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386B1 -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386B1
KR101331386B1 KR1020120009509A KR20120009509A KR101331386B1 KR 101331386 B1 KR101331386 B1 KR 101331386B1 KR 1020120009509 A KR1020120009509 A KR 1020120009509A KR 20120009509 A KR20120009509 A KR 20120009509A KR 101331386 B1 KR101331386 B1 KR 10133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ocessing
sheets
post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420A (ko
Inventor
시게아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6Auxiliary devices for contacting each article with a front stop as it is p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06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displacing articles to define batches
    • B65H33/08Displacing whole batches, e.g. forming stepp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4Closed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3Forming a pile of a limited number of articles, e.g. buffering, forming bu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5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stream of articles separated from each other
    • B65H2301/4452Regulating space between sepa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30Numbers, e.g. of windings or ro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2Rout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에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트가 적재되는 처리 트레이와, 반입구로부터 반입된 시트를 처리 트레이에 반송하는 반송부와, 시트를 대피시켜 처리 트레이로의 시트의 도달을 늦추는 대피부와, 처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부와 부의 경계에서 배출 트레이에 배출하는 배출 기구를 구비하고, 1부 중, 처리 트레이에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처리 트레이가 적재 가능한 양인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배출 기구는, 1부 중 최종 페이지가 한 장만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1부의 시트 묶음을 복수회로 나누어 배출하고, 대피부는, 시트 묶음의 배출 후에 처리 트레이에 적재하는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처리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에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 프린터, 복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후처리 장치가 부착되는 일이 있다. 후처리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가 배출하는 인쇄가 끝난 시트(용지)를 받아, 예를 들면, 천공(펀치) 처리나, 스테이플 처리나, 구분(소트)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복수 매의 시트에 대해서 후처리를 행하기 위해, 후처리 장치 내에 복수 매의 시트를 적재하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1부의 매수(페이지수)가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1부의 시트 전체에 대해 후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후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일이 있다.
이 문제에 관하여, 1부당의 시트의 매수가 최대 적재 매수를 넘어도 소트 처리가 가능한 시트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시트를 집적하는 집적 트레이와, 이 집적 트레이에 이르는 과정에서 일단 시트를 적재하는 처리 트레이와, 이 처리 트레이 상에서 시트의 폭 방향의 집적 위치를 변경하는 시프트 수단과, 처리 트레이에 적재하는 시트의 적재량을 인식하는 용량 인식 수단을 가지며, 시트를 소정 매수마다 소트하고, 용량 인식 수단에 의해, 처리 트레이 상의 시트의 적재량이 처리 트레이의 적재 한도량을 넘는 것을 인식했을 때, 처리 트레이에 적재가 끝난 시트를 집적 트레이에 배출함과 더불어, 후속하는 시트가 소정 매수에 이를 때까지 처리 트레이 상에서 먼저 배출한 시트와 후속하는 시트의 위치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시프트 수단의 동작을 계속하는 시트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처리 트레이의 적재 한도량을 넘는 시트수에 대해서도, 소트 처리의 대응을 하려고 한다.
종래, 후처리 장치로부터의 시트 묶음 배출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속도(예를 들면, 급지 타이밍이나 화상 형성 개시 타이밍을 통상보다 늦춘다)를 떨어뜨리고, 종이 간격을 넓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에서는, 시트 묶음 배출을 행하기 때문에, 각부의 경계에서 대기 시간이 설정된다. 또,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에서는,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적재 한도량을 넘을 때, 적재 한도량까지 처리 트레이에 적재되면, 시트를 내보내기 위해, 인쇄의 일시 중단이 행해지거나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후처리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인쇄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시트 묶음을 배출하고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시트와 시트의 종이 간격을 통상의 인쇄 때보다 넓히고, 처리 트레이로부터의 시트 묶음의 배출 시간을 벌고 있었다.
여기서, 후처리 장치에는, 생산성을 떨어뜨리지 않게 하기 위해(종이 간격을 통상의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해), 시트를 처리 트레이에 축적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대피시키고, 처리 트레이에의 도달을 늦추는 대피부를 설치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복수의 부수를 계속해서 인쇄할 때, 1부 중 최종 페이지를 대피시키면, 최종 페이지와 다음의 부의 1페이지째가 포개져, 최종 페이지와 다음의 부의 1페이지째가 시간차 없이 반송된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면, 부마다의 시트 묶음의 배출(구분)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구분을 행할 때, 최종 페이지의 전 페이지에서 시트 묶음이 배출되면, 최종 페이지는 대피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시트 묶음의 배출 시간을 벌기 위해(최종 페이지의 처리 트레이에의 도달을 늦추기 위해), 최종 페이지의 전 페이지와 최종 페이지의 종이 간격은 통상보다 반드시 넓게 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대피부를 설치해도,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의 공지의 시트 처리 장치는, 대피부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최종 페이지만으로 시트를 배출하면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와 관계가 없다. 따라서, 상술의 공지의 시트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를 넘어도, 최종 페이지만으로의 시트 배출을 피하고, 생산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처리 트레이로부터 시트를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후처리 장치는, 시트에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로서, 시트가 적재되는 처리 트레이와, 반입구로부터 반입된 시트를 상기 처리 트레이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처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부와 부의 경계에서 배출 트레이에 배출하고, 1부 중, 상기 처리 트레이에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상기 처리 트레이의 적재 가능한 양인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1부 중 최종 페이지가 한 장만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1부의 시트 묶음을 복수회로 나누어 배출하는 배출 기구와, 시트를 대피시켜 상기 처리 트레이로의 시트의 도달을 늦춘 후, 상기 처리 트레이에 송출하고, 1부 중, 상기 처리 트레이에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상기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시트 묶음의 배출 후에 처리 트레이에 적재하는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시키는 대피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의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를 넘어도, 최종 페이지만으로의 시트 배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1부당의 매수에 관계 없이, 생산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처리 트레이로부터 시트를 배출하는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복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형적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후처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모형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복합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조작 패널에서의 구분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구분에서의 시프트부의 시프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후처리 장치에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의 대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에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의 대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에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의 대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에서의 구분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처리 장치(1)를 구비한 복합기(100)(화상 형성 장치에 상당)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본 실시의 형태에 기재되는 구성, 배치 등의 각 요소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복합기(100) 본체의 개략 구성)
우선, 도 1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복합기(100) 본체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1은, 복합기(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형적 정면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복합기(100)는, 최상부에, 원고 반송 장치(2a)가 설치된다. 원고 반송 장치(2a)는, 원고 재치 트레이(21)에 적재된 원고를 1매씩 연속적으로 화상 독취부(2b)의 독취 위치에 반송한다. 최상위의 원고와 접하는 원고 공급 롤러(22)나 복수의 원고 반송 롤러 쌍(23)은, 원고를 독취 위치(이송 독취용 컨택트 유리(24)의 상방의 위치)까지 반송한다.
또, 원고 반송 장치(2a)는, 지면 안쪽에 설치된 지점(도시 생략)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 열린다. 예를 들면 서적 등의 원고를 화상 독취부(2b)의 상면의 재치 독취용 컨택트 유리(25)에 실을 수 있다.
화상 독취부(2b)는, 원고를 독취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독취부(2b)의 상면에는, 컨택트 유리가 설치된다. 또, 화상 독취부(2b)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복합기(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틀(노광 램프, 미러 등을 구비), 렌즈,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CD) 등의 광학계 부재(모두 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원고 반송 장치(2a)에서 반송되는 원고를 독취할 때, 이송 독취용 컨택트 유리(24)의 하방으로 이동틀은 고정되고, 원고의 반사광은 렌즈, 이미지 센서로 이끌린다. 또, 재치 독취용 컨택트 유리(25)에 재치된 원고를 독취할 때, 이동틀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원고의 반사광은 렌즈, 이미지 센서로 이끌린다.
그리고 화상 독취부(2b)는 이들 광학계 부재를 이용하고, 원고의 반사광을 받은 이미지 센서의 각 화소의 출력값을 A/D 변환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복합기(100)는 독취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가능하다(카피 기능).
또, 도 1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패널(3)이 화상 독취부(2b)의 정면측(복합기(100)의 정면 상방)에 설치된다. 조작 패널(3)은 카피 등의 인쇄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기능하고,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조작 패널(3)은, 복합기(100)의 상태나 각종 메시지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31)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부(31)는, 기능의 선택, 설정이나 문자 입력 등을 행하기 위한 키를 1 또는 복수 표시할 수 있다. 또, 터치 패널부(32)(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가 액정 표시부(31)에 설치된다. 터치 패널부(32)는, 액정 표시부(31)에서 눌린 부분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카피나 화상 데이터 송신 등의 각종 기능의 실행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스타트 키(33)나 숫자 등의 입력용의 텐 키부(34)도, 조작 패널(3)에 설치된다.
액정 표시부(31)에 표시된 설정 화면이나 키를 누름으로써, 조작 패널(3)에서 카피나 화상 데이터의 송신이나 복합기(100)에 축적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인쇄에 관한 설정이나, 작업 실행을 지시할 수 있다. 또, 조작 패널(3)의 텐 키부(34)를 누름으로써 인쇄의 부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패널(3)은, 후처리 장치(1)의 조작, 동작 설정도 접수한다. 사용자는 조작 패널(3)에서 후처리 장치(1)에서의 처리에 관한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복수의 부수의 작업의 구분 처리나 스테이플 처리나 펀치 처리 등에 관련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패널(3)은, 조작 패널(3)에서 구분에 관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부마다 시트 묶음을 배출하여 구분을 행하는지의 여부와 같은 항목에 대한 설정을 접수한다. 그리고 실제의 작업에서는, 설정에 따라 복합기(100)나 후처리 장치(1)가 동작한다.
또, 복합기(100) 본체 내부에, 급지부(4a), 반송부(4b), 화상 형성부(5a), 정착부(5b) 등의 화상 형성에 관련되는 엔진부(40)가 설치된다.
급지부(4a)는, 화상 형성용의 시트를 수용, 공급한다. 급지부(4a)는, 수직 방향으로 쌓여진 삽입 이탈 가능한 카세트(41(41a, 41b))를 합계 2개 포함한다. 급지부(4a)는, 각종(예를 들면, 보통지, 카피 시트, 재생지 등), 각 사이즈(예를 들면, A4, A3, B4, B5, 레터 사이즈 등)의 시트를 복수(예를 들면, 500~1000매 정도) 적재하여 수용한다. 또한, 각 카세트(41(41a, 41b)의 구성은 같으므로,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이용한다.
각 카세트(41(41a, 41b))에 대해서, 급지 롤러(42)가 설치된다. 각 급지 롤러(42)는, 시트 공급을 위해 회전 구동한다. 또, 각 카세트(41(41a, 41b)) 내에는, 시트를 올려놓기 위한 시트 재치판(43)이 설치된다. 이들 시트 재치판(43)은,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고, 최상위의 시트와 급지 롤러(42)를 접하는 상태로 한다.
다음에, 반송부(4b)는, 장치 내에서 시트를 반송하는 통로이다. 그리고 반송부(4b)에는, 시트 반송시에 회전 구동하는 반송 롤러 쌍(44)이 설치된다. 또, 반송부(4b)에는, 반송되는 시트를 화상 형성부(5a)의 앞에서 대기시키고, 토너상 형성의 타이밍을 맞추고 송출하는 레지스트 롤러 쌍(45) 등이 설치된다.
화상 형성부(5a)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급지부(4a)로부터 공급된 시트에 화상(토너상)을 형성하고, 반송되는 시트에 토너상을 전사한다. 또한, 화상 독취부(2b)에서 취득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나, 복합기(100)에 접속되는 컴퓨터(200)(도 3 참조)로부터의 송신 화상 데이터가 인쇄에 이용된다. 그리고 화상 형성부(5a)는, 도 1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된 감광체 드럼(51)이나, 그 주위에 설치된 대전 장치(52), 노광 장치(53), 현상 장치(54), 전사 롤러(55), 클리닝 장치(56) 등을 구비한다.
토너상 형성 및 전사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화상 형성부(5a)의 대략 중심에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감광체 드럼(51)이 설치된다. 대전 장치(52)는 소정 전위로 감광체 드럼(51)을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53)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레이저광을 출력하고, 감광체 드럼(51) 표면을 주사 노광하여 화상 데이터에 따른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장치(54)는, 감광체 드럼(5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한다. 전사 롤러(55)는, 감광체 드럼(51)에 압접하고, 니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 롤러 쌍(45)이 타이밍을 재고 시트를 니프에 진입시킨다. 시트와 토너상이 니프에 진입하고 있을 때, 전사 롤러(55)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로 인해, 시트에 감광체 드럼(51) 상의 토너상이 전사 된다. 클리닝 장치(56)는, 전사 후에 감광체 드럼(51)에 잔류하는 토너 등을 제거한다.
정착부(5b)는, 시트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착부(5b)는, 주로 발열체를 내장하는 가열 롤러(57)와 가압 롤러(58)를 포함한다. 가열 롤러(57)와 가압 롤러(58)는 압접하고 니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시트가, 이 니프를 통과하면, 토너가 용융·가열되고, 토너상이 시트에 정착한다.
정착부(5b)를 통과한 시트는 시트 배출부(6)에 보내진다. 시트 배출부(6)는, 본체의 동내(胴內) 배출 트레이(61)나 후처리 장치(1)에 인쇄가 끝난 시트를 보낸다. 시트 배출부(6)는, 디폴트의 설정(예를 들면, 동내 배출 트레이(61)를 향한 배출이 디폴트 설정)이나 조작 패널(3)에서 지시받은 배출처를 향해 시트를 배분한다. 배출처의 배분을 위해, 회동 클로우(claw)(62)가 설치된다.
회동 클로우(62)는, 배출처 시트를 이끌기 위해서 회동한다. 그리고 동내 배출 트레이(61)로의 배출을 위해 회전 구동하는 배출 롤러 쌍(63)이 설치된다. 또, 후처리 장치(1)를 향해 인쇄가 끝난 시트를 배출하기 위해서 회전 구동하는 배출 롤러 쌍(64)도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시트의 배출 방향을 파선 화살표로 도시한다. 또, 도 1에서는, 후처리 장치(1) 방향으로 시트를 배출하는 상태의 회동 클로우(62)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후처리 장치(1))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복합기(100)에는, 인쇄 후의 시트에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1)가 부착된다. 그래서, 도 2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후처리 장치(1)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후처리 장치(1)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모형적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시트의 반송 경로의 일례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후처리 장치(1)는, 복합기(100)에 접속된다. 그리고 반송부(11)가 후처리 장치(1) 내에 설치된다. 반송부(11)에는, 반송 롤러 쌍(111, 112)이 설치된다. 반송 롤러 쌍(111, 112)은, 회전 구동하고, 반입된 시트를 처리 트레이(15)를 향해 반송한다. 그리고 인쇄가 끝난 시트의 반송 경로순으로, 반입구(12), 펀치부(13), 대피부(14), 처리 트레이(15), 배출 기구(16), 배출 트레이(17)가 후처리 장치(1)에 설치된다.
복합기(100)로부터 배출된 인쇄가 끝난 시트는, 후처리 장치(1)의 우측면 상부에 설치된 반입구(12)로부터 후처리 장치(1) 내에 반입된다. 반입구(12)의 근방에, 후처리 장치(1)로의 시트의 반입을 검지하는 반입 센서(121)가 설치된다. 이 반입 센서(121)를 이용하여, 후처리 장치(1)로의 시트의 반입이 인식된다.
그리고 펀치부(13)가 후처리 장치(1) 내의 반송부(11)의 최상류부근에 설치된다. 펀치부(13)는, 시트에 대해서, 천공 처리를 행한다. 처리 트레이(15)와 펀치부(13)의 사이에는 대피부(14)가 보내진다.
대피부(14)는 회전 구동하는 대피 드럼(141)을 포함한다. 대피부(14)는, 후처리 장치(1)에서 반송되어, 일시적으로 대피시키는 시트를 대피 드럼(141)에 감도록 하여 대피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대피부(14)는, 시트의 처리 트레이(15)로의 도착 시간을 늦춘다. 그리고 다음에 온 시트(다음 페이지의 시트)와 아울러, 혹은 포개어 처리 트레이(15) 방향으로 송출한다. 대피부(14)가 없으면, 처리 트레이(15)로부터의 시트 묶음의 배출 처리를 행할 때, 통상보다 종이 간격을 두고 다음의 시트의 처리 트레이(15)로의 도착을 늦추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대피부(14)에서 시트 묶음의 배출 후, 처리 트레이(15)에 올려놓는 1페이지째의(최초의) 시트를 대피시킴으로써, 통상의 종이 간격으로 인쇄나 후처리 장치(1)에서의 시트의 반송을 끝까지 계속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속해서 시트를 인쇄할 때, 통상보다 종이 간격을 두는 처리를 도중에 행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통상의 종이 간격은, 후처리 장치(1)나 복합기(100)에서의 시트의 반송 속도나, 용지 사이즈나, 목표로 하는 인쇄에서의 생산성(예를 들면, PPM(Page Per Minute)과 같은 단위가 이용된다)에 기초하여, 사양 상, 정해지는 시트와 시트의 간격이다. 통상의 종이 간격은 화상 형성 장치의 기종에 따라서 다르다.
대피부(14)에 시트를 대피시킬지, 대피시키지 않고 그대로 처리 트레이(15)에 반송할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클로우(142)가 설치된다. 대피부(14)에 시트를 대피시킬 때, 전환 클로우(142)는 시트를 대피부(14)로 이끄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대피부(14)에 시트를 대피시키지 않을 때, 전환 클로우(142)는 시트를 처리 트레이(15)로 이끄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처리 트레이(15)는 구분이나 스테이플을 행하는 시트를 일시적으로 묶음으로서 적재(스택)한다. 처리 트레이(15)는, 시트 반송 방향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들어 올려지도록, 기울여진다. 또, 배출 기구(16)가 처리 트레이(15)의 시트 반송 방향 하류단(배출 트레이(17)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배출 기구(16)는 상부 롤러(161)와 하부 롤러(16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기구(16)의 상부 롤러(16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부 롤러(161)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 롤러(161)에 암(163)이 접속된다. 그리고 암(163)의 타단은, 암 작동 모터(164)(도 3 참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65)과 접속된다. 암 작동 모터(164)는 정역 회전한다. 이로 인해, 상부 롤러(161)를 하부 롤러(16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 하부 롤러(162) 방향으로 상부 롤러(161)를 누르도록 탄성 가압할 수도 있다.
처리 트레이(15)로의 적재와 배출 트레이(17)로의 배출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처리 트레이(15)에 시트를 적재하지 않고(구분이나 스테이플의 후처리를 하지 않고), 배출 트레이(17)에 시트를 배출할 때, 상부 롤러(161)와 하부 롤러(162)는 접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부 롤러(161)와 하부 롤러(162)는 시트를 배출 트레이(17)에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처리 트레이(15)를 이용한 처리를 행하지 않을 때, 배출 기구(16)의 각 롤러는 연속적으로 인쇄가 끝난 시트를 배출 트레이(17)에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에, 처리 트레이(15)에 시트를 적재할 때의 배출 순서를 설명한다. 처리 트레이(15)에 1매째의 시트를 적재할 때, 암 작동 모터(164)가 동작하고, 상부 롤러(161)와 하부 롤러(162)를 이격한 상태로 한다. 처리 트레이(15)로의 1매째의 시트는, 일단, 일부(하류단 부분)가 상부 롤러(161)와 하부 롤러(162)의 사이에 진입한다. 그리고 시트는, 자중에 의해, 처리 트레이(15)의 비스듬한 하방향으로 하강한다. 또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구성을 대신하여, 처리 트레이(15)에 1매째의 시트가 실리면, 후술하는 패들부(166)가 회전하고, 시트를 처리 트레이(15)의 하방에 보내는 형태여도 된다. 그리고 스토퍼(151)가 처리 트레이(15)의 하방에 설치된다. 시트의 하방단은 스토퍼(151)에 부딪친다. 하강해도, 시트의 일부는 하부 롤러(162)에 접촉한다. 또한, 스토퍼(151)의 근방에 시트 묶음에 대해서 스테이플을 실시하는 스테이플부(18)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스테이플부(18)는, 시트의 구석 부분에 스테이플침을 박는다.
처리 트레이(15)에 2매째 이후의 시트를 올려놓을 때, 예를 들면, 하부 롤러(162)와 상부 롤러(161)는 이격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패들부(166)가 처리 트레이(15)의 하방으로 용지를 보내기 위해서 설치된다. 또한, 도 2에서는, 패들부(166)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처리 트레이(15)에 시트가 올려지면, 패들부(166)는 회전하고, 시트를 처리 트레이(15)의 하방으로 보낸다. 이로 인해, 처리 트레이(15)에서의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의 정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처리 트레이(15)에는, 시트를 폭방향(후처리 장치(1)의 정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으로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 가이드(191)가 설치된다. 규제 가이드(191)는, 모터나 기어 등의 요동 기구(192)(도 3 참조)에 의해, 요동된다. 규제 가이드(191)는, 후처리 장치(1)의 정면에서 볼 때 전후 방향(시트 묶음의 배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로 인해, 규제 가이드(191)는, 처리 트레이(15) 상의 시트를 폭방향으로 정합한다. 또, 구분한 다음 1부의 시트 묶음을 배출할 때, 요동 기구(192)에 의해, 규제 가이드(191)는 이동하고, 처리 트레이(15)에서의 시트 묶음의 위치를 시프트시킨다. 이로 인해, 부마다 시트 묶음의 배출 트레이(17)로의 배출 위치를 비켜 놓고, 부마다의 구분이 이루어진다.
처리 트레이(15)로부터 시트 묶음을 배출할 때, 상부 롤러(161)는 하부 롤러(162)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그리고 상부 롤러(161)와 하부 롤러(162)는 적재된 시트 묶음을 사이에 낀다. 그리고 상부 롤러(161)와 하부 롤러(162)는, 사이에 끼운 시트 묶음을 배출 트레이(17)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적재된, 혹은, 스테이플된 시트 묶음은, 배출 기구(16)에 의해 배출된다.
또, 배출 트레이(17)에는, 배출되는 시트 묶음이 쌓여져 간다. 또한, 배출 트레이(17)는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음과 더불어, 시트 묶음이 올려짐에 따라, 가이드를 따라 내려간다. 이로 인해, 많은 시트 묶음을 배출 트레이(17)에 배출할 수 있다.
(복합기(100)의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도 3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기(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복합기(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기(100)는, 각종 소자, 회로 등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제어부(7)(제어 기판)를 갖는다. 제어부(7)는, HDD(71), I/F부(72), 화상 독취부(2b), 원고 반송 장치(2a), 조작 패널(3), 엔진부(40) 등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제어부(7)는, 각부와 통신을 행하고,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또, 정보를 얻는다.
제어부(7)는, 예를 들면, 메인 CPU(73), 기억부(74), 화상 처리부(75) 등을 포함한다. 메인 CPU(73)는, 제어부(7)의 연산 처리 장치이며, 기억부(74)에 기억되는 데이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처리,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74)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예를 들면, 플래시 ROM)와, 휘발성의 기억 장치(예를 들면, RAM)의 조합이다. 기억부(74)는, 작업 실행 등, 각종 제어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7)에는, 대용량의 기억 장치로서 HDD(71)를 접속할 수 있고, 제어부(7)는, HDD(71)를 기억 장치의 하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DD(71)는, 각종 제어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 프로그램 외,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화상 처리부(75)는, 화상 독취부(2b)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나,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실시하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부(75)는, 화상 처리 전용의 ASIC나 화상 처리용의 메모리로 구성된다. 화상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인쇄를 위해 노광 장치(53)에 보낼 수도 있고(복사 기능, 프린터 기능), HDD(71)에 기억할 수도 있고(스캐너 기능), 후술의 I/F부(72)로부터 외부(컴퓨터(200), FAX 장치(300) 등)로 송신할 수도 있다(스캐너 기능, FAX 기능). 또한, 메인 CPU(73)와 기억부(74)에서, 기능적으로 화상 처리부(75)가 실현되어도 된다. 또, 화상 처리부(75)가 행할 수 있는 화상 처리는, 확대·축소 처리나, 농도 변경 등, 다방면에 걸치므로, 공지의 화상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고 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7)는 I/F부(72)와 접속된다. I/F부(72)는, 외부의 컴퓨터(200)(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서버)나 FAX 장치(300)와 네트워크, 회선, 케이블 등을 통해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그 때문에, I/F부(72)는, 각종 커넥터나 통신용의 회로, 소자, 콘트롤러, 변복조 회로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7)는, 이 I/F부(72)를 통한 통신에 의해, 외부의 컴퓨터(200)나 FAX 장치(300)로부터 인쇄용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외부의 컴퓨터(200)나 FAX 장치(30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복합기(100)에의 설정 입력이나 표시에 관하여, 조작 패널(3)이 설치된다. 조작 패널(3) 내에는, 제어부(7)의 지시를 받고, 실제로 조작 패널(3)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35)가 설치된다. 표시 제어부(35)는, 예를 들면, CPU나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35)는, 조작 패널(3)에 대한 조작의 인식이나 조작에 대한 표시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35)는, 액정 표시부(31)에서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또, 표시 제어부(35)는, 터치 패널부(32)에서 눌린 위치의 좌표의 인식과 그에 따르는 눌린 키의 인식을 행한다. 또, 표시 제어부(35)는, 텐 키부(34)나 스타트 키(33) 등의 각종 하드 키에의 조작을 인식한다.
다음에, 복합기(100)에서의 인쇄에 관하여, 엔진부(40)가 설치된다. 엔진부(40)에는, 상술한 급지부(4a), 반송부(4b), 화상 형성부(5a), 정착부(5b)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엔진부(40) 내에는, 제어부(7)의 지시를 받고, 실제로 엔진부(40) 내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50)가 설치된다. 엔진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CPU나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50)는, 급지, 반송, 토너상 형성, 정착부(5b)의 온도 제어 등, 엔진부(40)에 포함되는 부재의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7)는, 엔진부(40)의 엔진 제어부(50)에 동작 지시를 중계시키고, 후처리 장치(1)에 대한 동작 지시를 부여한다. 또, 엔진부(40)의 엔진 제어부(50)도, 후처리 장치(1)에의 동작 지시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부(40)는, 인쇄에 관한 제어를 통괄하고, 후처리 장치(1)는 엔진부(40)에 종속되는 것으로서 취급된다.
그리고 후처리 장치(1) 내에는, 엔진 제어부(50)의 지시를 받아, 실제로 후처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후처리 제어부(10)가 설치된다. 후처리 제어부(10)도, 예를 들면, CPU나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후처리 제어부(10)는, 시트 반입 검지, 펀치부(13), 시트 반송, 시트의 적재, 스테이플부(18), 대피부(14), 배출 기구(16), 시프트부(19) 등, 후처리 장치(1)에 포함되는 부재의 동작, 처리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반입 센서(121)는, 후처리 제어부(10)에 접속된다. 반입 센서(121)는 예를 들면, 투과형의 광센서이다. 후처리 제어부(10)는, 반입 센서(121)의 출력 변화(출력전압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후처리 장치(1)에의 시트의 반입, 반입구(12)로부터의 시트의 통과 등을 인식한다.
(구분의 설정)
다음에, 도 4에 기초하여,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복합기(100)의 조작 패널(3)에서의 구분 설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4는, 조작 패널(3)에서의 구분 설정 화면(S1)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사용자는, 자료의 작성 등을 위해, 같은 인쇄물을 복수부 인쇄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복수부의 인쇄를 행할 때, 페이지순으로 늘어놓여지고, 구분된 상태에서 배출 트레이(17)에 배출되면, 사용자는, 스스로 부마다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는, 구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매의 원고를 복수부 카피할 때, 조작 패널(3)이, 구분의 설정을 접수한다.
구체적으로, 조작 패널(3)(의 액정 표시부(31))은, 구분의 설정을 위해, 구분 설정 화면(S1)을 표시한다. 구분 설정 화면(S1)에서, 후처리 장치(1)에서의 구분(부마다 위치를 바꾸면서 시트 묶음을 배출하는지의 여부)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분을 행할 때 구분 실행 키 K1(「1부마다」라고 기록된 키)를 누른다. 또, 구분을 행하지 않을 때, 사용자는 구분 미실행 키 K2(「설정하지 않는다」라고 기재된 키)를 누른다.
구분 실행 키 K1이 눌린 상태에서 OK키 K3가 눌리면, 조작 패널(3)로부터 제어부(7)를 향해 구분을 행한다는 것이 통지된다. 그리고 제어부(7)는, 엔진 제어부(50)를 개재하고, 후처리 제어부(10)를 향해, 복사할 때, 구분을 실행해야 함을 전한다. 이로 인해, 후처리 제어부(10)는, 구분을 해야함을 인식한다.
구분에서는, 후처리 제어부(10)는, 시트 묶음을 배출하기 전에, 시프트부(19)를 제어하여, 부마다 시트 묶음의 처리 트레이(15)에서의 위치를 비켜 놓게 한다. 그리고 후처리 장치(1)의 배출 기구(16)는, 비켜 놓은 상태에서 시트 묶음을 배출한다. 이로 인해, 시트 묶음의 구분이 이루어진다. 또한, 구분을 실행하지 않을 때, 스테이플 처리가 없으면, 1매씩 후처리 제어부(10)는, 배출 트레이(17)에 시트를 배출한다.
상기에서는, 조작 패널(3)에서 구분의 설정을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복합기(100)는 프린터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복합기(10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여 인쇄를 행하는 컴퓨터(200)에서 같은 설정 화면을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복합기(100)를 이용하기 위해서 컴퓨터(200)에 인스톨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에, 구분에 관한 설정 화면을 표시시켜도 된다. 그리고 컴퓨터(200)에서의 구분의 설정 내용도 복합기(100)에 송신되고, 컴퓨터(20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인쇄에서도 구분이 이루어져도 된다.
(구분에서의 시프트)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분에서의 시프트부(19)의 시프트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는, 구분에서의 시프트부(19)의 시프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우선, 도 5는 처리 트레이(15) 및 배출 트레이(17)의 배출에서의 시트 묶음의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처리 트레이(15) 및 배출 트레이(17)를 상방에서 본 모식도이다. 또한, 도 5의 십자 화살표의 전은 후처리 장치(1)의 전측, 후는 후처리 장치(1)의 후측, 좌는 후처리 장치(1)의 좌측, 우는 후처리 장치(1)의 우측(복합기(100) 본체가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는, 시트 묶음의 배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키고, 같은 위치에 같은 부의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킴과 더불어, 부마다 다른 위치에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키는 시프트부(19)(규제 가이드(191)나 요동 기구(192)로 구성)를 갖는다. 후처리 제어부(10)는, 요동 기구(192)를 제어하고, 시트 묶음의 배출 위치(처리 트레이(15) 상의 적재 위치)를 시프트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의 하측은 처리 트레이(15)를 나타낸다. 그리고 구분을 행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으면,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로부터의 배출에 있어서, 부마다 규제 가이드(191)의 위치를 가변시켜 후처리 장치(1)의 전측(A의 위치), 혹은, 후측(B의 위치)으로 시프트시킨 다음 배출한다. 그리고 A의 위치에서 시프트한 후, 다음의 부에서는 B의 위치로의 시프트를 행하고, 다음에, A의 위치에서의 시프트를 행하여, A와 B의 위치에서의 시프트를 반복한다. 시프트부(19)는 예를 들면, 규제 가이드(191)의 위치를 바꾸기 위해, 요동 기구(192)(예를 들면,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를 갖는다.
이와 같이 시프트한 다음 배출 트레이(17)에 배출함으로써, 부마다, 배출 위치가 엇갈린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부마다 구분된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프트 위치는, 2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A의 위치와 B의 위치에 더하여, A와 B의 중간 위치에서 부를 배출하도록 하면, 구분에 의해 배출 트레이(17)에 배출되는 위치는, 3가지가 된다. 또한, 단계 수를 늘리면, 배출 트레이(17)에 배출되는 시트 묶음의 위치는 더 복수 종으로 할 수 있다.
(시트 묶음의 배출과 대피)
다음에, 도 6~도 8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에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과 대피를 설명한다. 도 6은, 종래의 후처리 장치에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의 대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에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의 대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1부의 시트의 매수가(미적재인 시트의 잔여수가), 처리 트레이(15)에 올려놓을 수 있는 시트의 양(매수)을 넘을 때의 시트 묶음의 배출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는, 매수로 처리 트레이(15)에 적재 가능한 시트의 최대 적재량(미리 정해진 최대 적재 매수)을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카피의 경우, 제어부(7)는, 원고를 원고 반송 장치(2a)에서 연속적으로 화상 독취부(2b)의 독취 위치로 반송시키고, 복수매의 원고를 연속적으로 독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적으로 독취한 원고의 매수에 따라, 1부의 시트의 매수가 정해진다. 또, 서적 등의 원고의 읽어 들임을 1페이지씩 연속해서 행동하고(예를 들면, HDD(71)에 일시적으로 화상 데이터를 축적), 모든 독취가 완료한 후, 스타트 키(33)가 눌리는 등에 의해, 카피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적, 자료 등의 철해진 서류를 독취한 합계의 페이지수에 따라, 1부의 시트의 매수가 정해진다. 또, 조작 패널(3)은, 텐 키부(34)에 의한 숫자 입력에 의해, 카피해야 할 부수를 지시하는 입력을 접수한다.
또, 프린터로서 인쇄하는 경우, 컴퓨터(200)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의 페이지수나, 인쇄에서의 설정 데이터를 보고, 제어부(7)는, 1부의 페이지수를 알 수 있다. 또, 인쇄 부수는, 컴퓨터(200)에 인스톨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나, 인쇄를 실행하려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정 가능하다. 컴퓨터(200)로부터 수신한 인쇄 부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제어부(7)는, 인쇄 부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나 엔진 제어부(50)는, 인쇄 부수나, 1부의 페이지수(합계 매수)를 후처리 제어부(10)에 송신한다. 이로 인해, 후처리 제어부(10)는, 1부의 매수가 최대 적재 매수를 넘는지의 여부, 시프트 위치를 어느 타이밍에서 바꾸는지(부와 부의 경계)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종래의 후처리 장치에서, 미적재인 시트의 잔여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은 경우의 시트의 대피와 시트 묶음의 배출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의 후처리 장치의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는 3매이며,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은 경우(1부당 4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처리 트레이는, 통상, 스테이플 가능한 매수(예를 들면, 수페이지~2, 30페이지 정도까지)의 시트를 적재 가능하다.
우선, 구분을 할 때,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많으면, 1부의 도중에 1회 또는 복수 회, 시트 묶음의 배출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시트 묶음의 배출을 행한 후, 최초로 처리 트레이에 올려놓는 시트를 대피하면, 인쇄에 대기 시간을 설정하지 않고, 통상의 종이 간격인 채로 인쇄나 시트 반송을 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배출 처리 중에서, 적재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처리 트레이에 시트가 도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구분할 때, 예를 들면,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을 때, 1부의 최종 페이지는 대피할 수 없다. 이 점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6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 3매에 대해서, 1부의 매수가 4매인 경우이며, 종래의 후처리 장치에서의 종이 간격과 시트 묶음의 배출과 대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을 때(미적재의 시트의 잔여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을 때), 처리 트레이에 최대 적재 매수까지 적재하고 있다. 도 6의 예에서는, 처리 트레이에는, 각부에서 처리 트레이에 3매의 한계까지 적재된다. 그리고 최대 적재 매수까지 적재된 후, 시트 묶음이 배출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1부에서의 최종 페이지는, 대피시킬 수 없다. 이 경우, 연속해서 시트를 배출하므로, 최종 페이지를 대피시키면, 다음의 부의 1페이지째와 포개지거나, 혹은, 거리가 너무 근접해 버려, 처리 트레이에 거의 동시에 최종 페이지와 다음 부의 1페이지째가 도달해 버린다. 그러면, 다른 부를 다른 위치에 시프트하여 배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의 1페이지째는, 대피시켜도 문제는 없다.
이 때문에, 종래,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을 때, 시트 묶음을 배출하는 시간을 벌기 위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 페이지와 최종 페이지보다 1페이지 전의 종이 간격을 통상보다 길게 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최종 페이지의 시프트나 배출에 필요로 하는 시간(예를 들면, 약 1초) 정도, 시트 공급이나, 토너상 형성이나, 시트에의 전사 타이밍을 늦추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복합기나 후처리 장치의 생산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인쇄 부수가 많아질수록, 종래의 후처리 장치에서는, 마지막 시트가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예를 들면, 10부이면, 약 10초, 100부이면, 약 100초 늦어지는 일도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에서는,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이상 적은 동안에 시트 묶음을 배출하고, 1부 중 최종 페이지만의 시트의 배출이 행해지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에서는,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에 적재된 시트가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적을 때 배출 기구(16)에 시트 묶음을 배출시킨다. 도 7을 이용하여, 이 점을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6의 예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는 3매이며, 1부의 매수가 4매인 경우의 종이 간격과 시트 묶음의 배출과 대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처리 제어부(10)는, 1부 중, 2페이지째까지 시트가 적재되면(「최대 적재 매수-1」일 때), 배출 기구(16)는 일단 시트를 배출한다. 그리고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하는 1매째 시트(도 7의 예에서는 3페이지째)를 대피부(14)에 대피시킨다. 이로 인해, 1부 중 1페이지째와 2페이지째(1부 중 전반 부분)의 시트 배출의 시간을 벌 수 있다. 그리고 1부 중의 3페이지째와 4페이지째(최종 페이지)를 배출하는 시간을 벌기 위해, 후처리 제어부(10)는, 다음의 부(2부째)의 1페이지째(최초의 페이지)를 대피부(14)에 대피시킨다.
이로 인해,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을 때에도(예를 들면,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많아도), 어느 페이지의 종이 간격을 통상보다 넓히지 않고, 순조롭게 구분을 행하면서 시트를 배출 트레이(17)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적을 때, 배출 기구(16)에 시트 묶음을 배출시킨다. 그러나 1부에서의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하는 시트의 잔여 매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와 같을 때, 이와 같은 배출을 행하면, 오히려, 최종 페이지만의 시트의 배출이 행해져 버린다. 그래서, 1부에서의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하는 시트의 잔여 매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와 동일하면,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적은 상태에서 배출 기구(16)에 시트 묶음을 배출시키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까지 축적시킨 후, 시트 묶음을 배출시킨다.
이 점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는, 도 6이나 도 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는 3매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1부의 매수가 3매인 경우의 종이 간격과 시트 묶음의 배출과 대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부의 잔여 매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와 같을 때,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에 최대 적재 매수까지 적재한 후, 시프트부(19)로 시프트시키면서, 배출 기구(16)에 시트 묶음을 배출시킨다. 또, 후처리 제어부(10)는, 전환 클로우(142)를 동작시켜, 다음의 부의 1페이지째를 대피부(14)에 대피시킨다. 이로 인해, 모든 시트의 종이 간격은, 통상인 채로, 길게 할 것도 없이, 생산성은 떨어지지 않는다.
(구분 제어의 흐름)
다음에, 도 9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에서의 구분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에서의 구분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1부의 매수가 최대 적재 매수를 넘지 않으면, 처리 트레이(15)에 1부의 최종 페이지까지 시트 묶음을 적재한 후, 시트 묶음을 배출하고, 다음의 부의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부(14)에 대피시키면, 종이 간격은 넓히지 않고 통상인 채로 구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1부의 매수가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의 구분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9의 플로우의 스타트는, 복합기(100)가 복수부의 인쇄를 행하고, 후처리 장치(1)가 구분 처리를 행할 때이다. 예를 들면, 조작 패널(3)에서 구분 처리가 설정된 다음 복수부의 인쇄가 지시되었을 때나, I/F부(72)가 컴퓨터(200)로부터 복수부의 인쇄의 지시를 받음과 더불어, 구분 처리를 행하는 지시를 받았을 때 등이 해당한다. 또한, 구분을 행하는 이상, 1부에는 복수 페이지가 포함되고, 복수부 인쇄하는 것이 전제이다.
그리고 후처리 제어부(10)는, 복합기(100) 본체에서 인쇄된 부 중 1페이지째의 시트의 반입을 반입 센서(121)의 출력에 기초하여 인식한다(단계 #1). 그리고 후처리 제어부(10)는, 부 중 1페이지째의 시트의 대피가 필요한지를 확인한다(단계 #2). 구체적으로, 최초의 부이면, 대피의 필요는 없고, 2번째 이후의 부이면, 직전의 부의 시트 묶음의 배출을 위해, 대피가 필요하다.
만약, 대피의 필요가 있으면(단계 #2의 Yes), 후처리 제어부(10)는 반입된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부(14)에 대피시킨다(단계 #3). 계속해서, 후처리 제어부(10)는, 다음 페이지의 시트의 반입을 인식한다(단계 #4). 이때, 1페이지째와 그 다음 페이지(2페이지째)의 시트는 서로 포개져 처리 트레이(15)에 반송된다(단계 #5). 한편, 대피의 필요가 없으면(단계 #2의 No), 후처리 제어부(10)는, 반입된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부(14)에 대피시키지 않고 처리 트레이(15)에 반송한다(단계#6).
단계 #5, 단계 #6의 뒤, 후처리 제어부(10)는, 적재된 시트가 후처리 중인 부에 있어서의 최종 페이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7). 또한, 단계 #7까지, 후처리 제어부(10)는, 엔진 제어부(50)나 제어부(7)에서 1부의 매수(페이지수)나, 인쇄 부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받고 있다. 그리고 후처리 제어부(10)는 미리 1부 당의 매수와 인쇄 부수를 인식하고 있다. 만약, 최종 페이지라면(단계 #7의 Yes), 구분 상, 처리 트레이(15)에 적재된 시트 묶음을 배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후처리 제어부(10)는, 시트 묶음을 시프트부(19)로 시프트시키고, 그 후, 배출 기구(16)에 배출 트레이(17)에 시트 묶음을 배출시킨다(시트 묶음의 배출 처리. 단계 #8).
시트 묶음의 배출 처리에 따라서, 후처리 제어부(10)는, 전부의 인쇄가 완료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9). 그리고 전부의 시트에 대한 후처리가 완료한 것이면(단계 #9의 Yes), 구분 처리는 완료했으므로, 본 플로우는 종료한다(엔드). 한편, 아직 후처리해야 할 부가 남아 있으면(단계 #9의 No), 플로우는 단계 #1로 돌아간다.
그리고 단계 #7에서 최종 페이지가 아니면(단계 #7의 No),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에 적재된 시트의 매수가 「최대 적재 매수-1」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0). 만약, 「최대 적재 매수-1」로 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10의 No), 후처리 제어부(10)는, 다음 페이지의 시트의 반입을 인식한다(단계 #11). 또한, 후처리 제어부(10)는, 반입된 시트를 처리 트레이(15)를 향해 반송시킨다(단계 #12). 그리고 플로우는 단계 #7로 돌아간다.
한편, 「최대 적재 매수-1」로 되어 있으면(단계 #10의 Yes),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에 다음에 적재하는 시트(다음 페이지의 시트)가 1부에 있어서의 최종 페이지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3). 만약, 최종 페이지이면(단계 #13의 Yes), 최종 페이지만의 시트의 배출을 피하기 위해, 플로우는, 단계 #11로 이행한다. 이 경우, 단계 #12로부터 최종적으로 단계 #7로 돌아간 후, 시트 묶음은 배출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1부의 잔여 매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와 같을 때, 후처리 제어부(10)는, 처리 트레이(15)에 최대 적재 매수까지 적재한 후, 시프트부(19)로 시프트시키면서, 배출 기구(16)에 시트 묶음을 배출시킨다.
한편, 처리 트레이(15)에 다음에 적재하는 시트(다음 페이지의 시트)가 1부에 있어서의 최종 페이지가 아니면(단계 #13의 No), 후처리 제어부(10)는, 시트 묶음을 시프트부(19)로 시프트시키고, 그 후, 배출 기구(16)에 배출 트레이(17)에 시트 묶음을 배출시키는 배출 처리를 행하게 한다(단계 #14).
그리고 후처리 제어부(10)는 다음 페이지의 시트의 반입을 인식하고, 후처리 제어부(10)는 반입된 다음 페이지의 시트를 대피부(14)에 대피시킨다(단계 #15). 다음 페이지는 최종 페이지는 아니기 때문에, 또한, 후처리 제어부(10)는 반입된 다음 페이지의 또 다음 페이지의 시트의 반입을 인식한다(단계 #16). 그리고 반입된 다음 페이지의 또 다음 페이지의 시트는, 서로 포개져 처리 트레이(15)에 반송된다(단계 #17). 단계 #15~단계 #17은, 부의 도중에서의 시트 묶음 배출을 행해도 종이 간격을 통상보다 넓히지 않아도 되도록, 시트 묶음을 배출한 후, 처리 트레이(15)에 올려놓는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시키는 처리이다. 그리고 플로우는 단계 #7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는, 시트가 적재되는 처리 트레이(15)와, 반입구(12)로부터 반입된 시트를 처리 트레이(15)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부(11)와, 반송부(11)에 있어서의 반송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시트를 대피시켜 처리 트레이(15)로의 시트의 도달을 늦춘 후, 처리 트레이(15)로 송출하는 대피부(14)와, 처리 트레이(15)에 적재된 시트를, 부와 부의 경계에서 배출 트레이(17)에 배출하는 배출 기구(16)를 포함하고, 1부 중, 처리 트레이(15)에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처리 트레이(15)가 적재 가능한 양인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배출 기구(16)는, 1부 중 최종 페이지가 한 장만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1부의 시트 묶음을 복수회로 나누어 배출하고, 대피부(14)는, 시트 묶음의 배출 후에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하는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시킨다.
이로 인해, 연속해서 인쇄되는 각부를 구분할 때, 1부의 최종 페이지만의 시트의 배출은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대피할 수 없는 최종 페이지의 처리 트레이(15)로의 도달을 늦추고, 시트 묶음의 배출 시간을 벌기 위해서, 종이 간격을 넓히지 않아도 된다(통상의 종이 간격이어도 된다). 또, 1부의 매수가 처리 트레이(15)의 최대 적재 매수를 넘고 있기 때문에, 1부의 도중에 시트 묶음의 배출이 이루어져도, 대피부(14)는, 다음에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하는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시키므로, 종이 간격은 통상인 채 넓힐 필요는 없다. 또, 부와 부의 경계선에서 시트 묶음이 배출될 때에도, 다음의 부의 1페이지째는 대피되므로, 부와 부의 경계선에서 시트 묶음이 배출되어도 종이 간격을 넓힐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후처리 장치(1)에 비해, 시트 묶음의 배출을 위해서 종이 간격을 넓힐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1부의 매수에 의하지 않고, 후처리 장치(1)의 생산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최대 적재 매수는, 처리 트레이(15)의 크기나 사양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지는 매수이다.
또, 배출 기구(16)는 처리 트레이(15)에 적재된 시트가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적을 때에 시트 묶음을 배출한다. 이로 인해, 1부에 있어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 횟수를 확실히 필요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1부의 시트 묶음 중,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해야 할 시트의 잔여수가 최대 적재 매수와 같을 때, 배출 기구(16)는, 처리 트레이(15)에 최대 적재 매수의 시트가 적재되었을 때에 시트 묶음을 배출한다. 이로 인해, 최종 페이지만으로 시트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1부에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 횟수를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또, 시트 묶음의 배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키고, 같은 위치에 같은 부의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킴과 더불어, 부마다 다른 위치에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키는 시프트부(19)를 갖는다. 이로 인해, 배출 트레이(17)에서 배출 위치를 바꿈으로써 각부를 구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예를 들면, 복합기(100))는, 본 실시 형태의 후처리 장치(1)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1부당의 매수에 관계없이, 종래와 같이, 대피할 수 없는 최종 페이지의 처리 트레이(15)로의 도달을 늦추어 시트 묶음의 배출 시간을 벌기 위해서, 종이 간격을 넓히지 않아도 된다(통상의 종이 간격이어도 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예를 들면, 복합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트레이(15)에 미적재인 시트의 잔여수가,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배출 기구(16)는 처리 트레이(15)에 적재된 시트가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적을 때(「최대 적재 매수-1」일 때)에 시트 묶음을 배출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최대 적재 매수-1」가 아니라, 「최대 적재 매수-2 이상」이어도 된다.
단, 「최대 적재 매수-2 이상」으로 해도, 너무 빈번하게 시트 묶음의 배출을 행하지 않고, 시트 묶음의 배출을 최소로 머물게 한다면, 1부의 시트의 매수를 최대 적재 매수로 나눈 값을 올림하여 얻어지는 정수가, 1부의 시트 묶음의 배출 횟수의 한계 횟수로서, 1부의 시트 묶음을 복수회로 나누어 배출해도 된다. 즉, 배출 기구(16)는, 1부의 시트의 매수를 최대 적재 매수로 나눈 값을 올림하여 얻어지는 정수가, 1부의 시트 묶음의 배출 횟수가 되도록 시트 묶음을 배출한다. 이로 인해, 1부에 있어서의 시트 묶음의 배출 횟수를 필요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할 수 있는 시트의 최대 적재량을 미리 최대 적재 매수로서 규정하는 예를 설명했다. 여기서, 최대 적재 매수는, 고정의 것이 아니라, 조작 패널에 이루어진 인쇄에 이용하는 시트의 두께의 설정에 따라서, 최대 적재 매수를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 패널(3)에서, 후지, 보통지, 박지의 3단계 정도로 인쇄에 이용하는 시트의 두께를 선택, 설정 가능하게 한다. 또, 예를 들면, 기억부나 후처리 장치 내의 설정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에 시트의 두께에 따른 최대 적재 매수를 규정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제어부(7)나 엔진 제어부(50)로부터, 시트의 두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후처리 제어부(10)가 수신하고, 후처리 제어부(10)는 시트의 두께에 따라, 최대 적재 매수를 가변시켜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 트레이(15)에 적재할 수 있는 시트의 최대 적재량을 미리 최대 적재 매수로서 규정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처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의 두께를 검지하는 검지 센서(예를 들면, 광센서)를 설치하고, 후처리 제어부(10)는, 검지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재의 처리 트레이(15)의 시트 적재량이 최대 적재 매수인지, 「최대 적재 매수-1」 상태인지를 인식해도 된다. 또, 후처리 제어부(10)는, 검지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처리 트레이(15)에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처리 트레이(15)가 적재 가능한 양인 최대 적재 매수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
이상,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시트에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 장치로서,
    시트가 적재되는 처리 트레이와,
    반입구로부터 반입된 시트를 상기 처리 트레이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처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를, 부와 부의 경계선에서 배출 트레이에 배출하고, 1부 중, 상기 처리 트레이에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상기 처리 트레이의 적재 가능한 양인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1부 중 최종 페이지가 한 장만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1부의 시트 묶음을 복수회로 나누어 배출하는 배출 기구와,
    시트를 대피시켜 상기 처리 트레이로의 시트의 도달을 늦춘 후, 상기 처리 트레이로 송출하고, 1부 중, 상기 처리 트레이에 미적재된 시트의 잔여수가, 상기 최대 적재 매수를 넘을 때, 시트 묶음의 배출 후에 처리 트레이에 적재하는 1페이지째의 시트를 대피시키는 대피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처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가 상기 최대 적재 매수보다 1매 적을 때에 시트 묶음을 배출하는, 후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기구는, 1부의 시트 묶음 중, 상기 처리 트레이에 적재해야 할 시트의 잔여수가 상기 최대 적재 매수와 같을 때, 상기 처리 트레이에 상기 최대 적재 매수의 시트가 적재되었을 때에 시트 묶음을 배출하는, 후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 묶음의 배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키고, 같은 위치에 같은 부의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킴과 더불어, 부마다 다른 위치에 시트 묶음을 시프트시키는 시프트부를 구비하는, 후처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삭제
KR1020120009509A 2011-02-16 2012-01-31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33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0445A JP5325905B2 (ja) 2011-02-16 2011-02-16 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JP-P-2011-030445 2011-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420A KR20120094420A (ko) 2012-08-24
KR101331386B1 true KR101331386B1 (ko) 2013-11-20

Family

ID=4565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09A KR101331386B1 (ko) 2011-02-16 2012-01-31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90143B2 (ko)
EP (1) EP2489620B1 (ko)
JP (1) JP5325905B2 (ko)
KR (1) KR101331386B1 (ko)
CN (1) CN102642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4399A (ja) * 2011-07-01 2013-01-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656917B2 (ja) * 2012-05-23 2015-01-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83865B2 (ja) * 2013-04-02 2017-02-22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US10106364B2 (en) * 2014-09-03 2018-10-23 Ricoh Company, Limite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9575441B2 (en) * 2014-11-07 2017-02-2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system
JP2016151759A (ja) 2015-02-19 2016-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後処理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シート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7114619A (ja) * 2015-12-24 2017-06-29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後処理装置
JP6493294B2 (ja) * 2016-04-27 2019-04-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整合装置、画像形成装置
JP7489102B2 (ja) 2020-09-08 2024-05-23 株式会社ホリゾン 用紙搬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用紙搬送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569A (ja) * 1996-12-27 1998-07-2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2321860A (ja) * 2001-02-13 2002-11-08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070B2 (ja) * 1987-11-10 1994-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取扱い装置
US5289251A (en) * 1993-05-19 1994-02-22 Xerox Corporation Trail edge buckling sheet buffering system
JP3680404B2 (ja) * 1996-02-29 2005-08-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6241234B1 (en) * 1996-12-27 2001-06-0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US6199850B1 (en) * 1997-01-09 2001-03-13 Ricoh Company, Ltd. Sheet transport system for an image-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 path sheet piling system
US6315288B1 (en) * 1998-03-18 2001-11-13 Kyocera Mita Corporatio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3387836B2 (ja) * 1998-11-17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EP1231521B1 (en) 2001-02-13 2011-09-2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39805B2 (ja) * 2001-08-02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208502B2 (ja) * 2002-06-28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04676A (ja) * 2003-09-30 2005-04-21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
JP4229883B2 (ja) * 2004-07-23 2009-02-25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JP4459787B2 (ja) * 2004-11-16 2010-04-28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US7896331B2 (en) * 2007-06-13 2011-03-01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tearing off staple and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2009242049A (ja) * 2008-03-31 2009-10-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シート処理装置
JP5365269B2 (ja) * 2009-03-09 2013-12-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後処理装置、及び後処理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5769491B2 (ja) * 2010-05-18 2015-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バッファ装置
JP2012082069A (ja) * 2010-10-15 2012-04-26 Gradco Japan Ltd 用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569A (ja) * 1996-12-27 1998-07-2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2321860A (ja) * 2001-02-13 2002-11-08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9620A2 (en) 2012-08-22
CN102642741B (zh) 2015-04-01
US8690143B2 (en) 2014-04-08
JP2012166924A (ja) 2012-09-06
EP2489620A3 (en) 2014-01-01
CN102642741A (zh) 2012-08-22
EP2489620B1 (en) 2017-11-15
JP5325905B2 (ja) 2013-10-23
KR20120094420A (ko) 2012-08-24
US20120205853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386B1 (ko)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6000737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315812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25157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493289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9164967A (ja) 画像複写システム
US20120319344A1 (en) Sheet atacker and finisher
US2008007549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808535B2 (ja)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75449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8203422A (ja) 画像形成装置
JP5317708B2 (ja) 印刷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102137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521095B2 (ja) 後処理制御方法
JP2008265973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019272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動作制御方法
JP2005079613A (ja) 画像形成装置
JP7400395B2 (ja) 画像処理装置
JP5598395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521629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68631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6314887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126329A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7077953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249107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