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215B1 -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215B1
KR100519215B1 KR10-2004-0083018A KR20040083018A KR100519215B1 KR 100519215 B1 KR100519215 B1 KR 100519215B1 KR 20040083018 A KR20040083018 A KR 20040083018A KR 100519215 B1 KR100519215 B1 KR 10051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eight
fresh
atopic dermatitis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026A (ko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04-008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2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이나 일시적인 치료가 아닌 아토피성 피부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을 억제하고 항알레르기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면역기능 저하, 대사기능 이상, 호르몬 분비 이상 등의 부작용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생약제인 생솔잎, 느릅나무 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을 혼합한 후 일정시간동안 고온 고압에서 물로 추출하여 생약 조성물의 액상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액제로 제조하거나 다시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어 의약품 또는 식품이나 화장용으로 제조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preventable, curative herb composition of atopic dermatit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이나 일시적인 치료가 아닌 아토피성 피부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을 억제하고 항알레르기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면역기능저하, 대사기능 이상, 호르몬분비 이상 등의 부작용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생약제인 생솔잎, 느릅나무 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을 이용하여 제조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피부건조, 습진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소양감이 심한 재발성의 만성 피부염으로 그 원인이 현재까지 분명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으나 최근의 연구결과 면역글로불린E(IgE)가 관계하는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직접 습진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이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진드기 항원에 대한 면역글로불린E 항체를 가진 환자를 시험해 본 결과, 과반수가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고, 실험용 쥐에 면역글로불린E 항체를 주사하고, 알러젠(Allergen)을 붙였을때 면역글로불린E 항체와 알러젠이 반응을 일으켜 비만세포에서 세포활성 물질을 생산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반응은 병리학적으로 림프구와 호산구의 침윤을 수반하는 습진 반응으로서, 면역글로불린E 항체에 의한 지발형 반응에 속하는데, 이러한 면역학적 습진반응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조성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Iwamoto 등, J.Leukoc. Biol.,52, pp572~578(1992); Frigas 등, J. Allergy. Clin. Immunol., 77, pp527~537(1986))
여기서, 아토피성 피부염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질환으로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은 거의 대부분 비만세포를 매개로 일어나는데,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종양괴사인자(TNF)를 포함한 화학 전달물질들이 알레르기 반응의 초기에 볼수 있는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유발하는 원인물질들이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제로는 스테로이드 외용제(연고제)를 도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의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일시적으로 염증을 억제하는데에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해 주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상기의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일시적인 염증억제 작용만을 하므로 반복적으로 장기간 사용하기 쉬운데, 이와 같이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피부의 면역력이 치명적으로 약화되는 것과 피부의 박화나 위축, 홍조 등 피부로의 직접적인 유해작용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이 발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프로메타신과 같은 항히스타민제를 이용하여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 또한 일시적으로 항히스타민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장기간 복용시 불면, 불안, 식욕감퇴, 소화불량 등의 부작용이 발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이나 일시적인 치료가 아닌 아토피성 피부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을 억제하고 항알레르기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면역기능 저하, 대사기능 이상, 호르몬분비 이상 등의 부작용이 없도록 생약제인 생솔잎, 느릅나무 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을 이용하여 제조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생솔잎, 느릅나무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의 생약재료가 혼합된 추출물(抽出物)이 액상 또는 고형으로 조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생솔잎, 느릅나무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의 생약재료로부터 액상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생약재료의 액상 추출물에 필요에 따라 담체를 첨가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의 생약재료의 액상 추출물이나 또는 액상 추출물을 건조시킨 생약재료의 고형물을 의약품, 식품, 화장품등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의 생약재료의 액상 추출물은 각각의 생약재료를 먼저 혼합한후 물에 넣어 고온 고압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끓여서 얻거나, 각각의 생약재료를 별도로 물에 넣은 후 고온 고압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끓인 것을 서로 혼합하여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담체는 액제 또는 고형의 생약 조성물을 약품, 식품, 화장품등으로 제조한 후 보관할시 변질되지 않도록 하거나 사용시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안정제 등이 사용될수 있는데, 반드시 약제적으로 허용되거나 식품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을 약품이나 식품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사람들의 기호에 따라 환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등으로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은 알레르기반응시 체내의 비만세포로부터 분비되거나 유리되어 알레르기 반응 초기의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유발하는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종양괴사인자(TNF)등과 같은 화학 전달물질들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알레르기 반응 초기의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유발하는 화학 전달물질의 생성을 억제함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 이외의 고열을 동반하는 피부염증의 치료에도 효과적이게 된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의 바람직한 1회 투여량은 기준 체중 1kg당 1~2mL이며, 이를 1일 1회 복용한다. 예를 들어, 체중 60kg인 성인의 경우, 1일 60~120mL씩 복용한다. 그러나 본 조성물의 복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병증의 경중정도와 소화상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솔잎은 Perrilla-aldehyde(55%), d-limonene(20~30%), 정유(0.5~1.5%), a-pinene 등을 함유하고 있는 생약재료이고,
느릅나무 유피는 염증을 없애는 한편 전신세포에 산소공급, 세포활성화, 세포부활작용을 하는 생약재료이며,
오가피는 항피로작용, 항염증작용, 생체의 방사선장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강시키는 생약재료이고,
인동초는 염증과 종양을 없애고 신진개대사기능을 강화하는 재료이며,
뽕잎은 열을 내리는 한편 관절염, 피부염증과 천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료이고, 대나무수액은 맛은 쓰고, 성질이 차서 종양 해열, 두통, 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를 10~20cm로 절단하여 증기로에서 150~200℃로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10~40℃의 저온에서 응축하여 얻어진 약제이고,
칡(Puerariae Radix)은 10~14%의 전분, isoflavone, Daidzine의 배당체인 daidzein(-7-glucoside), puerarin(8-C-glucoside)를 함유하며 진경작용 및 항아세틸콜린작용을 하고 평활근 장기에 대하여 강한 수축작용을 나타내는 생약재료이며,
쑥은 monoterpene, sesquiterpene등의 정유성분 및 비타민A, B, C, D등을 함유하여 지혈, 하혈, 토혈 등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료이고,
함초는 천연방부제로서 혈액의 독을 제거하거나 대장의 숙변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는 생약재료이며,
밤은 주성분이 탄수화물이고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의 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습진치료에 효과가 있는 생약재료이고,
감초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을 함유하고 있어 항알레르기작용을 하는 생약재료이며,
마늘은 알레르기반응시 유리되는 베타헥기 소사미니데스 효소의 유리를 억제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의 알레르기반응을 억제하는 생약재료이고,
녹차는 카테킨(catechin)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작용에 효과적인 생약재료이며,
다시마는 요오드, 칼륨, 칼슘 등의 무기염류를 대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한편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을 함유하여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는 생약재료이고,
질경은 주성분이 사포닌으로 천식, 기관지염, 종양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생약재료이다.
본 발명의 액상의 생약 조성물은 물 50~55 중량%, 생솔잎 6~7 중량%, 느릅나무 유피 5~6 중량%, 생오가피 3~4 중량%, 생인동초 5~6 중량%, 생뽕잎 3~4 중량%, 대나무수액 0.3~0.4 중량%, 생칡 2~3 중량%, 생쑥 2~3 중량%, 생함초 2~3 중량%, 생밤 2~3 중량%, 감초 1~2 중량%, 생마늘 1~2 중량%, 녹차잎 1~2 중량%, 다시마 2~3 중량%, 생질경 2~3 중량%의 중량물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생약들의 조성비는 반복된 실험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것이며 그 하한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그 성분의 생리활성효과가 감소하고 그 상한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타성분의 생리활성효과가 감소될 수 있어 조성물의 상승작용 및 협동작용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액제의 제조
생솔잎 2.5kg, 느릅나무 유피 2kg, 생오가피 1.5kg, 생인동초 2kg, 생뽕잎 1.5kg, 대나무수액 0.05kg, 생칡 1kg, 생쑥 1kg, 생함초 1kg, 생밤 1kg, 감초 0.5kg, 생마늘 0.5kg, 녹차잎 0.5kg, 다시마 1kg, 생질경 1kg, 그리고 물 20kg을 약탕기에 넣은 후 약탕기의 압력은 3.5기압으로 하고 온도는 115℃으로 하여 3시간동안 끓인 후 액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고형제의 제조
실시예1에서와 같이 제조된 액상의 추출물을 건조시킨 후 환제, 과립제, 정제, 캅설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예를 보인 것이다.
<실험예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히스타민 방출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흰쥐 복강에 30ml정도의 타이로드(Tyrode) 완충용액 B(137mM NaCl, 5.3mM 글루코스, 12mM NaHCO3, 2.7mM KCl, 0.3mM NaH2PO4)를 주입하고 복부를 90초 정도 마사지하였다. 그 후 복막을 조심스럽게 열어 파스퇴르 피펫으로 복강내 세포를 함유하고 있는 타로이드 완충용액 B를 수거하였다. 이어서 상기 세포 함유 용액을 150×g로 1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세포에 타이로드 완충용액 B를 가하여 피펫팅한 후 22.5% 메트리자마이드(metrizamide) 용액 위에 적층하고 400×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만을 얻었다. 상기 침전된 세포에 a -MEM(minimum essential medium)/50% FBS(fetal bovine serum)를 가하고 조심스럽게 피펫팅한 후 2×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실시예1의 조성물을 처리하기 전에 37℃에서 10분 동안 미리 배양하고, 실시예1의 조성물 수용액을 각각 0.01, 0.1, 1mg/ml(증류수 1ml당 실시예1의 조성물 0.01, 0.1, 1mg을 녹인것)가 되도록 가하고 37℃에서 30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후 곧바로 화합물을 10분동안 처리하였다. 반응 종료후 4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히스타민 정량은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 분비 억제율을 다음과 같은 계산식으로 계산하였다
억제율(%)=[(A-B)×100]/A
A : 약물을 부가하지 않았을 때의 히스타민 양
B : 약물을 부가하였을 때의 히스타민 양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억제율(%)
무처리(식염수) -
실시예1의 조성물 0.01mg/ml 23.54±1.8
0.1mg/ml 37.23±2.3
1mg/ml 45.18±2.1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에 의하여 유도된 복강의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분비가 실시예1의 조성물에 의해서만 1.0mg/ml의 농도에서 약 45%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종양괴사인자 TNF-a의 생성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염증성 세포활성 물질인 종양괴사인자 TNF-a의 생성의 억제여부 및 억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액 IMDM/FBS에 비만세포주 HMC-1을 5% CO2, 37℃에서 배양한 후 3×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실시예1의 조성물을 처리하기 전에 37℃에서 10분 동안 미리 배양하고, 실시예1의 조성물 수용액을 각각 0.01, 0.1, 1.0mg/ml가 되도록 가한 다음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400×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 중 종양괴사인자 TNF-a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종양괴사인자 TNF-a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인 항-인간 TNF-a(1ug/ml)를 인산완충식염수(PBS)(pH 7.4)로 희석하여, 96-웰플레이트에 100ul씩 각각 코팅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방치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를 0.05% 트윈이 포함된 인산완충식염수(PBS)로 세척한 다음, 1% BSA, 5% 슈크로스 및 0.05% NaN3를 함유하는 PBS로 1시간동안 차단시켰다. 여러 차례 세척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과 표준곡선으로 사용할 재조합 종양괴사인자 TNF-a를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각 웰을 다시 세척하고 2차 항체 바이오틴(biotin)이 결합된 종양괴사인자 TNF-a(0.2ug/ml)를 첨가하여 다시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웰을 세척한 다음, 아바딘(avidin)이 연결된 과산화효소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 동안 방치하였다. 웰을 다시 세척한 다음, ABTS(2, 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기질을 첨가하고, 발색반응을 ELISA판독기를 사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TNF-a 억제율(%)=[(A-B)×100]/AA : 무처리(식염수) 부가시 TNF-a 분비량(ug/ml)B : 실시예 2의 조성물 부가시 TNF-a 분비량(ug/ml)
<표2>
TNF-a분비량(ug/ml) TNF-a 억제율(%)
무처리(식염수) 0.263±0.018 -
실시예 1의 조성물 0.01mg/ml 0.274±0.031 --
0.1mg/ml 0.208±0.012 20.91
1mg/ml 0.183±0.008 30.42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조성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종양괴사인자 TNF-a 생성이 더욱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생약재료인 생솔잎, 느릅나무 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을 혼합한 후 일정시간동안 고온 고압에서 끊인 액상 추출물을 이용하여 액제 또는 고형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 치료제를 제조함에 따라 면역기능저하, 대사기능 이상, 호르몬 분비 이상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이 안정하게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생약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을 억제하고 항알레르기작용을 함에 따라 단순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이나 일시적인 치료가 아닌 아토피성 피부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종 알레르기 반응 초기의 여러가지 임상증상을 유발하는 화학 전달물질의 생성을 상기와 같이 억제함에 따라 고열을 동반하는 피부염증의 치료에도 효과적이게 된다.

Claims (4)

  1. 생솔잎, 느릅나무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의 생약재료가 혼합된 추출물(抽出物)이 액상 또는 고형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액상의 생약조성물은 물 50~55 중량%, 생솔잎 6~7 중량%, 느릅나무 유피 5~6 중량%, 생오가피 3~4 중량%, 생인동초 5~6 중량%, 생뽕잎 3~4 중량%, 대나무수액 0.3~0.4 중량%, 생칡 2~3 중량%, 생쑥 2~3 중량%, 생함초 2~3 중량%, 생밤 2~3 중량%, 감초 1~2 중량%, 생마늘 1~2 중량%, 녹차잎 1~2 중량%, 다시마 2~3 중량%, 생질경 2~3 중량%의 중량물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3. 생솔잎, 느릅나무 유피, 생오가피, 생인동초, 생뽕잎, 대나무수액, 생칡, 생쑥, 생함초, 생밤, 감초, 생마늘, 녹차잎, 다시마, 생질경의 생약재료로부터 액상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생약재료의 액상 추출물에 필요에 따라 담체를 첨가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의 생약재료의 액상 추출물이나 또는 액상 추출물을 건조시킨 생약재료의 고형물을 의약품, 식품, 화장품등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생약재료의 추출물은 3~4 기압, 100~130℃에서 2~4시간동안 끓여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4-0083018A 2004-10-18 2004-10-18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519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18A KR100519215B1 (ko) 2004-10-18 2004-10-18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18A KR100519215B1 (ko) 2004-10-18 2004-10-18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26A KR20040097026A (ko) 2004-11-17
KR100519215B1 true KR100519215B1 (ko) 2005-10-07

Family

ID=3737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018A KR100519215B1 (ko) 2004-10-18 2004-10-18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2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94B1 (ko) 2008-04-23 2010-04-30 최광영 기능성 천연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668B1 (ko) * 2009-05-08 2012-10-10 윤종림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101566822B1 (ko) 2008-12-10 2015-11-06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증상 개선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87B1 (ko) * 2008-09-22 2011-08-04 권경숙 솔잎 세안제 및 그의 제조 방법
US8383167B2 (en) * 2011-03-08 2013-02-26 Elc Management, Llc Method for cosmetically treating caspase-14 deficienc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94B1 (ko) 2008-04-23 2010-04-30 최광영 기능성 천연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66822B1 (ko) 2008-12-10 2015-11-06 (주)아모레퍼시픽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증상 개선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1188668B1 (ko) * 2009-05-08 2012-10-10 윤종림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26A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za et al. A review of Algerian medicinal plants used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RU2319500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поллиноза, аллергического нефрита, атопического дерматита, астмы или крапивницы
MX2007010408A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actinidia y sus metodos de uso.
KR10048353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30370A (ko) 알레르기성 질환 증상의 개선 기능을 갖는 생약조성물을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CN105288041A (zh) 一种防治肾病综合征的中药制剂及制法
KR10051921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060092373A (ko)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KR101851167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02225B1 (ko) 생약제재를 주재로한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00129571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식품
KR101995281B1 (ko) 곰취 추출물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51076B1 (ko)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11445A (ko) 생맥산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0686260B1 (ko) 장구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및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74738A (ko)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추출물,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00032553A (ko) 잠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KR100692560B1 (ko)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Song et al. Protective effect Malus pumila Mill leaf polyphenols in reserpine-induced gastric ulcer in mice
JP2009007328A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97632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