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247B1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247B1
KR101703247B1 KR1020150103733A KR20150103733A KR101703247B1 KR 101703247 B1 KR101703247 B1 KR 101703247B1 KR 1020150103733 A KR1020150103733 A KR 1020150103733A KR 20150103733 A KR20150103733 A KR 20150103733A KR 101703247 B1 KR101703247 B1 KR 101703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present
composition
blueberry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313A (ko
Inventor
현규환
최영형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영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영형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2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시에도 유용성분의 함량이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숙취해소 효능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기능성 효능이 부여되면서 기호도가 향상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식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healing a hangover comprising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간질환 사망률은 인구 십만명 당 23.5명(남자 37.8명, 여자 9.0명)으로 매우 높으며, 40대 사망원인 1위(41.1명/10만명), 50대 사망원인 2위(72.4명/10만명), 30대 사망원인 3위(10명/10만명)를 차지하는 등 간질환은 한국 중년층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이다. 특히 알콜성 간질환은 만성과다 음주자의 대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각종 대사 작용, 해독, 분해, 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장기로, 그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은 에너지 대사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어 음식물에서 흡수된 모든 영양소들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대사시켜 전신에 공급하거나 저장한다. 둘째, 간은 약 2,000여종의 효소, 알부민, 응고인자들의 혈청단백, 담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을 합성하고 저장하며 분배하는 기능이 있다. 셋째, 간은 각종 대사산물을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이 있으며, 면역기능이 있어서 우리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간은 해독 및 분해 기능이 있어 약물, 독성물질, 술 등을 해독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간의 해독기능은 간세포를 손상시키기 쉬워 약물성, 독성, 알코올성 간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임상증상에 따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대개 하루 60-80g의 알코올을 10년 정도 마실 때 발생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 안에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금주만 하게 되면 곧 회복할 수 있으나, 계속 음주하게 되면 간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염은 간세포의 괴사와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피로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발열, 우상복부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이를 앓는 환자 중 약 40%는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알코올성 간경변증은 정상 간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신 피로감, 식욕감퇴,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혼수 등의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보다 예후가 불량하여 구미(歐美)에서는 말기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50%가 알코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으면서 장기적으로 간 기능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를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우수한 숙취해소 효과가 있어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간 기능 개선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천연물질을 함유하여 인체 안전성이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시에도 유용성분의 함량이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숙취해소 효능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울금(Curcuma longa Radix)은 생강과의 식물로 온울금(C. aromatica), 광서아출(C. kwangsiensis), 봉아출(C. zedoaria)을 포함하며 강황(Curcuma longa Rhizoma)을 가을울금이라 하여 울금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술과 함께 섞으면 누렇게 금처럼 되어 붙여진 이름이며 모양이 아술과 비슷하고 말의 질병을 치료하므로 마술이라 하기도 하였다. 이울금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씹으면 침을 누렇게 물들이며 자극성이 있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또한, 기를 소통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불순, 옆구리통증을 치료하고 토혈, 코피, 피오줌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흉복부가 그득한 것을 없애주고 담즙분비 촉진과 담낭결석을 치료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유자는 유자나무의 열매로 빛깔은 밝은 노랑색이고 껍질이 울퉁불퉁하다. 향기가 좋으며 과육이 부드러우나 신맛이 강하다. 종류에는 청유자ㅇ황유자ㅇ실유자가 있으며, 주요 성분으로 비타민 C가 레몬보다 3배나 많이 들어 있어 감기와 피부미용에 좋고, 노화와 피로를 방지하는 유기산이 많이 들어 있다. 그밖에 비타민B와 당질ㅇ단백질 등이 다른 감귤류 과일보다 많고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헤스페리딘이 들어 있어 뇌혈관 장애와 풍을 막아 준다. 또 배농(排膿) 및 배설작용을 해서 몸 안에 쌓여 있는 노폐물을 밖으로 내보낸다. 종자는 기름을 짜서 식용유나 화장품용 향료로 쓰거나 신경통ㅇ관절염 약으로 쓰며, 기관지 천식과 기침과 가래를 없애는 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오가피는 잎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으며 하나의 가지에 다섯 개의 잎이 나는 것이 좋다 하여 오가(五佳)라고 하였다가 지금의 오가(五加)로 바뀌었다고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오가피는 간과 신장의 기운을 보하여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므로 사지마비, 구련,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 하지무력감, 골절상, 타박상, 부종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은 면역증강, 항산화, 항피로, 항고온, 항자극작용, 내분비기능조절, 혈압조절, 항방사능, 해독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블루베리(blueberry)는 월귤나무의 일종으로 로부시(lowbush) 블루베리, 하이부시(highbush) 블루베리, 래비트아이(rabbiteye) 블루베리 등 세 품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블루베리에는 푸른색으로 상징되는 안토시안 색소, 새콤달콤한 당분, 점성이 있는 펙틴, 은은한 향기 등이 있다. 또한 블루베리는 100g당 식이섬유가 4.5g이 들어 있으며 칼슘, 철, 망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블루베리 색소의 연구 개발과 임상시험 결과 눈에 좋다고 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여러 생리기능이 확인되고 있다. 이들 생리기능에는 눈 망막의 로돕신 재합성의 활성화 촉진, 암 순응 촉진 효과, 모세혈관 보호 작용, 항산화 작용, 비타민 P와 같은 작용, 항궤양 활성 및 항염증 작용, 정장 작용(식이섬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둥굴레는 이명으로 맥도둥굴레, 애기둥굴레, 좀둥굴레, 제주둥굴레 등이 있으며 약재명은 옥죽이다. 생약의 위유는 뿌리줄기를 건조시킨 것이며,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번갈ㅇ당뇨병ㅇ심장쇠약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둥굴레를 황정이라고 하며, 강장 및 강정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고 한다. 둥굴레를 복용하시면 마음을 안정시키고 피로회복에 좋으며,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는 1: 2.5~3.5 : 3.5~4.5 : 9.5~10.5 : 4.5~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 : 3 : 4 : 10 : 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를 상기 중량비율로 혼합할 경우 관능평가 결과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상기 중량비를 벗어날 경우 기호도가 다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기능성이 부여되면서 기호도가 향상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식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또는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특히 100 내지 12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복강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0.3㎎/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인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식품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숙취해소, 나아가 간 기능을 개선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시에도 유용성분의 함량이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숙취해소 효능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기능성 효능이 부여되면서 기호도가 향상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식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울금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MHB(Muller Hinton Broth)를 이용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생물학적 저장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한천배지법을 이용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생물학적 저장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기능성물질 추출법 선정
5종의 최적의 추출방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5종의 유기농산물 2g씩을 더한 총 10g에 대해 각각 물 추출(24시간 진탕추출), EtOH 추출(24시간 진탕추출), 열수 추출과 EtOH 환류 추출(각각 0.5, 1, 2, 3시간)을 실시하여 용매와 추출방법에 따른 추출률을 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물, EtOH 200ml씩을 사용하여 각각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에 무게를 측정하여 회수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법 EtOH 열수추출 EtOH 환류추출
추출시간 24 24 0.5 1 2 3 0.5 1 2 3
회수율% 24.4 25.7 24.5 27.5 27.4 28.2 26.4 28.9 30.1 29.4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EtOH로 환류추출한 경우가 가장 회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열수 추출이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경우보다 더 추출률이 높았으며, 열수 추출의 경우와 EtOH 환류추출의 경우 모두 1시간 이상에서는 회수율의 차이가 미비하게 나타났다.
<제조예 2> 울금 추출방법 선정
최근 울금은 건강보조식품, 생활 가공식품 및 기능성 식품 등으로 이용이 확산되어 지고 있으나 이들 가공식품을 음용하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는 이취를 완화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용매별로 가열처리 온도를 달리하여 이취 잔유 정도를 조사하였다.
(1) 열수처리 방법
추출용매에 의한 이취성분의 추출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울금 건조시료 10g에 물과 에탄올 2종의 용매를 각각 200ml씩 첨가하여 진탕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모두 모았다. 여액을 모두 모아서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물과 에탄올로 각각 녹여서 각각 100ml로 정용한 후 이취성분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이취성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물 추출물은 상온, 50℃, 80℃, 100℃ 및 121℃에서 각각 1시간씩 가열처리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휘발성을 고려하여 상온과 70℃에서 물 추출물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이취성분 관능검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수득된 시료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이취성분의 추출여부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추출 및 가열처리된 시료 1ml씩을 취하여 훈련된 관능평가원 10명을 대상으로 이취성분의 강약 정도를 5단계평가로 실시하였다. 이취가 매우 강하다 5점, 강하다 4점, 보통이다 3점, 약하다 2점, 거의 없다 1점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울금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에탄올의 경우 상온과 70℃에서 각각 1시간씩 가열처리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상온과 70℃ 두 시료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물 추출물의 경우는 상온, 50℃, 80℃, 100℃ 및 121℃에서 각각 1시간씩 가열처리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80℃ 이상의 처리구에서 이취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121℃ 처리구는 상온 처리구보다 이취가 약했으나 100℃ 시료구보다 더 강한 이취를 나타냈는데 이는 100℃ 이상의 고온에서는 다른 성분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제조공정의 온도가 121℃ 부근을 넘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완전히 이취가 제거되지 않았고, 더 고온에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경우(과자류)와 이취제거 후에 울금 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에 적용하고자 200℃ 이상의 온도에서 roasting 처리하는 방법을 추가로 실험하였다.
(2) 건열처리 방법
울금 건조시료 2g씩을 도가니에 담고, 전기오븐의 온도를 150, 180, 220 및 250℃로 설정하고, 각 온도에서 처리시간을 0초, 30초, 60초, 90초, 120초, 150초 및 180초 동안 가열처리한 후, 냉각하고 각 처리시료를 50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10ml씩을 넣고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자연여과하여 여액을 모아 울금의 가열에 의한 이취변화를 확인하였다. 관능평가는 15명의 관능평가원에게 각 온도에서 가장 좋은 향과 가장 나쁜 향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좋다 0초(대조구) 30초 60초 90초 120초 150초 180초
150℃ 3명 4명 8명
180℃ 2명 3명 4명 4명 2명
200℃ 15명
250℃ 7명 8명
나쁘다 0초(대조구) 30초 60초 90초 120초 150초 180초
150℃ 4명 4명 7명
180℃ 2명 2명 6명 5명
200℃ 2명 6명 7명
250℃ 4명 6명 5명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200℃에서 180초 가열처리한 경우 15명 모두 좋다고 하였으며, 동일처리에서 나쁘다고 판단한 평가요원은 한 명도 없어서, 200℃에서 180초의 건열처리가 울금의 이취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어서, 상기 관능평가 결과에 따라 대조구인 0초, 그리고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200℃ 180초, 가장 나쁜 평가를 받은 200℃ 150초 처리구에 대해 HPLC를 실시하여 Curcumin 함량을 비교하고 Curcumin이 냄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 200℃에서 180초 처리구, 200℃에서 150초 처리구에서 각각 267.26, 268.19, 267.36mg%로 나타났다. 가열에 의해 Curcumin의 함량에 변화를 예상하였으나, 결과는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울금의 이취에는 고비점 화합물, 즉 200℃로 150초 이상 가열할 경우 휘발되는 성분들이 울금의 이취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제조예 3> 숙취해소 기능성 물질 확인
(1) 울금의 curcumin 분석
건조시료 5g을 정확히 무게를 잰 다음, MeOH 250ml를 가하였다. 7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4,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모아서 감압농축한 다음, MeOH로 녹여서 10ml로 정용하였다. 이 중 일부를 취하여 0.45 ㎛ 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여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표준품은 Sigma사 제품을 0.1% 농도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curcumin의 함량은 평균 263.33mg%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오가피의 Eleutheroside 분석
건조시료 3g에 50% MeOH 150ml를 넣고 80℃에서 2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여과(Whatman No. 3)하였다. 이 공정을 1회 더 실시하여 총 2회 추출하였다. 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50ml의 물로 정용하고 동량의 ether로 2회 세척한 다음, 물층을 완전 농축하고 50% MeOH로 녹여 5ml로 정용하였다. 일부를 취하여 1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에 HPLC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준품은 50% MeOH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그 결과, Eleutheroside B는 103.547mg%, Eleutheroside E는 210.662mg%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블루베리 색소분석
건조시료 2g에 0.1% HCl/MeOH 용액 50ml를 넣고 30분간 초음파 처리하였다. 처리 후 4,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모았다. 이 공정을 3회 반복하였다. 상등액을 모아서 35℃에서 slurry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고 증류수 200ml로 현탁하여 동량의 ethylether : hexane = 1 : 6(v/v) 혼합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다시 농축하여 slurry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0.1% HCl/MeOH 용액에 녹여 40ml로 정용하였으며, 이 중 일부를 취하여 0.45u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준물질은 cyanidin-3-glucoside를 0.1% HCl/MeOH(HPLC용)에 녹여서 사용하였고. 정량은 외부표준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cyanidin-3-glucoside로 환산하여 안토시아닌 색소는 108.91mg% 함유되어 있었다.
(4) 유자의 Hesperidin 및 Naringin 분석
건조시료 5g에 MeOH 100ml를 가하여 60∼65℃에서 60분간 초음파 추출하고, 추출액을 4,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 공정을 2회 반복하고, 상등액을 모아 감압농축하였다. 이 추출물을 물 250ml에 현탁시킨 후 동량의 hexane으로 세척하고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얻어진 EtOAc층을 감압농축한 다음, EtOAc층 농축물을 MeOH로 녹여 20ml로 정용한 후, 이 중 일부를 취하여 0.45u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Hesperidin은 303.447mg%, Naringin은 257.102mg%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4> 유효성분의 배합비율 선정
유효성분인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배합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기농 양배추(전남 해남군 친환경인증 획득 농가에서 입수)와 무 각각 1kg을 물과 함께 가열하여 1시간 끓인 후에 방냉하였다. 물을 가하여 1L로 정용한 후 No. 2(Whatman) 여과지로 여과하여 100% 원액으로 설정하였다. 여기에 단맛을 부여하기 위해 설탕을 사용하여 12 Brixㅀ로 조절하여 기본추출액(Base Extracts)을 제조하였다.
한편, 숙취해소를 위한 성분들로서 선정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를 건조한 다음 각각 100g에 물을 500∼600ml를 가하고 가열하여 끓기 시작한 후 1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방냉시킨 후에 물을 가하여 1L로 정용하고 No. 2(Whatman) 여과지로 여과하여 100% 원액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 각각에 대해서 농도별 용액을 제조하였다. 50ml 팔콘튜브에 상기에서 제조된 양배추 및 무의 기본 추출액 20ml, 설탕 6g, 물 10ml를 넣고 설탕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기에서 제조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 추출물을 1, 3, 5, 7, 10ml씩 각각 넣은 다음 물을 가하여 50ml로 정용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 때 관능평가는 관능검시 요원은 훈련시킨 20∼30대 사이의 남녀 총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9점 만점으로 실시하였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1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울금과 유자는 1ml, 둥굴레는 3ml와 7ml, 블루베리, 오가피는 5ml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울금과 유자의 경우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기호도가 낮았으며, 오가피와 둥굴레의 경우는 기호도가 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하여 둥굴레를 제외한 나머지 4종의 농도를 낮추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둥굴레는 2ml에서, 블루베리는 3.5ml에서, 오가피는 0.8ml에서, 유자는 0.6ml에서, 울금은 0.2ml에서 가장 기호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유자와 울금을 혼합한 용액을 만들어 기호도를 조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2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유자 0.8ml에 울금 0.2ml를 합한 용액이 가장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기 실험을 바탕으로 울금과 유자 및 오가피를 혼합한 용액을 만들어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3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낸 배합량은 울금 0.2, 유자 0.6 및 오가피 0.8ml를 배합한 경우였다.
또한, 상기 실험을 바탕으로 울금과 유자 및 오가피를 혼합한 용액에 블루베리를 첨가하여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4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를 각각 0.2, 0.6, 0.8, 3.0ml 혼합한 용액에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상기 실험을 바탕으로 울금, 유자, 오가피 및 블루베리를 혼합한 용액에 둥굴레를 첨가하여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5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둥굴레를 각각 0.2, 0.6, 0.8, 2.0, 1.0ml로 혼합한 용액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둥굴레가 첨가되면서 기호도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것을 건조중량으로 환산하면, 100ml 내에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둥굴레가 각각 0.2, 0.6, 0.8, 2.0, 1.0g이며 생체중량으로 환산하면 약 5배인 1.0, 3.0, 4.0, 10.0, 5.0g에 상당하는 양이다.
<실시예 1>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 제조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 건조 분말을 각각 0.6, 1.8, 2.4, 6, 3Kg씩 첨가한 후 정수를 가하였다. 350L 용기에 300L를 채우고, 이것을 5시간 동안 110℃, 1.5기압에서 가열하면서 살균을 겸하여 압력추출하고, 2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에 배관을 통하여 이동시키고 150ml 소포장으로 포장하였다. 여과과정은 기계에 장치된 여과기(200mesh)로 여과하였다.
수득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의 성분분석 결과, 오가피의 EleutherosideB, E의 함량은 각각 20.03mg%, 23.85mg%였으며, 유자의 Hesperidin 및 Naringin 함량은 각각 29.32mg%, 147.68mg%였고, 울금의 curcumin 함량은 1.62mg%였다. 블루베리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기준물질인 cyanidin-3-glucoside로 환산하여 2.5mg%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 이화학적 저장 안정성 평가 및 유해물질 분석
(1) MHB(Muller Hinton Broth)를 이용한 생물학적 저장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복합 추출물을 실온에서 3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1개월 간격으로 채취하여 저장 안정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료를 각각 1~3번으로 지정한 후 1:10, 1:102, 1:103의 비율로 MHB를 이용하여 희석했다. 희석된 시료는 농도별로 13X100㎜ Tube에 2㎖씩 투입했다. 시료가 투입된 Tube는 Tube cap를 이용하여 밀봉한 후 37℃로 조절된 Incubator에 3일간 배양하면서, 세균의 증식을 육안과 탁도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MHB(Muller Hinton Broth)를 이용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생물학적 저장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2) 한천배지법을 이용한 생물학적 저장성 분석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복합 추출물을 실온에서 3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1개월 간격으로 채취하여 한천배지법을 이용한 생물학적 저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Petri dish에 MHA(Muller Hinton Agar)를 두께가 약 4㎜가 되도록 분주한 후 표면이 수평이 되도록 실온에서 굳힌 후 1~3번으로 지정된 시료를 100㎕씩 떨어뜨린 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시료를 도말한 후 밀봉하여 37℃로 조절된 Incubator에 배양하면서 세균의 증식을 육안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한천배지법을 이용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생물학적 저장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미생물의 생육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세균 등 미생물의 오염과는 전혀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성분변화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질 및 비타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 내지 12에 나타내었으며, 검출되지 않은 성분은 표시하지 않았다.
저장 1개월 저장 2개월 저장 3개월
유리당 (단위 : mg%)
Fructose 92.3527 93.3948 103.893
Glucose 105.0478 92.9588 99.194
Sucrose 12,649.511 12,630.92 12,166.482
저장 1개월 저장 2개월 저장 3개월
유기산 (단위 : mg%)
Oxalic acid 232.1926 232.0816 237.0161
Tartaric acid 163.9314 162.5193 171.2497
Acetic acid 67.5874 68.4932 65.4276
Citric acid 64.2594 63.5388 60.2423
Malic acid 85.4354 85.0246 91.678
Succinic acid 41.2817 40.8858 40.4144
저장 1개월 저장 2개월 저장 3개월
아미노산 (단위 : mg%)
L-Aspatic acid 27.746 26.806 24.354
L-Threonine 5.357 5.222 5.561
L-Serine 7.545 7.765 6.964
L-Glutamic acid 158.203 158.022 149.048
L-Proline 12.410 13.241 11.844
Glycine 4.135 4.4984 3.813
L-Alanine 11.691 10.706 10.194
L-Cystine 0.499 0.417 0.465
L-Valine 8.285 6.788 8.281
L-Methionine 1.107 1.277 1.503
L-Isoleucine 4.156 4.168 4.309
L-Leucine 2.857 3.053 2.397
L-Tyrosine 1.645 1.643 1.889
L-Phenylalanine 3.021 3.038 3.526
L-Histidine 9.982 10.863 9.631
L-Lysine 2.854 3.023 2.652
Ammonia 32.402 30.689 30.953
L-Arginine 14.213 13.701 13.041
저장 1개월 저장 2개월 저장 3개월
무기질 (단위 : mg%)
Fe 0.117 0.095 0.099
Cu 0.191 0.183 0.195
Mn 0.029 0.025 0.027
Na 7.745 7.535 7.803
Mg 3.268 2.876 3.002
K 15.457 15.667 15.565
Ca 7.514 7.112 7.291
P 5,619 5.541 5.594
저장 1개월 저장 2개월 저장 3개월
비타민, 기능성물질 (단위 : mg%)
Vitamin B2 0.6524 0.5980 0.4946
Vitamin C 13.6444 13.5850 13.0878
Vitamin A 0.3193 0.2997 0.2513
Hesperidin 29.7583 29.3257 27.7485
Naringin 147.4875 148.6403 148.9823
Curcumin 1.6129 1.7297 1.6176
Cyanidin 2.4521 2.3514 2.4210
Eleutheroside B 21.9051 20.0315 18.6438
Eleutheroside E 24.7684 25.9508 23.8474
상기 표 8 내지 1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3개월 동안 저장하는 동안에 화학적 변화는 거의 미비하여, 장기간 동안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험예 3> 농약 검출 시험
(1) GC 및 HPLC를 이용한 다성분 동시분석
(단계 1) 추출 및 정제
시료 50ml를 polyethylene bottle에 칭량하였다. Acetonitrie 100ml를 가하고 균질기(homogenizer)에서 5,000 rpm으로 3분간 마쇄 추출하였다. Sodium chloride (20 ∼ 30) g을 첨가한 후 shaker에서 30분간 진탕 후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10 ml를 2개의 시험관 또는 부피플라스크에 각각 취하여 농축하여 분석용 시료로 하였다.
(단계 2) GC 분석용 정제
농축물이 함유된 시험관 또는 부피플라스크에 acetone:n-hexane(2:8) 혼합액을 가하여 농축물을 용해한 후, SPE cartridge(Florisil, 1 g)에 n-hexane 5 ml, acetone:n-hexane(2:8) 5 ml를 순차적으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acetone 1 ml에 재용해하여 분석용기에 담고 기기 분석(GC-ECD, GC-NPD)을 실시하였다. GC 분석조건은 하기 표 13과 같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6
(단계 3) HPLC 분석용 정제
농축물이 함유된 시험관 또는 부피플라스크에 methylene chloride를 첨가하여 농축물을 용해한 후, SPE cartridge(amino-propyl, 1 g)에 methylene chloride 6 ml를 넣어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모아서 Methanol:methylene chloride(5:95) 6 ml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acetonitrile 1 ml에 재용해하여 분석용기에 담고 기기 분석 (LC-UVD, LC-FLD)을 실시하였다. LC 분석조건은 하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7
(2) QuEChERS와 LC-MS/MS를 이용한 다성분 동시분석
(단계 1) 추출 및 정제(QuEChERS)
시료 50 ml를 polypropylene 원심분리관에 넣고 acetonitrile 10 ml를 넣은 후 1~2분간 진탕하였다. 원심분리관에 (4.0 ± 0.2)g MgSO4, (1.0 ± 0.05)g NaCl, (1.0 ± 0.05)g trisodium citrate dihydrate, (0.5 ± 0.03)g disodium hydrogencitrate sesquihydrate를 넣고 1분간 혼합한 후, 5분간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acetonitrile층과 물층을 분리시킨 후 acetonitrile층을 아래 시료액의 시료추출액으로 사용하였다. 정량 분석용 표준물질 검량선(matrix matched calibration) 및 시료액 조제는 하기 표 15를 참고하여 농도별 표준물질과 시료액을 만들었으며, 10초간 시교반기를 이용하여 진탕하였다. 그 후, 0.2 μm syringe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 후 기기분석을 실시하였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8
(단계 2)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질량분석기(LC-MS/MS)의 분석
컬럼은 C18 (2.1 mm X 100 mm, 2.6 μm) 또는 이와 동등한 수준으로 농약 성분의 분리가 가능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 A는 0.1 % formic acid, 5 mM ammonium formate 수용액, 이동상 B는 0.1 % formic acid, 5 mM ammonium formate 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하기 표 16과 같은 농도구배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컬럼온도:35℃, 주입량:10 μL, 이온화 방식은 Electrospray ionization (ESI, positive)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09
(3) 농약성분 및 유해물질 분석 결과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에 대하여 총 245종의 유해물질에 대하여 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245종의 유해물질 중, GC/NPD 분석에서 terbuthylazine, diazinon, fenthion 그리고 chlorpyrifos의 존재가 의심되었으나, GC/MS와 GC/MS/MS 분석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제품의 원료와 물 그리고 다른 첨가물의 첨가에 따른 245종의 유해물질의 존재는 없다고 판단하였다.
<시험예 4> 숙취해소 효능 확인
실험군은 3개조로 각 조는 10명(남 7, 여 3, 20∼30세)로 구성하였으며, 1조는 물(대조군), 2조는 기존의 숙취해소음료(헛개컨디션, CJ사)(비교군), 그리고 3조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실험군)을 음용하도록 하고 30분 후부터 19% 보해 참이슬 소주를 50ml씩 5분 간격으로 총 5회 음용하도록 하였다. 술을 마신 후 정수로 입을 헹군 다음, 0분, 60분 120분 후에 호흡 중 알코올 농도 측정기(ALCOFIND DA-5000, (주)디에이텍)로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071230069-pat00010
상기 표 17에서 보듯이, 개개인의 차이에 따라 알코올 해독능력에 차이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기존의 숙취해소음료와 비교할 때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안전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저장시에도 유용성분의 함량이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숙취해소 효능이 우수하여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의 기능성 효능이 부여되면서 기호도가 향상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식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를 1: 2.5~3.5 : 3.5~4.5 : 9.5~10.5 : 4.5~5.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00 내지 12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2. 울금, 유자, 오가피, 블루베리 및 둥굴레를 1: 2.5~3.5 : 3.5~4.5 : 9.5~10.5 : 4.5~5.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00 내지 12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150103733A 2015-07-22 2015-07-22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0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33A KR101703247B1 (ko) 2015-07-22 2015-07-22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733A KR101703247B1 (ko) 2015-07-22 2015-07-22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313A KR20170011313A (ko) 2017-02-02
KR101703247B1 true KR101703247B1 (ko) 2017-02-06

Family

ID=5810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733A KR101703247B1 (ko) 2015-07-22 2015-07-22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35A (ko) * 2020-06-18 2021-12-27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997A (ja) * 2003-06-30 2005-02-10 Toyo Shinyaku:Kk アルコール代謝向上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122B1 (ko) * 2002-11-20 2006-08-25 박갑주 간기능활성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0999312B1 (ko) * 2008-05-28 2010-12-08 완도군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1301094B1 (ko) * 2011-05-02 2013-08-28 보해양조주식회사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5997A (ja) * 2003-06-30 2005-02-10 Toyo Shinyaku:Kk アルコール代謝向上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35A (ko) * 2020-06-18 2021-12-27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555332B1 (ko) * 2020-06-18 2023-07-13 (주)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313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5050B2 (ja) ショウガ加工食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5486B1 (ko) 토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6640392B2 (ja) 肥満抑制組成物
KR20120119265A (ko)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US20220226409A1 (en) Composition for stimulating of myogenesis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containing ginseng extract
KR101466443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4824152B2 (ja) 血流改善剤
KR101692032B1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70324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07007994A1 (en)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extract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41337B1 (ko) 꾸지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Skenderidis et al. Functional Properties of Goji Berry (Lycium barbarum) Fruit Extracts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0955826B1 (ko) 염증질환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0857A (ko) 항산화능, 항알레르기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및 예방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한 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1910099B1 (ko) 미성숙 감으로부터 가압 열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05234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러지조성물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KR100523463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항알러지 조성물
CN108936652A (zh) 一种降糖降压的保健果冻及其制备方法
KR101144117B1 (ko) 개다래 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