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668B1 -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668B1
KR101188668B1 KR1020090040032A KR20090040032A KR101188668B1 KR 101188668 B1 KR101188668 B1 KR 101188668B1 KR 1020090040032 A KR1020090040032 A KR 1020090040032A KR 20090040032 A KR20090040032 A KR 20090040032A KR 101188668 B1 KR101188668 B1 KR 10118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066A (ko
Inventor
윤종림
조성휘
Original Assignee
윤종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4064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86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종림 filed Critical 윤종림
Priority to KR102009004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6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뽕잎 추출물, 콩 추출물, 병풀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완화제 조성물은 아토피 습진에 대해 항산화 효과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다.
뽕잎, 콩, 병풀, 카모마일, 솔잎, 자극 완화, 아토피, 습진.

Description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ATOPIC ECZEMA-ALLEVIATING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뽕잎 추출물, 콩 추출물, 병풀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서, 주로 유아기 및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피부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나, 환경적 요인, 유전적 소인, 면역화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 이상 등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도 소양증, 피부 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피부 병변의 분포와 반응 양상도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난다. 유아의 경우, 병변이 주로 진물이나 딱지가 지는 급성 습진이 나타나며, 주로 얼굴, 머리에 잘 생기고 몸통이 거칠고 건조하며, 팔다리의 바깥쪽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2세 이상의 소아기에는 얼굴보다는 팔다리의 접히는 부분, 목의 접히는 부분에 생기며 건조한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 피부염은 나이가 들면서 호전되거나 없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호전된 후에도 특정 물질이나 자 극에 의해 쉽게 가려움증,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도 하며 성인기에 손 습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성인기까지 아토피 피부염이 남는 경우 유,소아기 때 보다 피부의 증상은 호전되나, 얼굴에 홍반, 홍조, 습진, 접히는 부위에 태선화 피부가 나타나며, 성인기라도 만성 습진 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만성 습진 위에 진물과 딱지가 앉는 급성 병변이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난다.
아토피 피부염의 약물 치료로서 통상 국소 스테로이드, 국소 면역 조절제, 전신 스테로이드제, 전신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투여 또는 복용하나, 이들 약물은 각종 부작용의 위험을 안고 있다.
최근에, 상기와 같은 약물 치료의 대체 의학적 보완 요법에 관심을 갖게 되어,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화장품의 원료나 미용 마사지 제품으로 사용하고 있는 천연 물질을 주로 이용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아로마 오일을 피부에 바름으로써 피부에 침투된 천연 정유의 치유 효과와 더불어 후각을 통한 긴장 완화 및 정서적 안정 효과등을 얻고자 하는 대체 요법들이 이용되었고, 특히 카모마일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제가 개시되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17182호).
본 발명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서 기존에 사용되던 스테로이드류,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와 같은 약물 치료제와는 달리, 부작용의 우려가 없고 안전한 천연 재료로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특히 아토피 습진에 대한 완화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뽕잎 추출물, 콩 추출물, 병풀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아토피 습진에 대한 우수한 자극 완화 및 각질 치유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뽕잎 추출물 20-25중량%, 콩 추출물 15-20중량%, 병풀 추출물 45-50중량%, 카모마일 추출물 5-10중량%, 솔잎 추출물 5-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분쇄된 솔잎으로부터의 액상 추출물을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솔잎 추출물 분말에 피마자 오일 및 식물성분 유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를 혼합한 다음, 발효에 의해 제조된 솔잎 발효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들에 추가로 식물성분 유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를 5-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분 유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는 부추 40 내지 50중량부, 솔잎 30 내지 40중량부, 녹차잎 15 내지 20중량부, 및 양파 분쇄물 10 내지 15중량 부를 포함하는 식물성 재료를 혼합, 발효시켜 얻은 액상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풀 추출물, 상기 뽕잎 추출물, 상기 콩 추출물, 상기 카모마일 추출물은, 상기 재료들 각각의 분쇄물을 공기는 투과하고 액체는 투과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서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상기 발효 추출물들은 공기는 투과하고 액체는 투과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 즉 옹기에서의 숙성에 의한 발효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 젤, 밀크로션, 스킨로션, 연고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 외용제 또는 피부 세정제도 또한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에서 우수한 보습작용으로 자극을 완화하여 가려움증이 없게 하며, 피부조직이 산화되어 각화 및 각질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아토피 피부 습진의 치유를 촉진하는 효과를 갖는다.
뽕잎은 누에의 사료로 사용되며, 아미노산과 섬유소가 풍부해 면역력 향상과 원기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차로도 마신다.
최근에, 뽕잎은 그 기능성이 밝혀진 것으로서, 루틴은 모세혈관을 강화하여 중풍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가바(GABA)는 혈압을 조절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모라신은 세균을 죽이는 항균 작용에 효과가 있고, 움벨리페론은 염증을 없애주는 소염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모루신은 항종양 작용에 효과가 있고 디옥시노지리마이신, 페고민, 칼리스테진 등은 당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뽕잎의 추출물로부터 확인된 바, 뽕잎에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67846호).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뽕잎 추출물을 20-25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뽕잎 추출물은 항균 및 염증억제 작용을 한다.
뽕잎 추출물은 순수 천연물로서,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다른 천연물보다도 우수한 항균작용과 염증억제 작용을 가지며,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 등을 포함하는 염증을 수반하는 피부질환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뽕잎을 발효시켜 얻은 뽕잎 발효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뽕잎 발효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뽕잎을 세척하여 분쇄한다. 그 다음,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옹기)에 분쇄물을 주입한 다음,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시킨다. 이러한 발효에 의해서 뽕잎 분쇄물은 고/액 분리된다. 상기 고/액 분리된 뽕잎 발효물을 여과기에 의해 여과하여 뽕잎 발효 추출물을 획득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옹기에서의 숙성 방식은 원료 물질의 변성을 방지하고, 원료 내에 함유된 효능 물질들은 신선하게 유지시켜주며, 원료 중의 불순물들이 자 연적으로 걸러지도록 해줌으로써 천연 물질로부터 신선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콩 추출물을 15-20중량% 함유한다. 콩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재생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영양공급을 원활히하여 피부를 투명하고 청량감있게 유지해 주어 피부 진정 작용이 우수한 물질이다. 콩 추출물 성분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한 주요한 특징은 콩 발효 추출물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발효된 콩에는 이소플라본 중에서도 제니스테인이란 물질이 풍부하다. 제니스테인은 이소플라본 중 당이 분리된 아글리콘(aglycone)의 형태로 지질에 잘 용해되고 피부를 투과하는 물질이다. 제니스테인은 SOD(수퍼옥시다제 디스뮤타제)의 생성을 증가시켜 수퍼옥시다제 라디칼을 제거함으로써 강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따라서,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유해산소를 제거하여, 유해산소의 자극에 민감한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소플라본은 콩에서 추출한 식물성 물질로서 부작용이 없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다. 이소플라본은 특히 콩에 많이 들어 있는데,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비슷하여 피토에스트로겐이라고도 불리며, 에스트로겐의 대체물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소플라본은 3개의 비배당체(아글리콘)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글리시테인과 9개의 배당체(글리코시드) 베타-글리코시드(다이드진, 제니스틴, 글리시틴), 6"-O-아세틸-글루코시드(다이드진, 제니스틴, 글리시틴), 6"-O-말로닐-글루코시드(다이드진, 제니스틴, 글리시틴)로 이루어진다. 또한, 발효되지 않은 콩의 이소플 라본에는 주로 배당체의 함유율이 높고, 발효된 콩에는 비배당체의 함유율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이 활성이 높으며, 특히 제니스테인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지질 용해성이 좋고, 피부침투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콩 이소플라본 중에서도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제니스테인에 의해서 우수한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소플라본의 효능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에스트로겐과의 유사성을 기초로 하여, 갱년기 장애의 예방 및 치료, 월경전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골다공증 및 노인성 골절의 예방 및 치료, 항암효과 및 혈관계 질환의 예방 효과, 및 폐경과 관련된 신경학적 효과 등에서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밝혀진 효능 대부분은 여성 에스트로겐 호르몬에 관련된 장애에 관련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콩 이소플라본 중에서도, 특히 제니스테인이 피부에 대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질환의 완화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 밝혀진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콩 발효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콩를 물에 불려 분쇄하고,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 분쇄물을 주입한 다음,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시킨다. 이러한 발효에 의해서 콩 분쇄물은 고/액 분리된다. 상기 고/액 분리된 콩 발효물을 여과기에 의해 여과하여 콩 발효 추출물을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병풀 추출물을 45-50중 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병풀 추출물은 항균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보습작용이 우수하여 피부의 가려움 및 자극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병풀은 우리나라의 자생식물로서 주위에서 쉽게 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병풀 추출물은 오랫동안 민간 치료제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상처 치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고대 인디언들은 피부가 거칠어 보일 때는 매일 병풀 잎을 두 장씩 먹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병풀 추출물은 외과적 상처나 2-3도 화상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외상의 경우, 피부질환으로 생긴 상처에 아시아티코시드(asiaticoside)가 0.5-1.0% 함유된 연고를 처방하거나, 2%의 아시아티코시드가 추천 용량이며, 하루 한두 번으로 치료가 된다고 한다.
병풀의 학명은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이며, 이것은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킨다고 밝혀졌다. 병풀 추출물은 콜라겐과 피브로넥틴에 의한 진피의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쥐 실험 결과 밝혀졌다. 피부 관리의 측면에서는 노화된 피부의 재생을 도와주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특히, 제품에 병풀 추출물이 함유된 것은 가려움과 자극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병풀은 우리나라의 자생식물로서, 습한 개울가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고, 직접 길러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화원 등에서 구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병풀 발효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병풀 발효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병풀 잎과 뿌리를 세척하여 분쇄한다. 그 다음,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 분쇄물을 주입한 다음,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시킨다. 이러한 발효에 의해서 병풀 분쇄물은 고/액 분리된다. 상기 고/액 분리된 병풀 발효물을 여과기에 의해 여과하여 병풀 발효 추출물을 획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카모마일 추출물을 5-10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카모마일 추출물은 살균 작용을 한다. 카모마일은 허브의 일종으로서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카모마일은 인도와 유럽이 원산지인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약용식물로서, 피부살균 효과와 전신미용 효과가 커서 유럽에서는 입욕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염증성 질환, 발열 등을 치료하기 위한 약용차로도 이용되어 왔다. 테르펜류, 플라보노이드류, 쿠마린, 칼릭애시드 등의 무기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 120여 종의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카모마일 발효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모마일 발효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카모마일 잎을 세척하여 분쇄한다. 그 다음,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 분쇄물을 주입한 다음,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시킨다. 이러한 발효에 의해서 카모마일 분쇄물은 고/액 분리된다. 상기 고/액 분리된 카모마일 발효물을 여과기에 의해 여과하여 카모마일 발효 추출물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솔잎 추출물을 5-10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솔잎 추출물은 피부의 열을 내려 피부를 맑게 해주며 특유의 살균작용으로 진정효과가 있어 가려움 및 자극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솔잎액상 추출물의 원료인 솔잎은 테르펜 계통의 피톤치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그 자체로서 음이온을 발생하며, 인체에 유익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다량으로 함유된 재료이다. 또한, 솔잎은 최종 조성물에 솔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솔잎을 분쇄하고 여과하여 회수되는 액상 성분인 솔잎 액상 추출물이 포함되어 혼합물이 구성된다.
솔잎의 테르펜(Terpenoids) 성분은 피부 노화를 방지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솔잎은 테르펜 이외에도 특히, 솔잎에 들어있는 피넨(α-Finene) 성분은 캄폰(Campone)으로 이성화되어 생체조직이 산화되어 각화, 각질이 되는 것을 환원시켜 주는 과정을 촉진한다.
솔잎 추출물을 얻는 공정으로서는 먼저, 채취한 솔잎을 충분한 물에 하루 이상 담그어 송진을 우려낸다. 솔잎을 건져내어 하루동안 말린 후, 이를 초파기, 예를들면 만능 초파기를 이용해서 솔잎을 분쇄한다. 분쇄는 1차 분쇄 및 2차 분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차 분쇄에서는 8-10mm 이하로 분쇄하며, 2차 분쇄에서는 3-4mm 이하로 분쇄한다. 각 분쇄후에는 충분히 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분쇄된 솔잎을 망사로 감싸서 유압 압축 프레스로 액상 분리를 시행하고, 정치 상태로 24시간 이상 유지하면, 상등액과 슬러리로 분리되는데, 슬러리를 여과하여 상등액을 분리하면 솔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시료인 솔잎 부피의 약 1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의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 : 0.1 내지 1 : 10,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3의 혼합비 를 갖는 혼합용매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1일 정도에서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또는 건조하여 솔잎 추출물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첫번째 단계에서 얻은 솔잎 추출물 분말에 피마자 오일 및 알칼리수를 혼합한다. 첨가량은 솔잎 추출물 95-98중량%, 피마자오일 1-2.5중량%, 알칼리수, 바람직하게는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 1-2.5중량%가 바람직하다. 혼합후에는 호모게나이저로 혼합하는데, 2500rpm에서 약 15분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된 솔잎 추출물을 최종적으로 발효 및 숙성하는 단계로서, 24-25℃에서 약 60-80시간동안 발효시켜 솔잎 발효 추출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식물성분 유래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를 5-10중량% 더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가 5중량% 미만일 경우, 음이온이 방출되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가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식물성분 유래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로는, 본 출원인이 특허권자인 한국특허등록 제10-0715378호 및 제10-0715396호에 개시된 식물성분 유래의 음이온 발생 조성물을 사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분 유래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는, 부추 40 내지 50중량부, 솔잎 30 내지 40중량부, 녹차잎 10 내지 20중량부, 및 양파 분쇄물 10 내지 15중량부를 혼합 하고, 이 혼합물을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 주입하고 5 내지 7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발효시킨 다음, 발효에 의해 생긴 액상의 물질을 여과하여 얻은 알칼리성 이온수이다.
상술한 식물성분 유래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는 인체에 무해한 음이온을 방출한다. 이러한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는 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산소(활성산소)와 결합하여 이것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산성 노폐물을 끌어당기는 에너지가 있어 인체의 자연면역력을 높을 수 있다. 또한, 음이온은 유기화합물이나 오존을 분해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의 사용은, 아토피 피부염에 특히 유해한 피부를 자극하는 각종 유해물질의 제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인체면역력을 높임으로써 면역질환의 일종인 아토피 피부염의 완화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피부의 자극완화 효과, 항산화 효과, 상처치유 효과, 항염증 효과 및 피부진정 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설명한 식물 추출물들의 상기한 배합비의 배합으로부터, 각 발효 추출물의 개개 성분들의 작용의 상승효과에 의해 아토피 피부습진의 자극에 대한 신속한 완화효과와 각질분해 작용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노란색의 액상 물질로서, 유화제를 사용하면서 물에 용해하여 안정한 제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순수 천연물 유래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1,3-부틸렌 글리콜을 제형화의 베이스로 사용하고, 무방부제 시스템으로 제조한 제형은 피 부에 대한 자극이 전혀 없이 안정하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크림, 젤, 밀크로션, 스킨로션, 연고 등의 외용제, 비누 등의 세정제, 또는 의약부외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같은 조성물을 상기한 제형 중 하나로 형성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조예를 설명한다.
제조예 1
뽕잎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 뽕잎를 재배하여 그 잎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뽕잎을 세척하여 분쇄한 다음,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 분쇄물을 주입한 다음,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시켰다. 발효에 의해 생긴 액상의 물질을 여과하여 추출물로서 사용하였다.
콩은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물에 불려 분쇄하여 뽕잎과 마찬가지로 발효시켜, 발효에 의해 생긴 액상의 물질을 여과하여 추출물로서 사용하였다.
병풀은 본 발명에서는 직접 기른 병풀을 사용하였다. 병풀 잎은 수분이 적절할 때 채취하고, 뿌리는 세척하여 사용하였다. 채취한 병풀 잎과 뿌리를 분쇄하여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이상 공기는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서 숙성시켜 충분히 발효시킨다. 발효에 의해 생긴 액상의 물질을 여과하여 병풀 추출물로서 사용하였다.
카모마일은 허브의 일종으로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시중에서 구입 한 카모마일을 병풀과 마찬가지로 발효시켜, 발효에 의해 생긴 액상의 물질을 여과하여 추출물로서 사용하였다.
솔잎은 충분한 물에 하루 동안 담그어 두었다. 솔잎을 건져내어 하루동안 말린 후, 솔잎을 만능 초파기를 이용해서 8-10mm로 이하로 1차 분쇄하였으며, 이를 다시 3-4mm 로 2차 분쇄했다. 분쇄된 솔잎을 325 메시 망사로 싸서 유압 압축 프레스(2HP)로 짜서 액상분리했다. 액상분리된 결과물을 24시간 정치시켜 상등액과 침전물(슬러리)이 나뉘도록 한 후, 잔류슬러리를 여과하여 상등액만을 취했다. 상등액을 농축 건조시킨 분말 950g에 피마자오일 25g 알칼리수 25g을 혼합하고,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해서 15분간 2500rpm에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25℃에서 72시간 발효하여 엷은 황색의 액상 조성물을 얻었다.
식물성분 유래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는 본 출원인이 특허권자인 한국특허등록 제10-0715396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추 45중량부, 솔잎 35중량부, 녹차잎 15중량부, 및 양파 분쇄물 10중량부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공기가 투과되고 액체성분은 투과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 주입하고 7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발효시켰다. 다음에, 발효에 의해 얻어진 액상의 물질을 여과하여,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를 획득하였다.
상기한 제조한 뽕잎 발효 추출물 20중량%, 콩 발효 추출물 20중량%, 병풀 발효 추출물 45중량%, 카모마일 발효 추출물 5중량%, 솔잎 추출물 5중량%을 상기 제조한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 5중량%와 혼합하고, 균질 호모게나이저에서 800-850rpm의 속도에서 30-40분간 혼합하였다.
혼합된 조성물을 여과기로 여과하여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획득하였다. 조성물의 pH는 5.5-7.0 정도였다.
시험예 1
아토피 피부 질환이 있는 10대 청소년 6명, 20-30대 성인 4명의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본 발명 제품의 아토피 피부습진의 개선효과에 대한 패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정제수 중의 중량%로, 상기 제조예 1에서 획득한 조성물 1.0중량%와 1,3-부틸렌 글리콜 3.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밀납 4.0중량%, 식물유 1.0중량%, 에탄올 10.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 제품을 가지고, 상기 지원자들의 아토피 피부 질환 환부에 매일 3회씩 4주동안 도포하도록 하고, 가려움증 완화, 보습유지 효과, 염증 완화, 각질개선의 항목들을 설문조사하여 10명에 대한 배점을 평균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일 사용후 3일 사용후 1주 사용후 2주 사용후 3주 사용후 4주 사용후
가려움증 완화 0.9 1.8 2.9 3 3 3
보습유지 효과 0.8 1.7 2.1 2.5 2.7 3
염증 완화 0.7 1.7 2.1 2.4 2.8 3
각질개선 0.5 1.6 1.9 2.1 2.5 2.9
배점: 4-완전치유, 3-상당한 치유, 2-상당한 개선, 1-약간 개선, 0-효과없음
상기 평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 후 1주 이내에 우수한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신속한 염증 완화와 함께 각질 개선작용이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크림, 젤, 밀크로션, 스킨로션, 연고 등의 외용제, 비누 등의 세정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조 성물의 제형예를 이하에 예시한다.
제형예 1 (스킨로션)
성분 중량%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1.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 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정제수 100 까지
제형예 2 (밀크로션)
성분 중량%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1.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카프릴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정제수 100 까지
제형예 3 (크림)
성분 중량%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파라핀 10.0
카프릴/카프릴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정제수 100 까지
제형예 4 (젤)
성분 중량%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1.0
에틸렌디아민아세트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에탄올 5.0
정제수 100 까지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은 순수 천연 물질로부터 유래한 성분들만을 사용하므로, 염증이나 상처가 있는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화학적 치료제 등에 의해 생기는 것과 같은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 없이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고, 염증 등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질환이 있는 피부에 꾸준히 적용한다면 탁월한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뽕잎 추출물 20-25중량%, 콩 추출물 15-20중량%, 병풀 추출물 45-50중량%, 카모마일 추출물 5-10중량%, 솔잎 추출물 5-10중량% 및 식물성분 유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 5-10중량%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추출물은 분쇄된 솔잎으로부터의 액상 추출물을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솔잎 추출물 분말에 피마자 오일 및 식물성분 유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를 혼합한 다음, 발효에 의해 제조된 솔잎 발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분 유래 음이온 발생 알칼리 이온수는 부추 40 내지 50중량부, 솔잎 30 내지 40중량부, 녹차잎 15 내지 20중량부, 및 양파 분쇄물 10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식물성 재료를 혼합, 발효시켜 얻은 액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풀 추출물, 상기 뽕잎 추출물, 상기 콩 추출물, 상기 카모마일 추출물은, 상기 재료들 각각의 분쇄물을 공기는 투과하고 액체는 투과하지 않는 도기재질의 반응기에서 25-28℃의 상온에서 72시간 방치하여 발효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크림, 젤, 밀크로션, 스킨로션, 연고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 외용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아토피 피부습진 완화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KR1020090040032A 2009-05-08 2009-05-08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10118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32A KR101188668B1 (ko) 2009-05-08 2009-05-08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32A KR101188668B1 (ko) 2009-05-08 2009-05-08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066A KR20100121066A (ko) 2010-11-17
KR101188668B1 true KR101188668B1 (ko) 2012-10-10

Family

ID=4340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032A KR101188668B1 (ko) 2009-05-08 2009-05-08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6507B (zh) * 2016-10-06 2019-01-22 广州煜明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去湿疹功效的婴幼儿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3999088A1 (en) * 2019-07-15 2022-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skincare compositions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215B1 (ko) * 2004-10-18 2005-10-07 이성재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215B1 (ko) * 2004-10-18 2005-10-07 이성재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066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2069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60296A (ko) 화장료 조성물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6397B1 (ko)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한 피톤치트 생성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4146014A (zh) 一种复方烟酸薄荷酯植物多糖乳膏及其制备方法
KR101082819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81059B1 (ko) 삼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88668B1 (ko)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101188662B1 (ko)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82820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의제조방법
KR101280315B1 (ko) 피톤치트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60871B1 (ko)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