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768B1 -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768B1
KR101385768B1 KR1020120088402A KR20120088402A KR101385768B1 KR 101385768 B1 KR101385768 B1 KR 101385768B1 KR 1020120088402 A KR1020120088402 A KR 1020120088402A KR 20120088402 A KR20120088402 A KR 20120088402A KR 101385768 B1 KR101385768 B1 KR 10138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lps
inflammato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903A (ko
Inventor
정승효
박효순
강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7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V-2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LPS-유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단백질 발현 및 NO 생산을 완전히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항염증제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and inflammatory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mprising Houttuynia cordata ex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V-2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LPS-유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단백질 발현 및 NO 생산을 완전히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항염증제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경 염증은 뇌 허혈,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병, 헌팅톤 질환 및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등의 다양한 신경학적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에 수반되어 있다 (Allan SM, Rothwell NJ. Cytokines and acute neurodegeneration. Nat Rev Neurosci 2001;2:734-744). 뇌에 고유한 면역 세포인 미세아교 세포(microglia)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산화 질소(NO) 및 기타 신경독 인자의 생산을 통하여 뇌염증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로부터 종양 괴사 인자 (TNF-α) 와 인터류킨 IL-6 등의 사이토카인 분비 자극에 의해 신경 뉴우런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Liu B, Wang K, Gao HM, Mandavilli B, Wang JY, Hong JS. Molecular consequences of activated microglia in the brain: overactivation induces apoptosis. J Neurochem 2001;77:182-189.).
따라서, 미세아교세포의 세포신호전달 억제는 신경염증성 질환의 개선을 초래할 수 있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는 생체 및 시험관내 연구에 있어서 적극적인 모델 면역자극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전의 연구에 의하면, LPS는 미세아교세포를 자극하여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NO 및 인터류킨(IL)-1, IL-6 및 종양 괴사 인자 (TNF-α) 등의 사이토카인류를 생산하는 것이 제안되었다(Gayle DA, Ling Z, Tong C, Landers T, Lipton JW, Carvey PM.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dopamine cell loss in culture: role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1beta, and nitricoxide. Brain Res Dev Brain Res 2002;133:27-35.).
관련 선행특허로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11981호는 항염증 효과를 갖는 잠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잠분 추출물은 헴 옥시게나제- 1과 시르투인1의 발현을 증대시켜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및 NO 생산을 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에서 미세아교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ox-2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염증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성초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핵 예방 및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어성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어성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결핵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치료상 유효량의 어성초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결핵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상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약제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어성초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6 내지 30㎎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어성초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어성초 추출물이 항염증성 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찾아내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미세아교세포 작용을 억제하는 세포 및 분자 상의 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처음으로 어성초 추출물이 BV-2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미세아교세포 활성 및 LPS-유발 Cox-2, iNOS 단백질 발현 및 NO 생산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는 염증성 사이토카인류 및 NO를 방출하고, 이어서 이웃하는 방관자 뉴우런의 세포사멸을 유발한다. 다양한 자극원에 의해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로부터의 과도한 NO 및 사이토카인 생산은 독성을 가질 수 있으며 신경 세포 치사를 매개할 수 있음이 제시된 바 있다. 염증성 신경퇴행 질환의 실험 모델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LPS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류의 상당한 상승과 이어지는 NO 방출과 함께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Hou RC, Chen HL, Tzen JT, Jeng KC. Effect of sesame antioxidants on LPS-induced NO production by BV2 microglial cells. Neuroreport 2003;14:1815-1819.).
본 발명자들의 결과는 상당히 증가된 NO 수준을 나타내었고(도 1 참조), IL-6의 사이토카인을 현저히 유발하였으며 (도 5 참조), 어성초 추출물 전처리는 BV-2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NO, 및 IL-6 생산을 상당히 완화시켰다(도 1, 4 및 5 참조). 이들 결과로부터, 어성초 추출물이 LPS-유도 미세아교세포 활성화에 대하여 항염증성 작용을 갖는 것이 명백하다. 어성초 추출물 80 ug/ml을 In vitro에서 항산화를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free radical 소거능력이 80%이상으로 현저하게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도 3).
NO는 NOS 패밀리(family) 아이소자임에 의해 발생하여 L-아르기닌을 L-시트룰린 및 NO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문헌: Nathan C.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J Clin Invest 1997;100:2417-2423.). iNOS 레벨은 미세아교세포에서 정상적으로 낮으나, iNOS는 LPS 처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극원에 응답하여 고도로 상승되게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신경 독소 또는 LPS는 iNOS의 상승-조절을 유도하고, 이어지는 미세아교세포에서 NO 생산을 유도하는 반면, iNOS를 직접 억제할 경우 LPS-매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가 효율적으로 감소되었다(Hald A, Lotharius J.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Parkinson's disease: is there a causal link? Exp Neurol 2005;193:279-290.).
본 발명자들은 80 ug/ml 어성초 추출물이 BV-2 세포에 있어서 LPS-유발 iNOS 단백질 발현 및 NO 생산을 완전히 약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도 1, 4 참조).
축적된 결과들에 의하면 iNOS 및 많은 염증성 사이토카인류가 NF-kB를 포함하는 전자 인자들에 의해 조절됨을 나타낸다(Christman JW, Blackwell TS, Juurlink BH. Redox regulation of nuclear factor kappa B:therapeutic potential for attenuating inflammatory responses. Brain Pathol 2000;10:153-162.).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항염 효과를 가지며, 어성초 추출물이 NO 생산 및 BV-2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LPS에 의해 유발되는 iNOS 단백질 발현과 IL-6의 분비가 을 억제하였음을 나타낸다. 어성초 추출물의 작용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과는 어성초 추출물이 염증관련 신경퇴행성 질환의 유력한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어성초 추출물의 급성 독성 실험 및 결과는 하기와 같다.
6 내지 7주령 된 비설치류 비글견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어성초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여 24시간 내의 개체 사망율을 조사하였으며, 이때 암컷은 6 내지 8㎏인 개체를, 수컷은 7 내지 9㎏인 개체를 각각 8마리 사용하였다. 그 결과, 5g/kg 까지 죽은 개체가 발생하지 않아, 본 발명의 어성초 추출물은 kg당 5g까지도 급성독성을 관찰할 수 없을 만큼 안전하므로, 어성초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다른 임상적으로 이용되는 천연물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낮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행한 통계적 분석의 시험 데이터는 평균 SEM으로 나타냈다. 데이터는 먼저 일방향분산분석(one-way factorial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어서, Student's t-test 또는 Turkey's test를 수행하여 처리된 시료와 비교하였다. p<0.05가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은 BV-2 세포에 있어서 LPS-유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NO 생산을 완전히 약화시킬 수 있고, 또한, 어성초 추출물에 의한 iNOS 단백질 발현의 약화하였음을 밝혀 내었으며, 이들 결과는 어성초 추출물이 효율적인 항염증제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도 1은 LPS-활성화시킨 BV-2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NO 생산에 미치는 어성초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2는 농도 의존적으로 어성초 추출물에 대한 MTT 세포독성시험을 나타낸 그림.
도 3은 ESR에 DPPH 방법에 의한 어성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4는 BV-2 미세아교 세포에 있어서 iNOS 및 Cox-2의 LPS-유도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어성초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5은 배양된 BV-2 세포에 있어서 사이토카인 IL-6에 미치는 어성초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111:B4로 부터의 LPS는 시그마사(Sigma, St. Louis, Missouri, USA). 로부터 구입하였다. 안티-액틴, 안티-IL-6 및 안티-iNOS 항체들은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lifornia, USA)로 부터 구매하였다.
실시예 1:어성초 추출물의 분리 및 정제
수용액을 5 L의 에틸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증발시키고 건조시킨 분말(1 g)을 에탄올(5 ml)에 녹였다. 모든 실험에 있어서, 최종 농도의 DMSO는 0.1%를 초과하지 않도록 첨가하였다.
실시예 2:산화 질소 에세이
어성초 추출물이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LPS-유도 NO 생산을 억제하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시험을 하였다. NO의 생산은 배양 배지 중의 질산염의 축적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 상층액을 LPS 처리 24 시간 후에 수집하여 동일 용적의 Griess 시약 (1% 술파닐아마이드, 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2.5% 인산)과 혼합하였다. 흡광도는 플레이트 판독기(VersaMax; Molecular Devices, USA). 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판독하였다. 질산 나트륨을 표준으로 사용하여 질산염의 농도를 계산하여 M으로 나타내었다.
NO 생산에 대한 어성초 추출물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BV-2 세포들을 어성초 추출물을 30 분 동안 처리하고, LPS (1 ug/ml)를 첨가한 후, 24 시간 후에 질산염의 농도를 배양배지 중에서 측정하였다. LPS 첼린지에 앞서 어성초 추출물로 전처리한 배양물 중의 NO의 양은 각각 42% (20 ug/ml 어성초 추출물), 73% (40 ug/ml 어성초 추출물) 및 94% (80 ug/ml 어성초 추출물) 감소하였다. (도 1 참조).
도 1은 LPS-활성화시킨 BV-2 미세아교세포에 있어서 NO 생산에 미치는 어성초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BV-2 세포들을 LPS 처리(0.5 g/ml)에 앞서 정해진 농도로 30분 동안 어성초 추출물로 전처리하였다. LPS처리 24 시간 후에 세포 배지 중의 질산염 레벨을 그리스 반응(Griess reaction)에 의해 결정하였다. 어성초 추출물은 BV-2 미세아교 세포에 있어서 농도-의존 방식으로 NO의 LPS-유도 생산을 상당히 감소시킨 반면, 모든 값은 3회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 SEM을 나타냈다. *p<0.05 및 **LPS 단독에 비하여 p<0.01.
세포 생존능 분석 결과 세포 증식이나 세포독성이 본 연구에서 상기 농도의 LPS 또는 어성초 추출물의 실험적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 2 참조)
실시예 3: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어성초 추출물의 영향
효소면역분석 (ELISA) 및 웨스턴 블롯 분석
BV-2 배양물 중의 IL-6 의 단백질 수준은 상업적인 ELISA 키트 (R&D Systems, USA)를 제조원의 지시에 따라 측정하였다. TNF-α의 양은 배양 상층액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450 nm에서의 흡광도는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판독하고 사이토카인은 pg/ml로 나타내었다. iNOS, IL-6의 발현은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성장한 BV-2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이어서 RIPA 완충액(PBS, 1% Nonidet P-40, 0.5%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0.1% SDS, 0.1 mg/ml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리드, 30 mg/ml 아프로티닌 및 1 mM Na3VO4)에 용해시켰다. 추가의 세포 용해물의 제조물은 PVDF 멤브레인으로 전기이동시키고, 증강된 ECL 화학발광 키트(GE Healthcare, USA)에 의한 단백질 검출을 상기한 바에 따라 수행하였다(Cho HS, Kim S, Lee SY, Park JA, Kim SJ, Chun HS, Protective effect of the green tea component, L-theanine on environmental toxins-induced neuronal cell death. Neuroxoxicology 2008;29:656-662.).
BV-2 세포에 있어서 어성초 추출물 및 LPS의 처리 후에 IL-6 생산의 조정 능력(modulation)을 조사하기 위하여 ELISA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배양된 BV-2 세포에 있어서 사이토카인 및 iNOS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어성초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4 시간 자극 동안 LPS 및 어성초 추출물에 대한 BV-2 세포의 반응을 ELISA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어성초 추출물은 LPS-자극 BV-2 세포 모두에서 IL-1 및 IL-6 생산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값은 4회의 독립적인 실험의 평균 SEM으로 나타냈다. *LPS 단독에 비하여 p<0.05. iNOS 단백질의 발현은 16 시간 LPS-자극시킨 세포에서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해 평가하였다. 어성초 추출물 전처리는 iNOS의 LPS-유도 상승 조절을 농도 의존적으로 상당히 억제하였다. 상대 농도계 밀도는 미처리 대조군의 값에 대한 비율로 평가하였다. *LPS 단독에 비교하여 p<0.05.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INOS 및 Cox-2의 LPS-유도 생산에 대한 어성초 추출물의 억제 효과는 상당하였다. 어성초 추출물은 IL-6 생산을 감소시켰다. iNOS 단백질의 레벨은 웨스턴블롯 분석에 의해 검출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성초 추출물 전처리는 iNOS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일관된 감소를 유도하였다. 농도계 분석에 의하면 LPS 처리전에 어성초 추출물(10-80 ug/ml)으로 전처리한 배양물에 있어서 iNOS 단백질 레벨이 각각 38%(40 ug/ml 어성초 추출물), 및 77% (80 ug/ml 어성초 추출물)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BV-2 세포에 있어서 LPS-유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mRNA 발현 및 NO 생산을 완전히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항염증제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어성초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인 비트로에서 미세아교세포 처리하여 미세아교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2. 어성초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인 비트로에서 미세아교세포 처리하여 미세아교세포에서 유도성 질소 산화물 합성(iNOS) 및 NO 생산을 약화시키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88402A 2012-08-13 2012-08-13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8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02A KR101385768B1 (ko) 2012-08-13 2012-08-13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02A KR101385768B1 (ko) 2012-08-13 2012-08-13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903A KR20140021903A (ko) 2014-02-21
KR101385768B1 true KR101385768B1 (ko) 2014-04-17

Family

ID=5026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402A KR101385768B1 (ko) 2012-08-13 2012-08-13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188A (ko) 2015-04-23 2016-11-03 주식회사 허브누리 마늘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647B1 (ko) * 2018-12-24 2022-07-1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어성초 및 화산송이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논문1:JOURNAL OF ETHNOPHARMACOLOGY*
논문2: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논문2: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188A (ko) 2015-04-23 2016-11-03 주식회사 허브누리 마늘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903A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erascu et al. Leonurus cardiaca L. as a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n update of the European medicines agency assessment report (2010)
Mitra et al.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Avicennia alba leaf extract: an experimental analysis focusing on antidiabetic,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diarrheal activity
KR1017049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3525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i et al.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potential uses of Portulaca oleracea L.
KR101385768B1 (ko)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9509B1 (ko) T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또는 호르몬 저항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8258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1902A (ko) 감람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및 염증성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ei et al. Polyphenols from Sorbus aucuparia ameliorate insulin resistance and metabolic disorders in diabetic mice.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25289A (ko) 대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6105A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0834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501912A (ja) 筋肉の保護におけるカンカニクジュヨウ抽出物およびイソアクテオシドの使用
KR101643048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5927A (ko) 포도잎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맥순환 장애 개선용 조성물
Zhang et al.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y effect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the flowers of Syringa pubescens Turcz
KR20180109156A (ko)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6795B1 (ko)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1205B1 (ko) 옻 추출물, 장수버섯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2556622B1 (ko) 인삼, 감초 및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0345B1 (ko) 고추씨 추출물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88452B1 (ko) 자미끝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