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겔 팩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송이 숙성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여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가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지고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한 것으로써,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하여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례로써,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겔 팩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겔 팩의 구성은, 제주 송이 숙성수, 손바닥 선인장 분말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380~400㎛ 두께의 친수성 겔 레이어(1)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단편에 도포되며 상록수 껍질 추출물, 비누풀 잎 추출물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거품성 계면활성제로서 포함하는 70~100㎛ 두께의 기능성 겔 레이어(2)를 포함한 멀티레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1)에 포함되는 손바닥 선인장은, 제주도에서 재배되어 식용, 약용 및 관상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알로에의 5배 정도의 비타민C와 노화억제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페놀성 물질 및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1)는, 두께 400㎛ 초과로 제조하면 밀착력이 저하되고, 380㎛ 미만으로 제조하면 사용시 쉽게 찢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1)와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2)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11)은, 상기한 기능성 레이어(2)가 피부열에 녹으면서 생성되는 거품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거품이 이격공간에 머무르며 기포를 유지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면서 영양성분 흡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2)는, 피부열에 녹아 거품을 발생하는 발포기능을 나타낸다. 피부에 접촉시 pH 변화에 따라 녹으며 거품 발생하는 발포기능을 나타내고, 발포된 거품이 모공을 자극하여 확장함으로써 친수성 겔 레이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의 흡수를 돕는다. 이때, 두께 100㎛ 초과로 제조하면 피부에 부착시 피부열에 녹은 액상의 기능성 겔 레이어 양이 많아져서 겔 팩의 밀착력을 저하시켜 흘러내리고 70㎛ 미만으로 제조하면 발포되는 기포가 적어 영양성분 흡수에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2)에 첨가되는 상록수 껍질과 비누풀 잎에는 사포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상록수 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키라야사포닌은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기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사포닌 중에서도 기포력이 우수하고 거품안정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겔 팩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겔 팩 제조방법의 구성은, 손바닥 선인장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한 후 수분이 제거된 손바닥 선인장을 분쇄하여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100)와, 제주 송이 숙성수를 제조하는 단계(S200)와, 제주 송이 숙성수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친수성 소재 20~23 중량부, 손바닥 선인장 분말 2~3 중량부,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3 중량부, 진주가루 1~3 중량부, 콜로이달골드 0.5~1 중량부, 다이아몬드가루 0.1~0.5 중량부를 혼합교반하여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00)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숙성하는 단계(S400)와, 상기한 숙성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10℃에서 급랭하여 단편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1)를 제조하는 단계(S500)와, 상기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 단면에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2)를 부착하는 단계(S600)와,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2)가 부착된 친수성 겔 레이어(1)를 절단하여 천연 겔 팩을 완성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00)는, 30℃의 제주 송이 숙성수를 사용하며 148 rpm 회전속도로 15~20분 동안 교반하여 점도 2,000~4,000 cps로 제조하고, 상기한 친수성 소재는, 가라기난 4~5 중량부, 곤약 2~3 중량부, 캐럽콩검 1~3 중량부, 구아검 1~3 중량부, 전분 0.5~1 중량부, 알긴산소다 0.5~1 중량부, 수용성 콜라겐 0.5~1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의 점도가 4,000 cps를 초과하면 숙성단계에서 조성물 내에 남아있던 기포 제거율이 낮아 친수성 겔 레이어의 홈이 증가하여 사용시 밀착력이 저하되고, 2,000 cps 미만으로 제조하면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찢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 숙성단계(S400)는,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통기성 마개로 용기의 입구를 막고 항온항습기에서 온도 10~15℃, 습도 35% 조건으로 12시간 동안 숙성한다. 상기한 숙성단계는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의 탄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포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한 몰드는, 단편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친수성 겔 레이어(1)의 단편에 일정간격으로 홈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주 송이 숙성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주 송이 숙성수 제조방법의 구성은, 제주지역에서 취수한 용암해수의 균과 고형물을 제거하는 1차 정제단계(S201)와, 중금속이 제거된 50~80 mesh 입자크기의 제주 송이 분쇄물을 토양소독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10~15분 동안 증기소독처리하는 단계(S202)와, 상기한 1차 정제가 완료된 용암해수에 상기한 증기소독처리된 제주 송이 분쇄물을 혼입하여 45~60℃에서 12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S203)와, 상기한 숙성된 용암해수를 탈염하는 2차 정제단계(S2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주 송이는 다공질로 구성되어 화산성 퇴적암류 및 이들의 부서진 화산사, 화산재 그리고 화산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제주도 고유의 자원이다. 제주 송이는 제주도 특별법에 의하여 보존자원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반출이 어렵지만 송이 원석을 북제주군 축산영림과에서 채취하여 유상으로 공급하고 있다. 제주 송이 숙성수 제조에 필요한 제주 송이의 양은 100g/L로 적게 사용되며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제주 송이 숙성수에는 용암해수 및 심층수보다 필수미네랄 뿐만 아니라, 철, 망간, 아연, 몰리브덴 등 일반 유용미네랄 성분들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재생을 촉진하는 칼슘, 상기 칼슘의 흡수를 도와주는 마그네슘, 피부세포에 영양성분을 전달하는 칼륨, 세포의 분열과 분화에 관여하여 피부결 강화효과가 있는 셀레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 미네랄은 이온화된 상태에 있으며, 이온화된 미네랄은 피부흡수가 용이하다.
상기한 2차 정제하는 단계(S204)는, 탈염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어떠한 방법, 예를 들면 플래시증발법, 해수동결법,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전기투석법 또는 시중에 유통되는 전기투석기나 탈염기를 사용하여 탈염할 수 있으나, 전기투석법으로 탈염하는 것이 전기전도도 값을 달리하여 미네랄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염분 농도는 체내 생리식염 농도인 0.85~0.90%로 탈염 처리된 것이 피부 보호 및 개선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겔 팩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바닥 선인장을 절단하여 동결건조기에서 -5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 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손바닥 선인장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500mesh 크기로 분쇄하여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제조하였다(S100).
다음에, 용암해수의 균과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차 정제(S201)하고, 중금속이 제거된 80 mesh 입자크기의 제주 송이 분쇄물을 토양소독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10분 동안 증기소독처리(S202)한 후, 상기한 1차 정제된 용암해수에 상기한 증기소독처리된 제주 송이 분쇄물을 혼입하여 50℃에서 12시간 동안 숙성(S203)하고, 상기한 숙성된 용암해수를 탈염하기 위하여 2차 정제(S204)하여 제주 송이 숙성수를 제조하였다(S200).
이어서, 30℃의 제주 송이 숙성수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가라기난 6 중량부, 곤약 3.6 중량부, 캐럽콩검 3.6 중량부, 구아검 3.6 중량부, 전분 1.2 중량부, 알긴산소다 1.2 중량부, 수용성 콜라겐 0.8 중량부, 손바닥 선인장 분말 2 중량부,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 중량부, 진주가루 1 중량부, 콜로이달골드 0.5 중량부, 다이아몬드가루 0.1 중량부를 혼합하여 148 rpm 회전속도로 20분 동안 교반하여 점도 2,800 cps의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S300).
다음에,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실리스토퍼로 용기의 입구를 막고 항온수조진탕기로 옮겨 온도 15℃, 습도 35%에서 80 rpm 속도로 수평 왕복 진탕하며 12시간 동안 숙성하였다(S400).
이어서, 상기한 숙성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10℃에서 급랭하여 단편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400㎛ 두께의 친수성 겔 레이어(1)를 제조하였다(S500).
다음에,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록수 껍질 추출물 3~10 중량부, 비누풀 잎 추출물 3~10 중량부를 포함하는 100㎛ 두께의 기능성 겔 레이어(2)를 상기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1) 단면에 부착였다(S600).
이어서,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2)가 부착된 친수성 겔 레이어(1)를 절단하여 천연 겔 팩을 완성하였다(S700).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주 송이 숙성수의 숙성조건을 달리하여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의 제주 송이 숙성수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고, 나머지 조건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입자크기(mesh) 80 80 100
숙성온도(℃) 35 80 50
숙성시간(시간) 12 12 12
(실험예 1)
상기한 제주 송이 숙성수의 숙성조건이 미네랄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용암해수와 상기 공정으로 제조한 제주 송이 숙성수(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를 준비하고, 상기한 각 시료를 3% HNO3로 10, 100, 1000 배 희석하여 AAS 분석기기로 미네랄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용암해수의 미네랄 함량 기준으로 변화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2 내지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미네랄 함량(㎎/L)
Na Mg K Ca Se
용암해수 10,996 1,579 412 389 0.021
성분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Na 변화율(%) 81.8±1.2 74.2±0.4 104.4±0.3 105.8±0.8
Mg 변화율(%) 124.3±2.9 102.8±0.9 122.2±0.7 123.3±1.6
K 변화율(%) 103.1±2.5 99.7±3.2 102.3±4.1 106.5±4.6
Ca 변화율(%) 105.2±1.9 95.3±1.9 108.0±4.3 108.2±7.6
Se 변화율(%) 110.1±2.6 102.5±0.7 102.3±0.5 108.7±1.6
상기한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에서 Mg, Se의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비교예 3에서 Na, K, Ca의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염분의 농도가 생리식염 농도보다 높았으며, 제주 송이의 입자크기가 작아 숙성 후 고형물을 여과할 때 여과액에 입자가 섞여 나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숙성온도가 높아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이 미량 검출되었기 때문에 화장료로서 부적합하다. 따라서 미네랄 함량이 증가되고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제주 송이 숙성수 제조방법이 적합하다.
(실험예 2)
상기한 천연 겔 팩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공정으로 제조한 천연 겔 팩(실시예 1)을 농도별(25, 50, 100 ㎍/㎖)로 희석액을 제조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RAW 264.7 macrophages를 96 well 플레이트에 1×105 cells/200㎕/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가 플레이트 바닥에 잘 부착하여 자라는지 확인하였다. 천연 겔 팩(실시예 1) 시료를 DMSO에 녹여 농도별로 희석하여 세포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세포 배양기(37℃, 5% CO2) 내에서 1차 배양하였다. 다음 0.5㎎/㎖ 농도의 MTT를 20㎕/wel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세포 배양기에서 2차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되면 배지를 제거하고, DMSO 200㎕/well로 녹여 5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세포 농도(㎍/㎖)
0 25 50 100
세포 생존율 - 99% 99% 90%
상기한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각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으로 세포 독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 겔 팩은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주 송이 숙성수 첨가유무, 기능성 레이어 부착유무를 달리하여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의 천연 겔 팩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고, 나머지 조건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제주 송이 숙성수
첨가유무
× ×
기능성 레이어
부착유무
× ×
(실험예 3)
상기한 천연 겔 팩의 피부 진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공정으로 제조한 천연 겔 팩(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을 준비하고, 19~32세 여성 총 22명을 대상으로 피부 진정효과 평가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4개의 그룹(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으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천연 겔 팩을 매일 1회씩 4주 동안 얼굴에 부착하도록 하였으며, 따가움, 가려움, 홍조 등 평가자의 의견에 따라 개선 정도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1주 + ± ± ±
2주 ++ ± + +
3주 ++ + + +
4주 +++ + ++ ++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상기한 결과와 같이,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 모두 피부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4주 후 결과는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의 결과에 비교하여 피부 진정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 겔 팩은 피부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 4)
상기한 공정으로 제조한 천연 겔 팩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5개월 월령의 토끼 3마리를 대상으로 안자극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정제수에 10배 희석한 천연 겔 팩 시액 0.1㎖를 토끼의 우측 눈에 직접 점안한 후 시액 누출방지를 위해 상하 안검을 잡고 약 1초간 폐안시키고, 20~30초 후 멸균생리식염수 20㎖로 세안하였다. 적용 후 1시간, 12시간, 24시간, 72시간 마다 사망률 및 좌측 눈을 대조로 한 발적, 부종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점안 후 경과시간
증상 1시간 12시간 24시간 72시간
사망 0 0 0 0
발적 1 0 0 0
부종 0 0 0 0
0: 정상
1: 좌측 눈의 1~10% 면적으로 증상 발견됨
2: 좌측 눈의 11~50% 면적으로 증상 발견됨
3: 좌측 눈의 50% 이상의 면적으로 증상 발견됨
상기한 결과와 같이, 적용 후 1시간 후 몇몇 혈관이 충혈되는 미미한 발적이 관찰되었으나 12시간, 24시간, 72시간째에는 이상소견 및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 겔 팩은 인체에 적용시 안전하다.
(실험예 5)
상기한 공정으로 제조한 천연 겔 팩을 물에 녹여 피부에 도포했을 때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9~32세 여성 총 22명을 대상으로 도포 전과 도포 후의 피부 보습량을 수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정제수 및 천연 겔 팩 희석액의 농도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희석액을 얼굴에 도포하고 2시간 경과 후 보습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희석배수
구분 정제수 2배 5배 10배
1주 ± + + ±
2주 ± ++ + +
3주 ± ++ ++ +
4주 ± +++ ++ ++
+++: 매우 양호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상당한 개선 효과가 있음
+: 약간의 개선 효과가 있음
±: 개선 효과는 없으나 악화되지도 않음
-: 개선 효과가 없고 오히려 악화됨
상기한 결과와 같이, 정제수를 바른 그룹에서는 피부 보습량의 변화가 없었으며, 천연 겔 팩의 희석액 모두에서 4주 사용 후 피부 보습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2배로 희석한 천연 겔 팩 시료를 도포했을 때 보습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연 겔 팩을 물에 녹여 스킨이나 로션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친수성 겔 레이어 2: 기능성 겔 레이어
11: 이격공간

Claims (6)

  1. 손바닥 선인장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건조한 후 수분이 제거된 손바닥 선인장을 분쇄하여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주 송이 숙성수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주 송이 숙성수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친수성 소재 20~23 중량부, 손바닥 선인장 분말 2~3 중량부, 콩피토플라센타추출물 2~3 중량부, 진주가루 1~3 중량부, 콜로이달골드 0.5~1 중량부, 다이아몬드가루 0.1~0.5 중량부를 혼합교반하여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숙성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10℃에서 급랭하여 단편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친수성 겔 레이어 단면에 기능성 겔 레이어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한 기능성 겔 레이어가 부착된 친수성 겔 레이어를 절단하여 천연 겔 팩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겔 팩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손바닥 선인장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손바닥 선인장을 절단하여 동결건조기에서 -5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한 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손바닥 선인장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300~500mesh 크기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겔 팩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30℃의 제주 송이 숙성수를 사용하며 148rpm 회전속도로 15~20분 동안 교반하여 점도 2,000~4,000cps로 제조하고,
    상기한 친수성 소재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가라기난 24~30 중량부, 곤약 12~18 중량부, 캐럽콩검 11~18 중량부, 구아검 11~18 중량부, 전분 0.5~6 중량부, 알긴산소다 0.5~6 중량부, 수용성 콜라겐 0.5~6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겔 팩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 숙성단계는,
    친수성 겔 레이어 조성물을 용기에 담아 통기성 마개로 용기의 입구를 막고 항온항습기에서 온도 10~15℃, 습도 35% 조건으로 12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겔 팩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주 송이 숙성수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주지역에서 취수한 용암해수의 균과 고형물을 제거하는 1차 정제단계와,
    중금속이 제거된 50~80 mesh 입자크기의 제주 송이 분쇄물을 토양소독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10~15분 동안 증기소독처리하는 단계와,
    상기한 1차 정제가 완료된 용암해수에 상기한 증기소독처리된 제주 송이 분쇄물을 혼입하여 45~60℃에서 12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숙성된 용암해수를 탈염하는 2차 정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겔 팩 제조방법.
  6. 제주 송이 숙성수, 손바닥 선인장 분말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380~400㎛ 두께의 친수성 겔 레이어와,
    상기한 친수성 겔 레이어 단편에 도포되며 상록수 껍질 추출물, 비누풀 잎 추출물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거품성 계면활성제로서 포함하는 70~100㎛ 두께의 기능성 겔 레이어를 포함한 멀티레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겔 팩.
KR1020180070578A 2018-06-20 2018-06-20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578A KR101900651B1 (ko) 2018-06-20 2018-06-20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578A KR101900651B1 (ko) 2018-06-20 2018-06-20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651B1 true KR101900651B1 (ko) 2018-11-02

Family

ID=6432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578A KR101900651B1 (ko) 2018-06-20 2018-06-20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6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7599A (zh) * 2019-01-25 2019-04-19 上海真仁堂药业有限公司 用于加工易黏连药材的冷冻研磨工艺
KR102253698B1 (ko) * 2021-03-10 2021-05-17 윤준식 화장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65B1 (ko) 2015-07-09 2016-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화산석 송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65B1 (ko) 2015-07-09 2016-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화산석 송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7599A (zh) * 2019-01-25 2019-04-19 上海真仁堂药业有限公司 用于加工易黏连药材的冷冻研磨工艺
KR102253698B1 (ko) * 2021-03-10 2021-05-17 윤준식 화장품 조성물
KR102253702B1 (ko) * 2021-03-10 2021-05-17 윤준식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56433B (zh) 一种深层补水制剂
KR102139538B1 (ko) 헤어 샴푸 조성물
TW200423961A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type I collagen and/or elastin
KR20090098732A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CN100527999C (zh) 一种抗氧化果蔬保健食品
KR101900651B1 (ko) 천연 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614885B (zh) 红参皂苷提取物及用于制备该提取物的方法
KR101839523B1 (ko) 식용 가능한 패각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패각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5334B1 (ko) 전복, 굴껍질을 이용한 칼슘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칼슘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의약품
CN102100344A (zh) 一种厥麻营养粉
KR20170025121A (ko) 마스크 팩용 화장 조성물 제조방법
KR101719124B1 (ko)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6837A (ko)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JP2001346537A (ja) 果実外皮を用いた機能性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528536A (zh) 一种含有胆碱鞣花酸盐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0816A (ko) 생분해성 고분자와 황토가 결합되어 탄력성이 증진된 기능성 마스크팩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882314B (zh) 一种洗眼液及其制备方法
CN106361635A (zh) 植物萃取多用途且可变色膏状物及其制备方法
KR101127419B1 (ko) 백토, 초유 및 발효한방활성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161773A (zh) 一种全活性成分纳米珍珠粉的制备方法
KR100254794B1 (ko) 바디화장용조성물및그조성물의제조방법
KR101893012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한방발효비누의 제조방법
KR102137752B1 (ko) 순지트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