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918B1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918B1
KR101704918B1 KR1020150118695A KR20150118695A KR101704918B1 KR 101704918 B1 KR101704918 B1 KR 101704918B1 KR 1020150118695 A KR1020150118695 A KR 1020150118695A KR 20150118695 A KR20150118695 A KR 20150118695A KR 101704918 B1 KR101704918 B1 KR 101704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parkinson
weight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병수
전송희
김상헌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7Piperaceae (Pepper family), e.g. Jamaican pepper or ka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으로 구성된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은 세포 수준 및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의 행동실험결과 신경세포 사멸 및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감소를 저해하고,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며 TH(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을 회복시킴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파킨슨병의 병리학적 특징인 신경세포의 퇴화 및 행동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mixed crude drug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e Parkinson's disease}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으로 구성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은 대뇌 기저핵의 선조체(striatum, ST)-흑질 치밀부(substantia nigra parscompacta, SNpc)의 도파민(dopamine) 신경계의 퇴행으로 인한 진행성 신경계질환으로서, 뇌 흑질 치밀부의 멜라닌 색소를 함유한 도파민의 결핍으로 인해 진전, 운동완서, 근육경직, 비정상적 자세, 운동 불능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노인들에게 흔히 발생하고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유병률이 높으며, 평균 발생 연령은 약 60세로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은 흑색질의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감에 따라 그 증상들이 점점 더 심해지며, 이러한 병의 진행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파킨슨병의 양의학적인 치료는 대증적(symtomatic)요법, 신경 방어적(neuroprotective)요법, 그리고 복원(restorative)요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대증적 요법인 레보도파(levodopa) 요법이 최적의 방법이다. 레보도파(levodopa)는 정상적인 운동기능을 유지시키는 증상 호전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많은 임상연구를 통해서 지속적인 레보도파의 사용은 약물효과 시간의 점진적인 단축, 약물의 효과에 대한 운동조절기능의 변동 심화, 이상 운동증 등의 부작용들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파킨슨병의 발병원인과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기전에 대한 연구들을 통하여 파킨슨병을 예방하고 진행을 완화시키는 치료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파킨슨병은 한의학적으로 진전(머리 몸체 팔다리를 요동하며 떠는 것을 주요 임상증상으로 하는 병증), 치(풍병), 경(뒷목과 등이 뻣뻣하고 땅기며 입이 꽉 물리고 팔다리가 떨리며 몸이 각궁처럼 뒤로 휘는 병증), 계종(힘줄이 당기거나 늘어져서 팔다리가 움츠러졌다 늘어졌다를 반복하는 증상), 련 및 중풍의 편고(반신불수), 탄탄(졸중이나 중푼으로 몸의 일부에 마비가 생기는 병증), 및 중부증(육부에 맞은 풍) 등의 범주에 속하며 그에 따른 병증과 유사하다.
한편, 단삼(Salviae Miltiorrhizae Radix)은 약간 특이한 향기가 있고, 약성은 쓰고 떫으며 약간 찬 성질을 지니고 있다.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제거하며 사지관절 동통을 완화시키고, 부인병, 타박상, 고열로 인한 정신혼몽, 불면증, 피부발진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필발(Piperis Longi Fructus)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매우며 뜨거운 성질이 있다. 필발은 장위가 차서 생기는 복부동통, 구토, 설사, 치통 등에 사용하며, 항경련작용, 항산화 작용, 억균작용, 및 피부혈관확장작용 등의 약리작용 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다.
천궁(Cnidii Rhizoma)은 진정, 진통, 강장 등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며,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사용한다.
육두구(Myristica fragrans Houtt)는 말려서 방향성 건위제, 강장제 등으로 사용하고 향미료로도 이용된다.
포황(Typhae Pollen)은 향포라고도 하며, 부들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꽃가루이다. 냄새가 약하고 맛은 담담하며 성질은 평하다.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며, 출혈을 멎게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약리실험을 통해 응혈 촉진작용, 자궁 수축작용,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정향(Caryophylli Flos)은 맛과 향이 강하고 혀를 마비시키며 맛은 맵고 따뜻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구토, 위암, 복통, 소화불량, 및 잇몸염증 등에 사용되며, 위액분비촉진, 진통, 항경련, 항염, 항산화, 혈압강하작용 및 항균 등의 약리작용이 보고되어있다.
백단향(Santali Albae Lignum)은 단향이라고도 하며, 특유한 냄새가 진하게 나고 맛은 맵다. 백단향의 향은 정신을 맑게 하며, 심신안정의 효과가 있다.
소합향(Liquidambar orientalis Mill)은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달며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정신을 맑게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므로 중풍, 흉복부통증, 협심증, 관상동맥질환 등에 사용하며, 약리작용으로 관상동맥혈류량 증가, 심근산소소모량 감소, 혈소판응집활성화, 거담작용, 및 항균작용이 보고되어있다.
소합향원 또는 소합향원의 일부 약재 구성을 달리한 가감소합향원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소합향원 향기액은 뇌세포 손상을 억제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고, 가감소합향원의 향기액은 진통 및 경련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신경세포 활성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가감소합향원이 알츠하이머 쥐 모델에서 치매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가감소합향원을 활용한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므로, 본 발명자들은 가감소합향원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파킨슨병을 예방하고 진행을 완화시키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여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을 통해 이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이 신경세포주의 세포사멸 및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감소의 억제, 파킨슨병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행동실험을 통한 운동능력의 향상, 및 뇌 조직에서 TH의 발현증가 효과가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단삼 15-35 중량%, 필발 10-30 중량%, 천궁 10-30 중량%, 육두구 5-25 중량%, 포황 1-20 중량%, 정향 0.5-15 중량%, 백단향 0.5-15 중량%, 및 소합향 0.3-13 중량%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저급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은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 또는 보조제(additi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포수준 실험 및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의 행동실험 결과 혼합 생약 추출물이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며 TH(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을 회복시킴을 확인함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파킨슨병의 병리학적 특징인 신경세포의 퇴화 및 행동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파킨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인간 유래 신경아세포종 세포주인 SH-SY5Y 세포에서 가감소합향원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b는 SH-SY5Y 세포에서 가감소합향원 전처리에 의해 MPP+에 의한 세포독성이 감소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는 SH-SY5Y 신경세포에서 가감소합향원 전처리에 의해 MPP+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이 감소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3은 SH-SY5Y 신경세포에서 가감소합향원 전처리에 의해 MPP+에 의해 유발되는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감소가 저해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4는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Rota Rod test를 통해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5a는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Challenging Beam test를 통해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스텝당 헛디딤 횟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b는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Challenging Beam test를 통해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막대 넓이에 따른 헛디딤 횟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c는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Challenging Beam test를 통해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마우스가 막대를 건너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a는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pole test를 통해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마우스가 막대를 내려오기 위해 아래로 향하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b는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pole test를 통해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마우스가 막대를 내려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해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의 뇌 흑질에서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도파민 세포수의 증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8은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의 뇌 선조체에서 가감소합향원 투여에 의한 TH(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증가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세포수준 실험 및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행동실험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의 대상인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안정떨림, 경직, 운동완만, 및 자세 불안정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파킨슨병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파킨슨병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단삼 15-35 중량%, 필발 10-30 중량%, 천궁 10-30 중량%, 육두구 5-25 중량%, 포황 1-20 중량%, 정향 0.5-15 중량%, 백단향 0.5-15 중량%, 및 소합향 0.3-13 중량%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단삼 20-30 중량%, 필발 15-25 중량%, 천궁 12-22 중량%, 육두구 8-18 중량%, 포황 3-13 중량%, 정향 1-10 중량%, 백단향 1-10 중량%, 및 소합향 0.8-8 중량%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삼 23-27 중량%, 필발 19-23 중량%, 천궁 15-20 중량%, 육두구 11-15 중량%, 포황 6-10 중량%, 정량 4-8 중량%, 백단향 4-8 중량%, 및 소합향 1-5 중량%로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분획 시 온도는 4℃ 내지 12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으로 구성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가감소합향원으로 명명하였으며, 가감소합향원의 파킨슨병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감소합향원을 신경세포주에 전처리하고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MP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사멸 및 세포내 활성산소종 생성이 감소하였고(실시예 2-1 및 2-2 참조), 세포사멸을 야기하는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감소가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MPP+의 전구체인 MPTP를 투여해 파킨슨병을 유발시킨 마우스 모델에서 여러 가지 마우스 행동실험을 실시하여 가감소합향원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 뇌를 적출하여 흑질 및 선조체에서 도파민 신경세포 수 및 TH(tyrosine hydroxylase)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가감소합향원을 투여한 마우스의 경우 도파민 신경세포 수가 증가하고 TH의 발현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가감소합향원 즉,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으로 구성된 혼합 생약 추출물의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으로 구성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사이클로덱스트린,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리포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흡입제, 피부 외용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얄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 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001 내지 150 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에 다른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오스,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키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로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실험재료 준비 및 실험방법
1-1. 혼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약재는 모두 동양허브에서 구입하였고, 혼합 생약 추출물의 처방구성은 동의보감에 준하여 소합향원에서 백출, 주사, 가자피, 및 유향 등의 약재와 사향, 서각 등의 희귀, 동물성 약재를 빼고 천궁, 육두구, 포황, 단삼 등의 약재를 더하여 구성하였고, 가감소합향원이라고 명명하였으며 하기 표 1에 가감소합향원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약재명 학명 양(g)
단삼 Salviae Miltiorrhizae Radix 120
필발 Piperis Longi Fructus 100
천궁 Cnidii Rhizoma 80
육두구 Myristica fragrans Houtt 60
포황 Typhae Pollen 40
정향 Caryophylli Flos 30
백단향 Santali Albae Lignum 30
소합향 Liquidambar orientalis Mill 15
Total 475
상기 표 1에 기재한 양만큼 각 약재를 혼합한 후 30% 에탄올을 넣고 50℃에서 2시간 동안 끓여서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였다. 이후 세포실험 및 동물실험 수행 시에는 동결건조된 가감소합향원의 무게를 측정하고 1 g을 1 ㎖의 에탄올에 넣어 녹인 후 0.2 ㎛ 필터에 걸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1-2. 신경세포 배양
인간 유래 신경아세포종 세포주인 SH-SY5Y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ml 페니실린, 100ug/ml 스트렙토마이신(Gibco/BRL, USA)이 포함된 DMEM(Invitrogen, USA) 배지를 이용해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2-3일 간격으로 갈아주었으며, Trypsin-EDTA(Gibco/BRL, USA)를 처리하여 계대배양 하였다.
1-3. 세포생존율 측정( MTT assay)
SH-SY5Y 세포를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5x104개씩 분주하고 다음날 FBS가 첨가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갈아준 후 16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이후 가감소합향원을 세포에 10, 50, 100 ㎍/㎖의 농도로 30분 전에 전처리하고 MPP+를 1 m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MTT assay를 위해 2 ㎎/㎖의 MTT 용액을 각 well의 배지에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였다. 이후 플레이트 바닥에 부착된 불용성의 포르마잔(formazan)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로 용해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8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정상군의 값을 control로 하고 이때의 O.D.(Optical density)값을 세포의 생존도가 100% 라고 정의하고, 나머지 군의 O.D. 값을 상대치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1-4. 활성산소종 ( ROS ) 측정
SH-SY5Y 세포를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분주하고 배양한 후 가감소합향원을 10 또는 50 ㎍/㎖의 농도로 전처리하고 MPP+를 1 mM 농도로 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내 활성산소종 양을 측정하였다.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은 염색시약인 디클로로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H)가 활성산소종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형광물질인 디클로로플루오레세인(dichlorofluorescin; DCF)을 형광광도계(Spectra Max Gemini EM, Molecular Device;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5.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측정
미토콘드리아 전위 및 세포 원형질막 투과성은 Muse MitoPotential Kit (Millipore,MA,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SH-SY5Y 세포를 12 well plate에 분주하고 1 mM의 MPP+만 처리하거나 MPP+와 10 ㎍/ml의 가감소합향원을 함께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1X assay buffer로 세포를 1 X 105 cells/㎖의 농도로 재부유시켰다. 재부유된 세포 100 ㎕와 MitoPotential working solution 95 ㎕를 혼합하여 37℃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5 ㎕의 Muse MitoPotential 7-AAD 시약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Muse Cell 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
1-6. 동물실험 준비
실험용 마우스는 외관상 건강한 웅성의 10주령 ICR 마우스(25~30 g)를 오리엔트바이오(주)에서 구입하였고, 온도 22±1℃, 습도 55±1%, 12시간 명암주기의 통제된 사육실(동국대 일산병원 동물실)에서 사육하되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반입 후 7일 동안 적응 사육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파킨슨병에 대한 가감소합향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 마우스는 무게별로 균등하게 6마리씩 4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따라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처리한 후 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룹명 처리방법
MPTP MPTP-HCL(30 mg/kg)을 복강 투여(5일 동안 24시간 간격)
대조군 식염수만 투여
GGSH low + MPTP 일주일 동안 GGSH 투여(100 ㎎/㎏) 후 MPTP와 약 투여
GGSH high + MPTP 일주일 동안 GGSH 투여(300 ㎎/㎏) 후 MPTP와 약 투여
MPTP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성 신경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신경독성 물질로써 파킨슨병 연구용 동물모델에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MPTP는 메페리딘(meperidine) 유도체의 마약인 1-메틸-4-페닐-4 프로피녹시-피페리딘(1-methyl-4-phenyl-4propinoxy-piperidine)의 합성과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로, 체내에 흡수되어 뇌혈관 장벽(brain-blood barrier)을 통과한 후 성상세포(astrocyte)에서 MAO-B(monoamineoxidase B)에 의해 MPP+ (1-methyl-4-phenylpyridi-nium)로 대사되어 기저핵의 흑질에 있는 도파민성 신경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 I(mitochondrial complex I)을 억제함으로써 세포 독성을 통해 도파민 신경 세포에 손상을 주게 되어, 파킨슨병과 유사한 특징적인 소견들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MPTP를 마우스에 투여함으로써 파킨슨병 동물모델을 구축하여 가감소합향원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1-7. 마우스 행동실험
ROTA ROD 시험은 rota rod 장비(MED associates Inc., VT, USA) 위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처음에는 4 rpm 정도의 속도에 적응시킨 후 4 rpm에서 35 rpm까지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마우스가 원통에서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Challenging beam 시험은 마우스가 약 1 m 정도의 평행한 막대 위를 걷게 하는 방법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막대의 한쪽 끝에는 케이지를 두고 마우스를 막대의 다른 쪽 끝에 올려놓고 걷게 하였으며 이를 총 5회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에서 헛디딤(stepping error) 횟수 및 막대를 건너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Pole 시험은 마우스의 머리를 위로 향하게 한 후 표면이 거칠거칠한 수직의 pole(직경: 8mm, 높이: 55cm) 끝에 두고 마우스가 바닥으로 내려오는 시간을 측정하였다(locomotor activity time, maximum: 60초). 만약에 마우스가 머리 방향을 아래로 향해 돌리지 못하거나 pole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는 locomotor activity time을 60초(default value)로 인정하였으며 총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1-8. 면역조직화학염색법
상기 실시예 1-6의 방법으로 분류한 각 마우스 그룹에 MPTP 또는 식염수를 마지막으로 투여하고 7일 후에 chloral hydrate를 과용량(300 mg/kg)으로 투여하여 마우스를 마취시켰다. 마취된 마우스에 심장천자를 하여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한 후 뇌를 적출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고정하고 30% 수크로오스 용액에 24시간 동안 넣어둔 후 동결조직절편기(cryomicrotome)를 이용하여 조직을 40 mm 두께로 절편하였다. 면역염색은 흑질(substantia nigra; SN) 부분이 포함된 조직 절편을 사용하여 0.05 M 인산완충액(PBS)으로 희석한 3% H2O2 용액으로 10분간 부유한 후 anti-TH(tyrosin hydroxylase)(1:1000; Santa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항체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16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이후 Vectastain Elite ABC kit(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 USA)를 이용하여 발색하여 염색된 도파민 신경세포를 관찰하였다.
1-9. 웨스턴 블롯팅
마우스에서 적출한 뇌에서 선조체(Striatum)를 분리하여 완충액(50 mM Tris-HCl pH7.5, 150 mM NaCl, 2 mM EDTA, 30 mM sodium pyrophosphate, 10 mM NaF, 2 mM Na3VO4, protease inhibitor cocktail)에 넣고 균질화 하였다. 상기 균질액을 12000 rpm으로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은 후 bicinchoninic acid(BCA, Pierce)법으로 단백질 정량을 수행하였다. 이후 상층액에 4X Lammlie의 완충액(62.5 mmol/1 Tris-HCl, pH 6.8, 2% SDS, 20% glycerol, 10% 2-mercaptoethanol)을 넣고 95℃에서 boiling 하였다. 정량된 단백질 시료 50 ㎍을 이용하여 4-12% sodium dodecylsulfate-polyacrylamide gradient gel(Invitrogen) 전기 영동법(SDS-PAGE)을 수행하여 단백질을 크기에 따라 분리하고 트랜스퍼(transnfer) 과정을 통해 전기적인 흐름에 따라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멤브레인(Amersham)으로 옮겼다. 단백질이 결합되어있는 멤브레인을 Ponceau-S로 염색하여 단백질이 완전하게 옮겨졌음을 확인하고 0.1% Tween-20이 포함된 TBS-T(Tris-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한 후 5% skim milk로 30분 이상 블로킹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후 항-TH(tyrosine hydroxylase), β-actin(Cell signaling tech. USA) 1차 항체를 멤브레인에 처리하고 4℃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멤브레인을 TBS-T로 10분씩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와 함께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차 항체 반응 후 멤브레인을 다시 세척하고 enhanced chemiluminiscence system(ECL, Pierce)으로 감광하여 원하는 단백질을 가시화하였다. 단백질의 가시화 및 정량 분석은 이미징 장비(LAS-3000, Fuji)를 이용하였다.
1-10. 영상분석 및 통계 분석
영상분석은 카메라(Leica DFC 480) 및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Leica Q Win V3)을 이용하였고, 100배의 배율로 관찰하였다. 모든 측정값은 평균값 표준편차(mean±S.D.)로 표시하였고, 각 실험군 간의 통계학적 분석은 window용 SPSS Program의 one-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Tukey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전체 실험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에 유의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실시예 2. 가감소합향원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확인
2-1. 세포독성 감소 확인
가감소합향원(GGSH)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감소합향원이 신경독성 물질인 MPP+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독성 유발을 억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에 우선하여, 가감소합향원 자체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SH-SY5Y 세포에 가감소합향원을 5, 10, 50, 또는 100 ㎍/㎖의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감소합향원의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세포독성이 유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에 따라 SH-SY5Y에 가감소합향원을 다양한 농도로 전처리하고 MPP+를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P+만을 처리한 경우 60%의 세포생존율을 보인 반면, 가감소합향원을 전처리한 경우에는 처리 농도에 관계없이 모두 약 70%의 세포생존율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가감소합향원이 MPP+에 의한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2. 세포 내 활성산소종 감소 확인
파킨슨병의 원인 중 하나인 신경변성은 산화적 스트레스가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가감소합향원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감소합향원이 MPP+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키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1-4의 방법에 따라 SH-SY5Y 세포에 가감소합향원을 전처리하고 MPP+를 처리한 후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P+만을 처리한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활성산소종이 생성된 세포 수가 2배 정도 증가한 반면, 가감소합향원을 전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세포 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가감소합향원이 MPP+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을 감소시킨 것을 알 수 있었다.
2-3.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감소 저해 확인
산화적 스트레스와 더불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상은 신경변성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므로 가감소합향원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감소합향원이 MPP+에 의한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막전위 감소를 저해시키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시예 1-5의 방법에 따라 SH-SY5Y 세포에 MPP+만을 처리하거나 MPP+와 가감소합향원을 함께 처리한 후 세포내 미토콘드리아 탈분극(depolarization)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P+만을 처리한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에 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탈분극에 의해 사멸이 유도된 세포수(depolarized/dead)가 현저히 증가하고 생존 세포수(live)가 크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가감소합향원을 함께 처리한 경우(GGSH+ MPP+)에는 탈분극에 의해 사멸이 유도된 세포수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생존 세포수 역시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가감소합향원이 MPP+ 처리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감소를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가감소합향원의 in vivo 신경보호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감소합향원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in vivo에서 평가하기 위하여,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MPP+의 전구체인 MPTP(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를 마우스에 투여한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신경세포 사멸에 따른 운동기능의 저하가 가감소합향원에 의해 회복되는지 검증하였다.
3-1. Rota Rod Test
MPTP로 유도되는 도파민 세포 사멸로 인해 유발되는 근력과 운동반사의 저하가 가감소합향원으로 회복되는가를 관찰하기 위해, 상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마우스 그룹에 따라 MPTP 또는 가감소합향원을 투여하고 실시예 1-7의 방법에 따라 Rota Rod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염수만 투여한 대조군(control)에서는 400초까지 떨어지는 마우스가 없었으나, MPTP를 단독 투여한 마우스군(MPTP)에서는 평균 230+12초로 마우스가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원통에서 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반면에 가감소합향원을 미리 투여한 마우스군(GGSH low + MPTP 및 GGSH high + MPTP)에서는 마우스들이 각각 평균 320+10 및 315+12초에 떨어지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MPTP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원통에서 떨어지는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2. Challenging Beam Test
Rota Rod Test에 이어 마우스의 운동 협응 기능과 균형감각 회복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7의 방법에 따라 Challenging Beam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control)의 경우 스텝당 발을 헛디딘 횟수(errors per step)가 5회 실시 평균 0.05+0.005로 매우 적었으나, MPTP를 단독 투여한 마우스 군(MPTP)에서는 평균 0.3+0.1로 횟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가감소합향원 투여 마우스군(GGSH low + MPTP 및 GGSH high + MPTP)에서는 각각 0.15+0.08, 0.2+0.04로 그 횟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도 5b의 각각의 막대 넓이에 따른 헛디딤 횟수 평균 결과와도 상응하였다. 이에 더하여 막대를 건너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감소합향원을 미리 투여한 마우스군에서는 MPTP 단독 투여 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시간이 단축된 것을 확인하였다.
3-3. Pole Test
마지막으로 가감소합향원에 의한 무운동성과 경직반응 회복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7의 방법에 따라 Pole test를 실시하였다.
Pole test를 실시한 후 마우스가 50 cm의 막대를 내려오기 위해 아래로 향하는 시간(orient down time)과 내려오는데 걸리는 시간(traverse down time)을 측정한 결과, 도 6a 및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control)의 경우 각각 1.25+0.18와 7+3.1초가 걸린 반면, MPTP를 단독으로 투여한 마우스군(MPTP)에서는 2.7+0.5와 12+3.5초로 걸리는 시간이 2배 이상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가감소합향원을 미리 투여한 마우스군(GGSH low + MPTP 및 GGSH high + MPTP)에서는 각각 1.7+0.4, 1.8+0.6과 9+1.5, 8.2+1.9초로 MPTP 투여군에 비하여 시간이 유의하게 단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가감소합향원이 MPTP와 같은 신경독성 물질 투여에 의한 파킨슨병의 특징적인 경직, 운동완서, 자세불안, 진전과 같은 운동능력의 저하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가감소합향원의 도파민 세포사멸 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 및 3을 통하여 in vitroin vivo에서 가감소합향원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가감소합향원이 실제로 MPTP에 의해 유도되는 도파민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였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가감소합향원을 투여한 마우스 뇌를 적출한 후 흑질과 선조체를 분리하여 상기 실시예 1-8과 1-9의 방법에 따라 각각 면역조직화학염색법 및 웨스턴 블롯팅을 수행하여 TH(tyrosine hydroxylase)의 발현량을 관찰하였다.
TH는 도파민 생합성 관련 신경에 포함된 tyrosine으로부터 도파민과 에피네프린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속도조절을 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TH는 포유동물의 중추신경계에서 시상하부, 중뇌, 뇌간, 및 후각신경구 등의 특정부위에서만 제한적으로 발현되어 높은 조직 특이성을 나타낸다. 특히 도파민 신경세포의 분화가 적절히 일어나지 못하거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중뇌 도파민 신경세포 사멸 후 적절한 TH 유전자의 발현조절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파킨슨병의 병리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해 흑질에서의 TH 발현을 통해 도파민 신경세포 수를 확인한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TP만 투여한 마우스의 흑질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도파민 세포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가감소합향원을 미리 투여한 경우에는 도파민 신경세포 수가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선조체에서의 TH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TP만 투여한 마우스에서는 TH의 발현이 감소된 반면 가감소합향원을 미리 투여한 경우 TH의 발현이 다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흑질과 선조체에서 가감소합향원이 MPTP 투여에 의한 도파민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단삼, 필발, 천궁, 육두구, 포황, 정향, 백단향, 및 소합향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단삼 15-35 중량%, 필발 10-30 중량%, 천궁 10-30 중량%, 육두구 5-25 중량%, 포황 1-20 중량%, 정향 0.5-15 중량%, 백단향 0.5-15 중량%, 및 소합향 0.3-13 중량%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 또는 보조제(additi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118695A 2015-08-24 2015-08-24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4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95A KR101704918B1 (ko) 2015-08-24 2015-08-24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695A KR101704918B1 (ko) 2015-08-24 2015-08-24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918B1 true KR101704918B1 (ko) 2017-02-09

Family

ID=5815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695A KR101704918B1 (ko) 2015-08-24 2015-08-24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91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11A1 (ko) * 2018-02-01 2019-08-0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력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CN111920823A (zh) * 2020-09-11 2020-11-13 兰州大学 丹参内酯在制备治疗帕金森病的药物中的应用
KR20210102543A (ko) 2020-02-11 2021-08-20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3702520A (zh) * 2021-08-17 2021-11-26 中南民族大学 一种荜茇药材质量控制的方法
KR20230043648A (ko) * 2021-09-23 2023-03-31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6952A (ko) 2022-11-04 2024-05-16 주식회사 에버바이오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306B1 (ko) * 2005-03-31 2007-02-06 아미코젠주식회사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뇌신경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54865B1 (ko) * 2007-09-28 2010-04-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필발로부터 분리된 세포접착저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염증성 질환 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29699B1 (ko) * 2010-09-29 2011-04-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쯔하이머 치매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30130069A (ko) * 2011-03-29 2013-11-29 주식회사 바이로메드 신경질환의 치료 및 기억력 감퇴 개선용 생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306B1 (ko) * 2005-03-31 2007-02-06 아미코젠주식회사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뇌신경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54865B1 (ko) * 2007-09-28 2010-04-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필발로부터 분리된 세포접착저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염증성 질환 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29699B1 (ko) * 2010-09-29 2011-04-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쯔하이머 치매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30130069A (ko) * 2011-03-29 2013-11-29 주식회사 바이로메드 신경질환의 치료 및 기억력 감퇴 개선용 생약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11A1 (ko) * 2018-02-01 2019-08-0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육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력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KR20210102543A (ko) 2020-02-11 2021-08-20 엠테라파마 주식회사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920823A (zh) * 2020-09-11 2020-11-13 兰州大学 丹参内酯在制备治疗帕金森病的药物中的应用
CN111920823B (zh) * 2020-09-11 2022-09-06 兰州大学 丹参内酯在制备治疗帕金森病的药物中的应用
CN113702520A (zh) * 2021-08-17 2021-11-26 中南民族大学 一种荜茇药材质量控制的方法
CN113702520B (zh) * 2021-08-17 2022-09-16 中南民族大学 一种荜茇药材质量控制的方法
KR20230043648A (ko) * 2021-09-23 2023-03-31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2533B1 (ko) 2021-09-23 2024-04-02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6952A (ko) 2022-11-04 2024-05-16 주식회사 에버바이오 두메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9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2727586B (zh) 预防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
JP6031662B2 (ja) 認知機能低下改善用組成物
US20100272837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compositions for treating depression , formulation thereof,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hereof
WO2021215598A1 (ko) 뇌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369931B2 (ja) 抗肥満剤
US20160136218A1 (en)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Disease Therapy
KR20120045591A (ko)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KR10198741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JP2018506524A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6882B1 (ko) 고구마 줄기 또는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grawal et al. Pumpkin seeds and oil as sources of bioactiv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s: A review
KR20150106074A (ko)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1864425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통증 완화 또는 치료제
DE202007002146U1 (de) Neue Kräuterzusammensetzung
CN113181205B (zh) 包括nmn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101600745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1561A (ko) 가는실해면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0280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건강 및 삶의 질 개선용 조성물
Naman et al. Anti-Anaemic Potential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Mucuna Pruriens on Phenylhydrazine (Phz) Induced Anaemic Albino Wistar Rats
KR20190073099A (ko) 운카리아 린초필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