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074A -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06074A KR20150106074A KR1020140028097A KR20140028097A KR20150106074A KR 20150106074 A KR20150106074 A KR 20150106074A KR 1020140028097 A KR1020140028097 A KR 1020140028097A KR 20140028097 A KR20140028097 A KR 20140028097A KR 20150106074 A KR20150106074 A KR 201501060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days
- memory
- weight
- hippocamp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천마, 석창포, 당귀, 천궁, 감초, 계지, 원지 및 육계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식품 또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제약 조성물은 뇌질환 개선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으므로 이를 요하는 식품, 또는 의약으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천마, 석창포, 당귀, 천궁, 감초, 계지, 원지 및 육계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식품 또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경제발전에 따라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뇌졸중과 같은 뇌혈관질환과 뇌신경세포의 손상 또는 퇴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치매(dementia) 환자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치매는 뇌세포의 손상에 의한 결과이다. 치매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뇌신경세포의 점진적인 손상 떠는 퇴화에 기인한 알츠하이머성 치매(demetia of the Alzheimer)이다. 이 질환은 β-아밀로이드와 같은 독성물질이 뇌에 축적되어 신경세포의 세포벽을 파괴한다. β-아밀로이드는 대뇌겉질의 신경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에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활성상태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 신경의 회로가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못하게 만든다.
둘째, 뇌출혈이나 뇌경색에 의해서 나타나는 혈관성 치매(vascualr dementia)이다. 대뇌 겉질영역의 뇌신경세포가 빠르게 손상되면서 사지마비, 보행장애와 같은 다양한 신경학적인 증상들이 동반된다.
최근 인구의 고령화와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말미암아 뇌졸중(stroke)의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화에 의한 치매(dementia)와 같은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허혈성 뇌졸중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 중 악성종양 다음으로 많으며, 사망하지 않더라도 대개는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국가 경제적으로 심각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신경계질환은 뇌졸중, 치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 질환은 뇌신경세포의 괴사 또는 변성에 의한 것이다.
기억은 예전에 어떤 경험이나 습득한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회상하거나 재구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을 말한다1). 기억은 해마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과 기억을 통하여서 해마에 장기기억으로 저장된다2). 기억력 감퇴는 노년이 되면서 많이 나타나게 되는데 증상으로는 인지장애, 행동장애를 동반하며 그에 따른 비슷한 증상으로는 알츠하이머병이다3). 그에 대한 연구로는 한약재를 이용한 기억력과 해마 신경세포 생성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 하였다4,5). 또한 뇌를 손상시킨 쥐에 해마의 성장인자를 증강시키면 학습과 기억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6).
알츠하이머병(Alzhimer's disease, AD)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치매의 원인 중 하나로 기억력 감소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등이 일어난다7). AD의 병리학적 소견으로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beta-amyloid protein, APP)이 과도하게 만들어져 뇌 조직에 침착되기 때문이다. AD 환자는 기억력이 감소되며 해마의 신경조직에서는 노인반(senile plaque)을 형성하게 된다3,8). 특히 노년기에 우울증을 동반한 감정표현과 함께 행동장애를 나타내는 환자들에게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해서 형성된 노인반이 보인다. 또한 해마의 신경세포 밀도 및 신경 세포의 활성이 줄어든다고 하였다9).
장기적 기억, 공간 지각 기능, 감정표현, 행동의 패턴 등은 해마와 편도가 관여한다. 해마는 장기 기억의 형성과정과 학습, 감정행동 등을 조절한다2). 해마의 신경세포는 신경의 발생 시기 동안만 아니라 그 이후에도 새롭게 생성된다10,11). 그 때문에 해마의 신경세포들은 약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새롭게 형성되거나 기능의 회복 또는 활성화가 가능하다12,13).
한편,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화학적 방법을 통해 개발된 제품들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들이 가지고 있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 부작용 등의 문제로 약효와 안정성이 보장된 천연물 유래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 천연물을 이용한 생약 또는 기능성 제품은 근래에 전 세계의 대부분 국가들에서 고대부터 전해지고 있는 전통요법에 대한 신뢰를 얻으면서 점차 사용량과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통 생약제제나 기타 동식물 혹은 미생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 규명하여 이들을 토대로 의약품, 향장품, 기타 산업적 소재를 연구개발하려는 시도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뇌기능 향상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뇌의 신경세포의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항산화식품의 연구개발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뇌혈관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약물 또는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발명자들은 한방 소재를 활용한 뇌기능 개선을 위한 고부가가치 한방제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된 천마가미방이 기억력감퇴 유발 실험동물에서 기억력이 개선되고 및 치매예방이 증진됨을 발견함으로써 이것이 관련 건강 기능성 식품, 제약 조성물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마, 석창포, 당귀, 천궁, 감초, 계지, 원지 및 육계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식품 또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및 제약 조성물은 뇌질환 개선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으므로 이를 요하는 식품, 또는 의약으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천마가미방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2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3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4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5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6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7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8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림프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9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림프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0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적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1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적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2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혈소판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3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혈소판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4 및 도 15는 실험동물의 해마의 신경밀도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
도 16은 해마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7은 해마의 CA3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8은 해마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9는 해마의 CA3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20은 1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도 21은 1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도 22는 3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도 23은 3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도 2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3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4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5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6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7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8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림프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9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림프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0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적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1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적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2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혈소판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3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혈소판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4 및 도 15는 실험동물의 해마의 신경밀도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
도 16은 해마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7은 해마의 CA3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8은 해마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9는 해마의 CA3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20은 1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도 21은 1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도 22는 3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도 23은 3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천마, 석창포, 당귀, 천궁, 감초, 계지, 원지 및 육계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식품 또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천마(Gastrodia elate Blume)는 다년생 난초과(Orchidaceae)에 속하는 덩이줄기로 뽕나무 버섯(Armillaria mellea)균과 공생하면서 생장하는 식물이다. 약간 구부러지고 납작하게 눌린 원주형-방수형이며, 길이는 5-15, 너비는 2-5, 두께는 1-2 cm이다. 겉은 연한 황백색이나 황갈색이며 광택이 있고 자른 모양은 각질모양이고 약간 투명하며, 횡단면을 절단하고 현미경으로 볼 때 유세포내에서 옥살산칼슘침정을 볼 수 있다. 맛은 달고 냄새가 있다[참조문헌: 차진헌. 실용 동의약학.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일월서각. 서울. 1990.; 김훈, 박진한, 이재혁, 김명규, 김대근, 임종필, 홍승헌, 안지영. 본초생약학. 도서출판 신일북스. 서울. 2012.].
이 식물은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자생하며, 국내에서는 최근 무주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다.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자료에 따르면 전북지역 1,845톤의 생산량 중에서 1,132톤으로 61%가 생산되고 있으며, 무주 지역의 천마 재배가 전라북도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천마는 죽은 나무 뿌리에서 버섯과 공생하여 자라는 생육조건 때문에 국내 유통량과 소비량의 조절이 어려워 대부분이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천마의 성분은 대부분이 페놀성 화합물인데 가스트로딘과 p-히드록시벤질알코올, 파리신(parishin), p(p-히드록시벤질옥시메틸)페놀 글루코오스, 바닐릴 알코올, 트리테르펜 및 시르시움알데히드의 비페놀성 화합물 등의 물질들이 존재하고 있다[참조문헌: Kim JD.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astrodiae Rhizoma water extracts by steaming and drying. Dept. of Food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2011.].
천마의 성분들은 경련을 멈추고 간양을 내리고 풍습을 없애며, 진정작용 및 지상부(천마싹, 적전, 정풍초) 부분은 경련, 부스럼 등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마는 주로 한약재로 이용되는데 다양한 본초학 자료에서 살펴보면 당뇨병, 신경성 질환, 고혈압 및 항혈전과 항산화 작용에 효과적이며, γ-아미노부티르산(GABA)성 신경전달 조절작용, 국소 뇌혈류량 증가 및 혈압 저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저하, 신경세포 보호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중이다[참조문헌: Kim JD.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Gastrodiae Rhizoma water extracts by steaming and drying. Dept. of Food Bio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Joongbu University. 2011.].
석창포(石菖蒲, Acorus tatarinowii SCHOTT gramineus SOLAND.)는 천남성과(Ar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목인 석창포의 근경을 건조한 것이다10,11). 효능으로는 뇌신경 보호작용20), 소화작용, 진정작용, 진통 향균 및 이뇨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13).
당귀(當歸, Angelicae sinensis(OLIV) DIELS)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참당귀 Angelicae gigantis Nakai의 뿌리를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10,11). 효능으로는 혈액순환 작용21), 함염증 작용22),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3).
천궁(川芎, Ligusticum chuanxiong HORT)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궁의 근경을 건조한 것이다10,11). 효능으로는 혈액순환 작용, 뇌경색 효과23), 함염증 작용, 항스트레스 작용, 해독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3).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와 창과감초 G.inflata Bat. 및 광과감초 G. glabra L.의 근 및 뿌리와 잎을 건조한 것으로 사용한다10,11). 효능으로는 함암 작용, 항당뇨 효과, 항산화작용, 함염증 작용, 항궤양 작용, 해독 작용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3,24).
계지(桂枝, Cinnamomum cassia PRESL)은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한 상록교목인 육계 또는 월남육계 및 스리랑카육계의 어린가지를 볕에 말린다10,11). 효능으로는 신경세포 사멸억제 작용, 말초혈액순환 작용, 면역 및 함암 작용, 진통 작용, 향균 작용, 항궤양 작용, 해열 및 소염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3,25,26).
원지(遠志, Polygala tenuifolia WILLD.)는 원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원지 혹은 락엽원지의 뿌리를 건조한다10,11). 효능으로는 뇌신경 보호, 기억력 개선 작용, 항정신성 보호효과, 항염증 및 항균 작용, 면역력 증강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3,27).
상기 천마가미방은 개별 성분들을 적당한 혼합비로 혼합한 후, 3~15배량의 물에 넣고, 95~125℃의 온도에서 3~20 시간 추출기에서 추출한 다음 여과후, 동결건조시켜 얻을 수 있고, 통상의 한약재 추출 방식에 의해 제조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한약재의 배합비율은 천마 30~70 중량부, 석창포 30~70 중량부, 당귀 70~150 중량부, 천궁 30~70 중량부, 감초 30~70 중량부, 계지 30~70 중량부, 원지 15~30 중량부 및 육계 15~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천마 50 중량부, 석창포 50 중량부, 당귀 100 중량부, 천궁 50 중량부, 감초 50 중량부, 계지 50중량부, 원지 25 중량부 및 육계 25 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천마를 이용한 기억력개선효과에 대한 연구로는 뇌경색 시 뇌손상 억제효과21), 뇌손상의 회복효과32), 신경세포 손상 보호와 항산화 증가 효과33)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천마의 추출액이 기억의 형성과 저장과정에 관여하는 해마의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천마가미방을 스코폴라민으로 해마의 신경세포를 손상시킨 흰쥐에 투여하여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나타나는 기억력 감퇴를 억제하고 뇌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실제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제약 및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은 후술하는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뇌질환의 개선을 요하는 질환, 특히 노화-관련 신경퇴화, 노화-관련 인지 감퇴 및 노화-관련 기억력 손상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인간에서, 바람직하게는 노인에서 기억력, 주의력 및 경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물질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뇌질환 개선용 제약 및 건강 보조식품 제품은 포유동물, 특히 사람, 가장 바람직하게는 노인에서 노화 과정과 관련된 결핍증이나, 산화 대사 과정이 역할을 하는 신경 퇴화성 질환, 예를 들어 헌팅톤무도병(Huntington's chorea), 알쯔하이머(Alzheimer) 병, 노인성 치매, 피크(Pick), 병, 코르사코프(Korsakoff) 병, 올리브교소뇌위축,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파킨슨 병, 다운 증후군, 글루타르 에시데미아(glutaric acidaemia), 간질, 경련 상태, 다경색 치매, 인지 장애 비 치매(CIND), 및 바이러스 감염 유도된 신경 퇴화, 특히 신경-AIDS 포위 치매, 인식 곤란, 진행성 구어장애, 운동실조, HIV 감염에 의한 신경장애 및 근 장애, 뇌 손상, 척추 손상, 말초신경 손상 또는 뇌 염증을 포함한 질환을 경감, 완화 또는 치료하는데 치료학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한 개선용 제약 또는 건강 보조식품 제품은 노화 과정에 따른 대사결핍 및 스트레스로부터 뉴런을 보호하고, 저산소증 또는 허혈 예후로 인한 노화 관련 뉴런 손상, 세포내 칼슘 과잉부하로 인한 노화 관련 뉴런 손상, L-글루타메이트에 의해 유도된 노화 관련 뉴런 손상 예후, 산화 스트레스에 기인한 노화 관련 뉴런 손상의 예후를 예방, 방해, 완화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뇌질환 개선용 제약 또는 건강 보조식품 제품은 뇌질환 관련 예후를 방지, 방해 및/또는 완화하고, 주의력 및 기억력과 관련된 뇌 메카니즘을 활성화하며, 인지 작용 감퇴를 방지, 방해 및/또는 개선하며, 주의력 결핍을 예방, 방해 및/또는 개선하며, 노화 과정과 관련된 경계력 감소를 방지, 방해 및/또는 개선하며, 또 장기간 기억력 및 과정 기억력 뿐만 아니라 학습 능력, 주의력 및 경계력을 지지, 유지 및/또는 개선하고 또 노화 과정 동안 정신 건강을 보존/지지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제약 및 건강 보조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천마 추출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결합제(예,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붕해제(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희석제(예, 옥수수전분, 유당, 콩기름, 결정셀룰로오스, 만니톨), 활택제(예,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감미제(예, 백당, 과당, 솔비톨, 아스파탐), 안정제(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파 또는 베타 싸이클로덱스트린, 비타민 C, 구연산, 백납), 보존료(예,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및 향료(예, 에틸바닐린, 마스킹후레바, 멘톨후라보노, 허브향)와 혼합하여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연고제 또는 주사제와 같은 약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또는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은 경구제 또는 비경구제의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또는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의 복용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개인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1 mg∼2000 ㎎/㎏이다. 물론 복용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은 원하는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통상의 보조제 또는 첨가제, 또는 감미료, 예를 들면 감초, 비타민 C, 구연산, 니코틴산,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사카린, 펙틴, 말리톨, 솔비톨, 자일리톨, 구아검, 탈지분유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하여 기호도나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2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음료수는, 예를 들면, 상기 열수 추출물을 0.01~20 중량%으로 넣고, 감초 0.01~2 중량%, 구연산을 0.01~2 중량%, 사과산 0.01~2 중량%, 타우린 0.1∼2 중량%, 비타민 C 0.01~2 중량%, 비타민 B1 0.01~2 중량%, 바이오틴 0.01~2 중량%, 액상과당 0.01~2 중량%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여 기능성 음료수로 제조할 수 있다.
<유효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약제학적 조성물 중 유효성분인 천마가미방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1 내지 2,000 ㎎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IBM SPSS Statistics 19를 이용하여 실험군의 평균ㅁ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평균치의 통계적 유의성은 p<0.05 범위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천마가미방의 제조
실험에 사용한 약재 중 천마는 무주천마사업단에서 공급받았으며 그 외의 약재는 옴니허브에서 구입한 후 정선하여 사용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의 조성물(단위: g)을 물 5,000mL에 넣고 추출기(FD1225A2HST, IlGwang, Seoul, Korea)로 10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얻은 추출액은 감압농축(RV 10 Control, IKA, Staufen, Germany)한 후 순환수조(COOL ACE CA-1500, Eyela, Tokyo, Japan)에서 1차 동결한 다음 동결건조기(FD8508, Ilshin, Dongduchoeon, Korea)로 동결건조 하여 150g의 분말을 얻었다.
약재명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천마 | 50 | 50 | 50 |
석창포 | 50 | 50 | 50 |
당귀 | 100 | 100 | 100 |
천궁 | 50 | 50 | 50 |
감초 | 50 | 50 | 50 |
계지 | 50 | 50 | 50 |
원지 | - | 25 | 25 |
육계 | - | - | 25 |
실시예 4: 제약학적 제제(정제)
실시예 3의 천마가미방 분말 50 mg
락토오스
80 mg
전분
17 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3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10 mg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는 그 예를 상기에 나타낸 정제의 유효 성분으로써 상기 천마가미방의 용도이다. 정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통상의 장용성 피복(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당코팅 또는 피막 코팅을 갖는 정제 또는 연질캅셀 형태이다.
실시예 5: 음료수의 제조
실시예 3에서 얻은 천마가미방 5g, 구연산 20g, 아스파탐 17 g을 첨가한 후 나머지를 정제수로 첨가하여 음료수 10 리터를 제조하여 저온 살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음료수는 종래의 음료수 제품과 입안 감촉, 맛 그리고 종합평가 면에서 양호한 반응을 얻었다.
시험예 1: 관능검사
선발된 35명의 관능 검사요원들에게 사전 교육을 수행하고, 각 시료에 대하여 외관, 색, 향, 맛, 총 기호도 등의 항목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들을 평가한 다음, 매우 좋다(7), 보통으로 좋다(6), 보통이다(5), 그저 그렇다(4), 보통 나쁘다(3), 나쁘다(2), 매우 나쁘다(1)의 7단계로 표시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3 6 ). 그 결과를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
외관 | 5.03±1.07 | 4.71±1.15 | 5.26±1.12 |
색 | 5.26±1.09 | 5.09±1.12 | 5.37±1.00 |
향 | 4.86±0.97 | 5.31±1.02 | 5.51±1.07 |
맛 | 4.26±1.04 | 4.83±1.04 | 5.00±0.97 |
전체 평가 | 4.54±1.07 | 4.77±1.14 | 5.29±0.93 |
상기 표 1 및 도 1의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관과 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향과 맛, 총 기호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게 나왔다. 외관에 대한 평가로는 향이 진하고 갈색이 선명할수록 높은 수치를 보여주어 실시예 3의 시료가 5.26±1.12의 점수를 얻었다. 색에서는 약한 갈색이 있을수록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으며 실시예 3의 시료가 5.37±1.00의 가장 높은 점수를 타나내었으며, 향에서는 첨가된 한약재가 들어갈 수록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맛은 향은 조금 있지만 거부감 들지 않는 맛으로써 실시예 3의 시료가 5.00±0.97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총 기호도에서는 향, 맛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실시예 3의 시료가 5.29±0.93로써 관능평가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3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2: 실험 재료의 처리
1) 실험동물
체중 200±10 g 내외의 7주령 흰쥐(Sprague Dawley)를 샘타고(주, 오산)로 부터 구입하였다. 실험동물은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동물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온도 : 21±2℃, 습도: 50-60%, 12시간 주기 명/암)하에서 일반 고형사료(샘타코, 흰쥐 용)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기억력 감퇴 동물모델 구축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동물은 Scopolamine (-(-)Scopolamine hydrochloride, Sigma-Aldrich. St. Louis, USA) 1 mg/kg을 0.9% 생리식염수 1mL에 용해하여 7일간으로 1일 1회 복강 주사하여 동물모델을 구축하였다.
3) 약물투여
실험군을 표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누어 천마가미방 GG1군 (200 mg/kg), 천마가미방 GG2군 (400mg/kg), 천마가미방 GG5군 (1,000 mg/kg) 3가지 타입별로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10일간, 30일간 1일 1회 구강투여 하였다.
실험군 | 동물수 | 비고 |
Normal 10일 | 3 | Nor-10 |
Scopolamine 10일 | 6 | Con-10 |
Scopolamine + 천마가미방 (200mg/kg) 10일 | 6 | GG1-10 |
Scopolamine + 천마가미방 (400 mg/kg) 10일 | 6 | GG2-10 |
Scopolamine + 천마가미방 (1,000 mg/kg) 10일 | 6 | GG5-10 |
실험군 | 동물수 | 비고 |
Normal 30일 | 3 | Nor-30 |
Scopolamine 30일 | 6 | Con-30 |
Scopolamine + 천마가미방 (200 mg/kg) 30일 | 6 | GG1-30 |
Scopolamine + 천마가미방 (400 mg/kg) 30일 | 6 | GG2-30 |
Scopolamine + 천마가미방 (1,000 mg/kg) 30일 | 6 | GG5-30 |
실험군은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키지 않는 정상군(Nor), scopolamine를 7일간 복강 주사하여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킨 다음 음용수만 10일과 30일 동안 공급한 10일 대조군(C-10)과 30일 대조군(C-30), 대조군에서처럼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킨 다음 음용수에 천마가미방 추출액의 투여농도에 따라 200mg/kg 투여군 (GG1군), 400mg/kg 투여군 (GG2)군, 1,000mg/kg 투여군 (GG5)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약물 투여 10일과 30일 군으로 세분하였다. 실험동물은 각 군마다 6마리씩 사용하였다.
4) 통계처리
실험 결과는 Mean±SD로 나타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평균 차이를 검정할 때에는 Student's t-test로 검정하여 P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시험예 3: 체중의 변화
1) 10일군 체중의 변화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군은 음용수를 공급하였으며, 대조군(Con)은 Scopolamine를 7 일간 복강 주사하여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킨 다음 음용수만 공급하였고, 실험군(GG1, GG2, GG5)은 대조군에서처럼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킨 다음 음용수에 비율별로 다른 실시예 3의 천마가미방 추출액(200 mg/kg), (400 mg/kg), (1,000 mg/kg)을 혼합하여 10일간 투여하면서 체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그 결과 10일 후 체중은 정상군(275.7±2.6g)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268.0±4.0g)을 정상군에 비하여 낮게 나왔고, 실험군인 GG1군(270.3±4.8g)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으며 GG2군(260.5±5.6g), GG5군(259.1±3.4g)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체중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천마의 추출액은 체중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2) 30일군 체중의 변화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군은 음용수를 공급하였으며, 대조군(Con)은 Scopolamine를 7 일간 복강 주사하여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킨 다음 음용수만 공급하였고, 실험군(GG1, GG2, GG5)은 대조군에서처럼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킨 다음 음용수에 비율별로 다른 천마가미방 추출액(200 mg/kg), (400 mg/kg), (1,000 mg/kg)을 혼합하여 30일간 투여하면서 체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체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그 결과 30일 후 체중은 정상군(399.3ㅁ10.2g)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332.4±6.3g)은 정상군에 비하여 낮게 나왔으며, 실험군인 GG1군(338.4±5.4g), GG2군(332.1±9.3g)은 비슷하게 나왔으며, GG5군(357.8±5.3g)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천마의 추출액은 체중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시험예 4: 혈액성분 분석
혈액은 urethane (75 mg/kg)로 복강 투여하여 마취한 다음 흉곽을 열고 심장 채혈을 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EDTA bottle에 넣은 다음 곧바로 혈구측정기 (HEMAVRT 950 FS, Drew-Scientific, Dallas, USA)를 사용하여 백혈구(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적혈구(헤모글로빈 함량, 적혈구 용적), 혈소판 수를 측정하였다.
1) 백혈구의 변화
1-1) 10일군 백혈구의 변화
10일 동안 실시예 3의 천마가미방 추출액을 투여한 다음 백혈구를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6.36±0.67 k/μL)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5.18±0.46 k/μL)은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실험군은 GG1군(6.21±0.81 k/μL)은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며 GG2(4.82±0.69 k/μL), GG5군(4.82±0.90 k/μL)은 비슷하였다.
1-2) 30일군 백혈구의 변화
30일 동안 천마가미방 추출액을 투여한 다음 백혈구를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도 5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7.89±0.66 k/μL)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5.86±0.59 k/μL)은 정상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실험군은 GG1(6.72±0.28 k/μL)은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며 GG2(5.15±0.57 k/μL), GG5군(5.43±0.85 k/μL)이 비슷하였다.
2) 호중성백혈구의 변화
2-1) 10일군 호중성백혈구의 변화
10일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23.61±2.31%)에 비하여 대조군(27.05±2.27%)이 다소 높았으며, 실험군에서는 GG1군(32.01±3.48%)이 정상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가장 높게 증가하였으나 GG2군(27.25±3.33%), GG5군(27.23±3.40%)은 정상군이나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2-2) 30일군 호중성백혈구의 변화
30일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호중성백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28.43±1.18%)에 비하여 대조군(27.675±1.57%)이 다소 비슷하였으며, 실험군에서는 GG5군(33.82±2.71%)은 정상군이나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며 GG2군(28.68±2.02%)은 정상군과 비슷하였으나 GG1군(24.66±1.77%)은 다소 감소하였다.
3) 림프구의 변화
3-1) 10일군 림프구의 변화
10일 림프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림프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72.66±3.16%)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66.25±2.09%)은 다소 낮았으며, 실험군인 GG2군(68.32±3.55%), GG5군(67.64±3.27%)은 대조군에 다소 비슷하며 GG1군(62.62±4.20%)은 조금 낮았다.
3-2) 30일군 림프구의 변화
30일 림프구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림프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67.36±1.82%)이 대조군(66.01±1.91%)에 비슷하였으며 실험군인 GG1군(70.30±2.06%)이 정상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가장 높았으며 GG2군(64.87±2.25%), GG5군(62.23±2.51%)은 대조군에 비해 다소 낮았다.
4) 적혈구의 변화
4-1) 10일군 적혈구의 변화
10일 동안 천마 추출액을 투여한 다음 적혈구 수를 측정한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적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8.94±0.21 M/μL), 대조군(8.98±0.14 M/μL), GG1군(8.90±0.19 M/μL), GG2군(9.32±0.10 M/μL), GG5군(9.11±0.13 M/μL) 모두 비슷하였다.
4-2) 30일군 적혈구의 변화
30일 동안 천마 추출액을 투여한 다음 적혈구 수를 측정한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적혈구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10.32±0.34 M/μL)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9.32±0.23 M/μL)은 가장 낮았다. 실험군 GG1군(10.20±0.21 M/μL)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으며 GG2군(9.65±0.16 M/μL)과 GG5군(10.02±0.72 M/μL)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5) 혈소판 수의 변화
5-1) 10일군 혈소판 수의 변화
10일 혈소판 수를 측정한 결과는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는 기억력 감퇴 쥐에서 10일 후 혈소판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972.00±40.22 k/μL)에 비하여 대조군(868.50±22.91 k/μL)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실험군인 GG1군(981.17±44.75 k/μL)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GG2군(890.83±40.30 k/μL), GG5군(931.57±42.49 k/μL)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5-2) 30일군 혈소판 수의 변화
30일 혈소판 수를 측정한 결과는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기억력 감퇴 쥐에서 30일 후 혈소판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이 결과로부터, 정상군(933.00±18.50 k/μL)에 비하여 대조군(856.71±66.90 k/μL)은 감소하였다. 실험군인 GG1군(907.57±38.05 k/μL), GG2군(904.14±30.31 k/μL), GG5군(893.33±38.34 k/μL)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시험예 5: 광학현미경 관찰
실험동물을 우레탄(75 mg/kg)로 마취시키고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100mL에 이어 4%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을 심장을 통하여 동일한 속도로 천천히 관류고정 하였다. 그 다음 뇌를 꺼내 같은 고정액에 넣어 4℃에서 보관하였다.
해마(hippocampus)를 관찰하기 위하여 흰쥐를 도살한 후 각각 조직을 적출하여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24시간 고정시킨 다음, 30, 50, 70, 80, 90, 95, 100Ⅰ, 100Ⅱ와 같이 알코올 농도를 상승시켜 조직 속의 수분을 제거한 후 xylene으로 투명화 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으로 포매하였고, 포매된 조직을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5㎛ 두께로 절편하였다. 절편한 조직을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부착시키고 xylene으로 파라핀을 제거한 다음 100%, 90%, 80% 에탄올과 같이 농도가 낮아지는 순으로 5분씩 담구어 함수과정을 거치게 하였다. Cresyl violet 염색을 한 다음 탈수 후 카나다 발삼(Canada balsam)으로 봉입하고 카메라 부착 광학현미경(Nikon Eclipse 80i, Tokyo, Japan)으로 관찰한 후 사진을 촬영하였다. 또한 염색이 끝난 조직은 염색이 끝난 조직은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저배율(x 100)에서 신경세포의 밀도를 Scion image program(Scion Corp., MD,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10일군 해마의 신경세포 밀도의 변화
스코폴라민(scopolamine)을 7 일간 복강 주사하여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킨 다음 음용수만 공급하여 실험동물에 대한 해마의 신경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4 및 도 15는 실험동물의 해마의 신경밀도를 나타내는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이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Con)은 정상군(Nor)에 비하여 신경조직의 밀도가 낮고 그 수가 감소하였다(도14, A,B). 모든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해마의 신경세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GG1군(200 ㎎/㎏/day)과 GG2군(400 ㎎/㎏/day)에 비하여 GG5군(1,000 ㎎/㎏/day)의 해마에서 신경세포의 밀도와 조직학적 형태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었다(도 14, C,D,E).
2) 30일군 해마의 신경세포 밀도의 변화
또한, 도 15로부터 스코폴라민을 7 일간 복강 주사하여 해마의 신경세포를 손상시킨 다음 음용수만 공급한 대조군(Con)은 정상군(Nor)에 비하여 신경조직의 밀도가 낮고 그 수가 감소하였다(도 15, A,B), 모든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해마의 신경세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GG1군 (200 ㎎/㎏/day)과 GG2군(400 ㎎/㎏/day)에 비하여 GG5군(1,000 ㎎/㎏/day)의 해마가 신경세포의 밀도와 조직학적 형태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었다(도 15, C,D,E).
시험예 6: 해마의 세포밀도 측정
1) 10일군 CA1 영역의 신경세포 밀도
실험동물에 스코폴라민을 7일간 복강 주사하여 해마를 손상시킨 다음 실시예 3의 천마가미방을 10일간 투여한 후 흰쥐를 도살하여 뇌 조직을 적출한 다음 조직표본을 만들어 cresyl violet으로 염색한 다음 Scion image program(Scion Corp. MD, USA)을 이용하여 세포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6은 해마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해마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는 대조군(115.0±2.03 density)은 정상군(131.8±2.31 density)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천마가미방 추출액을 투여한 실험군인 GG1군(115.9±2.04 density)은 대조군과 비슷하였으나, GG2군(141.7±2.43 denstiy)과 GG5군(131.6±1.88 density)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신경세포의 밀도가 증가하였다.
2) 10일군 CA3 영역의 신경세포 밀도
도 17은 해마의 CA3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해마의 CA3 영역의 신경세포 밀도 또한 정상군(131.8±2.78 density)에 비하여 대조군(117.6±2.38 density)은 유의성 있게 낮았다. 천마가미방 추출액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GG5군(137.7±3.12 denstiy), GG2군(130.9±2.64 density), GG1군(123.4±2.09 density)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3) 30일군 CA1 영역의 신경세포 밀도
실험동물에 스코폴라민을 7 일간 복강 주사하여 해마를 손상시킨 다음 천마추출액을 30일간 투여한 후 흰쥐를 도살하여 뇌 조직을 적출한 다음 조직표본을 만들어 cresyl violet으로 염색함 Scion image program(Scion Corp. MD, USA)을 이용하여 세포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은 해마의 CA1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해마의 CA1 영역의 신경세포 밀도는 대조군(108.4±1.65 density)은 정상군(135.2±2.11 density)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다. 천마가미방 추출액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GG1군(115.8±2.20 denstiy), GG2군(122.6±3.28 density), GG5군(124.4±4.43 density)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았다.
4) 30일군 CA3 영역의 신경세포 밀도
도 19는 해마의 CA3 영역에서 신경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해마의 CA3 영역의 신경세포 밀도 또한 대조군(107.3±1.02 density)은 정상군(128.8±2.39 density)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다. 천마가미방 추출액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X 군(115.0±1.45 density), 2X 군(117.9±2.29 density), 5X 군(121.2±2.76 denstiy)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았다.
시험예 7: PAS 염색
뇌 조직 절편을 농도가 높은 순에서부터 낮은 순으로 알코올을 이용한 탈수 과정을 거친 후 증류수로 2~3번 수세한 후 0.5% Periodic acid와 함께 5분간 실온에서 배양하고 증류수로 3회에 걸쳐 수세한다. Schiff's reagent로 15분간 실온에서 처리한 후 흐르는 물에 5분간 수세하였다. Hematoxylin 용액으로 2분간 실온에서 처리하고 이어서 흐르는 물에 10분간 수세하였다. 농도가 낮은 순에서부터 높은 순으로 알코올을 이용한 탈수 과정을 거친 후 Canada balsam으로 봉입하였다.
실험동물에 스코폴라민을 7 일간 복강 주사하여 해마를 손상시킨 다음 실시예 3의 천마가미방 추출액을 10일 동안 투여하였다. 실험군은 GG1(200 ㎎/㎏/day) 투여군, GG2(400 ㎎/㎏/day) 투여군, GG5(1,000 ㎎/㎏/day) 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1) 1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PAS 염색
도 20은 1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정상군(A) 흰쥐 해마에서 정상적인 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대조군 (B)은 다수의 신경세포들이 불활성화 되어 핵질이 응축되어 있었으며 신경섬유들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높은 PAS-양성반응을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신경아교세포들의 수가 매우 증가하였다. GG1군(C)은 대부분의 신경세포는 핵의 핵질이 고르고 뚜렷한 핵소체가 관찰되었다. 신경섬유들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PAS-양성반응을 보여주었다. GG2군(D)은 다수의 신경세포들이 불활성화 상태로 되어 핵질이 응축되어 있었으며 정상군에 비하여 다수의 신경아교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신경섬유영역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PAS-양성반응을 보여주었다. GG5군(E)은 여전히 소수의 신경세포들이 불활성화 상태로 되어 핵질이 응축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신경세포는 핵질이 고르고 핵소체가 발달해 있었다. 정상군에 비하여 다수의 신경아교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신경섬유 영역은 대조군에 비하여 PAS-양성반응이 낮았다.
1-2) 1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PAS 염색
도 21은 1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정상군(A) 흰쥐의 해마에서는 핵이 둥글고 핵질은 고르며 핵소체가 뚜렷한 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대조군(B)에서는 다수의 신경세포들이 불활성화되어 핵질이 응축되어 있었으며 신경섬유들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높은 PAS-양성반응을 보여주었다. 전반적으로 신경아교세포들의 수가 매우 증가하였다. GG1군(C)은 소수의 신경세포들이 불활성화되어 핵질이 응축되어 있었으나 대부분의 신경세포는 핵이 뚜렷이 관찰되었고 핵질은 고르고 핵소체가 발달해 있었다. 신경섬유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PAS-양성반응은 낮았고, 아교세포 또한 감소하였다. GG2군(D)에서는 신경세포 핵들이 다소 응축되어 나타났으며 신경섬유는 PAS-양성반응이 정상군과 비슷하게 관찰되었으나, 신경아교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GG5군(E)는 응축된 신경세포의 수가 다소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PAS-양성반응도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3) 3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PAS 염색
도 22는 30일군 해마의 CA1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정상군(A) 흰쥐 해마의 신경세포는 세포체가 뚜렷하였으며, 핵은 둥글고 핵소체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대조군(B)은 다수의 신경세포들이 scopolamine의 독성으로 손상되어 핵과 세포질이 응축되어 있었다. 신경섬유들은 손상되어 정상군에 비하여 다소 엉켜있었다. 신경아교세포들의 수가 정상군에 비하여 매우 증가하였다. GG1군(C)은 소수의 신경세포의 핵들이 불활성화되어 핵질이 응축되어 있었다. 신경세포는 둥근 핵과 뚜렷한 핵소체를 갖고 있었으나 세포질 용적은 정상군에 비하여 적었다. GG2군(D)은 대부분의 신경세포핵은 둥글고 핵소체가 뚜렷하였으며 신경섬유는 대조군에 비하여 손상되지 않았다. 신경아교세포는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GG5군(E)은 신경세포의 세포질 염색양상은 정상군과 비슷하였으며, 핵은 정상군에서 처럼 둥글고 핵소체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신경아교세포의 밀도는 정상군과 비슷하였다.
4) 3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PAS 염색
도 23은 30일군 해마의 CA3 영역에 대한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정상군(A) 해마의 신경세포는 핵이 둥글고 핵소체가 발달해 있었으며 세포질 영역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소수의 신경아교세포가 신경세포와 함께 있었다. 대조군(B)의 해마 신경세포는 scopolamine에 의해 손상되어 신경세포의 핵과 핵소체, 세포질이 응축되어 있었다. 신경세포와 함께 다수의 신경아교세포들이 관찰되었다. GG1군(C)의 신경세포는 핵은 둥글게 관찰되었으나 핵소체는 뚜력하지 않았으며 세포질의 염색성도 정상군에 비하여 낮았다. GG2군(D)은 신경세포의 염색성은 전반적으로 정산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핵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신경아교세포의 수는 정상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GG5군(E)의 신경세포는 핵막이 둥글고 핵소체가 발달해 있었으며 세포질 영역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세포질의 염색성 또한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신경아교세포는 소수 관찰되었다.
이상의 시험예의 결과로 부터, 기억력 감퇴 질환인 해마의 신경독성에 대한 천마가미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흰쥐에 체중, 백혈구와 적혈구 및 혈소판 수를 조사하고, 광학현미경 관찰과 PAS 염색을 통한 신경세포의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체중변화에 있어서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유의성 있는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하여 약물의 독성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백혈구와 적혈구 및 혈소판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유의성 있는 증가는 보이지 않았지만 약물에 대한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3. 광학 현미경 관찰에서는 대조군의 신경세포 밀도가 낮고 그 수가 감소하였으며 실험군 해마의 신경세포 밀도와 조직학적 형태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4. 해마의 신경세포 밀도에 있어서 대조군 해마의 신경세포의 핵은 응축되거나 손상되어 있었으며 실험군 신경세포의 핵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실험군 중에서 10일군보다 30일군에서 해마의 CA1과 CA3 영역에서 신경세포의 밀도가 유의성 있는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5. PAS stain을 관찰에서는 대조군에 신경세포들이 불활성화 되어 핵질이 응축되어 있었으며 PAS-양성반응이 높았고 신경아교세포 수가 증가하였으며 실험군에서 신경세포 핵의 핵질이 고르고 뚜렷한 핵소체가 관찰되었으며 신경섬유들에서는 PAS-양성반응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보아 천마가미방의 투여가 기억력 감퇴 모델에서 나타나는 기억력 감퇴를 억제하고 뇌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실제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Ⅳ. 참고문헌
1. 이대희. 그림으로 보는 신경학. 서울 : 대한의학서적. 2009 : 134-7.
2. Robert J. McDonald and Norman M. White. Mec. A Triple Dissociation of Memory Systems: Hippocampus, Amygdala, and Dorsal Striatum. Behavioral Neuroscience. 1993 ; 107:(1) : 3-22.
3. 이광우. 임상신경학 제 5판. 서울 : 범문에듀케이션. 2013 : 164-73.
4. Koh JE. Effects of Gamisingi-hwan on age-relatedmemory function, apoptotic neuronal cell death, and hippocampal neuronal plasticity.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Korea. 2010.
5. Lee SH. The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on spatial menory and neurogensis in the dentate gyrus of the hippocampus of adult rat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2010.
6. Heo M, Bang YS. Effects of Memory and Learning Training on Neurotropic Factor in the Hippocampus after Brain Injury in Ra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09 ; 9:(2) : 309-17.
7. 해리슨 내과학 편찬위원회. HARRISON'S 내과학 제 2권. 서울 : 도서출판 MIP. 2003 : 2466-69.
8. Sohn YK. Neuropathologic Features and Recent Molecular Advances in Biologic Studies of Alzheimer's Disease. Keimyung Med J. 1997 ; 16(3) : 323-38.
9. Jang KH, Kim JH, Ahn IS, Kim DK.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ccording to Severit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09 ; 13 : 77-82.
10. Gordon Winocur, J. Martin Wojtowicz, Melanie Sekeres, Jason S. Snyder, Sabrina Wang. Inhibition of Neurogenesis Interferes With Hippocampus-Dependent Memory Function. Hippocampus. 2006 ; 16 : 296~304.
11. Benedetta Leuner, Elizabeth Gould, Tracey J. Shors. Is There A Link Between Adult Neurogenesis and Learning. Hippocampus. 2006 ; 16 : 216~224.
12. Eriksson, PS. Perfilieva E. Bjork-Eriksson T. Alborn AM. Nordborg C. Peterson DA. Gage FH. Neurogenesis in the adult human hippocampus. Nat Med. 1998 ; 4(11) : 1313-7.
13. Gordon Winocur, Suzanna Becker, Paul Luu, Shira Rosenzweig, J.Martin Wojtowicz. Adult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memory interference. Behavioural Brain Research. 2012 ; 227 : 464~469.
14. 전국한의학과대학 본초학교실. 본초학. 서울 : 영림사. 2000 : 504-5, 523, 578, 409, 540, 124, 496.
15. 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 영림사. 2008 : 628, 604, 236, 530, 172, 310, 646.
16.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약리학 제3판. 서울 : 영림사. 2008 : 89-93, 56-9, 345-50, 486-8, 116-20, 126-9, 69-72.
17. 서부일, 정국영. 알기 쉬운 본초학. 대구 : 대구한의대학교출판부. 2007 : 369, 384, 431, 282, 401, 16, 358.
18. Kim DH, Kim HY, Jang EY, Yang CH,
Roh SS. The study on chemical components and korean medical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동서의학 2012 ; 37(3) : 41-55.
19. Han JE. Anti-ischemic activity of Gastrodia elata Blume.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2003.
20. 이주용, 구자승, 이동은, 신정원, 김성준, 손낙원. 천마가 뇌조직출혈 흰쥐의 뇌부종과 Aquaporins 발현에 미치는 영향. Kor. J. Herbology. 2010 ; 25(4): 85-93.
21. Lee JH.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s, p-hydroxybenzyl alcohol and p-hydroxybenzaldehyde of Gastrodia elata blume on brain damage in rat ischemic model. Inja University. Gimhae, Korea. 2005.
22. Qian YR. Molecular analysis of anti-stress effects by Gastrodia elata on catecholamine biosynthesis pathway. Chosun University. Guangzhou, Korea. 2004.
23. Kwon SU. Anti-diabetic Effect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on STZ-induced Type 1 Diabetic Mice.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2012.
24. Kang SJ.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Rhizoma Acori Gramine extract agaist cerebral ischemia in rats. Kyurgsan University. Kyoungbuk, Korea. 2001.
25. Kim YS. Study on the Effects of Angelicae sinensis Radix on Thrombosis. Kor. J. Herbology. 2000 ; 15(1) : 53-7.
26. Choi SW, Kim EO, Leem HH, Kim JK.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olatile Flavor Extracts from Cnidium officinale and Angelica gig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 41(8) : 1057-65.
27. Baek IS, Park CS, Park CG. The Effects of Cnidium Officinale extract on the Ischemic Stroke and Oxidative Neural Damage in Rats` Brain. Kor. J. Herbology. 2003 ; 18(4) : 37-46.
28. Park YC, Lee SD, Lee IS. Pharmalogical Effects and Toxicity of Licorice. J. Toxicol. Pub. Health. 2002 ; 18(3) : 301-9.
29. 이지원. 계지, 도인, 망초 혼합물의 항관절염 및 항염효과. 경희대학교 동서의 학대학원 . 2013.
30. 이태현. 계지, 과체, 백자인의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 억제 효과. 대전 대학교 대학원. 2008.
31. Lee JH, Lee BH, Kim CY, Roh SS . Korean Medical Study of Relation with Chemical Components and Pharmacological Effects. The Journal of Applied Oriental Medicine. 2010 ; 10(1) : 25-33.
32. Kim JH. Hwang HJ. Kim HY. Hahm DH. Lee HJ. Shim IS.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Gastrodia elata on Learning and Memory Processes. J Korean Oriental Med. 2002 ; 23(2) : 125-38.
33. 정영수, 강재현, 박세환, 권영미, 김근우, 구병수. 치매병태모델에서 천마의 신경세포 손상 보호효과.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0 ; 21(2) : 125-140.
34. Corina Bejar, Rui-Hua Wang, Marta Weinstock. Effect of rivastigmine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1999 ; 383(3) : 231~240.
35. Mi-Ra Lee, Beom-Sik Yun, Sun-Young Park, Sun-Young Ly, Sung-Nam Kim, Byung-Hee Han, Chang-Keun Sung. Anti-amnesic effect of ChongMyungTang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s in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0 ; 132 : 70~74.
36. Chu HN, Kim JS, Kim KO, Jeong JK. Effect of functional componet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e Rhizome by different drying condition. Kor. J. Herbology 2012 ; 27(6) :139-45.
Claims (3)
- 천마, 석창포, 당귀, 천궁, 감초, 계지, 원지 및 육계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식품 또는 제약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물은
개별 성분들을 적당한 혼합비로 혼합한 후, 3~15 배량의 물에 넣고, 95~125℃의 온도에서 3~20 시간 추출기에서 추출한 다음 여과후, 동결건조시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식품 또는 제약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의 배합비율은 천마 30~70 중량부, 석창포 30~70 중량부, 당귀 70~150 중량부, 천궁 30~70 중량부, 감초 30~70 중량부, 계지 30~70 중량부, 원지 15~30 중량부 및 육계 15~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뇌질환 개선용 식품 또는 제약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097A KR20150106074A (ko) | 2014-03-11 | 2014-03-11 |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097A KR20150106074A (ko) | 2014-03-11 | 2014-03-11 |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6074A true KR20150106074A (ko) | 2015-09-21 |
Family
ID=5424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097A KR20150106074A (ko) | 2014-03-11 | 2014-03-11 |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0607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28570A (zh) * | 2016-12-21 | 2017-05-31 | 哈尔滨商业大学 | 一种防治糖尿病认知障碍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
KR20180082262A (ko) * | 2017-01-10 | 2018-07-18 |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2014
- 2014-03-11 KR KR1020140028097A patent/KR201501060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28570A (zh) * | 2016-12-21 | 2017-05-31 | 哈尔滨商业大学 | 一种防治糖尿病认知障碍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
CN106728570B (zh) * | 2016-12-21 | 2020-06-26 | 哈尔滨商业大学 | 一种防治糖尿病认知障碍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
KR20180082262A (ko) * | 2017-01-10 | 2018-07-18 |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 갈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망증 치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alder et al. | Herbal drugs and natural bioactive products as potential therapeutics: A review on pro-cognitives and brain boosters perspectives | |
KR101189191B1 (ko) | 용안육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04918B1 (ko)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파킨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US7824714B2 (en) | Chinese herb extract for treating dementi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20080057368A (ko) |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80010961A (ko) |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20190014376A (ko) |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
JP6712056B2 (ja) |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 |
CN1069542C (zh) | 一种治疗慢性肝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 |
KR101793503B1 (ko) |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87418B1 (ko)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 |
KR101228920B1 (ko) |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
KR101345653B1 (ko) |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 |
CN104489172A (zh) | 一种提高免疫力的刺五加保健茶及其制备方法 | |
KR20150106074A (ko) | 천마가미방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
CN100428933C (zh) | 莲原花青素用于制备防治老年痴呆药物的用途 | |
KR100881369B1 (ko) | 감초로부터 분리된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US20230119836A1 (en) | Chinese herbal medicine composition for relieving hearing loss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 |
KR100569089B1 (ko) |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 |
KR101167628B1 (ko) |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 |
KR101911877B1 (ko) |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DE202007002146U1 (de) | Neue Kräuterzusammensetzung | |
KR101914738B1 (ko) | 흑삼 꽃봉오리 및 흑삼 지근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KR102506064B1 (ko) | 익모초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142838B1 (ko) |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 폐경기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