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442B1 -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442B1
KR101499442B1 KR1020080090662A KR20080090662A KR101499442B1 KR 101499442 B1 KR101499442 B1 KR 101499442B1 KR 1020080090662 A KR1020080090662 A KR 1020080090662A KR 20080090662 A KR20080090662 A KR 20080090662A KR 101499442 B1 KR101499442 B1 KR 10149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yaluronic acid
flower
lotu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839A (ko
Inventor
김수정
조가영
노호식
김은주
문은정
박창만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9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4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인체 세포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2, HAS2)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인체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 작용을 활성화시키며, 또한 버시칸(versican)의 합성을 촉진하고, 버시칸 분해를 담당하는 MMP-12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외 기질의 구조를 견고히 하여 피부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연꽃,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버시칸, MMP-12, 피부탄력

Description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Tussilago Farfara and Hibiscus Mutabilis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체 세포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 2, HAS2)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인체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 작용을 활성화시키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용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황산기가 부착되지 않은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 (nonsulfated glycosaminoglycan)의 일종으로, 글루쿠로닉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잔기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형의 고분자물질이다. 세포외기질의 주 구성성분으로서 수분 보유, 세포간간격 유지, 세포성장인자 및 영양성분의 저장 및 확산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분열과 분화, 이동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포유류의 신체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은 50% 이상이 피부에 존재하는데, 주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표피의 세포간간격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한다고 보고되었다. 인간의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의 양은 노화와 함께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것이 노화에 따른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라고 여겨진다.
피부 세포 배양 상태에서의 히알루론산의 합성은 여러가지 성장인자와 트랜스레티노인산, N-메틸세린 등에 의해 증가된다는 보고와, 피부에 도포된 여성호르몬(estradiol) 및 그 유사물질이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히알루론산 대사에 대한 자세한 기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단지 히알루론산의 합성은 세포막의 안쪽 표면에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ic acid synthase)에 의해 진행되며, 합성되는 동안 세포막을 뚫고 나와 세포외기질로 축적된다고 알려져 있다. 포유동물에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의 유전자는 서열상의 유사성이 높은 HAS1, HAS2, HAS3, 이 세가지 형태가 있으며,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EGF)가 표피 세포 배양액 속에 첨가되었을 때 HAS2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세포와 조직에서의 분포와 효소 활성을 조절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의 한약재 추출물을 복합 처방함으로써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 다발과 결합하여 세포외기질 구조를 강화하는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버시칸의 분해를 야기하는 MMP 12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시킴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고 세포외기질 성분의 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동백꽃 및 연꽃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 세포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체의 히알루론산 생성 작용을 활성화시키며 동시에 세포외기질 구조를 견고히 하는 버시칸의 생성을 촉진하고 버시칸의 분해를 담당하는 MMP 12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건조증,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동백꽃 및 연꽃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석류는 혈액을 정화시키는 효능을 지니고 신체의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며 체질 개선과 피로회복에 큰 효과를 지닌다. 석류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천연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필요로 하는 호르몬으로 전환되어 건강한 피부관리에 큰 효과가 있으며 피부노화, 갱년기증상, 뇌의 이상과 심장이상, 요실금, 골다공증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녀 건강함과 젊음을 유지시켜준다. 특히 석류꽃은 정장작용, 화상 치유, 창상 치유, 중이염 치유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월경불순, 치통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관동화는 본초강목에 따르면 천해를 멎게 하고, 보열 제번하며, 또한 폐를 조리한다고 한다. 꽃 달임액은 실험동물에서 거담작용을 하고, 기침 멎이 작용을 하며, 관동화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는 항염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기침가래 약, 항염제로써, 기관지천식, 후두염, 기관지확장증, 폐렴, 기관지염, 위장카타르, 신장과 요도의 염증, 열병 등에 쓰인다.
동백나무는 강심작용, 항암작용, 장출혈, 자궁출혈, 토혈, 해수, 코피, 대변 출혈, 아메바성이질, 타박상, 화상, 부스럼, 머릿기름, 식용유, 등유, 유두(乳頭)가 짓물러서 갈라지고 통증이 심한 증상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연꽃은 동의보감에 보면 연화, 또는 봉오리를 연화예(蓮花蘂)라 하여, 인의정기불고(精氣不固, 정기(精氣)가 견고하지 못함), 노채(충의 일종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질환 및 정신 질환 등을 야기함), 치정활(治精滑, 정이 미끄러움을 다스림), 남성의 몽정과 몽설, 여성의 붕루를 치료하는데 다른 약재들과 함께 쓰여진다. 즉, 남성에게는 정기를 굳게 하며, 여성에게 있어서는 피부미용, 생리문제를 이롭게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통상 사용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은 각 한약재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또 한, 상기 유효성분으로 동백꽃 및 연꽃 중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처방 추출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상기 복합 처방 추출물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추출물에 의한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 버시칸 생성 촉진, MMP 12 생성 억제효과 등을 얻을 수 없고, 15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상기 석류꽃과 관동화 추출물을 각각 0.0001중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석류꽃과 관동화 추출물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그 효과가 더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석류꽃과 관동화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석류꽃과 관동화 복합 처방 추출물을 0.0001중량%로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고 제형 내에서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석류꽃과 관동화 추출물의 혼합 처방 추출물에 연꽃 또는 동백꽃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그 효과가 더 우수하며, 바람직하게는 석류꽃과 관동화의 혼합 추출물, 연꽃 추출물 및 동백꽃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지만,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고 제형 내에서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HAS2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버시칸(versican)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버시칸의 합성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MMP 12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 버시칸의 분해를 담당하는 MMP 12의 생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고 세포외기질 성분의 구조를 견고히 하여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젤,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의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들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HaCaT 세포에서의 HAS2, 버시칸, MMP 12의 발현 조절
단계 1: 세포주와 세포 배양
인체 각질형성 세포주(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를 10% 우혈청 (fetal bovin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1210-0038)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은 모두 37℃, 5% CO2 배양기에서 수행하였다.
단계 2: 정량적인 역전사 PCR 을 통한 HAS2 , 버시칸 , MMP 12 유전자의 mRNA 합성 증가 확인
단계 1에서 배양된 세포주를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단일세포 현탁액을 만들고 T75 플라스크에 1 x 106개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역시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DMSO에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을 10ppm씩, 석류화와 관동화 추출물의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석류꽃, 동백꽃, 연꽃 및 관동화 추출물의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의 농도로 각각 녹여 처리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으로는 비히클인 DMSO를 이용하였다.
한편, MMP 12의 발현을 유도하기 위한 UV 처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인체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세포를 106개의 밀도로 100mm 세포 배양 접시에서 배양하였고, FS40 램프[웨스팅하우스, 피츠버그, 피에이., 미국(Westinghouse, Pittsburgh, PA, USA)]를 이용하여 자외선 B를 10mJ/cm2로 조사한 후, DMSO에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을 10ppm씩, 석류화와 관동화 추출물의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석류꽃, 동백꽃, 연꽃 및 관동화 추출물의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의 농도로 각각 녹여 처리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으로는 비히클인 DMSO를 이용하였다.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세포를 회수하여 냉각된 인산완충용약(PBS)로 세척하 고 TRIzolTM 시약(Life Technologies, Inc.) 1 ml을 첨가하여 총 RNA를 추출하여 정량적인 실시간 DNA 연쇄중합반응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DNA 연쇄중합반응 수행을 위한 HAS2, 버시칸, MMP 12의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정량적인 역전사 PCR 반응을 위한 HAS2, 버시칸, MMP 12와 GAPDH의 프라이머
프라이머 이름 서열
HAS-2 정방향 프라이머 5'-TTTCTTTATGTGACTCATCTGTCTCACCGG-3'
HAS-2 역방향 프라이머 5'-ATTGTTGGCTACCAGTTTATCCAAAGGG-3'
버시칸 정방향 프라이머 5'-GTCACCTTCCAACTATCCGGT-3'
버시칸 역방향 프라이머 5'-AGCACGGTAGTCCATTCTTTCT-3'
MMP 12 정방향 프라이머 5'-GGAGTCCCCGATCTCCATCAT-3'
MMP 12 역방향 프라이머 5'-ACGGTTCATGTCAGGTGTGTA-3'
GAPDH 정방향 프라이머 5'-CAACTACATGGTTTACATGTTCC-3'
GAPDH 역방향 프라이머 5'-GGACTGTGGTCATGAGTCCT-3'
총 RNA 1㎍을 50mM 트리스-HCl(Tris-HCl, pH 8.3), 75mM KCl, 3mM MgCl2, 0.1M DTT, 10mM dNTP 및 40 유닛/㎕ RNase 저해제가 함유된 역전사 반응 완충액 25㎕에 넣고, 0.5㎍/㎕ 올리고(dT)16의 프라이머와 200 유닛 수퍼스크립트 II[SuperScript II, 집코비알엘(GiboBRL)]의 역전사 중합효소를 첨가하여 42℃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역전사 반응 용액 2.5㎕를 엠플리택(AmpliTaq) DNA 중합효소[0.04U, 퍼킨 엘멀, 쉘튼, 씨티(Perkin Elmer, Shelton, CT)], 50mM 트리스(pH 8.3), 0.25mg/ml 우혈청알부민, 3mM MgCl2, 0.25mM dNTPs, SYBR 그린 I의 1/50,000 희석액[몰레큘라 프로브, 유진, 오알(Molecular Probes, Eugene, OR)]이 함유된 PCR 반응 완충액 50L에 섞고, 10μM의 프라이머를 첨가하여 94℃에서 30초간 변성, 53℃에서 30초간 어닐링 및 72℃에서 1분간 확장하는 사이클을 30회 수행하였다. 상대적인 mRNA 레벨은 아이사이클러(ICycl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SYBR 그린 I 형광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는 SCI급 논문들을 토대로 제작하였다. 내부 표준물질로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를 사용하여 유전자의 정량적 발현 수준을 보정하였다.
HAS2, 버시칸 및 MMP 12 유전자의 발현정도에 대해서는 각각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서 1은 비히클 대조군(DMSO 처리), 2는 석류화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3은 동백꽃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4는 연꽃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5는 관동화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6은 석류화 및 관동화 추출물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농도로 처리한 군, 7은 석류화, 관동화, 동백꽃 및 연꽃 추출물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농도로 처리한 군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에서 1은 무처리 대조군, 2는 UV를 조사한 뒤 DMSO로 처리한 군, 3은 UV를 조사한 뒤 석류화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4는 UV를 조사한 뒤 동백꽃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5는 UV를 처리한 뒤 연꽃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6은 UV를 조사한 뒤 관동화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7은 UV를 조사한 뒤 석류화 및 관동화 추출물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농도로 처리한 군, 8은 UV를 조사한 뒤 석류화, 관동화, 동백꽃 및 연꽃 추출물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농도로 처리한 군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경우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HAS2 유전자 및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고, 석류화 및 관동화 추출물을 복합 처방한 경우에는 HAS2 유전자 및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량이 보다 더 증가하며, 여기에 동백꽃 및 연꽃 추출물을 더 처리한 경우에는 HAS2 유전자 및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량의 훨씬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세포외기질 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을 보면,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경우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MMP 12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고, 석류화 및 관동화 추출물을 복합 처방한 경우에는 MMP 12 유전자의 발현량이 보다 더 감소하며, 여기에 동백꽃 및 연꽃 추출물을 더 처리한 경우에는 MMP 12 유전자의 발현량의 훨씬 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MMP 12 유전자의 발현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외기질 구조를 강화하는 버시칸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의 처리에 의한 HaCaT 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 증가
상기 시험예 1 단계 1에서 배양된 세포주를 트립신 처리하여 단일세포 현탁액을 만들고 T75 플라스크에 1 x 106개씩 분주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역시 우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을 10ppm씩, 석류화와 관동화 혼합 추출물 10ppm,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혼합 추출물 10ppm을 녹여 처리하였다. 24 시간 경과 시점에서 세포 배양액을 회수하여 15,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강된 세포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얻어 에첼론 생명과학 회사(Echelon Bioscience, Salt Lake, UT)회사의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히알루론산 양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1은 비히클 대조군(DMSO 처리), 2는 석류화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3은 동백꽃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4는 연꽃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5는 관동화 추출물을 10ppm 농도로 처리한 군, 6은 석류화 및 관동화 추출물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농도로 처리한 군, 7은 석류화, 관동화, 동백꽃 및 연꽃 추출물 복합처방의 총 양을 5ppm 농도로 처리한 군을 의미한다.
도 4를 보면, 석류꽃, 관동화, 동백꽃 또는 연꽃 추출물을 단독 처리한 경우 상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히알루론산의 양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고, 석류화 및 관동화 추출물을 복합 처방한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의 양이 보다 더 증가하며, 여기에 동백꽃 및 연꽃 추출물을 더 처리한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의 양이 훨씬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히알루론산의 합성량이 증가하며, 상기 추출물을 복합 처방한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히알루론산의 합성량이 보다 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 0.0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1
[제형예 2] 영양크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제형예 3] 마사지 크림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제형예 4] 팩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 0.5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6.0
[제형예 5] 피부외용제 중 연고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석류꽃, 동백꽃, 연꽃, 관동화 추출물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도 1은 석류화, 동백꽃, 연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석류화, 동백꽃, 연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석류화, 동백꽃, 연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UV에 의한 MMP-12 유전자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석류화, 동백꽃, 연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HaCaT 세포에 처리한 후 히알루론산 양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석류꽃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동백꽃 추출물 및 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버시칸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2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90662A 2008-09-16 2008-09-16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9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62A KR101499442B1 (ko) 2008-09-16 2008-09-16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62A KR101499442B1 (ko) 2008-09-16 2008-09-16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839A KR20100031839A (ko) 2010-03-25
KR101499442B1 true KR101499442B1 (ko) 2015-03-09

Family

ID=4218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662A KR101499442B1 (ko) 2008-09-16 2008-09-16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615B1 (ko) * 2010-11-17 2017-04-04 (주)아모레퍼시픽 산뽕나무, 한련초, 지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R2968214B1 (fr) * 2010-12-03 2014-07-04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anti-age
KR20160011536A (ko) 2014-07-22 2016-02-01 (주) 건강사랑 석류 농축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TWI740096B (zh) * 2019-01-25 2021-09-2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款冬花萃取物用於提升tgm基因、krt基因、aqp基因、flg基因、gba基因、及has基因表現量的用途
KR102270290B1 (ko) * 2019-10-07 2021-06-29 주식회사 멀블리스 진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067A (ko) * 2001-09-19 2003-03-28 정창호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189683A (ja) * 2002-12-12 2004-07-08 Nagase & Co Ltd セラミド産生促進剤
JP2006104118A (ja) * 2004-10-04 2006-04-2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美白効果向上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美白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067A (ko) * 2001-09-19 2003-03-28 정창호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189683A (ja) * 2002-12-12 2004-07-08 Nagase & Co Ltd セラミド産生促進剤
JP2006104118A (ja) * 2004-10-04 2006-04-2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美白効果向上剤、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美白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839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598B1 (ko) 화장품 조성물
KR20160014753A (ko) Has2-자극용 식물 추출물
JP2008105985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皮膚外用剤、浴用剤及び飲食物
KR101499442B1 (ko) 석류꽃 및 관동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47644B1 (ko) 포공영, 승마, 산약 또는 고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57895A (ko) 진세노사이드 Re 및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TW201836633A (zh) 蘭花癒傷組織萃取物於護膚之用途
JP5123092B2 (ja) 皮膚外用剤
KR20110083480A (ko) 활성 산소 소거제, 라디칼 소거제 및 산화적 세포 장애 억제제
KR102202391B1 (ko) 상처 치유 및 피부 병변 회복을 위한 알라닌-글루타민, 히알루론산, 귀리 추출물의 상승적 조합 및 조성물로서의 용도
KR20090104156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2615B1 (ko) 산뽕나무, 한련초, 지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26210B1 (ko) 매스틱검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피부 상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5015B1 (ko)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79391B1 (ko) 피뿌리풀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KR101743488B1 (ko) 비피더스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증진용 및 피부세포 증식용 조성물
KR101892641B1 (ko) 유근피, 산약 및 상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97762B1 (ko) 피뿌리뿔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개체의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
KR101640735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70067364A (ko) 히알루론산의 생성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2385111B1 (ko) 갈란가 및 배더락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9867772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elasticity
CN117045572B (zh) 一种抑制皮肤多种类型基质金属蛋白酶功能的组合物及其用途
KR101640736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52522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