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076B1 -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076B1
KR101051076B1 KR1020090050747A KR20090050747A KR101051076B1 KR 101051076 B1 KR101051076 B1 KR 101051076B1 KR 1020090050747 A KR1020090050747 A KR 1020090050747A KR 20090050747 A KR20090050747 A KR 20090050747A KR 101051076 B1 KR101051076 B1 KR 10105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ch
extract
peach extract
composition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101A (ko
Inventor
신태용
김상현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이태규
영농조합법인 동상면사람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규, 영농조합법인 동상면사람들 filed Critical 이태규
Priority to KR102009005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0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세포내에서 TNF-α의 분비를 억제하고 TNF-α, IL-1β, IL-6 및 IL-8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며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는 개복숭아를 통해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과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고 수욕상에서 80∼150℃의 온도조건으로 1∼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고,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 제조된다.
개복숭아, 알레르기, 치료, 예방

Description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lergy comprising of Fruits of prunus davidiana Fr}
본 발명은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포내에서 TNF-α의 분비를 억제하고 TNF-α, IL-1β, IL-6 및 IL-8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며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통해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과 국소 피부 알레르기반응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세계 각국에서 화분증이나 기관지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 알레르기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괴로움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알레르기는 광범위하고 복잡한 병리적 현상의 총화로 면역반응에 근거한 생체의 전신적 또는 국소적인 장해라 할 수 있다. 인체에 나타나는 알레르기는 면역 기전에 따라 I, Ⅱ, Ⅲ 및 Ⅳ형으로 분류된다. 이중 즉시형 과민반응에 속하는 I형 알레르기가 임상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 천식, 고초열 및 화분증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알레르기 중 Ⅰ형 알레르기는 비만세포(Mast cell)의 활성화에 의해 일어나며 비만세포의 과립에 염증의 매개체인 히스타민(Histam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진 것은 1953년경이다.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때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방출되는 현상이 발견된 후에 이 기전을 구명하던 중 Ishizaka의 IgE의 발견은 비만세포가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함을 밝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알레르기 반응은 알레르겐들이 비만세포에 있는 고친화성의 FcεRI 수용체에 이미 부착되어있는 IgE들을 서로 교차 결합시킬 때 유발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만세포들은 신체표면을 덮고 있으며, 국소 감염에 대하여 면역계가 경계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단 이들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면 이미 만들어져 과립 내에 저장되어 있던 매개물질(Preformed mediator)과 프로테아제(Protease),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등이 동시에 방출된다(Ishizaka 등, Histamine release from rat mast cells by antibodies against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membrane. J. Immunol., 1977, 119: 1589-1596).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물질들은 세포의 활성화에 동반하여 세포막 인지질로부터 생산된 프로스타그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 트롬복산(Thromboxane),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Glycerophospholipids) 유도체인 PAF(Platelet activating factor) 등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newly generated mediator이다. 또한,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동반하여 면역반응의 조절인자로 잘 알려진 cytokine은 IL-3(비만세포 증식인자), IL-4, IL-5 등이 있으며, 이들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Galli SJ 등, Cytokine production by mast cells and basophils. Curr. Opin. Immunol., 1991, 3:865-72, Bradding P 등, Immunolocalization of cytokines in the nasal mucosa of normal and perennial rhinitic subjects. The mast cell as a source of IL-4, IL-5, and IL-6 in human allergic mucosal inflammation. J. Immunol., 1993, 151:3853-3865).
한편,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레르기 치료약물로는 그 작용기전에 따라 탈과립저해제, 화학전달물질 작용억제제, 화학전달물질 합성저해제 등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물들 중에서 화학전달물질 작용억제제와 화학전달물질 합성저해제의 경우는 약물작용점이 비교적 확실하지만 탈과립저해제의 경우에는 그 작용기전이 불분명한 상태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약물들은 장기간 투여에 의해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임상에서 가장 중요한 Ⅰ형 알레르기는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방출되는 과립내용물인 활성아민류와 프로테아제(Protease)류, 세포막 인지질에서 생성되는 지질성 매개체, 전사의 활성화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류 등이 관련되어 일어나는 생체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종합할 수 있다. 이러한 I형 알레르기의 치료를 위해서는 비만세포에서 이들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 및 유리에 대한 작용기전을 밝히고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세포에서 작용기전이 확실한 생 리활성 물질의 생산 및 유리를 조절하는 약물을 개발한다면 알레르기의 예방 및 치료제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의 세포내에서 TNF-α의 분비를 억제하고 TNF-α, IL-1β, IL-6 및 IL-8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며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는 개복숭아를 통해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과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최소화된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개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 제제나 피부 도포의 제형으로 제조된 알레르기 치료제를 통해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 및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도록 함은 물론,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고 수욕상에서 80∼150℃의 온도조건으로 1∼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 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고,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개복숭아 추출액은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50 중량%와 70% 에탄올 50∼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부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이 혼합 조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담체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피복제, 유화제, 현탁제, 용제, 안정화제, 흡수조제, 주사용수 및 등장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담체일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제제, 피부 도포 제제 또는 주사제 제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경구 제제는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로 이루어지고, 피부 도포 제제는 연고제 또는 로션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복숭아 추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100mg/일로 투여함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 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3∼7시간씩 2회에 걸쳐 추출한 수층을 여과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b) 단계(a)의 과정을 통해 2회에 걸쳐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단계; (c) 단계(b)의 과정을 통해 에탄올이 회수 제거된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욕상에서 80∼150℃의 온도조건으로 1∼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d) 단계(c)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e) 단계(d)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a) 과정의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은, (a-1)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50 중량%와 70% 에탄올 50∼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a-2)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부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및 (a-3) 단계(a-1)의 과정과 (a-2)의 과정에서 추출된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세포 내에서 TNF-α의 분비를 억제하고 TNF-α, IL-1β, IL-6 및 IL-8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며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으로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과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최소화된 알레르기 예방/치료제로써 경구제제와 같은 제형으로 알레르기 예방/치료제를 제조하여 인체에 활용하기 양호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의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TNF-α의 분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다른 개복숭아의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의 전사인자 엔에프카파비(NF-κB)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본 출원인은 전신성 알레르기와 국소 피부 알레르기의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개복숭아가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과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 예방/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주요 구성요소인 개복숭아는 오래전부터 먹거리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하고 독성이 적으며, 민간약으로 부종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개복숭아의 핵인 씨를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음건한 다음, 음건된 과육을 70%의 에탄올로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득한 후,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고 개복숭아 추출액을 가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한 다음,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 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개복숭아 추출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핵인 씨를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한 다음,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 제거한 후,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욕상에서 80∼150℃의 온도조건으로 1∼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고,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 제조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구성에서 음건된 개복숭아 과육으로부터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은 2회에 걸쳐 이루어진다. 즉, 개복숭아 추출액은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을 통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한 70% 에탄올을 통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이 혼합 조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음건된 개복숭아 과육과 에탄올의 조성비는 5∼50 : 50∼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진다. 물론, 1차의 개복숭아 추출액과 2차의 개복숭아 추출액의 추출시 음건된 개복숭아 과육과 에탄올의 조성비를 5∼50 : 50∼95 중량%로 동일하게 한다.
다시 언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개복숭아 추출액은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50 중량%와 70% 에탄올 50∼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부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이 혼합 조성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담체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피복제, 유화제, 현탁제, 용제, 안정화제, 흡수조제, 주사용수 및 등장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담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개복숭아 추출물과 담체의 혼합비는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 제조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제제, 피부 도포 제제 또는 주사제 제제의 제형으로 제조되어진다. 이때, 경구 제제는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로 이루어지고, 피부 도포 제제는 연고제 또는 로션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복숭아 추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100mg/일로 투여함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a)의 과정을 통해 핵인 씨를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3∼7시간씩 2회에 걸쳐 추출한 수층을 여과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한다. 이때, 개복숭아는 완전히 익지 않는 상태인 미숙의 개복숭아를 사용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a)의 과정에서는 개복숭아 추출액의 추출과정은 (a-1)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50 중량%와 70% 에탄올 50∼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a-2)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부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및 (a-3) 단계(a-1)의 과정과 (a-2)의 과정에서 추출된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a)의 과정을 통해 2회에 걸쳐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은 단계(b)의 과정을 통해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한다. 이때, 개복숭아 추출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No.5 여과지를 이용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을 여과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b)의 과정을 통해 에탄올이 회수 제거된 개복숭아 추출액은 단계(c)의 과정을 통해 수욕상에서 가열 농축을 통해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한다. 이때, 가열조건을 80∼150℃의 온도조건으로 1∼5시간 가열을 통해 개복숭아 추출액을 가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c)의 과정을 통해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한 후에는 단계(d)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 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처럼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 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제조한 후에는 단계(e)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50∼100 mg/일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다양한 식품류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첨가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컨대, 차, 술, 음료, 화장품, 건강보조 식품류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개, 토끼, 고양이 등의 온혈동물 치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복숭아 추출물인 동결건조 추출물을 차, 술, 음료, 화장품, 건강보조 식품류 등에 일정비율로 혼합하게 되면 다양한 식품류에도 이용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개복숭아 추출물로써의 동결건조 추출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일정 조성비로 혼합하여 알레르기 예방/치료용 경구 제제의 제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정제와 캡슐제 및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알레르기 치료용 경구 제제의 제형으로써 정제를 제조하는 경우 동결건조 추출물과 담체의 조성비는 동결건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당 80∼85 중량부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의 조성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 치료용 경구 제제의 제형으로써 캡슐제를 제조하는 경우 동결건조 추출물과 담체의 조성비는 동결건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전분 1.0∼2.0 중량부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20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 치료용 경구 제제의 제형으로써 과립제를 제조하는 경우 동결건조 개복숭아 추출물과 담체의 조성비는 동결건조 개복숭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당 10∼20 중량부의 조성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레르기 치료용 주사제를 제조하는 경우 동결건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성아황산나트륨 1.0∼2.0 중량부, 메틸파라벤 0.5∼1.5 중량부, 프로펜파라벤 0.3∼1.0 중량부, 제일인산나트륨 1.5∼2.5 중량부, 제이인산나트륨 1.0∼1.5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1.0∼2.0 중량부 및 주사용수 1.0∼ 2.0 중량부의 조성비로 혼합 조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제조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 예 1]
개복숭아의 추출물(동결건조 추출물)의 제조
전북 완주군에서 생산된 개복숭아를 구입하여 핵인 씨를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음건한 다음 70% 에탄올로 수욕상에서 5시간씩 2회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였다. 이처럼 추출된 1회 개복숭아 추출액과 2회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한 다음, 수욕상에서 가열을 통해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고,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 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동결건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 예 2]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효과
개복숭아가 생쥐의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사율 실험을 하였다. 표 1 은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동결건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탈과립제인 compound 48/80 을 생쥐의 복강에 투여하기 60분 전에 개복숭아 건조물을 0.05∼1 mg/g의 용량으로 복강 내에 주사하였으며, 치사율은 아나필락시를 유발시킨 후 1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생리식염수 200μl를 투여한 대조군은 100% 치사율을 보였지만 개복숭아 추출물를 0.1 mg/g 투여하였을 때는 치사율이 60%, 0.5 mg/g을 투여하였을 때는 50%, 1 mg/g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는 치사율이 0%로 농도 의존적으로 치사율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표.
개복숭아 추출물
(mg/g, BW)
compound 48/80
(0.008 mg/g, BW)
mortality
(%)
none (saline) + 100
0.05 + 100
0.1 + 60
0.5 + 50
1.0 + 0
1.0 - 0
[실험 예 3]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시간에 따른 효과
개복숭아 추출물(동결건조 추출물)이 생쥐의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치사율 실험을 하였다. 표 2 는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시간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탈과립제인 compound 48/80을 생쥐의 복강에 투여한 후 개복숭아 추출물 1 mg/g을 5분, 10분 및 15분에 각각 복강 내에 주사하였으며 치사율은 아나필락시를 유발시킨 후 1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탈과립제인 compound 48/80을 생쥐의 복강에 투여한 5분 후에 개복숭아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치사율은 30%, 10분 후에 투여하였을 때는 60%, 15분 후에 투여하였을 때는 100%로 치사율이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의 시간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표.
개복숭아 추출물
(mg/g, BW)
time
(min)
compound 48/80
(0.008 mg/g, BW)
mortality
(%)
none (saline) 0 + 100
1.0 5 + 30
10 + 60
15 + 100
[실험 예 4]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
알레르기 치료효과를 갖는 약물을 개발할 때 많이 사용되는 수동형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을 이용하여 개복숭아의 피부 알레르기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였다. PCA는 면역 글로블린 E에 의해 매개되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항체를 국소 피부에 피내주사하고 48시간 후 항원을 생쥐의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실험 방법이다. 표 3 은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항원과 항체를 생쥐에 투여하면 항체 주입 부위에 국소적으로 발적이 일어나 그 부위에 존재하는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어 국소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여기에 개복숭아 추출물을 0.001 mg/g을 투여하였을 때 억제율이 3.9, 0.01 mg/g을 투여하였을 때 억제율이 11.3%, 0.1 mg/g을 투여하였을 때 억제율이 23.5%, 1 mg/g을 투여하였을 때 억제율이 49.8%로 개복숭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였다.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개복숭아의 효과를 나타낸 표.
개복숭아 추출물
(mg/g)
Anti-DNP IgE plus DNP_HSA Inhibition (%)
none (saline) +
0.001 + 3.9
0.01 + 11.3
0.1 + 23.5
1 + 49.8*
[실험 예 5]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 인터루킨-6(IL-6)와 같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은 비만세포에서 유리되거나 새로 합성되어 분비됨으로써 염증성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도 1 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분비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Protein kinase C 활성화 인자인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와 칼슘 채널 활성화 인자인 Calcium ionophore A23187(A23187)은 비만세포를 활성화 하여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을 인체 비만세포주 (Human mast cell lime, HMC-1 )인 세포에 투여한 결과 종양괴사인자-알파의 분비량이 증가하였다. 개복숭아 추출물을 농도별로 전처리한 결과 개복숭아는 농도 의존적으로 PMA와 A23187에 의한 종양괴사인자-알파의 분비량을 감소시켰다.
[실험 예 6]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
종양괴사인자-알파(TNF-a)와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8(IL-8 )와 같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은 비만세포에서 유리되거나 새로 합성되어 분비됨으로서 염증성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도 2 는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역전사 연쇄중합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종양괴사인자-알파,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8(IL-8 )의 mRNA의 발현 양을 조사하였다.
한편, Protein kinase C 활성화 인자인 피엠에이(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와 칼슘 채널 활성화 인자인 Calcium ionophore A23187(A23187)는 비만세포를 활성화 하여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들을 인체 비만세포주 (Human mast cell lime, HMC-1 )인 세포에 투여한 결과 종양괴사인자-알파,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8(IL-8 )의 mRNA의 발현양이 증가하였다. 여기에 개복숭아 추출물을 농도별로 전처리한 결과 개복숭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PMA와 A23187에 의한 종양괴사인자-알파,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8(IL-8 )의mRNA의 발현 양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예 7]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κB(NF-κB)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
전사인자인 NF-κB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전사를 조절하는 인자로서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물질이다. 개복숭아 추출물이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알파와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8(IL-8 )의 발현을 억제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보다 정확한 신호전달 기전을 밝히고자 개복숭아 추출물의 NF-κB의 활성화에 대한 영향을 실험하였다. 비활성화 상태에서 NF-κB는 내인성 억제 단백질인 inhibitory-κB(IκBα)에 결합하여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활성화 되면 inhibitory-κB가 인산화 되어 분해되면서 이들로부터 유리되어 핵으로 이동하여 전사인자로 활동한다. 도 3 은 전사인자인 NF-κB에 대한 개복숭아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인체 비만세포주인 HMC-1세포를 PMA와 A23187로 자극하면 inhibitory-κB가 분해되고, 세포질내 NF-κB의 양에는 변화가 없이 핵내의 NF-κB가 증가된다. 여기에 개복숭아 추출물을 투여한 결과 개복숭아 추출물이 PMA와 A23187에 의한 inhibitory-κB의 분해를 억제하고 핵내의 NF-κB양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를 이용한 알레르기의 치료용 조성물을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한 제조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 예 1] 정제
하기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정제 조성물
개복숭아 추출물 ---------------------------- 600.0 mg
유당 --------------------------------------- 509.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1.0 mg
[제조 예 2] 캡슐제
하기와 같은 조성물을 통해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으로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개복숭아 추출물을 체질하여 부형제와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 중에 충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제 조성물
개복숭아 추출물 ---------------------------- 600.0 mg
전분 1500 ----------------------------------- 10.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 100.0 mg
[제조 예 3] 과립제
하기와 같은 조성을 통해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으로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과립제 조성물
개복숭아 추출물 ---------------------- 600.0 mg
유당 --------------------------------------- 100.0 mg
[제조 예 4] 주사제
하기와 같은 조성을 통해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주사제 조성물
개복숭아 추출물 ---------------------------- 600.0 mg
산성아황산나트륨 ---------------------------- 10.0 mg
메틸파라벤 ----------------------------------- 6.0 mg
푸로펜파라벤 --------------------------------- 4.0 mg
제일인산나트륨 ------------------------------ 12.0 mg
제이인산나트륨 ------------------------------- 8.0 mg
수산화나트륨 -------------------------------- 10.0 mg
주사용수 ------------------------------------ 10.0 ml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개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 피부 도포 및 주사제 제제의 제형으로 제조된 알레르기 치료제를 통해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 및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의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 추출물의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Cytokine)인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의 분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 추출물의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복숭아 추출물의 전사인자 엔에프카파비(NF-κB)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

Claims (8)

  1.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고 수욕상에서 80∼150℃의 온도조건으로 1∼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상기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 제조된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복숭아 추출액은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50 중량%와 70% 에탄올 50∼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과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부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이 혼합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피복 제, 유화제, 현탁제, 용제, 안정화제, 흡수조제, 주사용수 및 등장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의 치료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제제, 피부 도포 제제 또는 주사제 제제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의 치료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제제는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부 도포 제제는 연고제 또는 로션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의 치료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기 개복숭아 추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50∼100mg/일인 것을 특징으로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의 치료용 조성물.
  7. (a) 핵을 제거하고 과육을 취해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을 70% 에탄올의 수욕상에서 3∼7시간씩 2회에 걸쳐 추출한 수층을 여과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b) 단계(a)의 과정을 통해 2회에 걸쳐 추출된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여 에탄올을 회수 제거하는 단계;
    (c) 단계(b)의 과정을 통해 에탄올이 회수 제거된 개복숭아 추출액을 수욕상에서 80∼150℃의 온도조건으로 1∼5시간 가열을 통해 농축시켜 개복숭아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d) 단계(c)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개복숭아 농축액을 동결건조를 통해 개복숭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e) 단계(d)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개복숭아 추출물 1∼90 중량%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10∼99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과정의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은
    (a-1) 수분 함수율 15% 이하로 음건하여 파쇄된 개복숭아 과육 5∼50 중량%와 70% 에탄올 50∼9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1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a-2) 한 번 추출한 개복숭아에 1차와 동일량의 70% 에탄올을 부어 70∼100℃의 에탄올 수욕상에서 3∼7시간 동안 추출하여 개복숭아 추출액의 여과를 통해 취한 수층(물층)의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추출하는 과정; 및
    (a-3) 상기 단계(a-1)의 과정과 (a-2)의 과정에서 추출된 1차 개복숭아 추출 액과 2차 개복숭아 추출액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복숭아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50747A 2009-06-09 2009-06-09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47A KR101051076B1 (ko) 2009-06-09 2009-06-09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747A KR101051076B1 (ko) 2009-06-09 2009-06-09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101A KR20100132101A (ko) 2010-12-17
KR101051076B1 true KR101051076B1 (ko) 2011-07-21

Family

ID=4350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747A KR101051076B1 (ko) 2009-06-09 2009-06-09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0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728B1 (ko) 2018-03-07 2019-08-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릿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시약 조성물
KR102171924B1 (ko) * 2019-09-16 2020-10-30 주식회사 무무코스메틱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61B1 (ko) * 2011-07-24 2013-09-16 왕연중 자연산 개복숭아를 함유한 배추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07666B1 (ko) 2019-11-08 2023-03-08 주식회사 홍도담 개복숭아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16B1 (ko) 1993-12-06 2001-09-24 오하라히로시 과실의 폴리페놀 혼합물
KR20070023936A (ko) * 2005-08-25 2007-03-02 홍림통산(주)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816854B1 (ko) 2006-11-27 2008-03-2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46100B1 (ko) 2007-05-09 2008-07-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머루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16B1 (ko) 1993-12-06 2001-09-24 오하라히로시 과실의 폴리페놀 혼합물
KR20070023936A (ko) * 2005-08-25 2007-03-02 홍림통산(주) 과실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816854B1 (ko) 2006-11-27 2008-03-2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46100B1 (ko) 2007-05-09 2008-07-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머루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728B1 (ko) 2018-03-07 2019-08-0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릿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시약 조성물
KR102171924B1 (ko) * 2019-09-16 2020-10-30 주식회사 무무코스메틱 개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완화용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101A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045B1 (ko)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106957A (ko) 간 보호 또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인삼다당체 조성물
KR101901828B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51076B1 (ko) 개복숭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5862B1 (ko) 특발성 폐섬유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US894563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an ethyl acetate fraction of dried extract of Trachelospermi caulis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raction
KR20060092373A (ko)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US20100173028A1 (en) Process for preparing vitis vinifera pip extrac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the same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74426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НИКОТИНОВОЙ ЗАВИСИМОСТИ, ВКЛЮЧАЮЩАЯ ЭКСТРАКТ Liriope platyphylla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KR100816854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130044286A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09419787A (zh) 一种松香烷型二萜类化合物的用途
KR20140142580A (ko) 질려자로부터 분리한 엔-트랜스-로우-카페오일 티라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46100B1 (ko) 머루 추출물을 이용한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및 그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2531387B1 (ko) 홍경천 및 연자육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090019396A (ko) 쥐눈이콩 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19215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Song et al. Protective effect Malus pumila Mill leaf polyphenols in reserpine-induced gastric ulcer in mice
KR100992995B1 (ko) 피페로날의 신규한 용도
KR20190075850A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4098B1 (ko) 쌀, 쌀겨 또는 왕겨 추출물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56654B1 (ko) 염증과 통증을 억제하는, 프로폴리스와 구기자 배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