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635A -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635A
KR20070111635A KR1020060044679A KR20060044679A KR20070111635A KR 20070111635 A KR20070111635 A KR 20070111635A KR 1020060044679 A KR1020060044679 A KR 1020060044679A KR 20060044679 A KR20060044679 A KR 20060044679A KR 20070111635 A KR20070111635 A KR 20070111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distant
improving wrinkles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태
이정노
이승지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6004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1635A/ko
Publication of KR20070111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6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나무(Ilex rotund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노화로 인한 콜라겐 감소와 관련된 MMP-1 생성을 억제하여 콜라겐 합성효과를 향상시켜 피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주름 및 피부 건조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
먼나무, 피부주름, MMP-1, 콜라겐, 화장료

Description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Ilex rotund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먼나무(Ilex rotunda)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를 먹으면서 끊임없이 변화하게 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자연노화(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EB Doris, Cosmetics & Toiletories, 1996; 111:31-37), 자연노화(내인성 노화)는 유전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반면 외적 노화는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인 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대표적인 외적 노화인자로는 자외선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두드러진 외적인 노화현상이 바로 주름 형성이다(HW Daniell, Ann Intern Med, 1971;75(6);873- 880;GL Grove et al., J Am Acad Dermatol, 1989;21(3);631-637;CE Griffiths et al., Arch Dermatol, 1992;128;347-351).
만성적 일광손상을 입은 피부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은 진피의 상부쪽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탄성 물질의 침착(solar elastosis)과 프로테오글리칸이 증가되고 진피의 주 단백질인 콜라겐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다(Yaar M. et al.,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3:47(1998), Li,J.J.et al., Cancer Research 56:483(1996)). 일반적으로 진피층은 대다수의 type Ⅰ 콜라겐과 약간의 type Ⅲ 콜라겐, 엘리스틴, 프로테오글리칸, 피브로넥틴(fibronectin)등으로 구성되어 있다(Bailly, c. et al., J. Invest. Dermatol.94:47(1990)). 또한 콜라겐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외부의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 구성물의 90% 를 차지하고 있어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의 노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Huang C.et al., Proc. Natl.Acad.Sci.USA. 94:5826(1997)).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 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metalloproteinase, 이하 'MMP'라 약칭함), 특히 콜라게나제(collagenase, 이하 'MMP-1'이라 약칭함)와 젤라티나제(gelatinase, 이하 'MMP-2'라 약칭함)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 외선 조사와 자유 라디칼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MMP는 ECM(extracellular matrix, 세포외기질)과 BM(basement membrane, 기저막)의 분해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의 페밀리(family)로 구조와 기능적 특성에 따라 세포간 콜라게나제(interstitial collagenase), 스트로멜리신(stromelysin), 젤라티나제(gelatinase), 멤브레인 -타입 MMP(membrane-type MMP(MT-MMP))등 네 개의 서브페밀리(subfamily)로 나누어진다(Fisher, G.L. et al., J. Clin. Invest. 101:1432(1998)). MMP는 활성중심부에 아연을 가지는 금속 단백 분해 효소로 생체 내에서 잠재성 전효소(zymogen)형태로 분비된다. 효소활성을 가지기 위해서 구조적 변형이 일어나 아미노 말단 부위가 절단,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MMP는 2-매크로글로불린(2-macroglobulin)이나 TIMPs(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 같은 저해제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고 피부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포함한 대다수의 많은 세포들이 MMP를 분비한다(Fisher, G.J. and Voorhees J.J.Photochem. Photobiol. 69:154(1999)). 피셔(Fisher)등은 1회의 UV조사에도 피부내의 MMP활성이 증가되며 피부내 콜라겐을 현저하게 붕괴시킴으로써 MMP들이 진피층의 콜라겐 붕괴에 영향을 미치며 광노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Lee, K.S. et al., J.Dermatol. Sci.17:182(1998)).
지금까지는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제품을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화되어 있으나, 1988년 레티노인산이 노화된 피부의 거칠음 및 잔주름의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이래 (JS Weiss et al., J Am Acad Dermatol, 1988;19(1):169-175), 전 세계적으로 피부 노화를 억제 혹은 개선시키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비타민 A, C, E 등 비타민류의 유도체 및 AHA(alpha-hydroxy acid)는 현재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피부 노화 개선 물질이다(DS Rosenthal et al., J Invest Dermatol, 1990;510-515, CM Ditre et al., J Am Acad Dermatol, 1996;34(2):187-195). 하지만, 이들은 자연환경에서 매우 불안정하여 사용상 문제점이 있거나, 혹은 가시적 효과를 나타내기엔 다소 미흡하다는데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당업계의 요구를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먼나무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세포 활성 효과도 뛰어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1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난 식물 추출물로서 콜라겐 합성효과를 향상시켜 피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주름 및 피부 건조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먼나무(Ilex rotund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먼나무 추출물이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1의 생성을 억제하여 이로 인해 콜라겐 합성효과를 향상시키며, 상기 먼나무 추출물을 포함시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주름 및 피부 건조 현상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먼나무(Ilex rotunda)는 감탕나무과(Aquifoliaceae)식물인 쌍떡잎 식물로서, 높이가 10 m에 달하며, 상록 활엽 교목으로, 가지는 암갈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밑은 쐐기 모양이거나 둥글고 끝은 날카로우며 톱니가 없다. 잎자루가 길며 광택이 있고 잎맥은 희미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먼나무의 나무 껍질과 뿌리 껍질은 "구필응"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감기로 인한 발열, 편도염, 인후염에 해열·소염 작용을 나타내고, 급만성간염에 유효하다. 급성장·위염, 위·십이지장 궤양에도 효력을 보이며, 풍습성 관절염, 타박상, 화상등에도 유효하다.
구필응의 성분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탄닌(tannin), 트리테르펜 (triterphene)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것을 분리해서 베타-아미린(β-amyr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과 올레아놀릭 산(oleanolic acid), 로툰딕 산(rotundic acid)을 얻는다.
구필응의 약리 효과는, 실험관 내에서 혈액 응고 시간을 단축시키며, 혈관 평활근의 수축 작용을 나타내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이질균, 티푸스균, 녹농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다.
임상보고사례로 구필응의 약침 제제가 화농성 질환(창농·봉와직염·심부농종), 호흡기 감염, 급성편도선염, 급성위장염, 이질, 화상 및 수술 후의 감염 예방 작용을 나타냈다. 복통, 위통, 심교통 등에 지통 작용을 보였으며, 치료 중 전신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먼나무 추출물은 먼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줄기, 가지, 뿌리 및 껍질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먼나무의 어떤 부위를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먼나무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먼나무로부터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틸 알코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먼나무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나무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뒤, 여기에 건조 중량의 1-10배의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1,3-부틸렌 글리콜등을 가한다.
그 후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0-100 ℃에서 3-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40 ℃에서 1-15 일간 추출하고 회전 감압 증발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제조한다. 이때 1,3-부틸렌 글리콜의 경우에는 회전 감압 증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기 어려우므로 직접 위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건조 감량이 1%(w/v)되게 조정하여 본 발명의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 한다.
먼나무 추출물의 첨가량은 건조 중량으로 0.00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0 중량%를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한다. 이때 먼나무 추출물의 총 중량이 0.0001 중량%미만일 때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20 중량% 이상일 때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먼나무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요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 성유, 식물 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콘, 실리콘, 벤토나이트, 시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시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개선의 용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이 더 뛰어나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상세히 명시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70-90 ℃에서 5 시간 가열후 추출)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먼나무 가지 200 g을 물 1.2 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 시간 동안 70-90 ℃에서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 ℃에서 7-10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 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여액을 65 ℃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6.5 g을 얻었다.
실시예 2: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15-35 ℃에서 5 일간 추출).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먼나무 가지 200 g을 물 1.2 L에 넣고 15-35 ℃에서 5 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 증발기로 2배 농축하였다. 여기에 100% 에탄올을 0.6 L를 가하고 5-10 ℃에서 7-10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 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여액을 65 ℃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6.8 g을 얻었다.
실시예 3: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4-40 ℃에서 5 일간 추출)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먼나무 가지 200 g을 물 1.2 L에 넣고 4-40 ℃에서 5 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 ℃에서 7-10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 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여액을 65 ℃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6.4 g을 얻었다.
실시예 4-21: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4-40 ℃에서 5 일간 추출-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를 달리함)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며 추출용매를 하기 표 1의 용매로 대체하여 먼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21의 추출물
추출물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 (단위 : g)
실시예4 10% 에탄올 5.9
실시예5 20% 에탄올 6.0
실시예6 30% 에탄올 6.2
실시예7 40% 에탄올 6.3
실시예8 50% 에탄올 6.5
실시예9 60% 에탄올 6.5
실시예10 70% 에탄올 6.3
실시예11 80% 에탄올 6.5
실시예12 90% 에탄올 6.6
실시예13 100% 에탄올 6.5
실시예14 메탄올 6.8
실시예15 n-프로판올 6.5
실시예16 이소프로판올 5.8
실시예17 2-부탄올 5.3
실시예18 아세톤 4.5
실시예19 클로로포름 4.2
실시예20 에틸아세테이트 4.3
실시예21 부틸아세테이트 4.6
실시예 22: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1,3-부틸렌 글리콜 사용하여 추출)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먼나무 가지 200 g을 1.2 L 1,3-뷰틸렌 글리콜에 넣고 48 시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 ℃에서 7-10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추출물은 다시 건조 감량을 구하여 최종 농도가 1%(w/v)되게 준비한다
실시예 23: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5 시간 가열하여 추출-10 % 에탄올 사용)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먼나무 가지 200 g을 10% 에탄올 1.2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 ℃에서 7-10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 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추출물을 65 ℃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6.2 g을 얻었다.
실시예 24-32: 먼나무 추출물의 제조(5 시간 가열하여 추출-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를 달리함)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며 추출용매를 하기 표 2의 용매로 대체하여 먼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4-32의 추출물
추출물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 (단위 : g)
실시예 24 20% 에탄올 7.3
실시예 25 30% 에탄올 7.6
실시예 26 40% 에탄올 7.5
실시예 27 50% 에탄올 7.6
실시예 28 60% 에탄올 7.2
실시예 29 70% 에탄올 7.8
실시예 30 80% 에탄올 7.6
실시예 31 90% 에탄올 7.3
실시예 32 100% 에탄올 7.2
실험예 1: MMP-1 (Matrix Metallo Proteinase-1) 생성 억제 효과
실시예 1-32에서 제조한 먼나무 추출물에 대한 MMP-1 (Matrix Metallo Proteinase-1) 생성 억제 효과를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먼나무 추출물을 최종농도 100 ppm으로 포함하는 무혈청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무혈청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각각 48 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생성된 MMP-1의 양을 MMP-1 분석 키트 (Chemicon,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MMP-1 생성 억제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34705830-PAT00001
먼나무 추출물의 MMP-1 생성 억제 효과
시험 물질 MMP-1 생성 억제율(%)
실시예 1 63.8
실시예 2 64.5
실시예 3 64.9
실시예 4 65.6
실시예 5 65.9
실시예 6 66.5
실시예 7 64.5
실시예 8 66.3
실시예 9 70.3
실시예 10 71.2
실시예 11 72.6
실시예 12 73.5
실시예 13 74.6
실시예 14 73.8
실시예 15 75.6
실시예 16 74.5
실시예 17 73.8
실시예 18 73.5
실시예 19 73.6
실시예 20 73.2
실시예 21 65.6
실시예 22 65.5
실시예 23 66.8
실시예 24 62.3
실시예 25 61.6
실시예 26 62.3
실시예 27 63.2
실시예 28 63.6
실시예 29 62.3
실시예 30 63.6
실시예 31 63.6
실시예 32 63.9
실험예 2: 먼나무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를 48-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6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 배지에서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먼나무 추출물을 최종농도 100 ppm 포함하는 무혈청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먼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무혈청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각각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 (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PICP) 양을 키트(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PICP 양은 ng/㎖로 환산하였으며, 대조군 대비 콜라겐 생성율을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구하고 그 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34705830-PAT00002
먼나무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시험 물질 콜라겐 합성 효과(%)
실시예 1 83.6
실시예 2 84.3
실시예 3 82.8
실시예 4 78.8
실시예 5 77.5
실시예 6 74.6
실시예 7 74.7
실시예 8 74.5
실시예 9 75.3
실시예 10 76.8
실시예 11 77.6
실시예 12 76.3
실시예 13 75.6
실시예 14 74.6
실시예 15 74.5
실시예 16 76.8
실시예 17 78.6
실시예 18 77.6
실시예 19 74.6
실시예 20 75.3
실시예 21 74.3
실시예 22 75.3
실시예 23 74.6
실시예 24 73.8
실시예 25 73.9
실시예 26 73.7
실시예 27 74.5
실시예 28 77.5
실시예 29 76.5
실시예 30 75.5
실시예 31 73.8
실시예 32 73.9
이하 상기한 실시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작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10의 먼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화장수의 처방예
성분 함량(단위:중량%)
먼나무 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5.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0.2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2: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수렴화장수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수렴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10의 먼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수렴화장수
성분 함량(단위:중량%)
먼나무추출물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폴리솔베이트 20 위치하젤 추출물 구연산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2.0 2.0 0.2 0.2 0.02 0.04 3.0 15.0 0.3 2.0 미량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먼나무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화장수
먼나무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10의 먼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화장수
성분 함량(단위:중량%)
먼나무 추출물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SE 스테아릴 알콜 라놀린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광물유 스쿠알란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초산토코페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소듐히아루로네이트 트리 에탄올아민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1.5 1.5 1.5 1.3 0.5 1.0 5.0 3.0 2.0 0.8 0.5 0.12 5.0 3.0 5.0 0.12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4: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10의 먼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
성 분 함량(단위:중량%)
먼나무 추출물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5: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맛사지크림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맛사지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10의 먼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맛사지크림
성분 함량(단위:중량%)
먼나무 추출물 친유형 모노스케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레이트 스쿠알란 광물유 디메치콘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글리세린 트리에타올아민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1.5 1.5 1.0 1.5 0.6 5.0 5.0 35.0 0.5 0.12 6.0 0.7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6: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10의 먼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
성분 함량(단위:중량%)
먼나무 추출물 글리세린 베타인 PEG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2.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7: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팩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10 의 먼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팩
성분 함량(단위:중량%)
먼나무 추출물 폴리비닐알콜 셀룰로오스 검 글리세린 PEG1500 사이크로데스트린 DL - 판테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니코틴아미드 에탄올 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 향, 색소, 방부제 증류수 2.0 15.0 0.15 3.0 2.0 0.15 0.4 0.1 0.3 0.5 6.0 0.3 미량 잔량
합계 100
실험예 3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먼나무 추출물을 2%를 함유하고 있는 처방예 4의 영양 크림과 처방예 4에서 먼나무 추출물을 정제수로 대체한 크림을 비교예로 하여 테스트하였다. 20명의 30-40세 여성을 무작위로 2 개군으로 나누어 처방예 4와 비교예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 회씩 세안 후 크림 적당량을 눈가를 중심으로 2 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숙련된 의사의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발명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육안평가)
시험시료 주름 개선 효과 우수 주름 개선효과 약간 주름개선 효과 없음 유효율(%)
처방예 4의 크림 14 3 3 85.0
비교예의 크림 4 6 10 45.0
실험 결과에 의하면 먼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품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주름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피검자들의 피부에서는 피부 자극을 관찰할 수 없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MMP-1의 생성을 억제하여, 콜라겐 합성 효과를 향상시켜 주름 개선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먼나무(Ilex rotund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 글리콜,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70% 에틸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나무 추출물은 40-100 ℃로 3-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먼나무 추출물은 4-40 ℃로 1-15 일간 침지시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1-20.0%(w/w)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44679A 2006-05-18 2006-05-18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70111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679A KR20070111635A (ko) 2006-05-18 2006-05-18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679A KR20070111635A (ko) 2006-05-18 2006-05-18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635A true KR20070111635A (ko) 2007-11-22

Family

ID=3909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679A KR20070111635A (ko) 2006-05-18 2006-05-18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16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9125A1 (en) * 2009-12-29 2011-06-30 Avon Products, Inc. CGRP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9066896B2 (en) 2009-12-22 2015-06-30 Avon Products, Inc. Paxillin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cosmetic uses thereof
US9345659B2 (en) 2012-12-11 2016-05-24 Avon Products, Inc. Use of melicope extracts to improve conditions caused by excess lipi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6896B2 (en) 2009-12-22 2015-06-30 Avon Products, Inc. Paxillin stimulating compositions and cosmetic uses thereof
US20110159125A1 (en) * 2009-12-29 2011-06-30 Avon Products, Inc. CGRP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9345659B2 (en) 2012-12-11 2016-05-24 Avon Products, Inc. Use of melicope extracts to improve conditions caused by excess lipi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1B1 (ko) 천녀목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635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79016A (ko) 천녀목란의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0467081B1 (ko)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7236A (ko) 천궁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23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110001A (ko) 개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5721B1 (ko) 백산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070087813A (ko) 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9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