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048B1 -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048B1
KR101643048B1 KR1020140144187A KR20140144187A KR101643048B1 KR 101643048 B1 KR101643048 B1 KR 101643048B1 KR 1020140144187 A KR1020140144187 A KR 1020140144187A KR 20140144187 A KR20140144187 A KR 20140144187A KR 101643048 B1 KR101643048 B1 KR 10164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inflammatory
present
l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800A (ko
Inventor
강현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0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INFLAMMATORY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MPRISING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EXTRACT}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율피는 너도 밤나무과(Buna)의 다년생 초목인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의 과실인 밤의 속껍질로 여러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율피는 가공식품 제조시 제거되어, 폐기처리 되는 일종의 산업부산물이다. 율피의 경우 가공 중 전체 밤 함량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위한 소재화 연구를 수행한다면 이에 따른 경제적 가치는 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신경염증은 뇌허혈,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병, 헌팅톤 질환 및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에 수반되어 있다. 뇌에 고유한 면역 세포인 미세아교 세포(microglia)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산화 질소(NO) 및 기타 신경독 인자의 생산을 통하여 뇌염증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로부터 종양 괴사 인자 (TNF-a)의 사이토카인 분비 자극에 의해 신경 뉴우런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세아교세포의 세포신호전달 억제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개선을 초래할 수 있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는 생체 및 시험관내 연구에 있어서 적극적인 모델 면역자극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LPS는 미세아교세포를 자극하여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NO 및 인터류킨(IL)-1, IL-6 및 종양 괴사 인자 (TNF-a) 등의 사이토카인류를 생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관련 선행특허로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11981호는 항염증 효과를 갖는 잠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잠분 추출물은 헴 옥시게나제- 1과 시르투인-1의 발현을 증대시켜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및 NO 생산을 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율피 알코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NF-알파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 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핵 예방 및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결핵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치료상 유효량의 율피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약제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율피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6 내지 30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 부산물인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BV-2 세포에 있어서 LPS-유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효소(iNOS) NO 생산을 완전히 약화시킬 수 있고, 또한, 율피 추출물에 의한 iNOS 단백질 발현이 약화하였음을 밝혀내었으며, 이들 결과는 율피 추출물이 효율적인 항염증제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도 1은 율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
도 2는 율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BV-2 세포)을 나타낸 그림.
도 3은 율피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를 나타낸 그림.
도 4는 율피 추출물에 의한 염증성 단백질에 대한 효능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율피 추출물에 의한 TNF-a Cytokine 생성저해(BV-2 세포)를 나타낸 그림.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율피 추출
율피는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율피 100 g을 1 L의 에탄올로 72시간동안 상온에서 추출하였다.
실시예 2;항산화
시료인 율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 용액 30 μL와 에탄올에 용해한 60 μM DPPH 용액 30 μL를 각각 가하고, 상온에서 2분 동안 반응시켜 capillary tube에 옮긴 다음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JES-PX 2300, JEOL, Japan)로 측정하였다. 이 때 ESR spectrophotometer의 측정조건은 magnetic field의 경우 336.5±5 mT, microwave power의 경우 5 mW, modulation frequency의 경우 9.41 GHz, modulation 항산화 시료에 대한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은 (ESR signal intensity for medium containing the additives of concern/ESR signal intensity for the control medium) X100으로 계산한 결과,
0.01 mg/mL의 농도에서 60% 이상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실시예 3:세포생존율
LPS로 자극된 BV-2세포에서 LPS 및 율피 추출물이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cell biability를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1X105 cell/ml)세포를 96-well plate에 180 μL씩 분주하여 12시간 이상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시료를 각각의 조건에 따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0.5 mg/ml MTT가 함유되어 있는 배지 200 μL를 첨가한 다음 4시간 동안 배양하여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sulfoxide (DMSO) 100 μL 첨가하여 생성된 formazone결정을 용해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Cell viability 측정 결과 LPS 및 율피 추출물을 단독으로 또는 같이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2).
이는 염증 유도 물질인 LPS와 율피 추출물이 세포 생존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4: LPS 로 활성화된 신경교세포에서 율피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인 NO 생성저해 작용
율피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염증 유발 인자인 LPS를 각 농도별로 자극된 신경교세포에서 생산되는 NO 농도를 의존적으로 효능을 있는지 확인하였다.
NO 측정은 24 well plate에 세포를 5 x 105cell/을 seeding 한 후, LPS와 추출물을 농도차를 두어 첨가 한 후, 24h 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각각 50μL씩 Griess reagent (1% sulfanilamide/0.1% N-(1-naphth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2.5% H3PO4)와 반응 시킨 후, 파장이 540nm인 Sunrise basic 96-well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TECAN AUSTRIA)를 사용하여 값을 측정한다.
신경교세포에서 LPS (1 ㎍/mL)에 의해서 유도되는 NO는 약 27 μM로 대조군으로 사용한 1 μM에 비하여 약 20배 이상 증가하였고, 실험군으로 율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를 한 결과 각각 10, 20, 40, 80, 100 /mL로 NO 생성이 율피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3).
실시예 5:신경교세포에 율피 추출물 처리 후 LPS 에 의해 유도되는 iNOS (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 단백질 발현의 농도 의존적인 저해
율피 추출물 투여 후 iNOS 단백질 발현양상 변화를 확인하였다. 단백질 발현 면역분석 (immunoblot)방법은 BV2 cell에서 단백질의 동정은 세포를 1 X PBS로 두 번 세척 후, lysis buffer [1% Triton X-100, 1% deoxycholate, 0.1% NaN3]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단백질의 정량은 BCA assay kit(bio-rad CA)의 bradford법을 사용하였고, 동일량의 단백질을 10% SDS-PAGE에 전기영동한 후, 0.45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Millipore)를 사용하여 겔에서 옮겼으며, 항체의 사용은 1차 항체로 anti-iNOS와 COX-2를 1/1000으로, 베타-actin을 1/5000으로 희석하여 4에서 O/N(over-night)하고 2차 항체로 Horseradish peroxidase(HRP)를 가지고 있는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supersignal(Pierce, CA)로 반응시킨 후, LAS-3000(Fuji Co, Japan)를 사용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면역분석 (immunoblot)을 통하여 iNOS 단백질이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발현량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LPS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iNOS 단백질의 발현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율피 추출물 처리 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발현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정량분석의 대조군으로 beta-actin을 사용하였다 (도 4).
실시예 6: TNF -알파 Cytokine
율피 추출물 소재가 염증성 cytokine을 억제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 염증성 cytokine인 TNF-알파를 측정하였다. TNF-알파 측정은 24 well plate에 세포를 5 x 105cell/을 seeding 한 후, LPS와 추출물을 농도차를 두어 첨가한 후, 24h 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율피 추출물 소재가 TNF-알파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증성 cytokine인 TNF-알파 농도를 LPS 처리 후에 측정한 결과 LPS 처리군에서는 TNF-알파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율피 추출물 소재 투여 군에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율피 추출물 소재가 염증성 cytokine인 TNF-알파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5).

Claims (13)

  1. 삭제
  2. 율피 에탄올 추출물을 인 비트로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처리한 미세아교세포에 처리하여 인 비트로에서 미세아교세포의 유도성 산화질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144187A 2014-10-23 2014-10-23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3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87A KR101643048B1 (ko) 2014-10-23 2014-10-23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87A KR101643048B1 (ko) 2014-10-23 2014-10-23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00A KR20160047800A (ko) 2016-05-03
KR101643048B1 true KR101643048B1 (ko) 2016-07-27

Family

ID=5602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187A KR101643048B1 (ko) 2014-10-23 2014-10-23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587B1 (ko) * 2019-12-02 2020-06-10 공주시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5986A (zh) * 2009-06-18 2016-02-0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栗子皮提取物的健康食品或药学组合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800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6267B1 (en) Multi-component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cognitive decline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KR102182733B1 (ko) 복분자 미성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38258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80080896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06103A (ko) 우엉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3048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3137B1 (ko) 진세노사이드 Re를 포함하는 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80080834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0798B1 (ko) 곰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80106105A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5289A (ko) 대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ahantesh et al. Noni a wonder plant (therapeutic properties): a review
KR101385768B1 (ko)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9156A (ko)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36777A (ko) 씀바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1189A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6104A (ko) 유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8221A (ko) 흑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9297A (ko) 복분자 부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8452B1 (ko) 자미끝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46094A (ko) 어저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1722367B1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umar et al. Amelioration of diazepam induced memory impairment by fruit of Cucumis sativus L in aged mice by using animal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