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451B1 -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451B1
KR101332451B1 KR1020117024653A KR20117024653A KR101332451B1 KR 101332451 B1 KR101332451 B1 KR 101332451B1 KR 1020117024653 A KR1020117024653 A KR 1020117024653A KR 20117024653 A KR20117024653 A KR 20117024653A KR 101332451 B1 KR101332451 B1 KR 10133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occupied
article
determining whether
accumulation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295A (ko
Inventor
레이몬드 알. 네이저
Original Assignee
인텔리그레이티드 헤드쿼터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6352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324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리그레이티드 헤드쿼터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인텔리그레이티드 헤드쿼터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13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 B65G47/268Accumulating articles by means of belt or chain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61Accumul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구역을 갖는 축적 컨베이어는 축적된 물품들 사이의 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제어되고 상기 갭의 감소에 도움이 되는 상태의 존재를 결정하는 제어 로직에 의해 달성되며, 제어 로직을 적절히 실행한다. 축적 컨베이어는 코스트 투 스톱 모드로 제어된다. 축적 컨베이어는 잼을 검출 및 클리어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Description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AN ACCUMULATION CONVEYOR}
본 발명은 2009년 3월 19일자 출원되고 그 내용이 참조인용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210,750호의 우선권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적(accumulation)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적 컨베이어상의 물품 흐름을 모니터 및 제어하는 2개의 구역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구역형 축적 컨베이어에 관해 서술될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술한 본 발명의 일반적인 서술과 함께 하기에 서술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서술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관해 서술될 것이며, 그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교시(teaching)를 실시한 축적 컨베이어의 평면도.
도2 내지 도5는 구역 제어 모듈 및 인터페이스(interface) 모듈의 상이한 배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6a, 6b, 도6c는 코스트 투 스톱(coast to stop) 축적 모드를 위한 제어 로직을 도시한 도면.
도7a 내지 도7v는 코스트 투 스톱 축적 모드에서 축적 컨베이어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역을 도시한 도면.
도8a, 8b, 8c는 센서 연결된(sensor coupled) 코스트 투 스톱 축적 모드를 위한 제어 로직을 도시한 도면.
도9a 내지 도9l은 센서 연결된 코스트 투 스톱 축적 모드에서 축적 컨베이어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역을 도시한 도면.
도10a, 10b, 10c는 축적 모드의 1회 런업(run up once)을 위한 제어 로직을 도시한 도면.
도11a 내지 도11i는 축적 모드의 1회 동작시 축적 컨베이어의 작동을 도시한 구역을 개략적인 구역을 도시한 도면.
도12a, 12b, 12c는 센서 연결된 축적 모드로 1회 작동을 위한 제어 로직을 도시한 도면.
도13a 내지 도13g는 센서 연결된 축적 모드로 1회 작동시 축적 컨베이어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역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크라우딩(crowding)을 위한 제어 로직을 도시한 도면.
도15는 도14에 도시된 제어 로직의 제어 로직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제어 로직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스누징(snoozing) 구역의 "웨이킹(waking)" 에 관련된 제어 로직을 도시한 도면.
도18은 흐름 및 잼(jam) 검출 제어 로직을 도시한 도면.
하기의 서술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여러 도면에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품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서술에서 전방, 후방, 내부, 외부 등과 같은 용어는 편의상 용어이며, 제한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는 여기에 서술되는 장치 또는 다른 방위로 부착되거나 활용되는 그 일부인 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도1에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교시를 실시한 축적 컨베이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축적 컨베이어(2)는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다수의 구역(4a, 4b, 6a, 6b, 8a, 8b, 10a, 10b, 12a)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9개의 구역이 있지만, 본 발명은 9개의 구역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역은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축적 컨베이어 구역의 2배인 6피트의 길이를 가지며, 그에 따라 감소된 제조경비로 나타난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역이 전형적인 것 보다 길지만 패키지의 효율적인 축적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긴 구역 또는 6피트 길이의 구역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각의 구역은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는 미국특허 제6,889,822호에 도시된 구동 장치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적절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적 컨베이어(2)의 각각의 구역은 공압 작동기(도시않음)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롤러에 대해 하부의 구동 벨트(도시않음)를 가압함으로써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롤러(개략적으로 도시되었음)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모듈(4c, 6c, 8c, 10c, 12c)은 그 관련된 구역의 공압 작동기(도시않음)를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공압 소스에 연결된다. 모듈(4c, 6c, 8c, 10c, 12c)은 공압식으로 함께 연쇄된다. 다른 구동 장치는 동력화된 구동 롤러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모듈(4c, 6c, 8c, 10c, 12c)이 적절히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역의 각각의 쌍은 각각의 구역 제어 모듈(4c, 6c, 8c, 10c)을 갖는다. 구역 제어 모듈(4c, 6c, 8c, 10c)은 2개의 구역을 각각 제어하고, 구역 인터페이스 모듈(12c)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사진 벨트로 도시된 취출 컨베이어(14)로 배출하는 배출 구역인 구역(12a)을 제어한다.
각각의 구역(4a, 4b, 6a, 6b, 8a, 8b, 10a, 10b, 12a)은 각각의 구역의 모듈에 연결된 각각의 센서(4d, 4e, 6d, 6e, 8d, 8e, 10d, 10e, 12d)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는 각각의 반사기(reflector)를 갖는 포토 아이즈(photo eyes)이며, 롤러 센서 또는 확산된 스캔 센서와 같은 적절한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포토 아이즈로서 지칭되는 센서의 구역내 위치 및 방위는 패키지의 길이나 형식과 같은 매개 변수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도2 내지 도5는 구역 제어 모듈 및 인터페이스 모듈의 상이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2에는 도1의 축적 컨베이어(2)와 유사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개략적으로 도시된 컨베이어(16a, 16b, 18a, 18b, 20a)로 나타내는 Z(n+2) 구역이 있다. 구역 제어 모듈(16c, 18c)은 각각의 구역을 형성하는 컨베이어의 쌍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구역 인터페이스 모듈(20c)은 컨베이어(20a)와, 구역 인터페이스 모듈(20c)을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이 되게 하는 배출 구역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시스템은 도2에 라인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 제어 모듈(16c, 18c)과 인터페이스 모듈(20c) 사이에서 RS 232 통신으로 작동된다. 구역 제어 모듈(16c, 18c)은 각각의 구역에서 물품을 검출하기 위하여 단일의 제어 모듈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2개의 구역의 각각의 센서(도2 내지 도4에 도시되지 않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각각 형성되고, 2개의 구역의 각각내에서 물품의 운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며(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공압식으로), 구역 정보가 모듈 사이에서 분배되도록 형성된다.
인터페이스 모듈(20c)은 구역 제어 모듈에 대해 상술한 방식으로 단일 구역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며, 그 차이점은 단일 구역의 제어로 제한된다는 점이다. 인터페이스 모듈(20c)은 DIP 스위치의 사용을 통해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도 제어한다[구역 제어부(16c, 18c)는 이동의 디폴트(default) 방향을 갖는다]. 인터페이스 모듈(20c)은 축적 컨베이어상에서 물품의 운동을 제어하고 외부 시스템이 컨베이어의 충만 상태(fill state)를 모니터하게 하고 외부 시스템이 디폴트 상태를 모니터하게 하기 위해 불연속적인 I/O 를 사용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장치로부터/외부 장치로의 I/O 는 도면부호 22로 도시된다.
도2는 배출부에 있는 단일 구역을 제어함으로써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인터페이스 모듈(20c)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배출 컨베이어 대신에 인터페이스 모듈(30c)이 인피드(infeed) 컨베이어(24a)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인터페이스 모듈(30c)은 인피드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지명되어,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20c)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모듈없이 축적 컨베이어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다. 인피드 또는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 지에 대한 결정은 대부분 예를 들어 편리함과, 컨베이어의 단부가 라인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배관의 최소화에 기초한 실질적인 고려에 따른다
도2 및 도3은 하나의 인터페이스 모듈(20c 또는 30c)을 각각 갖는 홀수의 구역이 구비된 축적 컨베이어를 도시하고 있다. 도4는 2개의 인터페이스 모듈, 즉 인피드 인터페이스 모듈(38c) 및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44c)이 사용되고 그들 각각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짝수의 구역을 갖는 축적 컨베이어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물품의 흐름 방향이 물리적 형상에 기초하여 제한되지 않는 축적 컨베이어를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은 컨베이어 또는 구역을 제어하지 않는 중간 모듈(58)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모듈은 축적 컨베이어상의 물품의 운동을 제어하고 외부 시스템이 컨베이어의 충만 상태를 모니터하게 하고 외부 시스템이 디폴트 상태를 모니터하게 하기 위해 불연속적인 I/O 를 사용하도록 형성된다. 중간 모듈(58)은 단순히 외부 시스템 요구사항을 위한 I/O 핸들러(handler)이다. 이것은 상류 또는 하류 장치로 간주되지 않지만, 정보가 이를 통과할 때 그 로컬 I/O 세팅당 메시지를 조정하며, 조정된 메시지를 통신 흐름의 요구되는 방향으로 그 인접부에 전송할 것이다. 구역 제어 모듈 스트링(string)내의 어떤 위치에도 그 어떤 갯수의 중간 모듈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도5에는 선택적 인피드 인터페이스 모듈(50c) 및 선택적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52c)이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축적 컨베이어는 이들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구성된 축적 컨베이어는 PLC 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해제 신호(release signal)가 없는 한 축적 모드로 작동된다. 본 발명은 4개의 기본 축적 모드, 즉 코스트 투 스톱(coast to stop) 모드와, 센서 연결된 코스트 투 스톱 모드와, 1회 런업(run up) 모드와, 센서 연결된 1회 런업 모드를 포함한다. 축적 모드는 인터페이스 모듈 또는 중간 모듈상에서 DIP 스위치의 위치에 의해 결정딘다.
본 발명의 교시내에서, 6피트 길이의 명목 구역(nominal zone)을 위한 전형적인 인피드 형상은 다음을 포함한다.
ㆍ인터페이스 모듈만을 갖는 3' 인피드 아이들러(idler)
ㆍ 그 어떤 제어 모듈도 없는 3' 인피드 아이들러[슬레이브(slave)]
ㆍ 인터페이스 모듈만을 갖는 6' 인피드 아이들러
ㆍ 구역 제어 모듈을 갖는 6' 인피드 아이들러(2개의 3' 구역)
ㆍ 구역 제어 모듈을 갖는 9' 인피드 아이들러(하나의 6' 구역 및 하나의 인피드 3' 구역)
ㆍ구역 제어 모듈 및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 9' 인피드 아이들러(인피드상에 인터페이스를 갖는 3개의 3' 구역)
ㆍ 구역 제어 모듈을 갖는 12' 인피드 아이들러(2개의 6' 구역)
ㆍ 구역 제어 모듈 및 인터페이스 모듈을 갖는 12' 인피드 아이들러(인피드상에 인터페이스를 갖는 2개의 3' 구역, 그리고 6' 구역)
본 발명의 교시내에서, 6피트 길이의 명목 구역을 위한 전형적인 배출 형상은 다음을 포함한다.
ㆍ인터페이스 모듈만을 갖는 3' 배출 아이들러
ㆍ 그 어떤 제어 모듈이 없는 3' 배출 아이들러(슬레이브)
ㆍ 인터페이스 모듈만을 갖는 6' 배출 아이들러(6' 해제 구역)
ㆍ 구역 제어 모듈을 갖는 6' 배출 아이들러(3' 해제 구역)
도6a, 도6b, 도6c에서 이들 각각의 도면은 가장 덜 공격적인 축적 모드인 코스트 투 스탑 축적 모드를 나타내는 동일한 제어 로직을 나타낸다. 시스템의 최하류의 구역, 즉 배출 구역은 해제 명령이 없는 한 코스트 투 스톱 모드에서 비작동(inactive)일 것이다. 제어 로직은 각각의 모듈에 의해 독립적으로 실행되므로, 그에 따라 각각의 구역이 제어된다. 도6a, 도6b, 도6c 사이의 차이점은 제어 로직의 실행에 따르는 도시된 경로에 있다. 단계(62)에서는 축적 컨베이어가 코스트 투 스톱 모드에 있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로직은 단계(64)로 진행되어, 다른 축적 모드가 체크된다. 만일 코스트 투 스톱 모드가 작동된다면, 로직은 단계(66)로 진행되어, 하류 센서가 점유(occupy)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센서는 센서가 차단되며 시간 딜레이 주기가 종료되었을 때 점유된 것으로 간주된다. 센서는 센서가 클리어(clear)이며(차단되지 않았을 때) 시간 딜레이 주기가 종료되었을 때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센서 시간 딜레이 주기는 최하류의 인터페이스 모듈상의 DIP 스위치 위치에 의해 세팅된다. DIP 스위치에 의해 세팅된 센서 시간 딜레이 주기는 스트링 및 그 대응하는 센서의 모든 모듈에 적용된다. 점유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딜레이 주기는 클리어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딜레이 주기와는 상이할 수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는 상이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DIP 스위치는 딜레이가 0초, 0.75초, 1초, 또는 1.5초로 세팅되게 한다.
만일 하류 구역이 점유되지 않았다면, 제어 로직은 도6a에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68)로 진행된다. 단계(68)에서, 로컬 구역(즉, 검사되고 있는 구역)은 작동으로 세팅되고, 제어 로직은 단계(70)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은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세팅된다. 그곳으로부터, 제어 로직은 단계(62)로 복귀된다. 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작동" 은 컨베이어 또는 구역이 이동중임을 의미한다.
만일 단계(66)에서 하류 구역이 점유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단계(72)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이 비작동으로 세팅된다. 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비작동" 은 컨베이어 또는 구역이 이동중이 아님을 의미한다. 제어 로직은 단계(74)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 센서가 점유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점유되지 않았다면, 로직은 단계(70)로 진행되어, 축적되지 않은 로컬 구역 및 도6b의 굵은 선으로 도시된 경로를 세팅한다. 여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축적되지 않았다는 것은 특정 구역이 작동이 아니거나 또는 그 구역 센서가 클리어인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센서의 출력이 반사기를 보고 있는 것과 일치하는 상태일 때 센서가 클리어이고, 이것은 물품이 로컬 구역 센서에 의해 직접(시간 딜레이없이-이것이 실제의 센서 상태이다) 검출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만일 단계(74)에서 로컬 구역 센서가 점유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단계(76)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은 축적된 것으로 세팅되고 경로는 도6c에 굵은 선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축적" 은 로컬 구역이 비작동이고 로컬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센서는 센서의 출력이 반사기를 보고 있는 것과 일치하는 상태일 때 차단되며, 그것은 물품이 로컬 구역 센서에 의해 직접(시간 딜레이없이-이것이 실제의 센서 상태이다) 검출되었음을 의미한다.
도7a 내지 도7v에 있어서, 코스트 투 스톱 축적 제어 로직의 작동의 실시예는 일련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도면(7a-7v)은 도7a에 명명된 구역(1-6)을 도면부호 78, 80, 82, 84, 86, 88 로만 도시하고 있다. 구역(1)은 인피드 인터페이스 모듈(90)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2, 3)은 구역 제어 모듈(92)에 의해 제어되며, 구역(4, 5)은 구역 제어 모듈(94)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6)은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96)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코스트 투 스톱 축적 모드에서 구역(6)은 해제 명령과 같은 시간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비작동이다.
도7a 및 도7b는 구역(1)에 들어가서 센서(78a)를 통과하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다. 도7c는 구역(2)으로 이송되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다. 도7d에서, 센서(80a)는 패키지(1)에 의해 점유되어, 구역(1)을 정지시키고, 구역(2)은 작동으로 남게 된다. 도7e에서, 패키지(1)는 구역(3)으로 이송되고, 구역(1)은 다시 작동으로 된다. 도7f에서는 센서(82a)가 점유되고, 구역(1)이 정지된다. 도7g는 구역(4)으로 이송되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으며, 구역(2)은 센서(82a)가 점유되지 않기 때문에 작동이다. 도7h에서, 센서(84a)는 패키지(1)에 의해 점유되고, 구역(3)을 정지시킨다. 도7i는 구역(5)으로 이송되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으며, 센서(84a)는 점유되지 않으며, 구역(3)이 시작된다. 도7j는 구역(6)으로 이송되어 센서(86a)를 점유하지 않고 구역(4)을 개시시키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다. 도7k는 구역(6)으로 이송되어 센서(86a)를 점유하지 않고 구역(4)을 개시시키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다. 도7l은 정지부로 주행하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으며, 구역(6)이 비작동이므로 센서(88a)가 점유되게 함으로써 구역(5)을 정지시킨다.
도7m은 패키지(1)와 동일한 만큼 컨베이어로 진행되어 구역(5)의 포토 아이(photo eye)(86a)를 차단하기 위해 정지부로 주행됨함으로써 구역(3)을 작동되지 않게 하는 패키지(2)를 도시하고 있다. 도7o에서, 구역(1)의 센서(78a)는 점유되지 않지만, 그에 따라 컨베이어 구역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7p는 패키지(3)에 의해 점유되어 구역(1)이 구동되는 것을 정지시키고 패키지(4)를 지체시키는 구역(2)의 센서(80a)를 도시하고 있다. 도7q는 패키지(3)가 센서(80a)를 지나 계속 움직일 때 패키지(3, 4) 사이에 형성되는 갭(gap)을 도시하고 있다. 도7r에서, 센서(802a)는 점유되지 않았으며, 구역(1)이 개시되고, 패키지(4)를 이동시킨다. 도7s에서, 구역(3)의 센서(82a)는 패키지(3)에 의해 점유되어, 구역(3)을 정지시키고, 패키지(3, 4) 사이의 갭을 더욱 크게 한다. 도7t는 구역(4)으로 이송되는 패키지(3)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패키지(2)에 의해 차단되는 구역(5)의 센서(86a)에 의해 정지된다. 도7t에서, 센서(82a)는 점유되지 않으며, 구역(2)을 재개시키고, 패키지(4)를 앞으로 이동시킨다.
도7u는 패키지(3)가 정지부로 주행되어, 센서(84a)를 점유하고, 구역(3)이 비작동으로 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패키지(4)가 도7v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3)에 도달하였을 때, 패키지(4)는 포토 아이(82a)를 차단하는 정지부로 주행되고, 구역(2)이 비작동이게 한다.
도8a, 8b, 8c는 센서 연결된 코스트 투 스톱 축적 모드를 나타내는 동일한 제어 로직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의 최하류의 구역, 즉 배출 구역은 해제 명령이 없는 한 비작동으로 될 것이다. 두번째 최하류 구역은 간단한 코스트 투 스톱 로직을 사용할 것이다. 제어 로직은 각각의 모듈에 의해 독립적으로 실행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구역이 제어된다. 도8a, 8b, 8c의 차이점은 제어 로직의 실행에 이어지는 도시된 경로에 있다.
단계(98)에서는 센서 연결된 코스트 투 스톱 모드에 축적 컨베이어가 있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아니라면, 로직은 단계(100)로 진행되어, 다른 축적 모드가 체크된다. 만일 센서 연결된 코스트 투 스톱 모드가 작동이라면, 로직은 단계(102)로 진행되어, 2개의 하류 구역 센서들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2개의 하류 구역 센서들이 모두 점유되지 않았다면, 제어 로직은 도8a에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04)로 진행된다. 단계(104)에서, 로컬 구역(즉, 검사될 구역)은 작동으로 세팅되고, 제어 로직은 단계(106)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이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세팅된다. 그로부터, 제어 로직은 단계(98)로 복귀된다.
만일 단계(102)에서 2개의 하류 구역 센서들이 점유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단계(108)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이 비작동으로 세팅된다. 제어 로직은 단계(110)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 센서가 점유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로직은 단계(106)로 진행되어, 축적되지 않은 로컬 구역 및 도8b의 굵은 선으로 도시된 경로를 세팅한다. 만일 로컬 구역 센서가 단계(110)에서 점유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단계(112)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은 축적된 것으로 세팅되고 경로는 도8c의 굵은 선으로 도시된다.
도9a 내지 도9l에는 센서 연결된 코스트 투 스톱 축적 모드 제어 로직의 작동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도면(9a-9l)은 센서(114a, 116a, 118a, 120a, 122a, 124a)를 각각 가지며 도9a에 114, 116, 118, 120, 122, 124 로 명명된 구역(1-6)을 도시하고 있다. 구역(1)은 인피드 인터페이스 모듈(126)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2, 3)은 구역 제어 모듈(128)에 의해 제어되며, 구역(4, 5)은 구역 제어 모듈(130)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6)은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132)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연결된 코스트 투 스톱 축적 모드에서 구역(5, 6)은 해제 명령과 같은 시간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때까지 비작동이다.
도9a에서 패키지(1)는 진행되어 센서(124a)를 점유하는 정지부로 주행된다. 패키지(2, 3)는 그 사이의 갭에 도달하고 있다. 도9b에서 패키지(2)는 센서(114a)를 점유하고 있지만, 구역은 비작동으로 된다. 도9c에서, 패키지(2)는 패키지(3)가 구역(1)에 들어갈 때 구역(2)으로 이송된다. 도9d에서, 패키지(2)는 센서(116a)를 점유하고 있지만, 구역(1)은 구역(3)의 센서(118a)가 점유되지 않기 때문에 작동으로 남는다. 패키지(3)는 센서(114a)를 점유하고 있다. 도9e는 다음의 연속한 구역으로 이송되는 패키지(2, 3)를 도시하고 있다. 도9f에서, 패키지(2)는 구역(3)의 센서(118a)를 점유하고 있고, 패키지(3)는 구역(2)의 센서(116a)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구역(1)이 정지되게 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9g는 구역(4, 3)으로 각각 이송되어 센서를 점유하지 않고, 그에 따라 구역(1)이 작동으로 되게 하는 패키지(2, 3)를 도시하고 있다.
도9h는 축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센서(120a)를 점유하는 패키지(2)를 도시하고 있다. 도9i는 센서(120a, 118a)를 각각 점유하고 구역(2)을 정지시키는 패키지(2, 3)를 도시하고 있다. 패키지(2)는 비작동인 구역(5)으로 이송되어 있다. 도9j는 비작동인 구역(5)으로 이송될 때 구역(4)의 센서(120a)를 점유하지 않을 만큼 멀리 진행되어 구역(2)이 작동으로 되게 하는 패키지(2)를 도시하고 있다. 도9k는 구역(5)의 정지부로 주행되어 센서(122a)를 점유하는 패키지(2)를 도시하고 있다. 패키지(1)에 의해 차단된 포토 아이(124a) 및 패키지(2)에 의해 차단된 포토 아이(122a)에 의해, 구역(3)이 비작동으로 되어, 패키지(3)가 구역(4)으로 운행되게 한다. 도9l은 센서(120a)를 점유하는 정지부로 주행되어 그에 따라 점유되지 않은 구역(3)이 비작동으로 나타나는 더 이상의 이동이 없는 패키지(1, 2, 3)를 도시하고 있다.
런업 1회 축적 모드는 카톤(carton)을 정지시키는데 적용되는 제동력이 없는 코스트 투 스톱 방식으로 작동되는 3 피트 보다 긴 구역을 사용할 때 센서들 사이에 긴 코스트 투 스톱 버퍼(buffer)를 보상한다. 이 제어 전략은 그 구역에서의 구동을 취소하기 전에 로컬 구역의 패키지가 센서로 계속 구동되게 함으로써, 즉 로컬 구역 센서로 런업하게 함으로써 실행된다. 도10a, 10b, 10c는 런업 1회 축적 모드를 나타내는 동일한 제어 로직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의 가장 하류의 구역, 즉 배출 구역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해제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한, 런업 1회 모드에서 비작동일 것이다. 제어 로직은 각각의 모듈에 의해 독립적으로 실행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구역이 실행된다. 도10a와 도10b 및 도10c 사이의 차이점은 제어 로직의 실행에 이어지는 도시된 경로에 있다.
단계(134)에서는 축적 컨베이어가 런업 1회 모드인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로직은 단계(136)로 진행되어 다른 축적 모드가 체크된다. 만일 런업 1회 모드가 작동이라면, 로직은 바로 하류의 구역의 센서가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138)로 진행된다. 만일 하류의 구역 센서가 점유되지 않았다면, 제어 로직은 도10a에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40)로 진행된다. 단계(140)에서, 로컬 구역(즉, 검사될 구역)은 작동으로 세팅되고, 제어 로직은 단계(142)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은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세팅된다. 그로부터, 제어 로직은 단계(134)로 복귀된다.
만일 단계(138)에서 하류의 구역 센서가 점유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도10c의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44)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 센서가 점유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로직은 단계(146)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의 상태가 래칭(latching)되고, 즉 그 현재의 비작동 또는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제어 로직은 단계(142)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을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세팅하고, 다시 단계(134)로 복귀된다. 만일 단계(144)에서 로컬 구역 센서가 점유되었다면, 로직은 단계(148)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은 비작동으로 세팅되고 단계(150)에서 로컬 구역은 축적된 것으로 세팅된다.
도11a 내지 도11i에는 런업 1회 축적 모드 제어 로직의 작동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1a 내지 도11i는 센서(152a, 154a, 156a, 158a, 160a, 162a)를 각각 갖는 도11a에 명명된 구역(1-6)을 도면부호 152, 154, 156, 158, 160, 162 로만 도시한다. 구역(1)은 인피드 인터페이스 모듈(164)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2, 3)은 구역 제어 모듈(166)에 의해 제어되며, 구역(4, 5)은 구역 제어 모듈(168)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6)은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170)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런업 1회 축적 모드에서 구역(6)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해제 명령과 같은 시간이 수신될 때까지 비작동이다.
도11a 및 도11b는 구역(1)에 들어가서 센서(152a)를 점유하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다. 도11c는 패키지(2)가 구역(1)에 들어갈 때 구역(2)의 센서(154a)를 점유하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으며, 구역(1)은 아직 작동이다. 도11d는 도11c에 도시된 것 보다 약간 더 진행되었지만 아직 센서(154a)를 점유하고 있는 패키지(1)를 도시하고 있다. 패키지(2)는 센서(152a)를 점유하고 있다. 런업 1회 제어 로직하에서, 구역(2)[구역(1)의 하류]은 로컬 구역 센서(152a)의 상태가 체크되도록 점유되어 있다. 이것은 패키지(2)에 의해 점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로직은 로컬 구역으로 세팅되고, 구역(1)은 비작동이고 축적된다. 도11e에서, 패키지(1)는 센서(154a)를 지나가며, 따라서 구역(1)이 작동으로 된다. 도11f에서, 패키지(2)는 센서(152a)를 점유하고 있으며, 패키지(3)는 센서(152a)를 점유하고 있어, 구역(1)이 정지되며, 패키지(2)가 센서(154a)를 클리어할 때까지 패키지(3)를 구역(1)에 보유한다. 도11g는 구역(6)에 도달되어 센서(162a)를 점유하는 패키지(1)와, 구역(5)에 도달되어 센서(160a)를 점유하는 패키지(2)를 도시하고 있다. 구역(5)의 하류 센서[구역(6)의 센서(162a)] 및 구역(5)의 점유되지 않은 센서(160a)에 의해, 구역(5)이 정지된다. 구역(5)은 구역(6)의 센서(162a)가 클리어될 때까지 정지(래칭)되는 상태로 남을 것이다.
도11h에서, 패키지(3)는 구역(4)의 센서(158a)를 점유하고 있으며, 구역(5)의 센서(160a)에 의해 구역(4)은 구역(5)의 센서(160a)가 클리어될 때까지 래칭된다. 패키지(4)는 센서(154a)를 점유하고 있다. 도11i는 컨베이어로부터 패키지(2)의 제거를 도시하고 있다. 구역(5)은 구역(6)이 클리어될 때까지 래칭된 상태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구역(4)은 구역(5)의 센서(160a)가 점유되지 않기 때문에 작동(언래칭)으로 되고, 패키지(3)를 구역(5)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역(4)의 포토 아이(158a)는 클리어되고, 구역(3)을 언래칭함으로써 패키지(4)를 전진시킬 것이다.
도12a, 12b, 12c는 센서 연결된 런업 1회 축적 모드를 나타내는 동일한 제어 로직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의 최하류 구역, 즉 배출 구역은 해제 명령이 없는 한 센서 연결된 런업 1회 모드에서 비작동일 것이다. 두번째 최하류 구역은 간단한 코스트 투 스톱 로직을 사용할 것이다. 제어 로직은 각각의 모듈에 의해 독립적으로 실행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구역이 제어된다. 도12a, 12b, 12c 사이의 차이점은 제어 로직의 실행에 이어지는 도시된 경로에 있다.
단계(172)에서는 센서 연결된 런업 1회 모드에 축적 컨베이어가 있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아니라면, 로직은 단계(174)로 진행되어, 다른 축적 모드가 체크된다. 만일 센서 연결된 런업 1회 모드가 작동이라면, 로직은 단계(176)로 진행되어, 2개의 하류 구역 센서들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2개의 하류 구역 센서들이 점유되지 않았다면, 제어 로직은 도12a에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78)로 진행된다. 단계(178)에서, 로컬 구역(즉, 검사될 구역)은 작동으로 세팅되고, 제어 로직은 단계(180)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은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세팅된다. 그로부터, 제어 로직은 단계(172)로 복귀된다.
만일 단계(176)에서 2개의 하류 구역 센서들이 점유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단계(182)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 센서가 점유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로직은 도12c에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84)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의 상태가 래칭되고, 즉 그 현재의 비작동 또는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제어 로직은 단계(180)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을 축적되지 않은 것으로 세팅하고, 다시 단계(172)로 복귀된다. 만일 단계(182)에서 로컬 구역 센서가 점유되었다면, 로직은 단계(186)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은 비작동으로 세팅되고 단계(188)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이 축적된 것으로 세팅된다.
도13a 내지 도13g에는 센서 연결된 런업 1회 축적 모드 제어 로직의 동작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도13a 내지 도13g은 센서(190a, 192a, 194a, 196a, 198a, 200a)를 각각 갖는 도13a에 명명된 구역(1-6)을 도면부호 190, 192, 194, 196, 198, 200 으로만 도시한다. 구역(1)은 인피드 인터페이스 모듈(202)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2, 3)은 구역 제어 모듈(204)에 의해 제어되며, 구역(4, 5)은 구역 제어 모듈(206)에 의해 제어되고, 구역(6)은 배출 인터페이스 모듈(208)에 의해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런업 1회 축적 모드에서 구역(6)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해제 명령과 같은 시간이 수신될 때까지 비작동이다.
도13a는 축적 컨베이어상의 패키지(1, 2, 3)를 도시하고 있다. 패키지(1)는 구역(5)의 센서(198a)를 점유하고 있고, 구역(1-5)은 작동이며, 구역(6)은 비작동이다. 패키지(1)는 비작동 구역(6)으로 이송되고, 패키지(2, 3)는 구역(3, 2)의 센서(194a, 192a)를 각각 점유하고 있다. 센서(190a)를 점유하는 패키지(4)에 의해, 구역(1)은 비작동으로 세팅된다. 도13c에서, 패키지(2)는 센서(194a)를 더 이상 점유하지 않으므로, 구역(1)은 작동으로 세팅되었다. 도13d는 구역(5)의 센서(198a)를 점유하는 패키지(2)를 도시하고 있다. 구역(5)은 런업 1회 제어 로직에 이어지는 두번째 최하류 구역이고, 바로 옆의 하류 센서(200a)는 점유되었고, 구역(5)의 센서는 점유되었으며, 구역(5)은 비작동으로 세팅된다. 도13e에서 구역(3, 4)은 점유된 이들 구역으로 인해 비작동이며, 그 각각의 하류의 2개의 구역이 점유된다.
도13f는 축적 컨베이어로부터 패키지(3)의 제거를 도시하고 있다. 구역(4)은 점유된 2개의 하류 센서(198a, 200a)로 인해 구역(4)이 래칭되기 때문에 센서(196a)가 클리어되더라도 비작동으로 남는다. 구역(3)은 점유되지 않은 센서(196a)로 인해 작동으로 된다. 도13g는 구역(4)의 센서(196a)를 점유하도록 전진되는 패키지(4)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 구역(4)은 센서(198a, 200)가 점유되기 때문에 비작동으로 되고 래칭되며; 패키지(5)는 구역(3)의 센서(194a)를 점유하도록 전진되고, 그 결과 구역(3)은 센서(196a, 198a)가 점유되기 때문에 비작동으로 되고 래칭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축적 컨베이어의 사용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된 제어 전략인 구역 크라우딩이다. 축적된 컨베이어가 패키지들 사이에 아직도 상당한 갭을 갖는 것은 통상적이다. 이것은 신장된 길이의 구역을 사용할 때 특히 그러하다. 상기 구역 크라우딩 제어 로직은 로컬 구역이 축적된 것으로 결정된 후 패키지들 사이의 갭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물리적 크라우딩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라우딩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실행되는 컨베이어 맥동(pulsation)을 통해 실시된다. 크라우딩 제어 로직은 각각의 로컬 구역을 위해 실행되며, 만일 중간의 하류 구역이 시간주기 동안 크라우딩되었을 경우 시작되며, 로컬 구역은 시간주기 동안 축적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주기는 5초 이다.
도14에 있어서, 크라우딩 로직은 단계(210)에서 로컬 센서가 클리어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클리어되었다면, 구역은 축적되지 않으며, 단계(212)에서 크라우딩 루틴(routine) 및 5초 딜레이가 리셋된다. 만일 로컬 센서가 클리어되지 않았다면, 제어는 단계(214)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이 이미 크라우딩된 것으로 표시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제어 로직은 프로그램 하우스키핑(housekeeing)으로 복귀한다. 만일 로컬 구역이 아직 크라우딩되지 않았다면, 로직은 단계(216)로 진행되고 로컬 구역이 5초 이상 축적된 것으로 표시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크라우딩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하우스키핑으로 복귀할 것이다. 만일 로컬 구역이 5초 이상 축적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단계(218)에서 하류 구역이 크라우딩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어 로직은 프로그램 하우스키핑으로 복귀할 것이다. 만일 하류 구역이 크라우딩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단계(220)에서 루틴의 물리적 크라우딩을 시작할 것이다. 도15에는 단계(220)의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DIP 스위치 세팅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크라우드 온 타임(crowd-on-time) 주기를 위한 구역을 동작하는 단계(222)에서 시작된다. 로컬 구역은 DIP 스위치 세팅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크라우드 오프 타임(crowd-off-time)을 위한 단게(224)에서는 작동되지 않는다. 단계(226, 228)는 실행된 반복 횟수를 증가 및 비교하며, 일단 반복 횟수가 원하는 또는 제한된 횟수에 부합한다면, 제어 로직은 도14에 도시된 단계(230)로 복귀하고 로직은 로컬 센서가 클리어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크라우딩 루틴 및 시간 딜레이는 단계(212)에서 리셋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단계(232)로 계속되어 만일 크라우딩이 종료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제어는 진행 단계(220)의 크라우딩으로 복귀한다. 만일 크라우딩이 종료되었다면, 단계(234)에서 로컬 구역 크라우딩 플래그(flag)가 세팅된다.
도16에는 도14 및 도25에도시된 제어 로직의 일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6의 단계들의 넘버링은 도14 및 도15의 대응하는 단계들의 넘버링에 대응하며, 각각의 넘버에 ' 가 부가되었다. 절단된(truncated) 리드 라인을 갖는 도16의 단계들은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대응하는 단계들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DIP 스위치 세팅은 크라우드 온 타임/크라우드 오프 타임/반복 횟수 사이를 선택하도록 형성되었다(0/적용할 수 없는/0; 0.400초/2.0초/3회 반복; 0.550초/2.5초/3회 반복). 크라우드 온 타임은 유효하도록 충분히 길어야만 하며-원하는 서어지(surge)를 충분히 송출할 수 있는 컨베이어 속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만 한다. 다른 고려사항으로는 원하는 카톤 밀도 및 카톤의 충돌 공차를 포함한다. 크라우드 오프 타임은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기에 충분히 길도록 선택된다. 긴 크라우드 온 타임과 함께 긴 크라우드 오프 시간이 요구된다.
크라우딩은 전체적으로 실행될 필요가 없으며, 일부 구역은 DIP 스위치의 위치에 의해 세팅된 중지된 크라우딩 루틴을 갖는다. 중지된 크라우딩을 갖는 그 어떤 구역 또는 제어 모듈이라도 크라우딩 루틴을 작동시키지 않을 것이며, 그 상류 인접부에 크라우딩된 것을 보고할 것이다. 배출 구역은 중지된 크라우딩을 항상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하나의 특징은 2구역 전진 재시작을 갖는 구역 스누즈(snooze) 특징이다. 상기 스누즈 기능은 시간주기동안 그 어떤 물품 이동이 감지되지 않은 작동 구역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지한다. 스누즈는 전체적인 세팅이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온 및 오프된다. 스누즈 로직은 로컬 구역 센서의 상태와 제1 및 제2상류 센서의 상태를 모니터한다. 만일 일 실시예에서 모두 3개의 구역이 시간주기동안 클리어되고 스누즈 타이머에 의해 트래킹(tracking)되고 20초로 세팅되었다면, 로컬 구역은 스누즈 모드에 들어갈 것이다. 구역이 스누즈 모드에 있을 동안, 그 구역은 비작동이다.
도17은 관련된 구역이 스누즈되고 있는 것에 관계없이 축적 컨베이어의 각각의 구역 센서를 위해 반복해서 실행되는 "웨이킹" 스누즈 구역과 관련된 제어 로직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236)는 특정 구역을 위해 스누즈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단계(238)에서, 로직은 로컬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동작이 취해지지 않으며, 프로그램은 시작으로 복귀한다. 만일 단계(238)에서 로컬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다면, 로직은 단계(240)로 진행되어 특정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구역을 위해 스누즈 타이머 및 스누즈 상태(만일 세팅되었다면)가 리셋된다. 이것은 만일 구역의 스누즈 상태가 스누즈인 경우 그 상태가 리셋되고 그 구역이 깨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후, 제어는 단계(242)로 진행되고, 가장 가까운 하류 구역을 위해 스누즈 타이머 및 스누즈 상태(만일 세팅되었다면)를 리셋한다. 그후, 제어는 단계(244)로 진행되고, 두번째 가장 가까운 구역을 위해 스누즈 타이머 및 스누즈 상태(만일 세팅되었다면)를 리셋한다. 본질적으로, 구역은 그 로컬 구역 센서 또는 바로 상류의 2개의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을 때 스누즈 모드를 빠져나올 것이다. 만일 스누징 구역의 센서가 차단되었다면, 다음 2개의 하류 구역이 깨어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 다른 특징은 흐름 및 잼 검출이다. 만일 로컬 구역 센서가 차단되고 로컬 구역이 작동이고, 하류 구역의 센서가 10초와 같은 시간주기 이상 클리어되었고, 상류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다면, 경고 플래그가 세팅된다. 시스템은 로컬 구역을 하류의 구역의 로직 상태에 연결함으로써 패키지를 상류 구역으로 밀어내려고 노력한다. 실제로, 로컬 구역은 하류 구역으로부터 수신되는 동일한 로직 상태(차단된, 클리어된, 점유된, 점유되지 않은)를 상류 구역에 보고한다. 이것은 상류 구역이 작동이게 한다. 만일 상류 구역 센서가 30초와 같이 시간주기 이상 차단된 상태로 남고 하류 구역 센서가 동일한 시간주기 동안 차단되지 않았다면, 잼이 검출되고, 로컬 구역이 하류 구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점유된 상류를 보고하고, 잼의 상류에서 축적 처리를 시작한다. 만일 상기 30초 시간주기("밀어내기") 동안 하류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다면, 이것은 물품이 로컬 구역을 통해 이동될 수 있고 로컬 구역이 하류 구역에 연결된 상태로 머무르는 것을 나타낸다. 시스템은 로컬 구역 센서가 클리어될 때까지 잼 상태 또는 연결된 상태로 머무르며, 그 시간에 로컬 구역에 관련된 모든 에러 및 경고 플래그가 삭제된다. 이런 잼 상태일 동안, 전체적인 슬러그(slug) 해제는 잼의 정상적인 하류에서 작용할 것이다. 로컬 구역 해제 기능은 재밍된 구역에서 중지되며, 해제는 여기에 서술된 잼 검출 및 밀어내기 로직 기능을 받게 된다.
흐름 및 잼 검출 제어 로직을 도시하는 도18에 있어서, 제어는 단계(246)에서 로컬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는 지의 여부와 로컬 구역이 작동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로컬 구역이 차단되지 않았거나 또는 로컬 구역이 비작동이라면, 제어는 단계(248)로 진행되어, 로컬 구역 센서가 클리어인지의 여부가 결정되고, 제어 로직은 플래그를 리셋하고, 연결되었을 경우 로컬 구역을 분리한다. 만일 로컬 구역 센서가 차단되었다면, 제어 로직이 빠져나온다. 만일 단계(246)에서 로컬 구역 센서가 차단되고 로컬 구역이 작동이라면, 제어는 단계(252)로 진행되어, 구역이 재밍된 것으로 플래그되었음을 나타내는 JAM 플래그가 세팅된다. 만일 JAM 플래그가 세팅되었다면, 제어 로직은 초기의 단계(246)로 복귀될 것이다. 만일 JAM 플래그가 세팅되지 않았다면, 제어는 단계(254)로 진행될 것이다. 만일 단계(254)에서 하류 구역이 클리어 및 작동이고 하류 구역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간주기 이상 10초로 점유되었다면, 제어는 단계(256)로 진행되어 하류 구역은 로컬 구역에 연결되며, 즉 하류 구역의 로직 상태가 로컬 구역에 전송된다. 그곳으로부터, 제어는 단계(258)로 진행되어 플래그 구역 흐름 경고를 세팅하고, 로컬 구역 LED 를 번쩍이게 한다. 제어는 단계(260)로 진행되어, 하류 구역이 클리어 및 작동인지의 여부를 테스트하고, 상류 구역은 이 실시예에서 시간주기 이상인 30초 동안 차단된다. 만일 그렇다면, 잼을 밀어내려는 시도가 종료되고 단계(262)에서 로컬 구역은 하류 구역으로부터 분리된다. 만일 30초 이하라면, 제어 로직은 단계(246)로 복귀되고, 잼을 밀어내려는 시도를 계속한다. 단계(262)로부터, 제어는 JAM 플래그를 세팅한 후 단계(246)로 복귀된다. JAM 플래그 세팅에 의해, 제어는 단계(252)를 벗어나서, 잼을 밀어내려는 추가적인 시도를 피한다.
여기에 사용된 도면들중 일부에는 약자가 사용된다. 하기의 차트는 그들중 일부를 설명하고 있다.
DZCM : 이중(dual) 구역 제어 모듈
DZIM : 이중 구역 인터페이스 모듈
DZCS: 이중 구역 제어 시스템
LZ: 로컬 구역
DSZ: 하류 구역
USZ: 상류 구역
DSS: 하류 센서
LSS: 로컬 구역 센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은 도시 및 설명을 위하여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2: 축적 컨베이어 12a: 배출 구역
12c: 인터페이스 모듈 14: 취출 컨베이어
20c: 인터페이스 모듈 24a: 인피드 컨베이어

Claims (37)

  1. 축적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축적하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적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구역중 하나는 배출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역은 적어도 제1구역 및 제2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의 하류에 있고,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역이 상기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비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점유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이 비작동 상태로 세팅되면,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이 상기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축적된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6. 축적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축적하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적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구역중 하나는 배출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역은 적어도 제1구역과 제2구역 및 제3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의 하류에 있고, 상기 제3구역은 제2구역의 하류에 있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며 상기 제3구역이 제3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일 상기 제2구역이 상기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3구역이 제3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비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2구역 및 제3구역이 점유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1구역이 비작동 상태로 세팅되면,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축적된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역이 제3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2. 축적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축적하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적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구역중 하나는 배출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역은 적어도 제1구역 및 제2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의 하류에 있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구역이 점유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비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1구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그 현재의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의 현재 상태는 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의 현재 상태는 비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1구역이 비작동 상태로 세팅되면, 상기 제1구역을 축적된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2구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0. 축적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축적하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적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구역중 하나는 배출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구역은 적어도 제1구역과 제2구역 및 제3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의 하류에 있고, 상기 제3구역은 제2구역의 하류에 있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고 상기 제3구역이 제3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과 제2구역 및 제3구역이 점유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비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그 현재의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의 현재 상태는 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의 현재 상태는 비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1구역이 비작동 상태로 세팅되면, 상기 제1구역을 축적된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제2구역 또는 제3구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작동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역이 제3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물품이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미리 결정된 위치에 존재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29. 축적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축적하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적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구역은 적어도 제1구역 및 제2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의 하류에 있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물품이 상기 제1구역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역이 크라우딩 상태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이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축적된 상태이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일 물품이 상기 제1구역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구역이 크라우딩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구역이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축적된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구역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구역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1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구역을 정지시키는 단계의 실행후 물품이 상기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구역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물품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는 여러번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물품이 상기 제1구역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 지의 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단계에 이어 만일 물품이 상기 제1구역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1구역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구역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을 크라우딩 상태로 세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6. 축적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의 물품을 선택적으로 축적하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적 컨베이어는 다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구역은 적어도 제1구역과 제2구역 및 제3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역은 상기 제1구역의 하류에 있으며, 상기 제3구역은 제1구역의 상류에 있는, 축적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이 제1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구역이 작동 상태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역이 제2물품에 의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역이 작동 상태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제3물품이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3구역의 미리 결정된 제3위치에 있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일 상기 제1구역이 점유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구역이 작동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구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구역이 작동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3물품이 상기 적어도 미리 결정된 제1시간 동안 상기 제3구역의 미리 결정된 제3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구역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3구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역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3구역을 제어할 동안,
    제2구역이 점유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구역이 작동 상태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3구역이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점유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만일 상기 제2구역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구역이 작동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3구역이 적어도 미리 결정된 제2시간 동안 점유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구역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3구역을 제어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 방법.
KR1020117024653A 2009-03-19 2010-03-19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방법 KR101332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075009P 2009-03-19 2009-03-19
US61/210,750 2009-03-19
PCT/US2010/027983 WO2010108097A2 (en) 2009-03-19 2010-03-19 Zoned accumulation convey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295A KR20110139295A (ko) 2011-12-28
KR101332451B1 true KR101332451B1 (ko) 2013-11-25

Family

ID=4263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653A KR101332451B1 (ko) 2009-03-19 2010-03-19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63788B2 (ko)
EP (1) EP2421777B1 (ko)
JP (1) JP2012520816A (ko)
KR (1) KR101332451B1 (ko)
CN (1) CN102762469B (ko)
CA (1) CA2755011C (ko)
DK (1) DK2421777T3 (ko)
ES (1) ES2511515T3 (ko)
HK (1) HK1178503A1 (ko)
MX (1) MX2011009719A (ko)
WO (1) WO20101080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3137B2 (ja) * 2010-01-05 2014-06-04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ションコンベヤ
US8757363B2 (en) 2011-05-09 2014-06-24 Insight Automation, Inc. Conveyor controllers
BR112015012683A2 (pt) * 2012-11-30 2017-07-11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método para controlar um transportador, sistema de manipulação de material, e, mídia não transitória legível por processador
MX2015006898A (es) 2012-11-30 2016-01-25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Control de acumulacion.
US8983651B2 (en) * 2013-03-14 2015-03-17 Insight Automation, Inc. Zone controller for modular conveyor system
US10807805B2 (en) * 2013-05-17 2020-10-20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Robotic carton unloader
JP6550062B2 (ja) 2014-01-27 2019-07-24 レイトラム,エル.エル.シー. インダクションコンベヤ
US10322883B2 (en) * 2014-11-18 2019-06-18 Itoh Denki Co. Conveyor device, conveyor system, zone controller, CA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veyor device
US10597235B2 (en) 2016-10-20 2020-03-24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Carton unloader tool for jam recovery
WO2018165489A1 (en) 2017-03-08 2018-09-13 Advanced Technology & Research Corp. Package sorting transfer module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CN106628951A (zh) * 2017-03-08 2017-05-10 四川石化雅诗纸业有限公司 抽纸流水线输送装置及抽纸流水线系统
US10532894B2 (en) 2017-03-10 2020-01-1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transfer units, systems, and methods
US10906746B2 (en) * 2017-05-05 2021-02-02 Fives Intralogistics Corp.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AU2018372168A1 (en) 2017-11-22 2020-06-04 Regal Beloit America, Inc. Modular sortation units, systems, and methods
US10889451B2 (en) * 2018-10-17 2021-01-12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ccumulation conveyor
CN111351951B (zh) * 2018-12-24 2024-04-30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样本传输检测方法
US11059676B2 (en) 2019-01-31 2021-07-13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High-rate at high-density tunable accumulation conveyor
US11008176B1 (en) * 2019-02-08 2021-05-18 Bohnert Equipment Company, Inc. Slip roller conveyor
CN109933100B (zh) * 2019-02-18 2022-04-08 浙江德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积放控制的制动系统及方法
CN110077829B (zh) * 2019-04-04 2021-05-28 浙江德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输送机无线积放驱动控制系统及方法
CN110203641A (zh) * 2019-05-31 2019-09-06 长沙长泰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输送带之间多个货物数据传递的方法
CN111620074B (zh) * 2020-06-02 2023-05-0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包裹处理设备和方法
US11407596B1 (en) 2021-01-29 2022-08-09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and transmitting status parameters of a conveyor technological fie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9690A1 (en) * 2005-11-15 2007-05-31 Dematic Corp. Article accu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303A (en) * 1976-08-02 1978-08-22 The E. W. Buschman Company Power transmission assembly for an accumulator conveyor
US4109783A (en) * 1976-08-02 1978-08-29 The E. W. Buschman Company Fluid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n accumulator conveyor
JPH04201917A (ja) * 1990-11-30 1992-07-22 Misuzu Koki Kk アキュームレーションコンベア
JP2692464B2 (ja) 1991-12-04 1997-12-17 株式会社ダイフク ローラコンベヤ
US5823319A (en) * 1996-05-10 1998-10-20 The Buschman Company Control system for the drop-out zone of a constant speed accumulating conveyor
US5862907A (en) * 1996-11-27 1999-01-26 Hytrol Conveyor Company, Inc. Control system and module for an accumulation conveyor
JP3894355B2 (ja) * 1999-08-19 2007-03-22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コンベヤ制御装置およびコンベヤ装置
JP4048029B2 (ja) 2001-02-02 2008-02-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の合流制御方法
JP2002240926A (ja) 2001-02-15 2002-08-28 Hitachi Ltd ローラーコンベア及びローラーコンベアの制御方法
JP2005231745A (ja) * 2001-06-27 2005-09-02 Ito Denki Kk ゾーンコントローラ
US6827202B2 (en) * 2001-12-21 2004-12-07 Balluff,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veyor zones
JP2003221112A (ja) 2002-01-29 2003-08-05 Sanki Eng Co Ltd 自動搬送装置
US7280889B2 (en) * 2002-03-08 2007-10-09 Humphrey Products Company Networkable zone control modules and method and coveyor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2003292140A (ja) 2002-03-29 2003-10-15 Okura Yusoki Co Ltd コンベヤ装置
US6889822B1 (en) * 2002-04-08 2005-05-10 Intelligrated, Inc. Accumulation conveyor
US6860381B2 (en) * 2003-01-29 2005-03-01 Hytrol Conveyor Company, Inc. Decentralized drive system for a conveyor
US7243781B2 (en) * 2005-06-22 2007-07-17 Hytrol Conveyor Company, Inc. Conveyor loading zon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9690A1 (en) * 2005-11-15 2007-05-31 Dematic Corp. Article accumulation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67977A1 (en) 2011-03-24
WO2010108097A3 (en) 2012-03-01
JP2012520816A (ja) 2012-09-10
HK1178503A1 (en) 2013-09-13
CA2755011A1 (en) 2010-09-23
CN102762469B (zh) 2014-09-24
DK2421777T3 (da) 2014-10-20
US8763788B2 (en) 2014-07-01
EP2421777A2 (en) 2012-02-29
MX2011009719A (es) 2012-04-30
CN102762469A (zh) 2012-10-31
ES2511515T3 (es) 2014-10-22
KR20110139295A (ko) 2011-12-28
EP2421777B1 (en) 2014-07-16
CA2755011C (en) 2016-08-02
WO2010108097A2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451B1 (ko) 축적 컨베이어의 제어방법
KR101809764B1 (ko) 어큐뮬레이션 컨베이어
US9051132B2 (en) Transfer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articles
US6253906B1 (en) Sequential release control for a zoned conveyor system
US7591366B2 (en)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accumulating packages of varying lengths
JP5345623B2 (ja) 荷物間に間隔を設けるコンベヤと方法
US20070261941A1 (en) Dynamic motorized roller conveyor control
CA2920808C (en) Accumulation control
JPH10279047A (ja) コンベア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3002436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e zone
JP4345665B2 (ja) 荷合流設備
JP5221173B2 (ja) 搬送物の間隔調整装置
JP2011026050A (ja) 仕分けシステム
JP5572964B2 (ja) 容器搬送装置
JP2005119798A (ja) 搬送装置
JP2007186288A (ja) 減列型製品供給装置
JP2011126644A (ja) 仕分け装置
JP2004189342A (ja) ローラコンベアシステム
JP2003221112A (ja) 自動搬送装置
JP2006212517A (ja) 物品選別装置
KR0133979B1 (ko) 서브(sub)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출물 제어시스템
JP2005298086A (ja) 製品搬送装置
JP4544451B2 (ja) 仕分装置
JP6155134B2 (ja) 単列アキュームコンベヤの搬送制御方法および単列アキュームコンベヤの搬送装置
JPH10316236A (ja) スラット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