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675B1 -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675B1
KR102165675B1 KR1020180123878A KR20180123878A KR102165675B1 KR 102165675 B1 KR102165675 B1 KR 102165675B1 KR 1020180123878 A KR1020180123878 A KR 1020180123878A KR 20180123878 A KR20180123878 A KR 20180123878A KR 102165675 B1 KR102165675 B1 KR 102165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eptide fraction
peptide
natural caffeine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147A (ko
Inventor
강진영
Original Assignee
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영 filed Critical 강진영
Priority to KR102018012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6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모공개선과 탈모개선 등에 유의한 효능을 발휘하는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밤나무의 과실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을 분리 선별하고 그 분리 선별된 껍질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그 분말에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을 농축하여 스프레이 건조하고, 상기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형성된 화합물 30 - 99중량%와, 천연카페인 1 - 70중량%를 혼합하는 것으로 제조된다.

Description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A cosmetic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n extract extracted from chestnuts or a peptide fraction isolated therefrom and natural caffeine derived from coffee}
본 발명은 피부 모공개선과 탈모개선 등에 유의한 효능을 발휘하는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는 화학성분의 과다 함유로 인해 효능이나 피부 안전성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화학성분의 유해성을 해소하고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무엇보다 화학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보다 피부 및 두피 개선 효과가 월등한 천연물질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화학성분이 포함된 화장료 보다 효능이 우수한 천연물질의 탐색이 어려운 실정이며, 또한 소량 생산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비교적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천연물질들은 상호 간 유기적 결합, 즉 천연물질들을 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각각의 천연물질들이 분자 결합되면서 본래 가지고 있던 성질을 쉽게 상실할 우려가 있고, 또 복수의 천연물질들을 조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고자 할 때, 추출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인체에 부작용이 적으면서 피부와 두피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화장료의 예를 연구한 결과, 밤껍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과 이 추출물에서 분리한 펩타이드 및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가 인체에 부작용이 없음은 물론 피부 모공개선과 탈모개선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미국 등록특허 제4,603,146호(1986.07.29. Methods for retarding the effects of aging of the skin) 일본 등록특허 제10-36283호(2007.06.08.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27432호(2012.03.21.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피부 모공개선 및 탈모개선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피부 모공개선과 탈모개선에 유의한 효능을 발휘하는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밤나무 과실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을 분리 선별한 후, 그 선별된 껍질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그 분말에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을 농축하여 스프레이 건조하며, 상기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형성된 화합물 30 - 99중량%와, 천연카페인 1 - 70중량%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되.
상기 천연카페인은,
커피 원두를 함수율 5% 이하로 건조한 후 0.1 - 5.0mm 입경으로 분쇄한 후, 그 분쇄된 커피 원두를 55℃의 온도, 300bar의 추출압력 조건하에서 CO2 유량을 분당 30g으로, 보조용매로서 95% 주정의 유량을 분당 1.5g으로 하여 100분간 액상추출 및 농축하여 수득하고,
상기 펩타이드 분획물은,
a) 밤껍질에 증류수를 1:3.0-15.0(w/w)의 비율로 첨가한 후, 균질화 및 원심분리한 다음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수득된 여과액에 헥산(hexane)을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외한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침전물을 여과하여 펩타이드의 크기별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추출한 1 - 5kDa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화장료는, 샴푸, 로션, 바디로션, 스킨, 마스크팩,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종래의 피부 모공개선 및 탈모개선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피부 모공개선과 탈모개선에 유의한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탈모방지 샴푸, 기능성 마스크팩, 기능성 화장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여 활용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밤나무의 과실을 둘러싸고 있는 짙은 갈색을 띄는 밤껍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이 추출물에서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천연카페인을 혼합하여 조성된 화장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밤껍질에서 추출한 추출물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과 동시에 MMP(matrix metalloproteinases) 효소의 발현을 억제함이 학계를 통해 보고된 바 있으며, 상기 천연카페인은 두피와 관련된 질환에 효과적이며, 특히 탈모를 예방하는 효과가 탁월함이 각종 논문을 통해 발표되면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물질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밤껍질 추출물 또는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하는데,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제조방법은,
밤나무 과실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을 분리 선별한 후, 그 선별된 껍질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그 분말에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을 농축하여 스프레이 건조하며, 상기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형성된 화합물 30 - 99중량%와, 천연카페인 1 - 70중량%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되.
상기 천연카페인은,
커피 원두를 함수율 5% 이하로 건조한 후 0.1 - 5.0mm 입경으로 분쇄한 후, 그 분쇄된 커피 원두를 55℃의 온도, 300bar의 추출압력 조건하에서 CO2 유량을 분당 30g으로, 보조용매로서 95% 주정의 유량을 분당 1.5g으로 하여 100분간 액상추출 및 농축하여 수득하고,
상기 펩타이드 분획물은,
a) 밤껍질에 증류수를 1:3.0-15.0(w/w)의 비율로 첨가한 후, 균질화 및 원심분리한 다음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수득된 여과액에 헥산(hexane)을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외한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침전물을 여과하여 펩타이드의 크기별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추출한 1 - 5kDa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로 이루어져 천연물질이 상호 유기적인 작용기작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피부와 두피에 모두 유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 물질을 이루는 최소 단위체의 끝단, 즉 상보적 관계에 있는 염기쌍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본래 지닌 효능이 상쇄되는 것이 아니라, 각 물질의 효능이 더욱더 증폭되어 작용효과가 배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를 제조하는 일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밤나무의 과실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을 분리하고 선별한다. 상기 분리 및 선별된 밤나무의 껍질은 신선한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자연건조,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등을 한 상태로 보관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밤나무의 껍질은 잔존하는 협잡물 등이 제거되도록 세척한 후, 살균을 위한 일 실시형태로서 통상의 자숙탱크에 넣어 열수로 자숙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분리 선별된 밤나무의 껍질을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이러한 분말 형태는 분산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삭제
또 상기 단계의 분말에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을 농축하여 스프레이 건조(분무 건조)한다.
상기 단계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밤껍질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밤껍질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냉침추출, 열수추출, 환류추출, 초음파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수분해효소로 바람직하게는 endo-type 또는 exo-type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의 실시예로서, 상기에서 여과액의 부피가 절반 정도로 줄어들 때, 상등액을 분리한 다음, 다시 밤껍질에 증류수를 가하여 상기의 과정을 2 내지 5회 반복할 수 있다. 이로써 유효성분의 회수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의 펩타이드 분획물은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아미노산 잔기들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선형의 분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밤껍질 추출물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펩타이드에는 각종 아미노산 및 각종 펩타이드들이 섞여 존재하게 된다. 상기 펩타이드 분획물에는 필수아미노산 8종과 비필수아미노산 10종을 포함하여 18종의 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펩타이드 분획물은 피부 또는 체내에 흡수되지 않더라도 적어도 피부 표면에 보습막을 형성하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분자량 범위에는 제한이 없으나, 1 내지 5kD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범위의 분자량에서 유효성분의 방출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에서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은 온도 등의 영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므로, 농축한 다음 열풍 속에 분무시켜, 1㎜ 이하의 미세한 물방울 상태로 기류에 동반시키면서 건조시키는 이른바 스프레이 건조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형성된 화합물 30 - 99중량%와, 천연카페인 1 - 70중량%를 혼합한다. 이때, 상기 중량 범위를 벗어나게 혼합할 경우 피부 자극을 초래하거나, 제형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카페인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커피 원두를 함수율 5.0% 이하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보조용매로서 95% 주정을 사용하여 이를 초임계추출공법으로 추출할 수 있는데, 이때 50 내지 70℃의 추출온도와, 250 내지 350bar의 추출압력 조건하에서 CO2 유량을 분당 25 내지 35g으로, 그리고 보조용매로서 95% 주정 유량을 분당 1.0 내지 2.0g으로 하여 90 내지 150분간 액상추출 및 농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 분획물은, a) 밤껍질에 증류수를 1:3.0-15.0(w/w)의 비율로 첨가한 후, 균질화 및 원심분리한 다음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여과액에 헥산(hexane)을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외한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침전물을 여과하여 펩타이드의 크기별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펩타이드 분획물은 다양한 아미노산 및 이들이 결합된 다양한 펩타이드를 함유하고 있어서 다양하고 상호 상승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특정 기능 발휘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에 반대 작용을 하거나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추출물로부터 분해된 그 자체가 아닌, 피부 보습과 관련된 효과를 나타내지 않거나 반대작용을 하는 성분이 제외된 특정 분획물 형태로 사용하거나, 펩타이드의 크기별로 분획물을 수득함으로써 고보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샴푸, 로션, 바디로션, 스킨, 마스크팩,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화장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에는 통상 화장품 제조시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emollients),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효과가 더욱 명확해지도록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펩타이드 분획물 추출
1. 밤껍질을 세척한 후 절단하여 D.W와 함께 비커에 넣고 1시간 동안 sonication시킨 후 건조하고 분쇄하였다.
2. 분쇄된 밤껍질을 버퍼 용액(62.5mM Tris(pH 10.4) + 5%SDS + 10%glycol + 2%β-ME)/40㎖에 버퍼 용액의 1/3인 16.6g을 넣고, 4℃에서 2시간 유지하고 진공펌프로 여과한 후, 아세톤을 3배의 양으로 처리하고 -19℃의 온도로 하룻밤 동안 유지하였다.
3. 이후, 10000rpm으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만 제거하고, 아세톤으로 washing을 3번하고(10000rpm으로 15분씩 원심분리), 상등액을 제거하고 침전물만 건져 -19℃에서 건조한 후 펩타이드를 추출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천연카페인 제조
1. 커피 원두를 함수율 5.0% 이하로 건조한 후 대략 0.1 - 5.0㎜ 입경으로 분쇄하였다.
2. 분쇄된 커피 원두를 55℃의 온도, 300bar의 추출압력 조건하에서 CO2 유량을 분당 30g으로, 보조용매로서 95% 주정의 유량을 분당 1.5g으로 하여 100분간 액상추출 및 농축하여 천연카페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 분리한 펩타이드 분획물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천연카페인을 98.0:2.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제조하였고, 이를 실험군 1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 분리한 펩타이드 분획물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천연카페인을 99.0:1.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제조하였고, 이를 실험군 2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 분리한 펩타이드 분획물을 일정량 취득하여 이를 실험군 3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천연카페인을 일정량 취득하여 이를 실험군 4로 설정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3 내지 6에서 실험군으로 설정한 샘플을 비누 형태로 제형화하여 피부 가려움증, 아토피 또는 여드름 등 각종 피부 트러블이 있는 성인 남녀 30인을 대상으로 1달 동안 1일 3회 사용한 후 아래 각 평가 항목을 5점 척도법에 따라 평가하게 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과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는 비누 2종을 입수하여 이를 비교예 1과 비교예 2로 각각 설정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촉촉함 4.5 4.4 4.2 3.9 3.0 2.6
피부 트러블개선 4.5 4.1 4.1 4.0 2.8 1.0
모공 수축 4.1 4.0 3.9 3.7 3.3 1.9
미백 효과 3.9 4.0 3.4 3.2 3.1 2.0
전체적
만족도
4.3 3.9 3.9 3.8 3.1 1.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는, 사용 후 촉촉함, 피부 트러블 개선, 모공 수축, 미백 효과 및 전체적 만족도에서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보다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펩타이드 분획물과 천연카페인을 혼합하여 제조된 화장료가 펩타이드 분획물 또는 천연카페인 각각을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화장료에 비하여 촉촉함과 피부 트러블 개선에 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3에서 실험군으로 설정한 샘플을 샴푸 형태로 제형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모발성장효과 실험은 마우스(RAT), 생후 47 - 53일 것을 사용하여 등 부위 털을 제거하고, 등 부위가 깨끗한 것을 골라 군 마다 10마리를 사용하여 다음날부터 매일 실험물질을 개체당 100㎖씩 도포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모발의 길이 및 모발 성장 속도를 모 제거 후 복원 정도에 따라 점수를 0에서 2까지 부가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모발성장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는 30% 알코올 용액을 각 객체에 도포하여 성장 상태를 관찰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모발성장 촉진 효과 정도는 3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0 : 전혀 자라지 않음, 1 : 약간 자람, 2 : 많이 자람)
경과일수/시료 5일 10일 15일
실험군 0.14 0.61 1.39±0.19
대조군 0.06 0.12 0.79±0.2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험결과, 본 발명의 화장료인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우수한 모발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종래의 피부 모공개선 및 탈모개선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피부 모공개선과 탈모개선에 유의한 효능을 발휘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삭제
  2. 밤나무 과실을 둘러싸고 있는 껍질을 분리 선별한 후, 그 선별된 껍질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그 분말에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을 농축하여 스프레이 건조하며, 상기 가수분해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되어 형성된 화합물 30 - 99중량%와, 천연카페인 1 - 70중량%를 혼합하는 방법으로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되.
    상기 천연카페인은,
    커피 원두를 함수율 5% 이하로 건조한 후 0.1 - 5.0mm 입경으로 분쇄한 후, 그 분쇄된 커피 원두를 55℃의 온도, 300bar의 추출압력 조건하에서 CO2 유량을 분당 30g으로, 보조용매로서 95% 주정의 유량을 분당 1.5g으로 하여 100분간 액상추출 및 농축하여 수득하고,
    상기 펩타이드 분획물은,
    a) 밤껍질에 증류수를 1:3.0-15.0(w/w)의 비율로 첨가한 후, 균질화 및 원심분리한 다음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수득된 여과액에 헥산(hexane)을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외한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침전물을 여과하여 펩타이드의 크기별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추출한 1 - 5kDa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샴푸, 로션, 바디로션, 스킨, 마스크팩, 비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KR1020180123878A 2018-10-17 2018-10-17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KR102165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78A KR102165675B1 (ko) 2018-10-17 2018-10-17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878A KR102165675B1 (ko) 2018-10-17 2018-10-17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47A KR20200043147A (ko) 2020-04-27
KR102165675B1 true KR102165675B1 (ko) 2020-10-14

Family

ID=7046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878A KR102165675B1 (ko) 2018-10-17 2018-10-17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6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8B1 (ko) * 2013-06-26 2014-12-24 김보라 오징어 어피 추출 콜라겐 펩타이드와 커피 추출 카페인 및 양파껍질 추출 퀘르세틴을 이용한 항산화 근골강화 기능 식품의 제조방법
CN105852137A (zh) * 2016-04-07 2016-08-17 金寨金栗源生物技术有限公司 板栗小分子肽粉的制备方法及其制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6922B2 (ja) 1996-07-18 2007-08-29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101338681B1 (ko) 2009-06-18 2013-12-09 (주)아모레퍼시픽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50047354A (ko) * 2013-10-24 2015-05-04 최성철 밤 과실, 밤 속껍질 및 밤 꽃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8175A (ko) * 2016-06-07 2017-12-15 김선화 난용성약물 천연 커피카페인의 가용화 기술을 이용한 탈모방지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8B1 (ko) * 2013-06-26 2014-12-24 김보라 오징어 어피 추출 콜라겐 펩타이드와 커피 추출 카페인 및 양파껍질 추출 퀘르세틴을 이용한 항산화 근골강화 기능 식품의 제조방법
CN105852137A (zh) * 2016-04-07 2016-08-17 金寨金栗源生物技术有限公司 板栗小分子肽粉的制备方法及其制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147A (ko) 202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322940A (ja) カテプシンd産生促進剤
KR20120108916A (ko)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EP0196322B1 (en) Skin regenerating and hydrat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KR102401083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JP5719581B2 (ja) 抗糖化作用剤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20010006358A (ko) 오크라 종자에서 추출된 단백질 분획물이 화장품으로 사용되는 용도
JP2015127339A (ja) 抗糖化用組成物
JP5686328B2 (ja) 抗糖化用組成物
KR102165675B1 (ko) 밤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타이드 분획물과 커피유래의 천연카페인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조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0412B1 (ko)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억제용 샴푸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025008A (ja) 抗糖化用組成物
KR20150036856A (ko)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9059698A (ja) 皮膚状態改善用食品及び外用剤組成物
KR20220167593A (ko)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함유한 고형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961595B1 (ko) 탈모방지용 조성물
JP6260804B2 (ja) 抗糖化用組成物
JP6710414B2 (ja) 化粧料、抗糖化組成物及び組成物
KR20010103094A (ko) 오미자 엑기스 함유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957360B1 (ko) 쌀겨를 이용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JP7222560B2 (ja) 化粧用組成物、美容組成物、関節保護組成物、組成物
KR102638536B1 (ko) 7종 천연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