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197A -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197A
KR20120057197A KR1020100118836A KR20100118836A KR20120057197A KR 20120057197 A KR20120057197 A KR 20120057197A KR 1020100118836 A KR1020100118836 A KR 1020100118836A KR 20100118836 A KR20100118836 A KR 20100118836A KR 20120057197 A KR20120057197 A KR 20120057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hair
natural plant
hair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313B1 (ko
Inventor
김태윤
박선영
한진태
최장원
백석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3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2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hydroxy group, e.g. dimethico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발의 보습력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성분 및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아보카도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발에서의 수분휘발을 억제시키고, 보습력을 유지시키며, 모발 표면을 개선하여, 모발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cond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모발에서의 수분휘발을 억제시키고, 보습력을 유지시키며, 모발 표면을 개선하여 모발을 부드럽게 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구조상으로 크게 모표피(cuticle), 모피질(cortex), 모수질(medulla)로 구성되어 있다. 모표피(cuticle)는 모발 보호, 광택, 부드러움 등에 영향을 미치고, 5~10겹의 비늘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발 전체의 약 10~15%를 차지하고, 발수성, 친유성, 화학적 저항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모피질(cortex)은 모발 전체의 약 85~90%를 차지하고 있으며, 피질세포와 간충물질(50%), 섬유모양의 각 원섬유는 나선(helix)구조를 취하고 있다. 모수질(medulla)은 모발의 중심부로 미세한 공기를 함유하고 있으며, 모발의 탄력성, 강도, 광택 (shine)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의 모발 구조상 분류 중 가장 바깥조직이 모표피(cuticle)이다. 모표피(cuticle)는 모발 내의 조직이 손상받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하며, 가장 최외각에 위치하여 실제적인 모발의 필링을 좌우한다. 그러나 외부의 온도, 습도의 변화, 공해물질 등의 여러 가지 물리적, 화학적 외부의 자극과 스트레스, 영향 결핍 등으로 인해 모표피(cuticle)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모발손상으로 인해 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장시간 모발의 손상이 가속화되어 모발을 회복시키기 힘든 상태까지 악화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최근 염색, 퍼머 등 화학적 시술과 과도한 드라이나 물리적인 손상,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모발의 손상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모표피(cuticle)를 보호해 줄 수 있는 성분을 필요로 하는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손상된 모발의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으면서 안정적인 천연식물성분을 함유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들은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성분 및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아보카도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이들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손상된 모발의 보습능력 및 부드러움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과 부드러움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에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및 아보카도 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의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부드러움을 부여하여 손상된 모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수분 영역대 파장 면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에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및 아보카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련은 여러해살이 수중식물로서 굵고 짧은 땅속줄기에서 많은 잎자루가 자라서 물 위에서 잎을 편다. 잎몸은 질이 두꺼운 달걀 모양이고 밑부분은 화살밑처럼 깊게 갈라진다. 앞면은 녹색이고 윤기가 있으며, 뒷면은 자줏빛이고 질이 두껍다. 수련속의 식물은 꽃이 아름다우므로 연못이나 온실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또한 종자와 뿌리줄기는 녹말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세계 각지에서 식용되고 있다. 또한 뿌리줄기는 누파리딘을 함유하고 있어 위장약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강은 새앙, 새양이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채소로 재배한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자라고 다육질이며 덩어리 모양이고 황색이며 매운 맛과 향긋한 냄새가 있다. 뿌리줄기는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소스, 피클 등에 향신료로 사용하고, 껍질을 벗기고 끓인 후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생강차와 생강주 등을 만들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건강(乾薑)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과 진통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나무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벼과, 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의 총칭으로 키가 큰 왕대속만을 대나무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다. 대나무는 건축재, 가구재, 낚싯대, 식물 지지대를 비롯하여 바구니 등 죽세공품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요리하여 먹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련, 생강 및 대나무의 추출물은 각각의 건조된 원료를 수세 후 이온수에 투입하여 70~75℃에서 열수로 추출한다. 상온으로 냉각 후 탈취 및 여과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는다. 상세한 제조방법은 하기의 참고예에 명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식물복합성분에 포함되는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은 1~10:1~10:1~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며, 바람직하게는 각 식물추출물들의 혼합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얻기 위해 1: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천연식물복합성분은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의 혼합물을 천연식물복합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50.0~8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천연식물복합성분은 원료의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제균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렌글리콜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천연식물복합성분은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과 방부제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및 아보카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100% 천연추출 성분이며, 통상의 천연물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천연식물복합성분,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및 아보카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는 0.0001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매우 미약하고, 10중량% 초과에서는 제형의 안정도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천연식물복합성분 0.0001~10중량%, 동백오일 0.0001~10중량%, 녹차씨오일 0.0001~10중량%, 아보카도 추출물 0.0001~10중량% 를 함유하는 것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성분인 천연식물복합성분 및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및 아보카도 추출물의 성능을 특히 극대화하며, 안정화와 분산성이 용이하지 않은 보습성분의 분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메치코놀, 알킬실리콘, 아모디메치콘 등의 극성실리콘과 디메치콘, 디메치콘엘라스토머 등의 고분자실리콘, 알킬실리콘레진 등의 실리콘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실리콘 종류의 치환기 길이나 구조, 분자량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헤어세럼,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로션 또는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손상된 모발에서의 수분휘발을 억제시키고, 보습력을 유지시키며, 모발 표면을 개선하여 모발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수련추출물의 제조
수련 1kg을 수세 후 25L의 이온수에 투입하여 70~75℃에서 3시간 동안 열수로 추출하였다. 상온으로 냉각 후 규조토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탈취를 위하여 제올라이트 0.5kg으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추출액 21L를 획득하였다.
[참고예 2] 생강추출물의 제조
건생강 2kg을 수세 후 25L의 이온수에 투입하여 70~75℃에서 3시간 동안 열수로 추출하였다. 상온으로 냉각 후 규조토를 이용하여 여과한 다음, 탈취를 위하여 제올라이트 0.5kg으로 처리하고 여과하여 추출액 21L를 획득하였다.
[참고예 3] 대나무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대나무 5kg을 20cm 간격으로 자른 다음 수세 후 25L의 이온수에 투입하여 70~75℃에서 3시간 동안 열수로 추출하였다. 상온으로 냉각 후 규조토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추출액 20L를 획득하였다.
[참고예 4] 천연식물복합성분의 제조
상기 참고예 1~3에서 획득한 추출액을 대나무 추출액 23.2중량%, 건생강 추출액 23.2중량%, 수련 추출액 23.1중량%를 비율에 맞추어 혼합한 후 방부액(1,3-부틸렌글리콜 30중량%, 페녹시에탄올 0.5중량%)을 혼합하였다. 이를 1.0㎛ 필터를 이용하여 선여과(Pre-filteration) 처리하고, 0.45㎛ 필터를 이용하여 미세여과(Micro-filteration) 후 포장을 하였다.
[참고예 5]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헤어세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단위: 중량%)
비교예 2
(단위: 중량%)
실시예 1
(단위: 중량%)
실시예 2
(단위: 중량%)
실시예 3
(단위: 중량%)
실시예 4
(단위: 중량%)
실시예 5
(단위: 중량%)
사이클로메치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메치콘놀 65 50 50 50 50 50 50
알킬실리콘레진 - 5 5 5 5 5 5
디메치콘 - 10 10 10 10 10 10
천연식물복합성분(참고예 4) - - 1 1 1 1 1
동백오일 - - - 1 - - 1
녹차씨오일 - - - - 1 - 1
아보카도 추출물 - - - - - 1 1
[시험예 1] NIR(Near-infrareds spectroscopy)을 이용한 보습능력 확인
먼저, 인모를 약한 탈색제로 30여분간 탈색 손상시킨 표준모발(L*값 16~17)을 준비하고, 항온항습 조건(24±2℃, 45±5% RH)에서 24시간 보관 뒤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 및 5, 비교예 1의 제품을 도포하고 24시간 후 모발 수분(-OH 기)이 변화하는 파장 영역대인 1430~1670nm 영역의 강도 증가를 측정하였다.
NIR(Near-infrareds spectroscopy) 파장 영역은 인접한 분자 배열, 회전, 진동 등에 따라 변화하므로 제품 처리 전/후 변화하는 영역대 변화로 모발 수분량을 평가하였으며, 면적이 증가할수록 모발 속 수분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수분 영역대 파장 면적을 측정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보면, 유효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제품 도포 전 대비 수분 면적 6.3%, 천연식물복합성분(참고예 4)을 함유한 실시예 1은 12.9%, 천연식물복합성분(참고예 4), 녹차씨오일, 동백오일 및 아보카도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5는 46.9%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천연식물복합성분이 모발의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천연식물복합성분에 녹차씨오일, 동백오일 및 아보카도추출물을 모두 함께 사용하면 이들 성분의 상승효과로 인하여 보습능력이 훨씬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사용 효능 및 품질 시험
20~30세 성인 남성, 여성 3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의 헤어세럼을 2주일 동안 하루에 한 번씩 매일 사용하도록 한 후, 하기 표 2에 나타낸 설문항목에 7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설문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 모발에서의 흡수되는 느낌이 좋다. 4.5 5.0 5.1 5.2 5.1 5.1 5.3
2. 사용시 손에서 산뜻하며, 모발에서 부드럽다. 4.3 5.1 5.2 5.3 5.3 5.2 5.6
3. 모발에서의 윤기감이 개선되었다. 4.2 4.7 5.1 5.3 5.5 5.4 6
4. 사용 후 모발에서의 촉촉한 느낌이 지속되었다. 4.5 4.8 5.7 5.8 5.9 5.7 6.2
상기 표 2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5를 사용할 경우 비교예 1~2를 사용할 경우보다 모발에서 부드럽고, 윤기감이 개선되며, 특히 모발의 촉촉한 느낌의 지속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 손상모발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천연식물복합성분에 녹차씨오일, 동백오일 및 아보카도 추출물을 모두 함께 사용한 실시예 5의 경우 이들 성분의 상승효과로 인하여 실시예 1~4와 비교하여 모발 상태의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에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아보카도 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복합성분은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을 1~10:1~10:1~10의 비율로 포함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련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대나무추출물은 천연식물복합성분의 중량에 대하여 50.0~8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복합성분은 부틸렌글리콜 및 페녹시에탄올 중 1종 이상을 방부제로서 더 포함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극성실리콘, 고분자실리콘 및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실리콘은 디메치코놀, 알킬실리콘 및 아모디메치콘 중 1종 이상이고, 고분자실리콘은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엘라스토머 중 1종 이상이며, 실리콘수지는 알킬실리콘레진인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의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모발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18836A 2010-11-26 2010-11-26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9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36A KR101799313B1 (ko) 2010-11-26 2010-11-26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36A KR101799313B1 (ko) 2010-11-26 2010-11-26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97A true KR20120057197A (ko) 2012-06-05
KR101799313B1 KR101799313B1 (ko) 2017-11-21

Family

ID=4660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836A KR101799313B1 (ko) 2010-11-26 2010-11-26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3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376A (ko) * 2013-03-07 2014-09-17 (주)아모레퍼시픽 꽃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337709A (zh) * 2013-07-29 2015-02-11 朱耀灯 一种天然保湿护发素
KR20200079878A (ko) * 2018-12-26 2020-07-06 (주)멋있는생활 백모 완화, 탈모 및 모발굵기 개선용 헤어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383053B1 (ko) * 2021-07-28 2022-04-11 박영진 모발보호 효과가 우수한 염모용 산화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482B1 (ko) 2018-06-01 2020-01-21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아보카도 및 상백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786451B2 (en) 2019-06-28 2023-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KR102215254B1 (ko) 2019-07-09 2021-02-15 주식회사 삼인케미칼 손상 모발 개선용 화장료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376A (ko) * 2013-03-07 2014-09-17 (주)아모레퍼시픽 꽃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4337709A (zh) * 2013-07-29 2015-02-11 朱耀灯 一种天然保湿护发素
KR20200079878A (ko) * 2018-12-26 2020-07-06 (주)멋있는생활 백모 완화, 탈모 및 모발굵기 개선용 헤어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383053B1 (ko) * 2021-07-28 2022-04-11 박영진 모발보호 효과가 우수한 염모용 산화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313B1 (ko)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313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6438B1 (ko) 감, 동백나무 잎, 캐럽콩의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3894A (ko) 금화규와 메리골드를 포함하는 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09854A (zh) 一种莲花抗衰老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KR20100056281A (ko) 포제 처리된 작약, 옥죽 또는 백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1063574B1 (ko) 검은콩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12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두발 화장료 조성물
KR101984166B1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4941B1 (ko) 천연 식초 및 라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의 안정화 방법
KR20200094240A (ko) 참나무 수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6323A (ko) Anb 공법을 이용한 보습효능이 우수한 pe-6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3741B1 (ko) 즉석식품용 샐러드의 제조 방법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9410B1 (ko)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0255A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Gawshinde et al. Formulation, optimitzi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anti-dandruff shampoo
KR102497510B1 (ko) 모발성장 및 탈모예방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