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070A -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070A
KR20010092070A KR1020000013995A KR20000013995A KR20010092070A KR 20010092070 A KR20010092070 A KR 20010092070A KR 1020000013995 A KR1020000013995 A KR 1020000013995A KR 20000013995 A KR20000013995 A KR 20000013995A KR 20010092070 A KR20010092070 A KR 2001009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malt
cosmetic composition
mal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하
이강태
조병기
유영경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유상옥,송운한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옥,송운한,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유상옥,송운한
Priority to KR102000001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2070A/ko
Publication of KR2001009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증식, 인테그린 합성 증진 및 라미닌 합성 증진 효과를 통하여 피부세포의 결합력 강화를 유도하며 따라서 노화가 진행되는 여성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식물유래의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Skin elasticity-improv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hestnut inner bark extract and Malt extract}
본 발명은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관련 분야에서 피부탄력 감소, 피부주름의 생성, 피부의 칙칙함 등은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극복하여야 할 과제 중 중요한 문제이다.
여성의 피부는 남성의 피부와는 달리 특징적으로 탄력적이고 부드럽고 촉촉하며, 피지의 분비가 적으며 그리고 털이 적다. 피부 노화가 진행되기 전의 여성 피부는 피부세포의 생리활성이 활발하여 진피(Dermis)에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서는 콜라겐(collagen)합성과 콜라겐 신진대사가 왕성하며 또한 피부수분유지에 매우 중요한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합성도 활발하여 피부에 탄력성, 부드러움, 유연성 및 보습성을 부여한다. 표피(Epidermis)에 있는 기저세포(basal layer cell)의 증식효과(proliferation effect)가 높으며, 피부세포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결합단백질(Adhesion protein)의 생성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표피를 좀더 두텁게 하여 피부 세포조직을 강화시킨다.
피부세포의 결합단백질 결핍으로 인하여 피부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대표적인 현상이 피부탄력의 감소이다. 결합단백질의 결핍으로 표피세포간의 결합력과 표피와 진피간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피부가 얇아지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한다.
결합단백질의 결핍으로 인한 피부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해결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결합단백질의 대사를 촉진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며 부족한 결합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로부터 결합단백질 합성 촉진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생약에 대한 탐색연구를 수행한 결과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이 결합단백질 합성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게 되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단백질 합성을 촉진하여 결합단백질의 결핍으로 인한 피부의 탄력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식물유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의 함량은 각각, 화장료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0.05∼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이다.
율피는, 너도밤나무과 식물인 밤나무의 속껍질이다.
맥아는 보리를 발아시켜 말린 것이다.
본 발명의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인 추출물 제조방법에 따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율피를, 율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10~90% 에탄올 수용액을 1∼15배의 양으로 가해 4~40℃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할 수 있다.
맥아추출물의 제조 또한 율피추출물과 같은 방법으로 맥아에 대하여 수행한다.
본 발명의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예로서는 기초제품 화장료(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 오일), 색조제품 화장료(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제품 화장료(샴푸, 린스, 헤어콘디셔너, 헤어젤)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 처방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율피 가루 1㎏을 70% 에탄올수용액 5L에 넣고 15∼40℃에서 3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 15℃에서 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52.20g(건조중량)을 얻었으며, 추출 수율은 5.2±0.8%이었다.
실시예 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맥아 가루 1㎏을 50% 에탄올 수용액 5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15℃에서 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추출물은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124.1g(건조중량)을 얻었으며, 추출 수율은 12.4±1.5%이었다.
처방예 1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 (중량%)
율피 추출물 2.5
맥아추출물 2.5
1,3-부틸렌 글리콜 6.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2.0
글리세린 4.0
피이지 4000 1.0
폴리 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0.0
방부제 적량
벤조페논-9 0.05
적량
정제수 적량
합 계 100
처방예 2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밀크 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중량%)
스테아린산 0.4
맥아추출물 3.0
율피추출물 2.0
1,3-부틸렌 글리콜 6.0
세토스테아릴 알콜 1.2
글리세린 4.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트리에탄올아민 0.2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6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5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처방예 3
맥아추출물과 율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 중량 %)
맥아추출물 5.0
율피추출물 2.5
바셀린 7.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스테아린산 1.5
유동 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스쿠알란 3.0
1,3-부틸렌 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처방예 4
맥아추출물과 율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 (중량%)
맥아추출물 5.0
율피추출물 2.0
글리세린 10.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판테놀 0.3
이.디.티이.에이(EDT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세스-25 0.6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처방예 5.
맥아추출물과 율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 (중량%)
맥아추출물 3.0
율피추출물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렌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1.0
산탄검 0.1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 아민 0.5
방부제, 향,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처방예 6.
맥아추출물과 율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팩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 분 함량 (중량%)
맥아추출물 3.0
율피추출물 1.0
폴리비닐 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피이지 1500 2.0
판테놀 0.4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 40 경화 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실험예 1. 율피 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
1) 실험 방법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x104세포가 되도록 이에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실시예 1과 2에서 제조한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최종 농도 250㎍/㎖ 되도록 조정한 시럼(serum)이 없는 디엠이엠(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한다. MTT 용액[3-(4,5-Dimethyl-thiazole-2-yl) 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 5 ㎎/㎖] 10㎕씩 첨가하고 4시간 방치 후, 배지 부분을 버린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시드 (DMSO :Dimethyl sulfoxide)용액을 가하여 20분간 교반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로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 증식 효과는 다음 공식에 의해 산출되었다.
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세포증식효과(%) = --------------------------------------------- X 100
대조군의 흡광도
추출물 세포 증식 효과 (%)
율피추출물 22.4±1.3
맥아추출물 28.6±1.6
율피추출물(50%)+맥아추출물(50%) 87.5±2.5
* 상기 값은 3회 실시 평균값임
실험예 2. 율피추출물의 인테그린 합성 증진 효과
피부 결합단백질 중의 하나인 인테그린의 합성 증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1) 실험 방법
인체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x104세포/ 웰)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배지를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DMEM)으로 교체한다. 이때 100㎍/ml 농도의 율피 추출물을 배지와 함께 넣고 72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각 웰의 인테그린의 함량은 ELISA방법으로 분석한다.
2) 실험 결과
율피추출물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인테그린의 합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율피추출물의 인테그린 합성 증진효과
농 도 인테그린합성증진효과(%)
대조군 0
100 ㎍ 17.20±1.1
실험예 3. 맥아추출물의 라미닌(Laminin) 합성 증진 효과
피부 결합단백질 중의 하나인 라미닌의 합성 증진 효과를 실험하였다.
1) 실험 방법
인체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x104세포/ 웰)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배지를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DMEM)으로 교체한다. 이때 200㎍/ml 농도의 맥아 추출물을 배지와 함께 넣고 72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각 웰의 라미닌의 함량은 ELISA방법으로 분석한다.
2) 실험 결과
맥아추출물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라미닌의 합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맥아추출물의 라미닌 합성 증진효과
농 도 라미닌 합성 증진효과(%)
대조군 0
200 ㎍/mL 21.45±2.3
실험예4. 피부탄력 증진효과
1)실험방법
30세 이상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처방예 3의 제품과 처방예 3에서 맥아추출물과 율피추출물을 제외하고 제조한 제품(비교예 1)을 1일 2회씩 12주간 도포하고피부탄력 개선 정도를 큐토미터(Cutometer, C+K Electronics GmbH, Germany)로 측정하였다.
2)실험결과
실험결과는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렷한 피부탄력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탄력 개선정도(%)
비교예 1 7.5±1.4%
처방예 3 45.7±3.6%
본 발명의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증식, 인테그린 합성 증진 및 라미닌 합성 증진 효과를 통하여 피부세포의 결합력 강화를 유도하며 따라서 노화가 진행되는 여성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식물유래의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6)

  1.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율피추출물 및 맥아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각각 0.05∼10.0중량%인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율피추출물 및 맥아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의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각각 0.1∼5.0중량%인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율피추출물은 율피를 그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배 양의 10~9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4~40℃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추출된 것인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맥아추출물은 맥아를 그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배 양의 10~90%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4~40℃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추출된 것인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 오일,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샴푸, 린스, 헤어콘디셔너및 헤어젤의 제형을 갖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013995A 2000-03-20 2000-03-20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20010092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995A KR20010092070A (ko) 2000-03-20 2000-03-20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995A KR20010092070A (ko) 2000-03-20 2000-03-20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70A true KR20010092070A (ko) 2001-10-24

Family

ID=1965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995A KR20010092070A (ko) 2000-03-20 2000-03-20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20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440A2 (ko) * 2009-06-18 2010-12-23 (주)아모레퍼시픽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US20120231071A1 (en) * 2008-05-30 2012-09-13 Annette Tobia Natural product inhibitors of 3dg
KR101360708B1 (ko) * 2009-06-18 2014-02-07 (주)아모레퍼시픽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688A (ja) * 1995-02-15 1996-08-27 Mikimoto Pharmaceut Co Ltd ヒアルロニターゼ阻害剤
KR19980069944A (ko) * 1997-02-14 1998-10-26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9980087818A (ko) * 1998-09-23 1998-12-05 최명진 피지제거에 맥아엿을 이용하는 방법
JPH1149684A (ja) * 1997-08-08 1999-02-23 Kayaku:Kk 更年期用の皮膚外用剤
KR19990039012A (ko) * 1997-11-10 1999-06-05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00013779A (ko) * 1998-08-13 2000-03-06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688A (ja) * 1995-02-15 1996-08-27 Mikimoto Pharmaceut Co Ltd ヒアルロニターゼ阻害剤
KR19980069944A (ko) * 1997-02-14 1998-10-26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49684A (ja) * 1997-08-08 1999-02-23 Kayaku:Kk 更年期用の皮膚外用剤
KR19990039012A (ko) * 1997-11-10 1999-06-05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00013779A (ko) * 1998-08-13 2000-03-06 유상옥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료 조성물
KR19980087818A (ko) * 1998-09-23 1998-12-05 최명진 피지제거에 맥아엿을 이용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1071A1 (en) * 2008-05-30 2012-09-13 Annette Tobia Natural product inhibitors of 3dg
WO2010147440A2 (ko) * 2009-06-18 2010-12-23 (주)아모레퍼시픽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WO2010147440A3 (ko) * 2009-06-18 2011-03-31 (주)아모레퍼시픽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360708B1 (ko) * 2009-06-18 2014-02-07 (주)아모레퍼시픽 밤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74848B1 (ko)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10121775A (ko) 금꿩의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92070A (ko)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110001A (ko) 개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5067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635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30136602A (ko) 불미나리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1721A (ko) 녹두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5332A (ko) 해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26091A (ko) 피부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