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148B1 -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148B1
KR102141148B1 KR1020200062181A KR20200062181A KR102141148B1 KR 102141148 B1 KR102141148 B1 KR 102141148B1 KR 1020200062181 A KR1020200062181 A KR 1020200062181A KR 20200062181 A KR20200062181 A KR 20200062181A KR 102141148 B1 KR102141148 B1 KR 10214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berry
cudrania
atopic dermatitis
temperatur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봉
Original Assignee
(주)한생플래닛
이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생플래닛, 이한봉 filed Critical (주)한생플래닛
Priority to KR102020006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냉각 및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Cosmetic composition having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s of a mulberry tre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를 간접가열하여,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및 응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천식과 알레르기성 질환의 발달 전에 발생하는 만성적인 염증질환으로, 케모카인의 농도, 양적변화나 활성 정도에 따라 그 증상에 차이가 있으며, Th2 타입의 림프구가 병변부(lesionalskin)로 침입하는 현상을 말하기도 한다. 아토피 피부염은 면역학적 요인에 의해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이 비정상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각질형성세포를 IFN-γ(interferon-γ)나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에 노출시키면 TARC, MDC, CTACK 등의 케모카인이 비정상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염증반응이 일어나면서 단핵구/T세포(monocytes/T cells)가 피부로 침투되는 현상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정확한 병리 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지만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비면역학적 기전이 관여한다고 보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은 IgE와 연관된 면역 기전에 의해 발생되는데 특정 알레르겐(allergen)에 대한 즉시형 면역 반응보다는 T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성 면역 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또한, 요즘은 B세포로 부터 IgE의 생성을 유도하는 IL-4 등 Th2관련 사이토카인(cytokine)들이 아토피의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JS Kang et al, Ihhibition of atopic dermatitis by topical application of silymarin in NC/Nga mice Int Immunopharm (2008) 8:1475-1480).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는 그 근원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완치를 목표로 하기보다는 유발인자를 피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조절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처방은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과 같은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스테로이드제(부신피질호르몬제)는 크게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으며 효과가 우수하지만, 스테로이드제는 표피의 성장억제나 부작용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우레아 퍼록사이드 등은 피부의 과다 자극을 야기할 수 있고, 항히스타민제 등의 항생물질은 균의 내성(resistance) 및 광과민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피부에 적용시 모세혈관 확장증 및/또는 각질층의 두께 증가 내지 확장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으며, 최근 아토피 완화에 많이 쓰이는 감마-리놀레산(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46633호)은 쉽게 산화되므로 안정성이 열등함과 아울러, 피부 자극성이 비교적 강하여 민감한 피부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개념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아토피에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표적으로, 쑥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77262호), 영지버섯, 유근피, 감초, 백봉령, 백지마 및 백년초의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17465호), 달맞이유, 알로에, 목초액, 제비꽃, 대추, 송이버섯, 두릅, 인삼, 녹차, 두충, 복분자, 오미자, 쑥, 포공영, 삼백초, 황기, 하고초, 해송, 황금 및 우슬의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1444호), 청자소엽과 적자소엽의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4752호), 건률, 의이인, 오미자, 길경, 나복자, 맥문동 및 석창포의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3539호), 라벤더, 유칼립투스 및 티트리 오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97997호) 등이 있고, 그 외에도 상기생, 합환피, 창이자, 맥아 등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천연물질들은 그 효능이 미미하거나, 효과는 있더라도 민감성 피부에 있어서는 알레르기 과민반응을 보여 그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에 속하는 갈잎작은키 나무로,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중남부의 산기슭이나 들판에서 자란다. 꾸지뽕나무는 일반 뽕나무와 달리 긴 가시가 달려있고, 잎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을 자르면 우유같은 흰액이 나오며, 열매에서도 같은 액이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꾸지뽕나무는 플라노이드, 가바, 루틴, 아스파라긴산등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암, 진통, 항균, 어혈제거, 당뇨, 고혈압, 뇌출혈, 생리통, 냉증 완화, 소염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이러한 꾸지뽕나무가 산야(山野)에 산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잠업을 할 때 누에에게 뽕잎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꾸지뽕나무를 재배해 오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재배되어지는 꾸지뽕나무는 뽕잎의 대량 양산을 위하여 해마다 가지치기를 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베어낸 꾸지뽕나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생약효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목질(木質)이 연하고, 그 양이 대단히 많아 그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해내는 방식은 두 개의 항아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항아리에는 뽕나무를 가득 담아 준비하고, 다른 하나의 항아리는 땅속에 묻은 후, 항아리의 주둥이와 주둥이 사이에 거름망 기능을 하는 삼베를 개재시켜 두 항아리의 주둥이를 맞댄다. 상기 삼베는 뽕나무가 구워질 탄화조각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땅 위로 위치하고, 뽕나무를 가득 담은 항아리의 주변에 왕겨를 덮어씌운 후, 왕겨에 불을 붙여 항아리에 담긴 뽕나무에 열을 가해 탄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발생한 수증기가 땅속으로 묻혀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항아리 내부로 유입될 때 두 항아리의 온도차이에 의해 결로되어 뽕기름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뽕기름의 생산방식은 목질이 단단한 뽕나무에서의 뽕기름 추출에는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목질이 단단하지 못한 뽕나무 가지로부터 뽕기름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수분 증발속도가 너무 빨라 뽕나무 가지 자체가 전소(全燒)하여 뽕기름을 추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식은 너무 오랜 시간(7 내지 10일)이 소요되어 생산성 향상에는 한계가 있고, 온도를 지속적으로 높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뽕나무로부터 추출된 뽕기름에 함유된 성분이 다양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수율도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왕겨로부터 발생한 타르가 항아리 내로 혼입되어, 뽕기름에서 타르냄새가 나, 청결한 사용에 제한이 있고, 부생물로 얻어지는 탄화물(숯)의 질이 낮아 숯으로 재활용시에도 냄새가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항아리의 이용으로, 열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성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4663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7726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1746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144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5475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353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97997호
JS Kang et al, Ihhibition of atopic dermatitis by topical application of silymarin in NC/Nga mice Int Immunopharm (2008) 8:1475-1480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꾸지뽕나무를 간접가열하여,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및 응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나무를 활용하고, 이러한 꾸지뽕나무로부터 청결한 유효성분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로서,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150 내지 50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0 내지 15 ℃의 온도로 냉각 및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열용기에 수납되는 꾸지뽕나무는 평균 직경이 7 cm 이하의 줄기를 갖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 나무가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은 디-알로스, 디-마니톨, 탈로스, 바닐린, 아세토바닐론, 데스아스피디놀, 1,4:3,6-디안하이드로-알파-디-글루코피라노오즈, 1H-인돌-2-카르브 옥실산, 미오-이노시톨, 레보글루코산, 모노터펜, 프로피오바닐론 및 4H-피리도[1,2-a]피리미딘-3-카르브 옥실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뽕기름 추출기에 의해 추출되는 것이고, 상기 뽕기름 추출기는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수납부(17)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두장이 겹쳐져 내벽(12a)과 외벽(12)을 이루는 이중의 몸체(11)구조로써, 외벽(12)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수납부(17)에 수납된 꾸지뽕나무에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조사구멍(14) 다수가 내벽(12a)과 외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는 뽕기름만이 통과하여 뽕기름 저장용기(30)로 회수되도록 하는 거름망(16)이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플랜지(18)에는 뚜껑(2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9)이 설치되어 있는 가열용기(10)와; 상기 가열용기(10)의 상부 플랜지(18)에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19)이 끼워지는 고정홈(21a)이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고,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개방되는 안전콕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23)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20)과;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고,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어 진 수분에 의해 발생한 가열용기(10)내의 수증기가 기온차에 의해 결로되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31)에 의해 펌핑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지는 냉각수순환공간(32)을 갖는 이중의 구조이며, 추출된 뽕기름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구(33)에 배출밸브(34)가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저장용기(30)와; 플레이트(41) 상부에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화단열벽돌(42)이 조적(組積)되어지되, 상기 가열용기(10)의 안착이 가능한 공간(43)을 갖도록 조적(組積)되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 내면을 따라 발열히터(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히터(44)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고열온도감지봉(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이 스텐커버(46)에 감싸여서 된 기체(40)와;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온도감지봉(23) 및 고열온도감지봉(45) 그리고 발열히터(44)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5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350 내지 50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3 내지 1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 및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150 내지 25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3 내지 1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3: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것인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스킨, 로션, 에센스, 유액, 젤, 립스틱,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분무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바디클렌져, 비누, 팩, 마사지제,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또는 메이크업베이스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외용제로서, 상기 피부용 외용제는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액제, 드레싱제, 패취제,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외용산제 또는 스프레이제인 것인 피부용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용 외용제는 꾸지뽕나무를 간접가열하여,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및 응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내 실험(in vivo)을 통하여,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이 면역 교란 물질인 2,4-디니트로클로로벤젠(2,4-dinitrochlorobenzene; DNCB)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에 투여 또는 도포되었을 때 홍반(erythema), 출혈(hemorrhage), 건조(dryness), 흉터(scarring), 태선화(lichenification), 짓무름(erosin) 등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활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경구투여하거나,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약학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용 외용제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용 외용제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나무를 활용하고, 이러한 꾸지뽕나무로부터 청결한 유효성분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하여, 매우 높은 생산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꾸지뽕나무를 넣기 위해 뚜껑을 개방하는 초기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꾸지뽕나무를 넣을 수 있도록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꾸지뽕나무를 넣은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에 뚜껑을 위치시켜 고정핀을 고정홈에 위치 고정시키는 초기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 몸체 고정핀의 조임너트를 조여 뚜껑을 장착완료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에 발열히터로부터 열이 가해져 꾸지뽕나무로부터 뽕기름이 추출되는 과정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뽕기름 추출기의 가열용기에 발열히터로부터 열이 가해져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된 뽕기름이 뽕기름저장용기로 유입된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시험예 1에 따른 GC/MS 성분분석 결과.
도 10은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시험예 2에 따른 열분해 GC/MS 성분분석 결과.
도 11은 시험예 3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피부 손상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시험예 3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경구투여가 피부병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이미지.
도 13은 시험예 3에 따라 Hematoxylin & eosin(H&E) 염색한 등 피부 표피의 광학현미경 이미지.
도 14는 시험예 3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비장의 무게를 비교하여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시험예 3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혈청 IgE의 발현양을 비교하여나타낸 그래프.
도 16은 시험예 4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피부도포에 따른 피부 손상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7은 시험예 4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피부도포에 따른 물리적 증상 완화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은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150 내지 50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0 내지 15 ℃의 온도로 냉각 및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간접가열은 2 내지 5 시간 동안 수행되어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에 탁월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는 종래의 뽕기름 추출 방식(7 내지 10일)보다 매우 단축된 시간으로 높은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꾸지뽕나무는 잎만이 아니라 전초, 줄기 등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용기에 수납되는 꾸지뽕나무는 평균 직경이 7 cm 이하의 줄기를 갖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 나무가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 나무가지에는 꾸지뽕 나무의 잎, 뿐만아니라 전초, 줄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 나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에 보다 효과적인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에서 포함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종래의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에 따른 꾸지뽕나무 추출물과는 전혀 상이한 방법에 의한 것으로, 이에 따라서 추출되는 성분 또한 전혀 상이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은 디-알로스, 디-마니톨, 탈로스, 바닐린, 아세토바닐론, 데스아스피디놀, 1,4:3,6-디안하이드로-알파-디-글루코피라노오즈, 1H-인돌-2-카르브 옥실산, 미오-이노시톨, 레보글루코산, 모노터펜, 프로피오바닐론 및 4H-피리도[1,2-a]피리미딘-3-카르브 옥실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보다 우수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350 내지 50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3 내지 1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 및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150 내지 25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3 내지 1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3: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일 수 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은 상기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0.01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함량이 너무 많으면 상기한 개선 효과가 더 이상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은 뽕기름 추출기에 의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뽕기름 추출기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뽕기름 추출기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뽕기름 추출기는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수납부(17)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두장이 겹쳐져 내벽(12a)과 외벽(12)을 이루는 이중의 몸체(11)구조로써, 외벽(12)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수납부(17)에 수납된 꾸지뽕나무에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조사구멍(14) 다수가 내벽(12a)과 외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는 뽕기름만이 통과하여 뽕기름 저장용기(30)로 회수되도록 하는 거름망(16)이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플랜지(18)에는 뚜껑(2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9)이 설치되어 있는 가열용기(10)와; 상기 가열용기(10)의 상부 플랜지(18)에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19)이 끼워지는 고정홈(21a)이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고,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개방되는 안전콕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23)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20)과;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고,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어 진 수분에 의해 발생한 가열용기(10)내의 수증기가 기온차에 의해 결로되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31)에 의해 펌핑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지는 냉각수순환공간(32)을 갖는 이중의 구조이며, 추출된 뽕기름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구(33)에 배출밸브(34)가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저장용기(30)와; 플레이트(41) 상부에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화단열벽돌(42)이 조적(組積)되어지되, 상기 가열용기(10)의 안착이 가능한 공간(43)을 갖도록 조적(組積)되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 내면을 따라 발열히터(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히터(44)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고열온도감지봉(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이 스텐커버(46)에 감싸여서 된 기체(40)와;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온도감지봉(23) 및 고열온도감지봉(45) 그리고 발열히터(44)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50)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뽕기름 추출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뽕기름 추출기는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10)와, 상기 가열용기(10)의 상부로 덮여지는 뚜껑(20)과, 상기 가열용기(10)의 하부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는 뽕기름저장용기(30)와, 상기 가열용기(10)를 감싸는 기체(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용기(10)는,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수납부(17)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두장이 겹쳐져 내벽(12a)과 외벽(12)을 이루는 이중의 몸체(11)구조를 갖는다.
상기 몸체(11)의 외벽(12)에는 황토벽(13)이 도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벽(12)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부터 발생 되는 원적외선이 수납부(17)에 수납된 꾸지뽕나무에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조사구멍(14) 다수가 내벽(12a)과 외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1)하부에는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는 뽕기름만이 통과하여 뽕기름저장용기(30)로 회수되도록 하는 거름망(16)이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 상부의 플랜지(18)에는 뚜껑(2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황토벽(13)은 그 두께가 5 내지 20 ㎝의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 상부로 설치되는 뚜껑(20)은 몸체(11)의 상부로 형성된 플랜지(18)에 설치된 고정핀(19)이 끼워지는 고정홈(21a)이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개방되는 안전콕크(22)가 설치되어 있고,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콕(22)은 가열용기(10)의 내부 온도가 500 ℃를 초과할 때 개방되어 가열용기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열용기(10)의 수납부(17)내의 온도는 최대 500 ℃의 열을 갖도록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 하부로 형성된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는 뽕기름저장용기(30)는,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된다.
상기 뽕기름저장용기(30)는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어 진 수분에 의해 발생한 가열용기(10)내의 수증기가 기온차에 의해 결로되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31)에 의해 펌핑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지는 냉각수순환공간(32)을 갖는 이중의 구조이다.
상기 뽕기름저장용기(30)의 하부에는 추출된 뽕기름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33)에는 배출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용기(10)가 안착 되는 기체(40)는 플레이트(41) 상부에 내화단열벽돌(42)이 조적(組積)되어지되, 상기 가열용기(10)의 안착이 가능한 공간(43)을 갖도록 조적(組積)되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 내면을 따라 발열히터(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히터(44)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고열온도감지봉(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이 스텐커버(46)에 감싸여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기체(40)의 내화단열벽돌(42) 내측으로 설치된 발열히터(44)는 그 발열온도가 900℃까지 발열하며, 상기 발열온도에 의해 가열용기(10)의 내부 온도가 500 ℃내외까지 원하는 온도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체(40)의 발열히터(44)와 뚜껑(20)의 내부온도감지봉(23) 및 고열온도감지봉(45)은 콘트롤박스(50)의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진다.
상기 가열용기(10)와 뚜껑(20)의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본패킹(60)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하여 뽕기름을 추출할 때에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가열용기(10)의 상부로 장착된 뚜껑(20)을 분리해 낸다.
상기 뚜껑(20)을 가열용기(10)로부터 분리해낼 때에는 몸체(11)의 상부 플랜지(18)에 힌지축(도면에서 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을 매개로 설치된 고정핀(19)의 조임너트(18a)를 풀어 고정핀(19)이 뚜껑(20)의 플랜지(21)의 고정홈(21a)으로부터 느슨하게 한 후, 도 2에서와 같이 젖혀 줌으로써, 뚜껑(2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가열용기(10)로부터 뚜껑(20)을 분리해낸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짧게 자른 꾸지뽕나무를 몸체(11)의 수납부(17)에 가득 채운다.
수납부(17)에 꾸지뽕나무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가열용기(10)의 몸체(11)에 뚜껑(20)을 위치시켜 장착하게 되는데, 뚜껑(20)을 장착할 때에는 플랜지(21)에 형성된 고정홈(21a)이 고정핀(19)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핀(19)을 세운다.
이 후 도 6에서와 같이 조임너트(19a)를 조여 뚜껑(20) 가열용기(10)의 몸체(11) 상부의 플랜지(18)에 뚜껑(20)의 플랜지(21)가 압압 밀착되어 진다.
이때 카본패킹(60)에 의해 기밀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열용기(10)의 몸체(11) 수납부(17)에 꾸지뽕나무가 채워지고, 뚜껑(20)이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콘트롤박스(50)의 운전버튼(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을 조작한다.
상기 콘트롤박스(50)의 운전버튼 조작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히터(44)의 열이 몸체(11)를 구성하는 황토벽(13)과 외벽(12) 및 내벽(12a)을 전도되어 수납부(17) 수납된 꾸지뽕나무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발열히터(44)로부터 발열된 열은 공간(43)을 거쳐 전도됨으로써, 간접적인 열에 의한 꾸지뽕나무가 탄화되는 것이다.
상기 발열히터(44)의 열이 몸체(11)의 수납부(17)로 수납된 꾸지뽕나무에 가해지면 꾸지뽕나무의 수분이 빠져나오면서 증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는 가열용기(10)의 몸체(11) 하부로 형성된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냉각수순환공간(32)으로 냉각수가 냉각수펌프(31)에 의해 순환되는 뽕기름저장용기(30) 내의 기온 차이에 의해 상기 뽕기름저장용기와 이웃하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뽕기름으로 변하게 된다.(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변한 뽕기름은 뽕기름추출로(15) 상에 설치된 거름망(16)을 통과하여 순수 뽕기름만이 뽕기름저장용기(30)에 유입되어 진다.(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발열히터(44)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이 증발되고, 탄화되는 꾸지뽕나무는 발열히터(44)의 열이 직접 가열용기(10)로 전해지기보다는 공간(43)을 거쳐 간접적으로 전해짐에 따라 꾸지뽕나무가 급속하게 탄화되어지지 않고 서서히 탄화되어 양질의 탄화물(숯)을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를 이루는 외벽(12)과 내벽(12a)에 의해 일어진 몸체(11)에는 원적외선방사구멍(14)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황토벽(13)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꾸지뽕나무에 쪼여져 뽕기름과 탄화물(숯)에서 나타나는 타르냄새를 정화시킴과 더불어 종래와 같이 발열원인 왕겨 등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의 혼입이 전혀 없어 생산된 탄화물(숯)과 뽕기름으로부터 타르냄새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상기 뽕기름저장용기(30)로 뽕기름이 유입되면, 배출구(33)에 설치된 배출밸브(34)를 열어 용기(병)에 담아 포장하게 된다.
한편, 가열용기(10)의 몸체(11) 수납부의 탄화물(숯)은 뚜껑(20)을 열어 수거하여서 단위 포장을 통해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숯으로 출하 판매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화물(숯)을 꺼낸 후, 꾸지뽕나무를 재차 수납하여 전술한 방법에 의해 뽕기름과 탄화물(숯)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한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은 매우 높은 수율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청결하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활성이 있는 꾸지뽕나무로부터 유래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에 약학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로써, 기능성 약제품, 식품, 화장품, 외용제 및 사료 등에 포함되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약학적(pharmaceutical)"이라 함은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유래되는 유효성분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이 혼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예방용 조성물"이라는 용어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또한,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정제수)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해당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체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것인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건강기능성 식품은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0.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맛과 풍미에 영향을 미쳐, 고객 선호도가 저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공지의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공지의 첨가물에는 구연산, 당류, 정백당 등을 비롯하여 공지의 식품에 첨가되는 각종 첨가물이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 식품 조성물은 그 섭취량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이 음료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스킨, 로션, 에센스, 유액, 젤, 립스틱,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분무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바디클렌져, 비누, 팩, 마사지제,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또는 메이크업베이스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외용제로서, 상기 피부용 외용제는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액제, 드레싱제, 패취제, 수포제, 테이프제, 연무제, 외용산제 또는 스프레이제인 것인 피부용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
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에 추출물의 투여량은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량은 특정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투여기간, 제거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용 외용제는 꾸지뽕나무를 간접가열하여, 증발하는 수증기를 냉각 및 응축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내 실험(in vivo)을 통하여, 본 발명의 꾸지뽕나무 추출물이 면역 교란 물질인 2,4-디니트로클로로벤젠(2,4-dinitrochlorobenzene; DNCB)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에 투여 또는 도포되었을 때 홍반(erythema), 출혈(hemorrhage), 건조(dryness), 흉터(scarring), 태선화(lichenification), 짓무름(erosin) 등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활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경구투여하거나, 피부에 직접 도포함으로써, 약학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용 외용제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용 외용제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나무를 활용하고, 이러한 꾸지뽕나무로부터 청결한 유효성분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하여, 매우 높은 생산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추출>
꾸지뽕 나무의 잎, 뿐만아니라 전초, 줄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평균 직경이 7 cm 이하의 줄기를 갖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 나무가지를 준비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하여,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비된 꾸지뽕나무를 세척하여 뽕기름 추출기의 수납부(17)에 안치하고 수납부(17)의 내부 온도를 약 420 ℃로 유지하여, 2 시간 동안 가열한 후, 5 ℃의 냉각수로 냉각함으로써, 꾸지뽕나무 추출물(420 ℃)을 얻었다.
한편, 상기와는 별도로 도 1에 도시된 뽕기름 추출기를 이용하여,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준비된 꾸지뽕나무를 세척하여 뽕기름 추출기의 수납부(17)에 안치하고 수납부(17)의 내부 온도를 약 180 ℃로 유지하여, 3 시간 동안 가열한 후, 0 ℃의 냉각수로 냉각함으로써, 꾸지뽕나무 추출물(180 ℃)을 얻었다.
상기 준비된 꾸지뽕나무 추출물(420 ℃: 180 ℃)은 각각 3: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였다.
<시험예 1: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성분분석>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성분은 GC/MS(Agilent 6890GC/5973MS, Palo Alto, USA) 분석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분석에 앞서, 각 성분의 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아민기, -OH, -COOH 등과 같은 치환기의 극성 부분을 N,O-bis(trimethylsilyl)trifluoroacetamide(BSTFA) + trimethylchlorosilane(TMCS)를 이용하여, -OSi(CH3)3화 시킴으로써 쉽게 휘발되어 GC/MS의 분석에 용이하도록 다음의 순서에 따라 유도체화하였다.
a) 상기 제조예에서 추출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에 1.5 ml를 취하여 1.5 ml의 conical tube에 옮겼다.
b) 상기 conical tube에 1N NaOH 300 μl를 첨가하여, pH=12로 적정하였다.
c) 상기 conical tube에 3 ml의 헥산(Hexane)을 넣고, 2 분 동안 교반시킨 후, 5 분 동안 16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d) 헥산층이 딸려오지 않도록 원심분리된 수용액층을 뽑아서 새로운 conical tube로 옮겼다.
e) 상기 새로운 conical tube에 다시 2N HCl을 이용하여 pH=1로 적정하였다.
f) 상기 새로운 conical tube에 NaCl을 1 g을 첨가하였다.
g) 상기 새로운 conical tube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3 ml를 첨가하여 2 분 동안 교반시킨 후, 5 분 동안 16000 rpm으로 원심분리시켰다.
h) 원심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뽑아 새로운 conical tube로 옮겼다.
i) 상기 g) 및 h)과정을 두 번 더 반복한 후, 30 ℃에서 질소를 불어 넣어 에틸아세테이트를 모두 증발시켰다.
k) BSTFA with 1% TMCS 용액 100 μl를 첨가하여 시료를 녹이고, 80 ℃에서 30 min 동안 반응시켜 유도체화하였다.
l) 실온에 방치하여 충분히 식힌 다음, 유도체화 된 추출물 1 μl를 GC/MS에 주입하여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GC-MS에 의해 분리된 peaks는 NIST chemical library(Wiley 275 L)에 근거하여 동정하였다. 상기 GC/MS의 작동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GC는 DB-5(0.25 mm×60m, film thickness 0.25 μm) column이 장착된 Agilent 6890N(USA)을 사용하였으며, 주입기의 온도는 280 ℃이었다. 오븐의 온도는 70 ℃에서 3분간 유지시킨 후, 10 ℃/min의 속도로 승온하여 300 ℃에서 5분간 유지시켰다. Carrier gas로는 헬륨(He)을 1ml/min의 흐름속도로 사용하였고, 시료 1 μl를 주입하여 split ratio 30:1에서 분석하였다. GC/MS는 Interface의 온도가 250 ℃이었으며, EI ionization voltage는 70eV로 사용하였다. 분자량의 분석 범위는 50 내지 550 m/z 영역을 SCAN mode로 분석하였으며, 각 물질의 깨짐 현상(Fragmentation)을 통하여 모든 물질을 정성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 따른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GC/MS 성분분석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에는 1H-인돌-2-카르브 옥실산(1H-Indole-2-carb oxylic acid)와 4H-피리도[1,2-a]피리미딘-3-카르브 옥실산(4H-Pyrido[1,2-a]pyrimidine-3-carb oxylic acid)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성분분석>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성분은 열분해 GC/MS(Agilent 6890GC/5973MS, Palo Alto, USA) 분석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예 1의 l)단계에서 유도체화 된 추출물 5 μl를 590 ℃의 pyrofoilTM(jaie,JAPAN)에 싸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의 GC/MS에 주입시켰다(직접 주입방식).
상기 시험예 2에 따른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GC/MS 성분분석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에는 아세토바닐론(Acetovanillone), 디-알로스(D-Allose), 데스아스피디놀(desaspidinol), 1,4:3,6-디안하이드로-알파-디-글루코피라노오즈(1,4:3,6-Dianhydro-alpha-d-glucopyranose),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레보글루코산(Levoglucosan), 디-마니톨(D-mannitol), 모노터펜(Monoterpene), 프로피오바닐론(Propiovanillone), 탈로스(Talose) 및 바닐린(Vanillin)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뽕기름 추출기에서 뽕나무가 완전히 탄화되기 전에 온도와 압력을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어, 종래의 뽕기름 추출기에서 추출된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보다 더욱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 도 9 및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Standard and Technology)의 data와 질량 교차 검색으로 동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Figure 112020052307036-pat00001
<시험예 3: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이 DNCB에 의해 유도된 전신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경구투여)>
실험동물 준비
4주령의 male Balb/c 마우스(Daehan biolink, Korea)를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 및 순화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2±2℃, 습도 50±5%로 유지하였으며, 광주기와 암주기는 12시간으로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유도 및 시료 처리
실험동물의 등 부분을 제모 후, 다음날부터 2,4-dinitrochlorobenzene(DNCB, Sigma,USA)를 10% acetone과 olive oil 혼합액(3:1 부피비)으로 희석하여 200uL씩 3일간 등 부위에 도포하였다. 1차 면역반응을 유발한지 2일 후, 0.5%로 희석한 DNCB 용액 100 μl를 격일로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이후, 4일 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4%(저농도 투여군), 8%(중농도 투여군), 12%(고농도 투여군)의 농도로 각각 증류수에 희석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 100 μl씩을 1일 1회, 11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아울러, 시료 투여 기간에도 계속해서 DNCB를 격일로 도포하여 자연치유를 억제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대신하여 정제수를 100 μl씩 1일 1회, 11일 동안 경구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Dexamethasone을 1 mg/kg의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100 μl씩 1일 1회, 11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시험 결과
가. 피부 손상 정도 측정
임상적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피부 손상 정도(Clinical skin severity score)를 측정하였다. DNCB 용액을 도포하면 실험동물은 홍반/색소침착, 부종, 출혈, 삼출/진물, 찰상, 태선화, 각질/피부건조 등이 일어나는데, 이 항목을 없음(0), 경증(1), 중증(2), 고증(3)으로 나누어 채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과 같았다. 또한, 치료 전, 치료 5일째 및 치료 11일째의 피부의 이미지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의 피부 손상 정도를 측정한 결과, 도 11 및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DNCB 도포한 대조군은 용매인 정제수만을 도포한 정상(normal)군에 비해 유의하게 피부가 손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의 고농도 투여군(DNCB+CT-H)에서 양성대조군인 DNCB+Dexa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하게 clinical score의 감소가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Hematoxylin & eosin(H&E) 염색
실험을 위해 희생한 실험동물의 등 쪽 피부를 채취하여 4% formaldehyde용액에 넣고 고정하였으며, 파라핀 포매 과정을 거쳐 4μm의 두께로 박절하여 block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에 염증을 일으키는 epidermis, dermis를 확인할 수 있는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실시하였고, 광학현미경(×100, Leica, Germany)을 이용하여 이를 촬영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서와 같이, 정상군인 normal군의 epidermis 두께가 DNCB로 아토피 유
발된 대조(control)군의 epidermis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피부 상처 및 자극으로 인하여 피부가 과형성 확장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료의 고농도 투여군(DNCB+CT-H)에서 대조(control)군의 epidermis 두께보다 얇아졌고, 양성대조군인 DNCB+Dexa군 역시 대조(control)군의 epidermis 두께보다 얇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DNCB로 인한 피부 손상에 따른 확장이 처리 시료에 의해 손상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 비장 무게의 측정
비장은 1차와 2차 림프기관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며, 적혈구를 여과하는 red pulp와 체액성면역과 세포성면역 활성을 나타내는 with pulp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역반응에서 또 다른 중요한 기관이다(Mebius, R E and Kraal, G 2005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pleen Nat Rev Immunol 5, 606-616). 또한, 비장은 B 세포 발생의 최종단계가 진행되는 곳이며, 동시에 혈액에서 유래된 항원에 반응하는 특화된 기관으로서 기능을 갖는다(Boehem, T and Bleul, CC 2007 The evolutionary history of lymphoid organs NatImmunol 8, 131-135). 아토피 피부염의 반응은 면역기관 내 다양한 반응을 유도하며, 이러한 반응은 일차적으로 면역기관인 비장무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이 DNCB에 의해서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Balb/c 마우스의 면역장기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비장(spleen)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험이 끝난 뒤 실험동물을 diethyl ether로 마취한 후 경추탈골법으로 희생시키고 개복하여 비장 조직을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된 비장 조직을 생리식염수에 세척한 뒤 물기를 제거하고 미세저울을 이용해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와 같이, DNCB로 아토피 유발된 대조(control)군에서 정상군(Normal)과 비교하여 비장의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DNCB+Dexa군에서는 비장의 무게 증가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 투여군에서는 양성대조군인 DNCB+Dexa군 만큼은 아니더라도, 비장의 무게 증가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 혈청 IgE의 발현양 측정
실험이 끝난 뒤 실험동물의 복부 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 후 혈청이 잘 분리되도록 상온에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그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으로 Mouse IgE ELISA kit(BD Biosciences,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혈청 중의 총 IgE의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5과 같았다.
도 15에서와 같이, DNCB로 아토피 유발된 대조(control)군에서 혈청 IgE 농도는 998.92 ng/ml로 정상군 459.47 ng/ml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알러지 반응과 관련한 면역글로불린으로 아토피 유발로 인하여 증가한 면역반응으로 인하여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료의 중간농도 투여군(DNCB+CT-M) 및 고농도 투여군(DNCB+CT-H)에서 유의하게 혈청 내 총 IgE 생성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p<0.01) 이로써, 혈청 내 총 IgE의 농도 수치가 감소하여 아토피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4: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이 DNCB에 의해 유도된 전신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피부도포)>
실험동물 준비
4주령의 male Balb/c 마우스(Daehan biolink, Korea)를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 및 순화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2±2℃, 습도 50±5%로 유지하였으며, 광주기와 암주기는 12시간으로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의 유도 및 시료 처리
실험동물의 등 부분을 제모 후, 다음날부터 2,4-dinitrochlorobenzene(DNCB, Sigma,USA)를 10% acetone과 olive oil 혼합액(3:1 부피비)으로 희석하여 200uL씩 3일간 등 부위에 도포하였다. 1차 면역반응을 유발한지 2일 후, 0.5%로 희석한 DNCB 용액 100 μl를 격일로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이후, 4일 뒤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2.5%의 농도로 각각 증류수에 희석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 100 μl씩을 1일 1회, 4주 동안 피부에 도포하였다. 아울러, 시료 투여 기간에도 계속해서 DNCB를 격일로 도포하여 자연치유를 억제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용 조성물을 대신하여 정제수를 100 μl씩 1일 1회, 11일 동안 피부에 도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Dexamethasone을 0.1%의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100 μl씩 1일 1회, 4주 동안 피부에 도포하였다.
시험 결과
가. 피부 손상 정도 측정
임상적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피부 손상 정도(Clinical skin severity score)를 측정하였다. DNCB 용액을 도포하면 실험동물은 홍반/색소침착, 부종, 출혈, 삼출/진물, 찰상, 태선화, 각질/피부건조 등이 일어나는데, 이 항목을 없음(0), 경증(1), 중증(2), 고증(3)으로 나누어 채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6과 같았다.
실험동물의 피부 손상 정도를 측정한 결과, 도 1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DNCB 도포한 대조군은 용매인 정제수만을 도포한 정상(normal)군에 비해 유의하게 피부가 손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료투여군(DNCB+CT)에서 양성대조군인 DNCB+Dexa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하게 clinical score의 감소가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물리적 증상 완화 효과 확인
Dermalab®Combosystem(CortecTechnologyAps, Hudsund, Denmark) 기기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표피 수분량(hydration) 및 표피 홍반(erythema)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1주일 단위로 4주간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도 17과 같았다.
실험동물의 물리적 증상 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도 1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피 수분 손실량이 줄어들었고, 표피 수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피 홍반의 정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가열용기 11 : 몸체
12 : 외벽 12a : 내벽
13 : 황토벽 14 : 원적외선조사구멍
15 : 뽕기름추출구 16 : 거름망
17 : 수납부 18,21 : 플랜지
19 : 고정핀 19a : 조임너트
20 : 뚜껑 21a : 고정홈
22 : 안저콕크 23 : 내부온도감지봉
30 : 뽕기름저장용기 31 : 냉각수펌프
32 : 냉각수순환공간 33 : 배출구
34 : 배출밸브 40 : 기체
41 : 플레이트 42 : 내화단열벽돌
43 : 공간 44 : 발열히터
45 : 고열온도감지봉 46 : 스텐커버
50 : 콘트롤박스 60 : 카본패킹

Claims (4)

  1. DNCB로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의 경구투여에 따른 개선용 조성물로서,
    꾸지뽕 나무의 잎, 전초, 및 평균 직경이 7 cm 이하의 줄기를 갖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 나무가지를 포함하는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420 내지 50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3 내지 1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 및
    꾸지뽕 나무의 잎, 전초, 및 평균 직경이 7 cm 이하의 줄기를 갖는 목질(木質)이 연한 꾸지뽕 나무가지를 포함하는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가열용기를 150 내지 180 ℃의 온도로 간접가열하여 상기 꾸지뽕나무로부터 빠져나와 증발하는 수증기를 얻고, 상기 수증기를 3 내지 10 ℃의 온도로 냉각하여 응축시켜, 액화된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3: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8 내지 50 중량%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이고;
    피부 손상을 개선하고, 면역기관인 비장의 무게증가를 낮출 수 있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크림, 스킨, 로션, 에센스, 유액, 젤, 립스틱,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분무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바디클렌져, 비누, 팩, 마사지제,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이크 또는 메이크업베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은
    디-알로스, 디-마니톨, 탈로스, 바닐린, 아세토바닐론, 데스아스피디놀, 1,4:3,6-디안하이드로-알파-디-글루코피라노오즈, 1H-인돌-2-카르브 옥실산, 미오-이노시톨, 레보글루코산, 모노터펜, 프로피오바닐론 및 4H-피리도[1,2-a]피리미딘-3-카르브 옥실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나무 추출물은 뽕기름 추출기에 의해 추출되는 것이고,
    상기 뽕기름 추출기는 꾸지뽕나무가 수납되는 수납부(17)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두장이 겹쳐져 내벽(12a)과 외벽(12)을 이루는 이중의 몸체(11)구조로써, 외벽(12)으로 도포형성된 황토벽(13)으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수납부(17)에 수납된 꾸지뽕나무에 쪼여질 수 있도록 하는 원적외선조사구멍(14) 다수가 내벽(12a)과 외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는 뽕기름만이 통과하여 뽕기름 저장용기(30)로 회수되도록 하는 거름망(16)이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플랜지(18)에는 뚜껑(20)을 고정시키는 고정핀(19)이 설치되어 있는 가열용기(10)와;
    상기 가열용기(10)의 상부 플랜지(18)에 힌지축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핀(19)이 끼워지는 고정홈(21a)이 플랜지(21)에 형성되어 있고,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일 때 개방되는 안전콕크(2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용기(1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봉(23)이 설치되어 있는 뚜껑(20)과;
    상기 가열용기(10)의 몸체(11)하부로 형성되어 있는 뽕기름추출로(15)에 나사식 체결되고, 꾸지뽕나무로부터 추출되어 진 수분에 의해 발생한 가열용기(10)내의 수증기가 기온차에 의해 결로되어질 수 있도록 냉각수펌프(31)에 의해 펌핑되는 냉각수가 순환되어지는 냉각수순환공간(32)을 갖는 이중의 구조이며, 추출된 뽕기름의 수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배출구(33)에 배출밸브(34)가 설치되어 있는 뽕기름저장용기(30)와;
    플레이트(41) 상부에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화단열벽돌(42)이 조적(組積)되어지되, 상기 가열용기(10)의 안착이 가능한 공간(43)을 갖도록 조적(組積)되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 내면을 따라 발열히터(4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히터(44)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고열온도감지봉(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화단열벽돌(42)이 스텐커버(46)에 감싸여서 된 기체(40)와;
    상기 가열용기의 내부온도감지봉(23) 및 고열온도감지봉(45) 그리고 발열히터(44)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20200062181A 2020-05-25 2020-05-25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214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81A KR102141148B1 (ko) 2020-05-25 2020-05-25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81A KR102141148B1 (ko) 2020-05-25 2020-05-25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442A Division KR102117520B1 (ko) 2019-09-24 2019-09-24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148B1 true KR102141148B1 (ko) 2020-08-05

Family

ID=7204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181A KR102141148B1 (ko) 2020-05-25 2020-05-25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14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633A (ko) 1998-12-31 2000-07-25 성재갑 아토피성 피부염 치유용 조성물
KR100377262B1 (ko) 2000-11-06 2003-03-26 애경산업(주)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51444B1 (ko) 2001-10-19 2004-10-0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54752B1 (ko) 2001-01-19 2004-11-03 학교법인 호서학원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기능성 식품
KR100483539B1 (ko)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7465B1 (ko) 2003-01-15 2005-09-28 오세군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597997B1 (ko) 2004-08-16 2006-07-06 이종노 허브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363A (ko) * 2008-10-14 2010-04-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20110019492A (ko) * 2009-08-20 2011-02-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 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꾸지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19352A (ko) * 2011-08-16 2013-02-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651064B1 (ko) * 2015-09-11 2016-09-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라클바이오 꾸지뽕나무를 이용한 호흡기 객담 과다분비 방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6633A (ko) 1998-12-31 2000-07-25 성재갑 아토피성 피부염 치유용 조성물
KR100377262B1 (ko) 2000-11-06 2003-03-26 애경산업(주) 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54752B1 (ko) 2001-01-19 2004-11-03 학교법인 호서학원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기능성 식품
KR100451444B1 (ko) 2001-10-19 2004-10-0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83539B1 (ko)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7465B1 (ko) 2003-01-15 2005-09-28 오세군 아토피 피부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0597997B1 (ko) 2004-08-16 2006-07-06 이종노 허브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363A (ko) * 2008-10-14 2010-04-22 한국 한의학 연구원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20110019492A (ko) * 2009-08-20 2011-02-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 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꾸지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19352A (ko) * 2011-08-16 2013-02-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651064B1 (ko) * 2015-09-11 2016-09-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라클바이오 꾸지뽕나무를 이용한 호흡기 객담 과다분비 방지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S Kang et al, Ihhibition of atopic dermatitis by topical application of silymarin in NC/Nga mice Int Immunopharm (2008) 8:1475-148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520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381818B2 (ja) キツネノマゴ属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む組成物
EP2240193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531584A (ja) マタタビ属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JP2021517557A (ja) アオキ抽出物を含む眼球乾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885000B1 (ko)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141337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486484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885120B1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41148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KR20210117470A (ko) 당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90820B1 (ko) 꾸지뽕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및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70850B1 (ko) 진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20060102621A (ko)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102539398B1 (ko) 수비드 처리한 오크라를 함유한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13035786A (ja) 自律神経調節剤
KR10170324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144117B1 (ko) 개다래 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67125B1 (ko) 카우레노산 및 콘티넨탈산의 함량이 증대된 독활 추출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