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814A -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814A
KR19980045814A KR1019960064025A KR19960064025A KR19980045814A KR 19980045814 A KR19980045814 A KR 19980045814A KR 1019960064025 A KR1019960064025 A KR 1019960064025A KR 19960064025 A KR19960064025 A KR 19960064025A KR 19980045814 A KR19980045814 A KR 1998004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ment
complement activity
citrostedienol
present
schizand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규
이임선
오세량
김동선
정근영
김정희
Original Assignee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원훈
Priority to KR101996006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814A/ko
Publication of KR1998004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814A/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 [citrostadienol,(3β,4α,5α,24Z)-4-메틸스티그마스타-7,24(28)-디엔-3-올]을 보체계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로 유발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보체 활성 조절제 (anti- complementarity drug)로 사용하는 용도, 이를 오미자 (Schizandrae fructus)로부터 분리하는 제조방법 및 보체 활성을 조절하는 오미자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 및 오미자 추출물은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난창, 망막염, 간염 및 비염 등의 염증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Description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도 1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의 항보체 활성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이 C3 전환효소 및 C5 전환효소에 미치는 항보체 활성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상세한설명]
[발명의목적]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 및 이를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로부터 분리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이트로스테디엔올 [citrostadienol,(3β,4α,5α,24Z)-4-메틸스티그마스타-7,24(28)-디엔-3-올]을 보체계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로 유발되는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보체 활성 조절제 (anti- complementarity drug)로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 이를 오미자로부터 분리하는 제조방법 및 보체 활성을 조절하는 오미자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 및 오미자 추출물은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난창, 망막염, 간염 및 비염 등의 염증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인체의 보체계 (complement system)는 약 20여종의 혈청 단백질로 구성되는데, 이는 크게 면역 복합체에 의해 활성화되는 보체계 (classical pathway) 및 균체 성분 등에 의해 활성화되는 보체계 (alternative pathway)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체계는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 등에 의해 생체가 감염된 경우 유발되는 생체 방어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보체계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보체 C3a, 보체 C4a또는 보체 C5a등의 절편(fragment)이 유리되어 이들이 아나필라톡신 (anaphylatoxin)으로 생체에 작용하고, 그 결과 다양한 염증 질환이 유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정에 의해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장기 이식 거부반응 등을 포함한 보체와 관련된 염증 질환 등이 유발된다 (Miyagawa, S. et al., Transplantation, 46, 825, 1988; Zvaifler, N. J., Arthritis Care Res., 2, S17, 1989; Sabharwal, U. K. et al., Arthritis Rheum., 25, 161, 1982; Murray J. F. et al., Am. Rev. Respir. Dis., 138, 720, 1988).
따라서, 보체의 비정상적인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물질이 탐색되어 왔다. 지금까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β(1→3)글루칸, 이눌린(inulin), 6-가지형 β(1→3)글루칸 및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 등 분자량이 큰 다당류들이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곰팡이, 세균 및 한약재 등으로부터 분리되었으나 그의 항보체 활성은 그리 강하지 못하였다 (Muschel, L. H. et al., Proc. Soc. Exp. Biol. Med., 117, 63, 1964; Okuda, T. et al., New. Biol., 238, 59, 1972; Hamuro, J. et al., Immunology, 34, 695, 1978; Yamada, H. et al., Carbohydr. Res., 144, 101, 1985; Yamada, H. et al., Carbohydr. Res., 144, 101, 1985). 이외에도 분자량이 작은 피토스테롤(phytosterol)이 식물에서 분리되어 항보체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Tsuyoshi, E. et al., Yakugaku Zasshi, 111(6), 299, 1991; Haruki, Y. et al., Chem. Pharm. Bull., 35(12), 4851, 1987)
지금까지 사이트로스테디엔올(citrostadienol) 또는 α1-시토스테롤(α1-sitosterol)이라고 하는 (3β,4α,5α,24Z)-4-메틸스티그마스타-7,24(28)-디엔-3-올은 쥐를 대상으로 한 카올린(Kaolin) 시험에 이용되어 그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 이외에도 카라지닌으로 유도한 육아종(granuloma)에 대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Henri, P., US 특허 3,625,194). 그러나 상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이 항보체 활성과 관련하여 염증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음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전통 한약재로부터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BAILL)의 과실(Schizandrae fructus)에서 분리한 추출물이 보체 활성을 강력하게 조절함을 처음으로 확인하고, 이로부터 항보체 활성을 갖는 화학식 1의 (3β,4α,5α,24Z)-4-메틸스티그마스타-7,24(28)-디엔-3-올(이하 사이트로스테디엔올 이라고 칭함)를 분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화학식 1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보체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로 유발되는 다양한 염증 질환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염증 질환에는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장기 이식 거부반응이 관련된 염증 등이 포함된다.
그외에도,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은 상기 염증 질환에 대한 치료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BAILL)로부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분리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오미자 열매 (Schizandrae fructus)를 건조시켜 탄소수 1 - 4 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다음 다양한 전개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제조한다. 이 때 전개 용매로는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비율이 100 : 0 에서 0 : 100 의 범위인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이에 더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이 적절한 비율인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이 때 그 비율이 30 : 1 : 7 인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열매를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은 오미자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보체의 비정상적인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구성및작용]
본 발명은 사이트로스테디엔올(citrostadienol)이라고 하는 (3β,4α,5α,24Z)-4-메틸스티그마스타-7,24(28)-디엔-3-올을 보체의 비정상적인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서 염증성 질환인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장기 이식 거부반응이 관련된 염증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보체제로서 상기 염증에 대한 치료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이 나타내는 항보체 활성을 통상의 방법으로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면역 복합체에 의해 활성화되는 보체계 (classical pathway) 에 작용하여 보체 활성을 조절하는 양상을 메이어(Mayer) 방법 (Kabat, E. A. and Mayer, M. M., In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Charles and Thomas, U.S.A)및 변형된 클럭스(Klerx)의 보체 반응 (Klerx, J. P. et al., J. Immunol. Methods, 63, 215, 1983) 등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이 나타내는 항보체 활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보체 성분인 C3 전환효소(convertase) 및 C5 전환효소의 활성을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이 조절하는 양상을 잉글버거(Englberger) 방법 (Bitter-Suermann, D. et al., Immunochemistry, 7, 955, 1970)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에 의해 감작된 적혈구에서 유발되는 용혈 저해 현상을 조사한다 (도 2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은 항보체 활성이 매우 강력하고 이 때 이들의 최소 생육 저해 농도(IC50)는 4.6 × 10-8M 로 나타남을 확인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은 지금까지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리포폴리사카라이드, β(1→3)글루칸, 이눌린, 6-가지형 β(1→3)글루칸, 아라비노갈락탄 등의 고분자 물질 또는 기존의 스테로이드 유도체 보다 더욱 강력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낸다. 참고로 기존의 스테로이드 유도체에서 나타나는 최소 생육 저해 농도는 9.5 × 10-5M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BAILL)로부터 분리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는 오미자과(Schizandraceae)에 속하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BAILL)의 열매로서, 지름이 5-10mm 정도되는 구형 구조에 암갈색을 나타내고 약간 특이한 냄새와 신맛이 있으며 그의 뒷맛은 떫고 쓰다. 이는 주로 강장 진해약으로 한방 및 민간 약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간 독성에 대한 보호작용, 위액 분비 억제기능, 항산화 및 중추신경 억제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Miyamoto, K. et al., Biol. Pharm. Bull., 18(10), 1443, 1995)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은 오미자의 열매 (Schizandra fructus)로부터 통상적인 추출 방법 그리고 순상 크로마토그라피 및 역상 크로마토그라피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정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미자 열매를 건조시켜 탄소수 1 - 4 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이에 물과 헥산을 가하여 헥산층을 분리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한다. 이 때 전개 용매로는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구체적으로는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의 비율이 100 : 0 에서 0 : 100 의 비율인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상기 과정에 더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의 비율이 적당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한다. 이 때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의 비율이 30 : 1 : 7 인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으로 얻은 분획에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을 재결정함으로써 백색 분말상의 순수한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얻는다.
오미자로부터 분리·정제한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하여, 융점, 질량 스펙트럼,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및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이를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의 열매를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은 오미자 추출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오미자 추출물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보체 활성 조절제로서, 염증성 질환인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장기 이식 거부반응이 관련된 염증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 및 오미자 추출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부형제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하고 단위 용량 형태 또는 다용량 용기에 내입시킬 수 있다. 제제 형태는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기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의 분산제, 현탁제 또는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미자로부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의 분리·정제
오미자(Schizandrae fructus)로부터 항보체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오미자 열매 6kg 을 잘 건조시킨 다음 잘게 부수어 실온에서 메탄올 10L 로 4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메탄올 농축물 1,485g 을 얻고, 이에 물과 헥산을 가하여 세게 진탕한 다음 헥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에서 진탕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한 다음 헥산층을 합하여 감압 농축하고, 이 농축액 200g 을 얻어 이중 180g 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였다. 이 때 전개 용매로는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구체적으로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의 비율이 100 : 0 에서 0 : 100 의 비율인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7개의 분획을 분리하고, 분리된 분획들 중 2번째 분획을 고온(150℃), 감압(-1 기압) 하에서 증류하여 증류되지 않은 잔사 분획 17.3g 을 얻었다.
상기 잔사 분획을 이용하여 다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는데, 이 때 전개 용매로는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의 비율이 50 : 1 인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14개의 분획을 분리하고,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 557mg 을 모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였다. 이 때 전개 용매로는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 클로로포름의 비율이 30 : 1 : 7 인 혼합용매를 사용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쳐 항보체 활성을 가진 분획을 얻어 재결정하고 백색 분말상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 45mg 을 얻었다.
실시예 2 오미자에서 분리한 사이트로스테디엔올[(3β,4α,5α,24Z)-4-메틸 스티그마스타-7,24(28)-디엔-3-올]의 물리 화학적 성질
실시예 1 에서 얻은 오미자 추출물로부터 분리·정제한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
1) 물질의 성상 : 백색 침상 결정
2) 분자식 : C30H50O
3) 융점 : 154.4 - 155.4℃
4) 질량 스펙트럼 m/z (rel. int)
그 결과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426(C30H50O.[M+]), 24), 411([M-CH3]+, 40), 393([M-CH3-H2O], 14), 328([M-C7H3-H], 41), 313([M-C8H15-2H], 8), 285([M-C10H20-H], 100), 227(8)
5)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KBr, cm-1)
그 결과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431(OH), 2958, 2871(C-H), 1466, 1446(C-H), 1053, 1016(C-O)
6)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δ, CDCl3, ppm)
그 결과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54(3H, s), 0.83(3H, s), 0.94(3H, br d, J=7.5Hz), 0.97(6H, d, J=6.9Hz), 0.97(3H, d, J=6.0Hz), 1.59(3H, d, J=7.2Hz), 2.83(1H, sep, J=6.9Hz), 3.12(1H, dt, J=10.5, 4.2Hz), 5.18(1H, br d, J=6.0Hz), 5.11(1H, q, J=6.7Hz)
7)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δ, CDCl3, ppm)
그 결과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δ145.81, 139.09, 117.47, 116.47, 76.20, 56.02, 54.94, 49.64, 43.36, 46.66, 40.24, 39.5, 37.01, 35.93, 36.58, 34.83, 30.97, 28.61, 28.09, 27.98, 26.65, 22.92, 21.37, 21.09, 21.02, 18.93, 15.16, 14.14, 12.77, 11.85,
8) 화학 구조식
실시예 3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의 항보체 활성
본 발명에서 분리·정제한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의 항보체 활성을 통상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면역 복합체에 의해 활성화되는 보체계 (classical pathway)에 작용하는 항보체 활성을 메이어(Mayer) 방법 및 변형된 클럭스(Klerx)의 보체 결합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양의 전혈로부터 적혈구를 취하고 이를 베로날 완충용액(veronal buffer : 1.8mM 바비탈 나트륨, 3.1mM 바비튤릭산, 0.141M 염화나트륨, 0.5mM 염화마그네슘, 0.15mM 염화칼슘, 0.1% 젤라틴, 0.3% 아자이드 나트륨, pH7.3)으로 5 × 108세포수/ml 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베로날 완충용액으로 1 : 75 - 1 : 100 으로 희석한 양 적혈구에 대한 항체(hemolysin)를 두 용액이 1 : 1 이 되도록 섞어 37℃에서 30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감작 적혈구(sensitized erythrocyte)를 원래의 적혈구 농도로 맞추어 보체 반응에 사용하였다. 또한 보체로는 정상인 혈청(normal human serum)을 베로날 완충용액으로 1 : 75 - 125 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보체 결합 반응을 수행하기 위하여, 베로날 완충용액 80μl 와 정상인 혈청 희석 용액 80μl 을 마이크로타이터 판(microtiter 96 well plate, U 타입)에서 섞고 37℃에서 30분 동안 1차 진탕 배양한 다음 즉시 4℃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800 × g)하였다. 그의 상등액 중 100μl 를 취하여 다른 판(평평한 바닥의 96 well plate)에 옮긴 다음 흡광도 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15nm 또는 54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보체 결합 반응에서 표준 용혈(50% 용혈)을 유발하는 조건은 각 성분의 농도 및 상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시료를 검정할 때 마다 적혈구 농도(5 × 108세포수/ml)를 기준으로 양의 피에 대한 항체 및 정상인 혈청을 농도별로 조합한 보체 결합 반응을 실시하여 표준 용혈을 위한 각 성분의 농도를 검정하였다.
다음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농도별로 베로날 완충용액 80μl 에 첨가하여 진행시킨 보체 결합 반응 실험구의 용혈 흡광도를 측정하여 용혈율(% hemolysis)를 계산하였고 이로부터 항보체 활성도(anticomplementary activity, %)를 측정하였다. 이 때 보체 희석 용액 대신에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감작 적혈구를 용혈시킨 실험구의 흡광도를 최대 용혈값으로, 혈청을 56℃에서 30분간 방치하여 보체를 불활성화한 용액을 첨가한 실험구의 흡광도를 최저 용혈값으로 하였고 감작 적혈구 대신에 베로날 완충용액을 동일 부피로 넣은 실험구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자체의 색소에 의한 흡광도 상승을 보정하였다. 모든 반응은 3번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용혈율은 3번 반복 측정한 평균값으로 계산하였다. 본 실험에서 항보체 활성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 참조).
[수학식 1]
[수학식 2]
또한, 본 발명은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이 나타내는 항보체 활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보체 성분인 C3 전환효소(convertase) 및 C5 전환효소의 활성을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이 조절하는 양상을 잉글버거(Englberger)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트로스테디엔올에 의해 감작된 적혈구에서 유발되는 용혈 저해 현상을 조사하였다 (도 2 참조).
[발명의효과]
본 발명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 및 오미자 추출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β(1→3)글루칸, 이눌린(inulin), 6-가지형 β(1→3)글루칸 및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 등 분자량이 큰 다당류들 및 비교적 높은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스테로이드 유도체보다 더 강력한 항보체 활성 (최소 생육 저해 농도가 4.6 × 10-8M)을 나타내므로 보체의 비정상적인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화학식 1 의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
    [화학식 ]
  2. 제 1항에 있어서, 보체 활성 조절제는 염증 치료제 또는 그의 치료 보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 2항에 있어서, 염증은 천식, 알레르기, 관절염, 류마치스, 전신성 홍반성 낭창, 망막염, 간염, 장염, 췌장염, 신장염,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장기 이식 거부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오미자 (Schizandrae chinensisBAILL)를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여 분획한 다음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및 재결정을 수행하여 얻는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의 제조방법.
  5. 오미자 열매 (Schizandra fructus)를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
  6. 제 5항의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KR1019960064025A 1996-12-10 1996-12-10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45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025A KR19980045814A (ko) 1996-12-10 1996-12-10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4025A KR19980045814A (ko) 1996-12-10 1996-12-10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14A true KR19980045814A (ko) 1998-09-15

Family

ID=6652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025A KR19980045814A (ko) 1996-12-10 1996-12-10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8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39B1 (ko) *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59488B1 (ko) * 2002-07-22 2006-03-10 고제상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nfat 전사 저해제
KR100629311B1 (ko) * 2004-12-22 2006-09-29 김홍렬 항염증 조성물
KR100717891B1 (ko) * 2004-11-25 2007-05-14 이지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7833B1 (ko) * 2005-05-18 2007-11-2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488B1 (ko) * 2002-07-22 2006-03-10 고제상 오미자로부터 분리한 nfat 전사 저해제
KR100483539B1 (ko) *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17891B1 (ko) * 2004-11-25 2007-05-14 이지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29311B1 (ko) * 2004-12-22 2006-09-29 김홍렬 항염증 조성물
KR100777833B1 (ko) * 2005-05-18 2007-11-2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5558B2 (ja) Xanthocerassorbifolia抽出物を含む組成物、該抽出物から単離された化合物、それらを調製する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2007145849A (ja) Solanum属の植物由来の水溶性抽出物およびそれらの調製方法、ならびに水溶性抽出物を含む薬学的組成物
WO2008121021A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секоизоларицирезинола и дигидрокверцетина из древесины
JP2006510592A (ja) スイカズラ(LonicerajaponicaThunb.)茎の活性成分の抽出および精製方法、その消炎鎮痛剤への用途
JP2014087364A (ja) 食用アピオス花、食品素材、血糖値上昇抑制効果具有物、血糖値上昇抑制物質およびアピオス花の使用方法
Lampe Toxic fungi
TWI320714B (en) Plant extracts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CN101797307B (zh) 一种含苯乙醇苷的枇杷叶紫珠提取物及其制备方法
JPH1072357A (ja) 抗アレルギー剤
CN100376255C (zh) 具有抗炎活性和抗动脉粥样硬化活性的藿香提取物以及含有从所述提取物中分离和提纯的椴素的组合物
KR19980045814A (ko) 사이트로스테디엔올을 보체 활성 조절제로 사용하는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8743B1 (ko)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1037800A (ja) アピオス花を用いた血糖値上昇抑制物質および糖尿病予防用食品素材
NA et al. Quantification of anti-fertility compound-Diosgenin concentration in the fenugreek seeds aqueous extract (FSA)
JP2000154151A (ja) 免疫抑制剤
US6773728B2 (en) Herbal composition of blend of active components prepared from murrya koenigii and piper betle useful for blocking of 5 lipoxygenase activity leading to the inhibition of leukotriene synthesis, suppression of interleukin-4 production, and enhancement of gamma interferon release
US6586021B2 (en) Method for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biologically useful molecules from a mangrove plant Salvadora persica L
AU2002326139A1 (en) An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remedy of bronchial respiratory difficulties
US7022349B2 (en) Antihistamine composition
KR101509056B1 (ko) 인삼 복합 생약 추출물, 진세노사이드 Rg2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030118671A1 (en) Formulation containing peanut leaf extract and its preparation
US20100015243A1 (en)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s having antithrombotic activity from muskrat musk and materials obtained from the method
Akhter A pharmacological study on Stixis suaveolens (Roxb.) using experimental animal model
RU2257909C1 (ru) Концентрат побегов черники и композиции на его основе, обладающие геропротектор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20060014006A (ko) △20-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높은 인삼추출물의 가공방법및 가공인삼 추출물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1217

Effective date: 2001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