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067A -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067A
KR20030025067A KR1020010057990A KR20010057990A KR20030025067A KR 20030025067 A KR20030025067 A KR 20030025067A KR 1020010057990 A KR1020010057990 A KR 1020010057990A KR 20010057990 A KR20010057990 A KR 20010057990A KR 20030025067 A KR20030025067 A KR 2003002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megranate
extract
collagen
punica granatum
prop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호
Original Assignee
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호 filed Critical 정창호
Priority to KR102001005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5067A/ko
Publication of KR2003002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0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Punica granatumL.)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세포증식작용,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작용이 우수하여 피부 노화 및 건조현상을 감소시켜 주어 가슴을 커지게 하거나 처진 가슴을 올려주는 효과를 가지는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of cosmetics contains punica extracts}
본 발명은 석류(Punica granatumL.)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세포증식작용,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작용이 우수하여 피부 노화 및 건조현상을 감소시켜 주어 가슴을 커지게 하거나 처진 가슴을 올려주는 효과를 가지는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석류(Punica granatumL.)는 석류나무과(Punicaceae)의 낙엽지는 넓은 잎 큰키나무인 석류나무의 열매를 말한다. 안석류, 산석류, 감석류 등으로도 부른다. 원산지는 소아시아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는 중국, 미국 캘리포니아, 인도 등지에서 대량으로 재배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식용, 관상용, 약용으로 심고 있는데, 남부지방에서는 월동이 가능하여 정원수로 많이 심고 있다. 초여름에 짙은 주홍색의 꽃이 피고 가을에 석류가 둥글게 익는다.
나무껍질과 뿌리에는 펠레티에린(pelletierine)이 함유되어 있어서 구충제로 쓰이고, 인도네시아에서는 부인병이나 적리의 치료에 열매를 사용한다. 열매의 껍질은 탄닌과 알칼로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지사제 등으로 약용하기도 하고 염색에도 이용한다. 줄기, 나무껍질, 잎 등도 염색에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매염으로 황갈색, 알루미늄이나 주석 매염에 의하여 황색으로 염색할 수 있다.
석류의 함유 성분은 포도당 21.8%, 과당 24.56% 등으로 다른 식물군에 비해서도 100 g당 포도당 등의 양은 두드러지게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칼슘은 다른 농축과즙에 비해 특히, 석류농축 과즙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골다공증의 원인 중의 하나인 여성호르몬의 감소는 뼈에 함유된 에스트로겐이 칼슘 용출을 막는 작용이 멈춰서 생기는 현상인데 이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작용이 있다.
칼륨은 신장기능, 근육기능의 조절과 세포 내액의 침투압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작용이 있고, 혈압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마그네슘은 자극에 의한 신경성의 저하나 일부 효소 작용의 활용화를 촉진시키며, 아연은 단백질의 합성에 관여하여 부족하면 성장장애, 미각장애를 일으킨다. 철분은 골수에서헤모글로빈을 만들 때 철의 움직임을 좋게 한다. 상기 3가지의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것은 석류뿐이다.
비타민 B1은 당질 대사에 없어서는 안되는 영양소로 부족하면 식욕부진, 피로, 체중감소를 일으킨다. 비타민 B2는 효소계의 보효소로 움직이는데 부족하면 점막이 생기거나 피부증상이 나타난다. 식욕부진, 구토증, 구내염 외에도 눈의 충혈, 각막염, 피부 건조나 지루성 피부염, 빈혈 등이 나타난다. 유아기에는 경련 등의 신체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동양인은 가장 부족한 보효소이다. 비타민 C는 결핍되면 모세혈관이 약해지고 파혈증을 일으킨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항빈혈 작용, 항암 작용 등도 가지고 있음을 발표하고 있다.
또한, 석류 종자에는 1 kg에 17 mg의 식물성 에스트로겐(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다.
여성의 피부는 여성호르몬(Estrogen)의 영향으로 남성과 달리 탄력있고 부드럽고 촉촉하며, 피지분비가 적고 털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원인은 여성호르몬(Estrogen)의 피부에 대한 생리학적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호르몬(Estrogen)은 진피(Dermis)에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자극하여 콜라겐(Collagen) 합성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피부수분유지에 매우 중요한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에 탄력과 보습을 부여한다. 특히, 여성호르몬(Estrogen)은 콜라겐(Collagen)의 대사에 관하여 콜라겐의 오버글리케이션(Over-glycation)을 억제하고 포스트-트랜스레이셔날 모디피케이션(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유도하며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발현을 조절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한다. 또한, 표피(Epidermis)에 있는 기저세포(basal layer cell)의 증식효과(proliferation effect)에도 영향을 주어 표피를 좀더 두텁게 하여 피부 세포조직을 강화시키며, 피지선(Sebaceous gland)의 조절로 피지선 성장을 억제하여 피지(Sebum)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털의 성장속도를 낮추어 털을 가늘고 짧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피부 활동을 강화시키며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적이며 유연하게 하는 것이 피부에 대한 여성호르몬의 주 기능이다.
그러나, 여성호르몬의 분비장소인 생식기관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기능이 퇴화되어가면서 생산 기능이 사라지는 시점인 폐경기(Menopause)를 전후하여 여성호르몬의 생성이 중지되면서 피부 노화 및 건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된다.
즉, 생식능력이 유지되는 기관인 난소에 의한 여성호르몬(Estrogen) 생성으로 호르몬의 균형이 유지되지만, 폐경기에는 여성호르몬의 생성이 중지되어 호르몬의 균형이 파괴되면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비경쟁적인 영향을 받게되어 여성호르몬 결핍에 따른 피부 노화(Endocrine ageing)가 촉진된다.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섬유아세포에서는 콜라겐, 탄력섬유(Elastic fiber) 등의 생성이 억제되어, 피부가 얇아지고 피부의 탄력이 감소되며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의 합성 또한 억제되어 피부의 수분유지 기능이 약화된다. 한편, 콜라겐글리케이션(collagen glycation)의 증가로 콜라겐의 교차결합이 증가하여 피부가 경화(Sclerosis)되어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소플라본은 현재 10개 정도의 이성체가 알려져 있으며 주로 배당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대부분 제니스틴(genistine)과 다이자인(daidze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소플라본은 일종의 식물 호르몬으로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두의 항암 역할에 많이 기여하는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제니스틴은 시험관 내에서 유방암, 결장암, 폐암, 전립선암, 피부암을 유발하는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를 정상화한다. 또한, 맥관현상(angiogenesis)을 억제시키고 산소를 차단시켜 종기의 발생을 억제한다.
에스트로겐(Estrogen)은 젓샘이나 자궁 등에 작용하며, 피부에서는 섬유아세포에 작용하여, 콜라겐이나 히아루론산의 합성을 활성화하기도 하며 뼈의 대사(칼슘의 가용화)를 억제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이소플라본(Isoflavone)은 에스트로겐(Estrogen)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어,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에 서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204411호에서 이소플라본이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제시했으며, 미국 특허 제 5,679,806호에서는 대두와 칡으로부터 에탄올이나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는 일련의 공정을 거쳐 이소플라본만을 추출해내는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미국 특허 제 4,524,067호에서는 대두로부터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사포닌만을얻은 기술을 제안하였으며, 미국 특허 제 4,428,876호에서는 대두에 가성소오다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일련의 공정을 거쳐 단백질, 올리고당, 사포닌, 이소플라본 등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미량의 사포닌 및 이소플라본의 추출, 정제를 위하여 대두 자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여과, 농축, 희석과 같은 다수의 공정을 실시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까다롭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석류 또는 석류씨를 냉동, 건조하여 다량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을 분리, 정제하면 제조공정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고수율의 사포닌 및 이소플라본을 분리, 정제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세포증식 작용,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작용으로 폐경기 전후로 하여 급격히 노화가 진행되는 가슴을 개선할 수 있는 여성호르몬(Estrogen) 유사물질인 이소플라본을 석류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류 추출물 에센스를 바르기 전에 가슴을 적외선 사진으로 촬영 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류 추출물을 바르고 21일 후에 가슴을 적외선 사진으로 촬영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포증식 작용,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 작용이 우수한 석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석류, 석류씨를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화 하고, 분말화된 석류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물,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헥산(Hexane), 디에틸 에테르(Diethylether),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노말-부탄올(n-Butanol)을 1 ∼ 15배의 양으로 가해 실온에서 1 ∼ 15일간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여과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석류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석류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 증식효과,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 상기 효과들이 우수하여 가슴에 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커지게 하는 효과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석류 추출물은 기초제품 화장료(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바디제품 화장료(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색조제품 화장료(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제품 화장료(샴푸, 린스, 헤어 콘디셔너, 헤어 젤) 등에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5 ∼ 10.0 중량%으로 함량으로 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석류 추출물 제조 및 세포증식 효과
석류 또는 석류씨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석류 가루 1 Kg을 다음 표 1의 용매 5 L에 넣고 30 ℃에서 4 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10 ℃에서 8 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 ℃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석류 또는 석류씨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용매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석류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 ×104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석류 추출물을 최종 농도 250 ㎍/㎖ 되도록 조정한 시럼(serum)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MTT 용액[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 5 ㎎/㎖] 10 ㎕씩 첨가하고 4시간 방치 후, 배지 부분을 버렸다. 각 웰당 100 ㎕의 디메틸 설폭시드(DMSO :Dimethyl sulfoxide) 용액을 가하여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Bioscan,Inc]로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실시하여 다음 수학식 1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추출 용매 세포증식 효과(%)
용매 1 정제수 10.3 ±0.6
용매 2 정제수 : 부틸렌글리콜 = 50 : 50 25.1 ±2.1
용매 3 부틸렌글리콜 43.7 ±1.4
용매 4 프로필렌글리콜 50.9 ±2.7
용매 5 부틸렌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 50 : 50 59.8 ±2.3
용매 6 에탄올 32.3 ±1.7
용매 7 노말-프로판올 51.0 ±0.8
용매 8 글리세롤 21.7 ±1.9
용매 9 헥산 15.5 ±2.8
용매 10 디에틸에테르 36.8 ±1.5
상기 표 1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류 추출물이 함유된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세포증식 효과가 대조군(추출물 무처리)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유효성분 추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석류 및 석류씨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알아보기 위해, 이소플라본의 정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정량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소플라본 Genistein의 함량결정]
* HPLC 분석조건 - 검출기 : UV dector(285nm)
- 컬럼 : 안지름 4.6 mm, 길이 250 mm, ODS C18 스텐리스관
- 컬럼온도 : 상온
- 이동상 : 메탄올 : 물(95 : 5)
- 이동속도 : 1.0 ㎖/min
구 분 석류씨 석류
1 kg당 이소플라본의 양 17 mg 10 mg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류씨에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석류 및 석류씨 모두 유효성분인 이소플라본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석류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석류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104세포/ 웰)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기 표 1의 용매 5로 제조한 석류 추출물을 100 ㎍/㎖, 250 ㎍/㎖, 500 ㎍/㎖의 농도로 준비하여 세럼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와 함께 넣고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마지막 24시간 전에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 50㎍/㎖)을 첨가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켰다. 배양 후 각 웰을 세척하고 세럼(serum)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PICP(procollagen Type I C-peptide) 양을 Kit[Takara, Kyoto, Japan]을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PICP 양으로 측정하였으며 PICP 양은 ng/2 ×104세포로 환산하여 콜라겐 1의 합성효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농도 콜라겐 합성량(ng/2 ×104세포)
대조군(추출물 무처리) 151
100 ㎍/㎖ 204
250 ㎍/㎖ 254
500 ㎍/㎖ 291
상기 표 3과 같이 석류 추출물의 농도가 클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농도의존적 형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석류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
석류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표 1의 용매 5로 제조한 석류 추출물을 100 ㎍/㎖, 250 ㎍/㎖, 500 ㎍/㎖의 농도로 준비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농도 흡광도(570 nm) 세포증식 효과(%)
대조군(추출물 무처리) 0.320 ±0.008 -
100 ㎍/㎖ 0.414 ±0.012 29.4
250 ㎍/㎖ 0.453 ±0.030 41.6
500 ㎍/㎖ 0.563 ±0.015 75.9
상기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석류 추출물이 첨가된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증식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고, 석류 추출물의 농도가 클수록 세포 증식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석류 추출물의 히아루론산 합성 증진 효과
석류 추출물의 히아루론산 합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3 ×104세포/웰) 48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는 10% FCS(Fetal calf serum),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100 ㎍/㎖) 등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 후 상기 표 1의 용매 5로 제조된 석류 추출물을 100 ㎍/㎖, 500 ㎍/㎖의 농도로 준비한 배지로 교체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부분만 모으고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을 최종농도 10%가 되게 넣고 4 ℃에서 24시간 보관하였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투석(Dialysis)하고 NaCl을 처리하여 최종농도 0.04 M이 되도록 한 후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um chloride)를 첨가하여 히아루론산을 침전시켰다.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4 M NaCl에 용해시키고, 에탄올에 재침전시킨 후, 이 침전물을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히아루론산을 정량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스트립(Cellulose acetate strip)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Hata, R. & Nagai, Y.(1972) Anal. Biochem. 45, 462-468]. 전기영동 후 0.5% 알시안 블루(Alcian blue)가 함유된 3% 아세트산에 침지시킨 후 세척, 건조하여 600 nm의 스캐너로 그 양을 측정하였다.
농도 히아루론산 합성증진효과(%)
100 ㎍/㎖ 35.8
500 ㎍/㎖ 56.4
상기 표 5와 같이, 석류 추출물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히아루론산 합성증진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석류 추출물이 가슴에 탄력을 부여하는 효과
가슴둘레 90 cm인 26세의 여성에게 3주간 석류 추출물(표 1의 용매5로 추출된 것)을 화장료 건조중량으로 10 중량% 함유한 에센스를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2회 사용하여 가슴이 올라가는 것을 측정하였다.
에센스를 제조하기 위해 다음 표 6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석류추출물 10.0
글리세린 3.0
EDTA 0.05
벤조페논-9 0.04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시도테세스-25 0.6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가슴이 올라가는 것을 측정하기 위해 유두와 유방이 시작되는 곳을 위와 아래쪽 2곳을 3점으로 직선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임상기간 가슴의 각도
사용 전(0일) 72.4°
사용 후(21일) 81.4°
상기 표 7과 같이 석류 추출물은 가슴에 탄력을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및 도 2].
실시예 7: 석류 추출물이 가슴을 커지게 하는 효과
상기 표 6의 에센스를 이용하여 23살, 26살, 35살, 42살의 여성에게 1달간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2회 사용하여 가슴의 크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임상자의 나이 사용 전 가슴둘레(cm) 사용 후 가슴둘레(cm)
23살 92 95
26살 90 92
35살 97 98
42살 95 96
상기 표 8과 같이 석류 추출물은 가슴둘레, 즉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석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세포증식 효과,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 효과를 제공하여 피부 노화 및 건조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류 추출물이 가슴의 커지고 탄력있게 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세포증식작용,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 증진작용을 갖는 석류(Punica granatumL.) 또는 석류씨 추출물.
  2. 1) 석류 또는 석류씨를 정제하고 분말화하는 단계;
    2) 상기 분말화된 석류 또는 석류씨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물,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헥산(Hexane), 디에틸 에테르(Diethylether),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노말-부탄올(n-Butanol)을 1 ∼ 15배의 양으로 가해 실온에서 1 ∼ 15일간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여과하여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추출용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류 또는 석류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석류(Punica granatumL.) 또는 석류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57990A 2001-09-19 2001-09-19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25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990A KR20030025067A (ko) 2001-09-19 2001-09-19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990A KR20030025067A (ko) 2001-09-19 2001-09-19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067A true KR20030025067A (ko) 2003-03-28

Family

ID=2772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990A KR20030025067A (ko) 2001-09-19 2001-09-19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506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50A (ko) * 2001-12-27 2003-07-0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35227A (ko) * 2002-10-18 2004-04-29 추명호 가슴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0747415B1 (ko) * 2006-02-03 2007-08-0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868904B1 (ko) * 2003-03-27 2008-11-14 (주)아모레퍼시픽 대두배아 이소플라본 어글리콘, 석류추출물 및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로 이루어진 IB complex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외용제 조성물
KR101499442B1 (ko) * 2008-09-16 2015-03-09 (주)아모레퍼시픽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1861B1 (ko) * 2020-11-24 2021-07-01 영농조합법인 산골농장 천연소재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37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抗酸化剤
JPH07196526A (ja) * 1994-01-11 1995-08-01 Takano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
WO1996024327A1 (fr) * 1995-02-09 1996-08-15 Hanna, Claude Compositions a activite depigmentante ainsi que leurs applications
JP2000143491A (ja) * 1998-11-06 2000-05-23 Pola Chem Ind Inc 老化用の化粧料
KR20010015586A (ko) * 1997-09-15 2001-02-26 크릴로프 쉽빌딩 리서치 인스티튜트 추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37A (ja) * 1992-05-20 1993-12-03 Tsuneo Nanba 抗酸化剤
JPH07196526A (ja) * 1994-01-11 1995-08-01 Takano Co Ltd コラゲナーゼ阻害剤
WO1996024327A1 (fr) * 1995-02-09 1996-08-15 Hanna, Claude Compositions a activite depigmentante ainsi que leurs applications
KR20010015586A (ko) * 1997-09-15 2001-02-26 크릴로프 쉽빌딩 리서치 인스티튜트 추진 시스템 및 방법
JP2000143491A (ja) * 1998-11-06 2000-05-23 Pola Chem Ind Inc 老化用の化粧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950A (ko) * 2001-12-27 2003-07-0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35227A (ko) * 2002-10-18 2004-04-29 추명호 가슴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0868904B1 (ko) * 2003-03-27 2008-11-14 (주)아모레퍼시픽 대두배아 이소플라본 어글리콘, 석류추출물 및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로 이루어진 IB complex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외용제 조성물
KR100747415B1 (ko) * 2006-02-03 2007-08-07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499442B1 (ko) * 2008-09-16 2015-03-09 (주)아모레퍼시픽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1861B1 (ko) * 2020-11-24 2021-07-01 영농조합법인 산골농장 천연소재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16B1 (ko)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6646A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1776A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30025067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3606B1 (ko) 알팔파 씨앗에서 추출된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31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497A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70237B1 (ko) 홍화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홍화씨 내 화장료 유효성분 추출방법
KR20030055950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110001A (ko) 개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87236A (ko) 천궁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29037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