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067B1 -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067B1
KR102049067B1 KR1020180048969A KR20180048969A KR102049067B1 KR 102049067 B1 KR102049067 B1 KR 102049067B1 KR 1020180048969 A KR1020180048969 A KR 1020180048969A KR 20180048969 A KR20180048969 A KR 20180048969A KR 102049067 B1 KR102049067 B1 KR 10204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skin
elasticity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910A (ko
Inventor
주은희
Original Assignee
주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희 filed Critical 주은희
Priority to KR10201800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0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천연 재료의 피부 유효 성분을 통해 피부 탄력 강화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고 천연 재료의 효능을 다른 화장품과 트러블없이 빠른 부스팅 효과를 유도하여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은, 용매 25~35중량%, 완두콩 추출물 12~18중량%, 검정콩 추출물 10~14중량%, 커피콩 추출물 8~12중량%, 강낭콩 추출물 12~18중량%, 렌즈콩 추출물 12~18중량%, 피부개선용 단백질 0.00009~0.0009중량%, 방부제 2.6~3.4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Natural cosmetic additives to improve wrinkles and strengthen elasticity}
본 발명은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재료가 갖고 있는 피부 유효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을 강화하고 주름 개선으로 인한 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는 체내의 제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노화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피부의 노화는 또한 피부 구성 성분의 전체적인 악화를 수반하여 결과적으로 피부가 쉽게 갈라지게 된다.
이러한 노화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종 식물, 동물, 미생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 등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들은 그 효능이 미흡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574848호)은 강낭콩 분말을 물,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ㅇ3-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헥산(Hexane), 디에틸 에테르(Diethyl ether), 노말 프로판올(n-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노말-부탄올(n-Butanol)을 추출용매로 사용해 제조된 강낭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강낭콩 추출물을 화장료의 건조 중량에 대해 0.05-10.0중량%로 함유하는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786733호)은 인삼, 천궁, 삼백초, 당귀, 어성초, 감초, 박하, 뽕잎, 녹차, 구기자 및 진피 각각 1 내지 6 중량부, 검정콩 및 검은깨 각각 1 내지 8 중량부, 누에고치 1 내지 10 중량부 및 하수오 1 내지 6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 생약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아토피성 피부 및 건조 또는 노화, 박피 시술 후 또는 레이저 시술 후의 피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문제성 피부의 개선용 조성물이다.
등록특허 제10-0574848호 등록특허 제10-078673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 재료의 피부 유효 성분을 통해 피부 탄력 강화와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고 천연 재료의 효능을 다른 화장품과 트러블없이 빠른 부스팅 효과를 유도하여 피부 관리에 도움을 주는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은, 용매, 완두콩과 검은콩과 커피콩과 강낭콩 및 렌즈콩의 추출물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매, 완두콩과 검은콩과 커피콩과 강낭콩 및 렌틸콩의 콩추출물, 피부개선용 단백질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에 의하면, 5가지 천연 원료인 완두콩, 검정콩, 커피콩, 강낭콩, 렌즈콩으로부터 피부 유효 성분(피부 탄력에 효과적인 줄기세포 EGF와 노화방지 및 피부 장벽 강화 성분)을 추출하여 피부 탄력 강화와 주름 개선에 매우 효과가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은, 5가지 콩의 콩 추출물(완두콩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커피콩 추출물, 강낭콩 추출물 및 렌틸콩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며, 제조를 위한 용매, 기능성 재료로 피부개선용 단백질, 제품의 변질 방지를 위한 방부제를 재료로 한다.
즉, 본 발명은 5가지 콩의 콩 추출물(완두콩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커피콩 추출물, 강낭콩 추출물 및 렌틸콩 추출물)과 용매 2가지 재료로 제조되는 예(실시예 1), 여기에 기능성 재료로 피부개선용 단백질과 방부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예(실시예 2)가 가능하다.
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 피부개선용 단백질은 올리고펩타이드-1(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혹은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방부제는 1,2-헥산다이올(1,2-헥산디올)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2 모두 첨가제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용매는 25~35중량%가 사용되고, 콩추출물은 65~75중량%가 사용된다.
실시예 2는 첨가제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올리고펩타이드-1 0.00009~0.0009중량%, 1,2헥산다이올 2.6~3.4중량%가 더 사용된다.
콩추출물은 완두콩 추출물 12~18중량%, 검정콩 추출물 10~14중량%, 커피콩 추출물 8~12중량%, 강낭콩 추출물 12~18중량%, 렌즈콩 추출물 12~18중량%이다.
완두콩전초추출물(완두콩 추출물)(Pisum Sativum Extract)은 완두콩의 전초에서 추출하여 얻은 성분으로 피부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이고, 탄수화물이 주성분이며 단백질과 비타민 및 식이섬유 등이 매우 풍부하며, 단백질 구조가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과 매우 유사하여 거의 자극이 없고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하고, 12중량% 미만은 전술한 피부 컨디셔닝 효과가 약하며 18중량% 초과는 피부 컨디셔닝 효과에 큰 변화가 없다.
검은콩 추출물(Glycine Max Seed Extract)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뛰어난 피부 재생효과로 피부 노화 예방에 효과적이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를 윤기있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트러블을 예방하는 피부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이며, 10~14중량%의 범위를 벗어나면 피부의 윤기와 트러블 예방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
커피콩 추출물(커피 추출물)(Coffee Arabica Seed Extract)은 활력있는 피부에 도움을 주고 유해 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8중량% 미만은 피부 보호 효과가 약하고 12중량% 초과는 다른 재료와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등 거부감을 줄 수 있다.
강낭콩 추출물은 다량의 식물성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함유하여 피부의 탄력 강화와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며, 12중량% 미만은 피부의 탄력 강화와 주름 개선의 효과가 약하고 18중량% 초과는 재료간 부조화로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다.
렌즈콩 추출물(Lens Esculenta Seed Extract)(에스클렌타렌즈콩 추출물)은 렌즈콩의 씨에서 추출하여 얻은 성분으로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며 과도한 피지와 노폐물 배출에 도움을 주어 피부를 보호하는 도움을 주며, 12~18중량%는 피부 영양화를 위한 최적의 혼합 비율이다.
본 발명은 완두콩 추출물, 검정콩 추출물, 커피콩 추출물, 강낭콩 추출물, 렌즈콩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는 방법, 모든 콩을 혼합한 후 단일 공정을 통해 콩혼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방법 모두가 가능하다.
완두콩 추출물, 검정콩 추출물, 커피콩 추출물, 강낭콩 추출물, 렌즈콩 추출물은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기성품 및 자유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 모두가 사용 가능하고, 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1. 콩 추출물 제조.
가. 교반
원자재로서 콩(세척한 콩이며, 추출율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를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과 용매{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 원액 또는 물의 희석액(예를 들어 정제수 70중량%, 용매 30중량%}를 교반한다. 교반 시간은 원자재의 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진다.
나. 중탕.
교반된 혼합물을 중탕한다. 중탕 조건은 90~98℃, 1시간 40분~2시간 20분이며, 추출율을 높이기 위한 조건이다.
다. 1차 여과.
중탕물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예를 들어 1㎛ 필터)한다.
라. 냉각.
중탕물의 안정화를 위하여 냉각하여 1차 추출물을 획득하며, 자연 냉각(상온)과 강제 냉각이 가능하며, 자연 냉각의 경우 3일을 냉각기간으로 한다.
마. 2차 여과.
냉각을 완료한 후 1차 추출물로부터 2차 필터(1차 필터보다 작은 필터, 예를 들어 0.8㎛)를 통해 입자상 물질을 제거한다.
바. 방부제 첨가.
방부제는 1,2-헥산다이올이 사용되며, 1차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5.0중량부가 사용된다.
마. 3차 여과.
3차 필터(예를 들어 0.2㎛)를 이용하여 2차 여과때보다 작은 입도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며, 이로써 콩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상의 추출 공정은 완두콩 등 모든 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용매는 부틸렌글라이콜(뷰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이며, 콩 추출물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하고, 25~35중량%는 용해를 위한 최적의 혼합비율이다. 부틸렌글라이콜은 원액의 사용과 희석액(정제수 70중량%, 원액 30중량%)의 사용 모두가 가능하다.
피부개선용 단백질로 바람직하게 올리고펩타이드-1(Oligopeptide-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또는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rh-Oligopeptide-1)는 피부 컨디셔닝제(skin conditioning agent)로서, 다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피부 손상 개선에 관여하는 단백질로 표피에서 상피세포를 자극하여 피부 활성화를 유도하며, 즉, 피부의 주기를 정상화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처지는 피부를 탱탱하게 만드는데 도움을 주며 피부를 더욱 촘촘하고 탄탄하게 가꿔 생기 있고 활력 있는 피부로 가꿔주며, 0.00009중량% 미만은 피부 컨디셔닝 효과가 미비하고 0.0009중량% 초과는 다른 원료와의 조화를 위하여 좋지 못하다.
방부제로 바람직하게 1,2-헥산다이올은 항균력 및 산화방지, 피부의 수분증발 차단을 통한 보습효과도 우수하며, 2.6중량% 미만은 방부제로서의 효과가 없고 3.4중량%는 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부틸렌글라이콜,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1,2-헥산다이올은 기성품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교반 - 중탕 - 1차 여과 - 냉각 - 2차 여과 -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1,2-헥산다이올 첨가 - 3차 여과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중탕과 3단계의 여과 및 냉각의 구체적인 조건은 전술한 콩 추출물의 제조 공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가. 조성(중량%)
구분 부틸렌
글라이콜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트-1(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완두콩 추출물 검정콩 추출물 커피콩 추출물 강낭콩 추출물 렌즈콩 추출물 1,2-헥산다이올
실시예1 27.0 0.0001 14.0 13.0 10.0 18.0 15.0 2.9999
실시예2 30.0 - 14.0 13.0 10.0 18.0 15.0 -
함량 : 중량%
상기 콩 추출물(강낭콩 등 모든 콩의 추출물)의 제조 공정에서 중탕은 95℃에서 2시간, 냉각은 3일간 상온의 조건이다.
나. 표 1의 조성으로 원료들을 혼합하여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공정에서 중탕은 95℃에서 2시간, 냉각은 3일간 상온의 조건이다.
다. 특성 시험.
구분 실시예 기준
pH 만족(6.0) 3.5~8.5
Odour(냄새) 만족(악취 없음)
색상 갈색
굴절률(20℃) 1.350~1.390
비중(d20/20) 0.995~1.035
Heavy Metals(중금속) 해당 없음 ≤10 ppm
Arsenic(비소) 해당 없음 ≤2 ppm
Microbes(미생물) 0 cfu/ml ≤100 cfu/ml
Preservative(방부제) 만족 None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조성물을 1일 2회 피부에 도포하였으며, 4주 후 효과를 판단하였다. 피실험자 모두 피부에 윤기가 생기고 탄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은 기존의 화장품(스킨, 로션, 토너, 크림, 에센스, 보습제, 마스크팩 등)에 첨가되어 사용되며, 첨가비율은 화장품 종류에 달라지고 예를 들어 3~15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에 첨가되지 않고 단독 사용도 가능하다.

Claims (6)

  1.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용매로서 부틸렌글라이콜 30중량%, 콩 추출물로서 완두콩 추출물 14중량%, 검정콩 추출물 13중량%, 커피콩 추출물 10중량%, 강낭콩 추출물 18중량% 및 렌즈콩 추출물 1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2. 삭제
  3.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용매로서 부틸렌글라이콜 27중량%, 콩 추출물로서 완두콩 추출물 14중량%, 검정콩 추출물 13중량%, 커피콩 추출물 10중량%, 강낭콩 추출물 18중량% 및 렌즈콩 추출물 15중량%, 피부개선용 단백질 0.0001중량%, 방부제 2.9999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화장품 총 중량에 대하여 3~15중량부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부개선용 단백질은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또는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다이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6. 삭제
KR1020180048969A 2018-04-27 2018-04-27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KR10204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969A KR102049067B1 (ko) 2018-04-27 2018-04-27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969A KR102049067B1 (ko) 2018-04-27 2018-04-27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910A KR20190124910A (ko) 2019-11-06
KR102049067B1 true KR102049067B1 (ko) 2019-11-26

Family

ID=6854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969A KR102049067B1 (ko) 2018-04-27 2018-04-27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695B1 (ko) * 2020-02-26 2021-04-27 김경표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KR102404535B1 (ko) 2020-08-27 2022-06-0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피라칸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손상 방지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848B1 (ko) * 1999-10-21 2006-04-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3284B1 (ko) * 2004-05-06 2011-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33B1 (ko) 2006-05-30 2007-12-17 김수산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문제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848B1 (ko) * 1999-10-21 2006-04-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강낭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3284B1 (ko) * 2004-05-06 2011-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910A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516B1 (ko) 두피 도포용 천연 발모조성물
KR101733108B1 (ko) 모발 및 두피개선용 조성물
KR101997177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샴푸 조성물
KR101045328B1 (ko) 민들레추출물을 포함한 염모제 조성물
KR102049067B1 (ko) 주름 개선과 탄력 강화를 위한 천연 화장품 첨가제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5911A (ko) 한방 발효 염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20057197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5260A (ko) 사용자 맞춤형 샴푸의 제조방법
CN105310935A (zh) 一种黑果枸杞组合免洗睡眠面膜
KR20100056281A (ko) 포제 처리된 작약, 옥죽 또는 백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EP2674148B1 (en) Hair growth agent / hair tonic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20190010482A (ko)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KR102303252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6698A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발모 촉진제의 제조방법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49A (ko) 징크피리치온 및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개선용 조성물
CN105232402A (zh) 一种具有护肤功效的组合物
KR102228086B1 (ko) 소취 및 암모니아 악취 제거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갖는 염모제 조성물
KR101831523B1 (ko) 함초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439454B1 (ko) 검정콩의 종피 추출물 및 캐모마일을 포함하는 천연 염모제 제조 방법
KR101711138B1 (ko) 염모제 조성물
KR20160060255A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10053811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