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539B1 -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539B1
KR100483539B1 KR10-2002-0078482A KR20020078482A KR100483539B1 KR 100483539 B1 KR100483539 B1 KR 100483539B1 KR 20020078482 A KR20020078482 A KR 20020078482A KR 100483539 B1 KR100483539 B1 KR 100483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ater
atopic dermatitis
present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622A (ko
Inventor
김형민
이진형
홍승헌
나호정
Original Assignee
이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형 filed Critical 이진형
Priority to KR10-2002-007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53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 및 임의로 마황을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하거나 각각 물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얻은 수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등에 적용 시 부작용 없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하거나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개선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 및 임의로 마황을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하거나 각각 물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얻은 수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염은 여러 가지 내· 외적 요인에 대한 피부의 염증반응이다. 피부염의 범위에는 접촉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화폐상 습진, 태선, 울체성(鬱滯性) 피부염, 이한성(異汗性) 습진, 피지결핍성 습진, 자가 감작성 습진 등이 포함된다. 전형적인 급성기의 임상증상은 우선 부종성 홍반을 일으키고, 이어서 홍반상에 구진(丘疹), 장액성(漿液性) 구진, 소수포, 농포(膿疱), 짓무름, 가피(痂皮), 인설(鱗屑)을 형성하여 치유되어 간다. 만성화되면 피부의 비후(肥厚), 태선화, 색소 침착을 초래하고, 대부분의 경우 가려움을 수반한다. 조직학적으로는, 급성기에 있어서 표피세포간 부종(해면상태)을 특징으로 한다.
그 중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搔痒感)을 가지는 재발성의 만성 피부염으로, 그 원인이 현재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세계 전 인구의 10 내지 20%가 이 피부염으로 고통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등에 의한 공기 매개성 알러젠(allergen)의 증가와 건조성 피부를 형성시키는 조건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최근 수 십년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유병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그 환자 수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아토피 원인을 가진 사람은 주변 환경에서 흔히 접하는 집먼지, 진드기, 동물털, 꽃가루, 음식물 등과 같은 단백 항원에 대한 피부반응 검사를 수행하였을 때 다수의 항원에 대한 두드러기 반응이 잘 나타나고, 이들 단백 항원에 신체가 노출될 때 수 분 내지 수 시간 내에 아나필락시성 쇼크(anaphylactic shock), 두드러기와 혈관 부종, 천명(喘鳴)과 호흡 곤란, 코막힘, 콧물, 재채기, 결막 충혈 및 부종,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즉시형 반응을 피부, 호흡기, 눈 및 장 점막에 잘 일으킨다. 이러한 이상하고도 부적절한 반응은 가족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은 생후 2∼6 개월경부터 안면의 습윤성 습진으로 시작하여, 점차로 사지, 구간(軀幹)으로 확대된다. 심하게 가려운 것도 특징이다. 증상은 연령에 따라 변화하며, 유아기(乳兒期)(2 세까지), 유아기(幼兒期)(2∼12 세) 및 성인기로 분류된다. 유아기(乳兒期)에는 주로 얼굴에 국한되지만, 점차로 구간의 피부가 건조하고 모공성 구진이 발생(아토피성 피부)하게 된다. 유(幼)소아기에는 병변은 건조하고, 팔오금, 오금에 비후한 국면이 발생한다(태선화). 12 세경까지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성인으로 이행되는 경우에는 보다 중증이고, 일단 호전되어도 재발 악화되는 경우도 많고, 완치까지 장기간을 요하거나 완치에 이르지 못하는 예도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면역글로불린 E(IgE)가 관계하는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서 발증한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확실한 발증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즉, 아토피성 피부염은 혈중 IgE의 수치 증가, 호산구(好酸球)의 증가를 종종 수반한다. 면역학적 측면으로 보면,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서 염증이 중증화됨에 따라 혈청중 IgE의 양이 증가하므로, 이 항체가 아토피성 피부염과 관련성이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단지 IgE에 대한 반응은 넓은 의미로 피부에 담마진(두드러기, Urticaria)을 형성시키는 반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만 담마진은 강하게 긁어도 습진 반응으로 변화되지는 않고, 방어기능 장해의 피부일 경우 긁음으로써 쉽게 습진 반응이 형성된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IgE의 작용에 의해 직접 습진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이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진드기 항원에 대한 IgE 항체를 가진 환자를 시험해본 결과, 과반수가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마우스에 IgE 항체를 주사하고 알러젠을 붙였을 때 IgE 항체와 알러젠이 반응을 일으켜 비만세포(肥滿細胞)에서 세포활성 물질을 생산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반응은 병리학적으로 림프구와 호산구의 침윤을 수반하는 습진 반응으로서, IgE 항체에 의한 지발형 반응(遲發型 反應)에 속하는데, 이러한 면역학적 습진 반응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조성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아토피 자체는 Ⅰ형 알레르기에 속하지만, 아토피성 피부염은 병리학적으로는 습진이나 접촉피부염과 유사한 반응이므로, Ⅳ형 알레르기(지연형)의 관여가 시사되어 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증이나 만성화에는 호산구나 임파구의 침윤을 수반하는 지발형 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Iwamoto 등, J. Leukoc. Biol., 52, pp572-578(1992); Frigas 등, J. Allergy. Clin. Immunol., 77, pp527-537(1986)).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질환으로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거의 대부분 비만세포를 매개로 하여 일어나며, 세포막에 존재하는 고친화성 IgE 수용체(FcεRI)를 통해서 활성화된다. IgE 수용체에 결합되어 있는 IgE 항체가 항원에 의하여 가교(bridge)를 형성하면 포스포리파아제 C, 단백질 인산화효소 C, 칼슘 이온의 작용을 거쳐 과립에 저장되어 있던 히스타민(histamine), 콘드로이틴(chondroitin) 황산염, 헤파린(heparin), 단백질 분해효소 등이 유리됨으로써 반응 초기 단계를 매개한다. 히스타민을 포함한 화학 전달물질들은 알레르기 반응의 초기에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임상증상을 유발하는 원인물질들이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은 히스타민이다. 따라서 알레르기 반응에서 히스타민에 의한 작용이 중요하며, 그 증상으로는 혈관 확장, 부종 등을 들 수 있다. 비만세포에서 혈관확장을 유도하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혈소판 활성인자(platelet-activating factor) 등도 알레르기 반응에서 주목받고 있는 화학 전달물질들이다. 화학 전달물질의 작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담마진, 소양증, 피부 발적 등의 피부 증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우 염증반응 동안 TNF-α와 같은 염증성 세포활성 물질의 분비가 중요하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제로 스테로이드 외용제(연고제 등)를 도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면역억제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부작용 염려 없이 완치 효과를 발휘하는 특별한 치료제나 개선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시초로 하는 피부염의 치료에 빈번히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는 탁월한 임상효과와 함께 다양한 부작용을 발현하는 약제이다.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어 있지만, 연고제 등의 외용제는 피부의 박화나 위축, 홍조 등 피부로의 직접적인 유해작용이 대표적이며,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어 있다. 또한, 현재 항염증 또는 피부질환 치료효과 등이 알려진 생약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피부질환 치료제로 개발된 예들이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가려움증이나 염증 등을 경감시켜줄 뿐 질병을 완치시키지는 못한다. 이와 같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제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스테로이드제에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따르므로, 부작용이 작고 안전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약제가 환자 및 의료의 현장에 있어서 절실히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 피부질환 치료제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면역기능 저하, 신기능 저하, 호르몬 분비 이상 등의 부작용도 없는 조성물을 개발해내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알레르기 반응에 효과가 있는 단일 물질들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한 피부개선이나 일시적 치료가 아닌,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의 억제 및 항알러지 효과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건율,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 및 임의로 마황을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하거나 각각 물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얻은 수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1 유효성분인 건율(乾栗; 밤)은 참나무과에 속하는 밤나무(Castanea crenata)의 씨를 말린 것으로서, 탄수화물이 주성분이고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2 유효성분인 의이인(薏苡仁; 율무)은 벼과에 속하는 1 년생 초본인 율무(Coix lachryma-jobi L.)의 성숙한 종자로서, 전분, 조단백질, 지방유 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3 유효성분인 오미자(五味子)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 만목인 오미자 나무(Schizandra chinensis Baill)의 성숙한 과실로서, 시트랄(citral) 등의 정유, γ-쉬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등의 리그난(lignans)이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4 유효성분인 길경(桔梗; 도라지)은 도라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도라지(Platycodon gradiflorum A. DC.)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플라티코딘(platycodin) 등의 트리터페노이드성 사포닌(triterpenoidal saponins)이 주요 성분이며, 탄수화물로 이눌린(inulin)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5 유효성분인 나복자(蘿卜子; 무씨)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무(Raphanus sativus L.)의 성숙한 종자로서, 지방유를 주요 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6 유효성분인 맥문동(麥門冬)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Ker-Gawl) 또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의 괴경으로서, 사포닌으로 오피오포고닌(ophiopogonin) 등이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7 유효성분인 석창포(石菖蒲)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 초본인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의 근경으로서, β-아사론(asaron),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등의 정유가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임의 성분인 마황(痲黃)은 마황과에 속하는 소관목인 초마황(Ephedra sinica Stapf), 목적마황(E. equisetina Bunge) 및 중마황(E. intermedia Schr. et Mey)의 지상부 줄기로서,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l-에페드린(l-ephedrine), 노르-에페드린(nor-ephedrin) 등을 주요 성분으로 하며, 벤조산 등의 유기산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생약들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그 유효성분들을 각각 추출하거나, 생약들을 혼합한 후 한꺼번에 추출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농축 건조하여 분말화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각 생약들을 규정된 중량비로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으로나 식품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 시 다른 제형으로 바꾸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원료는 바람직하게는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가 3∼9 : 3∼9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 또는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석창포 및 마황이 3∼9 : 3∼9 : 1∼3 : 1∼3 : 1∼3 : 1∼3 :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다.
상기 생약들의 조성비는 반복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그 하한치 보다 낮을 경우에는 그 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감소하며 그 상한치 보다 높을 경우에는 타성분의 생리활성 효과가 감소될 수 있어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하기 실험예 1 내지 4로부터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와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조절하여 피부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효과를 증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를 30 g : 30 g : 10 g : 10 g : 10 g : 10 g : 10 g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물에 물 800 ㎖를 붓고 약 2 시간 동안 달인 후 약 150 ㎖로 농축시켜 탕제로 제조하거나, 상기 혼합물에 마황 10 g을 추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탕제로 제조한다.
본 조성물의 통상적인 1 회 투여용량은 상기 탕제 기준 체중 1 ㎏ 당 1.5∼2.5 ㎖이며 이를 1 일 2∼3 회 복용한다. 예를 들어, 체중 60 ㎏인 성인의 경우, 1 회 90∼150 ㎖씩 1 일 2∼3 회 복용한다. 이 용량의 액제를 동결건조 분말로 제조한 경우에는 5∼10 g/1 회에 달한다. 그러나 본 조성물의 복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병증의 경중정도와 소화상태에 따라 적의 증감될 수 있다. 기타 제제에 있어서도 상기 액제 복용량을 고려하여 산출된 적정량을 경구투여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액제의 제조
건률 30 g, 의이인 30 g, 오미자 10 g, 길경 10 g, 나복자 10 g, 맥문동 10 g 및 석창포 10 g을 혼합한 후, 여기에 물 800 ㎖를 붓고 약 2 시간 동안 달인 후 약 150 ㎖로 농축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액제의 제조
건률 30 g, 의이인 30 g, 오미자 10 g, 길경 10 g, 나복자 10 g, 맥문동 10 g, 석창포 10 g 및 마황 10 g을 혼합한 후, 여기에 물 800 ㎖를 붓고 약 2 시간 동안 달인 후 약 150 ㎖로 농축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기타 제제의 제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로 환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NF-α 생성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염증성 세포활성 물질인 TNF-α 생성을 유도하는지 여부를 아래와 같이 조사하였다.
배양액 IMDM/FBS에 비만세포주 HMC-1을 5% CO2, 37 ℃에서 배양한 후 3×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처리하기 전에 37 ℃에서 10 분 동안 미리 배양하고,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 수용액을 각각 0.01, 0.1 및 1.0 ㎎/㎖(증류수 1 ㎖당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 0.01, 0.1, 1 ㎎을 녹인 것)가 되도록 가한 다음 24 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4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 중 TNF-α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아래와 같이 실행하였다.
TNF-α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인 항-인간 TNF-α(1 ㎍/㎖)를 PBS(pH 7.4)로 희석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 ㎕씩 각각 코팅한 다음,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0.05% 트윈이 포함된 PBS로 세척한 다음, 1% BSA, 5% 슈크로스 및 0.05% NaN3를 함유하는 PBS로 1 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여러 차례 세척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과 표준 곡선으로 사용할 재조합 TNF-α를 첨가한 후 37 ℃에서 2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각 웰을 다시 세척하고 2차 항체 바이오틴(biotin)이 결합된 TNF-α(0.2 ㎍/㎖)를 첨가하여 다시 37 ℃에서 2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웰을 세척한 다음, 아비딘(avidine)이 연결된 과산화효소를 첨가하고 37 ℃에서 20 분 동안 방치하였다. 웰을 다시 세척한 다음, ABTS(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기질을 첨가하고, 발색반응을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405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TNF-α 억제효과
TNF-α 분비 TNF-α 억제율(%)
무처리(식염수) 0.257±0.016 -
실시예 1의 조성물 1 ㎎/㎖ 0.197±0.018* 32.08*
실시예 2의 조성물 0.01 ㎎/㎖ 0.289±0.029 -
0.1 ㎎/㎖ 0.229±0.017 28.44
1 ㎎/㎖ 0.207±0.012* 63.1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이 1 ㎎/㎖에서 TNF-α생성을 가장 많이 억제시킴을 알 수 있다(B, 무처리; * P=0.05).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아나필락시성 쇼크 반응에 대한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수동적 피부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아나필락시성 쇼크 반응을 일으켰다.
실험동물로서 4∼5 주령의 체중 18∼25 g인 ICR계 흰쥐(mouse)를 실험 군별로 3 마리씩 사용하여 반복 실험하였다. 먼저 충분히 섭식시킨 후 24 시간이 경과한 상기 흰쥐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흰쥐는 대한 동물센터로부터 입수하였다.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0.01, 0.1 및 1 g/체중 ㎏을 흰쥐에 각각 경구투여(8 ㎍/g)하고, 1 시간 후 화합물 48/80(Baltzly 등, 1949, A family of long acting depressors, 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71, 1301-1305)을 상기 흰쥐의 복강내에 주입하여 쇼크를 유도한 다음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고 화합물 48/80만을 주사한 쥐의 치사 시간을 기준으로 생존율을 모니터링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아나필락시성 쇼크 반응에 대한 효과(* P<0.05)
생존율(%)
무처리(식염수) -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g/㎏ 33.3±7.0
0.1 g/㎏ 50.0±9.613
1.0 g/㎏ 33.3±6.5*
실시예 2의 조성물 0.01 g/㎏ 66.6±19.255
0.1 g/㎏ 33.3±5.1
1.0 g/㎏ 66.6±6.8*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0.1 g/㎏의 농도에서, 실시예 2의 조성물은 1.0 g/㎏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구투여를 통해 전체 조직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이개 부종반응에 대한 효과 측정
실험동물로서 4∼6 주령의 체중 25∼35 g인 ICR계 흰쥐를 실험 군별로 4 마리씩 사용하여 반복 실험하였다. 먼저 충분히 섭식시킨 후 24 시간 경과한 상기 흰쥐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흰쥐는 대한 동물센터로부터 입수하였다.
먼저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농도별로(0.01, 0.1 및 1 g/㎏) 경구투여한 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화합물 48/80 (20 g/ℓ)을 미세 주사기를 사용하여 쥐 귀 피하 내부에 주입하고 40 분 후에 이개 부종반응이 일어난 부위의 귀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화합물 48/80 유도성 이개 부종반응에 대한 효과(* P<0.05)
귀 두께(㎜) 억제율(%)
무처리(식염수) 0.1893±0.005 -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g/㎏ 0.158±0.027* 16.8*
0.1 g/㎏ 0.156±0.017* 17.4*
1.0 g/㎏ 0.153±0.04* 19.2*
실시예 2의 조성물 0.01 g/㎏ 0.158 ±0.027 16.8
0.1 g/㎏ 0.143±0.038 24.5
1.0 g/㎏ 0.126±0.026* 33.4*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낮은 농도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고, 1 g/㎏의 농도에서 이개 부종반응을 가장 많이 억제함을 알 수 있었으며, * P<0.05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흰쥐 복강에 30 ㎖ 정도의 타이로드(Tyrode) 완충용액 B(137 mM NaCl, 5.3 mM 글루코스, 12 mM NaHCO3, 2.7 mM KCl, 0.3 mM NaH2PO4)를 주입하고 복부를 90 초 정도 마사지하였다. 그 후 복막을 조심스럽게 열어 파스퇴르 피펫으로 복강내 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타이로드 완충용액 B를 수거하였다. 이어서 상기 세포 함유 용액을 150×g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세포에 타이로드 완충용액 B를 가하여 피펫팅한 후, 22.5% 메트리자마이드(metrizamide) 용액위에 살짝 적층하고 400×g에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만을 얻었다. 상기 침전된 세포에 α-MEM(minimum essential medium)/50% FBS(fetal bovine serum)를 가하고, 피펫팅하여 톨루이딘 블루 염색방법을 통해 비만세포가 95% 이상이고 트립판 블루 염색에 의해 생존능력이 97% 이상임을 확인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정제된 비만세포에 α-MEM/50% FBS를 가하고 조심스럽게 피펫팅한 후, 2×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처리하기 전에 37 ℃에서 10 분 동안 미리 배양하고,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 수용액을 각각 0.01, 0.1, 1.0 ㎎/㎖(증류수 1 ㎖당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 0.01, 0.1, 1 ㎎을 녹인 것)가 되도록 가하고 37 ℃에서 30 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곧 바로 화합물 48/80(각각 5.0 ㎍/㎖)을 10 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 종료 후 4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히스타민 정량은 OPA 스펙트로플루오로메트리(O-phthaldialdehyde spectrofluorometry) 방법으로 440 ㎚에서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 분비의 억제율을 하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억제율(%)=[(A-B)×100]/A
A: 약물을 부가하지 않았을 때의 히스타민 양
B: 약물을 부가하였을 때의 히스타민 양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화합물 48/80 유도성 히스타민 방출에 대한 효과
억제율(%)
무처리(식염수) -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 31.95±2.1*
0.1 ㎎/㎖ 33.23±2.7*
1 ㎎/㎖ 30.73±1.6*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48/80에 의하여 유도된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분비가 실시예 1의 조성물에 의해서만 0.01, 0.1, 1.0 ㎎/㎖의 농도에서 약 30%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나필락시성 쇼크 반응 및 이개부종과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고 염증성 세포활성 물질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피부질환 등의 치료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유효성분으로서,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를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하거나 각각 물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얻은 수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의 중량비가 3∼9 : 3∼9 : 1∼3 : 1∼3 : 1∼3 : 1∼3 : 1∼3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마황을 추가로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하거나 각각 물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얻은 수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석창포 및 마황의 중량비가 3∼9 : 3∼9 : 1∼3 : 1∼3 : 1∼3 : 1∼3 : 1∼3 : 1∼3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 식품 또는 화장품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6.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를 혼합한 후 물로 추출하거나 각각 물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얻은 수추출물, 또는 그 수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약제학적으로나 식품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제5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2-0078482A 2002-12-10 2002-12-10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8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482A KR100483539B1 (ko) 2002-12-10 2002-12-10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482A KR100483539B1 (ko) 2002-12-10 2002-12-10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622A KR20040050622A (ko) 2004-06-16
KR100483539B1 true KR100483539B1 (ko) 2005-04-18

Family

ID=3734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482A KR100483539B1 (ko) 2002-12-10 2002-12-10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53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567B1 (ko) * 2009-12-24 2012-07-10 사단법인 진안군친환경홍삼한방산업클러스터사업단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WO2012157978A2 (ko) 2011-05-17 2012-11-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67423B1 (ko) 2011-12-29 2014-02-2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265A (ko) 2015-07-29 2017-02-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톨개 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1830A (ko) 2016-11-30 2018-06-08 김성재 아토피 완화 비누
WO2019124863A1 (ko) * 2017-12-22 2019-06-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7520B1 (ko) 2019-09-24 2020-06-03 (주)한생플래닛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1337B1 (ko) 2020-05-25 2020-08-04 주식회사 한생플래닛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2141148B1 (ko) 2020-05-25 2020-08-05 (주)한생플래닛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2473617B1 (ko) 2022-05-26 2022-12-05 주식회사 고결 천연 유래 복합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78B1 (ko) * 2005-05-17 2007-07-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JP2012530699A (ja) * 2009-06-18 2012-12-06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栗皮抽出物を含む健康食品又は薬学組成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305A (ja) * 1993-03-25 1994-10-04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KR19980045814A (ko) * 1996-12-10 1998-09-15 박원훈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78667A (ko) * 1999-07-23 1999-11-05 하종심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및 그 제조방법
JP2001192338A (ja) * 2000-01-11 2001-07-17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の悪影響からの回復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US6383525B1 (en) * 2000-12-14 2002-05-07 Globoasia L.L.C. Herbal compositions for treating immunological disorders
KR20020089275A (ko) * 2002-11-05 2002-11-29 김경렬 의이인,상백피, 어성초, 길경, 생지황, 금은화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비염및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의 약학적 효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305A (ja) * 1993-03-25 1994-10-04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KR19980045814A (ko) * 1996-12-10 1998-09-15 박원훈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78667A (ko) * 1999-07-23 1999-11-05 하종심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및 그 제조방법
JP2001192338A (ja) * 2000-01-11 2001-07-17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の悪影響からの回復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US6383525B1 (en) * 2000-12-14 2002-05-07 Globoasia L.L.C. Herbal compositions for treating immunological disorders
KR20020089275A (ko) * 2002-11-05 2002-11-29 김경렬 의이인,상백피, 어성초, 길경, 생지황, 금은화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비염및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의 약학적 효능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my.dreamwiz.com/handmsj/health/heah/atopic1.html] *
http://www.koreafoods.net/program/bbs_qna/content.asp?num=59&page=48]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567B1 (ko) * 2009-12-24 2012-07-10 사단법인 진안군친환경홍삼한방산업클러스터사업단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WO2012157978A2 (ko) 2011-05-17 2012-11-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67423B1 (ko) 2011-12-29 2014-02-2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265A (ko) 2015-07-29 2017-02-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톨개 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1830A (ko) 2016-11-30 2018-06-08 김성재 아토피 완화 비누
WO2019124863A1 (ko) * 2017-12-22 2019-06-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7520B1 (ko) 2019-09-24 2020-06-03 (주)한생플래닛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1337B1 (ko) 2020-05-25 2020-08-04 주식회사 한생플래닛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2141148B1 (ko) 2020-05-25 2020-08-05 (주)한생플래닛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2473617B1 (ko) 2022-05-26 2022-12-05 주식회사 고결 천연 유래 복합추출물, 세라마이드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622A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53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473178B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hemorrhoids and related diseases
JP5345933B2 (ja) エスシンの使用
KR20140040184A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20060092373A (ko)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JP4556009B2 (ja) 抗炎症剤、アレルギー性疾患予防又は改善剤及び機能性食品
KR101302225B1 (ko) 생약제재를 주재로한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KR20090111445A (ko) 생맥산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JP2000014354A (ja) 抗アレルギーまたは抗炎症作用を有する組成物
KR20150029043A (ko) Gpcr19 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0183A (ko) 청미래덩굴의 뿌리줄기인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을 위한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051921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40008871A (ko) 피부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2553A (ko) 잠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KR102157247B1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7160A (ko) 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84579B1 (ko)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79256A (ko)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4264B1 (ko)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91927B1 (ko) 컬러감자 외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4295A (ko) 지출환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618074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150024805A (ko) Gpcr19 작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58530A (ko)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및 항염 효과를나타내는 조성물
KR102612099B1 (ko) 흑미 호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