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848B1 -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848B1
KR100574848B1 KR1019990045792A KR19990045792A KR100574848B1 KR 100574848 B1 KR100574848 B1 KR 100574848B1 KR 1019990045792 A KR1019990045792 A KR 1019990045792A KR 19990045792 A KR19990045792 A KR 19990045792A KR 100574848 B1 KR100574848 B1 KR 10057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dney bean
bean extract
extract
propanol
kid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997A (ko
Inventor
이강태
신봉수
유영경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1999004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848B1/ko
Priority to DE60026247T priority patent/DE60026247D1/de
Priority to EP00309279A priority patent/EP1093786B1/en
Priority to JP2000322778A priority patent/JP2001122764A/ja
Publication of KR2001003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997A/ko
Priority to US09/927,338 priority patent/US200200282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증식작용,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작용이 우수한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강낭콩 추출물을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해 0.05-10.0중량%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 및 건조 현상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ntaining Phaseoius vulgaris L. extracts}
본 발명은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강낭콩은 콩과식물로 덩굴강낭콩(운편두, 용조두, 채두; Phaseolus vulgaris L.)과 붉은 강낭콩(홍화채두, 다화채두, 강낭콩, 땅콩; Phaseolus multiflorus WILLD),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 var. humilis ALEF), 흰강낭콩(Phaseolus multiflorus WILLD for. albus BAIKEY)등이 있으며, 상기 강낭콩의 종자는 민간요법으로 통유, 종기, 이뇨, 단독, 부종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주름생성등의 피부 노화의 한 원인이 되는 여성호르몬과 관련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의 피부는 여성호르몬(Estrogen)의 영향으로 남성의 피부와는 달리 탄력적이고 부드럽고 촉촉하며, 피지의 분비가 적고, 털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 원인이 되는 여성호르몬(Estrogen)의 피부에 대한 생리적 작용에 대해 구체적 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호르몬(Estrogen)은 진피(Dermis)에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자극하여 콜라겐(Collagen)합성 및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피부수분유지에 매우 중요한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합성을 촉진시킴으로서 피부에 탄력성, 부드러움, 유연성 및 보습성을 부여한다. 특히, 여성호르몬(Estrogen)은 콜라겐(Collagen)의 대사에 관여하여 콜라겐의 오버글리케이션(Over-glycation)을 억제하고 포스트-트랜스레이셔날 모디피케이션(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을 유도하며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발현을 조절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한다. 또한, 표피(Epidermis)에 있는 기저세포(basal layer cell)의 증식효과(proliferation effect)에도 영향을 주어 표피를 좀더 두텁게 하여 피부 세포조직을 강화시키며, 피지선(Sebaceous gland)의 조절로 피지선 성장을 억제하여 피지(Sebum)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털의 성장속도를 낮추어 털을 가늘고 짧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피부 활동을 강화시키며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적이며 유연하게 하는 것이 여성호르몬의 피부에 대한 주 기능이다.
그러나, 여성호르몬의 분비장소인 생식기관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기능이 퇴화되어가다가 생산 기능이 사라지는 시점인 폐경기(Menopause)를 전후하여 여성호르몬의 생성이 중지되면서 피부 노화 및 건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즉, 생식능력이 유지되는 기관인 난소에 의한 여성호르몬(Estrogen)생성으로 호르몬의 균형이 유지되지만, 폐경기에는 여성호르몬의 생성이 중지되어 호르몬의 균형이 파괴되면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비경쟁적인 영향을 받게되어 여성호르몬 결핍에 따른 피부 노화(Endocrine ageing)가 촉진된다.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섬유아세포에서는 콜라겐, 탄력섬유(Elastic fiber) 등의 생성이 억제되어, 피부가 얇아지고 피부의 탄력이 감소되며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의 합성또한 억제되어 피부의 수분유지 기능이 약화된다. 한편, 콜라겐 글리케이션(collagen glycation)의 증가로 콜라겐의 교차결합이 증가하여 피부가 경화(Sclerosis)되어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성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한 피부노화 및 건조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여성호르몬을 직접 공급하는 호르몬 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을 사용하여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합성의 증가, 표피세포의 증식효과로 표피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등의 뚜렷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에서는 여성호르몬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보습제, 노화억제물질, 자유라디칼 소거물질 및 자외선 차단제 등 피부노화의 일반적 억제물질을 이용해 여성호르몬 결핍에 따른 간접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여성호르몬 결핍에 따른 직접적인 대처방안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우수한 세포증식작용,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작용으로 폐경기 전후로 하여 급격히 노화가 진행되는 여성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여성호르몬(Estrogen) 유사물질인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강낭콩(Phaseolus vulgaris L.)추출물을 화장료 건조중량에 대해 0.05-10.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강낭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포증식효과,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 효과가 우수한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강낭콩 추출물은 강낭콩의 씨앗을 건조, 분말화 하고, 상기 분말화된 강낭콩에 대해 추출 용매로서 물,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헥산(Hexane),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노말-부탄올(n-Butanol)을 사용해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강낭콩 추출물은 기초제품 화장료(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 오일), 색조제품 화장료(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제품 화장료(샴푸, 린스, 헤어콘디셔너, 헤 어젤)등에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5-10.0중량%으로 함량으로 배합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아래의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실시예: 강낭콩 추출물의 제조방법
강낭콩 추출물 제조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된 강낭콩의 씨앗을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화 하고, 분말화된 강낭콩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물,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헥산(Hexane),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노말-부탄올(n-Butanol)을 1-15배의 양으로 가해 실온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여과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을 얻는다.
실시예 1:
강낭콩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강낭콩 가루 1Kg을 물 5L에 넣고 15-40℃에서 3-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을 4-15℃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132.20g(건조중량)을 얻었으며, 추출 수율은 13.2±0.8%이다.
실시예 2:
강낭콩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강낭콩 가루 1Kg을 10% 에탄올 5L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15℃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저온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다.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127.4g(건조중량)을 얻었으며, 추출 수율은 12.7±0.7%이다.
실시예 3-21:
하기 표 1에 기재된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추출 수율을 표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용 매 추출수율 (%평균±표준편차)
실시예 3 20% 에탄올 12.1±0.7
실시예 4 30% 에탄올 11.2±0.6
실시예 5 40% 에탄올 9.9±0.4
실시예 6 50% 에탄올 8.4±1.0
실시예 7 60% 에탄올 6.7±0.5
실시예 8 70% 에탄올 5.4±0.3
실시예 9 80% 에탄올 4.3±0.3
실시예 10 90% 에탄올 2.5±0.1
실시예 11 100% 에탄올 1.7±0.1
실시예 12 80% 메탄올 4.2±0.4
실시예 13 100% 메탄올 1.5±0.1
실시예 14 아세톤 0.7±0.1
실시예 15 에틸 아세테이트 1.1±0.2
실시예 16 50% 1,3-부틸렌 글리콜 수용액 5.8±0.5
실시예 17 헥산 0.8±0.1
실시예 18 디에틸에테르 0.3±0.1
실시예 19 노말-프로판올 0.2±0.1
실시예 20 이소-프로판올 0.2±0.1
실시예 21 노말-부탄올 0.2±0.1
실험예 1: 강낭콩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에 대해 세포 증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x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실시예 1-21에서 제조한 강낭콩 추출물을 최종 농도 250㎍/㎖ 되도록 조정한 시럼(serum)이 없는 디엠이엠(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한다. MTT 용액[3-(4,5-Dimethyl-thiazole-2-yl) 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 5 ㎎/㎖] 10㎕씩 첨가하고 4시간 방치 후, 배지 부분을 버린다. 각 웰당 100㎕의 디메틸 설폭시드 (DMSO :Dimethyl sulfoxide)용액을 가하여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로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3회 실시하여 하기식으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세포증식효과(%) = ------------------------------------- X 100
대조군의 흡광도
추출물 세포 증식 효과(%)
실시예 1 15.4±1.3
실시예 2 18.6±1.6
실시예 3 21.5±2.5
실시예 4 27.6±0.9
실시예 5 35.9±1.3
실시예 6 42.7±2.1
실시예 7 51.3±2.4
실시예 8 58.7±2.5
실시예 9 54.6±2.5
실시예 10 56.5±2.3
실시예 11 52.8±2.0
실시예 12 54.5±2.2
실시예 13 45.7±1.6
실시예 14 31.4±1.5
실시예 15 44.8±1.8
실시예 16 52.1±2.4
실시예 17 10.3±0.6
실시예 18 11.4±0.8
실시예 19 22.4±1.4
실시예 20 25.3±1.6
실시예 21 21.7±1.4
상기 표 2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이 함유된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세포증식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강낭콩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강낭콩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x104 세포/ 웰) 디엠이엠(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실시예 8에서 제조한 강낭콩 추출물을 100㎍/㎖, 250㎍/㎖, 500㎍/㎖의 농도로 준비하여 시럼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DMEM) 배지와 함께 넣고 48시간 배양한다. 배양 마지막 24시간 전에 아스코르빅산 (Ascorbic acid : 50㎍/㎖)을 첨가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킨다. 배양 후 각 웰을 세척하고 시럼(serum)이 함유되지 않은 디엠이엠(DMEM)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한다. 배양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CP) 양을 Kit (Takara, Kyoto, Japan)을 이용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PICP 양으로 측정하였으며 PICP 양은 ng/2x104 세포로 환산하여 콜라겐 1의 합성 효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농 도 콜라겐 합성량 (ng/2x104세포)
대조군 151
100 ㎍/㎖ 204
250 ㎍/㎖ 254
500 ㎍/㎖ 291
상기 표 3과 같이 강낭콩 추출물의 농도가 클수록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농도의존적 형태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강낭콩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
강낭콩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8에서 제조한 강낭 콩 추출물을 100㎍/㎖, 250㎍/㎖, 500㎍/㎖의 농도로 준비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농 도 흡 광 도 (570 ㎚) 세포 증식 효과 (%)
대 조 군 0.320±0.008 -
100 ㎍/㎖ 0.414±0.012 29.4
250 ㎍/㎖ 0.453±0.030 41.6
500 ㎍/㎖ 0.563±0.015 75.9
상기 표 4와 같이,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이 첨가된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증식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고, 강낭콩 추출물의 농도가 클수록 세포 증식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강낭콩 추출물의 히아루론산 합성 증진 효과
강낭콩 추출물의 히아루론산 합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체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를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 (3x104 세포/웰) 48시간 배양한다. 이때 배지는 10% FCS (Fetal calf serum),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100㎍/㎖)등이 함유된 디엠이엠(DMEM) 배지를 사용한다. 배양후 실시예 8에서 제조된 강낭콩 추출물을 100㎍/㎖, 500㎍/㎖의 농도로 준비한 배지로 교체하고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배지 부분만 모으고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icd)을 최종농도 10%가 되게 넣고 4℃에서 24시간 보관한다. 이 용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투석(Dialysis)하고 NaCl을 처리하여 최종농도 0.04M이 되도록 한 후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Cetylpyridium chloride)를 첨가하여 히아루론산을 침전시킨다.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4M NaCl에 용해시키고, 에탄올에 재침전 시킨 후, 이 침전물을 정제수에 용해시킨다. 히아루론산을 정량하기 위하여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 스트립(Cellulose acetate strip)을 이용하여 전기영동한다. [Hata, R. & Nagai, Y.(1972) Anal. Biochem. 45, 462-468] 전기영동 후 0.5% 알시안 블루(Alcian blue)가 함유된 3% 아세트산에 침지 시킨 후 세척, 건조하여 600nm의 스캐너로 그 양을 측정한다.
농도 히아루론산 합성증진효과
100㎍/㎖ 35.8
500㎍/㎖ 56.4
상기 표 5와 같이, 강낭콩추출물은 인체정상 섬유아세포에서 히아루론산 합성증진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을 제품에 도입한 것으로,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해 0.05-10.0중량%로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1: 유연 화장수 제조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6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성 분 함량 (중량%)
강낭콩 추출물 5.0
1,3-부틸렌 글리콜 6.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2.0
글리세린 4.0
피이지 4000 1.0
폴리 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0.0
방부제 적량
벤조페논-9 0.05
적량
정제수 적량
합 계 100
제조예 2: 밀크 로션 제조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밀크 로션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7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성 분 함량(중량%)
강낭콩 추출물 5.0
스테아린산 0.4
1,3-부틸렌 글리콜 6.0
세토스테아릴 알콜 1.2
글리세린 4.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트리에탄올아민 0.2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6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5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3: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 표 8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 제조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
강낭콩 추출물 5.0
바셀린 7.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스테아린산 1.5
유동 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스쿠알란 3.0
1,3-부틸렌 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4: 에센스 제조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9에 따라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강낭콩 추출물 5.0
글리세린 10.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판테놀 0.3
이.디.티이.에이(EDT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세스-25 0.6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 계 100
제조예 5: 맛사지 크림 제조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10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성 분 함량 (중량%)
강낭콩 추출물 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렌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1.0
산탄검 0.1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 아민 0.5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적량
잔량
합 계 100
처방예 6: 팩 제조
본 발명의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1에 기재된 것처럼 배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성 분 함량 (중량%)
강낭콩 추출물 3.0
폴리비닐 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피이지 1500 2.0
판테놀 0.4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 40 경화 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정제수 미량
잔량
합 계 1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세포증식 효과, 콜라겐 및 히아루론산 합성 효과를 제공하여 피부 노화 및 건조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강낭콩 분말을 물,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헥산(Hexane),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노말-부탄올(n-Butan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해 제조된 강낭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강낭콩 추출물을 화장료의 건조 중량에 대해 0.05-10.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강낭콩 추출물은 기초제품 화장료, 색조제품 화장료, 두발제품 화장료에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45792A 1999-10-21 1999-10-21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4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792A KR100574848B1 (ko) 1999-10-21 1999-10-21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E60026247T DE60026247D1 (de) 1999-10-21 2000-10-20 Hautkosmetische Zubereitung einen Extrakt weisser Bohnen enthaltend
EP00309279A EP1093786B1 (en) 1999-10-21 2000-10-20 Ski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kidney bean extracts
JP2000322778A JP2001122764A (ja) 1999-10-21 2000-10-23 皮膚化粧料組成物
US09/927,338 US20020028225A1 (en) 1999-10-21 2001-08-13 Ski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kidney bean extra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792A KR100574848B1 (ko) 1999-10-21 1999-10-21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997A KR20010037997A (ko) 2001-05-15
KR100574848B1 true KR100574848B1 (ko) 2006-04-27

Family

ID=3612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792A KR100574848B1 (ko) 1999-10-21 1999-10-21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20028225A1 (ko)
EP (1) EP1093786B1 (ko)
JP (1) JP2001122764A (ko)
KR (1) KR100574848B1 (ko)
DE (1) DE60026247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910A (ko) 2018-04-27 2019-11-06 주은희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WO2019240336A1 (ko) * 2018-06-11 2019-12-19 박찬경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609A (ja) * 2002-12-06 2004-07-08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EP1750732B1 (en) * 2004-05-10 2013-03-27 Instituto Tecnologico y de Estudios Superiores de Monterrey Cancer cell growth inhibition by black bean (phaseolus vulgaris l.) extracts
KR101092304B1 (ko) * 2004-05-21 2011-12-13 주식회사 머젠스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대두추출물
JP4731266B2 (ja) * 2005-09-28 2011-07-20 丸善製薬株式会社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美白剤及び皮膚化粧料
JP4731350B2 (ja) * 2006-02-17 2011-07-20 丸善製薬株式会社 抗老化剤、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FR2903599B1 (fr) * 2006-07-13 2012-08-3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phase continue aqueus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thermogelifiant, au moins un solvant organique volatil miscible dans l'eau et au moins un agent absorbant les radiations uv.
US8063005B2 (en) * 2007-12-10 2011-11-22 Sanyasi Raju Kalidindi Personal care formulations with simultaneous exfoliant, cleansing and moisturizing properties
JP5667774B2 (ja) * 2010-03-19 2015-02-12 丸善製薬株式会社 メラニン産生抑制剤、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並びに皮膚化粧料
CN103630536B (zh) * 2013-12-09 2016-05-25 河南工业大学 一种测定交联透明质酸钠凝胶中聚乙二醇残留量的方法
KR101887378B1 (ko) * 2016-09-05 2018-09-11 (주) 태일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3178C1 (de) * 1980-06-20 1982-02-18 Dragoco Gerberding & Co Gmbh, 3450 Holzminden Natuerlicher geniessbarer Farbstoff,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nd seine Verwendung
JPS59101414A (ja) * 1982-11-29 1984-06-12 Sunstar Inc 毛髪保護用化粧料組成物
JPH0723296B2 (ja) * 1986-09-05 1995-03-15 鐘紡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H04124124A (ja) * 1990-09-13 1992-04-24 Morishita Jintan Kk 口腔用組成物
JPH06116197A (ja) * 1992-09-07 1994-04-26 Max Fuakutaa Kk 新規ラジカルスカベンジャー
JPH0925225A (ja) * 1995-05-09 1997-01-28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有効成分の製造方法
FR2759295B1 (fr) * 1997-02-11 1999-04-16 Serobiologiques Lab Sa Composition active contre les effets du froid et produit cosmetique comportant une telle compos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910A (ko) 2018-04-27 2019-11-06 주은희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KR102049067B1 (ko) * 2018-04-27 2019-11-26 주은희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WO2019240336A1 (ko) * 2018-06-11 2019-12-19 박찬경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22764A (ja) 2001-05-08
EP1093786B1 (en) 2006-03-01
DE60026247D1 (de) 2006-04-27
EP1093786A1 (en) 2001-04-25
KR20010037997A (ko) 2001-05-15
US20020028225A1 (en)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848B1 (ko)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3899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미백, 세포 재생, 상처 치유에 유효한 복합 천연물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다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30024932A (ko) 병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2173382A2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20130115455A (ko)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702331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8222B1 (ko) 무산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성물
KR20010110001A (ko) 개암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7446A (ko)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2712A (ko) 넝쿨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8900A (ko)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635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30025067A (ko) 석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604085B1 (ko) 상지 추출물과 글루타치온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659128B1 (ko) 도고온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8302B1 (ko) 황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5927A (ko) 위릉채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92070A (ko) 율피추출물과 맥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탄력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20010094549A (ko) 파이토스핑고신과 상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